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883A - 필름분배 케이스 및 필름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필름분배 케이스 및 필름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883A
KR20100014883A KR20097018148A KR20097018148A KR20100014883A KR 20100014883 A KR20100014883 A KR 20100014883A KR 20097018148 A KR20097018148 A KR 20097018148A KR 20097018148 A KR20097018148 A KR 20097018148A KR 20100014883 A KR20100014883 A KR 2010001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film
cutting member
plat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1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사코 나스
미츠루 야나기사와
타다시 우메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쿠레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쿠레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쿠레하
Publication of KR2010001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4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65D85/6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on co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20Severing by manually forcing against fixed edge
    • Y10T225/238With housing for work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안전하게 절단부재를 완전히 상자로부터 분리함이 용이한 필름분배 케이스 및 필름수납 케이스를 제공한다. 필름(2)이 권회된 권회체(1)를 수용하고, 장방형의 저판(14)과 전판(16), 후판(18) 및 2장의 협판(20)을 갖고, 일 면(26)이 개구된 상자본체(12)와, 장방형의 덮개판(30)으로서, 경첩변(60)과, 경첩변(60)과 상대하는 절곡변(62)을 갖고, 경첩변에서 후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접되고, 개구된 면을 막는 덮개판과, 덮개판에 절곡변에서 연접된 엄개편(32)으로서, 절곡변과, 절곡변과 상대하는 선단변(64)과, 2개의 측변(66)으로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 엄개편과, 필름을 절단하는 절단부재(50)로서, 선단변을 따라 띠형상으로 배설되고, 띠형상의 절단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분포되는 고착부(78)에서 엄개편에 고착되는 절단부재를 구비하고, 엄개편에는, 측변으로부터 고착부와 절곡변 사이를 지나 선단변에 이르는 절입선(70·72)이 형성된 필름분배 케이스(10).
Figure P1020097018148
랩 필름, 필림분배 케이스, 필림 케이스, 절단부재, 권회체

Description

필름분배 케이스 및 필름수납 케이스{FILM DISTRIBUTION CASE AND CASE WITH FILM}
본 발명은, 필름이 권회된 권회체를 수용하고, 이 필름을 소망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필름분배 케이스 및 필름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후에 케이스로부터 절단부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필름분배 케이스 및 필름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식품포장 등에 사용되는 합성수지제의 랩 필름, 알루미늄 호일, 부엌용 종이시트 등의 필름은, 일반적으로 필름분배 케이스에 수용되어 판매된다. 필름분배 케이스에서는, 종이로 된 직방체형상의 상자본체에 필름을 수용하고, 상자본체에는 개구를 덮는 덮개판이 개폐가능하게 연접(連接)되어 있다. 또한 덮개판의 선단에는 상자본체 전판과 겹쳐지는 엄개편(掩蓋片)이 연접되어 있다. 엄개편의 선단부에는 뒤쪽으로부터 금속제의 절단부재가 그 톱니의 날끝을 엄개편으로부터 약간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필름의 사용시에, 이 절단부재를 이용하여 필름을 소망의 길이로 절단한다. 필름을 끝까지 사용한 후에, 이 필름분배 케이스를 폐기처리 혹은 용지의 재생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금속제의 절단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부재를 분리하는 작업이 발생한다. 그런데, 절단부재는 톱니를 갖고 있어, 손으로 집어서 작업을 하면, 손가락을 다칠 위험성이 있다. 그래서, 엄개편에 절입선을 형성하여, 절단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분리제거하기 쉽게 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일본특허 제2627139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절단부재를 포함하여 분리한 부분은, 엄개편의 일부인 종이가 약간이지만 남아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안전하게, 절단부재를 완전히 상자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한 필름분배 케이스 및 필름수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이라고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1 태양(態樣)으로서의 필름분배 케이스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2)이 권회된 권회체(1)를 수용하고, 장방형의 저판(底板, 14)과, 저판(14)의 4변에 입설(立設)된 전판(前板, 16), 후판(後板, 18) 및 2장의 협판(脇板, 20)을 갖고, 일 면(26)이 개구된 상자본체(12)와; 장방형의 덮개판(30)으로서, 경첩변(60)과, 경첩변(60)과 상대하는 절곡변(折曲邊, 62)을 갖고, 경첩변(60)에서 후판(18)으로 회동(回動)가능하게 연접되고, 개구된 면(26)을 막는 덮개판(30)과; 덮개판(30)에 절곡변(62)에서 연접된 엄개편(32)으로서, 절곡변(62)과, 절곡변(62)과 상대하는 선단변(先端邊)(64)과, 2개의 측변(66)에서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 엄개편(32)과; 필름(2)을 절단하는 절단부재(50)로서, 선단변(64)을 따라 띠형상으로 배설(配設)되어, 띠형상의 절단부재(50)의 길이방향으로 분포되는 고착부(78)에서 엄개편(32)에 고착되는 절단부재(50)를 구비하고; 엄개편(32)에는, 측변(66)으로부터 고착부(78)와 절곡변(62) 사이를 지나가며, 선단변(64)에 이르는 절입선((70·7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엄개편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었다고 할 때에는, 선단변(64)이 V형이나 원호 등,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엄개편에는, 측변에서 고착부와 절곡변 사이를 지나, 선단변에 이르는 절입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절입선에서 엄개편의 일부를 절단·제거하여, 절단부재의 일부를 노출되게 할 수 있다. 노출된 절단부재를 기점으로 함으로써, 절단부재를 엄개편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기 쉽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2 태양으로서의 필름분배 케이스에서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태양으로서의 필름분배 케이스(10)에 있어서, 엄개편(32)에 연접되는 접합편(36)으로서, 절입선(70·72)과 선단변(64) 사이의 측변(66)에 연접되는 접합편(36)을 구비하여도 좋다.
