KR20100020490A - Concrete sleeper - Google Patents

Concrete slee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490A
KR20100020490A KR1020097027267A KR20097027267A KR20100020490A KR 20100020490 A KR20100020490 A KR 20100020490A KR 1020097027267 A KR1020097027267 A KR 1020097027267A KR 20097027267 A KR20097027267 A KR 20097027267A KR 20100020490 A KR20100020490 A KR 20100020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ncrete sleeper
section
longitudinal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7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95743B1 (en
Inventor
요제프 프리드헬름 헤쓰
후베르투스 회네
Original Assignee
푀스트알피네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파우아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6081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2049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푀스트알피네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파우아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푀스트알피네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020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4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7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01B3/32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with armouring or reinforcement
    • E01B3/34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with armouring or reinforcement with pre-tensioned armouring or reinfor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E01B1/004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with prefabricated elements embedded in fresh concrete or asphalt

Abstract

Monoblock reinforced concrete sleeper (10) for a solid track having reinforcement (12), wherein the reinforcement is exposed with a section underneath the base or bottom area of the concrete sleeper. In order to be able to predefine the anchoring capability of the concrete sleeper within a desired range and at the same time to ensure that circuit systems are not disrupted by the reinforcement, it is proposed that the reinforcement (12) is a section of a construction steel mesh for an N-sided polygonal column with N > 3 bent section of a construction steel mat, and the exposed section of the reinforcement is the support for longitudinal rods, and that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rods of the construction steel mesh are electrically insulated on the outside.

Description

콘크리트 침목{Concrete sleeper}Concrete sleeper {Concrete sleeper}

본 발명은 길이방향 로드와 가로방향 로드를 포함하는 철근을 가지며,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의 종축에 대해 횡으로 연장된 철근 섹션은 일체형 콘크리트 침목의 베이스 또는 바닥면 아래에서 노출되는, 특히 적어도 2개의 레일 고정부를 수용하기 위한, 직결 궤도용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inforcing bar comprising a longitudinal rod and a transverse rod, wherein the reinforcing sections extending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ntegral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are exposed below the base or bottom of the integral concrete sleepers, in particular at least two rails. An integrated reinforced concrete sleeper for a direct track for accommodating a fixing part.

DE-A-100 04 346호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U형 스터럽(Stirrup)을 포함하는 철근를 가진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를 수용하기 위해, 베이스 아래로 연장된 상기 철근의 자유 단부들은 후크 형태로 형성된다.DE-A-100 04 346 relates to a monolithic reinforced concrete sleeper with reinforcing bars comprising U-shaped stirrup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nder the base to accommodate longitudinal rods and transverse rods. The fre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are formed in the form of hooks.

DE-C-197 41 059에 따른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은 침목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연장된 스터럽으로 이루어진 철근을 포함한다. 스터럽의 형상은 개방된 직사각형이다. 스터럽의 연속하는, 즉 중단되지 않은 섹션은 침목 베이스 아래로 연장된다. 콘크리트 침목은 타설 콘크리트 내의 정확한 위치에 주조하기 위해 지지 푸트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 푸트의 폭은 침목 아래로 연장된 침목 섹션의 길이보다 작다. 지지부 외부에 연장된 섹션의 각각의 측면 레그는 침목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타이-바(tie-bar)에 연결될 수 있다. Integral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according to DE-C-197 41 059 comprise reinforcing bars made of stirrup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pers. The shape of the stirrup is an open rectangle. A continuous, ie uninterrupted section of the stirrup extends below the sleeper base. The concrete sleepers are supported on the support feet to cast in the correct position in the poured concrete, the width of the support feet being less than the length of the sleeper section extending below the sleepers. Each side leg of the section extending outside the support may be connected to a tie-bar extending longitudinally of the sleeper.

DE-A-199 63 664호에는 2-블록 콘크리트 침목이 공지되어 있다. 블록들은 격자 트러스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블록 내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방향 트러스가 삽입될 수 있다. Two-block concrete sleepers are known from DE-A-199 63 664. The bloc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grating truss and a longitudinal truss extending longitudinally of the rail can be inserted into the block.

각각의 레일 고정부를 구비하고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2개의 개별 블록을 포함하는 직결 궤도의 구조는 DE-U-200 11 481호에 공지되어 있다. 개별 블록들의 철근은 폐쇄된 루프(loop)로 형성되고, 상기 루프는 부분적으로 블록 베이스의 아래로 연장된다. 루프에 길이방향 철근 및 가로방향 철근이 삽입될 수 있다. 각각의 블록들 내부에서 루프들은 용접된 철근 로드에 연결된다. The structure of a direct track comprising two rails of concrete, each with rail fixings, is known from DE-U-200 11 481. The reinforcing bars of the individual blocks are formed in a closed loop, which partly extends below the block base. Longitudinal bars and transverse bars can be inserted in the loop. Inside each of the blocks loops are connected to a welded rebar rod.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2-블록 침목은 DE C-198 16 407호에 공지되어 있다. 철근은 소위 격자 트러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격자 트러스는 삼각형 프리즘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3개의 길이방향 로드 및 이들을 연결하는 2개의 굽은 라인을 포함한다. 철근의 구조로 인해, 달성될 저항 모멘트에 따라 상이한 격자 트러스가 사용되어야 하므로, 상이한 철근들이 적절히 비축되어야 한다. Two-block sleepers made of concrete are known from DE C-198 16 407. The rebar consists of a so-called lattice truss, which comprises three longitudinal rods forming the corners of the triangular prism and two bent lines connecting them. Due to the structure of the rebar, different lattice trusses must be used depending on the resistance moment to be achieved, so different rebars must be properly stocked.

EP-A-0 905 319 호에 따른 직결 궤도에서 침목은 베이스 아래로 연장된 스터럽 및 타이-바를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 침목이 직결 궤도의 타설 콘크리트 내에 결합된다. In the direct track according to EP-A-0 905 319 the sleeper comprises a stirrup and tie-bar extending below the base, whereby the sleeper is coupled into the pour concrete of the direct track.

해당 스터럽은 DE-U-297 03 508 호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베이스 또는 바닥면 위로 돌출하고, 상기 스터럽에 직결 궤도의 지지 플레이트에서 시작되는 스터럽이 할당되고, 이 스터럽은 상기 해당 스터럽에 연결된다. The stirrup protrudes above the base or bottom of 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DE-U-297 03 508, to which the stub is assigned a stirrup starting at the support plate of the direct track, which is connected to the stirrup.

DE-C-197 41 059 호에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 해당 스터럽 또는 타이-바는 길이방향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길이방향 로드는 직결 궤도의 지지층 상에서 연장된 타설 콘크리트 내에 주조된다.According to DE-C-197 41 059, corresponding stubs or tie-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connected to longitudinal rods, which are cast in pour concrete extending on the support layer of the direct track.

DE-C-102 30 741 호에는 철근을 가진 2-블록 또는 다중 블록 철근 콘크리트 침목이 공지되어 있고, 상기 침목은 V형으로 각진 격자 트러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격자 트러스는 부분적으로 콘크리트 침목의 베이스 아래로 연장된다. DE-C-102 30 741 is known for two-block or multi-block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with rebar, the sleepers consisting of lattice trusses angled to a V-shape, the lattice trusses partially below the base of the concrete sleepers. Extends.

WO-A-03/104562에 따라 자갈 도상을 위한, 롤러 몰드에서 제조된 콘크리트 침목은 실시예에 따라 철근으로서 전체가 콘크리트 침목 내에서 연장된 다이내믹 철근 메시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 메시에서 짜임으로 형성된 와이어는 짜임의 교차점에서 용접되는 것이 아니라 가장자리에서 용접된다. Concrete sleepers produced in roller molds for gravel beds according to WO-A-03 / 104562 comprise dynamic reinforcing meshes extending entirely within concrete sleepers as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med by weaving from said reinforcing meshes The wires are welded at the edges, not at the intersection of the weaves.

DE-A-37 28 304 호에는 철근 부재를 가진 철도 침목이 공지되어 있고, 상기 철근 부재들은 비도전성이거나 또는 전기 절연된다. DE-A-37 28 304 is known for railroad sleepers with rebar members, which are non-conductive or electrically insulated.

독일 철도 AG의 요구는 레일 또는 트랙 침목에 고정된 신호 기술 장치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직결 궤도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청 주파수 궤도 회로의 사용시 직결 궤도의 철근에 절연 영역이 제공되어야 한다. The demand of German railway AG is to form the structure of a direct track so that signal technology devices fixed on rails or track sleeper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For this purpose, the use of an audible frequency track circuit should provide an insulating area for the bars of the direct track.

