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7872A - 스포일러를 구비하지 않은 평탄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스포일러를 구비하지 않은 평탄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7872A
KR20100017872A KR1020097026517A KR20097026517A KR20100017872A KR 20100017872 A KR20100017872 A KR 20100017872A KR 1020097026517 A KR1020097026517 A KR 1020097026517A KR 20097026517 A KR20097026517 A KR 20097026517A KR 20100017872 A KR20100017872 A KR 20100017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nector
wiper
flexo
bla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7676B1 (ko
Inventor
스코트 앨런 코펜
제임스 린 라이틀
Original Assignee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07548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1787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20100017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79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placed in side grooves in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5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 B60S1/3867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pin formed on the interior of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60S1/3887Mounting of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7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 B60S2001/38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the backing strip being an essentially planar reinforcing strip, e.g.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43Wiper blades equipped with removable cover or protectiv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76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by snap f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95Associating parts by use of aligning means [e.g., use of a drift pin or a "f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길이방향의 홈을 갖고 있는 크라운 및 윈도우를 닦기 위한 팁을 구비한 탄성적인 와이퍼 요소를 가지고 있다. 아치형 금속 플렉소는 크라운 홈에 배치되는 내부 에지 및 외부 에지를 가지고 있다. 기다란 커버는 상부벽 및 기다란 채널을 제공하도록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안쪽으로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를 가지고 있다. 플렉소의 외부 에지가 채널 안에 배치된다. 커넥터는 와이퍼 아암에 부착되게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을 가지고 있으며, 하부면은 커버 플랜지를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포켓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또는 커버 중의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가 커넥터 또는 커버 중의 다른 하나에 형성된 개구에 수용되어 커넥터를 커버에 고정한다.
자동차, 윈도우, 와이퍼 블레이드, 커넥터, 커버, 돌출부, 개구

Description

스포일러를 구비하지 않은 평탄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조립 방법{SPOILERLESS FLAT WIPER BLAD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를 닦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스포일러를 구비하지 않은 평탄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윈도우에 원치 않는 줄무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왕복 운동하는 동안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길이 전체에 걸쳐서 윈도우와 균일한 접촉을 유지하도록 한다. 문제점은 자동차가 주행하는 동안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상에 발생하는 기류이며,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왕복 운동하는 동안 기류와 관련하여 밀착 각도를 변경한다. 더욱 어려운 문제점은 윈도우의 불균일한 표면이며, 와이퍼 블레이드는 왕복 운동하는 동안 외형의 윤곽을 변화시키도록 길이를 따라 휘어질 수 있는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윈도우에 원치 않는 줄무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다양한 종류의 와이퍼 조립체가 제안되었고, 대다수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복잡하며 따라서 비용이 고가인 경향이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윈도우와 균일한 접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채 택된 하나의 방안은 조립체에 스포일러를 통합하는 것이다. 스포일러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상의 기류와 관련하여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바람직한 공기역학적인 밀착을 생성하도록 의도된 것이지만, 이 방안은 문제가 있다. 일부 경우에, 스포일러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균일한 압력 분포를 생성하기보다는 오히려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상부 표면을 따라 동일하지 않은,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압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조립체의 일부가 윈도우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경향이 있고 이에 의해 줄무늬가 발생 및/또는 노이즈를 야기한다. 게다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스포일러를 부가하는 것은 비용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재료 및 제조과정의 비용면에서 저렴하고 사용할 때의 공기역학적인 다양한 조건을 감안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형성하는 과제가 상존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에 따라 제조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탄성적인 와이퍼 요소, 기다랗고 평탄한 금속 플렉소(flexor), 기다란 폴리머 커버, 와이퍼 아암에 부착되는 커넥터를 가지고 있다. 