이렇게 구성하면, 접합편을 집어서 잡아당김으로써, 절입선에서 엄개편의 일부를 절단·제거하여, 용이하게 절단부재의 일부를 노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3 태양으로서의 필름분배 케이스에서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태양으로서의 필름분배 케이스(10)에 있어서, 덮개판(30)의, 경첩변(60)과 절곡변(62)을 연결하는 협변(68)에 연접되는 측개편(側蓋片, 34)을 구비하여; 절곡변(62)에서 덮개판(30)과 엄개편(32)이 대략 직각으로 접혀져서, 접합편(36)이 측개편(34)에 고착되어도 좋다.
이렇게 구성하면, 덮개판과 엄개편이 대략 직각으로 접혀져서, 접합편과 측개편이 고착되므로, 덮개판과 엄개편의 접혀진 형상이 안정되어, 엄개편의 선단변을 따라 고착된 절단부재로 필름을 절단하기 쉽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4 태양으로서의 필름분배 케이스에서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의 태양으로서의 필름분배 케이스(10)에 있어서, 절단부재(50)가 금속제이며, 엄개편(32)에 코킹(caulking) 고착되어도 좋다.
이렇게 구성하면, 절단부재가 엄개편에 코킹 고착되므로, 절단부재를 엄개편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5 태양으로서의 필름수납 케이스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태양으로서의 필름분배 케이스(10)와, 상자본체(12)에 수용되는 권회체(1)를 구비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절단부재를 엄개편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기 쉬운 필름수납 케이스로 된다.
이 출원은, 일본국에서 2007년5월11일에 출원된 특허출원2007-126977호에 기초하고 있고, 그 내용은 본 출원의 내용으로서, 그 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응용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그렇지만,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실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이며, 설명의 목적으로만 기재되어 있는 것이다. 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여러가지 변경, 개변(改變)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기 때문이다. 출원인은, 기재된 실시 형태 중 어느 것도 공중(公衆)에 헌상할 의도는 없고, 개변, 대체안 중,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문언상 포함되지 않을지도 모르는 것도, 균등론하에서의 발명의 일부로 한다.
본 명세서 혹은 청구범위의 기재에서, 명사 및 동등의 지시어의 사용은, 특히 지시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에 의해 명료하게 부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중에 제공된 모든 예시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면,「등」))의 사용도,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쉽게 한다고 하는 의도임에 지나지 않고, 특히 청구범위에 기재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제한을 가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분배 케이스가, 필름이 권회된 권회체를 수용하고, 장방형의 저판과, 저판의 4변에 입설된 전판, 후판 및 2장의 협판을 가지며, 일 면이 개구된 상자본체와, 장방형의 덮개판으로서, 경첩변과, 경첩변과 상대하는 절곡변을 갖고, 경첩변에서 후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접되어, 개구된 면을 막는 덮개판과, 덮개판에 절곡변에서 연접된 엄개편으로서, 절곡변과, 절곡변과 상대하는 선단변과, 2개의 측변으로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 엄개편과, 필름을 절단하는 절단부재로서, 선단변을 따라 띠형상으로 배설되어, 띠형상의 절단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분포하는 고착부에서 엄개편에 고착되는 절단부재를 구비하고, 엄개편에는, 측변으로부터 고착부와 절곡변 사이를 지나, 선단변에 이르는 절입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입선에서 엄개편의 일부를 절단·제거하고, 절단부재의 일부를 노출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노출된 절단부재를 기점으로, 절단부재를 엄개편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기 쉽다. 따라서, 안전하게, 절단부재를 완전히 상자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한 필름분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수납 케이스가, 상기의 필름분배 케이스와, 상자본체에 수용되는 권회체를 구비하므로, 절단부재를 엄개편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기 쉬운 필름수납 케이스로 된다. 따라서, 안전하게, 절단부재를 완전히 상자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한 필름수납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필름수납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필름분배 케이스의 조립전의 전개도이다.