트랙 섹션 내에 열차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궤도 회로가 사용되고, 상기 궤도 회로에서 오디오 신호가 공급되고, 이때 레일은 도체로 이용된다. 열차는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신호는 떨어져 있는 지점에서 수신되어 평가된다. To check whether a train is present in the track section, a track circuit is used, in which an audio signal is supplied, with the rail being used as a conductor. The train sends out a signal, which is received and evaluated at a distant point.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의 안전한 취급이 보장될 뿐 아니라, 직결 궤도 내에 설치시 회로 시스템이 충분히 정확하게 작동하여 트랙으로 신호가 전달됨으로써 소정의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조치가 제공되도록 전술한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을 개선하는 것이다. 특히 일체형 철근 콘트리트 침목은, 요구된 지지부 특성 외에 신호 기술적 요구가 충족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ensure the safe handling between the manufacturing location and the use location, but also to ensure that a certain check can be made by the circuit system operating sufficiently accurately when installed in a direct track so that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the track. It is to improve the integral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the integral reinforcement concrete sleepers should be improved to meet the signal technical requirements in addition to the required support characteristics.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 철근은 철근 망의 하나 또는 다수의 섹션으로부터 휘어진, N > 3인 N각기둥이고, 노출된 철근 섹션은 철근 망의 가로방향 로드의 연속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섹션을 포함하고, 철근 섹션은 상기 섹션에 용접된, 철근 메시의 적어도 2개의 길이방향 로드들을 갖고, 철근 망의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의 외측은 전기 절연되거나 또는 전기 절연 재료를 포함한다. To achieve this object, the reinforcing bar is an N> column with N> 3 bent from one or more sections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 exposed rebar section comprises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 continuous section of the transverse rod of the reinforcing bar. The rebar section has at least two longitudinal rods of the reinforcing mesh, welded to the section, wherein the longitudinal rods of the reinforcing mesh and the outside of the transverse rods are electrically insulated or comprise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특히, 철근은 철근 망의 하나 또는 다수의 섹션으로부터 휘어진, 사다리꼴 형태의 4각기둥이고, 노출된 철근 섹션은 사다리꼴의 긴 밑변이고, 철근 망의 가로방향 로드의 연속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섹션을 포함하고, 노출된 철근 섹션은 상기 섹션에 용접된, 철근 망의 적어도 2개의 길이방향 로드를 포함하고, 가로방향 로드의 섹션과 베이스 사이에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섹션에 걸릴 수 있는 추가 길이방향 로드를 위한 지지부이고, 콘크리트 침목 내에 연장된, 사다리꼴의 짧은 베이스 섹션의 길이는 중단되고, 적어도 철근 망의 노출된 철근 섹션 내의 길이방향 로드와 가로방향 로드의 외측은 전기 절연되거나 또는 전기 절연 재료를 포함한다. In particular, the reinforcing bar is a trapezoidal quadrilateral, bent from one or more sections of the reinforcing bar, the exposed rebar section is a trapezoidal long base and comprises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 continuous section of the transverse rod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 exposed rebar section comprises at least two longitudinal rods of the reinforcing bar network, welded to the section, and additional longitudinal rods that can be inserted between the sections of the transverse rod and the base or can be caught in the sections. The length of the trapezoidal short base section, which is a support for and extends in the concrete sleeper, is interrupted, and at least the outside of the longitudinal rods and transverse rods in the exposed rebar sections of the reinforcing mesh is electrically insulated or comprises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do.

본 발명에 따라, 콘크리트 침목 철근의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 즉 철근 망의 로드들은 전기 절연체를 포함함으로써, 직결 궤도의 철근에 비해 간단하게 콘크리트 침목 철근의 전기 절연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철근 망 - 철근 메시 라고도 함 - 에 예컨대 스프레이, 침지 또는 유동 침적 코팅 공정에 의해 소정의 절연 재료가 제공되거나 또는 코팅될 수 있다. 바람직한 층 두께는 5 내지 100 ㎛, 특히 5 내지 50 ㎛ 이다. 특히 전기 절연 재료는 500 내지 1500 μΩm의 고유 저항 R을 가져야 한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longitudinal rods and transverse rods of the concrete sleeper rebar, ie rods of the rebar network, comprise an electrical insulator, so that electrical insulation of the concrete sleeper rebars is simpler than that of the bars of the direct track. To this end, certain insulating materials may be provided or coated in a reinforcing mesh, also called reinforcing mesh, for example by spray, dipping or flow dipping coating processes. Preferred layer thicknesses are from 5 to 100 μm, in particular from 5 to 50 μm. In particular, the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should have a resistivity R of 500 to 1500 μm.

바람직하게 전기 절연 재료는 에폭시 수지에 기반한다. 다른 적합한 재료들도 고려된다. 따라서 철근 망 또는 상기 철근 망의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는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PVC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와이어 바니싱(vanishing)에 공지된 바니시(vanish),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바니시 및 폴리에스테르이미드 바니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변형된 불포화 무용제 폴리에스테르합성수지가 있다. Preferably the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is based on an epoxy resin. Other suitable materials are also contemplated. The reinforcing mesh or longitudinal rods and transverse rods of the reinforcing mesh can thus be surrounded by plastic such as polyamide, polyethylene, polycarbonate or PVC. Vanishes known for wire vanishing, such as polyester varnishes and polyesterimide varnishes, may also be used. Another example is a modified unsaturated solvent-free polyester synthetic resin.

이로써 철근 망의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섹션은 제조 공정을 변형시키지 않고 철근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먼저 필요한 전기 절연체가 제공된다. This allows the sections us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reinforcing bar network to be used as reinforcing bars without mod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first providing the necessary electrical insulators.

본 발명에 따라, 철근은 철근 망이라고도 하는 콘크리트 강 메시의 하나 또는 다수의 휘어진 섹션으로 이루어진다. 철근 메시 또는 철근 망은 일반적으로 서로 용접된 교차하는 로드들로 이루어진다. 철근을 형성하는 섹션은 적어도 2개의 길이방향 로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 로드들은 가로방향 로드의 섹션에 용접되고, 상기 가로방향 로드들은 침목 베이스 외부로, 즉 아래로 연장된다. 해당 섹션들은 기본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즉 중단되지 않는다. 그러나 섹션이 분리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rebar consists of one or several curved sections of a concrete steel mesh, also called reinforcing steel mesh. Reinforcing bar mesh or reinforcing bar mesh generally consists of intersecting rods welded together. The section forming the reinforcing bar comprises at least two longitudinal rods, the longitudinal rods being welded to the section of the transverse rod, the transverse rods extending out of the sleeper base, ie down. The sections are basically formed continuously, i.e. not interrupted. However, even when the sections are separated, they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람직하게 적어도 2개의 길이방향 로드들은 콘크리트 침목 내부로 연장된다. Preferably at least two longitudinal rods extend into the concrete sleeper.

가로방향 로드는 바람직하게, 사다리꼴 형상이 주어지도록 휘어지고, 더 짧은 가로변의 단부들은 콘크리트 침목 내에서 서로 이격되어 연장된다. 이로 인해 철근 망 또는 철근 메시 바스켓의 간단한 위치 설정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인장된 텐션 와이어가 이격 배치된 가로변들 사이에 있는 슬롯을 관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휘어진 가로방향 로드의 긴 밑변은 삽입될 또는 걸릴 길이방향 로드용 지지부를 형성한다. 이로써, 동일한 철근을 가진 표준 콘크리트 침목이 제조될 수 있지만, 상기 콘크리트 침목에서 추가로 삽입될 또는 걸릴 수 있는 길이방향 로드들에 의해 직결 궤도 내에 침목의 고정력이 변동된다. 따라서 소정의 철근 강도에 맞는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 철근의 노출된 섹션의 레그가 직선인 경우, 길이방향 로드들은 필요한 만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The transverse rods are preferably bent to give a trapezoidal shape, with the shorter transverse ends extending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oncrete sleepers. This allows for simple positioning of the reinforcing mesh or reinforcing mesh baskets because the tensioned tension wires can pass through the slots between the laterally spaced transverse sides. The long base of the curved transverse rod forms a support for the longitudinal rod to be inserted or hung. This allows a standard concrete sleeper with the same rebar to be produced, but the holding force of the sleeper in the direct track is varied by longitudinal rods that can be inserted or hooked further from the concrete sleeper. Therefore, a design suitable for a predetermined reinforcing bar strength can be achieved. When the legs of the exposed section of the rebar are straight, extending parallel or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base, the longitudinal rods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necessary.

이와 무관하게, 철근 메시의 하나 또는 다수의 섹션으로부터 휘어진 철근으로 인해 저렴한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가로방향 로드들을 연결하는 길이방향 로드들은, 노출된 철근 섹션의 허용되지 않은 변형 위험 없이, 제조 위치에서 콘크리트 침목이 주조되어야 하는 위치로 콘크리트 침목의 간단한 핸들링이 가능해지는 것을 보장한다. 제조 비용이 절연체로 인해 현저히 증가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특히 침지 기술 또는 유동 침적 코팅 공정에 의해 철근 망 또는 상기 철근 망의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를 전기 절연 층으로 둘러싸는 저렴한 방법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Irrespective of this, inexpensive manufacturing is possible due to the reinforcing bars from one or more sections of the reinforcing mesh. The longitudinal rods connecting the transverse rods also ensure that simple handling of the concrete sleepers is possible from the manufacturing position to the position where the concrete sleepers should be cast, without the risk of unacceptable deformation of the exposed rebar section. The manufacturing cost does not increase significantly due to the insulator, because in particular an inexpensive method of enclosing the reinforcing mesh or longitudinal rods and transverse rods of the reinforcing mesh with an electrically insulating layer, by immersion techniques or flow deposition coating processes, is given. Because.

전기 절연체는, 콘크리트 침목의 철근이 직결 궤도의 철근에 대해 절연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간단한 조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강 콘크리트 침목 상에서 지지되는 레일로 전기 신호가 도입될 수 있고, 상기 전기 신호는 철근에 의해, 에러 분석을 일으키는 댐핑이 이루어질 정도로 약화되지 않는다. The electrical insulator ensures that the rebar of the concrete sleeper is insulated against the rebar of the direct track. By this simple measure, an electrical signal can be introduced into the rail supported on the steel concrete sleeper form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ch electrical signal is not weakened to the extent that damping is caused by the reinforcement, which leads to error analysis.