와이퍼 요소는 길이방향으로 뻗은 홈을 구비하고 있는 크라운 및 크라운으로부터 윈도우와 맞닿는 팁을 갖고 있는 보디까지 뻗어 있는 네크를 가지고 있다. 플렉소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있으며 안쪽으로 향한 에지 및 바깥쪽으로 향한 에지를 구비하고 있고, 안쪽으로 향한 에지는 와이퍼 요소 크라운의 각각의 홈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된다. 커버는 양쪽 단부 사이에 뻗어 있는 대체로 평탄하고 기다란 상부벽 및 상부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안쪽으로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를 가지고 있고, 플랜지와 상부벽 사이에 기다란 채널이 구비되며 플렉소의 바깥쪽으로 향한 에지가 채널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된다. 커버의 상부벽은 양쪽 단부 사이에 개구 또는 돌출부 중의 하나를 가지고 있다. 커넥터는 와이퍼 아암에 부착하게 되어 있고, 커버의 상부벽과 결합하기 위한 하부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커버는 커버의 상부벽과 플랜지의 적어도 일부를 그 안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하는 포켓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를 가지고 있다. 커버의 하부면은 개구 또는 돌출부 중의 다른 하나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개구와 돌출부는 커넥터를 커버에 고정하기 위하여 서로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탄성적인 와이퍼 요소, 기다랗고 아치형의 금속 플렉소, 기다란 폴리머 커버, 및 커넥터를 가지고 있다. 와이퍼 요소는 서로 반대쪽을 향해 있는 길이방향으로 뻗은 홈을 구비하고 있는 크라운 및 윈도우와 맞닿는 팁을 가지고 있다. 플렉소는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안쪽으로 향한 에지 및 바깥쪽으로 향한 에지를 구비하고 있고, 안쪽으로 향한 에지는 와이퍼 요소 크라운의 각각의 홈에 배치된다. 커버는 양쪽 단부 사이에 뻗어 있는 대체로 평탄하고 기다란 상부벽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벽을 관통하는 개구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커버는 상부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안쪽으로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를 가지고 있고, 플랜지와 상부벽 사이에 채널이 제공되며 채널은 플렉소의 안쪽으로 향한 에지를 수용한다. 커넥터는 와이퍼 아암에 부착하게 되어 있고, 커버의 상부벽과 결합하기 위한 하부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커넥터는 커버의 상부벽과 플랜지의 적어도 일부를 그 안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하는 포켓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안쪽으로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를 가지고 있다. 커넥터의 하부면은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돌출부는 커넥터를 커버에 고정하기 위하여 커버의 개구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길이방향으로 뻗은 홈을 구비하고 있는 크라운 및 상기 크라운과 반대쪽에 윈도우와 맞닿는 팁을 갖고 있는 탄성적인 와이퍼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안쪽으로 향한 에지 및 바깥쪽으로 향한 에지를 갖고 있는 기다랗고 구부러진 플렉소를 제공하는 단계; 위쪽으로 뻗은 돌출부 또는 개구 중의 하나를 구비한 상부벽 및 상부벽과 플랜지 사이에 기다란 채널을 제공하도록 상부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안쪽으로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를 갖고 있는, 폴리머로 만들어진 기다란 커버를 제공하는 단계; 아래쪽으로 뻗은 돌출부 또는 개구 중의 하나를 구비한 하부면 및 하부면과 커넥터 플랜지 사이에 갭을 제공하도록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를 갖고 있는 와이퍼 아암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탄성적인 와이퍼 요소의 홈에 플렉소의 안쪽으로 향한 에지를 배치하는 단계 및 커버의 채널에 플렉소의 외부 에지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커넥터의 갭이 상부벽의 일부 및 커버의 플랜지를 수용한 상태에서 커버의 대략 중간 지점까지 커버를 따라서 와이퍼 아암 커넥터를 미끄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와이퍼 아암 커넥터와 커버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부를 개구내에 스냅 결합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내용, 특징 및 장점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 첨부 도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를 함께 관련지어 고려할 때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측면도;
도 2 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라인 2-2을 따라 도시된 단면도;
도 3A 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라인 3-3을 따라 도시된 단면도;
도 3B 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변경 실시예에 대한 라인 3-3을 따라 도시된 단면도;
도 4A 는 와이퍼 아암 커넥터의 일부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라인 4-4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
도 4B 는 와이퍼 아암 커넥터의 일부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것을 나타내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라인 4-4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
도 5 는 분해 상태에서 도시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커버의 평면도;
도 6 은 커버의 저면도;
도 7 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와이퍼 아암 커넥터의 끝면도;
도 8 은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측면도;
도 9 는 단부 캡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도 8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부분적인 평면도;
도 10 은 도 8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로부터 분리되어 도시된 단부 캡의 아래쪽의 평면도;
도 11 은 도 8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라인 11-11을 따라 도시된 단면도; 및