도 3은 사용이 끝난 필름분배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도 4는 접합편을 집어 올리는 상태에서의 필름분배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분리부가 떨어져 나간 필름분배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도 6은 절단부재를 상측으로 한, 분리부가 떨어져나간 필름분배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도 7은 절단부재를, 절단부재가 엄개편에 고착되어 있는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끌어올린 상태에서의, 필름분배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권회체
2: 필름
10: 필름분배 케이스
12: 상자본체
14: 저판
16: 전판
18: 후판
20: 협판
26: 개구된 면
30: 덮개판
32: 엄개편
34: 측개편
36: 접합편
38: 분리부
40: 절취편
42, 44: 접착편
50: 절단부재
60: 경첩변
62: 절곡변
64: 선단변
66: 측변
68: 협변
70: 제1 절입선
72: 제2 절입선
76: 절취선
78: 고착부
100: 필름수납 케이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서로 동일 또는 상당하는 장치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중복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의 필름수납 케이스(100)를 설명한다. 도 1은, 필름수납 케이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필름수납 케이스(100)에서는, 필름분배 케이스(10)에, 필름(2)이 권회된 권회체(1)를 수용하고 있다. 도 1에서는, 필름분배 케이스(10) 속의 권회체(1)를 파선으로, 일부 인출된 필름(2)을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필름(2)으로서는, 합성수지제의 랩 필름, 알루미늄 호일, 부엌용 종이시트 등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길게 형성된 필름(2)은, 원통형의 권심(도시안함)에 권회되어, 권회체(1)로서 필름분배 케이스(10)에 수용되어 있다. 필름(2)은, 필름분배 케이스(10)로부터 인출되어, 소망의 길이로 절단되어, 각각의 용도에 제공된다.
필름분배 케이스(10)는, 상자본체(12)와, 상자본체(12)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덮개판(30)과, 덮개판(30)에 접속된 엄개편(32)과, 엄개편(32)에 고착된 절단부재(50)를 구비한다. 상자본체(12)는, 직방체로서 일 면(26)이 개구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상자본체(12)에서, 바닥으로 되는 면, 다시 말해 개구된 면(26)과 상대하는 면의 판을 저판(14), 앞으로 오는 면의 판을 전판(16), 전판(16)과 상대하는 면의 판을 후판(18), 전판(16)과 후판(18)을 접속하는 측면 2장의 판을 협판(20)이라 칭한다. 상자본체(12)는, 가늘고 긴 직방체이며, 길이방향(y)에서는 원통형의 권회체(1)의 축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길고, 폭방향(x) 및 높이(z)에서는 권회체(1)의 외경보다 약간 길다. 그 때문에, 상자본체(12) 속에 권회체(1)를 안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필름(2)을 사용함에 따라, 권회체(1)의 외경은 작아져, 폭방향(x) 및 높이(z)에서는 간극이 커진다.
상자본체(12)의 후판(18)의 상변(上邊), 즉 경첩변(60)에 덮개판(30)이 회동 가능하게 연접한다. 덮개판(30)은, 개구된 면(26)을 덮도록, 개구된 면(26)과 대략 같은 크기의, 혹은 약간 큰 면에 형성된다. 덮개판(30)의 경첩변(60)과 상대하는 변인 절곡변(62)에 엄개편(32)이 연접한다. 또한, 덮개판(30)에서 경첩변(60)과 절곡변(62)을 잇는 나머지의 2변인, 협변(68)에 측개편(34)이 연접한다.
