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124A -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124A
KR20100020124A KR1020080078780A KR20080078780A KR20100020124A KR 20100020124 A KR20100020124 A KR 20100020124A KR 1020080078780 A KR1020080078780 A KR 1020080078780A KR 20080078780 A KR20080078780 A KR 20080078780A KR 20100020124 A KR20100020124 A KR 20100020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acid bacteria
skin
cosmetic composition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8815B1 (ko
Inventor
윤기천
정인범
Original Assignee
두두원발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두원발효(주) filed Critical 두두원발효(주)
Priority to KR102008007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8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53Lactobacillus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 김치유산균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콩 발효물을 제조함으로써 단일 균주에 의해 발효된 발효 산물에 비해 비타민과 아미노산 등 영양 성분이 풍부하고, 미백, 주름제거, 보습, 자외선 차단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김치유산균의 배양에 사용되는 고가의 MRS배지가 아닌 콩물을 배양 배지로 사용하여 손쉽게 배양 가능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김치유산균, 콩 발효물, 미백, 주름제거, 보습, 자외선 차단

Description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제거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and skin whitening comprising a soybean compound fermented by kimchi lactic acid bacteria complex}
본 발명은 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피부 주름개선, 보습, 및 자외선 차단의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효모나 곰팡이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은 발효주, 발효유와 같은 식품이나 의약품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화장품 산업에서 사용 예가 증가되고 있다.
유산균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며 탄수화물을 혐기적으로 이용하여 유산을 생산한다. 유산균이 발견되는 자연환경은 다양한데, 사람이나 동물의 장내에 존재 할 뿐 아니라, 다양한 채소와 과일에서도 발견되며 요구르트, 우리나라의 김치나 독일의 사우어크라우트(sauerkraut)와 같은 발효식품에서 그 발효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유산균으로는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sp.), 페디오코커스 속(Pediococcus sp.),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스포로락토바실러스 속(Sporolactobacilus sp.),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 등이 있다. 이들 유산균은 장내로 유입된 후 장내 상피세포에 착생하게 되어 유해 미생물의 장 정착을 방지하고 항균 물질을 분비함으로써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설사와 변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면역활성 증진, 항암 작용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유산균이 장내에 유입되어 자체적인 대사활동을 통해 분비하는 물질은 숙주에 많은 이로움을 주기 때문에 유산균을 이용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화장품 원료 제조에 사용되는 유산균으로는, 스트렙토코커스 이퀴(streptococcus equi), 같은 속의 쥬에피데미쿠스(streptococcus zooepidermicus: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4-998호)와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80-146호), 락토코커스(lactococcu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92-2112호) 등이 있다.
이러한 유산균들을 적절한 배양액 중에서 배양하여 얻어지는 발효액들은, 미백, 보습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실제 이들 발효액에 의한 효과보다는 화장품에 첨가된 다른 원료들에 의해 효과가 발생하는 경우가 컸고, 배양 시 사용하는 배지의 선택에 제한이 있는 단점이 있었고, 또한 단일균주를 사용하여 배양함으로써 복합균주를 사용할 때보다 발효가 충분히 이뤄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콩은 식용작물로서 널리 재배된다. 줄기는 높이가 60∼100cm이고 곧게 서며 덩굴성인 품종도 있다. 뿌리에는 많은 근류(뿌리혹)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3장의 작은 잎이 나온 잎이며, 작은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콩의 단백질에는 필수 아미노산이 골고루 들어 있고, 다른 식물성 단백질에서 부족 되기 쉬운 라이신(lys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콩의 지방은 대부분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레산으로 혈중의 콜레스테롤의 축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콩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발명으로는 대두를 바실러스균으로 발효하여 얻은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등록특허 10-0810006)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바실러스균 만을 사용한 단일 균주 배양으로 콩 발효물을 제조하여 콩 발효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콩 영양소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피부미용에 효과적인 물질의 생산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에 효과적인 천연 소재를 찾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복합 김치유산균을 종균으로 