도 12 는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와이퍼 아암 커넥터의 일부를 도시한 도 4A 및 4B와 유사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단면도.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를 도시하고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는, 별개의 기다랗고 대체로 평탄한 한 쌍의 플렉소 요소(이하 플렉소(14) 라고 함)로 도시(도 2 내지 4 참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소에 의해서 윈도우(도시 생략)와 전체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한 접촉을 하게 휘어지는 탄성적인 와이퍼 요소(12)를 가지고 있다. 와이퍼 요소(12) 및 플렉소(14)는 바람직하게 적절한 두께의 가요성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진, 기다랗고 대체로 평탄한 커버(16)에 의해서 지지되어 사용시에 커버(16)가 가요성을 유지하므로 커버는 와이퍼 요소(12)와 함께 플렉소(14)에 의해서 휘어질 수 있다. 대체로 평탄한 커 버(16)의 외부 윤곽은 광범위한 자동차 속도 및 이에 따른 광범위한 기류 속도에 대해 왕복 운동하는 동안 윈도우와 대체로 균등한 접촉 압력을 유지하도록 와이퍼 요소(12)의 기능을 증진시킨다. 와이퍼 커넥터(18)는 별개의 파스너를 사용하지 않고 커버(16)에 부착된다. 커넥터(18)는 핀 타입 접속, 후크 단부 타입 접속, 플랫 단부 접속 또는 다른 방식의 접속을 하는 임의의 와이퍼 아암 조립체(도시 생략)에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폴리머 와이퍼 요소(12)는 예를 들면 고무, PTFE 또는 와이퍼 요소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와이퍼 요소 재료로 만들어지며, 본 명세서에는 제한하는 것이 아닌 예시적인 방식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준 형태의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와이퍼 요소는 양쪽 단부(21, 23) 사이에 뻗어 있는 크라운(20)을 가지고 있으며, 크라운에는 크라운 안으로 들어간 홈(22)이 길이방향으로 뻗어 구비되어 있다. 크라운(20)으로부터 팁(28)에서 종결되는 보디(26)까지 네크(24)가 형성되어 있다.
플렉소(14)는 예를 들면 스프링 강과 같은 탄성적인 금속으로 제조된다. 플렉소(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활 형상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길이를 따라 아치형의 활 형상을 갖는 별개의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된다. 활 형상의 플렉소는 윈도우의 외부 윤곽에 의존하여 임의의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리 휘어져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가 윈도우와 접촉할 때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전체 길이를 따라 윈도우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도록, 완성된 플렉소(14)의 곡률 반경은 윈도우의 곡률 반경보다 작다. 도 2 내지 4에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소(14)는 전체적으로 평탄하고, 단부(33) 사이에 뻗어 있는 양쪽의 에지를 가지고 있는데 하나의 에지는 안쪽으로 향하는 에지(30)이며 반대편의 에지는 바깥쪽으로 향한 에지(32)이다(도 3A 및 3B 참조).
커버(16)는 와이퍼 요소(12)의 크라운(20)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약간 돌출 또는 상승된 중간부(35)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부벽(34) 및 상부벽(34)으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안쪽으로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36)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36)는 상부벽(34)과 플랜지(36) 사이에 기다란 채널(38)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부벽(3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채널(38)은 커버(16)의 앙쪽 단부(40, 41) 사이에 뻗어 있다. 상부벽(34)은 아래쪽으로 뻗은 돌출부 또는 개구 중의 하나를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명세서에는 양쪽 단부(40, 41) 사이의 대략 중간 지점에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42)로서 설명되어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개구(42)는 커버(16)에 와이퍼 커넥터(18)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제조시에, 커버(16)는 소정의 폴리머 재료로 몰드 성형 또는 압출 성형될 수 있다.
와이퍼 커넥터(18)는 조립체(10)에 하나 이상의 종류의 와이퍼 아암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커넥터(18)는 강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금속 또는 임의의 적합한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4A, 4B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8)는 와이퍼 아암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개방된 채널(47)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부벽으로부터 위쪽으로 뻗은 한 쌍의 이격된 측벽(46)을 구비한 하부벽(44)을 가지고 있다. 제한하는 것이 아닌 예시적인 방식으로, 커넥터(18)에 와이퍼 아암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측벽(46)은 핀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 를 가지고 있거나, 또는 측벽(46)은 커넥터(18)의 보디와 원피스의 재료로 형성된 안쪽으로 뻗은 돌출부(48)를 갖도록 몰드 성형될 수 있다. 하부벽(44)은 조립할 때 커버(16)의 상부벽(34)과 인접하는 하부면(50)을 가지고 있다. 커넥터(18)는 커버(16)의 상부벽(34) 및 플랜지(36)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포켓(54)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부면(50)에서 이격되어 서로를 향하여 하부벽(44)으로부터 안쪽으로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52)를 가지고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6)에 커넥터(18)의 조립 및 유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커넥터(18)는 개구 또는 돌출부 중의 하나를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명세서에는 커버(16)의 개구(42)에 수용되게 하부면(5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부(56)로서 설명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돌출부(56)는 개구(42)내에 스냅 끼워맞춤하기 위한 크기로 되어 있으므로 개구에 수용될 때 커넥터(18)는 별개의 파스너가 필요없이 커버(16)와 상대 이동하지 않게 고정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6)에 커넥터(18)를 고정하는 것에 부가적으로 와이퍼 요소(12), 커버(16) 및 커넥터(18) 간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충분히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부(56)는 개구(42)를 통과하고 상부벽(34)을 넘어 뻗어서 크라운(20)과 결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8)를 조립할 때 와이퍼 요소(12), 커버(16) 및 커넥터(18)는 추가적인 파스너가 필요없이 서로에 대한 상대 위치에 고정된다.
