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364A - 정보 처리 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364A
KR20100019364A KR1020090072300A KR20090072300A KR20100019364A KR 20100019364 A KR20100019364 A KR 20100019364A KR 1020090072300 A KR1020090072300 A KR 1020090072300A KR 20090072300 A KR20090072300 A KR 20090072300A KR 20100019364 A KR20100019364 A KR 20100019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ut
information
color
color gamu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미 미즈쿠라
나오야 카토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19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58Reduction of colour to a range of reproducible colours, e.g. to ink- reproducible colour gam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등색상면에 관해 각 등색상면에서의 최고채도점을 나타내는 테이블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를 생성하는 색역 정보 생성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색역(色域; color gamut)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정보 처리 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래, 색의 표현 영역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화상 디바이스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화상 표시 디바이스의 색역 확대는 눈부시다. 예를 들면,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로부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나 LCD(Liquid Crystal Display), 나아가서는 유기 EL 디스플레이(OELD(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에 이르는 과정에서, 색역은 현저하게 확대하고 있다. 이전부터 색역이 다른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색을 일치시켜서 출력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의 PC 모니터의 표준 색공간(色空間)인 sRGB(standard RGB)를 기준으로 한 워크 플로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그 sRGB 색역 외의 색을 촬상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디바이스도 수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대응 가능한 색역이 다양한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색역 변환(압축이나 확장, 즉 컬러 매칭)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촬상된 광색역(廣色域) 화상 데이터의 화상을, 광색역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다양한 색역의 디바이스에서 출력하는 경우, 색역 외의 고채도색(high chroma color)을 보다 자연스럽게 출력할 것이 요구된다. 특히 고휘도 및 고채도의 색에 관해서는, 색상 왜곡(hue distortion)을 억제하여 스무스하게 출력할 필요가 있는데, 여기서 색상 왜곡이란, 채도(chroma)는 변경되지 않으면서 색상(hue)이 바람직하지 않게 변경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디바이스 사이에서 교환되는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화상 데이터와 함께 교환시켜서, 각 디바이스에서 컬러 매칭을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를 송신측 단말(Source)(1)로부터 수신측 단말(Sink)(2)로 전송하는 경우, 송신측 단말(1)과 수신측 단말(2)의 색역(색의 표현 가능 영역)이 서로 다른 때는, 색역 변환이 필요해진다. 이 색역 변환은, 송신측 단말(1) 및 수신측 단말(2)의 어디에서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화살표(3)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송신측 단말(1)의 색역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5)를 화상 데이터와 함께 수신측 단말(2)에 공급하고, 수신측 단말(2)에 색역 변환시켜도 좋다. 또한, 화살표(4)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송신측 단말(1)이, 수신측 단말(2)로부터, 수신측 단말(2)의 색역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6)를 취득하고,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변환시키고 나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도 록 하여도 좋다.
색역 변환은, 화상 데이터의 전송원의 디바이스의 색역과 전송처의 색역의 2개의 색역의 차이에 의거하여 행하여진다. 도 1의 예인 경우, 색역 변환은, 송신측 단말(1)의 색역 정보(5)와 수신측 단말(2)의 색역 정보(6)의 양쪽을 이용하여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송신측 단말(1)의 색역(11)보다 수신측 단말(2)의 색역(12)이 좁은 부분(곡선(13)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관해서는, 색역 압축이 필요해진다. 일반적으로, 색역은, 색상을 보존하도록, 채도 및 명도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압축된다.
색역 압축을 행하지 않으면, 송신측 단말(1)의 색역 내의, 수신측 단말(2)의 색역 외의 색(예를 들면 고채도의 색)은, 강제적으로 수신측 단말의 색역의 언저리(緣)의 색으로 표현된다(자연 클립 또는 단순 클립). 예를 들면, 도 3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색역(RGB 공간)에 대해, 그 색역 외에 존재하는 원래의 데이터는, 도 3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색역의 언저리(클립 데이터)로 표현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하늘이 서서히 밝아지는 화상에서 색이 황색 방향에 변화하는(색상 왜곡) 등의 현상이 발생하고, 화상이 시각적으로 매우 부자연스럽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색상 왜곡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색역의 압축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국제 공개 WO1999/055074(대응 US6,560,356) 색상 왜곡의 발생을 억제하는 색역 압축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색상이 동등한 면인 등색상면(等色相面; equal hue plane)을 설정하고, 그 등색상면에 따라 압축하는 색의 채도와 명도를 2차원적으로 이동시키고, 압축 방향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도 4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색역(11)보다 색역(12)이 좁은 부분에 관해 등색상면(21)이 설정되고, 도 4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등색상면(21)에 따라, 압축하는 색의 채도와 명도가 2차원적으로 이동되고, 압축 방향이 변화시켜진다. 등색상면상에서는, 어느 위치로 이동시켜도 색상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색역을 압축시킴에 의해, 색상 왜곡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색역의 표현(포맷)으로서, 등색상면에 그려지는 색역이 간단하게 표현될 수 있으면 일반적인 색역 압축으로 이용하기 쉬운 포맷이라고 말할 수 있다. 색역을 지정하는 포맷은 다양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도 1의 예와 같이,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송신측 단말(1)의 색역(11)이 수신측 단말(2)에서 적절하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송신측 단말(1)이 대응 가능한 색역이, 수신측 단말(2)이 대응 가능한 색역보다도 넓은 경우, 전송된 화상 데이터의 색역이 수신측 단말(2)의 색역보다도 넓게 되는 일이 있다. 그 경우, 수신측 단말(2)에서 화상을 올바르게 표현시키기 위해서는, 전송시키는 화상 데이터의 색역에 관해, 색역 압축 등의 색역 변환 처리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색역 포맷에서는, 등색상면에 그려지는 색역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번잡한 연산 처리가 필요해지고, 색역 변환 처리의 부하가 증대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고, 색역 변환 처리의 알고리즘에 대한 친화성을 향상시킨,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색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등색상면에 관해 각 등색상면에서의 최고채도점을 나타내는 테이블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를 생성하는 색역 정보 생성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 정보는, 각 등색상면에서의 상기 최고채도점을 휘도치 및 채도 치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테이블 정보는, 각 등색상면에서의 상기 최고채도점을 휘도치 및 색차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테이블 정보는, 상기 최고채도점을 나타내는 상기 등색상면의 색상을 인덱스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색역 정보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색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변환하는 색역 변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역 정보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색역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용의 포맷의 상기 색역 정보인 전송 색역 정보를 생성하는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색역 정보는, 상기 색역의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색역 지정 정보, 및, 상기 색역의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색역 본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역 지정 정보는, 기지(旣知)의 색역 또는 상기 기지의 색역 이외의 색역을 지정하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역 본체 정보는, 상기 색역 정보, 및 상기 색역 정보에서의 상기 색역의 범위의 지정 방법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전송 색역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방법은: 복수의 등색상면에 관해 각 등색상면에서의 최고채도점을 나타내는 테이블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제공되는데,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복수의 등색상면에 관해 각 등색상면에서의 최고채도점을 나타내는 테이블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해, 복수의 등색상면에 관해 각 등색상면에서의 최고채도점을 나타내는 테이블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가 생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색역을 제공할 수 있다.
최초에, 일반적인 색역, 및, 그 색역의 범위의 지정 방법(색역 포맷)의 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인덱스 지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인덱스 지정은, 식별 정보에 의해 색역을 지정하는 색역 포맷이다. 미리, 자주 사용되는 범용의(기지의) 색역을 몇가지 준비하고,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되는 표(101)와 같이, 각 색역에 인덱스(식별 정보)를 할당하여 둔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사이에서 색역 정보를 교환하는 경우, 그 인덱스(도 5의 예인 경우, 수치 데이터)만을 전송시킨다. 인덱스를 수신한 장치는, 도 1에 도시되 는 표(101)에 의거하여, 인덱스에 대응하는 색역을 특정할 수 있다. 즉, 인덱스를 이용하여 색역의 종류를 특정한 것만으로 색역의 범위가 특정되기 때문에, 디바이스는, 하나의 수치만으로 색역의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도 5의 표(101)인 경우, 입력 디바이스(input device)에 인덱스로서 수치 "0"이 할당되고, sRGB(standard RGB)에 인덱스로서 수치 "1"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AdobeRGB(상표)에 인덱스로서 수치 "2"가 할당되고, WideRGB에 인덱스로서 수치 "3"이 할당되고, DCI-P3에 인덱스로서 수치 "4"가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면, WideRGB 색역 정보를 지정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수치 "3"만 송신하면 좋다. 즉, 인덱스로 지정되는 색역은, 기본적으로 미리 정하여진 규격의 색역이고, 그 색역명에 의해 색역의 범위가 정하여진다. 예를 들면, 수치 "1"이 할당된 sRGB는, IEC(국제전기표준회의)가 1998년 10월에 책정한, 색공간의 국제 표준 규격이다. 이 sRGB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의 기종의 차이나, 디스플레이나 프린터 등 기기의 차이 등의 다른 환경 사이에서 색의 재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하여진 색공간이다. 이 sRGB는, CRT 디스플레이의 색역을 베이스로 책정되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와 퍼스널 컴퓨터, 디스플레이, 프린터가 전부 sRGB에 대응하고 있으면, 촬상한 화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인쇄하거나 할 때에, 특히 어떤 처리를 시행하는 일 없이 현색(顯色)을 일치시킬 수 있다. sRGB는 다른 색공간에 비하여 표현할 수 있는 색의 범위가 좁고, 에메랄드그린, 진한 시안, 오렌지, 밝은 적색이나 황색 등은 표현 불가능하다. 이때문에, 사진이나 그래픽 디자인을 전문적으로 취급한 프로 용도 등에는 부적합하다.
단, 범위가 애매한 색역을 인덱스 지정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치 "0"이 할당된 입력 디바이스는, 동화상이나 정지화상을 생성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입력 디바이스의 색역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의 색역은 매우 넓고, 구체적으로 영역 지정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덱스 지정함에 의해, "인간의 눈으로 보는것과 동등하게 매우 넓은 색역"라고 말하는 것과 같은, 애매한 범위의 색역으로서 지정할 수 있다. 이 수치 "0"을 인덱스로서 수취한 디바이스는, 입력 색역이 매우 넓은 것을 상정하여 자신의 색역만에 주력하여 적절하게 색역 압축을 행할 수가 있다.
물론, 이 인덱스는 수치가 아니라도 좋고, 예를 들면, 알파벳 등의 문자나 기호라도 좋다. 또한, 인덱스를 할당하는 색역의 수는 임의이다.
