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48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74489A KR20220074489A KR1020200163045A KR20200163045A KR20220074489A KR 20220074489 A KR20220074489 A KR 20220074489A KR 1020200163045 A KR1020200163045 A KR 1020200163045A KR 20200163045 A KR20200163045 A KR 20200163045A KR 20220074489 A KR20220074489 A KR 202200744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maker
- cover
- ice
- cold air
- outl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8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8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6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94 expand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12 degen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92 genital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25D2317/0671—Inlet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 공간의 후면을 형성하며,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그릴 팬; 상기 도어의 후면과 상기 토출구의 사이에 위치되며,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상면을 차폐하는 탑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탑 커버에는, 상기 탑 커버의 상면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우회하여 아이스 메이커 전방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커버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자동으로 얼음을 만들어 보관할 수 있는 자동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3724호에는 냉동실에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되고, 자동으로 급수되는 물에 의해 얼음이 만들어진 후 하방으로 낙하 되어 저장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는 아이스 메이커의 배치에 따라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가릴 수 있으며, 따라서 아이스 메이커의 전방으로의 냉기 공급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저장 공간 전체의 냉기 순환 및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특히, 아이스 메이커 전방의 공간에 수납부재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냉기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저장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아이스 메이커의 냉각 성능을 만족하면서 동시에 냉동실 내부의 냉기 순환이 개선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아이스 메이커를 우회하여 아이스 메이커 전방의 수납부재를 향해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냉기 토출구를 이용하여 고내의 냉각과 동시에 아이스 메이커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실의 바닥으로의 냉기 침투를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 공간의 후면을 형성하며,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그릴 팬; 상기 도어의 후면과 상기 토출구의 사이에 위치되며,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상면을 차폐하는 탑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탑 커버에는, 상기 탑 커버의 상면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우회하여 아이스 메이커 전방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커버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와 마주보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일측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가 유입되는 아이스 메이커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와 마주보는 상기 탑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 유로 내측으로 냉기가 유입되는 커버 유로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로 입구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 유로 입구의 하단과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의 상단은 서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토출구의 사이에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탑 커버로 안내하는 가이드 덕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의 일단은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가이드 덕트의 타단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커버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의 내부는 상하로 분지되며, 상기 가이드 덕트의 분지된 출구는 각각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커버 유로를 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후방에서 가로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토출구 중 일부는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 의해 가려지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그릴 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덕트의 입구는 상기 토출구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는,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덕트 바디, 상기 덕트 바디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그릴 팬 전면에 지지되는 덕트 테두리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 테두리의 일단은 절개되어 돌출된 형상의 상기 토출구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는,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덕트 바디와; 상기 덕트 바디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어퍼 유로와 로어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어퍼 유로의 출구는 상기 커버 유로 입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로어 유로의 출구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는 상기 그릴 팬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유로에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커버 유로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어퍼 그릴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 유로에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내부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로어 그릴이 형성되며, 상기 어퍼 그릴과 로어 그릴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를 상하로 구획하는 베리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리어의 하면에는 함몰된 마운팅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탑 커버는 상기 마운팅 커버 내측에 수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의 상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쌍이 서로 이격되는 사이드 리브와, 상기 사이드 리브의 상단을 연결하는 덕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탑 커버의 상면과, 상기 사이드 리브 및 덕트 커버에 의해 상기 커버 유로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덕트 커버는 판상의 단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리브에 형성된 커버 장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로의 출구측으로 갈수록 상기 사이드 리브의 사이 거리는 더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로의 출구 전방에는 상기 탑 커버 상면에서 돌출되는 다수의 토출 그릴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 그릴은 커버 유로의 중심을 지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선의 기준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얼음이 만들어지는 다수의 셀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트레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다수의 셀 하부를 형성하는 로어 트레이; 상기 로어 트레이와 연결되며, 상기 로어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어퍼 트레이의 상방에서 상하 이동되며, 상기 어퍼 트레이를 관통하여 상기 셀 내부의 얼음을 배출하는 이젝터;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 트레이 및 로어 트레이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구형의 셀을 형성하며, 다수의 상기 셀들은 상기 커버 유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는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차폐하며, 상기 탑 커버에는 상기 이젝터의 상하 이동을 위해 함몰된 이젝터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젝터 수용부는 상기 커버 유로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와 마주보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 상단에는 상기 어퍼 트레이 상면을 따라 냉기가 유동되도록 개구되는 아이스 메이커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 유로 입구가 개구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아이스 메이커에 탑 커버가 결합되어 후방의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아이스 메이커를 상방으로 우회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가 상기 토출구를 전방에서 가리는 구조에서도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전방으로 냉기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냉동실 도어에 도어 바스켓이 구비되는 경우 아이스 메이커를 통과한 공기가 도어 바스켓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도어 바스켓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전방으로 냉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냉동실 전체에 냉기 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냉동실 전체의 균일한 온도 유지 및 냉기의 전체적인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냉각 성능이 보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그릴팬의 토출구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사이에 가이드 덕트가 구비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가이드 덕트의 어퍼 유로와 로어 유로를 통해서 분지되어 상기 커버 유로와 아이스 메이커로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유로와 상기 커버 유로를 차례로 지나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바이패스하는 냉기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배면 및 도어 바스켓을 냉각하고, 상기 로어 