엄개편(32)의 선단, 즉 절곡변(62)과 상대하는 선단변(64)은, 그 중앙부가 볼록하게 된 산형, 즉 V형으로, 형성된다. 선단변(64)은, 절곡변(62)에 평행한 직 선으로 형성되어도, 절곡변(62)에 대하여 비스듬한 직선으로 형성되어도, 원호로 형성되어도, 그 외 임의의 곡선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그 형상은 임의이다. 어느 경우에서도, 엄개편(32)의 형상은, 대략 장방형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엄개편(32)의 선단변(64)을 따라, 엄개편(32)의 뒤쪽, 다시 말해, 엄개편(32)의 상자본체(12)에 면하는 쪽에, 절단부재(50)가 고착된다. 절단부재(50)는 선단변(64)에 따른 띠형상의 부재이며, 띠형상의 절단부재(50)의 길이방향에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부재(50)는, 톱니가 선단변(64)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도록 배설된다. 절단부재(50)는, 띠형상의 절단부재(50)의 길이방향으로 분포하는 고착부(78)에 의해 엄개편(32)에 고착된다. 도면에서, 선단변(64)을 따라 분포하는 복수의 동그라미로 나타낸 부분이 고착부(78)를 나타낸다. 고착부(78)가 띠형상의 절단부재(50)의 길이방향으로 분포되어 있으므로, 띠형상의 절단부재(50)의 전체가 안정되게 엄개편(32)에 고착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필름분배 케이스(10)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필름분배 케이스(10)의 조립전의 전개도이다. 상자본체(12), 덮개판(30), 엄개편(32) 및 측개편(34) 등은, 전형적으로는 종이로 만든다. 그래서, 도 2의 전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공되고, 접기선이 붙여진 블랭크를 사용하여, 구부려접어 접착하여 조립한다. 전판(16), 저판(14), 후판(18), 덮개판(30) 및 엄개편(32)이, 각각 접기선을 사이에 두고 순차로 연접되어, 일렬로 배치된다. 엄개편(32)의 선단변(64)(도 1 참조)에는, 절취편(40)이 연접한다. 다시 말해, 선단변(64)의 형상에 따른, 긴 미싱 눈 자국의 부분인, 절취선(76)이 형성된 1장의 판 으로, 엄개편(32)과 절취편(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전판(16), 저판(14), 후판(18), 덮개판(30), 엄개편(32) 및 절취편(40)으로, 대략 장방형으로 된다.
전판(16)의 양 옆에는 접기선을 사이에 두고 접착편(42)이 연접하고, 저판(14)의 양 옆에는 접기선을 사이에 두고 협판(20)이 연접하며, 후판(18)의 양 옆에는 접기선을 사이에 두고 접착편(44)이 연접한다. 또한, 덮개판(30)의 양 옆에는 접기선을 사이에 두고 측개편(34)이 연접하고, 엄개편(32)의 양 옆에는 접기선을 사이에 두고 접합편(36)이 연접한다.
엄개편(32)에는, 뒤쪽으로부터 절단부재(50)가 고착된다. 절단부재(50)는, 전형적으로는 금속시트로 형성되고, 코킹으로 엄개편(32)에 고착된다. 예를 들면, 금속시트로부터 원통형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돌기를 엄개편(32)에 끼워넣은 뒤에, 돌기의 선단을 굽혀 엄개편(32)에 고착한다. 이처럼 코킹에 의해 고착하면, 금속시트의 블랭크로부터 절단부재(50)를 프레스 등으로 발취할 때, 함께 돌기를 형성하고, 필름분배 케이스(10)용의 종이 블랭크에 이면으로부터 압착함으로써,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고착할 수 있다. 여기서, 코킹의 돌기 선단으로서, 구부려져서 엄개편(32)으로 파고드는 부분은 작게 형성된다. 즉, 코킹은 떼어냄이 용이한 코킹이다. 또한, 이면이란, 필름분배 케이스(10)로 조립되었을 때에 내측으로 되는 면을 가리키고, 도 2는 겉에서 본 전개도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해, 도 2의 접기선은, 모두 산접기로 된다.
엄개편(32)에는, 접합편(36)과의 사이의 접기선에 상당하는 측변(66)으로부터, 미싱 눈인 제1 절입선(70)이 형성된다. 제1 절입선(70)은, 측변(66)으로부터 고착부(78)와 절곡변(62) 사이에, 띠형상의 절단부재(50)를 따라 연재(延在)한다. 여기서, 고착부(78)와 절곡변(62) 사이란, 띠형상의 절단부재(50)의 길이방향으로 분포되는 복수의 고착부(78)를 연결하여(1차 근사적으로)측변(66)에 이르는 선분(線分)을 가정했을 때, 그 가정한 선분과 절곡변(62) 사이의 부분을 가리킨다. 또한, 엄개편(32)에는, 제1 절입선(70)으로부터, 동일하게 미싱 눈인 제2 절입선(72)이 파생한다. 제2 절입선(72)은, 절단부재(50)가 고착된 고착부(78)를 연결한 선분을 횡단하여, 선단변(先端邊, 64)에 이른다. 이와 같이, 제1 절입선(70)과 제2 절입선(72)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하여, 그 교점에서 접속한다. 접합편(36)은, 선단변(64)에 상당하는 절취선(76)과 제1 절입선(70) 사이에서, 엄개편(32)에 연접한다.