만약 도 4A의 커넥터(18)가 사용되면, 와이퍼 요소(12)를 플렉소(14) 및 커버(16)에 대하여 이동하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6)에는 히트 스테이킹(heat staked) 돌출부(58)가 구비된 다. 제한하는 것이 아닌 예시적인 방식으로 명세서에서 히트 스테이킹 돌출부(58)는 와이퍼 요소(12)의 단부(23)에 아주 근접하여 단부(40, 41) 근처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와이퍼 아암(12)이 채널(38)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퍼 요소(12)의 크라운(20)에 대한 차단물이 된다. 만약 원한다면, 돌출부(58)는 상부벽(34)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와이퍼 요소(12)의 크라운(20)과 결합하게 뻗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도 4B의 커넥터(18)가 사용되면, 와이퍼 요소(12)를 플렉소(14) 및 커버(16)에 대해 이동하지 못하도록 유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별개의 파스너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18)의 돌출부(56)가 결합되어 와이퍼 요소(12)를 플렉소(14) 및 커버(16)와 상대 이동하지 않게 유지한다.
플렉소(14)는 커버(16) 안의 히트 스테이킹 돌출부(60)에 의해 조립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스테이킹 돌출부(60)는 커버(16)의 상부벽(34)에서 단부(40, 41) 근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돌출부(60)는 채널(38)내로 아래쪽으로 뻗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널(38)을 차단하며 플렉소(14)가 와이퍼 요소(12) 및 커버(16)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부벽(34)에 돌출부(60)를 형성하는 대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가 채널(38)내로 위쪽으로 뻗어 채널(38)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플렌지(36)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6)의 상부벽(34)이 히트 스테이킹 또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하지 않도록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만약 도 4A의 커넥터가 사용되면 와이퍼 요소(12)를 플렉소(14) 및 커버(16)에 대해 이동하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와이퍼 요소(12), 플렉소(14) 및 커버(16)를 서로 상대 이동하지 않게 구속하기 위하여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10)의 양쪽 단부에 단부 캡(62)이 부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소(14)는 커버(16)의 단부(40, 41)를 초과하여 뻗은 단부(33)를 가지고 있고, 와이퍼 요소(12)는 단부(33) 근처의 지점까지 뻗어 있다. 플렉소(14)는 단부 캡(62)과 고정 결합하기 위해 단부(33) 근처에 노치 또는 개구(65)를 가지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소(14)와 단부 캡(62)의 고정 결합을 위해서, 단부 캡(62)은 플렉소 단부(33)를 그 안에 미끄럼 이동하여 수용하기 위한 포켓을 가지고 있고, 예시적인 방식으로 명세서에서 포켓은 캡(62)의 상부벽(68)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구부러진 플렌지(66)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캡(62)은 상부벽(68)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은 탭(70)을 가지고 있고, 탭(70)은 플렉소(14)의 개구(65)에 스냅 고정되어 수용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단부 캡(62)이 플렉소(14)상에서 미끄럼 이동하여 탭(70)이 개구(65)에 스냅 고정되게 수용될 때, 바람직하게 단부 캡(62)의 플렌지(66)가 커버(16)의 단부(40, 41)와 가까이 인접하는 한편 캡(62)의 단부벽(72)이 와이퍼 요소(12)의 단부(21)와 마주하여 와이퍼 요소(12), 플렉소(14) 및 커버(16) 간의 상대 이동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8)의 돌출 부(56)는 와이퍼 요소(12)의 크라운(20) 및 커버와 고정 결합하게 뻗어 있을 뿐만 아니라 플렉소(14)와 고정 결합하게 뻗어 있을 수 있다. 제한하는 것이 아닌 예시적인 방식으로 명세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56)는 플렉소(14)에 오목부 또는 스캘럽(74)에 의해 제공되는 개구내로 뻗어 있고, 이에 의해 플렉소(14)가 돌출부(56)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커넥터(18)가 커버(16)와 결합하여 고정될 때 와이퍼 요소(12), 플렉소(14), 커버(16) 및 커넥터(18)는 서로 상대 이동하지 않게 고정되며, 이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의 조립을 완성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를 조립하기 위하여, 플렉소(14)는 바깥쪽으로 향한 에지(32)를 채널 안에서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커버(16)의 채널(38)에 배치된다. 그 다음에, 와이퍼 요소(12)의 크라운(20)이 안쪽으로 향한 에지(30)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되며, 안쪽으로 향한 에지(30)는 크라운(20)의 홈(22)에 수용된다. 