유로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 유로를 차례로 지나는 냉기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의 효과적인 제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배치로 인한 아이스 메이커에서의 제빙과, 상기 아이스 메이커 전방의 냉각이 동시에 가능하게 되어 제빙 성능과 냉각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유로의 출구에는 토출 그릴이 구비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 전방의 공간 중 특정 위치, 예를 들어 도어 바스켓과 같은 위치로 냉기의 집중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적은 유량의 냉기로도 냉각 성능을 만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유로의 입구 및 출구와 인접하는 위치에는 입구 가이드와 출구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가이드 덕트로부터의 냉기 유입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커버 유로로부터의 냉기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냉기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유로는 상기 탑 커버와 일체로 성형된 한쌍의 사이드 리브의 상단에 단열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탑 커버의 성형을 용이하게 하고, 커버 유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커버 유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가 배치되는 베리어는 상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베리어의 두께가 국부적으로 얇아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커버 유로의 상면은 단열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커버 유로 내부를 지나는 냉기에 의한 상기 베리어 상면 즉 상기 냉장실 바닥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배치 및 상기 커버 유로의 형성에도 상기 냉장실 바닥면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고 단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리어 상에 수납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충분한 단열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하부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하부 저장 공간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그릴 팬과 가이드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가이드 덕트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킹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아이스 메이킹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커와 탑 커버가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마운팅 커버의 하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탑 커버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탑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는 상기 탑 커버의 하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냉동실 내부의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B부 확대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하부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하부 저장 공간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그릴 팬과 가이드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가이드 덕트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킹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아이스 메이킹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커와 탑 커버가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마운팅 커버의 하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탑 커버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탑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는 상기 탑 커버의 하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냉동실 내부의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B부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방향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1 에서 보이는 도어가 위치된 방향을 전방, 도어를 기준으로 캐비닛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 그리고,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리고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하부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에 장착되며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01)와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2)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이너 케이스(102)의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도 14에서, 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베리어(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베리어(11)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은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 공간은 상부 저장 공간(12)과 하부 저장 공간(13)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저장 공간(12)은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므로 사용 빈도가 높은 냉장실로 사용되고, 상기 하부 저장 공간(13)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저장 공간(12)을 냉장실(12), 하부 저장 공간(13)을 냉동실(13)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상부 저장 공간(12)을 차폐하는 상부 도어(21)와, 하부 저장 공간(13)을 차폐하는 하부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21)는 냉장실 도어(21)라 부를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도어(22)는 냉동실 도어(22)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21)는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저장 공간(12)을 각각 회전하여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21)는 프렌치(French)타입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저장 공간(12)을 부분적으로 각각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상기 상부 도어(21)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와, 메인 도어어 전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로 구성되는 이중 도어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도어(21)의 후면 즉, 상기 냉장실(12)을 향하는 면에는 바스켓, 또는 별도의 수납 공간을 가지는 도어 수납부재(2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22)는 상기 상부 도어(21)와 같이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저장 공간(13)을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22)는 냉동실 도어(22)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22)의 후면 즉, 상기 냉동실(13)을 향하는 면에는 도어 바스켓(2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스켓(221)은 상하로 다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바스켓(221)은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바스켓(221)은 탈착이 가능한 형태가 아니라 상기 하부 도어(22)의 배면 형상에 의해 수납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는 서랍과 선반과 같은 냉장실 수납부재(1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수납부재(121)는 상하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좌우 양측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실(12)의 바닥면에는 함몰된 수납부(1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11)는 상기 베리어(11)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111)에 의해 함몰된 공간 즉, 상기 베리어(11)의 함몰 영역에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11)는 함몰 형성되되 상기 수납부(111)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베리어(11)의 하면이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정도의 깊이로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11)는 상기 냉장실(12) 바닥면의 전단에 위치될 수 있으며,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냉장실 수납부재(121)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냉장실 수납부재(121)에 의해 가려지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11)에는 상기 수납부(111)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는 수납부 커버(1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3)의 내부에는 냉동실 수납부재(131)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냉동실 수납부재(131)는 인출입 가능한 서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하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수납부재(131)의 인출입 구조는 하방에 위치된 상기 냉동실(13) 내부에 식품의 수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3)에는 상기 냉동실(13)을 좌우로 구획하는 냉동실 베리어(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베리어(14)는 상기 냉동실(13)의 가로 방향 중앙부에 배치될 수있으며, 상기 베리어(11)의 하면에서 상기 냉동실(13)의 바닥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베리어(11)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공간은 한쌍의 상기 냉동실 도어(22)에 의해서 각각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아이스 메이커(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는 상기 냉동실(13)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22)의 개방시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는 상기 냉동실(13)에서 구획된 좌우 양측의 공간(13a,13b) 중 일측의 공간(13a)에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는 급수와 제빙 및 이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오토 아이스 메이커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하방에는 아이스 빈(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6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바스켓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60)은 상기 냉동실 수납부재(131)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수납부재(131)의 인출입시 함께 