제1 절입선(70)과 제2 절입선(72)은, 반드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L형이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제1 절입선(70)의 도중에 제2 절입선(72)이 교차한 T형으로 하여도 좋으며, 혹은, 엄개편(32)의 양측의 측변(66)으로부터의 제1 절입선(70)이 각각 연장되어 하나로 연결된 π형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1 절입선(70)과 제2 절입선(72)이 명확히 구별할 수 없고, 곡선으로 접속하여, 마치 한 개의 절입선 처럼 형성되어도 좋고, 혹은, 측변(66)으로부터, 고착부(78)와 절곡변(62) 사이를 지나, 선단변(64)에 상당하는 절취선(76)에 이르는 직선, 다시 말해, 절취선(76)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된 직선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1 절입선(70) 및 제2 절입선(72)은, 미싱 눈이 아닌, 반 절단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완전히 절단되어 있어도 좋으며, 그 외 떨어져 나가기 쉽게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여기서, 반 절단이란, 종이로 만든 블랭크에서는 얇은 시트를 적층한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적층된 종이 모두가 아닌, 적층된 종이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는 상태를 가리키고, 완전한 절단이란 적층된 모든 종이가 절단된 상태를 가리킨다. 제1 절입선(70) 및 제2 절입선(72)이 완전히 절단되어 있어도, 제1 절입선(70) 및 제2 절입선(72)과 절취선(76)(선단변(64))으로 둘러싸인 분리부(38)는, 절단부재(50)에 고정되고, 또한 절취선(76)이 완전히 절단되어 있지 않으므로, 엄개편(32)의 다른 부분과 분리하는 경우는 없다.
도 2에 나타내는 블랭크로부터, 필름분배 케이스(10)를 조립함에는, 각 접기선을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 접어, 겹쳐지는 협판(20), 접착편(42, 44)을, 협판(20)을 최외부로 하여 겹쳐서 접착한다. 협판(20), 접착편(42) 및 접착편(44)을 접착함으로써, 저판(14)의 4변에 전판(16), 후판(18) 및 2장의 협판(20)이 입설한 상자본체(12)가 형성된다. 또한, 겹쳐지는 측개편(34)과 접합편(36)을, 측개편(34)을 외측으로 하여 겹쳐서 접착한다. 측개편(34)과 접합편(36)을 접착함으로써, 덮개판(30)과 엄개편(32)이 수직으로 연접된 형상이 안정된다. 다시 말해, 각각의 판(30, 32, 34)이 수직으로 유지된다. 협판(20), 접착편(42, 44)과, 측개편(34), 접합편(36)을 접착하지 않으므로, 덮개판(30)은 상자본체(12)에, 경첩변(60)을 회전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1로 돌아가서, 필름수납 케이스(100)의 사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덮개판(30)을 열고, 개구된 면(26)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권회체(1)를 상자본체(12)에 수납하고, 덮개판(30)을 닫아 개구된 면(26)을 덮는다. 그 상태에서, 필름수납 케 이스(100)로서 시판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송중에 권회체(1)가 필름분배 케이스(10)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도록, 예를 들면 절취편(40)(도 2참조)을 전판(16)에 접착제를 조금 사용하여 접착시켜도 좋다. 필름(2)을 사용하기 전에, 사용자는 절취편(40)의 일단을 잡아당김으로써, 순차로 절취선(76)(도 2참조)인 미싱 눈을 절단하여, 절취편(40)을 제거한다. 절취편(40)이 제거됨으로써, 절단부재(50)의 톱니가 엄개편(32)의 선단변(64)으로부터 약간 나온 상태로 된다.