그 다음에, 돌출부(56)가 커버의 개구(42)에 스냅 결합하여 수용될 때까지 커넥터(18)는 커버(16) 상에서 커버를 따라 미끄럼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돌출부(56)는 와이퍼 요소(12)의 크라운(20)과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와이퍼 요소(12)를 커버(16)와 상대 이동하지 않게 고정한다. 또한, 돌출부(56)는 플렉소(14)와 고정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와이퍼 요소(12), 플렉소(14), 커버(16) 및 커넥터(18)를 함께 고정한다. 변경예에서, 돌출부(58)가 와이퍼 요소(12)를 차단하는 것 및/또는 돌출부(60)가 플렉소(14)를 차단하는 것이 되도록 커버(16)가 히트 스테이킹될 수 있다. 게다가, 단부 캡(62)은 플렉소(14)의 단부(64)에 스냅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와이퍼 요소(12), 플렉소(14) 및 커버(16)를 함께 고정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내용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청구범위의 범주 안에서 본 발명이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9)

  1.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탄성적인 와이퍼 요소, 기다랗고 평탄한 금속 플렉소, 기다란 폴리머 커버,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와이퍼 요소는 길이방향으로 뻗은 홈을 구비하고 있는 크라운 및 상기 크라운으로부터 윈도우와 맞닿는 팁을 갖고 있는 보디까지 뻗어 있는 네크를 가지고 있고,
    상기 플렉소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있고, 상기 플렉소는 안쪽으로 향한 에지 및 바깥쪽으로 향한 에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안쪽으로 향한 에지는 상기 와이퍼 요소 크라운의 각각의 상기 홈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커버는 양쪽 단부 사이에 뻗어 있는 대체로 평탄하고 기다란 상부벽 및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안쪽으로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를 구비하여, 상기 플랜지와 상기 상부벽 사이에 기다란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플렉소의 상기 바깥쪽으로 향한 에지가 상기 채널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벽은 상기 양쪽 단부 사이에 개구 또는 돌출부 중의 하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는 와이퍼 아암에 부착하게 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버의 상기 상부벽과 결합하기 위한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구부러져 있는 한 쌍의 플랜지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의 상기 상부벽과 플랜지의 적어도 일부를 그 안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하는 포켓을 제공하고, 상기 하 부면은 상기 개구 또는 돌출부 중의 다른 하나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개구와 돌출부는 상기 커넥터를 상기 커버에 고정하기 위하여 서로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상부벽은 상기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개구에 스냅 결합하게 수용되어 상기 커넥터와 상기 커버가 서로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와 상기 커버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뻗어 상기 와이퍼 요소의 상기 크라운과 결합하여 상기 와이퍼 요소, 상기 커버 및 상기 커넥터 간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소는 개별적인 금속 스트립으로 된 한 쌍의 플렉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스트립은 상기 안쪽으로 향한 에지와 바깥쪽으로 향한 에지 중의 하나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플렉소가 상기 채널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의 상기 채널내로 뻗은 히트 스테이킹 제 1 돌출부 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와이퍼 요소가 상기 커버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퍼 요소의 상기 크라운과 마주하는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은 히트 스테이킹 제 2 돌출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스테이킹 제 1 돌출부는 상기 커버의 상기 상부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스테이킹 제 1 돌출부는 상기 커버의 상기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9.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플렉소는 상기 안쪽으로 향한 에지내로 뻗어 있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개구에 스냅 결합하게 수용될 때 상기 크라운의 일부가 상기 오목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0.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플렉소는 상기 안쪽으로 향한 에지내로 뻗어 있는 노치를 가지고 있고 플렉소, 와이퍼 요소 및 커버 간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노치에 스냅 결합하여 수용되는 한 쌍의 탭을 가진 단부 캡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1.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탄성적인 기다란 와이퍼 요소, 기다랗고 아치형의 금속 플렉소, 기다란 폴리머 커버,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와이퍼 요소는 서로 반대쪽을 향해 있는 길이방향으로 뻗은 홈을 구비하고 있는 크라운 및 윈도우와 맞닿는 팁을 가지고 있고,