도 6은, 색도(chromaticity) 지정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색도 지정은, 색도 데이터로 색역의 범위를 표현하는 색역 포맷이다. 예를 들면, 표시 디바이스와 같은 가법(加法) 혼색성이 성립된 디바이스인 경우, 삼원색(적(R), 녹(G), 청(B)) 및 백색점으로 이루어지는 색도 데이터로, 색역을 정의할 수 있다. 환언하면, 표시 디바이스는, 표현 가능한 색을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는 색공간의 수치(XYZ나 CIELAB 등)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행렬을, 삼원색 및 백색점으로 이루어지는 색도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RGB의 색역을 표현 가능한 디스플레이인 경우, 색도 정보는, 도 6의 표(111)와 같이 표시된다. 3색 이상의 표시 디바이스인 경우, 색도 정보는, 그 기저(基底)가 되는 원색 모든 색과 백색에 의해 구성된다. 색도로서는, x, y색도, u, v색도, u', v'색도 등, 다양한 색도 정보가 생각된다. 이 색역 포맷은, ICC(International Color Consortium) 프로파일에 채용되어 있다.
ICC 프로파일이란, ICC라는 기관이 정의해 있는 화상 디바이스의 특성을 기술한 파일이고, 통상, 하나의 화상 파일을 출력할 때에는, 입력 디바이스용 ICC 프로파일과 출력 디바이스용 ICC 프로파일의 2개의 프로파일을 필요로 한다. 입력 디바이스용의 ICC 프로파일은 화상 파일에 매입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 화상을, PC(Personal Computer)를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에 출력할 때, PC상의 ICC 프로파일을 서포트한 어플리케이션은, 출력 디바이스의 ICC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색역 매칭을 행하여 화상을 출력한다. 이 방법은 PC를 이용하여 화상 처리 변환을 하던지, 출력 디바이스측에서 ICC 프로파일을 서포트하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다.
다음에, 3D-LUT 지정에 관해 설명한다. 인쇄 디바이스와 같은, 단순히 가법 혼색성이 성립되지 않는 디바이스인 경우, 그 색역의 형상도 복잡하게 된다. 도 7은, CIELAB중에 정의된 색역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어떤 인쇄 디바이스의 색역을 CIELAB 공간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 디바이스의 색을, 색역을 표현하는 색공간(예를 들면 CIELAB 등) 중에 정의한 격자점(格子點)에 대해, 정부(正負)의 플래그를 지정하는 테이블 등을 이용하여, 색역을 표현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3차원 룩 업(Look-up) 테이블(3D-LUT)의 형을 취한다. 3D-LUT 지정은, 이와 같은 3D-LUT를 이용하여 색역의 범위를 지정하는 색역 포맷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ICC 프로파일의 gamutTag으로서 채용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되는 룩 업 테이블에서, GamutFlag는, 1비트의 플래그 정보이다. 이 플래그의 값이 "1"의 항(項)이 나타내는 색은 색역 내에 존재하고, 이 플래그의 값이 "0"의 항이 나타내는 색은 색역 외에 존재한다.
다음에, 폴리곤 지정에 관해 설명한다. 폴리곤은, 입체의 형상을, 폴리곤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색역 포맷이고,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 등에서 자주 이용된다. 즉, 폴리곤 지정은, 색역을 3차원 공간에 입체로서 표현하고, 그 입체 형상, 즉, 색역의 범위를, 폴리곤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폴리곤 지정에서는, 도 9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다각형의 정점(頂点)의 좌표를 CIELAB 등의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는 색공간으로 나타내는 표(141)와, 각 다각형(도 9의 예인 경우, 삼각형)의 정점 번호의 표(142)에 의해 색역이 지정된다. 도 9의 B에 도시된 그래프(143)는, 도 9의 A의 표(141) 및 표(142)를 시각화한 것이다. 3D-LUT 지정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색역 형상이 복잡한 경우에 이용 가능하다.
이상에 설명한 각 색역 지정 방법의 특징을, "용량", "표현 가능한 형상", 및 "색역 압축 알고리즘과의 친화성"라는 점에 관해 도 10의 표(151)에 정리하였다.
도 10의 표(151)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용량"에 관해서는, 인덱스 지정이, 인덱스만으로 색역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유리하다(정보량을 가장 적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색역 지정을 위한 통신의 부하도 가장 작게 할 수 있다. 색도 지정인 경우, 색역을 지정하는 정보는, 기본 원색의 색도 정보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용량은, 인덱스 지정만큼은 아니지만 작다. 따라서 통신 부하도 작다. 3D-LUT 지정이나 폴리곤 지정인 경우, "색도 지정"으로 표현 가능한 RGB 표시 디바이스의 색역을 표현하는 경우라도, "색도 지정"의 경우의 10배 이상의 용량을 필요로 하고, 불리하다(정보량이 많다). 따라서 통신의 부하도 크다.
또한, 3D-LUT 지정이나 폴리곤 지정인 경우, 용량은, 표현하는 색역의 범위의 형상의 복잡함에 의존한다. 즉, 표현하는 색역의 범위의 형상이 복잡하게 될수록, 용량이 커진다(불리해진다).
도 10의 표(151)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표현 가능한 형상"에 관해서는, 폴리곤 지정이 가장 유리하다(보다 다양한 형상을 표현할 수 있다). 폴리곤 지정인 경우, 형상을 면으로 직접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면(폴리곤)을 세분하여 감에 의해, 3D-LUT 지정인 경우보다도 정밀도 좋고 매끄럽게 형상을 표현할 수 있다(보다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3D-LUT 지정인 경우, 일반적이고 기지의 색공간을 갖는 디바이스나, 표시 디바이스와 같은 가법 혼색성이 성립된 디바이스 외에, 감법(減法) 혼색 베이스의 인쇄 디바이스 등의 복잡한 형상의 색역도 표현할 수 있다. 색도 지정인 경우, 표시 디바이스와 같은 가법 혼색성이 성립된 디바이스의 색역을 표현할 수 있다. 실제로는, 개략 RGB계의 색공간으로 한정된다. 인덱스 지정인 경우, 일반적이고 기지의 색공간의 디바이스의 색역을 표현할 수 있다. 실제로는, 개략 RGB계의 색공간으로 한정된다.
도 10의 표(151)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색역 압축 알고리즘과의 친화성"에 관해서는, 어느 방법도 유리하지 않다. 인덱스 지정이나 색도 지정인 경우, 등색상 면의 형상 계산할 때, 최고채도점(Cusp)을 산출하는데도 번잡한 연산이 필요해진다. 3D-LUT 지정인 경우, 3차원 테이블로부터 등색상면도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각 격자점의 색상 정보로부터 등색상의 정보를 보간(補間)하여 구하는 등, 매우 복잡한 계산이 필요해진다. 폴리곤 지정인 경우, 폴리곤 입체로부터 등색상 영역의 변(邊)의 정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면 정보로부터 변 정보 계산을 위한 변환 계산, 등색상면 정보의 보간 등, 복잡한 계산이 필요해진다.
이상과 같이, "색역 압축 알고리즘과의 친화성"이 낮으면, 색역 변환 등을 할 때에 필요한 연산량이 증대하고, 그 부하가 증대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하에, 이 "색역 압축 알고리즘과의 친화성"을 종래의 색역 포맷보다도 향상시키고, "용량"이나 "표현 가능한 형상"에 대해서도 기존의 것에 손색이 없는 레벨의 색역 포맷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색역 포맷인 Cusp 테이블 지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usp 테이블 지정은, 색역 압축 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등색상면을 직접 표현함에 의해 "색역 압축 알고리즘과의 친화성"을 종래의 색역 포맷보다도 향상시킬 수 있는 색역 포맷(색역 지정 방법)이다. 또한, Cusp 테이블 지정은, "용량"이나 "표현 가능한 형상"에 대해서도 기존의 포맷과 동등한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이 Cusp 테이블 지정인 경우, 색역 압축 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등색상면이 직접 지정되기 때문에, 색역 압축시에, 복잡한 계산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의 A와 같이, 어떤 표시 디바이스의 색역(201)을, 어느 YCC 공간(200)으로 표현한 때에, 등색상 평면으로 절단한 절단 평면(202)은, 도 11의 B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축을 휘도(Y), 횡축을 채도(C)로 한 YC 2차원 평면(210)이 된다. 이 평면형상에서의 색역 형상은, 최고채도점(Cusp)의 YC 좌표를 알 수 있으면, 백점(白点), 흑점(黑點), Cusp점을 잇는 삼각형(211)으로 근사(近似) 가능하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몇가지의 대표 색상면에서의 Cusp점의 YC 좌표를 수치 테이블로서 보존하고 있으면, 디바이스의 색역을 근사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색역 포맷을 Cusp 테이블 지정이라고 칭한다.
Cusp 테이블의 용량은, 보존하는 대표 색상의 수에 의존하지만, 특히 표시 디바이스계는, 적, 녹, 청, 시안, 마젠타, 옐로의 6점의 Cusp 정보만으로, 상당히 정밀도가 좋은 색역의 근사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1의 C에 도시되는 Cusp 테이블(221)은, 그 대표 6색상을 YCH(휘도, 채도, 색상) 좌표로 표시한 테이블이고, 도 11의 D에 도시되는 Cusp 테이블(231)은, 대표 6색상을 YCbCr(휘도, 색차 정보) 좌표로 표시한 테이블이다.
Cusp 테이블에 포함되는 대표 색상(도 11의 C 및 D의 예인 경우 대표 6색상) 이외의 색상의 Cusp 정보는, 그 부근의 Cusp 정보로부터 선형(線形) 보간 등에 의해 산출된다. 여기서 사용하고 있는휘도, 색차, 색상, 및 채도 정보는, YCC 공간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휘도·색차 공간(예를 들면 CIELAB, CIELUV 등)에서의 휘도, 색차, 색상, 채도 정보에 준하는 정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usp 테이블을 구성하는 색상(대표 색상)은, 상술한 대표 6색상 이외의 색상을 이용하여도 물론 좋다. 즉, 임의의 색상을 대표 색상으로 할 수 있다(임의의 색상을 이용하여 Cusp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되는 Cusp 테이블(241)과 같이, 미리 정하여진 소정의 간격(즉 동일 간격)의 색상을 대표 색상으로 하여도 좋다. 도 12에 도시되는 Cusp 테이블(241)은, 5도(度) 간격으로 H(색상)를 대표 색상으로 하고, 그 대표 색상마다의 Y(휘도)와 C(채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그래프(242)는, 그 Cusp 테이블(241)의, H(색상)에 대한 Y(휘도)의 변화를 그래프화한 것이다. 그래프(243)는, Cusp 테이블(241)의, H(색상)에 대한 C(채도)의 변화를 그래프화한 것이다.
