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531A -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531A
KR20100013531A KR1020080075098A KR20080075098A KR20100013531A KR 20100013531 A KR20100013531 A KR 20100013531A KR 1020080075098 A KR1020080075098 A KR 1020080075098A KR 20080075098 A KR20080075098 A KR 20080075098A KR 20100013531 A KR20100013531 A KR 20100013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pipe
concrete
vertical pipe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5340B1 (ko
Inventor
신해
Original Assignee
신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해 filed Critical 신해
Priority to KR1020080075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3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6Pavings made in situ, e.g. for sand grounds, clay courts E01C13/003
    • E01C13/065Pavings made in situ, e.g. for sand grounds, clay courts E01C13/003 at least one in situ layer consisting of or including bitumen, rubber or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조구장 내부에 수직관과 수평관을 통해 양측 측구수로로 배수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수직관과 수직관 사이에 배수홈을 형성하여 상기 배수홈의 내부에는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타공재를 설치하고 상부에 체로 거른 20mm이하 골재를 우레탄계 수지와 교반하여 채움으로써 구장의 평탄성을 만들어주고 그 상부에 투수가 되는 EPDM패드나 현장타설의 형태로 탄성을 주어 안전성을 확보하여 튼튼하고도 구배가 없으면서 직투수와 표면배수로 물이 손쉽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한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토사를 굴착하여 상면을 다진 노반(10)과, 상기 노반(10)에 하측이 고정되게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도록 상부에 수직관(40)이 일정간격으로 연결된 수평관(20)과, 상기 수평관(20)의 양단이 각각 연결된 측구수로(110)와, 상기 노반(10)의 상부에 채우는 혼합흙(30)과, 상기 혼합흙(30)의 상부에 타설한 콘크리트(50)와, 상기 콘크리트의 상부 표면에 칼집을 주어 형성한 작은 배수홈(50a)과, 상기 수직관(40)의 상부와 전,후 좌,우 수직관(40)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 배수홈(70)과, 상기 수직관(40)의 상부에 스텐타공망(60)과, 상기 스텐타공망(60)이 설치된 양측 배수홈(70)의 내부에 안착되어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타공재(70a)와, 상기 타공재(70a)의 상부에 채워진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80)와, 상기 배수홈(70)에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80)가 채워진 콘크리트(50) 상부에 푹신하도 록 EPDM(90)을 안착시켜 인조구장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075098
인조구장, 수평관, 수직관, 콘크리트, 배수홈, EPDM, 인조잔디, 골재.

Description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A construction method of the artificial playground}
본 발명은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조구장 내부에 수직관과 수평관을 통해 양측 측구수로로 배수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수직관과 수직관 사이에 배수홈을 형성하여 상기 배수홈의 내부에는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타공재를 설치하고 상부에 체로 거른 20mm이하 골재를 우레탄계 수지와 교반하여 채움으로써 구장의 평탄성을 만들어주고 그 상부에 투수가 되는 EPDM패드나 현장타설의 형태로 탄성을 주어 안전성을 확보하여 튼튼하고도 구배가 없으면서 직투수와 표면배수를 통해 우천시 물이 손쉽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한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조잔디시공방법은 원지반을 일정깊이 터파기한 후 잔디 하부에 암거를 설치하여 골재를 포설한 뒤 다진 후 인조잔디를 포설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시공방법은 사용과정에서 비가 와서 발생하는 침하의 불균형이나, 많이 사용되 는 지점과 사용 안 되는 지점의 차이가 발생하여 자주 유지보수를 해주거나 재 시공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조잔디를 교체할 때에도 토목공사비가 추가로 들어가야 하는 추가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 직투수와 함께 표면배수를 위해 표면구배를 주게 되는데 축구장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론볼, 게이트볼, 테니스 등 다른 종목에서는 표면구배 자체가 문제가 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등록번호 제10-0572974호)에 의하면 보조지반을 이용한 잔디 경기장 및 그 시공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 역시 일정한 깊이로 굴토하여 정지하고 다짐한 경기장 지반에 소정패턴으로 배관되고 파이프 등을 매설하여 그 상부에 잔디뿌리지대를 매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와 같이 굴토를 하는 경우 역시 상당한 비용 및 공사기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등록번호 제10-0793687호)에 의하면 기존토사의 상면에 잡석을 다짐하는 제1공정; 상기 잡석을 다짐한 후 상부에 배수관을 안착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배수관을 고정하는 제2공정; 상기 고정된 배수관 상단에 스텐레스 타공된 그레이팅을 배수관 상단에 배치하여 양 끝단을 절곡하는 제3공정; 및 상기 그레이팅 상단에 인공잔디를 안착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배수관위에 그레이팅을 배치하고 그 위에 인공잔디를 안착하므로 배수관 부분이 낮게 구성하여야 물이 빠져나갈수 있어 인공잔디구장의 평탄성이 유지되지 않고, 배수관의 상부 그레이팅이 눌려 아래로 처지게 되면 그 부분의 인공잔디도 아래로 처져 인공잔디의 평탄성이 유지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표 면구배 0.5%를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조구장으로 평탄하게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부에 안착된 EPDM만으로 구장을 형성할 수 도 있고, 상기 EPDM 상부에 인조잔디를 안착시켜 인조구장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조구장의 내부 수직관과 수평관을 통해 양측 측구수로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조구장 내부에 설치된 수직관과 수평관에 의해 우천시 인조구장의 물이 직투수와 표면배수를 동시에 할 수 있어 어떤 종목의 