    상기 플렉소는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안쪽으로 향한 에지 및 바깥쪽으로 향한 에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안쪽으로 향한 에지는 상기 와이퍼 요소 크라운의 각각의 홈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는 양쪽 단부 사이에 뻗어 있는 대체로 평탄하고 기다란 상부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부벽을 관통하는 개구가 구비되어 있고,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안쪽으로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를 구비하여 상기 플랜지와 상기 상부벽 사이에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채널은 상기 플렉소의 안쪽으로 향한 에지를 수용하며,
    상기 커넥터는 와이퍼 아암에 부착하게 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버의 상기 상부벽과 결합하기 위한 하부면을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버의 상기 상부벽과 상기 플랜지의 적어도 일부를 그 안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하는 포켓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안쪽으로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하부면은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뻗어 있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넥터를 상기 커버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와이퍼 요소의 상기 크라운과 결합하여 상기 와이퍼 요소, 상기 커버 및 상기 커넥터 간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크라운을 상기 플렉소와 결합시켜 상기 플렉소, 상기 와이퍼 요소, 상기 커버 및 상기 커넥터 간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4.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길이방향으로 뻗은 홈을 구비하고 있는 크라운 및 상기 크라운과 반대쪽에 윈도우와 맞닿는 팁을 갖고 있는 탄성적인 와이퍼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안쪽으로 향한 에지 및 바깥쪽으로 향한 에지를 갖고 있는 기다랗고 구부러진 플렉소를 제공하는 단계;
    위쪽으로 뻗은 돌출부 또는 개구 중의 하나를 구비한 상부벽 및 상기 상부벽과 플랜지 사이에 기다란 채널을 제공하도록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안쪽으로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를 갖고 있는, 폴리머로 만들어진 기다란 커버를 제공하는 단계;
    아래쪽으로 뻗은 돌출부 또는 개구 중의 하나를 구비한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과 커넥터 플랜지 사이에 갭을 제공하도록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로를 향해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를 갖고 있는 와이퍼 아암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탄성적인 와이퍼 요소의 홈에 플렉소의 안쪽으로 향한 에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커버의 채널에 플렉소의 외부 에지를 배치하는 단계; 및
    커넥터의 갭이 상부벽의 일부 및 커버의 플랜지를 수용한 상태에서 커버의 대략 중간 지점까지 커버를 따라서 와이퍼 아암 커넥터를 미끄럼 이동시키고, 돌출부를 개구내에 스냅 결합 고정되게 하여 와이퍼 아암 커넥터와 커버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조립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아래쪽으로 뻗은 돌출부를 구비한 와이퍼 아암 커넥터와 개구를 구비한 커버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조립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돌출부가 개구 내에 스냅 결합하여 고정될 때 크라운을 돌출부와 결합시킴으로써 와이퍼 아암 커넥터, 커버 및 와이퍼 요소 간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조립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돌출부가 커버의 개구내에 스냅 결합하여 고정될 때 크라운을 돌출부와 결합시키고 크라운의 일부 및 돌출부가 개구 내에 수용되게 함으로써 와이퍼 아암 커넥터, 커버, 와이퍼 요소 및 플렉소 간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조립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부 캡을 제공하고 단부 캡을 플렉소와 스냅 결합시켜 플렉소, 와이퍼 요소 및 커버 간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조립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한 쌍의 개별적인 아치형의 평면 금속 스트립인 플렉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조립 방법.