이 Cusp 테이블(241)에 표시되는 색역을 YCrCb 공간(250A)에 표현하면, 예를 들면, 색역(251)과 같이 된다. 그래프(250B)는, YCrCb 공간(250A)을 Y축에 따라 도면중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Y축 순방향으로) 본 경우의 색역(251)의 형상을 나타낸다. 그래프(250C)는, YCrCb 공간(250A)을 Y축에 따라 도면중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Y축 역방향에) 본 경우의 색역(251)의 형상을 나타낸다. 이들의 그래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Cusp 테이블(241)은, 복잡한 형상의 색역을 표현할 수 있다. 즉, 대표 색상을 등간격으로 함에 의해, 대표 색상이 특정한 색역에 특화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복수의 색역이 합성되는 복잡한 형상의 색역도 정밀도 좋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바이스를 가상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그 가상 출력 디바이스의 색역은, 당연히 가상적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가상적인 색역은, 다양한 출력 디바이스를 상정하기 때문에, 복수의 색역을 조합시키는 넓고 복잡한 형상의 색역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가상적인 색역으로 색역 변환을 행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같이, 동일 간격의 대표 색상에 의해 구성되는 Cusp 테이블을 이용함에 의해, 그 가상적인 색역을 용이하게 정밀도 좋게 표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Cusp 테이블 지정의 "용량", "표현 가능한 형상", 및 "색역 압축 알고리즘과의 친화성"에 관한 특징을 도 13의 표(261)에 표시한다.
표(261)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Cusp 테이블 지정인 경우, "용량"의 크기는 색상의 잘게 써는 정밀도(대표 색상의 간격)에 의존한다. 그러나, "3D-LUT 지정"이나 "폴리곤 지정"의 경우와 비교하면, 대표 색상의 Cusp점을 지정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Cusp 테이블 지정인 경우 쪽이, 현격하게 적은 용량으로 표현 가능하다. 즉, Cusp 테이블 지정인 경우의 쪽이, "3D-LUT 지정"이나 "폴리곤 지정"의 경우보다도 정보량이 적다. 따라서, 통신의 부하(색역 정보 전송의 부하)도 작다. 즉, Cusp 테이블 지정인 경우, "용량"이 작고, 통신의 부하도 작기 때문에 유리하다.
또한, 표(261)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Cusp 테이블인 경우, 기지의 색공간이나, 가법 혼색계 RGB 디바이스 색역뿐만 아니라, 가(假)출력 디바이스 색역과 같은, 복수의 색역의 합성 색역과 같은 특수한 색역도 표현할 수 있다. 감법 혼색 디바이스와 같은 복잡한 형상의 색역은, 완전히는 표현 불가능하지만, 가법 혼색계 RGB 디바이스에 관해서는, "3D-LUT 지정"과 비교하여도 정밀도 좋게 색역 형상을 표현할 수 있다. 즉, Cusp 테이블인 경우, "표현 가능한 형상"이 다양하고 유리하다.
또한, 표(261)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Cusp 테이블인 경우, Cusp 정보를 직 접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등색상면의 2차원 색역 표현이 매우 용이하고, 복잡한 연산 없이, 색역 압축 알고리즘을 곧바로 이용할 수 있다. 즉, Cusp 테이블인 경우, "색역 압축 알고리즘과의 친화성"이 매우 높고, 매우 유리하다.
실제로는, 표시 디바이스의 색역의 쪽이, 인쇄 디바이스보다도 다양하고, 규격화되지 않은 특수한 색역, 인덱스 지정 불가능한 색역인 것이 많다. 따라서 Cusp 테이블 지정, 3D-LUT 지정, 및 폴리곤 지정은, 표시 디바이스의 색역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즉, 표시 디바이스의 색역을 정밀도 좋으면서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D-LUT 지정인 경우, 격자점 간격을 매우 미세하게 취하지 않으면, 등색상면의 정보를 얻기 위한 보간 오차가 커진다. 이에 대해, Cusp 테이블 지정은, 테이블의 색상 간격을 어느 정도 세분하는 것만으로 정밀도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용량도 3D-LUT 지정인 경우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Cusp 테이블 지정인 경우의 정밀도는, 폴리곤 지정인 경우와 비교하면 동등하지만, 그 용량은 분명히 Cusp 테이블 지정인 경우의 쪽이 작다.
도 14에, 각 포맷의, 색역 압축시의 연산의 양상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되는 예와 같이, 화상 데이터(301)에 대해 색역 압축(302)을 행하고, 색역 압축된 화상 데이터(303)를 생성하는 경우, 그 색역 압축(302)을 위해, 색역을 나타내는(지정하는) 색역 정보가 참조된다. 이 색역 정보의 포맷이 폴리곤 지정(311)인 경우, 색역 압축(302)을 행하는 디바이스는, OpenGL 등을 사용하여 다면체를 전개하고, 등색상의 경계를 해석하고, 그 경계에서의 Cusp점을 산출하고, Cusp 테이블 을 생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색역 정보의 포맷이 3D-LUT 지정(312)인 경우, 색역 압축(302)을 행하는 디바이스는, Convex hull 등을 사용하여 표면 입체를 전개하고, 등색상의 경계를 해석하고, 그 경계에서의 Cusp점을 산출하고, Cusp 테이블을 생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색역 정보의 포맷이 색도 지정(313)인 경우, 색역 압축(302)을 행하는 디바이스는, RGB를 XYZ로 변환하여 기준 6색상(RGB 및 CMY)의 XYZ값을 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색역 압축(302)을 행하는 디바이스는, XYZ를 YCC로 변환하여 기준 6색상과 백, 흑의 YCC 공간에서의 6면체 전개를 행하고, 6색상의 Cusp 정보로부터 필요한 색상의 정보를 보간하여, Cusp 테이블을 생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색역 정보의 포맷이 인덱스 지정(314)인 경우, 색역 압축(302)을 행하는 디바이스는, 인덱스 테이블을 참조하여, 인덱스에 의해 지정되는 색역을 특정하고, 그 색역에 관해, 색도 지정인 경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Cusp 테이블 지정(315)인 경우, 최초부터 Cusp 테이블이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색역 압축(302)을 행하는 디바이스는, 다른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다이렉트로, 그 Cusp 테이블을 이용하여 색역 압축(302)을 행할 수가 있다. 즉, Cusp 테이블 지정(315)은, 다른 지정 방법의 경우보다도 색역 압축 알고리즘에 대한 친화성이 높다. 환언하면, 화상 데이터의 색역 포맷으로서 Cusp 테이블 지정을 이용함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는, 색역 변환 처리의 알고리즘에 대한 친화성을 향상시킨,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색역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화상 데이터를 디바이스 사이에서 전송시키은 경우, 각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색역의 차에 의한 색상 왜곡 등의 이상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색역 변환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많다. 색역 변환을 행하는 경우, 화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상과 같은 색역 포맷의 전송도 필요해진다.
그러나, 각 색역 포맷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이 있고, 한쪽의 디바이스의 색역 포맷이 다른쪽의 디바이스에서도 최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인덱스 지정으로 지정되는 sRGB에서는 색역이 너무 좁은 것도 생각된다. 역으로, 폴리곤 지정에서는, 디바이스의 능력에 대해, 처리의 부하가 너무 큰 것도 생각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색역 포맷으로는 범용성이 낮고, 사용 가능한 시스템이 한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한 Cusp 테이블 지정인 경우, 색상을 직접 표현하기 때문에, 다른 지정 방법의 경우보다도 색역 압축 알고리즘과의 친화성이 높다. 또한, 인덱스 지정에 의해 지정되는 색역과 같이 미리 정하여진 색역도 아니다. 또한, 3D-LUT 지정이나 폴리곤 지정과 같이 색역의 범위의 자유도도 높다. 또한, 용량도, 3D-LUT 지정이나 폴리곤 지정에 비하여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Cusp 테이블 지정은, 그러한 대표적인 다른 색역 포맷보다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Cusp 테이블 지정은, 다른 색역 포맷에 비하여 범용성이 높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를 디바이스 사이에서 전송시키는 시스템의 각 디바이스에서, 이 Cusp 테이블 지정을 색역 포맷으로서 채용함에 의해, 시스템으로서의 범 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보다 시스템의 범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각 디바이스의 색역 포맷의 제한이 없는 쪽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독립한 색역 포맷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끼리라도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역 포맷이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일되어 있는 것이 보증되지 않는 시스템에서는, 단순히 색역 정보를 디바이스 사이에서 교환하여도, 서로 그 색역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인덱스 지정으로 밖에 대응할 수 없는 디바이스에, Cusp 테이블이 공급되어도, 그것이 색역 정보인 것 조차 파악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색역 포맷의 자유도를 높인 시스템에서는, 색역 정보의 교환를 보다 올바르게 행하기 위해, 범용성이 높은 색역 정보의 전송 포맷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사용 가능한 색역 포맷을 하나로 특정하지 않는 시스템에서는, 어떤 포맷의 색역 정보가 전송되어도, 적어도 그것을 색역 정보라고 파악하고, 올바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범용성이 높은 색역 정보의 전송 포맷이 요구된다.
이하에서, 그 색역 정보의 전송 포맷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전송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되는 전송 시스템(400)은, 송신 장치(401)로부터 네트워크(402)를 통하여 수신 장치(403)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시키는 시스템이다.
송신 장치(401)는,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어떤 장치라도 좋고,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입력 디바이스 등, 다양한 장치가 상정된다. 네트워크(402)는, 화상 데이터의 전송 매체이고, 화상 데이터 를 전송 가능한 것이라면 어떤 통신망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인터넷, Eathernet(상표), 또는 공중전화 회선망 등의 각종 규격의 통신망이 이 네트워크(402)로서 상정된다. 또한, 이 밖에에도,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1394, 또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의 각종 규격의 통신망도 이 네트워크(402)로서 상정된다. 또한, 이 밖에에도, 예를 들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이나 Bluetooth(상표)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도 이 네트워크(402)로서 상정할 수 있다. 수신 장치(403)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어떤 장치라도 좋고, 예를 들면, CRT 디스플레이나 LCD 등의 표시 디바이스나, 프린터 등의 인쇄 디바이스 등, 다양한 장치가 상정된다.
송신 장치(401)(또는 송신 장치(401)보다 전단(前段)의 장치)가 표현 가능한 색역과, 수신 장치(403)(또는 수신 장치(403)보다 후단의 장치)가 표현 가능한 색역에 차가 있는 경우, 색상 왜곡 등의 이상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송신 장치(401)로부터 수신 장치(403)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색상 왜곡 등의 이상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송신 장치(401) 또는 수신 장치(403)중 적어도 한쪽에서 필요에 응하여 색역 변환이 행하여진다. 그 색역 변환, 또는, 그 색역 변환의 필요성의 판단을 위해, 송신 장치(401)와 수신 장치(403) 사이에서 색역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의 교환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송신 장치(401)에서 색역 변환이 행하여지는 경우, 송신 장치(401)는, 화상 데이터 송신 전에, 수신 장치(403)가 표현 가능한 색역을 나타내 는 색역 정보를 취득하고, 필요에 응하여, 그 색역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역 변환을 행한다. 그리고, 송신 장치(401)는, 그 색역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 장치(403)에 송신한다.