하고 콩물을 배지로 하여 콩 발효물을 제조하는 경우, 기존에 균주 배양액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비타민과 아미노산 등의 풍부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피부미백, 주름제거, 보습, 및 자외선 차단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풍부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피부미백, 주름제거, 보습, 및 자외선 차단의 효과가 있는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영양크림, 팩,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등을 제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김치 유산균(kimchi lactic acid bacteria)은 콩물을 발효하고, 피부 미용에 도움이 되는 성분을 생성하여 분비하는 어떠한 복합 김치 유산균도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김치 유산균을 포함하는 복합균주인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균주들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균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균주 이외에도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엑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론굼(Bifidobacterium longum), 스트렙토코커스 써머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또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를 더 포함하여 복합균주를 배양하는 경우 콩물의 발효를 촉진시켜 피부에 유익한 대사산물을 다량 생성하고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콩물은 물에 불린 콩을 갈아서 만든 두유를 의미하며, 김치유산균의 접종 시 잡균의 생장을 억제하기 위해 100℃ 이상에서 3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상 가열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복합균주를 사용하여 콩 발효물을 제조하는 것은 유산균의 종류마다 그 발효 메커니즘이 상이하여 상호 보완을 통해 풍부한 발효산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발효 메커니즘의 상이함의 예를 들면 같은 부류의 유산균이라 하더라도 포도당을 이용하여 생육할 때에 젖산(Lactic acid)을 주로 생성하는 스트렙토코커스 유산균이 있는가 하면 젖산과 더불어 에탄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류코노스톡 유산균이 있고, 젖산과 초산을 생성하는 비피도박테리움과 같은 유산균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김치에서 채취한 수십 가지의 김치 유산균 중에서 콩물에서 배양할 때 생육이 촉진되고, 대사산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많은 양의 유기 물질을 생성하는 김치 유산균들을 분리하고, 이들을 혼합 배양하였을 때 상호 보완적으로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김치 유산균의 조합을 발견하고 본 발명의 식중독 예 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콩 발효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김치유산균 복합균주로 콩을 발효하여 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단일한 유산균으로 발효하는 것보다 복합유산균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효되는 콩의 성분이 분해되는 정도가 높아지고 유산균 대사산물도 더 많이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비타민 C의 경우를 들어보면 한 가지 유산균을 사용하여 콩을 발효한 경우엔 10mg/100ml 이하로 만들어지지만 복합유산균을 사용하여 발효하면 30mg/100ml 이상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콩 발효물은 콩물(두유)에 김치유산균을 접종하여 20 ~ 40℃에서 10 내지 30 시간 발효된 것이 김치유산균의 생장이 증가하고, 많은 발효 대사산물을 배출할 수 있어서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35℃에서 20 내지 30 시간 발효하는 것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에서 24시간 발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콩 발효물은 피부 미백, 피부 주름개선, 보습, 및 자외선 차단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피부 미백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억제, 자외선의 차단, 및 피부색소 침착의 개선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측정하고, 피부색소 침착을 측정하여 본 발명의 콩 발효물이 미백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본 발명의 콩 발효물이 멜라닌 색소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외선을 차단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피부 주름개선은 자외선 차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콩 발효물이 피부 주름 발생에 주요한 원인이 되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 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종균( 김치유산균 ) 배양 단계
배지를 가열 멸균하고 김치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각각 접종하여 종균을 배양한다. 이때 배지의 가열 멸균은 121℃에서 15분 이상 하는 것이 좋고, 김치유산균 접종량은 1× 104 cfu/ml 이상이 되게 하고 배양온도는 20~40℃, 배양시간은 10~30시간, 배지는 MRS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양은 정치 배양한다.
발효물의 제조 단계
콩물을 100℃에서 1~2시간 가열하여 멸균하고 20~40℃로 식힌 다음 여기에 상기 종균 배양단계에서 제조된 8가지의 종균에서 수와 종류를 선택하여 동일한 양 으로 혼합된 복합 김치유산균을 2~4%(v/v)되게 접종한 다음 20~40℃에서 10~30시간 발효한다. 이때, 10시간 미만을 발효하면 발효대사산물이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으며 30시간을 초과하여 발효하면 도리어 대사산물의 농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상술한 발효 시간 범위 내에서 발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라면 발효 시간은 변경될 수 있다.
