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12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123A
KR20100018123A KR1020080076744A KR20080076744A KR20100018123A KR 20100018123 A KR20100018123 A KR 20100018123A KR 1020080076744 A KR1020080076744 A KR 1020080076744A KR 20080076744 A KR20080076744 A KR 20080076744A KR 20100018123 A KR20100018123 A KR 20100018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grill
discharge
shelf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6783B1 (ko
Inventor
김동석
강성희
정상호
노철기
송민호
배정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6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7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8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4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4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선반; 상기 본체의 내측 후벽에 제공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공간과 증발기 사이를 구획하는 그릴; 및 상기 그릴 좌우 양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좌우 측벽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냉기가 측벽을 따라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공간의 온도분포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냉장고, 냉기, 토출부, 온도분포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실시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최근에는 일반적인 냉장고는 물론 김치, 와인 등의 저장에 적합한 김치 냉장고와 와인 냉장고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들 중 특히 김치 냉장고는 직접 냉각 방식을 가지는 냉장고와, 간접 냉각방식을 가지는 냉장고, 그리고 직접 냉각 방식과 간접 냉각 방식이 혼합된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간접 냉각 방식 또는 직접 냉각과 간접냉각 방식이 혼합된 냉장고에서, 간접냉각되는 저장공간의 내부는 다수의 선반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며, 상기 구획된 공간의 내부에는 김치가 저장되는 김치 저장용기가 수납된다.
그리고, 냉장고의 후방에서 공급되는 냉기는 전방으로 토출되며, 원활한 토출을 위해 각각의 선반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저장공간을 냉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김치 저장용기의 상면으로 냉기가 집중적으로 공급되며, 김치 저장용기의 내부에 김치가 가득 들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김치 저장용기 내부와 김치 저장용기의 상면 사이에 공간으로 인해 온도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김치는 발효식품으로 발효시 발생하는 열 및 전술한 온도편차에 의해 김치 저장용기의 상면에 결로 또는 결빙을 초래하게 되며, 이는 김치저장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결빙의 발생으로 인하여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온도분포가 고르지 못한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불편 및 감성상의 불만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그릴의 좌우 양측에서 저장공간의 벽면을 따라서 냉기가 토출되어 저장공간의 온도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선반; 상기 본체의 내측 후벽에 제공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공간과 증발기 사이를 구획하는 그릴; 및 상기 그릴 좌우 양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좌우 측벽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냉기가 측벽을 따라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상하 구획하며 저장용기가 안착되는 선반; 상기 본체의 내측면 후벽에 장착되는 증발기; 상기 저장공간과 증발기의 사이를 구획하는 그릴; 및 상기 저장공간의 좌우 측벽과 상기 저장용기의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그릴의 좌우 양측에 개방 형성되어, 냉기가 상기 저장공간의 측벽과 저장용기의 사이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며, 식품의 안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선반; 상기 저장공간의 후방에 제공되는 증발기; 상기 저장공간에 제공되며, 상기 증발기를 차폐하는 쉬라우드; 상기 쉬라우드에 장착되어 상기 증발기측의 냉기를 저장공간으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쉬라우드의 전방에 제공되며, 상기 저장실의 후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 상기 그릴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쉬라우드와 결합되어 좌우 양 측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토출부; 상기 그릴의 상부에 개구되며, 전방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전방 토출구; 및 상기 그릴의 하부에 개구되며, 토출된 냉기가 흡입되는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그릴의 좌우 양측을 통하여 토출되는 냉기가 저장공간의 벽면을 따라 토출되어, 선반에 안착된 식품 특히 저장용기의 측면과 저장공간의 벽면 사이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공간의 내부에 국부적인 온도편차가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저장용기의 상면에 결로 또는 결빙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고내의 온도분포개선 및 저장성능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된다.