본 발명은, 2개의 레일 고정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170 cm의 길이, 바람직하게 220 cm 이상의 길이를 가진 장침목에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더 짧은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더 짧은 철근 콘크리트 침목도 레일 고정부를 수용하기 위해 설계되고, 트랙 내에서 상응하는 장침목에 연결된다. 레일 고정부를 수용하는 짧은 침목은 일반적으로 80 내지 140 cm의 길이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long sleepers comprising two rail anchors and having a length of at least 170 cm, preferably at least 220 c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shorter one-piece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The shorter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are also designed to accommodate the rail anchors and ar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long sleepers in the track. Short sleepers that receive rail fasteners generally have a length of 80 to 140 cm.

특히, N각기둥의 횡단면은 안쪽으로 꺾인 길이방향 측면 레그 에지를 가진 U형상을 갖고, 바람직하게 가로방향 레그는 콘크리트 침목의 바닥면 또는 베이스 아래로 연장된 섹션이다. In particular, the cross section of the N-column has a U shape with a longitudinal side leg edge bent inward, preferably the transverse leg is a section extending below the base or bottom of the concrete sleeper.

대안으로서, 안쪽으로 꺾인 측면 레그의 가장자리는 콘크리트 침목의 바닥면 또는 베이스 아래로 연장될 수 있고, 하나 또는 다수의 스터럽 또는 와이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콘크리트 침목의 주조시 측면 레그는 조절되지 않은 채로 변형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레그들을 연결하는 와이어 또는 스터럽(들)은 추가 길이방향 로드의 지지부로 이용된다. Alternatively, the edges of the inwardly curved side legs may extend below the bottom or base of the concrete sleepers and may be connected through one or more stubs or wires. This ensures that the side legs do not deform uncontrolled when casting the concrete sleepers. The wire or stirrup (s) connecting the legs is used as a support for the additional longitudinal rods.

철근용 N각기둥으로서 특히 사다리꼴 형태가 고려되고, 특히 단면이 등변사다리꼴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N각기둥의 짧은 밑변은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콘크리트 침목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텐션 와이어를 꿰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갭이 주어진다. 그와 달리, 긴 밑변은 콘크리트 침목의 베이스 아래로 그리고 이것을 따라서 연장된다. In particular, the trapezoidal shape is considered as the N-pole column for reinforcing bars,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 is an equilateral trapezoid. The short base of the N-pillar with a trapezoidal shape can be partially removed and extend into the concrete sleeper. This gives a gap which facilitates sewing the tension wire. In contrast, the long base extends below and along the base of the concrete sleeper.

본 발명은, 철근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각각 N각기둥을 형성하는 2개의 사다리꼴 바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긴 밑변은 콘크리트 침목 베이스 아래로 연장된 섹션을 형성해야 한다. 이와 무관하게,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N각기둥의 단면은 등변 사다리꼴 형태를 가져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s consist of two trapezoidal bodies extending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forming an N-column, respectively. Each long base should form a section extending below the concrete sleeper base. Regardless, the cross sections of the N-poles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should have an equilateral trapezoidal shape.

추가로, 콘크리트 침목의 주조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확실한 구조적 배치를 보장하기 위해, 사다리꼴 바디들은 N각기둥으로서 콘크리트 침목 외부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스터럽 또는 와이어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ensure a reliable structural arrangement that is not deformed by the casting of the concrete sleepers, the trapezoidal bodies can be connected by one or more stirrups or wires outside the concrete sleepers as N-pillars.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N각기둥의 측변 및 밑변을 연결하는 스터럽은 꺾어진 길이직방향 가장자리에 의해 메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 가장자리는 직결 궤도 내에서 소정의 철근 강도를 달성하기 위해 추가의 길이방향 로드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도, 텐션 와이어를 꿰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콘크리트 철근의 베이스를 따라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침목 내로 연장된 바람직하게 짧은 변은 중단되어 있어야 한다. In a refinement of the invention, the stub connecting the lateral and base sides of the N-gon pillar is formed in the form of a mesh by a bent longitudinal edge, the longitudinal edge being further added to achieve the desired reinforcement strength in the direct track. Has a longitudinal rod. In this embodiment too, preferably short sides extending along the base of the concrete reinforcement and into the concrete sleepers should be interrupted to facilitate threading the tension wire.

또한, 본 발명은 철근이 적어도 지그재그 형태로 휘어진 격자 트러스를 콘크리트 침목 내로 꺾인 U형 섹션으로 둘러싸고, 상기 섹션은 콘크리트 철근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s surround at least a zig-zag-shaped grid truss with a U-shaped section bent into a concrete sleeper, the sections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oncrete reinforcing bars.

특히, 철근은 콘크리트 침목 측면을 따라 연장되고 부분적으로 V형태로 휘어진 2개의 격자를 콘크리트 침목 내로 연장된 U형 섹션으로 둘러싸고, 상기 격자는 콘크리트 침목 종축에 대해 횡으로 연장된 C형 스터럽을 통해 연결되고, 콘크리트 침목 아래로 연장된 상기 스터럽의 가로방향 레그는 길이방향 로드용 지지부이다. In particular, the reinforcing bar surrounds two grids extending along the side of the concrete sleeper and partially curved in a V-shape with a U-shaped section extending into the concrete sleeper, which is connected via a C-shaped stub extending laterally to the longitudinal longitudinal axis of the concrete sleeper. And the transverse leg of the stubble extending below the concrete sleeper is a support for the longitudinal rod.

N각기둥이 바람직하게 단면이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인 4개의 모서리를 가지면, 철근이 중공 실린더 바디로 형성되므로, 베이스 아래로 연장된 섹션이 콘크리트 침목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바닥면에 대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f the N pillar has four corners, preferably in the shape of a square or trapezoid in cross section, the reinforcing bars are formed as hollow cylinder bodies, so that the section extending below the base does not extend parallel to the floor of the concrete sleeper, but the floor It may have a concave shap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지지층, 지지층 위에 정확한 높이와 위치로 배치된, 레일과 전술한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으로 이루어진 트랙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직결 궤도 및 침목 베이스 위의 미리 주어진 높이까지 지지층 위에 콘크리트 그라우팅(grouting)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concrete grouting on a support layer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a sleeper base and a direct track consisting of a track system consisting of a rail and the aforementioned integral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positioned at the correct height and position on the support layer. It is about.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은 바람직하게 일반적인 콘크리트 침목의 절반 높이이다. The integral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preferably half the height of a typical concrete sleeper.

본 발명의 다른 세부사항, 장점 및 특징들은 특징을 단독으로 및/또는 조합하여 포함하는 청구범위에 제시될 뿐만 아니라, 하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도 제시된다. Other detail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invention are set forth in the claims, which include features alone and / or in combination, as well as in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철근을 가진 침목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sleeper with rebar;

도 2는 도 1에 따른 침목의 횡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eeper according to FIG. 1.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침목의 철근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rebar of the sleeper according to Figures 1 and 2.

도 4는 침목의 제 2 실시예의 측면도.4 is a sid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sleeper.

도 5는 도 4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횡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FIG. 4.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철근을 도시한 도면.6 is a view showing the reinforcing bar of 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FIGS. 4 and 5.

도 7은 철근을 가진 콘크리트 침목의 제 3 실시예의 측면도.7 is a sid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concrete sleeper with rebar;

도 8은 도 7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횡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FIG. 7.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철근을 도시한 도면.9 is a view showing reinforcing bars of the concrete sleepers according to FIGS. 7 and 8.

도 10은 철근을 가진 콘크리트 침목의 제 4 실시예의 측면도.10 is a sid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concrete sleeper with rebar;

도 11은 도 10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횡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FIG. 10.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철근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12 is a view illustrating the reinforcing bars of the concrete sleepers according to FIGS. 10 and 11;

도 13은 철근을 가진 콘크리트 침목의 제 5 실시예의 측면도.13 is a sid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 concrete sleeper with rebar;

도 14는 철근을 가진 콘크리트 침목의 제 6 실시예의 측면도.14 is a side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a concrete sleeper with rebar;

도 15는 도 14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횡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FIG. 14.

도 16은 도 14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평면도.16 is a plan view of 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FIG.

도 17은 철근 메시의 평면도.17 is a top view of the reinforcing mesh.

도 18은 휘어진 상태의 도 16에 따른 철근 메시의 단면도.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inforced mesh according to FIG. 16 in a bent state;

도 19는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의 단면도.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grated reinforced concrete sleeper.

도 20은 콘크리트 철근 메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20 illustrates a portion of a concrete reinforced mesh.

