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933A - 초유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유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933A
KR20190048933A KR1020170144246A KR20170144246A KR20190048933A KR 20190048933 A KR20190048933 A KR 20190048933A KR 1020170144246 A KR1020170144246 A KR 1020170144246A KR 20170144246 A KR20170144246 A KR 20170144246A KR 20190048933 A KR20190048933 A KR 20190048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strum
cosmetic composition
skin
fermented extract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보경
박현우
이광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70144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8933A/ko
Publication of KR20190048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9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6Milk; Derivatives thereof, e.g. bu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유(colostrum)를 유산균(Streptococcus thermophilus)으로 배양하여 얻은 초유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초유 발효 추출물이 진피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단백질인 콜라겐의 합성을 증진시키고 피부 탄력 및 피부 주름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고, 피부 보습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초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Colostrum for Improving Skin Wrinkle}
본 발명은 초유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의 콜라겐의 합성을 증진시키고 피부 주름 및 피부 탄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1차적 기능은 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피부는 시간이 지날수록 노화가 진행되는데, 피부노화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eing)와 광노화(photo - ageing)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렇게 피부는 외부로부터 강한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과 같은 자극을 받으며 노화가 진행되면서 피부는 콜라겐, 엘라스틴 등 매트릭스 성분들이 분해되거나 생성이 감소되면서 피부 탄력이 떨어지게 되고 각질화 현상 등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피부의 구조 중에서 진피층에 존재하는 교원섬유(collagenous fiber)와 탄력섬유(elastic fiber)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의 탄력을 주관한다. 여기서 교원섬유(collagenous fiber)의 생합성은 피부의 내/외적인 영향을 받는데, 내적으로는 자연노화(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해 세포 활성의 감소가 발생하여 세포 매트릭스의 생성이 떨어져 매트릭스의 견고성이 떨어지게 됨으로써 주름이 생성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적인 요인으로는 자외선의 과량 조사 및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생성된 활성 산소(자유라디칼)가 단백질의 SH기와 반응하여 효소의 활성을 저해시키거나, 콜라겐, 엘라스틴 등을 분해시키는 효소인 콜라게나이제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의 주름 및 탄력을 감소시키는 노화현상을 유발한다. 특히, 자외선 등의 외부 자극에 의해 생성이 촉진되는 콜라겐 분해 효소는 광노화에 의해 발생하는 주름 생성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 효소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화 현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현상으로 현재 다양한 방법을 통해 노화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더디게 하거나 예방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화장품이 이러한 노화현상을 예방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들어 여성들의 화장품의 기능에 대한 욕구 및 관심이 상당히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의 기본 기능인 청결 및 미적 기능뿐만 아니라 밝고 흰 피부로서의 미백 보습효과, 피부의 주름 개선 및 억제 효과 등을 가진 고기능성 제품이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주름 개선 제품은 젊음을 유지하고 싶어 하는 많은 여성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 5-246838호에는 콜라겐 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노화에 따른 콜라겐 합성 및 분해의 균형 상실로 인해 콜라겐의 생합성이 증가되거나, 이를 분해하여 콜라겐 대사를 원할하게 하는 콜라게나제의 활성이 저하되면, 가교형 콜라겐의 생성이 통제되지 못하여 피부조직의 노화가 촉진된다. 따라서, 콜라게나제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초산암모늄, 주석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은 콜라겐 대사를 부활시켜 피부노화를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된 피부 주름개선 유효성분들은 일부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없거나 매우 불안정하며, 피부로의 전달이 용이하지 않아 특별한 안정화시스템과 전달체계가 필요하며, 피부주름의 개선효과가 가시적이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개발이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주름개선 화장료가 가진 문제점에 대한 위험성을 줄이고,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켜 인터그린 발현을 증진시킴으로써 피부주름 및 피부 탄력을 개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초유를 유산균으로 배양하여 얻은 초유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초유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단백질 합성 촉진 및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켜 주름 개선 효과 및 탄력 개선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초유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초유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초유(colostrum)라고 함은, 분만 후 72시간(3일) 동안 분비되는 젖을 말하며, 농도가 짙고 황색을 띄면서 공형분이 많고 락토오스는 적으며 단백질과 회분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더불어 초유에는 신체의 외부로부터 세균의 침입을 막아주는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이라는 면역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바실러스, 대장균, 살모넬라 등의 균을 사멸시키는 항균 작용을 일으키는 락토페린(lactoferrin)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성장을 돕고 피부 상처를 재생하고 치료해주는 성장인자가 매우 높은 농도로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초유는 뉴질랜드에서 방목되어 길러지는 전염병에 오염되지 않은 소에서 얻어진다. 즉, 본 발명의 초유는 진전병(scrapie), 우역(rinderpest), Blue-tongue, BSE로 발생하는 모든 병으로부터 안전하며, 이에 검증을 받은 소로부터 추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유는 질산연(nitrates), 아질산연에 전혀 오염되어 있지 않으며 어떠한 물질도 목축시에 사용되지 않고, 냉장상태로 보관추출되는 저지방의 건강한 원료이다.