뿐만 아니라, 결로 및 결빙에 의한 사용자의 감성 불만 및 사용상의 불편을 해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 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간접 냉각 방식의 김치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할 뿐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냉장고 또는 직접 냉각 방식과 간접 냉각 방식이 혼합된 냉장고에도 적용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공간의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저장공간(40)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저장공간(4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상칸과 하칸으로 구획되어 각각 저장공간(40)을 형성하며, 상기 상칸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고, 하칸은 바스켓이 장착된 서랍(30)의 인출입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으로 제어하기 위한 메인 PCB가 내장된 제어부(12)가 배치되며, 상기 상칸의 도어(20)에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와 냉장고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스위치가 제공된다.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40) 내부에는 각각의 저장공간(40)의 저장특성에 맞는 김치 또는 다른 식품들이 저장되고, 이들 식품은 일반적으로 저장용기(50)에 수납된 상태로 저장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저장공간(40) 중 상칸의 저장공간(40)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본체 상칸의 저장공간(40)은 다수개의 선반(100)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선반(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저장공간(40)의 내부를 구획하게 되며, 각각의 선반(100)에는 선반커버(120)가 제공된다.
상기 선반커버(120)는 상기 선반(100)에 의해 구획되는 각각의 공간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선반(100)의 선단 또는 상기 선반(10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들어올리고 내리는 것에 의해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선반커버(120)는 회동은 물론 상기 선반(100)의 하측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는 선반커버(120)의 개방을 위한 회동 후 상기 선반커버(120)를 슬라이딩 인입하여 상기 선반(100)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개방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공간(40)의 내부에서 가장 하측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선반(100)은 트레이와 같은 구조로 전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100)과 선반커버(120)들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내부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좌우 양측단에는 테두리가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선반(100)에 의해 구획되는 각각의 공간 후면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토출부(500)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500)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40) 의 내측으로 냉기가 토출 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부(500)는 상기 선반(100)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공간마다 제공될 수 있으며, 냉기가 저장공간(40)의 측벽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릴의 장착 상태를 보인 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릴과 쉬라우드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의 상칸 내측에는 그릴(400)과 쉬라우드(300)가 제공되며, 상기 그릴(400)과 쉬라우드(30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상칸은 저장공간(40)과 열교환공간(60)으로 구획되며, 상기 열교환공간(60)에 증발기(200)가 장착된다.
상기 쉬라우드(300)는 상기 증발기(200)의 전방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공간(40)과 열교환공간(60)을 구획하고, 그릴(400)과 결합되어 냉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대략 중앙에는 송풍팬(320)이 장착되는 장착구(3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320)의 회전시 상기 장착구(340)를 통해 열교환공간(6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저장공간(40)을 향하여 토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320)은 축방향으로 유입된 냉기를 회전반경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는 터보팬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300)의 하방에는 흡입부(36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360)는 상하로 형성된 다수의 리브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저장공간(4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공간(60)으로 유입되는 통로가 된다.