또한, 예를 들면, 수신 장치(403)에서 색역 변환이 행하여지는 경우, 송신 장치(401)는, 화상 데이터와 함께, 송신 장치(401)가 표현 가능한 색역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 즉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한다. 수신 장치(403)는, 필요에 응하여, 그 색역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자기 자신이 표현 가능한 색역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색역 정보의 전송에서, 송신 장치(401) 및 수신 장치(403)는, 색역 정보를, 후술하는 전송용 포맷에 의해 전송시킨다. 이 전송용 포맷을 이용함에 의해, 송신 장치(401) 및 수신 장치(403)는, 색역 정보의 전송의 범용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다양한 장치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색역 정보를 전송시킬 수 있다. 환원하면, 전송 시스템(400)(송신 장치(401) 및 수신 장치(403))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색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되는 네트워크 시스템(410)은, 도 15의 전송 시스템(400)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도 16의 네트워크 시스템(410)은, 도 15의 전송 시스템(400)에 대응한다. 또한, 도 16의 비디오 카메라(411)는, 도 15의 송신 장치(401)에 대응한다. 도 16의 HDMI 케이블(412)은, 도 15의 네트워크(402)에 대응한다. 도 16의 LCD(413)는, 도 15의 수신 장치(403)에 대응한다.
비디오 카메라(411)는, 송신 장치(401)의 기능을 포함하고, 촬상한 화상 데 이터(정지화 또는 동화)를, HDMI 케이블(412)을 통하여 LCD(413)에 공급한다. LCD(413)는, HDMI 케이블(412)을 통하여 비디오 카메라(411)에서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411)가 표현 가능한 색역(비디오 카메라(411)에서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의 색역)과, LCD(413)가 표현 가능한 색역은, 서로 다른다. 그 때문에, 네트워크 시스템(410)에서는, 비디오 카메라(411) 또는 LCD(413)의 어느 한쪽에서, 필요에 응하여 색역 변환을 행한다. 그 때문에, 네트워크 시스템(410)에서는, 비디오 카메라(411)와 LCD(413)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색역 정보도 교환된다.
이때, 비디오 카메라(411)와 LCD(413)가, 색역 정보를 보다 범용적인 전송용 포맷으로 전송시킴에 의해, 비디오 카메라(411)와 LCD(413)의 색역 정보에 관해, 포맷에 의한 제한이 불필요해진다. 즉, 비디오 카메라(411)와 LCD(413)의 색역 정보의 포맷에 의하지 않고 네트워크 시스템(410)을 실현할 수 있다. 환언하면, 비디오 카메라(411)는, 보다 다양한 표시 디바이스에 대해, 색상 왜곡 등의 이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보다 정확하게 표현시키도록,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전송 시스템(400)(도 16의 네트워크 시스템(410))에서, 색역 변환을 송신측에서 행하는지 수신측에서 행하는지는 임의이다. 예를 들면, 미리 정하여져 있어도 좋고,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결정되도록 하여도 좋고, 유저 등의 지시에 의거하여 결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7은, 도 15의 송신 장치(401)의 주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에서, 송신 장치(401)는, 입력 유닛(421),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 색역 처리 유닛(423),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 컨텐츠 파일 생성 유닛(425), 및 통신 유닛(426)을 갖는다.
입력 유닛(421)은, 예를 들면, 카메라 등의 입력 디바이스나 외부 입력단자 등으로 이루어지고,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외부의 기기로부터 취득하거나 한다. 또한, 입력 유닛(421)은, 각종 버튼, 키보드, 터치 패널 등의 입력 디바이스나 외부 입력단자도 포함하고, 유저나 외부 기기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한다.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은,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의 색역 및 그 색역의 범위의 지정 방법(즉 색역 포맷)을 결정한다. 이때,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은, 입력 유닛(421)에서 접수된 유저나 외부 기기의 지시나, 통신 유닛(426)을 통하여 수신된 수신 장치(403)의 색역 정보 등에 의거하여, 색역 포맷의 결정을 행한다. 또한,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은, 기존의 색역 정보(색역 포맷)를 지정할 수도 있고, 새롭게 색역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은, 입력 유닛(421)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색역과, 수신 장치(403)(또는 그 후단의 출력 디바이스)가 표현 가능한 색역을 비교한다. 또한,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은, 그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역의, 수신 장치(403)가 표현 가능한 색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소정의 방법으로 색역 압축한 새로운 색역(색역 포맷)을 구하고, 그것을 화상 데이터의 색역으로서 결정한다. 즉, 이 경우,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은, 새롭게 색역 정보를 생성한다.
물론, 이 경우 이외에도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은, 새롭게 색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은, 입력 유닛(421)으로부터 공급된 색역을 지정하는 정보를 접수하고, 그 지정된 색역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를, 화상 데이터의 색역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결정"에는, 기존의 색역 정보의 "선택"뿐만 아니라, "신규 작성"도 포함된다.
색역 처리 유닛(423)은, 입력 유닛(421)으로부터 공급된 컨텐츠 데이터의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필요에 응하여,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에서 결정된 색역 포맷(색역의 범위)으로 색역 변환한다. 예를 들면, 색역 처리 유닛(423)은, 화상 데이터의 색역의,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으로부터 공급된 색역의 외측의 부분을 소정의 방법으로 색역 압축한다.
또한,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은, 예를 들면, 유저 지시 등에 의거하여, 수신 장치(403)가 표현 가능한 색역 이외의 색역을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은, 화상 데이터의 화상을 출력하는 출력 디바이스(의 색역)를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않고, 가상적으로 출력 디바이스의 색역으로서 설정한 색역을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와 같이, 색역의 범위가 무한으로 할 수 있을 정도로 넓은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 디바이스에 공급하면, 출력 디바이스가 완전히 대응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출력 디바이스의 고장을 일으킬 우려도 있다. 그래서, 송신 장치(401)에서 수신 장치(403)(출력 디바이스)를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않고, 범위가 유한한 색역을 가상적으로 설정하고,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그 가상적인 색역으로 압축하도록 한다. 이로써, 화상 데이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수신 장치(403)에서의 고장의 발생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수신 장치(403)는, 가상적인 색역의 범위를, 실제의 출력 디바이스의 색역보다 넓게 설정함에 의해, 불필요한 색역 압축을 억제하고, 불필요한 화질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에 의해 결정된 색역 포맷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를, 범용적인 전송 포맷으로 변환한 전송 색역 정보를 생성한다. 컨텐츠 파일 생성 유닛(425)은, 색역 처리 유닛(423)으로부터 공급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파일화하고, 그 컨텐츠 파일 내에,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송 색역 정보를 격납한다.
또한, 전송 색역 정보를, 직접 컨텐츠 파일 내부에 작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경우,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 및 컨텐츠 파일 생성 유닛(425)이 일체화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면, 일체화된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 및 컨텐츠 파일 생성 유닛(425)을 컨텐츠 파일 생성 유닛이라고 칭한다. 그 컨텐츠 파일 생성 유닛은, 색역 처리 유닛(423)으로부터 공급된 컨텐츠 데이터를 파일화한다. 또한, 그 컨텐츠 파일 생성 유닛은, 그 파일 안에,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에 의해 결정된 색역 정보(또는 색역 정보를 지정하는 정보)를, 범용적인 전송 포맷으로 기술한다.
통신 유닛(426)은, 수신 장치(403)와 네트워크(402)를 통하여 통신을 행하고, 정보의 교환를 행한다. 예를 들면, 통신 유닛(426)은, 컨텐츠 파일 생성 유 닛(425)으로부터 공급되는 컨텐츠 파일을 패킷화하여 수신 장치(403)에 송신한다. 또한, 예를 들면, 통신 유닛(426)은, 수신 장치(403)로부터 공급되는 전송 색역 정보(실제로는 패킷화 되어 있다)를 수신하고, 그 중에서 수신 장치(403)의 색역 정보를 추출하여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에 공급한다.
도 18은, 도 15의 수신 장치(403)의 주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에서, 수신 장치(403)는, 통신 유닛(441), 입력 유닛(442),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 컨텐츠 처리 유닛(444), 색역 처리 유닛(445), 및 출력 유닛(446)을 갖는다.
통신 유닛(441)은, 송신 장치(401)와 네트워크(402)를 통하여 통신을 행하고, 정보의 교환를 행한다. 예를 들면, 통신 유닛(441)은, 입력 유닛(442)을 통하여 유저나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또는 지정된), 또는, 색역 처리 유닛(445)으로부터 공급되는, 수신 장치(403)가 표현 가능한 색역 정보를, 범용적인 전송 포맷으로 변환한다. 또한, 통신 유닛(441)은, 그 전송 색역 정보를 패킷화하여 송신 장치(401)에 송신한다. 또한, 예를 들면, 통신 유닛(441)은, 송신 장치(401)로부터 공급된 컨텐츠 파일(실제로는 패킷화 되어 있다)을 수신하고, 그 컨텐츠 파일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것을 컨텐츠 처리 유닛(444)에 공급한다. 또한, 예를 들면, 통신 유닛(441)은, 송신 장치(401)로부터 공급된 컨텐츠 파일로부터 전송 색역 정보를 추출하고, 그것을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에 공급한다.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통신 유닛(44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송 색역 정보를 해석하고, 송신 장치(401)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특정한 다. 컨텐츠 처리 유닛(444)은, 통신 유닛(441)으로부터 공급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고, 화상 데이터를 색역 처리 유닛(445)에 공급한다. 색역 처리 유닛(445)은,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으로부터 공급되는 색역 정보, 및, 수신 장치(403)(또는 후단의 출력 디바이스)가 표현 가능한 색역에 의거하여, 필요에 응하여 컨텐츠 처리 유닛(444)으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변환한다.
출력 유닛(446)은, 예를 들면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가지며, 색역 처리 유닛(445)으로부터 공급된 컨텐츠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출력 유닛(446)은, 외부 출력 단자를 가지며, 색역 처리 유닛(445)으로부터 공급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외부의 기기에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술한, 범용성을 높이기 위한, 색역 정보의 전송 포맷(전송 색역 정보)에 관해 설명한다. 도 19의 A 및 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컨텐츠 파일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송신 장치(401)의 컨텐츠 파일 생성 유닛(425)은, 컨텐츠 데이터 및 색역 정보를 전송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도 19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구성의 파일을 생성한다. 도 19의 A에서, 영상 컨텐츠(450)는, 헤더(451), 색역 본체 정보(452), 및, 컨텐츠 본체(453)에 의해 구성된다. 헤더(451)는, 영상이나 음성 등의 컨텐츠 데이터를 파일화한 것이고, 각종 데이터의 헤더 정보를 포함한다. 색역 본체 정보(452)는, 색역 정보 자신의 상세한 정보를 포함한다. 컨텐츠 본체(453)는,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한다.