도 1 내지 도 15 및 도 19에는 직결 궤도용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의 개략도가 도시되고, 상기 침목은 특히 전철기 영역에 설치된다. 전철기 영역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장침목이다. 콘크리트 침목은 타설 콘크리트에 주조되고, 상기 타설 콘크리트는 층으로서 다시 특히 유압식으로 결합된 지지층 위에 제공된다. 먼저, 조립 지지층인 유압식으로 결합된 지지층 상에 콘크리트 침목 및 이 위에 고정된,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레일로 형성된 지지 그리드가 정확한 위치와 높이에 배치된다. 콘크리트 침목의 철근 외에도 상기 직결 궤도 내에는 추가의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 또는 - 철이 연장되고, 이들은 직결 궤도의 철근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라 도전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해당 로드들 또는 철이 콘크리트 침목의 철근과 접촉하는데, 그 이유는 철근 콘크리트 침목의 철근은 직결 궤도의 철근의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 또는 - 철에 대해 절연되기 때문이다. 1 to 15 and 19 show a schematic view of an integrated reinforced concrete sleeper for a direct track, which sleeper is in particular installed in the train area. It is the long sleeper that can be used in the train area. Concrete sleepers are cast into pour concrete, which is provided as a layer, in particular over a hydraulically bonded support layer. First, a support grid formed of concrete sleepers and rails,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is placed on the correct position and height on a hydraulically coupled support layer that is an assembled support layer. In addition to the reinforcing bars of the concrete sleepers there are additional longitudinal rods and transverse rods or-irons extending in the direct tracks, which form the bars of the direct tracks.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no conductive connection is made and the rods or iron are in contact with the rebar of the concrete sleeper, because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ed concrete sleeper is insulated against the longitudinal rods and transverse rods of the rebar of the direct track or-iron. Because it becomes.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은 170 cm의 길이, 특히 220 cm 이상의 최소 길이의 장침목으로, 그 위에는 적어도 2개의 레일 고정부들이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레일 고정부에만 적합한 더 짧은 길이의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에 관한 것이기도 한다. 더 짧은 침목은 일반적으로 80 내지 140 cm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트랙 내에서 장침목에 연결된다. The integral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are long sleepers of a length of 170 cm, in particular of at least 220 cm, on which at least two rail fastenings are arran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shorter-length integral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suitable only for rail fastenings. Shorter sleepers may generally have a length of 80 to 140 cm and are connected to the long sleepers in the track.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이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철근으로서, 바람직하게 철근 메시(철근 망이라고도 함)의 섹션 - 경우에 따라서 다수의 섹션이기도 함 - 은 소정의 형상의 컬럼 또는 바스켓으로 휘어진다. 철근의 섹션은 철근 콘크리트 침목의 베이스 아래로 연장되므로, 노출된 섹션은 추가 길이방향 로드용 지지부로 이용된다. 이로써, 간단한 조치에 의해 직결 궤도 내의 침목의 고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사용된 콘크리트에 맞춰질 수 있다. 동시에 콘크리트층 내로 주조하기 전에 취급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저항 모멘트가 작용하여 콘크리트 침목 외부로 연장된 철근 섹션에서 철근의 손상과 특히 변형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주어진다. In order to enable the integrated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to be manufactured inexpensively, as reinforcing bars, sections of the reinforcing mesh (also called reinforcing mesh), which in some cases are also a plurality of sections, are bent into columns or baskets of the desired shape. . Since the sections of the rebar extend below the base of the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the exposed sections are used as support for additional longitudinal rods. Thereby, the fixing force of the sleepers in the direct track can be adjusted by simple measures. It can be adapted to the concrete used. At the same time, the resistance moment acts to simplify handling before casting into the concrete layer, giving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damage and especially deformation of the reinforcing bars in the rebar sections extending out of the concrete sleepers.

도 17에는 철근 메시(150)가 휘어지지 않은 상태로 도시된다. 철근 메시(150)는 교차하는 길이방향 로드들(152, 154, 156, 158) 및 여기에 용접된 가로방향 로드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방향 로드들 중 2개가 도면부호 160 및 162로 표시된다.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들(152, 154, 156, 158 또는 160, 162)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지만,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그러한 점에서는 종래의 철근 메시 또는 철근 망 및 그 형상이 참조된다. 강 및 로드 직경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철근 메시(150)는 라인(164, 166, 168, 170)을 따라, 예컨대 도 18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이 형상이 주어지도록 휘어진다. 도면부호 172로 표시된 철근은 사각기둥의 형상을 갖는다. 사다리꼴의 케이스를 형성하는 철근(172)은 일반적으로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의 제조를 위해 거푸집에 삽입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주조될 콘크리트 침목 내로 연장된 레그(161)는 서로 이격된 2개의 섹션들(163, 165)로 이루어지므로, 그렇게 형성된 갭(167)을 통해 텐션 와이어가 꿰어질 수 있고, 상기 텐션 와이어는 완성된 콘크리트 침목에서 바스켓 또는 사다리꼴(172) 내로 연장된다. In FIG. 17, the rebar mesh 150 is shown in an unbent state. Reinforcing mesh 150 consists of intersecting longitudinal rods 152, 154, 156, 158 and transverse rods welded thereto, two of which are denoted by 160 and 162. . In the embodiment the longitudinal rod and the transverse rods 152, 154, 156, 158 or 160, 162 are arrang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lthough other shapes are possible. In that regard, reference is made to conventional rebar meshes or rebar meshes and their shapes. The same applies to steel and rod diameters. The reinforcing mesh 150 is bent along the lines 164, 166, 168, 170 to give a trapezoidal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8. Reinforcing bar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72 have a rectangular pillar shape. Reinforcing bars 172 forming a trapezoidal case are generally inserted into the formwork for the production of integral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In this case, preferably, the leg 161 extending into the concrete sleeper to be cast consists of two sections 163 and 16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tension wire can be threaded through the gap 167 thus formed, and The tension wire extends into the basket or trapezoid 172 at the finished concrete sleeper.

도 19에는 도 18에 따른 철근을 가진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174)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또한, 도 19에서 바스켓 또는 사다리꼴(172)로 둘러싸인 텐션 와이어들(169, 171)이 도시된다. 이와 무관하게, 추가 길이방향 로드(182, 184)용 지지부로 이용하기 위해, 철근(172)은 사다리꼴(172)의 긴 밑변(176)을 포함하는 섹션(178)이 콘크리트 침목(174)의 베이스 아래로 연장된 것을 도시한다. 도면에 2개가 도시되지만, 이 개수는 이와 다를 수 있다. 물론, 추가 길이방향 로드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길이방향 로드들(182, 184)은 도 18에 기본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거나 또는 걸릴 수 있다. 19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gral reinforced concrete sleeper 174 with rebar according to FIG. 18. Also shown in FIG. 19 are tension wires 169, 171 surrounded by a basket or trapezoid 172. Regardless, for use as support for the additional longitudinal rods 182, 184, the rebar 172 includes a long base 176 of the trapezoid 172, which has a section 178 of the base of the concrete sleeper 174. It is shown extending down. Although two are shown in the figure, the number may vary. Of course, additional longitudinal rods may not be provided. The longitudinal rods 182, 184 may be inserted or hung as shown basically in FIG. 18.

이와 무관하게, 사다리꼴처럼 철근(172)의 선택된 형상으로 인해 직결 궤도 내에서 침목(174)의 고정력이 사용된 콘크리트에 맞게 간단하게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추가 길이방향 로드들(182, 184)은 취급에 대한 침목(176)의 저항 모멘트도 높이므로, 이송시 철근(172)의 노출된 섹션(178)의 손상과 특히 변형 위험이 방지된다. Regardless, the selected shape of the rebar 172, like a trapezoid, can be simply designed to fit the concrete in which the fastening force of the sleepers 174 is used within the direct track. However, the additional longitudinal rods 182, 184 also increase the resistance moment of the sleepers 176 to handling, thereby avoiding damage to the exposed section 178 of the rebar 172 and in particular the risk of deformation during transport.

도 20에 따른 철근 메시(150)의 일부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직결 궤도의 철근에 대한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174)의 철근(172)의 전기 절연을 보장하기 위해,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는 전기 절연 층(186)으로 둘러싸인다. 전기 절연은 바니시, 플라스틱 케이싱 또는 그 밖의 적절한 조치일 수 있고, 이는 철근(172)의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들이 전체적으로 전기 절연층(186)으로 둘러싸이는 것을 보장한다. 특히, 전기 절연 재료는 에폭시수지-기반 재료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것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As shown in part of the reinforcing mesh 150 according to FIG. 20, longitudinal rods, not shown in detail, to ensure electrical insulation of the reinforcing bars 172 of the integral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174 to the reinforcing bars of the direct track. The transverse rod is surrounded by an electrically insulating layer 186. The electrical insulation can be a varnish, plastic casing or other suitable measure, which ensures that the longitudinal rods and transverse rods of the rebar 172 are entirely surrounded by the electrical insulation layer 186. In particular, the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may be an epoxy resin-based materi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철근 메시(150)에 전기 절연체를 제공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에폭시 수지 코팅, 유동 침적 코팅 방법 또는 침지 바니싱 방법이다. 폴리에스테르 바니시 및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바니시 도포 또는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롤 또는 PVC 코팅도 있다. Preferred methods for providing electrical insulators for the reinforcing mesh 150 are epoxy resin coating, flow dip coating or dip immersion methods. Polyester varnishes and polyesteramide varnish applications or polyamide, polyethylene, polycarbonate, polystyrol or PVC coatings are also present.

전기 절연 재료 층의 두께는 5 내지 100 ㎛, 특히 5 내지 50 ㎛이어야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전기 절연 재료는 500 μΩm ≤ R ≤ 1500 μΩm의 고유 저항을 가져야 한다. The thickness of the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layer should be 5 to 100 μm, in particular 5 to 50 μm. Also preferably the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should have a resistivity of 500 μm ≦ R ≦ 1500 μm.

계속해서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용 철근들의 다른 형상과 실시예가 설명되고, 각각의 철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철근 메시의 휘어진 섹션이다. 물론, 철근이 상응하게 휘어진 후에 서로 연결된 철근 메시의 다수의 섹션들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를 위해 특히 타이 와이어(tie wire)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무관하게, 각각의 철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절연 재료로 둘러싸이고, 이는 하기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Subsequently, different shapes and embodiments of the integral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are described, with each rebar being a curved section of the reinforced mesh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the case where the reinforcing bar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reinforcing mesh connected to each other after the corresponding bending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n particular a tie wire can be used. Regardless, each rebar is surrounded by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as described above, which is not described below.