또한, 상기 쉬라우드(300)의 좌우 양측단 및 상하단에는 전방을 향해 수직하 게 연장되는 테두리부(380)가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380)에 의해 상기 쉬라우드(300)는 상기 그릴과의 결합시 상기 그릴(400)과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부(500)를 제외한 다른 부분으로의 냉기가 토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쉬라우드(300)는 상부가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200)는 상기 쉬라우드(300)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쉬라우드(300)의 전방에는 그릴(400)이 장착된다. 상기 그릴(400)은 상기 쉬라우드(300)와 대응하는 판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저장공간(40)과 열교환공간(6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쉬라우드(300)와 함께 이들 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상기 그릴(400)은 상기 저장공간(40)의 후벽면 전체 또는 둘레부분을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400)에는 토출부(500)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500)는 상기 송풍팬(320)과 쉬라우드(300)에 의해 안내되는 냉기가 상기 저장공간(40)의 내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출구로서 상기 그릴(4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출부(500)는 상기 선반(100)에 의해 구획되는 각각의 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각각의 구획된 공간을 개별적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50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선반(100)에 안착되는 저장용기(50)의 높이보다 더 높지 않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토출부(500)는 상기 선반(100)의 상면에 대응하는 상기 그릴(400)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저장용기(50)의 높이보다 높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토출부(500)의 상단이 상기 저장용기(50)의 상면보다 더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부(500)를 통해 배출되는 냉기는 상기 저장용기(50)의 측면과 상기 저장공간(40)의 측벽 사이를 따라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3의 I-I'단면을 보인 단면도로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토출부(5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토출부(500)는 상기 그릴(400)의 양단에 형성되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쉬라우드(300)와 그릴(400)의 결합이 측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500)는 상기 그릴의 내측방향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더 돌출되고, 고내 후벽을 기준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기의 원활한 배출은 물론 토출되는 냉기가 자연스럽게 상기 저장공간(40)의 좌우 측벽을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한편, 도 5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토출부(500)는 상기 저장공간의 측벽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냉기가 상기 저장공간(40)의 측벽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500)의 개구된 면이 상기 저장공간(40)의 측벽과 예각 또는 대략 0~15˚가량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토출부(50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저장공간(40)의 측벽을 따라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토출부(500)의 개구된 부분은 상기 저장용기(50)가 상기 선반(10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저장용기(50)의 측면보다 더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토출부(500)로부터 배출되는 냉기가 상기 저장용기(50)에 직접 접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를 위해 상기 저장용기(50)의 커버가 있는 상기 저장용기(50)의 상부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저장용기(50)가 상기 선반(100)에 안착될 때 저장공간(40)의 측벽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용기(50)의 측면은 상기 저장공간(40)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게 되고, 상기 토출부(500)의 개구된 부분은 상기 저장용기(50)와 저장공간(40)의 측벽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토출부(500)는 상기 그릴(400)의 좌우 양측에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이때에도 상기 토출부(500)의 개구된 부분은 상기 저장용기(50)와 저장공간(40)의 측벽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그릴(400)의 상부에는 전방토출구(42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전방토출구(420)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공간(60)의 냉기를 상기 저장공간(40)의 전방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전방토출구(420)는 상기 본체(10) 상면의 제어부(12)와 인접한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그릴(4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토출구(420)에서 배출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제어부(12)에서 발생되는 열부하가 상기 저장공간(40)의 내측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가장 상부에 위치한 선반(100)에 의해 구획되는 저장공간(40)에는 전방토출구(420)와 토출부(500)에 의해 냉기가 토출되어 구획된 저장공간(40)을 입체 적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제어부(12)의 위치가 다른 곳에 위치하거나, 제어부(12)에 의한 열부하의 침투가 거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토출구(420)를 형성하지 않고 토출부(500)만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그릴(400)의 하방에도 전방토출구(4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100)에 의해 구획되는 저장공간(40) 중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저장공간(40)의 높이가 비교적 낮게 되는 경우 그릴(400)의 좌우측에는 토출부(500)가 형성되지 않고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전방토출구(420)가 구획된 공간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는 구획된 공간의 상하 높이가 낮은 경우 저장용기(50)의 높이 또한 낮게 되므로 저장용기(50)의 상면과 내부의 저장된 김치 등의 식품 사이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게 되므로 온도차에 의한 결로 또는 결빙의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또한, 구획된 공간의 높이가 낮을 경우 흡입구(440)의 형성 및 높이의 제약에 의해 상기 토출부(500)의 형성이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최하부에 구획된 공간의 높이가 다른 구획된 공간의 높이와 같거나 토출부(500)가 형성될 수 있는 충분한 높이를 가지는 경우에는 그릴의 양측단에 토출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쉬라우드(300)의 흡입부(360)와 대응하는 상기 그릴(400)의 하단에는 흡입구(44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440)는 저장공간(40)의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로서, 순환된 냉기가 다시 열교환공간(6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용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에서의 냉기 토출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공간의 전체적인 냉기의 순환 상태를 보인 개요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김치와 같은 식품을 저장용기(50)에 담은 후 저장용기(50)를 밀폐하고 상기 선반(100)에 올려놓아 수납시킨다. 상기 선반커버(120)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선반(10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반커버(120)를 회동시켜 상기 구획된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냉장고 도어(20)를 닫아 저장공간(40) 전체를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증발기(200)로 유입되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열교환공간(60)에서는 차가운 냉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냉기는 상기 송풍팬(3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쉬라우드(300)의 장착구(340)를 통과하여 외측방향으로 강제 송풍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400)의 좌우 양측단에 형성된 토출부(500)를 통해서 냉기는 상기 저장공간(40)의 측벽을 향하여 토출된다. 따라서 냉기는 상기 저장공간(40)의 측벽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냉기는 상기 저장용기(50)의 측면과 상기 저장공간(40)의 측벽 사이 공간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그릴(400)이 형성된 후방에서 상기 선반커버(120)가 형성된 전방까지 유동하면서 상기 저장용기(50) 내의 김치와 같은 식품을 간접 냉각하게 된다.