KR1020097026517A 2007-05-22 2008-05-22 스포일러를 구비하지 않은 평탄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조립 방법 KR1014276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951007P 2007-05-22 2007-05-22
US60/939,510 2007-05-22
US12/124,623 2008-05-21
US12/124,623 US7992248B2 (en) 2007-05-22 2008-05-21 Spoilerless flat wiper blade assembly
PCT/US2008/064478 WO2008147849A1 (en) 2007-05-22 2008-05-22 Spoilerless flat wiper blad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872A true KR20100017872A (ko) 2010-02-16
KR101427676B1 KR101427676B1 (ko) 2014-08-07

Family

ID=4007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517A KR101427676B1 (ko) 2007-05-22 2008-05-22 스포일러를 구비하지 않은 평탄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992248B2 (ko)
EP (1) EP2155524B2 (ko)
JP (1) JP5361080B2 (ko)
KR (1) KR101427676B1 (ko)
CN (1) CN101754893B (ko)
WO (1) WO20081478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9026A1 (en) * 2008-12-04 2010-06-10 Chin Pech Co., Ltd. Wiper Blade Spoiler Assembly
DE102009000864A1 (de) * 2009-02-13 2010-08-19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für einen Scheibenwischer
ES2701435T3 (es) * 2009-08-27 2019-02-22 Trico Products Corp Conjunto de limpiaparabrisas
DE102011004632A1 (de) * 2011-02-24 2012-08-30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JP2014509985A (ja) * 2011-04-07 2014-04-24 フェデラル−モグル エス.エー.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装置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CN102416931B (zh) * 2011-06-13 2013-11-27 汪玉华 雨刷器
US9174611B2 (en) 2011-07-28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DE102011054021A1 (de) * 2011-09-28 2013-03-28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blatt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DE102011054123A1 (de) * 2011-09-30 2013-04-04 Valeo Wischersysteme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KR102005798B1 (ko) 2011-12-14 2019-07-31 페더럴-모걸 엘엘씨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US10723322B2 (en) 2012-02-24 2020-07-28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CA2865292C (en) 2012-02-24 2018-03-1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DE102013203686A1 (de) * 2012-05-29 2013-12-05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DE102012106837A1 (de) * 2012-07-27 2014-05-15 Valeo Wischersysteme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20140101884A1 (en) * 2012-10-11 2014-04-17 Trico Products Corporation Beam blade wipe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9539987B2 (en) 2014-04-01 2017-01-10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9434355B2 (en) 2014-04-01 2016-09-06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CN105459962B (zh) * 2014-06-06 2020-07-31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刮水板
WO2017075066A1 (en) 2015-10-26 2017-05-0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EP3458315B1 (en) 2016-05-19 2021-09-08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blade
CN109311450A (zh) 2016-05-19 2019-02-05 电缆塔制造有限公司 挡风玻璃雨刮器连接器
US10513246B2 (en) 2016-05-19 2019-12-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0661759B2 (en) 2016-05-19 2020-05-26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11819116A (zh) * 2018-02-19 2020-10-23 至高产品公司 挡风玻璃刮拭器臂适配器,联接器和组件
US11186260B2 (en) * 2018-09-04 2021-11-30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creen wip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2423A (en) 1945-12-13 1968-03-12 Anderson Co Windshield cleaner
US2687544A (en) 1950-05-10 1954-08-31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cleaner
US2782444A (en) 1953-08-20 1957-02-26 Productive Inventions Inc Windshield wiper blade
US2983945A (en) 1958-03-12 1961-05-16 Anderson Co Wiper blade assembly
US3116507A (en) 1960-05-02 1964-01-07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wiper system
US3208091A (en) 1960-08-03 1965-09-28 Zaiger Wiper blade assembly
US3116510A (en) * 1963-05-20 1964-01-07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wiper
US3541629A (en) 1968-04-30 1970-11-24 Hastings Mfg Co Detachable windshield wiper blade unit
US3616485A (en) 1969-12-10 1971-11-02 Hastings Mfg Co Detachable windshield wiper blade unit
US3696497A (en) 1970-11-19 1972-10-10 Hastings Mfg Co Method of making a backing strip for a wiper blade
IT1032660B (it) 1975-04-11 1979-06-20 Arman Sas Di Dario Arman Ec Supporto lamellare per spazzole tergenti negli impianti tergivetro abordo di autoveicoli in genere
DE3222864A1 (de) 1982-06-18 1983-12-22 SWF-Spezialfabrik für Autozubehör Gustav Rau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Wischblatt fuer scheibenwischanlagen von fahrzeugen, insbesondere kraftfahrzeug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3318425A1 (de) * 1983-05-20 1984-11-22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Wischvorrichtung fue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JPS6094854A (ja) 1983-10-31 1985-05-28 Nippon Denso Co Ltd 自動車用ワイパラバ−
JPS61105257A (ja) 1984-10-27 1986-05-23 Toyoda Gosei Co Ltd ワイパ−ブレ−ド
DE9201307U1 (ko) 1992-02-04 1993-05-2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JPH10167017A (ja) 1996-12-11 1998-06-23 Nippon Waipabureede Kk 車両用ワイパのストッパ部材
DE19718490A1 (de) 1997-05-02 1998-11-05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9801058A1 (de) 1998-01-14 1999-07-15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9802451A1 (de) 1998-01-23 1999-07-29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langgestreckten, federelastischen Tragelement
US6026537A (en) 1998-04-30 2000-02-22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DE19833666B4 (de) 1998-07-27 2015-06-25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US6799348B1 (en) 1998-10-12 2004-10-05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creen wiper
ES2243290T3 (es) 1999-07-09 2005-12-01 Robert Bosch Gmbh Raqueta de limpiaparabrisas para cristales, particularmente de automoviles, asi como un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la misma.