발효가 끝난 콩 발효물은 65 ~ 75℃에서 10분간 저온 살균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복합 김치유산균 발효 콩 발효물로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의 억제 활성을 측정하고, 피부색소 침착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피부 주름 발생에 주요한 원인이 되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콩 발효물을 0.1 ~ 70% 함유하며,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통상적인 제형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영양 크림, 에센스, 팩, 화장수,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파운데이션 등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복합 유산균 종균 배양
MRS 배지를 121℃에서 20분간 멸균하고, 식물성 김치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각각 5× 104 cfu/ml 되게 접종하여 30℃에서 24시간 배양하여 8종의 종균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단일 김치 유산균 발효에 의한 콩 발효물의 제조
물에 불린 콩을 갈아서 만든 콩물을 100℃에서 1시간 가열하여 멸균하고 30℃로 식혔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8종의 종균을 각각 콩물에 3%(v/v)되게 접종하였다. 접종 후에 30℃에서 24시간 발효하여 단일 김치유산균 발효된 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단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70℃에서 10분간 저온 살균하여 피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복합 유산균 발효에 의한 콩 발효물의 제조
3-1. 2종의 복합 유산균 발효
물에 불린 콩을 갈아서 만든 콩물을 100℃에서 1시간 가열하여 멸균하고 37℃로 식혔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종균 중에서 선택된 2종[각각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과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류코노스톡 김치아이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스; 류코노스톡 시트레움과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과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그리고 류코노스톡 김치아이와 류코노스톡 시트레움의 조합]의 종균을 동일한 양으로 혼합하여 복합 김치유산균을 제조하고 콩물에 3%(v/v)되게 접종하였다. 접종 후에 37℃에서 24시간 발효하여 5종의 김치유산균 발효된 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70℃에서 10분간 저온 살균하여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2. 3종의 복합 유산균 발효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8종의 복합 김치 유산균 중에서 선택된 3종의 김치유산균[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및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을 동일한 양으로 혼합하여 접종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3-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3. 5종의 복합 유산균 발효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8종의 복합 김치 유산균 중에서 선택된 5종의 김치유산균[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을 동일한 양으로 혼합하여 접종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3-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4. 8종의 복합 유산균 발효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8종의 복합 김치 유산균[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을 동일한 양으로 혼합하여 접종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3-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콩이 아닌 배지에서의 복합 유산균 발효액의 제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발효하되 콩물이 아닌 MRS 배지를 사용하여 복합 유산균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복합 유산균 발효액을 70℃에서 10분간 저온 살균하여 식중독균에 대한 억제 활성 비교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2 ~ 4의 실험 조건을 표 1에 요약하였다.
[표 1]. 접종된 김치 유산균의 조합
Figure 112008057564155-PAT00001
실험예 1. 콩 발효물의 피부 미백효과
1-1. 티로시나아제 활성억제
멜라닌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페놀류 물질로 인체에서의 과잉생산은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의 생합성 은 주로 티로시나아제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콩 발효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를 억제한다면 인체 내 멜라노사이트에서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효소는 버섯 티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 Sigma T-7755)를 사용하였으며, 기질은 L-타이로신(L-tyrosine)을 사용하였다. 반응계의 효소 농도는 33.3㎍/ml이고, 기질은 0.5mM 이었다. 반응속도는 475nm에서 1분당 흡광도의 변화 값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콩 발효물에 의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IC50 값(본 발명에서 IC50값은 티로시나아제의 효소활성을 50% 저해할 수 있는 콩 발효물의 농도를 의미한다.)으로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실험으로 실시예 2의 단일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과 실시예 4의 복합유산균 발효액으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체크하였다. 그 결과 단일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이나 콩이 아닌 배지에서 발효한 복합 김치유산균 발효액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이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현저하게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 티로시나아제 활성 측정 결과
Figure 112008057564155-PAT00002
1-2. 피부색소 침착 개선
실험방법은 건강한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양팔 하박부에 지름 1.5cm의 원형 구멍 10개를 뚫은 파스 2개를 붙인 후, 10cm 거리에서 자외선(필립스TL20W/12UV램프와 TM02/09UV램프)을 각각 1.5 MED씩 2일 동안 1일 2회 조사하여 피부색소를 침착시켰다. 상기 실시예 2 내지 4에서 제조한 발효물을 6주 동안 1일 2 회씩 상기 피부색소 침착부위에 도포한 후 피부색소 침착 개선 효과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이 단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 또는 일반적인 유산균배지인 MRS 배지에서 배양한 유산균 발효물보다 미백효과가 더 좋았다.