필름(2)을 권회체(1)로부터, 덮개판(30) 및 엄개편(32)과 전판(16) 사이를 통해 필름분배 케이스(10)의 밖으로 인출한다. 인출한 필름(2)의 길이가 소망의 길이로 된 때에, 엄개편(32)을 전판(16)에 압착하도록 누르면서, 인출한 필름(2)을 덮개판(30)으로부터 위쪽으로 들어올리듯이 당긴다. 그러면, 필름(2)은 절단부재(50)의 톱니에 강하게 맞닿아, 절단된다. 접합편(36)과 측개편(34)이 접착되어 있으므로, 덮개판(30)과 엄개편(32)의 형상이 안정되어, 필름(2)이 절단부재(50)에 강하게 맞닿아도, 엄개편(32), 즉 절단부재(50)가 변형하지 않고, 필름(2)의 절단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하여, 권회체(1)에 감긴 긴 필름(2)을, 소망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도 7을 참조하여, 사용이 끝난 필름분배 케이스(10)의 해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사용이 끝난 필름분배 케이스(10)의 전개도이다. 필름(2)을 다 쓰면, 상자본체(12)로부터 권회체(1)에 사용된 심(芯)을 꺼낸다. 그리고, 접착된 협판(20), 접착편(42) 및 접착편(44) 사이의 접착을 벗기고, 또한, 접착된 측개편(34)과 접합편(36) 사이의 접착을 벗겨서, 도 3의 전개도와 같이 1장 의 시트로 펼친다. 사용이 끝난 필름분배 케이스(10)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조립전의 필름분배 케이스(10)와 달리, 절취편(40)(도 2 참조)이 절취되어 있다.
이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겉을 위로, 즉 절단부재(50)가 아래쪽으로 되도록 편평한 테이블 등 위에 펼쳐 놓는다. 도 4는, 접합편(36)을 집어 올린 상태에서의 필름분배 케이스(10)의 전개도이다. 접합편(36)을 한쪽 손으로 집고, 다른 손으로 나머지를 눌러, 접합편(36)을 끌어올린다. 그러면, 접합편(36)은, 측변(66)을 사이에 두고 엄개편(32)에 연접하고 있으므로, 엄개편(32)도 잡아당겨진다. 여기서, 접합편(36)은, 엄개편(32)의 선단변(64)과 제1 절입선(70) 사이에 연접하고 있으므로, 측변(66)의 선단변(64)과 제1 절입선(70) 사이가 끌려올라간다. 그 결과, 제1 절입선(70)에 힘이 가해져서, 절단된다. 또한, 접합편(36)은, 측변(66)에서 엄개편(32)의 제1 절입선(70)과 절곡변(62) 사이에도 연접되어도 좋다. 또한, 접합편(36)이, 제1 절입선(70)과 절곡변(62) 사이보다도, 선단변(64)과 제1 절입선(70) 사이에, 더 길게 연접되어 있으면, 접합편(36)에 가한 힘은 선단변(64)과 제1 절입선(70) 사이에 많이 작용하여, 결과로서 제1 절입선(70)에 힘이 가해져, 절단된다. 이와 같이, 접합편(36)이, 제1 절입선(70)과 절곡변(62) 사이에도 연접되지만, 선단변(64)과 제1 절입선(70) 사이에, 더 길게 연접되는 상태도, 제1 절입선(70)과 선단변(64) 사이의 측변(66)에 연접된다고 하는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제1 절입선(70)이 절단되고, 또한 접합편(36)을 들어올리면, 제2 절입선(72)이 절단된다. 특히, 접합편(36)을 들어올리면서 선단변(64)측으로 당기도록 함으로 써, 보다 확실하게 제2 절입선(72)이 절단된다. 제2 절입선(72)이 절단된 결과로서, 제1 절입선(70), 제2 절입선(72) 및 선단변(64)에 둘러싸인 분리부(38)가 엄개편(32)의 나머지의 부분으로부터 떨어져나간다. 그때에, 분리부(38)는 절단부재(50)로부터도 분리되지만, 절단부재(50)가 코킹에 의해 엄개편(32), 즉 분리부(38)에 고착되어 있으면, 깨끗하게 분리된다. 특히, 코킹의 돌기의 선단에서, 구부려져서 엄개편(32)으로 파고드는 부분이 작게 형성된 코킹이면, 떼기 쉽고, 깨끗하게 분리하기 쉽다. 또한, 코킹이 절단부재(50)의 길이방향으로 분포하고, 분리부(38)에 예를 들면 1개소 혹은 2개소 정도의 코킹에 의한 고착부(78)밖에 배열되어 있지 않으면, 용이하게 코킹이 빠져서 절단부재(50)과 분리부(38)가 분리되므로 바람직하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부(38)가 떨어져나감으로써, 그 부분의 절단부재(50)가 노출되게 된다. 도 5는, 분리부(38)가 떨어져나간 필름분배 케이스(10)의 전개도이다. 이와 같이, 절단부재(50)의 일부를 노출시킴으로써, 절단부재(50)의 톱니의 부분이 아닌, 편평한 폭 중앙부분을 집기 쉽다. 따라서, 절단부재(50)만을 손으로 용이하게, 즉 안전하게 집을 수 있다.