인출입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는 상기 냉동실(13)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얼음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는 냉기의 공급이 용이한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3) 내부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로의 냉기 공급이 용이한 동시에 상기 냉동실(13) 내부로의 냉기 공급이 원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는 길이가 짧은 면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동실 도어(22)가 개방된 상태에서 전방에서 바라보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3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153)의 일부가 측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153)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로 공급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냉동실(13)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전면 상방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커버 유로(420)의 출구가 되는 토출 그릴(423)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22) 및 도어 바스켓(221)을 향하여 냉기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동실(13)의 내부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하부 저장 공간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그릴 팬과 가이드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가이드 덕트의 후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동실(13)은 상기 이너 케이스(10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3)의 후면은 그릴 팬(15)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15)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에 배치되는 증발기(16)를 차폐할 수 있다. 즉, 상기 그릴 팬(15)은 상기 이너 케이스(102)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냉동실(13) 공간을 전후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16)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15) 전방의 상기 냉동실(13) 공간은 상기 냉동실 베리어(14)에 의해 좌측 공간(13a)과 우측 공간(13b)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공간(13a)과 우측 공간(13b)은 상기 그릴 팬(15) 후방의 공간을 통해 냉기가 유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좌측 공간(13a)과 우측 공간(13b)은 독립적인 온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증발기(16)의 상방에는 송풍팬(17)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팬(17)의 구동에 의해 상기 증발기(16)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13)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7)은 상기 팬 가이드(17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팬 가이드(171)는 상기 송풍팬(17)의 회전시 상기 증발기(16)의 냉기의 흡입 및 토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7) 및 상기 팬 가이드(171)는 상기 그릴 팬(15)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공간(13a)과 우측 공간(13b) 각각으로 냉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15)에는 흡입구(151)와 토출구(15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구(153)를 통해 상기 냉동실(13) 내부로 냉기가 토출되고, 상기 흡입구(151)를 통해 상기 냉동실(13) 내부의 공기가 상기 증발기(16)측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토출구(153)는 상기 그릴 팬(15)의 상단 또는 상단과 가까운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53)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토출구(153)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토출구(153)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에서 볼 때 상기 토출구(153)의 일부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에 의해 가려질 수 있으며, 나머지 일부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보다 더 측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15)의 상하 높이 대략 중간 지점에는 중간 토출구(15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토출구(152)는 상기 증발기(16)의 상단보다 더 상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30) 보다는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수납부재(131)가 배치되는 영역을 주로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중간 토출구(152) 또한 상기 좌측 공간(13a)과 우측 공간(13b)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좌우측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 중간 지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그릴 팬(15)의 하단에는 흡입구(1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51)는 상기 증발기(16)의 위치 또는 상기 증발기(16)보다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13)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51) 또한 상기 좌측 공간(13a)과 우측 공간(13b)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좌우측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 중간 지점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그릴 팬(15)의 후방에는 상기 증발기(16)에서 생성되는 냉기의 유동 및 좌측 공간 및 우측 공간으로의 냉기 분배를 위한 유동 안내 구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구(153)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사이에는 가이드 덕트(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18)는 상기 토출구(153)로부터 토출되는 냉기 중 일부를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토출구(153)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로 향하는 냉기 유동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덕트(18)는 상기 토출구(153)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토출구(153)는 상기 그릴 팬(15)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된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18)는 후단이 상기 그릴 팬(15)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덕트(18)의 전단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30) 및 탑 커버(40)와 인접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덕트(18)의 전단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30) 및 탑 커버(40)와 결합되거나 서로 접하여 기밀 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가이드 덕트(18)는 전체적으로 전면과 후면으로 개구된 덕트 바디(1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181)는 상기 토출구(153)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안내하는 유로(185)를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덕트 바디(181)의 내부 공간은 덕트 파티션(182)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덕트 파티션(182)에 의해 구획된 상방의 공간은 어퍼 유로(183)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 파티션(182)에 의해 구획된 하방의 공간은 로어 유로(184)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성기 덕트 바디(181)의 개구된 전면은 상하로 분지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유로(183)는 상기 커버 유로(420)로 냉기를 안내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유로(183)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커버 유로 입구(420a)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153)에서 토출된 냉기 중 일부는 상기 어퍼 유로(183)를 통해 상기 커버 유로(4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유로(184)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로 냉기를 안내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유로(184)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153)에서 토출된 냉기 중 일부는 상기 로어 유로(184)를 통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 바디(181)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그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구(153)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커버 유로(420) 및 상기 아이스 메이커(30) 내측 전체에 고르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유로(183)의 개구된 전면에는 상기 어퍼 유로(183)의 개구된 전면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어퍼 그릴(18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그릴(183a)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그릴(183a)은 상기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어퍼 유로(183)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커버 유로(420)를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어퍼 그릴(183a)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어퍼 유로(183)의 내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커버 유로 입구(420a)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유로(184)의 개구된 전면에는 상기 로어 유로(184)의 개구된 전면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로어 그릴(18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그릴(184a)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그릴(184a)은 상기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로어 유로(184)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를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로어 그릴(184a)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로어 유로(184)의 내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퍼 그릴(183a)과 로어 그릴(184a)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크기로 개구된 상기 커버 유로 입구(420a)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로 상기 어퍼 그릴(183a)과 로어 그릴(184a)에 의해 냉기의 