본 발명에서 초유를 발효시키는데 사용되는 유산균이라 함은, 인체에 유익한 미생물의 일종으로서 포도당 또는 유당과 같은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유산(젖산)이나 초산과 같은 유기산을 생성하는 균을 말하며, 대표적으로 락토바실러스 알리멘타리우스(Lactobacillus alimentari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류코노스톡 멘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nsenteroides), 스트렙토코커스 서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스트렙토코커스 락티스(Streptococcus lactis),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엄(Enterococcus faecium), 엔테로코커스 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비피도박테리엄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엄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박테리엄 브라베(Bifidobacterium brave) 및 비피도박테리엄 롱검(Bifidobacterium longum)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대표적인 유산균 중에서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를 사용한다.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는 열에 강한 대표적인 유산균으로 요거트, 치즈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주된 낙농 스타터인데, 피부 내의 natural moisturing factor(NMF) 중 하나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생성능이 우수하여 발효에 의한 공업적 생산이 실용화되고 있다.
본 발명의 초유 발효 추출물은 상기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낙농장에서 미생물의 안전도와 제품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10℃ 이하의 냉장 조건에서 천연의 초유를 수거한 후, 얻어진 초유를 원심 분리 방법으로 얼마 되지 않는 IgG 무 지방의 엷은 우유 막을 수거한다. 다음으로 병원성 세균을 멸균하기 위해 72도 씨에서 15초 동안 저온 살균을 한 후 농축한다.
그리고 이렇게 얻어진 농축액을 저온처리 방법으로 분말 건조한 후 이 건조된 초유 분말을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액에 1 내지 50 g/L 첨가하고, 유산균을 10,000 내지 100,000 cfu/L의 양으로 첨가한다. 이 배양물을 30 ~ 37℃에서, pH 5~7fh 호기적 또는 통상 혐기(facultative)적인 조건으로 약 5 내지 10 일간 배양하여 여과지로 여과한 후 5 내지 10일 동안 저온 숙성시켜 여과지로 여과하여 얻는다. 여기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저온처리 방법으로 분말 건조한 상기 초유 분말을 미생물 배양액에 10 g/L을 첨가하고, 유산균을 50,000 cfu/L로 첨가하여 30 ~ 37℃에서, ph 5~7로 호기적 또는 통성 혐기적인 조건으로 발효조에서 약 7일간 배양한다. 이렇게 배양액을 얻은 후 이 배약액을 0.25μ의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이 여과액은 다시 10일간 저온 숙석 시킨 후 여과하여 농축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유 발효 추출물은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을 통해 비로소 발효 추출물로서 완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첨가되는 초유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 80.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1 ~ 50.0 중량%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 3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초유 발효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 미만인 경우에는 항염, 콜라겐 합성 촉진, 피부 주름 개선, 보습, 피부 장벽 개선효과가 미미하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초유 발효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항상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장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택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특히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달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하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제조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 제조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제조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초유 추출물의 제조]
낙농장에서 미생물의 안전도와 제품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10℃ 이하의 냉장 조건에서 천연의 초유를 수거한다. 이 초유를 원심 분리 방법으로 얼마 되지 않는 IgG 무 지방의 엷은 우유 막을 수거한다. 그리고 병원성 세균을 멸균하기 위해 72℃에서 15초 동안 저온의 살균을 한다. 여기서 사용된 초유의 pH는 7 이하이다. 이어서 회분과 락토스 칼슘을 제거하기 위하여 걸러서 농축한 후, 이어서 이 농축액을 저온처리 방법으로 분말 건조한다.
[ 제조예 2: 초유 발효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초유 분말을 미생물 배양액에 10 g/L 첨가하고,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유산균을 50,000 cfu/L로 첨가하여 30 - 37℃에서, pH 5-7로 호기적 또는 통성 혐기적인 조건으로 발효조에서 약 7일간 배양한다. 배양 후 배양액을 얻은 후 이 배양액을 0.25μM의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이 여과액은 다시 10일간 저온 숙성 시킨 후 여과하여 농축한다.
[ 제조예 3 내지 6]
제조예 2에서 사용한 유산균 대신에 하기 표 1의 다른 종(species)의 유산균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초유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균사체
제조예 3 Lactobacillus casei
제조예 4 Lactobacillus fermentum
제조예 5 Lactobacillus acidophilus
제조예 6 Lactobacillus bulgaricus
[ 제형예 1: 초유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제조]
제조예 1의 초유 발효 추출물을 20.0 중량%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제조하여 이를 처방예 1이라 하고, 초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비교처방예 1로,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비교처방예 2라 하였다.