이어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분배 케이스(10)의 시트을 뒤집어서, 절단부재(50)를 위쪽으로 한다. 도 6은, 절단부재(50)를 위쪽으로 한, 분리부(38)가 떨어져나간 필름분배 케이스(10)의 전개도이다. 이어서, 절단부재(50)의 노출된 부분을 한쪽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필름분배 케이스(10)의 시트를 누르며, 절단부재(50)를 한쪽에서 서서히 끌어올린다. 그러면, 절단부재(50)를 끌어올 리는 힘의 대부분은, 하나의 고착부(78)에 작용하게 되므로, 코킹이 벗겨지고, 절단부재(50)는 서서히 엄개편(32)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부재(50)를, 절단부재(50)가 엄개편(32)에 고착되어 있는 방향(도면 중의 화살표방향)으로 구부려 접도록 끌어올림으로써, 코킹이 더 쉽게 빠지게 된다. 도 7은, 절단부재(50)를, 절단부재(50)가 엄개편(32)에 고착되어 있는 방향으로 구부려 접히도록 끌어올린 상태에서의, 필름분배 케이스(10)의 전개도이다. 이와 같이, 절단부재(50)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완전히 상자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제의 불연재(不燃材)인 절단부재(50)를, 종이로 된 상자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폐기처리 혹은 용지의 재생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절단부재(50)는, 금속제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플라스틱제, 세라믹제 등의 절단부재이라도 좋다. 또한, 절단부재(50)는 코킹에 의해 엄개편(32)에 고착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다른 주지의 고착방법이라도 좋다.

Claims (5)

  1. 필름이 권회된 권회체(卷回體)를 수용하고, 장방형의 저판(底板)과, 상기 저판의 4변에 입설(立設)된 전판(前板), 후판(後板) 및 2장의 협판(脇板)을 갖고, 일 면(面)이 개구된 상자본체와;
    장방형의 덮개판으로서, 경첩변과 상기 경첩변과 상대하는 절곡변(折曲邊)을 갖고, 상기 경첩변에서 상기 후판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접(連接)되어, 상기 개구된 면을 막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에 상기 절곡변에서 연접된 엄개편(掩蓋片)으로서, 상기 절곡변과, 상기 절곡변과 상대하는 선단변(先端邊)과, 2개의 측변으로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 엄개편과;
    상기 필름을 절단하는 절단부재로서, 상기 선단변을 따라 띠형상으로 배설(配設)되고, 이 띠형상의 절단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분포되는 고착부(固着部)에서 상기 엄개편에 고착되는 절단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엄개편에는, 상기 측변으로부터 상기 고착부와 상기 절곡변 사이를 지나, 상기 선단변에 이르는 절입선이 형성된 필름분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엄개편에 연접되는 접합편으로서, 상기 절입선과 상기 선단변 사이의 상기 측변에 연접되는 접합편을 구비하는 필름분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상기 경첩변과 상기 절곡변을 연결하는 협변에 연접되는 측개편을 구비하고;
    상기 절곡변에서 상기 덮개판과 상기 엄개편이 대략 직각으로 접혀져서, 상기 접합편이 상기 측개편에 고착되는 필름분배 케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가 금속제이며, 상기 엄개편에 코킹(caulking) 고착되는 필름분배 케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분배 케이스와;
    상기 상자본체에 수용되는 권회체를 구비하는 필름수납 케이스.