[표 3]. 피부 침착개선 효과
Figure 112008057564155-PAT00003
실험예 2. 콩 발효물의 피부 주름 개선
상기 실시예 2 내지 4에서 제조한 발효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35세 이상의 여성 7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실험군과 비교군으로 나누어 표 1의 김치 유산균의 조합으로 접종되어 실시예 2 내지 4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콩 발효물을 12주간 양쪽 눈가에 사용하게 하였다. 사용 후 4, 8 및 12주 시점에서 피부 주름을 투명한 실리콘 재질의 용액을 이용하여 레플리카(replica)를 떠서 피부 주름측정기(Skin Visiometer SV600)를 이용한 R-value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피부 주름 측정값
Figure 112008057564155-PAT00004
표 4에서, 각각 R1은 주름 프로필의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간의 거리, R2는 주름 프로필을 연속적으로 5개의 길이로 균분한 다음 각 영역에서의 R1값의 산술평균, R3는 균분된 영역의 R1 중 최고값, R4는 주름 프로필의 가장 꼭대기 값에서 수평선을 그어 프로필과 이루는 면적을 적분하여 중간선의 길이로 나눈 값으로서 피부 주름의 평균 깊이를 의미, R5는 주름 프로필의 중간선의 프로필이 이루는 면적을 적분하여 프로필의 중간선의 길이로 나눈 값으로서 피부의 평균 거 칠기를 의미한다. 상기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3에서 제조된 콩 발효물이 실시예 2의 단일 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이나 실시예 4의 콩이 아닌 MRS배지를 이용하여 발효한 복합 김치유산균 배양액보다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R-value가 현저하게 낮아져 주름제거 기능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보습 효과
상기 실시예 2 내지 4에서 제조한 발효물의 보습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피검자의 하박부에 샘플을 바르고 약 90분 후 바르기 전과 바른 후의 보습 능(△Hydration)을 코네오메터(Corneometer CM825, COURAGR-KHAZAKA, 독일)와 스킨콘(Skincon-200, Nova DPM 9003, DermaLab)으로 평가하고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보습능 측정결과
Figure 112008057564155-PAT00005
상기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콩 발효물이 실시예 2의 단일 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과 실시예 4의 콩이 아닌 MRS배지를 이용하여 발효한 복합 김치유산균 배양액보다 보습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자외선 차단효과
4-1. UVB 차단지수 측정
상기 실시예 2 내지 4에서 제조한 발효물의 UVB 차단효과를 실험하였다. UVB 차단효과는 자외선 B의 차단지수인 SPF로 나타내었는데, 여기서 자외선 차단지수란 무처리된 피부상에 MED(최소홍반량)을 생성시키는데 요구되는 자외선량에 대한 자외선 차단제가 처리된 피부상에 MED를 생성시키는데 요구되는 자외선량으로 정의된다(SPF= 시료를 도포한 부위의 MED / 시료를 도포하지 아니한 부위의 MED). 따라서 SPF가 높을수록 UVB 차단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방법은 건강한 피부를 가진 성인 남녀 10명에 상기 표 1의 김치 유산균의 조합으로 접종되어 실시예 2 내지 4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콩 발효물을 2mg/㎠로 도포하고, 솔라 시뮬레이터(Solar simulator) 램프로 자외선을 조사한 후, 피검자에 대한 평균 MED 값을 측정하여 SPF값을 계산하였다(표 6). 기타의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일본화장품산업협회(JCIA) SFP 측정방법을 따랐다.