도 1 및 도 2에는 2개의 레일 고정부들(11, 13)을 가진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10)이 기본적으로 도시된다. 철근 콘크리트 침목(10)은 철근(12)을 포함하고, 상기 철근은 안쪽으로 꺾인 측면 레그 길이방향 에지(14, 16)를 가진 개방된 직사각형으로 휘어진 철근 망으로 이루어진다. 1 and 2 basically show an integrated reinforced concrete sleeper 10 with two rail fixings 11, 13.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10 comprise reinforcing bars 12, which are made up of an open rectangular curved reinforcing bar with side leg longitudinal edges 14, 16 that are inwardly bent.

따라서 철근(12)은 콘크리트 침목(10) 내로 연장된 길이방향 로드들(18, 20) 및 이들을 연결하는 가로방향 로드들(22, 24)로 이루어진다. 길이방향 로드(18, 20)와 가로방향 로드(22, 24)는 상이한 치수로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침 목(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방향 로드들(18, 20)은 예컨대 16 mm의 직경을 갖고, 침목(10)의 종축에 대해 횡으로 연장된 가로방향 로드들(22, 24)은 대략 6 mm의 직경을 갖는다. 가로방향 로드들(22, 24)이 반드시 침목(10)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평면에서 연장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도 13 내지 도 15와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종축에 대해 예컨대 45°내지 90 °미만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bar 12 thus consists of longitudinal rods 18, 20 extending into the concrete sleeper 10 and transverse rods 22, 24 connecting them. The longitudinal rods 18, 20 and the transverse rods 22, 24 can be designed in different dimensions. Preferably,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longitudinal rods 18, 20 of the sleeper 10 have a diameter of, for example, 16 mm, and the transverse rods 22 extending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leeper 10. , 24) has a diameter of approximately 6 mm. The transverse rods 22, 24 do not necessarily extend in a plane that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leeper 10, but as described basically with respect to FIGS. 13 to 15,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For example, an angle of less than 45 ° to 90 ° may be formed.

철근(12)을 형성하는 휘어진 철근 메시 또는 철근 망은 콘크리트 침목(10) 아래로 개방되고, 따라서 단면은 폐쇄된 사각형을 형성하지 않는다. 오히려 U형상이 되고, 그것의 측면 레그(26, 28)는 안쪽으로 꺾이거나 또는 휘어진다(에지 섹션 14, 16). 따라서 에지 섹션들(14, 16)은 측면 레그들(26, 28)과 함께 V - 또는 후크 형상을 이룬다. 개방된 형상으로 인해 특히, 텐션 와이어가 고정되어 있고 콘크리트 침목이 주조되는 거푸집 내로의 삽입이 문제없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주어진다. The curved reinforcing mesh or reinforcing mesh forming the reinforcing bars 12 is opened underneath the concrete sleeper 10, so that the cross section does not form a closed square. Rather, it is U-shaped, and its side legs 26, 28 are bent or curved inwards (edge sections 14, 16). The edge sections 14, 16 thus form a V − or hook shape with the side legs 26, 28. The open shape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in that the tension wire is fixed and insertion into the formwork where the concrete sleepers are cast is trouble free.

측면 레그들(22, 24)은 스터럽의 기능을 하는 철근 메시의 다른 섹션(30)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섹션(30)은 가로방향 로드(37)에 용접된 적어도 2개의 길이방향 로드들(32, 33)을 포함하므로, 상기 길이방향 로드들은 철근 메시 섹션의 부분이다. 또한 추가 길이방향 로드들(34, 35)이 삽입될 수 있다. 섹션(30)은 철근 섹션이라고도 할 수 있다. The side legs 22, 24 are connected via another section 30 of the reinforcing mesh which functions as a stub, which section 30 is at least two longitudinal rods welded to the transverse rod 37. 32, 33), the longitudinal rods are part of the reinforced mesh section. Further longitudinal rods 34, 35 may also be inserted. Section 30 may also be referred to as rebar section.

스터럽 기능을 하는 섹션(30)은 철근 콘크리트 침목의 주조시, 홈을 향해 휘어진 철근(12) 섹션의 측면 레그들(26, 28)이 변형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The stubble functioning section 30 ensures that when casting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the side legs 26, 28 of the reinforcing bar 12 section deflected toward the grooves do not deform.

추가 길이방향 로드들(34, 35)이 삽입 또는 걸림으로써, 완성된 침목의 고정력이 소정 범위로 변동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콘크리트 침목(10)의 저항 모멘트도 변경된다.The insertion or locking of the additional longitudinal rods 34, 35 provides the advantage that the fixing force of the finished sleeper varies within a certain range. The resistance moment of the concrete sleeper 10 is also changed.

길이방향 로드들(34, 35)은 가로방향 로드(37)에 용접된 길이방향 로드들(32, 33)과 같은 치수로 설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The longitudinal rods 34, 35 can be designed to the same dimensions as the longitudinal rods 32, 33 welded to the transverse rod 37, bu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지지부로 이용되고 침목 베이스 아래로 연장된 섹션의 실시예에서 2개의 추가 길이방향 로드들(34, 35)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개수는 이와 상이할 수 있다. If two additional longitudinal rods 34, 35 are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the section used as a support and extend below the sleeper base, the number may be different.

섹션은 꺾인 길이방향 에지(36, 38)를 갖고, 상기 에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없이 철근(12)의 U형 섹션 내에 걸리거나 또는 상기 섹션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꺾인 길이방향 에지들(36, 38)은 철근 메시의 길이방향 로드(40, 42) 주변으로 휘어지고, 상기 길이방향 로드들은 길이방향 측면 에지(14, 16)로 이어지는 측면 레그들(26, 28)의 내부 모서리 내로 연장된다. The section has angled longitudinal edges 36, 38, which edges can be hung or fastened in the U-shaped section of the reinforcing rod 12 without problems as shown in FIG. 2. In particular, the bent longitudinal edges 36, 38 are bent around the longitudinal rods 40, 42 of the reinforcing mesh, the longitudinal rods 26 leading to the longitudinal side edges 14, 16. , 28) extends into the inner edge.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는, 콘크리트 침목(44)이 컬럼 또는 부분 바스켓 형태의 철근(46)을 포함하고, 상기 철근은 도 1 내지 도 3에 따라 안쪽으로 꺾인 길이방향 측면 에지(48, 50)를 포함하는 U형 단면을 가지지만, 상기 길이방향 에지들은 일체형 콘크리트 침목(44) 내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다르다. 콘크리트 침목(44) 외부로 연장된, 철근(46)의 가로방향 레그(52)는 소정의 범위에서 삽입될 길이방향 로드(54, 56)용 지지부로 이용된다. 이와 무관하게 가로방향 레그(52)로부터 길이방향 로드들(55, 57)이 시작되고, 상기 길이방향 로 드들은 가로방향 레그(52)에 용접된다. 4 to 6 show that the concrete sleeper 44 comprises reinforcement 46 in the form of a column or partial basket, the reinforcing bars being longitudinally inclined inwards in accordance with FIGS. It has a U-shaped cross section, including 50), but the longitudinal edges differ from the embodiment of FIGS. 1-3 in that they extend into the integral concrete sleeper 44. The transverse legs 52 of the reinforcement 46, extending out of the concrete sleepers 44, are used as supports for the longitudinal rods 54, 56 to be inserted in a predetermined range. Regardless, longitudinal rods 55, 57 are started from the transverse leg 52, which are welded to the transverse leg 52.

도 2 및 도 5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12, 46)은 철근 콘크리트 침목(10, 44)의 텐션 와이어(53, 58, 60, 62)를 포함하므로, 가로방향 레그가 생략됨으로써 간단한 위치설정과 고정이 가능해진다.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s of FIGS. 2 and 5, the reinforcing bars 12, 46 include tension wires 53, 58, 60, 62 of the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10, 44, so that the transverse legs are omitted. Simple positioning and fixing becomes possible.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철근은 길이방향으로 볼 때 콘크리트 침목 내로 연속하지만 그 단부면은 연속하지 않는다. 콘크리트 침목 내의 균열 형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방지하기 위해 철근의 단부면은 예컨대 그리드로 폐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s the reinforcing bars are continuous into the concrete sleep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the end faces thereof are not continuous. In order to reduce or prevent the formation of cracks in the concrete sleepers, the end faces of the reinforcing bars can be closed with a grid, for example.

철근(12, 46)이 폐쇄된 또는 개방된 직방체 구조를 갖는 경우, 콘크리트 침목(10)의 폐쇄되지 않은 측이 상기 콘크리트 침목 아래로, 즉 상기 침목의 베이스(64) 아래로 연장되고 스터럽의 기능을 갖는 철근 메시의 섹션(30) 또는 그 밖의 연결 부재에 의해 와이어가 폐쇄되면,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침목(66)은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의 철근(68)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길이방향 로드들(70, 72) 및 상기 길이방향 로드에 대해 횡으로 연장된 가로방향 로드(74,76)를 가진 휘어진 철근 망인 철근(68)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긴 밑변(78)은 콘크리트 침목(66) 아래로, 즉 상기 침목의 베이스(80) 아래로 연장된다. 짧은 밑변(82)은 콘크리트에 삽입되고,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되어 있다. 밑변(78)은 본 발명에 따라 추가 길이방향 로드(84, 86)용 지지부 및 고정부로서 이용되고, 이들에 의해 콘크리트 침목의 고정력 및 저항 모멘트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무관하게, 가로방향 로드(74, 76)에 길이방향 로드들(85, 87)이 용접되 고, 상기 길이방향 로드들은 도 9에 따라 사다리꼴의 모서리 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길이방향 로드들(85, 87)은 철근 메시의 부분이다. If the reinforcing bars 12 and 46 have a closed or open cuboid structure, the unclosed side of the concrete sleeper 10 extends below the concrete sleeper, i.e. below the base 64 of the sleeper and functions as a stub When the wire is closed by a section 30 or other connecting member of the reinforcing mesh having a reinforcing mesh, the concrete sleepers 66 may include an open trapezoidal reinforcement 68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7 to 9. have. In other words, the cross section of the reinforcement 68, which is a curved rebar mesh with longitudinal rods 70 and 72 and transverse rods 74 and 76 extending laterally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rod, is trapezoidal in shape and has a long base ( 78 extends below the concrete sleeper 66, ie below the base 80 of the sleeper. The short base 82 is inserted into the concrete and is suspended,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9. The base 78 is us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a support and fixing for the additional longitudinal rods 84 and 86, by which the fixing force and the resistance moment of the concrete sleepers can be adjusted. Regardless, longitudinal rods 85, 87 are welded to the transverse rods 74, 76, which are located at the trapezoidal corner points according to FIG. 9. The longitudinal rods 85, 87 are thus part of the reinforcing mesh.