영상 컨텐츠(450)는, 컨텐츠 데이터의 색역 정보를 전송 포맷으로 격납한다. 색역 정보는, 전송 포맷에서는, 헤더로서의 색역 지정 정보와 페이로드로서의 색역 본체 정보에 의해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색역 본체 정보(452)는 헤더(451) 및 컨텐츠 본체(453)에 부가된다. 이에 대해, 색역의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색역 지정 정보(460)는, 헤더(451)에 격납된다.
색역 지정 정보(460)는, 색역의 특징을 나타내는 밸류(Value)(461)와, 색역 본체 정보(452)의 격납 장소를 나타내는 어드레스(Address)(462)에 의해 구성된다. 색역 본체 정보(452)는, 색역의 포맷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맷 정보(471), 및, 색역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색역 정보(472)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색역 본체 정보(452)의 위치는 임의이고, 컨텐츠 본체(453)의 뒤에 부가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9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컨텐츠 본체(453)에 격납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9의 A에 도시되는 구성예와 도 19의 B에 도시되는 구성예에서는, 색역 본체 정보(452)의 위치가 다른 이외는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도 19의 A에 관한 설명은 기본적으로 도 19의 B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9의 A의 예와 도 19의 B의 예를 나누어서 설명할 필요가 없는 한, 도 19의 A에 도시되는 구성예에 관해 설명한다.
단, 도 19의 B와 같이, 색역 본체 정보(452)를 컨텐츠 본체(453)에 격납하도록 한 경우, 화상 데이터(특히 동화 등)가 미디어로부터 판독되어 로드될 때마다, 색역 정보도 판독되게 된다. 그러나 통상의 경우, 색역 정보는, 최초에 기동시에 1회 판독되면 충분한다. 도 19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컨텐츠 본체(453)와 색역 본체 정보(452)를 나눔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로드할 때에 디바이스가 컨텐츠 본 체(453)만을 판독할 수 있도록 된다. 이로써, 이와 같은 불필요한 처리의 중복을 피할 수 있고,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20의 A 및 B는, 색역 지정 정보(460)의 내부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밸류(461)와 어드레스(462)는, 각각, 예를 들면 64비트의 정보로 구성된다. 표(481)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의 색역 포맷이 인덱스 지정인 경우, 밸류(461)에는, 사용되는 기지의 색역에 할당된 인덱스의 수치가 설정된다. 도 20의 A의 예에서, 수치 "0"이 밸류(46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영상 컨텐츠(450)의 화상 데이터가 입력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인 것(즉, 화상 데이터의 색역이 매우 넓은 것)을 나타낸다. 또한, 수치 "1"이 밸류(46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영상 컨텐츠(450)의 화상 데이터의 색역이 sRGB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수치 "2"가 밸류(46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영상 컨텐츠(450)의 화상 데이터의 색역이 AdobeRGB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수치 "3"이 밸류(46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영상 컨텐츠(450)의 화상 데이터의 색역이 WideRGB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화상 데이터의 색역이 표준적인 기지의 색역이 아니고, 인덱스 지정이 아닌 경우, 밸류(461)에는, 값 "FFFF"가 설정된다.
이와 같이, 밸류(461)의 값이 "FFFF"이고, 화상 데이터의 색역이 예외의 색역인 경우, 그 색역의 범위가 미지(未知)이기 때문에, 어떤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나타낼 필요가 있다. 그래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색역 정보가 색역 본체 정보(452)에 격납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색역 포맷이 인덱스 지정이 아닌 경우 만, 이 색역 본체 정보(452)가 참조된다.
즉, 헤더(451)에 색역 지정 정보로서, 인덱스 지정과 마찬가지의 정보를 준비하고, 색역 포맷을 확인하는 디바이스에 대해, 우선 "인덱스 지정"부터 확인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밸류(461)에서 "인덱스 지정"에 의해 색역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디바이스는, 불필요한 다른 정보를 참조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색역을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밸류(461)는, 상술한 바와같이, 값 "FFFF"를 설정함에 의해, "인덱스 지정" 이외의 색역 포맷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인덱스 지정"보다도 이 전송 포맷의 쪽이, 범용성이 높다.
또한, 밸류(461)에 값 "FFFF"가 설정되는 경우(색역 포맷으로서 인덱스 지정 이외가 지정되는 경우), 어드레스(462)에는, 색역 본체 정보(452)의 어드레스(위치)를 지정하는 정보가 격납된다.
즉, 밸류(461)와 어드레스(462)에는, 도 20B에 도시되는 표(482)와 같이 값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의 색역의 포맷이 인덱스 지정인 경우,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표(482)에 표시되는 값 "0" 내지 값 "XXX"중에서, 도 5의 인덱스에 상당하는 값을 선택하고, 그것을 밸류(461)로 설정한다. 이때, 색역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어드레스(462)에는, 색역 본체 정보(452)의 참조가 불필요한 것 나타내는 값 "0"이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의 색역의 포맷이 인덱스 지정 이외의 포맷인 경우,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표(482)에 표시되는 바와 같 이, 밸류(461)에 값 "FFFF"를 설정한다. 또한, 이때, 색역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어드레스(462)에는, 색역 본체 정보(452)의 어드레스가 설정된다. 이 어드레스(462)를 이용함에 의해, 색역 본체 정보(452)를 영상 컨텐츠(450)의 임의의 위치에 부가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밸류(461)의 값이 "FFFF"인 경우, 어드레스(462)를 참조하여, 그 어드레스 값에 의거하여 색역 본체 정보(452)를 참조한다.
도 21의 A 및 B는, 색역 본체 정보(452)의 내부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포맷 정보(471)에는, 색역 정보의 포맷(색역 지정 방법)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가 설정된다. 도 21의 A에 도시되는 표(491)와 같이, 미리 기지의 포맷(색역 지정 방법)에, 식별 정보(예를 들면 서로 다른 수치)가 각각 할당되어 있다. 색역 지정 방법은, 인덱스 지정 외에도, 예를 들면 상술한 색도 지정, 3D-LUT 지정, 폴리곤 지정, 및 Cusp 테이블 지정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색도 정보 지정에는 값 "0"이 할당되고, Cusp 테이블 지정에는 값 "1"이 할당되고, 3D-LUT 지정에는 값 "2"가 할당되고, 폴리곤 지정에는 값 "3"이 할당된다.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이와 같이 미리 할당된 값중에서, 화상 데이터의 색역의 포맷에 대응하는 수치를 선택하고, 포맷 정보(471)로서 색역 본체 정보(452)에 격납한다.
그리고,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포맷 정보(471)에서 지정한 포맷의 색역 정보를 색역 정보(472)로서 색역 본체 정보(452)에 격납한다. 예를 들면,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도 21B에 도시되는 표(492)와 같이 포맷 정 보(471) 및 색역 정보(472)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색역의 지정 방법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의 포맷(색역 포맷)이 색도 정보 지정인 경우,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포맷 정보(471)에 값 "0"을 설정하고, 색역 정보(472)에 기준색+백색의 색도 정보를 기술한다. 또한, 예를 들면, 색역 포맷이 Cusp 테이블 지정인 경우,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포맷 정보(471)에 값 "1"을 설정하고, 색역 정보(472)에 Cusp 테이블을 기술한다.
또한, 예를 들면, 색역의 지정 방법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의 포맷(색역 포맷)이 3D-LUT 지정인 경우,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포맷 정보(471)에 값 "2"를 설정하고, 색역 정보(472)에 3D-LUT를 기술한다. 또한, 예를 들면, 색역 포맷이 폴리곤 지정인 경우,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포맷 정보(471)에 값 "3"을 설정하고, 색역 정보(472)에 다각형의 정점에 관한 테이블을 기술한다.
이와 같이, 색역 본체 정보(452)를 참조하는 디바이스는, 포맷 정보(471)를 참조함에 의해, 색역 정보(472)에 포함되는 정보가 어떤 정보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 색역 정보(472)의 내용에 의거하여 적절한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가령 이 포맷 정보(47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색역 정보(472)를 참조하는 디바이스는, 색역 정보(472)에 포함되는 정보를, 소정의 색역 포맷으로서 밖에 이해할 수가 없다. 또는, 색역 정보(472)를 참조하는 디바이스가, 색역 정보(472)에 포함되는 정보를 해석하여 그 색역 포맷을 특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색역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처리의 부하가 증대 하던지, 최악의 경우, 디바이스가 색역 정보(472)의 내용에 대해 잘못한 대응을 해 버릴 우려가 있다. 즉, 포맷 정보(471)는, 색역 본체 정보(452)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색역 정보(472)의 구성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Cusp 테이블인 경우, 테이블의 사양은 복수종류 존재한다. 그와 같은 색역 포맷인 경우, 포맷 정보(471)에서 색역 포맷을 지정하는 것만으로는, 디바이스가 색역 정보(472)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면 Cusp 테이블)를 올바르게 파악할 수가 없을 우려가 있다.
도 22는, Cusp 테이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Cusp 테이블은 색공간의 어느 색상에서의 최고채도점(Cusp)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색상(hue)을 인덱스로 한, 휘도 및 채도 정보의 테이블이 된다. 따라서 색상의 간격, 휘도 및 채도 정보의 종류의 지정이 포인트가 된다. 색상의 인덱스를 갖는지 갖지 않는지로 2종류 존재한다. 또한, 채도 정보에 무엇을 사용하는지로 3종류 존재한다. 따라서 2X3=6가지 존재한다.
도 22의 Cusp 테이블(501)은, 색상의 인덱스를 갖지 않고, 채도 정보에 색차(Cb 및 Cr)를 이용하고 있다. Cusp 테이블(502)은, 색상의 인덱스를 갖지 않고, 채도 정보에 색도(C)를 이용하고 있다. Cusp 테이블(503)은, 색상의 인덱스를 갖지 않고, 채도 정보에 색차의 절대치(|Cb| 또는 |Cr|)를 이용하고 있다. Cusp 테이블(504)은, 색상의 인덱스를 가지며, 채도 정보에 색차(Cb 및 Cr)를 이용하고 있다. Cusp 테이블(505)은, 색상의 인덱스를 가지며, 채도 정보에 색도(C)를 이용하고 있다. Cusp 테이블(506)은, 색상의 인덱스를 가지며, 채도 정보에 색차의 절대치(|Cb| 또는 |Cr|)를 이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Cusp 테이블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색역 정보(472) 의 포맷의 구성예를 도 23에 도시한다. 도 23에 도시되는 포맷(510)은, 색역 정보(472)의 포맷예이고, 포맷(510)의 상부에 도면중 횡방향에 나열하는 숫자"0" 내지 "7"은, 비트 번호를 나타내고, 포맷(510)의 왼쪽부분에 도면중 종방향으로 나열하는 숫자는, 바이트를 나타낸다. 즉, 포맷(510)의 가로 1렬이 1바이트의 정보를 나타낸다.