상기 토출부(500)의 개구된 부분의 상하 길이에 따라서 냉각되는 면적에 차이는 있으나, 상기 토출부(500)는 상기 저장용기(50)의 상단보다 더 높지 않게 형성되므로 상기 저장용기(50)의 측면을 충분히 냉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500)의 개구된 부분은 상기 선반(100)의 상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저장용기(50)의 하측을 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저장용기(50)에 저장된 김치와 같은 식품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토출부(500)에서 배출되는 냉기는 상기 선반(10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을 각각 입체적으로 고르게 냉각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그릴(400)에서부터 전방으로 토출된 냉기는 순환하여 상기 흡입구(440)를 통해 상기 열교환공간(60)으로 다시 유입된다.
한편, 상기 그릴(400)의 상부와 하부에 전방토출구(420)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부의 전방토출구(420)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40)의 상부가 냉각되어 상기 제어부(12)에 의한 열부하 침투를 차단하게 되며, 하부의 전방토출구(420)에 의해 토출되는 냉기는 비교적 높이가 낮은 최하부의 구획된 공간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구획된 공간의 입체적이고 고른 냉각을 통해 각각의 공간은 고른 온도분포를 가지게 되며, 상기 저장용기(50)의 일부분 특히 저장용기(50)의 상면에 토출되는 냉기가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아 저장용기(50)의 국부적인 냉각 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공간의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릴의 장착 상태를 보인 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릴과 쉬라우드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I-I'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에서의 냉기 토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공간의 전체적인 냉기의 순환 상태를 보인 개요도.

Claims (18)

  1.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선반;
    상기 본체의 내측 후벽에 제공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공간과 증발기 사이를 구획하는 그릴; 및
    상기 그릴 좌우 양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좌우 측벽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냉기가 측벽을 따라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선반 상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의 개구된 면은 상기 저장공간의 측벽과 0~15˚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돌출되며, 외측 단부가 냉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의 후방에는 상기 증발기를 차폐하도록 상기 그릴과 이격되어 결합되며, 냉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이 장착되는 쉬라우드가 더 제공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전방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그릴의 하부에는 토출된 냉기가 흡입되는 흡입부가 더 형성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하로 다수개가 제공되며, 상기 선반에는 선반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선반커버가 더 형성되는 냉장고.
  8.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상하 구획하며 저장용기가 안착되는 선반;
    상기 본체의 내측면 후벽에 장착되는 증발기;
    상기 저장공간과 증발기의 사이를 구획하는 그릴; 및
    상기 저장공간의 좌우 측벽과 상기 저장용기의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그릴의 좌우 양측에 개방 형성되어, 냉기가 상기 저장공간의 측벽과 저장용기의 사이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저장용기의 상하 길이보다 더 짧은 상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의 상단은 상기 저장용기의 상단보다 더 낮은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선반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냉장고.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그릴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냉장고.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그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에 일측에 장착시 측방향으로 개구되는 냉장고.