콘크리트 침목(10, 44, 66)의 길이방향으로 직방체 또는 사다리꼴 형태를 가질 수 있는 철근이 연장되면, 도 10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침목(88) 내에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2개의 철근들(90, 92)이 삽입될 수 있고, 이 경우 긴 밑변(94, 96)은 콘크리트 침목(88) 아래로, 즉 상기 침목의 베이스 아래로(99)로 연장된다. 밑변(94, 96)은 바람직하게 중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 11 및 도 12의 단면도에서처럼 폐쇄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rebar, which may have a cuboid or trapezoid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rete sleepers 10, 44, 66, is extended, the cross section in the concrete sleeper 88 may be trapezoidal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FIGS. 10 to 12. Two rebars 90, 92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can be inserted, in which case the long base 94, 96 extends below the concrete sleeper 88, ie below the base of the sleeper 99. do. The base 94, 96 may preferably be suspended. That is, it may not be closed as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S. 11 and 12.

콘크리트 침목(88)의 주조시 철근들(90, 92)이 바깥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배제하기 위해, 상기 철근들은 콘크리트 침목(88) 아래에서 스터럽(98), 와이어 또는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In order to exclude the rebars 90 and 92 from bending outward during casting of the concrete sleepers 88, the rebars are fixed to one another by means of a stub 98, a wire or a member having the same action under the concrete sleepers 88. Can be.

이와 무관하게, 베이스(99) 아래로 연장된 철근(90, 92)의 밑변(94, 96)은 전술한 목적에 따라 추가 길이방향 로드(100, 102)용 지지부를 형성한다. Regardless, the undersides 94, 96 of the reinforcing bars 90, 92 extending below the base 99 form a support for the additional longitudinal rods 100, 102 in accordance with the above-mentioned purposes.

철근들(12, 46, 68, 90, 92)은 본 발명에 따라 철근 망 또는 철근 메시의 휘어진 섹션이고, 따라서 바람직하게 상이한 치수의 상기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들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 따라, 도 1 내지 도 9에서 도면부호 22, 24, 74, 76으로 도시된 가로방향 로드들은 각각의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10, 44, 66, 88)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평면을 형성한다. Reinforcing bars 12, 46, 68, 90, 92 are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a curved section of reinforcing mesh or reinforcing mesh and thus preferably comprise said longitudinal rods and transverse rods of different dimensions.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FIGS. 1 to 12, the transverse rods shown at 22, 24, 74, and 76 in FIGS. 1 to 9 are longitudinal axes of each integral reinforced concrete sleeper 10, 44, 66, 88. Form a plane that extends perpendicular to.

도 13의 실시예에 따라, 철근(105) 형성을 위해 철근 망은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대각선 위로 꺾일 수 있다. 이는 도 13에 도시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침목(104)은 이것의 종축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된 로드들(106, 108)만 포함하고,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침목(104) 아래로 연장된 섹션(110)은 길이방향 로드(112)의 지지부 또는 고정부를 형성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3, the reinforcing bar network can be folded over the diagonal of the rectangle formed by the longitudinal rod and the transverse rod to form the reinforcement 105. This is shown in FIG. The concrete sleeper 104 thus comprises only rods 106, 108 extending obliquely with respect to its longitudinal axis, and likewise the section 110 extending below the concrete sleeper 104 is the support of the longitudinal rod 112 or Form the fixing part.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콘크리트 침목(116)의 철근(114)은 콘크리트 침목(116)의 외측면(118, 119)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 V형 그리드(134, 136) 또는 V형상에서 주어진 레그들(124, 126)로 이루어진 그리드 섹션으로 구성된다. 레그들(124, 126)은 부분적으로 콘크리트 침목(116) 아래로 연장된다. 콘크리트 침목(116) 내부로 연장된 단부(피크)들은 서로를 향해 휘어지므로, 측면도에서 U형상이 주어진다(도 15). 휘어진 섹션들(128, 130)은 콘크리트 침목(116)의 지지면(132)을 따라 연장된다. 해당 그리드(134, 136)는 각각의 외측면(118, 119)을 따라 연장된다. 14 to 16, the reinforcement 114 of the concrete sleeper 116 is a V-shaped grid 134, 136 or V-shaped extending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118, 119 of the concrete sleeper 116. It is composed of a grid section consisting of legs 124, 126 given in. Legs 124 and 126 extend partially below concrete sleepers 116. The ends (peaks) extending into the concrete sleepers 116 are bent toward each other, thus giving a U shape in the side view (FIG. 15). The curved sections 128, 130 extend along the support surface 132 of the concrete sleeper 116. Corresponding grids 134, 136 extend along respective outer surfaces 118, 119.

해당 그리드들(134, 136)은 C형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 침목 종축에 대해 횡으로 연장된 스터럽(138)을 통해 연결되고, 콘크리트 침목(116)의 아래로 연장된 상기 그리드의 가로방향 레그(140)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용접된 길이방향 로드들(142, 143)이 시작된다. 해당 길이방향 로드들은 콘크리트 침목(116) 내에서도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추가 길이방향 로드들이 삽입될 수 있다.The grids 134, 136 are connected via a stub 138 extending transverse to the concrete sleeper longitudinal axis, having a C-shaped cross section, and the transverse legs of the grid extending below the concrete sleeper 116 ( From 140, longitudinal rods 142, 143 weld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started. Corresponding longitudinal rods may also extend within the concrete sleepers 116. Further longitudinal rods may also be inserted.

콘크리트 침목(116) 내로 연장되어 서로를 향해 휘어진 섹션들(128, 130), 및 그리드(134, 136)를 연결하고 C형상을 형성하는, 스터럽(138)으로서 가로방향 로드를 가진, 거의 지그재그 형태의, 길이방향 외측면(118, 119)을 따라 연장된 그 리드(134, 136)가 형성됨으로써, 철근(114)으로서 N-각기둥이 주어진다. Nearly zigzag shape, with transverse rods as a stub 138 extending into the concrete sleeper 116 and bending the sections 128 and 130 towards each other and connecting the grids 134 and 136 and forming a C shape The grids 134, 136 are forme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outer surfaces 118, 119, thereby giving an N-pole as the reinforcement 114.

철근의 전술한 형태와 무관하게, 상기 철근은 본 발명에 따라 절연체로 둘러싸인다. Regardless of the aforementioned form of rebar, the rebar is surrounded by an insula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laims (27)