포맷(510)에서, 1바이트째의 제 0 비트 내지 제 3 비트에 격납되는 4비트의 정보인 Color Space는, Cusp 테이블을 표현하는 색공간을 지정하는 정보이다. 휘도 및 색차를 표현할 수 있는 색공간이나, 색상, 명도, 채도로 표현할 수 있는 색공간은 전부 포함된다. 색공간에 대해 비트는, 예를 들면 도 24의 표(521)와 같이 할당된다. 도 24의 표(521)에서, 예를 들면, sYCC 공간에는 "0000"이 할당되고, xvYCC601 공간에는 "0001"이 할당되고, xvYCC709 공간에는 "0010"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YIQ 공간에는 "0011"이 할당되고, YUV 공간에는 "0100"이 할당되고, YPBPR 공간에는 "0101"이 할당되고, YCBCR 공간에는 "0110"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CIELAB 공간에는 "0111"이 할당되고, CIELUV 공간에는 "1000"이 할당되고, HSV 공간에는 "1001"이 할당되고, HLS 공간에는 "1010"이 할당되어 있다.
이처럼 각 색공간에 서로 다른 비트를 미리 할당하여 둠에 의해, Color Space에 격납된 값으로, Cusp 테이블을 표현한 색공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23의 예인 경우, Color Space는 4비트의 정보이기 때문에, 16종류의 색공간을 식별 가능하다. 또한, Color Space의 비트 수는 임의이고, 포맷으로서 미리 정하여져 있 으면, 3비트 이하로 하여도 좋고, 5비트 이상을 Color Space에 할당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3에서, 1바이트째의 제 4 비트 내지 제 6 비트에 격납되는 3비트의 정보인 C-flag는, Cusp 테이블의 채도 정보로서 사용하는 요소를 지정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Color Space에 의해 지정되는 색공간이, 휘도 및 색차 베이스의 색공간인 경우, 그 색차신호에 의거하여 채도 정보가 계산되는데, 채도 정보로서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생각된다.
색차신호를 C1 및 C2로 하고, 채도 정보를 C라고 한 경우의, 각각의 종류에 응한 C의 계산 방법에 대한 비트 배당을 도 25의 표(531)에 표시한다. 도 25의 표(531)에서, 예를 들면, Color Space에 의해 지정되는 색공간이 휘도 및 색차 베이스인 때에, 이하의 식 (1)에 의해 채도 정보(C)를 산출하는 방법에는, "000"이 할당되어 있다.
C=sqrt(C12+C22) … (1)
또한, 예를 들면, Color Space에 의해 지정되는 색공간이 휘도 및 색차 베이스인 때에, 색차신호(C1 및 C2)를 그대로 채도 정보(C)로서 사용하는 방법에는, "001"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Color Space에 의해 지정되는 색공간이 휘도 및 색차 베이스라고 한다. 이때에, 색차신호(C1)의 절대치(abs(C1)) 또는 색차신호(C2)의 절대치(abs(C2))를 그대로 채도 정보(C)로서 사용하는 방법에는, "010"이 할당되어 있 다.
또한, 예를 들면, Color Space에 의해 지정되는 색공간이 색상,,명도, 채도 베이스인 때에, 채도 정보(C)를 그대로 채도 정보(C)로서 사용하는 방법에는, "011"이 할당되어 있다.
물론, 이 이외의 방법에는, 이 이외의 값이 할당되어 있다. 도 23의 예에서, C-flag은, 3비트의 정보이기 때문에, 채도 정보의 종류를 최대 8종류중에서 지정할 수 있다.
도 23에서, 2바이트째, 및, 3바이트째의 제 0 비트 내지 제 6 비트에 격납된 15비트의 정보인 색상수(HueNum)는, Cusp 테이블의 색상(Hue)의 쪼개는 수, 즉, 테이블의 개수를 지정한다. 이 색상수의 값은 "0"개 내지 "32768"개의 범위에서 지정할 수 있다.
3바이트째의 제 7 비트에 격납되는 1비트의 정보인 색상 플래그(H-flag)는, Cusp 테이블에 색상 인덱스(색상의 요소)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지정하는 플래그 정보이다. 예를 들면, 이 값이 "0"인 경우, Cusp 테이블에서 색상 인덱스의 지정은 행하여지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각 테이블의 색상값(대표 색상)은 미리 정하여져 있다(예를 들면, 대표 색상이 미리 정하여진 소정의 간격으로 설정된다). 또한, 이 값이 "1"인 경우, Cusp 테이블에서 색상 인덱스(색상)의 지정이 행하여지는 것을 나타낸다.
4바이트째의 제 0 비트 내지 제 2 비트에 격납되는 3비트인 정보인 요소수(CompNum)는, Cusp 테이블의 각 테이블 데이터의 요소수를 나타낸다. 이 값은, 색상 인덱스(색상 요소)를 포함하는지의 여부(H-flag의 값), 채도 정보의 종류(C-flag의 값)에 의거하여 산출된다. 도 26은, 그 요소수(CompNum)의 산출 방법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의 표(541)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각 테이블의 요소수은, 색상 요소의 유무(H-flag의 값) 및 채도 정보의 종류(C-flag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색상에 관한 요소수를 H_CompNum으로 하면, 도 26의 예인 경우, H_CompNum의 값은, H-flag의 값이 "0"일 때 "0"이 되고, H-flag의 값이 "1"일 때 "1"이 된다. 또한, 채도 정보에 관한 요소수를 C_CompNum으로 하면, 도 26의 예인 경우, C_CompNum의 값은, C-flag의 값이 "000"일 때 "1"이 된다. 또한, C-flag의 값이 "001"일 때 "2"가 되고, C-flag의 값이 "010"일 때 "1"이 되고, C-flag의 값이 "011"일 때 "1"이 된다. 또한, 휘도 정보(Y)에 관한 요소수를 Y_CompNum으로 하면, 도 26의 예인 경우, Y_CompNum의 값은, 항상 "1"이다.
따라서 요소수(CompNum)의 값은, 이하의 식 (2)와 같이 표시된다.
CompNum=H_CompNum+C_CompNum+1 … (2)
도 23에서, 4바이트째의 제 3 비트 내지 제 5 비트에 격납되는 3비트의 정보인 요소 사이즈(CompSize)는, Cusp 테이블의 각 테이블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를 나타낸다. 데이터 사이즈는 예를 들면 바이트수로 지정된다. 3비트 정보이기 때문에 "0"바이트 내지 "8"바이트의 범위에서 지정 가능하다.
5바이트째 이후의 Cusp 테이블 데이터(Cusp Table Data)는, 4바이트째까지에서 지정한 정보를 기초로, Cusp 테이블을 격납하는 영역이다. Cusp 테이블 데이 터(Cusp Table Data)의 데이터 사이즈(Cusp Table Data Size)는, 이하의 식 (3)에 의해 산출된다.
Cusp Table Data Size=CompNum×CompSize×HueNum … (3)
이상과 같은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포맷(510)을 채용함에 의해, 색역 정보(472)는, 다양한 Cusp 테이블을 보다 정확하게 격납하고, 이 색역 정보(472)를 참조하는 디바이스에 대해, 보다 정확한 Cusp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Cusp 테이블 지정인 경우의 색역 정보(472)의 포맷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그 밖의 색역 포맷인 경우에 있어서도, 복수종류의 테이블을 올바르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각 처리의 흐름에 관해 설명한다. 최초에 도 15의 송신 장치(401)(도 17)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 및 색역 정보의 송신 처리의 흐름의 예를 도 2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101에서,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은, 유저나 외부에서의 지시, 또는, 수신 장치(403)의 색역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의 색역 포맷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은, 입력 유닛(421)으로부터 입력되는 유저나 외부로부터의 지시, 또는, 통신 유닛(426)을 통하여 공급되는 수신 장치(403) 또는 그 후단의 출력 디바이스가 대응 가능한 색역을 접수한다. 색역 포맷 결정 유닛(422)은, 그들의 정보에 의거하여,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의 색역의 범위, 및, 그 범위를 지정하는 방법을 선택한다(생성한다).
또한, 수신 장치(403)로부터 색역 정보가 공급되는 경우도, 색역 정보는 상술한 전송 포맷으로 송신되는데, 이 전송 포맷의 해석 방법에 관한 설명은 수신 장치(403)의 설명에서 행한다(수신 장치(403)가 행하는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해석한다). 물론, 수신 장치(403)로부터 송신 장치(401)에의 색역 정보의 전송 방법은 임의이고, 상술한 전송 포맷 이외의 포맷으로 전송되도록 하여도 좋다. 단, 상술한 전송 포맷을 이용함에 의해, 전송 처리의 범용성이 향상한다(보다 다양한 통신 상대에 대해 색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색역 포맷이 결정되면, 색역 처리 유닛(423)은, 스텝 S102에서, 그 결정된 색역 포맷에 의거하여, 필요에 응하여, 색역 압축 등의 색역 변환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스텝 S101에서 결정된 색역이 색역 변환 전의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완전히 포함할 정도로 충분히 넓고, 색역 변환이 불필요한 경우, 색역 변환 처리는 생략된다.
스텝 S103에서,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결정된 색역 포맷을 전송 포맷으로 변환함에 의해, 전송 색역 정보를 생성한다. 컨텐츠 파일 생성 유닛(425)은, 스텝 S104에서, (색역 변환이 행하여진 경우, 색역 변환 후의) 컨텐츠 데이터 및 전송 색역 정보를 이용하여 그것들을 파일화한 컨텐츠 파일을 생성한다.
스텝 S105에서, 통신 유닛(426)은, 생성된 컨텐츠 파일을 패킷화하고, 그 패킷을, 네트워크(102)를 통하여 수신 장치(403)에 송신한다.
송신이 종료되면, 송신 장치(401)는, 송신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28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도 27의 스텝 S103에서 실행되는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처리의 흐름의 예를 설명한다.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스텝 S201에서, 도 27의 스텝 S101에서 결정된 색역 포맷(색역의 범위를 지정하는 방법)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인덱스 지정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색역 포맷이 인덱스 지정이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02로 진행한다.