[표 6]. UVB 차단지수 측정
Figure 112008057564155-PAT00006
상기 표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콩이 아닌 MRS배지를 이용하여 발효한 복합 김치유산균 배양액)의 발효물은 UVB 차단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지만 실시예 2 및 3의 콩 발효물은 상당한 UVB차단 효과가 있었고, 특히 실시예 3의 콩 발효물은 UVB 차단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4-2. UVA 차단지수 측정
상기 실시예 2 내지 4에서 제조한 발효물의 UVA 차단효과를 실험하였다. UVA 차단 효과는 자외선A의 차단지수인 PFA로서 나타내었는데, PFA는 자외선 차단제가 처리된 피부와 자외선 차단제가 처리되지 아니한 피부의 MPPD(최소지속형 즉시 흑화량)의 비를 의미하는데, PFA가 높을수록 자외선 차단 효과가 뛰어남을 의미한다(PFA = 시료를 도포한 부위의 MPPD / 시료를 도포하지 아니한 부위의 MPPD). 여기서 MPPD는 최소 지속형 즉시 흑화량(희미한 흑화가 인식되는 최소 자외선 조사량) (Minimal Persistent Pigment darkening Dose; 이하 "MPPD")를 의미한다. 실험방법은 상기 실험예 4-1과 동일하게 자외선을 조사한 후, 상기 표 1의 김치 유산균의 조합으로 접종되어 실시예 2 내지 4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콩 발효물을 2mg/㎠로 도포하고, 피검자에 대한 평균 MPPD 값을 측정한 후 PFA값을 계산하였다. 마찬가지로 기타의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일본화장품산업협회(JCIA) SFP 측정방법을 따랐다.
[표 7]. UVA 차단지수 측정
Figure 112008057564155-PAT00007
그 결과 상기 표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단일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 및 MRS 배지에서 유산균으로 발효한 발효물에 비해 실시예 3의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의 UVA 차단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제형예 1. 로션의 제조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로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콩 발효물을 일정한 온도(80℃)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원료물질 1로 사용하여 6, 7 및 13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50℃)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시키고, 이어 8을 일정한 온도(25℃)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켰다. 그리고 9, 10, 11 및 12를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켰다(표 8).
[표 8]
Figure 112008057564155-PAT00008
제형예 2. 크림의 제조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하기 표 9에 기재된 원료물질 2, 3, 4 및 5를 일정한 온도(80℃)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1과 6, 7 및 13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50℃)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8을 일정한 온도(25℃)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켰다. 그리고 9, 10, 11 및 12를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켰다.