안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한쳔, 상기 가이드 덕트(18)는 덕트 테두리(18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 테두리(187)는 상기 가이드 덕트(18)가 상기 그릴 팬(15)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덕트 바디(181)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덕트(18)가 상기 그릴 팬(15)에 장착될 때 상기 덕트 테두리(187)는 상기 그릴 팬(15)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 덕트(18)가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 테두리(187) 및 상기 덕트 바디(181)의 일단에는 삽입부(18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86)는 상기 가이드 덕트(186)의 내측에 상기 토출구(153)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개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덕트 바디(181)의 개구된 후단의 상하 폭은 상기 토출구(153)의 상하 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덕트 바디(181)의 개구된 후면을 통해 상기 토출구(153)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 바디(181) 및 덕트 테두리(187)의 좌우양측 중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가이드 덕트(18)보다 가로 길이가 긴 상기 토출구(153)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덕트 바디(181)의 좌우 양측면 중 상기 삽입부(186)의 반대편 측면은 상기 토출구(153)의 일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가이드 덕트(18)의 개구된 후면에 상기 토출구(153)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삽입부(186)는 상기 토출구(153)의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덕트 테두리(187)는 상기 그릴 팬(15)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 덕트(18)가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덕트(18)에 의해 상기 토출구(153)에서 상기 냉동실(13)로 토출되는 냉기 중 일부만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측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동실(13)에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킹 장치(2)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킹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아이스 메이킹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메이커와 탑 커버가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이스 메이킹 장치(2)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동작 및 장착을 위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이스 메이킹 장치(2)는, 얼음을 만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상면을 차폐하는 탑 커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킹 장치(2)는 상기 탑 커버(40)와 결합되어 아이스 메이커(30)가 상기 베리어(11)에 장착되도록 하는 마운팅 커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는 급수되는 물을 받아서 얼음을 만든 후 하방으로 이빙하는 것으로, 급수와 제빙 및 이빙에 이르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오토 아이스 메이커일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내부에 구비되며, 물이 수용되어 얼음이 만들어지는 다수의 셀(C)이 형성된 아이스 트레이(35)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35)의 회전을 위한 구동장치(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는 제빙된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35)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젝터(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31)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내부에 상기 아이스 트레이(35)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1)는 상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면(311)과 상기 케이스 상면(311)의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케이스 둘레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젝터(36)는 상기 케이스 상면(311)에서 상하 이동되어 상기 셀(C) 내부의 얼음을 밀어 이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35)와 구동장치(32)는 상기 케이스 둘레면(3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상면(311)은 상기 케이스 둘레면(312)과 교차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둘레면(312)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상면(311)의 둘레는 상기 탑 커버(40)의 덕트 테두리(412)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 상면(311)은 상기 탑 커버(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상면(311)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5)의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트레이(34)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트레이(34)는 상기 셀(C)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셀(C)은 구형으로 형성되어 구형의 얼음을 만들 수 있으며, 상기 어퍼 트레이(34)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다수의 반구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트레이(34)의 상단에는 트레이 홀(342a)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홀(342a)은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상면(311)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홀(342a)을 통해 상기 이젝터(36)가 출입되어 상기 셀(C)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밀어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 홀(342a) 중 적어도 어도 어느 하나는 물이 급수되는 급수부재(39)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셀(C)들로 제빙을 위한 물이 공급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재(39)는 상면이 개구된 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부재(39)의 상방에는 상기 베리어(11) 내측으로 유입된 급수관(5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재(39)는 상기 다수의 셀(C)들 중 중간에 배치되는 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35)의 가로 길이 즉, 좌우측 방향의 길이를 기준으로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35)는 상기 어퍼 트레이(34)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35)의 하부를 형성하는 로어 트레이(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트레이(33)는 상기 어퍼 트레이(34)와 결합되어 상기 셀(C)의 하부를 형성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어 트레이(33)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다수의 반구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트레이(34)와 로어 트레이(33)의 결합시 상기 어퍼 프레임(34)에 형성됨 홈과 상기 로어 프레임(33)에 형성된 홈은 서로 연결되어 구형의 상기 셀(C)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셀(C)은 은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일렬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셀(C)의 배치 방향은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셀(C)의 배치 방향은 상기 토출구(153)에서 토출되는 냉기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커버 유로(42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트레이(33)는 상기 구동장치(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트레이(33)의 회전축(331)은 상기 구동장치(3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트레이(33)는 회전에 의해 상기 셀(C)이 개방되어 제빙된 얼음이 낙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트레이(34)와 로어 트레이(33)의 적어도 일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어퍼 바디(342)와 로어 바디(332)를 포함할 수 있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어퍼 트레이(34)와 로어 트레이(33) 중 적어도 상기 셀(C)을 형성하는 상기 어퍼 바디(342)와 로어 바디(332)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어 트레이(33)가 회전에 의해 상기 어퍼 트레이(34)와 접하게 될 때 상기 어퍼 바디(342)와 로어 바디(332)가 서로 밀착되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트레이(34)와 로어 트레이(33)의 나머지 부분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다른 구성과의 결합 및 동작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장치(32)는 회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회전축(331)을 연결하는 다수의 기어들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32)에는 상기 이젝터(36) 및 아래에서 설명할 만빙 감지장치(37)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3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이젝터(36)와 상기 만빙 감지장치(37)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셀(C) 내부에 제빙된 얼음의 이빙을 위해서는 이젝터(36)가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36)는 상기 케이스(31)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32)와 연결되어 상기 로어 트레이(33)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하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이 완료되어 상기 로어 트레이(33)가 회전되면 상기 셀(C)이 개방되고, 상기 이젝팅 로드(361)는 상기 트레이 홀(342a)을 통과하여 얼음을 밀어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둘레면(312)의 내측에는 하부 이젝터(3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38)는 상기 케이스(31)의 전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로어 케이스(31)가 회전되는 반경 내에 돌출된 단부가 배치되어 상기 로어 케이스(31)가 회전될 때 상기 로어 케이스(31)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셀(C)의 일측과 대응하는 부분을 누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로어 트레이(33)가 회전되어 상기 셀(C)이 개방되면, 상기 이젝터(36)에 의해 얼음이 배출되지만, 상기 로어 트레이(33)에 얼음이 위치하게 된 경우에는 고정된 상기 하부 이젝터(38)가 상기 로어 트레이(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셀(C)의 하부와 대응하는 로어 트레이(33)의 일측을 눌러 얼음을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이젝터(38)와 접하는 상기 로어 트레이(33)의 일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수 있다.