특히 2개의 레일 고정부(11, 13)를 수용하기 위한 직결 궤도용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10, 44, 66, 88, 116, 174)으로서, 철근(12, 46, 68, 90, 92, 114, 172) 및 길이방향 로드와 가로방향 로드(18, 20, 22, 24, 32, 33, 34, 35, 40, 42, 54, 55, 56, 57, 70, 72, 74, 76, 84, 85, 86, 87, 100, 102, 106, 108, 112, 142, 143, 152, 154, 156, 158, 160, 162, 182, 184)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의 종축에 대해 횡으로 연장된 상기 철근(12, 46, 68, 90, 92, 114, 172)의 섹션(30, 178)은 상기 일체형 철근 콘크리트 침목의 베이스(64, 80, 99, 180) 또는 바닥면 아래에서 노출되는, 콘크리트 침목에 있어서, In particular, integral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10, 44, 66, 88, 116, 174 for direct tracks for accommodating two rail fixing parts 11, 13, as reinforcing bars 12, 46, 68, 90, 92, 114 172 and longitudinal rods and transverse rods (18, 20, 22, 24, 32, 33, 34, 35, 40, 42, 54, 55, 56, 57, 70, 72, 74, 76, 84, 85, 86, 87, 100, 102, 106, 108, 112, 142, 143, 152, 154, 156, 158, 160, 162, 182, 184,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ntegral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Sections 30, 178 of the reinforcing bars 12, 46, 68, 90, 92, 114, and 172 that extend into the base 64, 80, 99, 180 or bottom of the unitary reinforced concrete sleepers are exposed below. In the concrete sleepers, 상기 철근(12, 46, 68, 90, 92, 114, 172)은 철근 망(150)의 하나 또는 다수의 섹션으로부터 휘어진, N > 3인 N-각기둥이고, 상기 노출된 철근 섹션(30, 178)은 철근 망의 가로방향 로드(22, 24, 74, 76, 160, 162)의 연속하는 또는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철근 섹션은 상기 섹션에 용접된 적어도 2개의, 철근 망의 길이방향 로드(18, 20, 32, 33, 40, 42, 55, 57, 70, 72, 85, 87, 106, 108, 112, 142, 143, 152, 154, 156, 158)를 포함하고, 철근 망의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의 외측은 전기 절연되거나 또는 전기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The reinforcing bars 12, 46, 68, 90, 92, 114, 172 are N-squares having N> 3, bent from one or a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reinforcing bar 150, and the exposed rebar sections 30, 178. ) Includes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 continuous section of transverse rods 22, 24, 74, 76, 160, 162 of the reinforcing mesh, wherein the reinforcing section of the at least two, reinforcing steel mesh welded to the section. Longitudinal rods 18, 20, 32, 33, 40, 42, 55, 57, 70, 72, 85, 87, 106, 108, 112, 142, 143, 152, 154, 156, 158, The outside of the longitudinal rods and transverse rods of the reinforcing mesh is electrically insulated or comprises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12, 46, 68, 90, 92, 114, 172)은 상기 철근 망(150)의 하나 또는 다수의 섹션으로부터 휘어진, 사다리꼴 형태의 4각기둥이고, 상기 노출된 철근 섹션(30, 178)은 사다리꼴의 긴 밑변이고, 상기 철근 망의 상기 가로방향 로드(22, 24, 74, 76, 160, 162)의 연속하는 또는 거의 연속하는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된 철근 섹션은 상기 섹션에 용접된 적어도 2개의, 철근 망의 길이방향 로드들(18, 20, 32, 33, 40, 42, 55, 57, 70, 72, 85, 87, 106, 108, 112, 142, 143, 152, 154, 156, 158)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방향 로드의 섹션과 베이스 사이에 삽입 가능한 또는 상기 섹션에 걸릴 수 있는 추가 길이방향 로드(34, 35, 54, 56, 84, 86, 100, 102, 182, 184)용 지지부이고, 상기 콘크리트 침목(10) 내에 연장된 사다리꼴의 짧은 밑변의 길이는 중단되어 있고, 적어도 철근 망의 노출된 철근 섹션 내의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의 외측은 전기 절연되거나 또는 전기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The rebar 12, 46, 68, 90, 92, 114, 172 is a trapezoidal quadrangular column, bent from one or a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reinforcing bar 150, the exposed rebar Sections 30 and 178 are trapezoidal long bases and comprise continuous or nearly continuous sections of the transverse rods 22, 24, 74, 76, 160 and 162 of the rebar network and the exposed rebar The section is at least two longitudinal rods 18, 20, 32, 33, 40, 42, 55, 57, 70, 72, 85, 87, 106, 108, 112, 142 welded to the section. , 143, 152, 154, 156, 158, insertable between the section of the transverse rod and the base or insertable into the section 34, 35, 54, 56, 84, 86 , 100, 102, 182, 184), the length of the trapezoidal short base extending in the concrete sleeper 10 is suspended, at least the exposed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steel mesh The outer side of the longitudinal rod and the transverse rod in the section is electrically insulated or comprises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망(150)의 상기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들(18, 20, 22, 24, 32, 33, 34, 35, 40, 42, 54, 55, 56, 57, 70, 72, 74, 76, 84, 85, 86, 87, 100, 102, 106, 108, 112, 142, 143, 152, 154, 156, 158, 160, 162, 182, 184)사이의 연결부는 전기 절연되거나 또는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 3. The longitudinal rod and transverse rods 18, 20, 22, 24, 32, 33, 34, 35, 40, 42, 54, 55 of claim 1 or 2, , 56, 57, 70, 72, 74, 76, 84, 85, 86, 87, 100, 102, 106, 108, 112, 142, 143, 152, 154, 156, 158, 160, 162, 182, 184 Concrete slee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ical insulation or made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들(18, 20, 22, 24, 32, 33, 34, 35, 40, 42, 54, 55, 56, 57, 70, 72, 74, 76, 84, 85, 86, 87, 100, 102, 106, 108, 112, 142, 143, 152, 154, 156, 158, 160, 162, 182, 184) 또는 상기 철근 망(150)은 전기 절연 바니시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4. The longitudinal rod and the transverse rods 18, 20, 22, 24, 32, 33, 34, 35, 40, 42, 54, 55, 56, 57, 70, 72, 74, 76, 84, 85, 86, 87, 100, 102, 106, 108, 112, 142, 143, 152, 154, 156, 158, 160, 162, 182, 184 or above Reinforcing bar 150 is a concrete slee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ating with an electrical insulation varnish.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들(18, 20, 22, 24, 32, 33, 34, 35, 40, 42, 54, 55, 56, 57, 70, 72, 74, 76, 84, 85, 86, 87, 100, 102, 106, 108, 112, 142, 143, 152, 154, 156, 158, 160, 162, 182, 184) 또는 상기 철근 망(150)은 에폭시 접착 수지 기반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5. The longitudinal rod and the transverse rods 18, 20, 22, 24, 32, 33, 34, 35, 40, 42, 54, 55, 56, 57, 70, 72, 74, 76, 84, 85, 86, 87, 100, 102, 106, 108, 112, 142, 143, 152, 154, 156, 158, 160, 162, 182, 184 or above Rebar mesh 150 is a concrete sleep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poxy adhesive resin-based coating.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 재료는 유동침적 코팅 공정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 6. The concrete sleepe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is provided by a flow deposit coating process.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 재료는 침지 바니싱 공정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The concrete sleepe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is provided in an immersion varnishing process.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 재료는 스프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 8. 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is sprayed.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재료는 5 ㎛ ≤ D ≤ 100 ㎛, 특히 5 ㎛ ≤ D ≤ 50 ㎛의 두께 D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 9. 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ing material has a thickness D of 5 μm ≦ D ≦ 100 μm, in particular 5 μm ≦ D ≦ 50 μm.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 재료는 500 μΩm ≤ R ≤ 1500 μΩm의 고유 저항 R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10. 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has a resistivity R of 500 µm ≤ R ≤ 1500 µm.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 재료는 폴리에스테르-또는 폴리에스테르이미드 바니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electrical insulation material is a polyester- or polyesterimide varnish.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18, 20, 22, 24, 32, 33, 34, 35, 40, 42, 54, 55, 56, 57, 70, 72, 74, 76, 84, 85, 86, 87, 100, 102, 106, 108, 112, 142, 143, 152, 154, 156, 158, 160, 162, 182, 184) 또는 상기 철근 망(150)은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롤 또는 PVC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예컨대 피복되듯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12.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rods (18, 20, 22, 24, 32, 33, 34, 35, 40, 42, 54, 55, 56, 57)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 70, 72, 74, 76, 84, 85, 86, 87, 100, 102, 106, 108, 112, 142, 143, 152, 154, 156, 158, 160, 162, 182, 184 or the rebar Mesh 150 is a concrete sleep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nclosed as if covered with plastic, such as polyamide, polyethylene, polycarbonate, polystyrene or PVC.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철근 섹션(30, 178)은 상기 가로방향 로드의 섹션과 베이스 사이에 삽입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섹션에 걸릴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둘레 또는 외측이 전기 절연된 추가 길이방향 로 드(34, 35, 54, 56, 84, 86, 100, 102, 182, 184)용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13. The exposed rebar section 30, 178 is insertable between the section and the base of the transverse rod or can be caught in the section and optionally a circumferential or Concrete slee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side is a support for additional longitudinally insulated rods (34, 35, 54, 56, 84, 86, 100, 102, 182, 18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각기둥의 단면은 안쪽으로 꺾인 측면 레그 에지(48, 50)를 가진 U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 14.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N-column is U-shaped with side leg edges (48, 50) bent inwardly.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U형상을 갖는 N각기둥의 가로방향 레그(52)는 상기 콘크리트 침목(44)의 베이스면(30) 아래로 연장된 철근(46)의 섹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15. The section of any of claims 1 to 14, wherein the transverse legs (52) of the U-shaped pillars having a U-shape are sections of reinforcement (46) extending below the base surface (30) of the concrete sleeper (44). Concrete sleepers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쪽으로 꺾인 길이방향 에지(14, 16)를 가진 U형상을 갖는 N각기둥의 측면 레그들(26, 28)은 상기 콘크리트 침목(10)의 베이스면(64) 아래로 연장되고, 추가 길이방향 로드(34, 35)용 지지부인 스터럽(30)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16. The N-pillar side legs 26, 28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having a U-shape with inwardly curved longitudinal edges 14, 16 are formed of the concrete sleeper 10. Concrete sleeper, which extends below the base surface 64 and is connected via a stubble 30 which is a support for further longitudinal rods 34, 35.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각기둥의 횡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N-column has a trapezoidal shape.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각기둥은 등변사다리 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18. 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7, wherein the N-pillars have an equilateral trapezoidal shape.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N각기둥의 짧은 밑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19. 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8, wherein the short base of the N-pillar pillar having a trapezoidal shape is at least partially removed.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N각기둥의 긴 밑변(78)은 콘크리트 침목(66)의 베이스면(80) 아래로 연장된 철근(68)의 섹션이고 추가 길이방향 로드(84, 86)용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20. The long base 78 of the N-pillar pillar having a trapezoidal shape is a section of the reinforcement 68 extending below the base surface 80 of the concrete sleeper 66. Concrete slee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for the longitudinal rods (84, 86).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바람직하게 사다리꼴 형태인 2개의 그리드 바디(90, 9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21.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s consist of two grid bodies (90, 92) extending parallel to one another and preferably trapezoidal in shape.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꼴 그리드 바디(90, 92)의 긴 밑변은 소정의 개수의 추가 길이방향 로드(100, 102)를 수용하기 위한, 콘크리트 침목(88)의 베이스면(98) 아래로 연장된 섹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22. Concrete sleeper 88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long base of the trapezoidal grid bodies 90, 92 is for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additional longitudinal rods 100, 102. Concrete slee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tion extending below the base surface 98 of the. 재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사다리꼴 형태의 바디들(90, 92)은 상기 콘크리트 침목(88)의 외부에서 스터럽 또는 와이어(98)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2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2, wherein trapezoidal bodies (90, 92) extending in parallel to each other are connected via a stub or wire (98) outside of the concrete sleepers (88). Characterized by concrete sleepers.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172) 또는 휘어진 철근 망(150)은 콘크리트 침목(10, 44, 66, 88)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방향 로드(152, 154, 156, 158) 및 이에 대해 횡으로 연장된 가로방향 로드(160, 16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2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3, wherein the reinforcing bars 172 or the curved reinforcing bars 150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rete sleepers 10, 44, 66, 88. 154, 156, 158 and transverse rods 160, 162 extending laterally thereto.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105)은 철근 망의 섹션이고, 상기 철근 망은 교차하는 길이방향 로드 및 가로방향 로드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대각선 위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2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4, wherein the reinforcing bar 105 is a s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network, wherein the reinforcing bar bends over a diagonal diagonal formed of intersecting longitudinal rods and transverse rods. Concrete sleepers.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철근(114)은 콘크리트 침목 내부로 꺾인 U형 섹션(128, 130)을 가진, 지그재그 형태로 휘어진 적어도 하나의 그리드 바디(120)를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은 콘크리트 침목(116)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2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reinforcement 114 comprises at least one grid body 120 that is curved in a zigzag fashion, with U-shaped sections 128, 130 bending into the concrete sleepers. Concrete sleep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tions exten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oncrete sleepers (116).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114)은 콘크리트 침목 측면(118, 119)을 따라 연장되고 부분적으로 V형으로 휘어진 2개의 그리 드(134, 136)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드들은 콘크리트 침목 내로 연장된 2개의 U형 섹션(128, 130)을 가지며, 상기 그리드들은 콘크리트 침목 종축에 대해 횡으로 연장된 C형 스터럽(138)을 통해 연결되고, 콘크리트 침목 아래로 연장된 상기 스터럽의 가로방향 레그(140)는 길이방향 로드(142)용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침목. 2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6, wherein the reinforcement 114 comprises two grids 134, 136 extending along the concrete sleeper sides 118, 119 and partially curved in a V-shape. The grids have two U-shaped sections 128, 130 extending into the concrete sleepers, the grids being connected through a C-shaped stub 138 extending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concrete sleeper longitudinal axis, extending below the concrete sleepers. The transverse leg 140 of the stub is a concrete slee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for the longitudinal rod (142).
KR1020097027267A 2007-05-29 2008-05-16 Concrete sleeper KR10159574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25034.9 2007-05-29
DE102007025034A DE102007025034A1 (en) 2007-05-29 2007-05-29 concrete slee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490A true KR20100020490A (en) 2010-02-22
KR101595743B1 KR101595743B1 (en) 2016-02-19