JP2001080471A (ja) 1999-09-13 2001-03-27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
DE19945858A1 (de) 1999-09-24 2001-03-29 Bosch Gmbh Robert Wischblätter unterschiedlicher Abmessungen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9951363A1 (de) 1999-10-26 2001-05-03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29918961U1 (de) 1999-10-28 2001-03-08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0025710A1 (de) 2000-02-23 2001-08-30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ür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DE10025708A1 (de) * 2000-05-25 2001-11-29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DE10025706A1 (de) 2000-05-25 2001-11-29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DE10038397B4 (de) 2000-08-07 2013-09-19 Valeo Auto-Electric Wischer Und Motoren Gmbh 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50107150D1 (de) 2000-10-28 2005-09-22 Bosch Gmbh Robert Gelenkfreies wischblatt,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058208B4 (de) 2000-11-23 2009-06-04 Valeo Auto-Electric Wischer Und Motoren Gmbh Wischvorrichtung
DE10391162B4 (de) * 2002-04-04 2020-08-20 Robert Bosch Gmbh Wischhebel mit einem Wischerarm und einem an diesem angelenkten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US7373688B2 (en) * 2002-12-13 2008-05-20 Asmo Co., Ltd. Wiper blade provided with detachable blade rubber and wiper system having the same
JP2004189185A (ja) * 2002-12-13 2004-07-08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及びワイパ装置
DE10259478A1 (de) 2002-12-19 2004-07-01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US7464433B2 (en) 2003-03-21 2008-12-16 Robert Bosch Gmbh Wiper blade to clean windows, in particular of motor vehicles
JP4308602B2 (ja) * 2003-08-08 2009-08-05 日本ワイパブレード株式会社 ワイパーブレード
BRMU8402004U (pt) * 2004-08-17 2004-12-28 Dyna Electromecanica Disposição introduzida em palheta
KR100633643B1 (ko) 2004-11-24 200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러버 교체가 가능한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의 엔드 클립
DE602005005005T2 (de) 2005-01-25 2009-02-26 Federal-Mogul S.A. Scheibenwischvorrichtung
FR2890026B1 (fr) * 2005-08-29 2008-12-05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comportant une monture de support en deux parties
DE102005052258A1 (de) * 2005-11-02 2007-05-03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US8122560B2 (en) 2006-08-04 2012-02-28 Dongguan Hongyi Wiper Co., Ltd. Windshield wiper bridge base assembly
US7523522B2 (en) 2006-09-22 2009-04-28 Federal Mogul World Wide, Inc Two-piece connector for flat blade windshield wi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54893A (zh) 2010-06-23
EP2155524B1 (en) 2014-02-26
US20090044365A1 (en) 2009-02-19
JP2010527837A (ja) 2010-08-19
US7992248B2 (en) 2011-08-09
US20110265309A1 (en) 2011-11-03
EP2155524B2 (en) 2018-03-14
EP2155524A4 (en) 2013-01-23
JP5361080B2 (ja) 2013-12-04
US8720033B2 (en) 2014-05-13
CN101754893B (zh) 2012-06-06
KR101427676B1 (ko) 2014-08-07
EP2155524A1 (en) 2010-02-24
WO2008147849A1 (en)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7872A (ko) 스포일러를 구비하지 않은 평탄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조립 방법
US8800099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100139026A1 (en) Wiper Blade Spoiler Assembly
US8935825B2 (en) Wiper blade assembly
US8677572B2 (en) Compensating position roof ditch molding retainer
KR101309372B1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US8051526B2 (en) Covered wiper for vehicle window
KR10151104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1433098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10293791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10328903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10611342B2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US20030173102A1 (en) Protector for wire harness
KR101684723B1 (ko) 차창용 와이퍼 장치
WO2012065639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WO2022215405A1 (ja) ワイパブレード
CN214267333U (zh) 车辆用开口部的密封结构
US9032586B2 (en) Wiper blade
JP5569404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CN110606048A (zh) 雨刷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