물론, 상기 어퍼 트레이(34)와 로어 트레이(33)에는 히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얼음의 제빙 완료시 얼음이 상기 셀(C)로부터 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어퍼 트레이(34) 및 로어 트레이(33)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만빙 감지장치(37)는 상기 로어 트레이(33) 하방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양단이 각각 상기 만빙 감지장치(37)와 상기 케이스(3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32)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35) 하방의 얼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아이스 트레이(35) 하방에 배치된 아이스 빈(60) 내부에 제빙된 얼음이 일정 높이 이상 쌓이게 되면 상기 만빙 감지장치(37)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추가 제빙 운전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둘레면(312)은 후면이 개구될 수 있으며, 일측면을 제외한 다른 일측면과 전후면은 상기 케이스 상면(3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35)가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게 된다. 즉, 상기 케이스(31)는 상기 저장 공간의 측벽면과 마주보는 일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둘레면은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상면(311) 및 상기 케이스 둘레면(312)에 의해 하방으로 개구되고, 내부에 아이스 트레이(35)와 상기 구동장치(32)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31)의 후면 상단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로 냉기가 유입되는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는 상기 케이스 둘레면(312)의 상단에 개구될 수 있으며, 좌우 양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는 상기 가이드 덕트(18)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는 상기 로어 유로(184)의 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유로(184)의 출구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는 상기 로어 유로(184)의 출구와 서로 인접하거나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어 상기 로어 유로(184)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를 통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3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는 상기 어퍼 트레이(34)의 상부 또는 상면과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어퍼 트레이(34)를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30)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케이스 테두리(312)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로어 트레이(33)의 영역까지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테두리(312)에는 차폐판(3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판(314)는 상기 케이스 테두리(312)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 테두리(312)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테두리(312)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후단과 상기 아이스 빈(60)의 후단 사이의 공간 적어도 일부를 차폐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빈(60)의 인출입시 상기 아이스 빈(60) 후방으로 얼음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판(314)에는 상기 차폐판(314)을 통과하여 냉기가 유동될 수 있는 통기홀(31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홀(314a)을 통과하는 냉기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하부를 냉각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빈(60) 내부로 공급되어 저장된 얼음을 냉각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상면에는 탑 커버(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4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케이스 상면(312)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케이스 상면(312)의 모서리에는 케이스 결합부(3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탑 커버(40)의 모서리에 형성된 탑 커버 결합부(41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4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상방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40)가 아이스 메이커(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탑 커버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사이에는 아이스 메이커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 유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로 유입된 냉기가 유동되는 아이스 메이커 유로(31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유로(310)를 지나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35) 내부의 물을 냉각하여 얼음이 만들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40)의 상면에는 상기 토출구(153)에서 토출되는 냉기 중 일부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를 우회하여 전방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커버 유로(4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40)에는 상기 이젝터(36)의 상하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이젝터 수용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40)의 세부적인 구조에 관하여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40)의 상면에는 상기 마운팅 커버(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커버(50)는 베리어(11) 하면의 베리어 개구(102a)를 차폐할 수 있으며, 상기 탑 커버(40)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커버(50)는 상기 탑 커버(40) 및 아이스 메이커(30)와 결합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30)가 상기 베리어(11)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마운팅 커버(50)는 마운팅 브라켓이라 부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운팅 커버(50)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마운팅 커버의 하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마운팅 커버(5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으로 형성되어 함몰된 공간(510)을 형성하는 마운팅 플레이트(51)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마운팅 테두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는 상기 탑 커버(4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함몰된 공간(510)을 형성하여 상기 탑 커버(40)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젝터 수용부(412)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이젝터 수용부(4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더 함몰된 마운팅 수용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의 일측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동작을 위한 전선이 연결된 커넥터가 장착되는 케넥터 장착부(15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장착부(512)에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512)를 관통하는 커넥터 홀(51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에는 급수관 삽입구(5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삽입구(514)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35)의 셀(C)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54)이 통과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삽입구(514)를 통과하도록 삽입된 급수관(54)은 상기 급수부재(39)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부재(39)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의 상면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5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515)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보강 리브(515)가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의 상면은 상기 베리어 개구(102a) 내측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베리어(11) 내부에 주입되는 발포 단열재(103)의 압력에 의해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테두리(52)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의 하단 둘레를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테두리(52)는 상기 베리어(11)의 하면에 개구된 베리어 개구(102a)의 둘레와 접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운팅 커버(50)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가 상기 베리어 개구(102a)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마운팅 테두리(52)가 상기 베리어(11)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킹 장치(2)가 베리어(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마운팅 커버(50) 및 탑 커버(40)의 일부는 상기 베리어(11)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11) 내부로 안내되는 급수관(54)은 상기 마운팅 커버(50)의 급수관 삽입구(514)를 통과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운팅 테두리(52)는 상기 탑 커버(40)의 