성분 처방예 1
(중량%)
비교처방예 1
(중량%)
비교처방예 2
(중량%)
제조예 1 - 20.0 -
제조예 2 20.0 - -
비교제조예1 - - 20.0
1,3-BG 7.0 7.0 7.0
글리세린 5.0 5.0 5.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3.0 3.0
유동파라핀 4.6 4.6 4.6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0
스쿠알란 3.4 3.4 3.4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2.5 2.5
폴리아위베이트60 1.6 1.6 1.6
아위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 1.6 1.6
프로필파라벤 0.6 0.6 0.6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 1.5 1.5
미량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실험예 1: 초유 추출물과 초유 발효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 평가]
상기 제조예 1 내지 6 에서 수득한 초유 추출물과 초유 발효 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을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은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는 Mosmann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HDF를 96-웰 플레이트에 1 × 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37℃, 5% CO2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배지에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두 번씩 세척하였다. MTT를 5 mg/mL 로 PBS에 녹여 50 μL 첨가하고 37℃, 5%의 CO2 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DMSO를 한 웰(well) 당 100 μL 넣고 10분 동안 교반한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을 보면, 각 시료의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초유 발효 추출물은 인체에 무해하며 안전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 생존율(%)
시료명  처리농도(PPM) 세포생존율(%)
제조예 1 50 99.3
100 98.5
제조예 2 50 102.5
100 103.5
제조예 3 50 98.7
100 100.5
제조예 4 50 99.8
100 98.5
제조예 5 50 97.5
100 98.6
제조예 6 50 97.6
100 100.5
[ 실험예 2: 초유 추출물과 초유 발효 추출물의 항염 평가(5- Lipoxygenase 저해)]
상기 제조예 1 내지 6에서 수득한 초유 추출물과 초유 발효 추출물의 5-리폭시게나제(5-Lipoxygenase) 저해 활성 실험을 하여 항염 효과를 평가하였다.
리폭시게나제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생체내 염증반응이나 알레르기 반응 등에 관여하는 다양한 화학적인 매개체 역할을 하는 여러 물질들을 생성한다. 따라서 리폭시게나제를 저해하는 물질은 각종 화학적 매개체(chemical mediators)의 생성을 억제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알레르기에 유효할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리폭시게나제의 활성정도는 기질과 효소를 이용하여 과산화물 생성정도로 측정하는 실험이다.
사용한 시료는 하기 표 4과 같이 시험하여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5-리폭시게나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NDGA, Nordihydroguaiaretic acid)로 하였다.
재료 대조군 Blank of C Exp. Group Blank of E
A 완충용액 2ml 2ml 2ml 2ml
B Sample(용매) (20ul) (20ul) 20ul 20ul
C 효소(Enzyme) 40ul - 40ul -
D 기질(Substrate) 70ul 70ul 70ul 70ul
Figure pat00001
A: Abs of experimental group
B: Abs blank of experimental group
C: Abs of control group
D: Abs of blank of control group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제조예6 NDGA
250nM  - -  - -  -  -  20.55
0.001wt% 21.26 40.19 25.41 24.58 21.39 20.01 -
0.002wt% 27.98 52.84 32.81 26.27 28.18 23.57 -
0.005wt% 31.16 64.30 40.91 30.76 31.70 32.97 -
0.01wt% 38.90 77.43 48.53 31.47 34.04 41.64 -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유 발효 추출물(제조예 2~6)이 초유 추출물(제조예 1)과 비교제조예 1에 비하여 5-리폭시게나제 저해능이 우수하였다. 발효 추출물 중에서는 특히 초유 발효 추출물(제조예 2)이 가장 높은 5-리폭시게나제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5-리폭시게나제 저해능이 높을수록 항염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의 결과는 초유 발효 추출물이 일반 초유 추출물에 비해 항염 효과가 높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 것이다.
[ 실험예 3: 초유 추출물과 초유 발효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량 평가]
상기 제조예 1~6에서 수득한 초유 추출물과 초유 발효 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을 평가하였다.
HDF를 24-웰 플레이트에 5 x 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37℃, 5 %CO2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6과 비교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 및 대조군으로 초유 추출물이나 초유 발효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well의 상층액을 모아 콜라겐 키트(Takara, 일본)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PICP) 양을 측정하여 ng/ml 환산하였으며, 이에 의해 합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대조군은 엘-아스코르빅애씨드 (L-AA, L-ascorbic acid)로 하였다.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제조예6 L-AA
0.3mM - - - - - - 128.64
0.001wt% 101.03 148.65 107.10 115.15 107.96 105.44 -
0.002wt% 103.17 167.38 115.03 115.34 111.41 107.38 -
0.005wt% 115.67 172.44 120.60 119.57 113.23 109.71 -
0.01wt% 116.21 186.35 127.48 121.64 115.12 111.82 -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유 발효 추출물(제조예 2~6)이 초유 추출물(제조예 1)과 제조비교예1에 비하여 콜라겐 합성량이 우수하였다. 발효 추출물 중에서는 특히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발효 추출물(제조예 2)이 가장 높은 콜라겐 합성량을 나타내었다.