KR20097018148A 2007-05-11 2008-04-21 필름분배 케이스 및 필름수납 케이스 KR201000148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26977 2007-05-11
JP2007126977A JP4898548B2 (ja) 2007-05-11 2007-05-11 フィルム分配ケースおよびフィルム入りケー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883A true KR20100014883A (ko) 2010-02-11

Family

ID=4000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18148A KR20100014883A (ko) 2007-05-11 2008-04-21 필름분배 케이스 및 필름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213230A1 (ko)
EP (1) EP2151392A4 (ko)
JP (1) JP4898548B2 (ko)
KR (1) KR20100014883A (ko)
CN (1) CN101678915B (ko)
HK (1) HK1138548A1 (ko)
RU (1) RU2415788C1 (ko)
TW (1) TWI394689B (ko)
WO (1) WO20081398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6186B2 (ja) * 2010-07-05 2014-10-15 山下印刷紙器株式会社 切刃付き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69734B1 (ko) * 2012-03-26 2013-05-30 이태정 포장용 랩 케이스
JP2015063331A (ja) * 2013-09-25 2015-04-09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ラップフィルム収納箱及びフィルム収納システム
CN104443756A (zh) * 2014-11-13 2015-03-25 常州市金呈宇五金有限公司 具有保鲜膜存放抽拉卷筒的层板托件
CN105346862A (zh) * 2015-11-18 2016-02-24 无锡市凯源家庭用品有限公司 保鲜膜的割裂器
JP6195046B1 (ja) * 2015-11-30 2017-09-13 日立化成株式会社 食品包装用フィルム
JP6195045B1 (ja) * 2015-11-30 2017-09-13 日立化成株式会社 食品包装用フィルム
ITUB20160545A1 (it) * 2016-02-08 2017-08-08 Vernissage S R L Scatola con bordo tagliente perfezionata
US11535445B2 (en) * 2019-10-16 2022-12-27 Westrock Shared Services, Llc Carrier and blank therefor
DE102021001124A1 (de) 2021-03-02 2022-09-08 Andreas Mayr Verpackungskarton für ein Fertiggericht, insbesondere Pizzakarton, mit integrierter Schneid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5349A (ja) * 1988-07-25 1990-02-15 Kureha Chem Ind Co Ltd 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ケース
US5423464A (en) * 1992-07-31 1995-06-13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Wrap film containing box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A2082375A1 (en) * 1992-11-06 1994-05-07 Mark Andrew Gasparowicz Dispenser box with removable cutter
JP2627139B2 (ja) 1993-06-08 1997-07-02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ート分配ケース
US5511663A (en) * 1993-12-15 1996-04-30 Kureha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ackaging case having improved sidewall structure
JP2980563B2 (ja) * 1996-11-22 1999-11-22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ート分配ケース
JPH11171177A (ja) * 1997-12-17 1999-06-29 Oji Paper Co Ltd カッター付きロール収納ケース
CN2377234Y (zh) * 1999-04-26 2000-05-10 脱普聚益股份有限公司 结构改良的保鲜膜包装盒
US6405913B1 (en) * 1999-12-22 2002-06-18 Green Bay Packaging, Inc. Paperboard dispenser carton with plastic cutting blade
JP2001341733A (ja) * 2000-05-30 2001-12-11 Oji Paper Co Ltd カッター付きロール収納ケース
JP2004010139A (ja) * 2002-06-07 2004-01-15 Asahi Kasei Corp フィルム収納箱
JP5048051B2 (ja) 2006-03-29 2012-10-17 グラフィック パッケー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運搬用パッケージおよび運搬用パッケージを組み立て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38548A1 (en) 2010-08-27
TWI394689B (zh) 2013-05-01
WO2008139837A1 (ja) 2008-11-20
JP2008280076A (ja) 2008-11-20
US20100213230A1 (en) 2010-08-26
CN101678915A (zh) 2010-03-24
JP4898548B2 (ja) 2012-03-14
TW200902390A (en) 2009-01-16
EP2151392A1 (en) 2010-02-10
EP2151392A4 (en) 2012-06-27
RU2415788C1 (ru) 2011-04-10
CN101678915B (zh)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4883A (ko) 필름분배 케이스 및 필름수납 케이스
TW200528355A (en) Package used container
JP2004026197A (ja) 密閉容器用ラベ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9286447A (ja) 家庭用薄葉紙収納箱
JP3825458B2 (ja) 保存容器となるブリスターパック
JP3164749U (ja) 包装箱
JP2980563B2 (ja) シート分配ケース
JP7115527B2 (ja) 包装箱
JP2001163327A (ja) 包装箱
JP3060163U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収納容器
US20230048048A1 (en) Band-driven packaging
JP2627139B2 (ja) シート分配ケース
JP2628257B2 (ja) シート分配ケース
JP4252329B2 (ja) ラップフィルム用収納体
JP2001063906A (ja) 巻戻り防止機構付き粘着テープホルダー
JP2024036188A (ja) 包装箱
JP2013001454A (ja) 収納箱
JPH1016948A (ja) クッキングペーパーの収納箱
JP2006290360A (ja) 段ボール箱の粘着テープ剥がし構造
JP2002225859A (ja) カッター付きロール収納ケース
JP3011666B2 (ja) シート分配ケース
JPH11171177A (ja) カッター付きロール収納ケース
JP2020128252A (ja) 包装箱
JP2001341733A (ja) カッター付きロール収納ケース
JPH10310130A (ja) 紙 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