스텝 S202에서,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미리 정하여진 도 20의 표(481)와 같은 소정의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색역 지정 정보(460)의 밸류(Value)(461)에, 결정된 색역에 할당된 인덱스값을 설정한다. 이 인덱스값과 색역의 대응 관계는, 미리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이 파악하고 있어도 좋고, 색역 포맷과 함께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에 공급되도록 하여도 좋다.
인덱스 지정인 경우, 인덱스값에 의한 색역의 종류의 지정이 그대로 색역의 범위의 지정이기도 하기 때문에(색역의 범위는 기지이기 때문에), 다시 색역의 범위를 지정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스텝 S203에서, 색역 지정 정보(460)의 어드레스(Address)(462)에, 색역의 범위 지정을 행하지 않는(색역 본체 정보(452)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값 "0"을 설정한다. 즉, 인덱스 지정인 경우,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색역 지정 정보(460)만을 생성한다. 따라서, 스텝 S203의 처리를 종료하면,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처리를 종료하고, 처리를 도 27의 스텝 S103으로 되돌려, 스텝 S104 이후의 처리를 실행시킨다.
스텝 S201에서, 색역 포맷이 인덱스 지정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04로 진행한다.
스텝 S204에서,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색역 지정 정보(460)의 밸류(Value)(461)에, 색역 포맷이 인덱스 지정 이외의 포맷인 것을 나타내는 값 "FFFF"를 설정한다.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스텝 S205에서, 색역 지정 정보(460)의 어드레스(Address)(462)에 색역 본체 정보(452)의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또한, 이 어드레스는 색역 본체 정보(452)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 이 격납 위치가 결정되지 않은 경우,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어드레스(462)를 공란(또는 빈 것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한다. 그 경우, 이 어드레스(462)의 값은, 컨텐츠 파일 생성 유닛(425)에서 실제로 색역 본체 정보(452)가 부가된 시점에서 다시 설정된다. 이에 대해, 색역 본체 정보(452)의 위치가 미리 기지인 경우,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스텝 S205에서, 구체적인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값을 설정한다.
스텝 S206에서,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도 27의 스텝 S101에서 결정된 색역 포맷이 색도 지정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색역 포맷이 색도 지정이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07로 진행한다.
스텝 S207에서,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색역 본체 정보(452)의 포맷 정보(471)에, 미리 정하여진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색도(chromaticity) 지정"을 나타내는 값 "0"을 설정하고, 색역 정보(472)에 색도 정보를 기술한다.
예를 들면,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포맷 정보(471)에, 도 21의 표(491)에 표시되는 예와 같이 미리 정하여진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색도 지정" 을 나타내는 값 "0"을 설정한다. 또한,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되는 표(111)와 같이, 구체적으로 색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색역 정보(472)에 기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포맷에 따라, 색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나 그 색역에 관한 설정 정보 등, 필요한 정보를 기술한다. 이상과 같이, 색역 지정 정보(460) 및 색역 본체 정보(452)를 생성하면,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처리를 종료하고, 처리를 도 27의 스텝 S103으로 되돌려, 스텝 S104 이후의 처리를 실행시킨다.
스텝 S206에서, 색역 포맷이 색도 지정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08로 진행한다. 스텝 S208에서,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도 27의 스텝 S101에서 결정된 색역 포맷이 Cusp 테이블 지정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색역 포맷이 Cusp 테이블 지정이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09로 진행한다.
스텝 S209에서,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색역 본체 정보(452)의 포맷 정보(471)에, 도 21의 표(491)에 표시되는 예와 같이 미리 정하여진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Cusp 테이블 지정"을 나타내는 값 "1"을 설정한다. 또한,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색역 정보(472)에 Cusp 테이블(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되는 Cusp 테이블(501) 내지 Cusp 테이블(506)과 같이, 구체적으로 색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을 기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포맷에 따라, 색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나 그 색 역에 관한 설정 정보 등, 필요한 정보를 기술한다. 이상과 같이, 색역 지정 정보(460) 및 색역 본체 정보(452)를 생성하면,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처리를 종료하고, 처리를 도 27의 스텝 S103으로 되돌려, 스텝 S104 이후의 처리를 실행시킨다.
스텝 S208에서, 색역 포맷이 Cusp 테이블 지정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210에서,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도 27의 스텝 S101에서 결정된 색역 포맷이 3D-LUT 지정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색역 포맷이 3D-LUT 지정이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11로 진행한다.
스텝 S211에서,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색역 본체 정보(452)의 포맷 정보(471)에, 도 21의 표(491)에 표시되는 예와 같이 미리 정하여진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3D-LUT 지정"을 나타내는 값 "2"를 설정한다. 또한,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색역 정보(472)에 3D-LUT(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되는 표(131)와 같이, 구체적으로 색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포맷에 따라, 색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나 그 색역에 관한 설정 정보 등, 필요한 정보를 기술한다. 이상과 같이, 색역 지정 정보(460) 및 색역 본체 정보(452)를 생성하면,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처리를 종료하고, 처리를 도 27의 스텝 S103으로 되돌려, 스텝 S104 이후의 처리를 실행시킨다.
스텝 S210에서, 색역 포맷이 3D-LUT 지정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폴리곤 지정이라고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212로 진행한다.
스텝 S212에서,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색역 본체 정보(452)의 포맷 정보(471)에, 도 21의 표(491)에 표시되는 예와 같이 미리 정하여진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폴리곤 지정"을 나타내는 값 "3"을 설정한다. 또한,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색역 정보(472)에 폴리곤 테이블(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되는 표(141) 및 표(142)와 같이, 구체적으로 색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을 기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포맷에 따라, 색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나 그 색역에 관한 설정 정보 등, 필요한 정보를 기술한다. 이상과 같이, 색역 지정 정보(460) 및 색역 본체 정보(452)를 생성하면,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424)은,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처리를 종료하고, 처리를 도 27의 스텝 S103으로 되돌려, 스텝 S104 이후의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상과 같이, 보다 범용성이 높은 전송 포맷의 색역 정보를 작성함에 의해, 송신 장치(401)는,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색역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9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이상과 같은 전송 포맷에 의해 전송되는 색역 정보를 수신하는 도 15의 수신 장치(403)(도 18)에 의한 수신 처리의 흐름의 예를 설명한다.
수신 처리를 시작하면, 수신 장치(403)의 통신 유닛(441)은, 스텝 S301에서, 송신 장치(401)로부터 송신된 컨텐츠 파일을 수신한다. 실제로는, 컨텐츠 파일은 패킷화하여 송신되기 때문에, 통신 유닛(441)은, 그 패킷을 수신하고, 그 패킷으로 부터 컨텐츠 파일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컨텐츠 파일을 조립한다. 컨텐츠 파일을 수신하면 통신 유닛(441)은, 스텝 S302에서, 그 컨텐츠 파일에 격납된 전송 색역 정보를 추출한다.
스텝 S303에서,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추출된 전송 색역 정보(상술한 전송 포맷의 색역 정보)를 해석하고,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파악한다. 스텝 S304에서, 컨텐츠 처리 유닛(444)은, 통신 유닛(441)에 의해 컨텐츠 파일로부터 추출된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추출한다.
스텝 S305에서, 색역 처리 유닛(445)은, 수신 장치(403)(또는 후단의 출력 디바이스)가 표현 가능한 색역, 및,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에 의해 해석된 화상 데이터의 색역에 의거하여, 필요에 응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역 변환을 행한다.
스텝 S306에서, 출력 유닛(446)은, 화상을 모니터에(또는, 화상 데이터를 외부의 기기에) 출력한다. 스텝 S306의 처리를 종료하면, 수신 장치(403)는, 수신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3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도 29의 스텝 S303에서 실행된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처리의 흐름의 예를 설명한다.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스텝 S401에서, 전송 색역 정보의, 색역 지정 정보(460)를 참조한다.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스텝 S402에서, 밸류(Value)(461)의 값이, 인덱스 지정 이외의 색역 포맷을 나타내는 "FFFF"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밸류(461)의 값이 "FFFF"가 아니라, 색역 포맷이 인덱스 지정이 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4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403에서,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밸류(461)의 값을 인덱스값으로 하는 색역(범용적인 기지의 색역)을 선택한다. 색역을 선택하면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402에서, 밸류(461)의 값이 "FFFF"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404로 진행한다.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스텝 S404에서, 전송 색역 정보의 색역 본체 정보인 470을 참조하고, 스텝 S405에서, 포맷 정보(471)의 값이 "0"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포맷 정보(471)의 값이 "0"이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4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406에서,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색역 포맷을 색도 지정으로 설정하고, 색역 정보(472)에는 색도 정보(색도를 이용하여 색역의 범위를 지정하는 테이블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하여 참조한다. 그 색도 정보에 의거한 색역을 파악하면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405에서, 포맷 정보(471)의 값이 "0"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407로 진행한다. 스텝 S407에서,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포맷 정보(471)의 값이 "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포맷 정보(471)의 값이 "1"이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408로 진행한다.
스텝 S408에서,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색역 포맷을 Cusp 테이블 지정으로 설정하고, 색역 정보(472)에는 Cusp 테이블이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 참조 한다. 그 Cusp 테이블에 의거한 색역을 파악하면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407에서, 포맷 정보(471)의 값이 "1"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409로 진행한다. 스텝 S409에서,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포맷 정보(471)의 값이 "2"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포맷 정보(471)의 값이 "2"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4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410에서,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색역 포맷을 3D-LUT 지정으로 설정하고, 색역 정보(472)에는 3D-LUT가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 참조한다. 그 3D-LUT 에 의거한 색역을 파악하면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409에서, 포맷 정보(471)의 값이 "2"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411로 진행한다.