[ 실험예 4: 초유 발효 추출물의 피부 보습력 개선효과]
본 발명의 초유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보습력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부 질환이 없는 20~40대 25명을 대상으로 1조 당 20명 씩 2개조로 나누고, 각 조별로 상기 제형예 1에서 제조한 처방예 1 및 비교처방예 1의 크림의 영양크림을 매일 2회씩 1개월간 얼굴 및 전박부에 도포하게 하였다. 미리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corneometer(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 값을 삼고, 1주, 2주, 4주 경과 후의 피부 전도도 증가율(%)을 측정하여 그 증가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시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료 1 주 후 2 주 후 4 주 후
처방예 1 70 79 81
비교처방예 1 35 42 45
비교처방예 2 15 22 25
상기 표 7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유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인 처방예 1의 경우, 비교처방예 1, 2에 비하여 피부 전도도 증가율이 매우 우수하였다. 일반적으로 피부 전도도는 피부 수분량에 비례하므로, 상기의 결과는 초유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가 그렇지 않은 화장료에 비해 피부 수분 함량도 높게 유지한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 것이다.
[ 실험예 5: 초유 발효 추출물의 피부 장벽 개선효과]
본 발명의 초유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장벽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예는 제형예 1의 화장료를 사람을 대상으로 경피수분손실량(TEWL : Trans-Epidemal Water Loss)을 Tewameterr(TM300,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비교실험을 행하여 평가하였다. 20 ~ 40대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오른쪽과 왼쪽 얼굴에 각 시료를 바르고 눈가에서 3cm 우측으로 1cm 아래로 떨어진 부위를 바르기 전과 바른 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의 경피수분손실량을 Tewameterr(TM300,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을 평가하였다.
구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처방예 1 7.8 6.8 5.8 5.2
비교처방예 1 15.9 17.4 16.8 17.9
비교처방예 2 18.8 17.5 16.9 17.1
표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한 결과, 초유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도포한 실험자의 안면 피부에서 경피수분손실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아, 피부장벽 개선에 더 좋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7)

  1. 초유를 유산균으로 배양하여 얻은 초유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초유를 유산균으로 배양하여 얻은 초유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있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비피도 박테리움(Bifidobacterium), 류코노스톡(Leuconostoc),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및 락토코커스(Lactococcus)로 구성된 구성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유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44246A 2017-10-31 2017-10-31 초유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89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246A KR20190048933A (ko) 2017-10-31 2017-10-31 초유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246A KR20190048933A (ko) 2017-10-31 2017-10-31 초유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933A true KR20190048933A (ko) 2019-05-09

Family

ID=6654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246A KR20190048933A (ko) 2017-10-31 2017-10-31 초유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89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656A (ko) * 2019-09-17 2021-03-25 주식회사 팜스킨 초유 유래 항산화 조성물
KR20210115310A (ko) *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팜스킨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독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피부보호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656A (ko) * 2019-09-17 2021-03-25 주식회사 팜스킨 초유 유래 항산화 조성물
KR20210115310A (ko) *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팜스킨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독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피부보호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815B1 (ko)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62052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산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4315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1657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34668B1 (ko)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49812A (ko)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인삼, 꿀 및 프로폴리스의 발효액을 함유한 세라마이드 생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3086B1 (ko) 식물원료를 이용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8639A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8530B1 (ko) 아쿠아포닉스 재배기술을 이용한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4B1 (ko) 우방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12702990A (zh) 包含新型鼠李糖乳杆菌lm1011作为有效成分的皮肤美白用化妆品组合物
KR20190048933A (ko) 초유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7528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265434A (zh) 一种植物来源乳化剂油包水膏霜及其制备方法
KR20200072108A (ko) 동규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8533B1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JP2009191019A (ja) 皮膚若しくは毛髪用化粧料
KR102298534B1 (ko) 웨이셀라 사이베리아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22233441A1 (en) Novel bacterial ferment of lactobacillus species
KR102076178B1 (ko) 초유 및 오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5987A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0714172B1 (ko)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12402455B (zh) 牦牛奶发酵提取物的应用
KR102503339B1 (ko) 복합 프로바이오틱스의 당나귀유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복합 프로바이오틱스의 당나귀유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