[표 9]
Figure 112008057564155-PAT00009
제형예 3. 워시폼의 제조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워시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표 10에 기재된 2, 3, 4, 5, 6, 7, 8, 9, 10번의 원료를 순차적으로 제조부에 투입하고, 65℃로 가열한 후 15분간 교반 한다. 교반이 끝나면 12의 일부를 투입하고, 30분 교반 후 다시 12의 일부를 천천히 투입하고, 30분 교반 후에 35℃까지 냉각하고 1, 11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표 10]
Figure 112008057564155-PAT0001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 김치유산균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콩 발효물을 제조함으로써 단일 균주에 의해 발효된 발효 산물에 비해 비타민과 아미노산 등 영양 성분이 풍부하고, 미백, 주름제거, 보습, 자외선 차단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김치유산균의 배양에 사용되는 고가의 MRS배지가 아닌 콩물을 배양 배지로 사용하여 손쉽게 배양 가능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Claims (8)

  1.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김치 유산균(kimchi lactic acid bacteria)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김치 유산균의 복합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김치 유산균(kimchi lactic acid bacteria)은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김치유산균을 더 포함하는 복합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20 ~ 40℃에서 10 내지 30시간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 발효물은 피부 미백, 피부 주름개선, 보습, 및 자외선 차단의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억제 및 자외선의 차단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주름개선은 자외선 차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78780A 2008-08-12 2008-08-12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8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780A KR101068815B1 (ko) 2008-08-12 2008-08-12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780A KR101068815B1 (ko) 2008-08-12 2008-08-12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124A true KR20100020124A (ko) 2010-02-22
KR101068815B1 KR101068815B1 (ko) 2011-10-04

Family

ID=4209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780A KR101068815B1 (ko) 2008-08-12 2008-08-12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8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741B1 (ko) * 2011-06-02 2012-02-22 김택진 친환경 세제 및 이의 제조방법
FR2979522A1 (fr) * 2011-09-05 2013-03-08 Jean-Noel Thorel Systeme de conservation biodermique
KR101331227B1 (ko) * 2011-09-08 2013-11-19 (주)지에프씨 마테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3503A (ko) * 2014-03-03 2015-09-11 김윤규 피부세포 증식효능이 있는 스핑고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KR102009486B1 (ko) * 2019-03-11 2019-08-09 (주)제이오알알앤디 다단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003B1 (ko) * 2013-04-29 2015-02-23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 효능을 갖는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y77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540843B1 (ko) * 2013-05-08 2015-07-30 재단법인 인천테크노파크 김치에서 분리되어 배양된 웨이셀라 코리엔시스 521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171 균주를 혼합 배양한 복합 김치유산균의 제조방법
DE202015004868U1 (de) 2014-07-11 2015-12-23 Mary Kay Inc. Topische Haut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KR101710142B1 (ko) 2014-10-02 2017-02-27 샘표 주식회사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70021278A (ko) 2017-02-17 2017-02-27 샘표 주식회사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961149B1 (ko) 2018-11-30 2019-03-25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 ami-1101 균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7491B2 (ja) * 2004-03-01 2011-02-23 株式会社東洋発酵 抗アレルギー用組成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741B1 (ko) * 2011-06-02 2012-02-22 김택진 친환경 세제 및 이의 제조방법
FR2979522A1 (fr) * 2011-09-05 2013-03-08 Jean-Noel Thorel Systeme de conservation biodermique
KR101331227B1 (ko) * 2011-09-08 2013-11-19 (주)지에프씨 마테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3503A (ko) * 2014-03-03 2015-09-11 김윤규 피부세포 증식효능이 있는 스핑고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KR102009486B1 (ko) * 2019-03-11 2019-08-09 (주)제이오알알앤디 다단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815B1 (ko) 201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815B1 (ko)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5467106B2 (ja) 緑豆発酵−酵素抽出液を含む皮膚老化防止用化粧料組成物
KR101627850B1 (ko) 인체 유래 복합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94315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3646B1 (ko) 피부 유래 스트렙토코쿠스 살리바리우스 sbk4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782307B1 (ko)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49812A (ko)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인삼, 꿀 및 프로폴리스의 발효액을 함유한 세라마이드 생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08125905A (zh) 一种具有鼠李糖乳杆菌发酵活性成分的美白乳液
KR20190079514A (ko) 알로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8026B1 (ko) 노니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94226B1 (ko) 파프리카 효모발효 추출액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96955B1 (ko) 유산균을 이용한 지유 및 필발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40508B1 (ko) 녹두 발효-효소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5989A (ko)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활성, 피부 상처 재생 활성, 및 피부 장벽 강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19353A (ko)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울금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고추냉이 추출물의 발효액을 함유한 세라마이드 생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1840A (ko) 피부 유래 유산균 및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9192A (ko) 유자, 매실, 석류, 현미를 발효하여 만든 초효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 화장료 조성물
KR102298534B1 (ko) 웨이셀라 사이베리아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8533B1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45289A (ko) 옥수수수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8933A (ko) 초유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8691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5987A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167606B1 (ko) 예덕나무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7507A (ko) 녹두·강낭콩·흑콩 발효-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