스텝 S411에서,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색역 포맷을 폴리곤 지정으로 설정하고, 색역 정보(472)에는 다각형의 정점을 이용하여 색역의 범위를 지정하는 테이블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 참조한다. 그 테이블 정보에 의거한 색역을 파악하면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전송 포맷의 색역 정보를 참조함에 의해,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복잡한(번잡한) 변환 처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색역 정보의 필요한 부분만 참조하 면 좋기 때문에,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443)은,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파악하기 위한 처리에 의한 불필요한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전송 시스템(400)이 송신 장치(401), 네트워크(402), 및 수신 장치(403)에 의해 구성되도록 설명하였지만, 전송 시스템(400)의 구성은 임의이다. 예를 들면, 복수의 송신 장치(401)를 포함하도록 하여도 좋다. 수신 장치(40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송신 장치(401)와 수신 장치(403)가 복수의 네트워크(402)를 통하여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전송 시스템(400)이 상술한 이외의 다른 구성을 포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에서는, 전송 포맷에 의해, 1개의 색역을 전송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전송 포맷에 복수의 색역을 탑재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경우, 색역 지정 정보(460)에서 복수의 색역을 지정하고, 필요한 수의 색역 정보를 색역 본체 정보(452)에 포함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그 경우, 각 색역의 색역 포맷은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서로 다르도록(또는 기타와 다른 색역 포맷의 색역을 포함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3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로서 구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31에서, 퍼스널 컴퓨터(600)의 CPU(601)는, ROM(60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 유닛(613)으로부터 RAM(60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603)에는 또한, CPU(601)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데 필요 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601), ROM(602), 및 RAM(603)은, 버스(604)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6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610)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610)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 유닛(611), CRT(Cathode Ray Tube)나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 유닛(612)이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610)에는, 또한,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 유닛(613), 모뎀 등으로 구성된 통신 유닛(614)도 접속되어 있다. 통신 유닛(614)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처리를 행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610)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615)가 접속된다. 드라이브(615)에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621)가 적절히 장착되고, 그들으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응하여 기억 유닛(613)에 인스톨된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한 프로그램이,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도 3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별개로, 유저에게 프로그램을 배신하기 위해 배포된다. 이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한다), 또는 광디스크(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한다)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이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광자기 디스크(MD(Mini Disc)를 포함한다),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 미디어(621)에 의해 구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장치 본체에 미리 조립된 상태로 유저에게 배신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602)이나, 기억 유닛(613)에 포함되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하여지는 처리는 물론이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하나의 장치로서 설명한 구성을 분할하고, 복수의 장치로서 구성하듯이 하여도 좋다. 역으로, 이상에서 복수의 장치로서 설명한 구성을 통합하여 하나의 장치로서 구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각 장치의 구성에 상술한 이외의 구성을 부가하도록 하여도 물론 좋다. 또한, 시스템 전체로서의 구성이나 동작이 실질적으로 같으면, 어떤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장치의 구성에 포함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2008년 8월 8일자로 일본특허청에 특허출원된 일본특허원 제2008-205151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등가의 범위 내에서, 설계상의 필요 또는 다른 요인에 따라, 상기 실시예에 대한 여러가지 수정예, 조합예, 부분조합예 및 변경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송 시스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색역 압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의 A 및 B는 색상 왜곡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4의 A 및 B는 등색상면에 따른 색역 압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인덱스 지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6은 색도 지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7은 CIELAB 공간에서의 색역 형상의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8은 3D-LUT 지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9의 A 및 B는 폴리곤 지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0은 종래의 색역 포맷의 특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을 적용한 색역 포맷인 Cusp 테이블 지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색역 포맷인 Cusp 테이블 지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3은 Cusp 테이블 지정의 특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각 색역 포맷 이용한 색역 변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6은 도 15의 전송 시스템의 보다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7은 도 15의 송신 장치의 주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8은 도 15의 수신 장치의 주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의 A 및 B는 전송 색역 정보의 포맷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0의 A 및 B는 색역 지정 정보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1의 A 및 B는 색역 본체 정보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2는 Cusp 테이블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3은 Cusp 테이블을 격납할 때의 색역 정보의 포맷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4는 Color Space 비트의 할당예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5는 C-flag 비트의 할당예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6은 CompNum의 산출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7은 송신 처리의 흐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28은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처리의 흐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29는 수신 처리의 흐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30은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처리의 흐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한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1, 231, 241 : Cusp 테이블 400 : 전송 시스템
401 : 송신 장치 402 : 네트워크
403 : 수신 장치 421 : 입력 유닛
422 : 색역 포맷 결정 유닛 423 : 색역 처리 유닛
424 :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유닛 425 : 컨텐츠 파일 생성 유닛
426 : 통신 유닛 441 : 통신 유닛
442 : 입력 유닛
443 : 전송 색역 정보 해석 유닛 444 : 컨텐츠 처리 유닛
445 : 색역 처리 유닛 446 : 출력 유닛
460 : 색역 지정 정보 461 : 밸류
462 : 어드레스 470 : 색역 본체 정보
471 : 포맷 정보 472 : 색역 정보

Claims (13)

  1. 복수의 등색상면에 관해 각 등색상면에서의 최고채도점을 나타내는 테이블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를 생성하는 색역 정보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정보는, 각 등색상면에서의 상기 최고채도점을 휘도치 및 채도치를 활용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정보는, 각 등색상면에서의 상기 최고채도점을 휘도치 및 색차를 활용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정보는, 상기 최고채도점을 나타내는 상기 등색상면의 색상을 인덱스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색역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색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변환하는 색역 변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색역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색역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 포맷의 상기 색역 정보인 전송 색역 정보를 생성하는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색역 정보는:
    상기 색역의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색역 지정 정보, 및
    상기 색역의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색역 본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색역 지정 정보는:
    기지의 색역 또는 상기 기지의 색역 이외의 색역을 지정하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색역 본체 정보는:
    상기 색역 정보, 및
    상기 색역 정보에서의 상기 색역의 범위의 지정 방법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전송 색역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전송 색역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복수의 등색상면에 관해 각 등색상면에서의 최고채도점을 나타내는 테이블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2. 정보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복수의 등색상면에 관해 각 등색상면에서의 최고채도점을 나타내는 테이블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3. 복수의 등색상면에 관해 각 등색상면에서의 최고채도점을 나타내는 테이블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역을 나타내는 색역 정보를 생성하는 색역 정보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20090072300A 2008-08-08 2009-08-06 정보 처리 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000193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05151A JP2010041636A (ja) 2008-08-08 2008-08-08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8-205151 2008-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364A true KR20100019364A (ko) 2010-02-18

Family

ID=4122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300A KR20100019364A (ko) 2008-08-08 2009-08-06 정보 처리 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70338B2 (ko)
EP (1) EP2151988B1 (ko)
JP (1) JP2010041636A (ko)
KR (1) KR20100019364A (ko)
CN (1) CN1016460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75719A1 (en) * 2010-04-09 2011-10-12 Thomson Licensing Color gamut mapping method having one step preserving the lightness of the cusp colors
JP5739262B2 (ja) * 2011-07-29 2015-06-2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画像伝送装置、画像伝送方法、画像受信装置および画像受信方法
JP2013031024A (ja) * 2011-07-29 2013-02-07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画像伝送装置、画像伝送方法、画像受信装置および画像受信方法
CN102868980A (zh) * 2012-09-07 2013-01-09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彩信发送方法及通信终端
WO2014103581A1 (ja) 2012-12-25 2014-07-03 扶桑薬品工業株式会社 止血剤アプリケータ
KR20140093364A (ko) * 2013-01-16 2014-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410703B1 (ko) * 2013-03-26 2014-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칼라 신호 처리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JP6307856B2 (ja) 2013-11-28 2018-04-11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広色域画像データ送信方法、受信装置、広色域画像データ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89900B2 (ja) * 2013-12-27 2018-03-07 株式会社東芝 放送信号送信装置
JP2015133638A (ja) * 2014-01-14 2015-07-23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WO2016031911A1 (ja) * 2014-08-29 2017-06-15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情報生成装置、受信装置、映像信号伝送システ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616211B2 (ja) * 2015-09-25 2019-12-04 マクセル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CN106303485B (zh) * 2016-08-11 2018-02-09 天津大学 兼容传输多原色扩展色域的方法
JP6546981B2 (ja) * 2017-12-12 2019-07-17 東芝映像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放送信号送信装置及び放送信号送信装置の送信方法
US11309992B2 (en) * 2018-07-17 2022-04-19 Qualcomm Incorporated Using lattice reduction for reduced decoder complexity
US11302234B2 (en) * 2018-08-07 2022-04-12 Facebook Technologies, Llc Error correction for display device
JP6611403B2 (ja) * 2019-02-05 2019-11-27 東芝映像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放送信号送信装置
CN112449168B (zh) * 2019-09-03 2021-11-23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色域映射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987B2 (ja) * 1995-09-04 2001-05-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ガミュート調整方法
JPH0998298A (ja) 1995-09-29 1997-04-08 Sony Corp 色域圧縮方法及び色域圧縮装置
JPH10178557A (ja) * 1996-10-14 1998-06-30 Oki Data:Kk カラー画像処理方法
EP0996279A4 (en) 1998-04-17 2005-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METHOD AND DEVICE FOR COLOR TONE COMPRESSION
JP4040179B2 (ja) * 1998-07-29 2008-01-30 富士通株式会社 カラー画像処理システム
US6618499B1 (en) 1999-06-01 2003-09-09 Canon Kabushiki Kaisha Iterative gamut mapping
US7009734B2 (en) * 2000-08-22 2006-03-07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lor transform lookup tabl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2033936A (ja) * 2001-06-04 2002-01-31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装置
KR100438159B1 (ko) 2002-03-13 200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색대역의 효율적인 저장과 이를 이용한 색신호 처리장치및 방법
JP2004200902A (ja) 2002-12-17 2004-07-15 Nikon Corp 画像処理装置、電子カメラ、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7397588B2 (en) 2005-01-31 2008-07-08 Canon Kabushiki Kaisha Generation of hue slice table for gamut mapping
JP4675155B2 (ja) 2005-05-23 2011-04-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色データ処理方法、色データ処理システム、色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166403A (ja) * 2005-12-15 2007-06-2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およびその記録媒体
KR20080049360A (ko) 2006-11-30 2008-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색역 정보 전송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JP4879041B2 (ja) 2007-02-20 2012-02-15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基板処理装置
JP4560741B2 (ja) 2007-12-13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70338B2 (en) 2013-10-29
CN101646010B (zh) 2013-03-27
CN101646010A (zh) 2010-02-10
JP2010041636A (ja) 2010-02-18
US20100039443A1 (en) 2010-02-18
EP2151988A2 (en) 2010-02-10
EP2151988A3 (en) 2010-09-08
EP2151988B1 (en)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9364A (ko) 정보 처리 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
US832520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5451610B2 (ja) カラーデバイスまたはカラーコンテントの実色域を記述する方法
KR101166388B1 (ko) 색 변환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RE45927E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717373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6377355B1 (en) Color gamut displaying method,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these methods
JP480366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043513B2 (ja) 色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7929760B2 (en) Color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viewing condition
KR101431653B1 (ko) 비-볼록 소스 색역으로부터 비-볼록 타깃 색역으로의 컬러 맵핑 방법
JPWO2005048583A1 (ja) 色補正装置および色補正方法
JP2006340105A (ja) 画像処理方法、プロファイル作成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811142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8350869B1 (en) Preview for colorblind
JP4467202B2 (ja) 色変換装置および色変換方法
JP2005287069A (ja) 色変換方法、色変換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8072550A (ja) 色処理方法、色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3143425A (ja) 画像処理装置
JP511223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29613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974762B2 (ja) 色処理装置及び方法
JP515836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8227869A (ja) 色変換装置、色変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1628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