  14.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며, 식품의 안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선반;
    상기 저장공간의 후방에 제공되는 증발기;
    상기 저장공간에 제공되며, 상기 증발기를 차폐하는 쉬라우드;
    상기 쉬라우드에 장착되어 상기 증발기측의 냉기를 저장공간으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쉬라우드의 전방에 제공되며, 상기 저장실의 후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
    상기 그릴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쉬라우드와 결합되어 좌우 양 측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토출부;
    상기 그릴의 상부에 개구되며, 전방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전방 토출구; 및
    상기 그릴의 하부에 개구되며, 토출된 냉기가 흡입되는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다수의 선반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냉장고.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의 개방된 부분은 상기 저장공간의 측벽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터보팬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에는 상기 선반에 의해 구획되는 저장공간의 전방을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선반커버가 더 구비되는 냉장고.
KR1020080076744A 2008-08-06 2008-08-06 냉장고 KR101006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744A KR101006783B1 (ko) 2008-08-06 2008-08-06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744A KR101006783B1 (ko) 2008-08-06 2008-08-0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123A true KR20100018123A (ko) 2010-02-17
KR101006783B1 KR101006783B1 (ko) 2011-01-10

Family

ID=4208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744A KR101006783B1 (ko) 2008-08-06 2008-08-06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7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6511A3 (en) * 2010-12-10 2012-08-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Refrigerator and air duct system for refrigerator compartment
CN104376652A (zh) * 2014-09-30 2015-02-25 松下冷链(大连)有限公司 制冷配送柜
EP2584295A3 (en) * 2011-10-19 2015-06-10 Indesit Company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Fluid distribution system providing fluid routing by means of a transfer element
TWI636224B (zh) * 2017-06-27 2018-09-21 台灣松下電器股份有限公司 Air panel for a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0384836B2 (en) * 2019-11-13 2024-04-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7112B2 (ja) 2001-07-09 2006-11-15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KR100449492B1 (ko) * 2002-08-30 2004-09-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캐스팅 채널을 사용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하는주문형 비디오 시스템에서 점프 방법
KR20070031721A (ko) * 2005-09-15 200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420472Y1 (ko) 2006-04-19 2006-07-04 조봉래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1390448B1 (ko) * 2007-02-26 201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6511A3 (en) * 2010-12-10 2012-08-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Refrigerator and air duct system for refrigerator compartment
EP2584295A3 (en) * 2011-10-19 2015-06-10 Indesit Company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Fluid distribution system providing fluid routing by means of a transfer element
CN104376652A (zh) * 2014-09-30 2015-02-25 松下冷链(大连)有限公司 制冷配送柜
TWI636224B (zh) * 2017-06-27 2018-09-21 台灣松下電器股份有限公司 Air panel for a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783B1 (ko) 201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783B1 (ko) 냉장고
JP2009236474A (ja) 冷蔵庫
KR20190121437A (ko) 냉장고
JP2000105052A (ja) 冷蔵庫
KR20190127027A (ko) 냉장고
KR20100039559A (ko) 냉장고
JP3563671B2 (ja) 自動製氷装置付き冷蔵庫
JP6622980B2 (ja) 冷蔵庫
KR20120008277A (ko) 냉각 장치 및 냉각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1322949B1 (ko) 스탠드형 냉장고
KR20220074489A (ko) 냉장고
KR100674038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20100039561A (ko) 냉장고
US11859890B2 (en) Refrigerator
JP6186115B2 (ja) 冷蔵庫
JP2005037125A (ja) 冷蔵庫
EP4276391A1 (en) Refrigerator
JP2001349668A (ja) 冷蔵庫
KR100674039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20070075835A (ko) 냉장고.
JP2001099546A (ja) 冷蔵庫
KR20100028828A (ko) 냉장고
KR200339274Y1 (ko) 김치냉장고의 도어 냉기순환장치
JP2001041634A (ja) 冷蔵庫
KR100859459B1 (ko) 천장토출식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