둘레와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테두리(52)의 모서리에는 상기 탑 커버 결합부(413)와 결합되는 마운팅 결합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결합부(313)와 상기 탑 커버 결합부(413) 및 마운팅 결합부(513)는 차례로 결합될 수 있으며, 스크류가 체결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운팅 커버(50)는 상기 탑 커버(40)와 결합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와 탑 커버(40) 및 마운팅 커버(50)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베리어(11)의 하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운팅 커버(50)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베리어(11)의 하면이 함몰되어 상기 마운팅 커버(5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탑 커버(40)가 상기 베리어(11)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탑 커버(40)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탑 커버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탑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는 상기 탑 커버의 하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탑 커버(40)는 상기 케이스 상면(311)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상면을 상방에서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40)는 케이스 상면(311)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40)는 상기 케이스 상면(312)에 결합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상면의 차폐와 동시에 상기 아이스 메이커(30) 내부의 냉기 유동 통로 즉, 상기 아이스 메이커 유로(31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탑 커버(4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상면을 차폐하는 동시에 상기 아이스 메이커 유로(310) 및 커버 유로(42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4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 플레이트(41)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테두리(4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41)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상면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하면은 상기 케이스(31) 상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모서리에 상기 커버 결합부(413)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결합부(313) 및 마운팅 결합부(513)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에는 상기 이젝터(36)와 대응하는 위치에 이젝터 수용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 수용부(412)는 하면이 개구되고 상방으로 함몰된 공간(412b)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탑 커버(40)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젝터(36)가 상하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에는 커버 개구(41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개구(412a)는 상기 급수부재(39)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41)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부재(39)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개구(412a)는 상기 이젝터 수용부(412)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체결부재(4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14)는 후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커버(50)의 내측면에 형성된 체결부(515)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14)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마운팅 커버(50)와 탑 커버(40)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고 탈착이 용이한 구조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에는 상기 커버 유로(420)를 형성하기 위한 사이드 리브(4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로(420)는 한쌍의 상기 사이드 리브(421)와, 상기 사이드 리브(421)의 상단을 연결하는 단열 플레이트(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사이드 리브(421)는 상기 탑 커버(40)의 사출 성형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리브(42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후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리브(421)는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격된 사이 공간에 상기 커버 유로(4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리브(42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리브(421)의 돌출 높이는 상기 마운팅 커버(50)와 간섭되지 않는 정도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리브(421)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515)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보강 리브(515)는 상기 사이드 리브(421)의 외측면 전체에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리브(42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전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리브(421)는 상기 이젝터 수용부(412)의 전단보다 더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사이드 리브(42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41) 전단에 형성되는 출구 가이드(416)까지 연장될 수 있다.
좌우 양측에 배치된 상기 사이드 리브(421)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상기 사이드 리브(421) 사이의 거리, 즉, 상기 커버 유로(420)의 개구된 전면의 폭은 후면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드 리브(421)의 전반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 양측의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유로(420)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보다 넓게 퍼지면서 토출되어 아이스 메이커(30) 전방의 넓은 영역을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 리브(421)의 전단, 즉, 상기 커버 유로(420)의 전단의 바닥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입구 가이드(4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 가이드(422)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 가이드(422)의 양측단에 상기 사이드 리브(421)의 하단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유로 입구(420a)는 충분한 입구 크기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덕트(18)로부터 유입되는 냉기가 상기 커버 유로(420) 내측으로 효과적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로(420)의 개구된 후면 즉, 상기 커버 유로 입구(420a)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유로 입구(420a)의 좌우방향 폭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의 좌우방향 폭 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로 입구(420a)와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유로 입구(420a)의 하단과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 상단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로 분지된 상기 가이드 덕트(18)의 출구와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덕트(18)를 통해 분지되어 공급되는 냉기가 각각 상기 커버 유로(42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리브(421)의 상단에는 상기 단열 플레이트(43)가 장착되도록 하는 플레이트 장착부(4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425)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상기 단열 플레이트(43)의 네모서리를 구속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425)는 좌우 양측의 사이드 리브(421)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 플레이트(43)의 전단과 후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 플레이트(43)는 상기 사이드 리브(42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 유로(42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 플레이트(43)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열 플레이트(43)는 진공 단열재 또는 이피에스(EPS:Expanded Polystyrene)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플레이트(43)는 상기 커버 유로(420) 내측의 냉기가 상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유로(420)를 통해 냉기가 공급되더라도 상기 베리어(11)를 통해 상기 냉장실(12)의 바닥면으로 냉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마운팅 커버(50)의 배치 및 상기 수납부(111)의 함몰 구조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상기 베리어(11)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더라도 상기 커버 유로(420)에 의해 상기 냉장실(12) 바닥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 플레이트(43)의 좌우측 폭은 한쌍의 상기 사이드 리브(421) 사이의 폭과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플레이트(43)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사이드 리브(421)의 길이보다는 더 짧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한쌍의 상기 사이드 리브(421) 사이의 폭이 동일한 