Family

ID=3960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267A KR101595743B1 (en) 2007-05-29 2008-05-16 Concrete sleeper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092119B1 (en)
KR (1) KR101595743B1 (en)
CN (1) CN101784726B (en)
DE (1) DE102007025034A1 (en)
DK (1) DK2092119T3 (en)
ES (1) ES2408173T3 (en)
TW (1) TW200912096A (en)
WO (1) WO200814554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62209B (en) * 2010-12-31 2012-09-05 北京中铁房山桥梁有限公司 High-speed turnout switch tie for speed of 350km per hou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2277799A (en) * 2011-05-04 2011-12-14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Steel bar welded wire mesh concrete sleeper
CN103147366B (en) * 2011-12-06 2015-02-11 乐昌市安捷铁路轨枕有限公司 Environment-friendly type high-performance prestress concrete subway sleeper
CN103147367A (en) * 2013-03-29 2013-06-12 无锡恒畅铁路轨枕有限公司 Concrete sleeper
CN104532691A (en) * 2014-12-17 2015-04-22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Ballastless track connected-block sleeper
DE102016118711A1 (en) 2015-10-01 2017-04-06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Component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reinforcement
EA031917B1 (en) * 2016-12-23 2019-03-29 Анатолий Эдуардович Юницкий Unitsky's transport system
CN109457549A (en) * 2018-12-17 2019-03-1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Frame-type connection reinforcing structure between the concrete filled steel tube and sleeper block of non-fragment orbit
CN109457551A (en) * 2018-12-18 2019-03-1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Group frame type connection reinforc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between sleeper block and railway roadbed
CN109914163B (en) * 2019-03-14 2024-01-05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Prefabricated plate type magnetic levitation composite track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349Y1 (en) * 2004-10-15 2005-01-21 주식회사 삼성산업 Reinforcement assembly of RC(Reinforced Concrete) sleeper
KR200390690Y1 (en) * 2005-04-22 2005-07-22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An iron frame structure of a concrete ballast track
KR20060033501A (en) * 2004-10-15 2006-04-19 주식회사 삼성산업 Rc (reinforced concrete) sleeper of wharf-type
JP3839029B2 (en) * 2004-06-04 2006-11-01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Concrete sleeper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8304A1 (en) * 1987-08-25 1989-03-16 Strabag Bau Ag Railway sleeper
DE29703508U1 (en) 1997-02-27 1997-04-17 Wayss & Freytag Ag Slab track, mainly for the switch area
DE19741059C1 (en) 1997-09-18 1999-05-06 Wayss & Freytag Ag Method for producing solid rail bed
DK0905319T3 (en) 1997-09-18 2006-08-28 Pfleiderer Infrastrukturt Gmbh A method for producing a fixed carriageway for rail-bound traffic, and a solid carriageway made according to this method
DE19816407C1 (en) 1998-04-11 1999-10-28 Pfleiderer Verkehrstechnik Concrete sleeper for firm fastening of railway rails
DE19848928C2 (en) * 1998-10-23 2003-08-21 Pfleiderer Infrastrukturt Gmbh Slab track and method of making it
DE10004346C2 (en) 1999-01-27 2001-11-29 Betonwerk Rethwisch Gmbh Trouble-free slab track, procedures and sleepers therefor
DE19963664A1 (en) 1999-12-29 2001-07-26 Pfleiderer Infrastrukturt Gmbh Twin block concrete sleeper has reinforcements which protrude partially from it, additional concrete blocks being cast around protruding sections before sleeper is anchored in place by embedding in concrete
DE20011481U1 (en) 2000-06-30 2000-09-21 Zueblin Ag Construction of a fixed carriageway from two individual blocks and reinforcements that link the individual blocks
WO2003104562A1 (en) 2002-06-01 2003-12-18 RWP Gesellschaft für Baustellenautomatisierung mbH Precast concrete part and method
CN2816106Y (en) * 2005-08-15 2006-09-13 中铁二十三局集团有限公司 Slagfree resonance type insulation-less track
DE202006001935U1 (en) * 2006-02-06 2006-04-06 Eichholz Gmbh & Co. Kg Monoblock railroad tie for railbound vehicles has middle constricted body with narrower width compared to end bodies and longitudinal tie core rods set in middle body, in which lower surfaces of middle body are aligned with end bod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9029B2 (en) * 2004-06-04 2006-11-01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Concrete sleepers
KR200373349Y1 (en) * 2004-10-15 2005-01-21 주식회사 삼성산업 Reinforcement assembly of RC(Reinforced Concrete) sleeper
KR20060033501A (en) * 2004-10-15 2006-04-19 주식회사 삼성산업 Rc (reinforced concrete) sleeper of wharf-type
KR200390690Y1 (en) * 2005-04-22 2005-07-22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An iron frame structure of a concrete ballast tr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92119B1 (en) 2013-02-20
CN101784726B (en) 2013-06-19
DK2092119T3 (en) 2013-05-27
ES2408173T3 (en) 2013-06-18
KR101595743B1 (en) 2016-02-19
TW200912096A (en) 2009-03-16
DE102007025034A1 (en) 2008-12-04
CN101784726A (en) 2010-07-21
WO2008145544A1 (en) 2008-12-04
EP2092119A1 (en)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0490A (en) Concrete sleeper
RU2553813C2 (en) Method and device to strengthen and lighten bearing structures of floor and roof
US8393552B2 (en) Prefabricated module for a railw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is module
WO2007118287A1 (en) An anchor for use in joining concrete slabs
KR101449708B1 (en) Improving structure integrity with topping concrete and improved shear load carrying of hollow slab structure using shear reinforcing bar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9046821A (en) Concrete structure for railroad and its reinforcing structure
KR100991046B1 (en) H beam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H beam
KR100564351B1 (en) Steel prestressed concrete grider utilizing a steel pipe as a mold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using the girder
KR20060102872A (en) Shear reinforcement device arranged in the slab-column conn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3457294B2 (en) Reinforced concrete joint structure
EP0345823A2 (en) Screed rails
KR101079566B1 (en) Concrete sleeper
KR200436319Y1 (en) Shear reinforcement device arranged in the slab-column connection and construction thereof
JP2004270277A (en) Void fixing structure and fixing member
KR20060038665A (en) Shear reinforcement device arranged in the slab-column connection and the shear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device
KR100512696B1 (en) Insulating spacer used in concrete for railroad
KR200345789Y1 (en) Steel prestressed concrete grider utilizing a steel pipe as a mold
JPH10102660A (en) Precast concrete board and manufacture thereof
CN110106776A (en)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raddle-type monorail station bent cap reinforcing bar
JP4787635B2 (en) Magnetic shield structure
KR100566179B1 (en) Prestressed concrete sleeper and the structure of its arrangement
EP2014831A1 (en) Prefabricated module for a railw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is module
KR200373349Y1 (en) Reinforcement assembly of RC(Reinforced Concrete) sleeper
KR200407184Y1 (en) Precasted concrete plate
JPH1136230A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existing bridge p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