구간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리브(421)의 전단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전단까지 상기 출구 가이드(4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구 가이드(416)는 상기 사이드 리브(421)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리브(421) 사이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상하 방향으로도 넓게 펼쳐지면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전단 즉, 상기 출구 가이드(416)의 전단에는 토출 그릴(4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그릴(423)은 상기 출구 가이드(416)를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마다 다수개가 연속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그릴(423)은 상기 커버 유로(420)의 중심을 지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선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유로(42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는 방향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30) 전방의 특정 방향 예컨데 상기 도어 바스켓(221)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냉기가 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토출 그릴(423)은 기울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 유로(420)에 의해 토출되는 냉기가 복수의 영역을 향하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는 상기 냉동실 내부의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도 14의 A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도 14의 B부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동실(13)의 냉각을 위해서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고, 상기 증발기(16)에서는 주위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한 냉기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17)이 동작되면, 상기 증발기(16)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토출구(153)를 통해서 상기 냉동실(13) 내부로 토출되고, 상기 냉동실(13) 내부의 공기는 상기 흡입구(151)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16)로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기의 순환에 의해서 상기 냉동실(13)은 설정된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구(153)의 전방에는 아이스 메이커(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는 상기 도어(20)의 후면과 상기 그릴 팬(15)의 전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아이스 메이킹 장치(2)에 의해서 상기 토출구(153)는 일부가 측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53)에서 토출되는 냉기 중 일부는 상기 냉동실(13)의 내부로 직접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가이드 덕트(18)를 통해 상기 아이스 메이킹 장치(2)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덕트(18)를 통해 상기 아이스 메이킹 장치(2)로 공급되는 냉기중 일부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로 공급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에서 제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덕트(18)를 통해 상기 아이스 메이킹 장치(2)로 공급되는 냉기중 일부는 상기 탑 커버(40)의 커버 유로(420)를 통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30) 상방을 지나 상기 냉동실 도어(22)의 후면 및 상기 도어 바스켓(221)으로 우회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배치로 인해 상기 토출구(153)가 가려진 상태에서도 상기 커버 유로(420)에 의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를 우회한 냉기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30) 전면에서 상기 냉동실 도어(22)의 후면 및 상기 도어 바스켓(221)을 향하여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송풍팬(17)의 구동에 의해 상기 토출구(153)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전방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53)와 연결된 상기 가이드 덕트(18)의 내부로 냉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18)의 내부로 유입된 냉기는 분지된 상기 어퍼 유로(183)와 로어 유로(184)를 따라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유로(184)를 통해서 전방으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135)를 통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30) 내측으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유로(310)에서 상기 셀(C)의 상부와 대응하는 영역을 냉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 유로(310) 내부의 냉기는 상기 케이스 상면(311)을 지나 하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35)를 전체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는 상기 로어 유로(184)를 통해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서 상기 셀(C)의 내부를 냉각하고, 구형의 얼음을 만들 수 있다. 구형의 얼음이 만들어지게 되면 상기 구동장치(32)에 의해서 상기 로어 트레이(33)가 회전되고 상기 이젝터(36) 및 상기 하부 이젝터(38)가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36) 및 하부 이젝터(38)에 의해 상기 셀(C) 내부의 얼음들이 하방으로 이빙되어 상기 아이스 빈(6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덕트(18)의 상기 어퍼 유로(183)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커버 유로 입구(420a)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유로 입구(420a)를 지나는 냉기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영역 특히 상기 셀(C)들이 형성된 위치를 거치지 않고 상기 탑 커버(40)의 상면을 지나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어퍼 유로(183)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커버 유로(420) 입구를 통해서 상기 커버 유로(420)로 유입되고, 상기 커버 유로(420)를 따라 유동되는 냉기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를 거치지 않고 상기 커버 유로(420)의 출구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유로(420)는 상기 탑 커버(40)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 유로(310)를 거치지 않고 냉기를 전방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로 출구(420b)를 지나는 냉기는 다수의 토출 그릴(423)을 지나면서 방향성을 가지게 되며,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로(42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의 전방으로 토출되어 상기 냉동실(13)의 후벽면 또는 상기 도어 바스켓(221)을 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 메이킹 장치(2)가 장착되는 상기 베리어(11)의 하면은 함몰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 그릴(423) 전방의 상기 베리어(11) 하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토출 그릴(423)을 통해 토출되는 냉기가 하방을 향하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30) 전방의 공간으로의 냉기 공급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13) 내부의 냉각 성능이 보장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아이스 메이커(30)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도어 바스켓(221)에도 충분한 냉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유로(420)를 지나는 냉기는 상기 단열 플레이트(43)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냉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킹 장치(2)의 장착을 위해 함몰되어 상기 베리어(11)의 두께가 얇아진 영역에서도 냉기가 상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2)의 바닥면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0)
-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 공간의 후면을 형성하며,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그릴 팬;
상기 도어의 후면과 상기 토출구의 사이에 위치되며,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상면을 차폐하는 탑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탑 커버에는,
상기 탑 커버의 상면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우회하여 아이스 메이커 전방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커버 유로가 형성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와 마주보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일측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가 유입되는 아이스 메이커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와 마주보는 상기 탑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 유로 내측으로 냉기가 유입되는 커버 유로 입구가 형성되는 냉장고.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로 입구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 유로 입구의 하단과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의 상단은 서로 접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토출구의 사이에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탑 커버로 안내하는 가이드 덕트가 구비되는 냉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의 일단은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가이드 덕트의 타단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커버 유로와 연통되는 냉장고.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의 내부는 상하로 분지되며, 상기 가이드 덕트의 분지된 출구는 각각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커버 유로를 향하여 개구되는 냉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후방에서 가로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토출구 중 일부는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 의해 가려지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노출되는 냉장고.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그릴 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덕트의 입구는 상기 토출구의 일부를 수용하는 냉장고.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는,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덕트 바디,
상기 덕트 바디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그릴 팬 전면에 지지되는 덕트 테두리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 테두리의 일단은 절개되어 돌출된 형상의 상기 토출구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는,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덕트 바디와;
상기 덕트 바디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어퍼 유로와 로어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어퍼 유로의 출구는 상기 커버 유로 입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로어 유로의 출구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냉장고.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바디는 상기 그릴 팬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유로에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커버 유로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어퍼 그릴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 유로에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내부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로어 그릴이 형성되며,
상기 어퍼 그릴과 로어 그릴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를 상하로 구획하는 베리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리어의 하면에는 함몰된 마운팅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탑 커버는 상기 마운팅 커버 내측에 수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가 장착되는 냉장고.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의 상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쌍이 서로 이격되는 사이드 리브와,
상기 사이드 리브의 상단을 연결하는 덕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탑 커버의 상면과, 상기 사이드 리브 및 덕트 커버에 의해 상기 커버 유로가 정의되는 냉장고.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커버는 판상의 단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리브에 형성된 커버 장착부에 결합되는 냉장고.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로의 출구측으로 갈수록 상기 사이드 리브의 사이 거리는 더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로의 출구 전방에는 상기 탑 커버 상면에서 돌출되는 다수의 토출 그릴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 그릴은 커버 유로의 중심을 지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선의 기준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얼음이 만들어지는 다수의 셀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트레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다수의 셀 하부를 형성하는 로어 트레이;
상기 로어 트레이와 연결되며, 상기 로어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어퍼 트레이의 상방에서 상하 이동되며, 상기 어퍼 트레이를 관통하여 상기 셀 내부의 얼음을 배출하는 이젝터;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 트레이 및 로어 트레이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구형의 셀을 형성하며,
다수의 상기 셀들은 상기 커버 유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냉장고.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는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차폐하며,
상기 탑 커버에는 상기 이젝터의 상하 이동을 위해 함몰된 이젝터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젝터 수용부는 상기 커버 유로와 나란히 배치되는 냉장고.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와 마주보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 상단에는 상기 어퍼 트레이 상면을 따라 냉기가 유동되도록 개구되는 아이스 메이커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 입구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 유로 입구가 개구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3045A KR20220074489A (ko) | 2020-11-27 | 2020-11-27 | 냉장고 |
US18/039,157 US20230417473A1 (en) | 2020-11-27 | 2021-11-24 | Refrigerator |
PCT/KR2021/017358 WO2022114761A1 (ko) | 2020-11-27 | 2021-11-24 | 냉장고 |
CN202180079333.6A CN116547486A (zh) | 2020-11-27 | 2021-11-24 | 冰箱 |
EP21898587.7A EP4253880A4 (en) | 2020-11-27 | 2021-11-24 | F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3045A KR20220074489A (ko) | 2020-11-27 | 2020-11-27 | 냉장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4489A true KR20220074489A (ko) | 2022-06-03 |
Family
ID=81754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3045A KR20220074489A (ko) | 2020-11-27 | 2020-11-27 | 냉장고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417473A1 (ko) |
EP (1) | EP4253880A4 (ko) |
KR (1) | KR20220074489A (ko) |
CN (1) | CN116547486A (ko) |
WO (1) | WO202211476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6452A (ko) * | 2021-06-10 | 2022-12-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73736A (ja) * | 1997-12-12 | 1999-07-02 | Toshiba Corp | 冷蔵庫 |
KR20070042020A (ko) * | 2005-10-17 | 2007-04-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KR101406187B1 (ko) * | 2007-06-04 | 2014-06-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제빙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
KR20100013724A (ko) | 2008-08-01 | 2010-02-10 | (주)디지로그커뮤니케이션 | 문서서식에 미니코드를 생성하는 방법 및 문서서식에생성된 미니코드를 해석하는 방법 |
US10101074B2 (en) * | 2016-04-21 | 2018-10-16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Ice maker air flow ribs |
KR102426182B1 (ko) * | 2017-11-10 | 2022-07-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190125121A (ko) * | 2018-04-27 | 2019-11-06 |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 제빙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
CN210832665U (zh) * | 2019-08-06 | 2020-06-23 | 沈阳海尔电冰箱有限公司 | 冰箱 |
KR20220068703A (ko) * | 2020-11-19 | 2022-05-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2020
- 2020-11-27 KR KR1020200163045A patent/KR20220074489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
- 2021-11-24 WO PCT/KR2021/017358 patent/WO202211476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1-24 EP EP21898587.7A patent/EP4253880A4/en active Pending
- 2021-11-24 CN CN202180079333.6A patent/CN116547486A/zh active Pending
- 2021-11-24 US US18/039,157 patent/US20230417473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253880A1 (en) | 2023-10-04 |
EP4253880A4 (en) | 2024-10-02 |
WO2022114761A1 (ko) | 2022-06-02 |
CN116547486A (zh) | 2023-08-04 |
US20230417473A1 (en) | 2023-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0086B1 (ko) | 냉장고 | |
EP3109581B1 (en) | Refrigerator | |
KR101687897B1 (ko) | 냉장고 | |
KR102344627B1 (ko) | 냉장고 | |
KR20190121437A (ko) | 냉장고 | |
US20230417473A1 (en) | Refrigerator | |
KR101132455B1 (ko) | 냉장고 | |
EP4249833A1 (en) | Refrigerator | |
JP3563671B2 (ja) | 自動製氷装置付き冷蔵庫 | |
KR101132548B1 (ko) | 냉장고 | |
KR101694663B1 (ko) | 냉장고 | |
KR101048222B1 (ko) | 냉장고 | |
KR20120008277A (ko) | 냉각 장치 및 냉각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 |
KR101260559B1 (ko) | 냉장고 | |
EP4102158A1 (en) | Refrigerator | |
KR20220099857A (ko) | 냉장고 | |
EP4080144A1 (en) | Refrigerator | |
KR102465316B1 (ko) | 냉장고 | |
KR100239769B1 (ko) |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 |
KR20100023352A (ko) | 냉장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