구장에도 적용이 가능한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관과 수직관 사이에 배수홈을 형성하여 상기 배수홈의 내부에는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타공재를 설치하고 상부에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를 바로 채우거나 또는 그 골재를 우레탄계 수지와 80: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채움으로써 평탄성을 만들어주고 그 상부에 푹신하도록 EPDM을 안착시켜 우천시 물이 손쉽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직투수가 가능하고 구배를 주지 않아도 되며 유지보수가 거의 없는 튼튼한 콘크리트 하부구조로 된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집중우천시 시간당 최다 강수량에도 내부의 배수홈을 통하여 수직관과 수평관에 의해 측구수로로 물이 손쉽게 배수될 수 있는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조구장 시공비 및 관리비의 절감을 위하여 지나친 다층구조를 지양, 천연지반 대신 콘크리트 지반을 사용함으로써 인조구장 단면의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부등침하현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안정성과 견고성 반영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조구장은 기존토사를 굴착하여 상면을 다진 노반과, 상기 노반에 하측이 고정되게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도록 상부에 수직관이 일정간격으로 연결된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의 양단이 각각 연결된 측구수로와, 상기 노반의 상부에 채우는 혼합흙과, 상기 혼합흙의 상부에 타설한 콘크리트와, 상기 수직관의 상부와 전,후 좌,우 수직관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 배수홈과, 콘크리트 표면위에 형성시킨 작은 배수홈과, 상기 수직관의 상부에 스텐타공망과, 상기 스텐타공망이 설치된 양측 배수홈의 내부에 안착되어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타공재와, 상기 타공재의 상부에 채워진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와, 상기 배수홈에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가 채워진 콘크리트 상부에 푹신하도록 EPDM을 안착시켜 인조구장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PDM의 상부에 인조잔디를 더 안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조구장 시공방법은 기존토사를 굴착하여 상면을 다지는 제1과정과, 다짐한 노반에 수직관이 연결된 수평관을 일정간격으로 안착하여 측구수로와 연결하는 제2과정과, 상기 수평관이 안착된 상측 노반에 일정높이로 혼합흙을 채우는 제3과정과, 상기 혼합흙에서 수직관 높이 까지 콘크리트를 1차 타설하고 수직관과 수직관이 연결되게 각목을 올려놓고 각목 높이 까지 콘크리트를 2차 타설하는 제4과정과, 상기 콘크리트에서 각목을 빼내어 배수홈을 형성하는 제5과정과, 상기 콘크리트의 상부 표면에 칼집을 내어 작은 배수홈을 형성하는 제5-1과정과, 상기 수직관의 상부에는 스텐타공망을 놓고 상기 스텐타공망이 설치된 전,후 좌,우 배수홈의 내부에는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타공재를 안착시키는 제6과정과, 상기 타공재가 설치된 상부 배수홈에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를 채우거나 또는 상기 골재를 우레탄계 수지와 혼합하여 채우는 제7과정과, 상기 배수홈에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가 채워진 콘크리트 상부에 푹신한 인조구장이 되도록 EPDM을 안착시키는 제8과정으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8과정에서 EPDM의 상부에 인조잔디를 더 안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하부공사를 할 경우에는 배수를 위하여 표면구배를 크게 주어왔다. 이는 직투수를 요하는 축구장용 인조잔디와 맞지 않으며 볼을 굴리 는 론볼이나 게이트볼, 테니스장 등에는 더욱 맞지 않는 공법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인조구장으로서 평탄하게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며 직투수가 가능하고, 상부에 안착된 EPDM만으로 구장을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EPDM 상부에 인조잔디를 안착시켜 인조구장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천시 빗물이 인조구장의 내부 배수홈을 따라 수직관과 수평관을 통해 양측 측구수로로 손쉽게 배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관과 수직관 사이에 배수홈을 형성하여 상기 배수홈의 내부에는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타공재를 설치하고 상부에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를 채우고 그 상부에 푹신하도록 EPDM을 안착시켜 우천시 물이 손쉽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 공법에서 필수적인 표면구배를 전혀 주지 않고 배수를 시켜줌으로써 론볼구장과 같이 구배를 주면 안 되는 구장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와 시공기간,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중우천시 시간당 최다 강수량에도 내부의 배수홈을 통하여 수직관과 수평관에 의해 측구수로로 물이 손쉽게 배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조구장 시공비 및 관리비의 절감을 위하여 지나친 다층구조를 지양, 천연지반 대신 콘크리트 지반을 사용함으로써 인조구장 단면의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부등침하현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안정성, 견고성, 반영구성으로 유지보수비가 거의 들지 않는 이점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조구장은 우천시 자연배수가 쉽게 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구장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구장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인조구장에 설치된 배수관 요부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인조구장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조구장 내부에 수직관과 수평관을 통해 양측 측구수로로 배수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수직관과 수직관 사이에 배수홈을 형성하여 상기 배수홈의 내부에는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타공재를 설치하고 상부에 체로 거른 20mm이하 골재를 우레탄계 수지와 교반하여 채움으로써 구장의 평탄성을 만들어주고 그 상부에 투수가 되는 EPDM패드나 현장타설의 형태로 탄성을 주어 안전성을 확보하여 튼튼하고도 구배가 없으면서 우천시 물이 손쉽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한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명의 인조구장은 기존토사를 굴착하여 상면을 다진 노반(10)과, 상기 노반(10)에 하측이 고정되게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도록 상부에 수직관(40)이 일정간격으로 연결된 수평관(20)과, 상기 수평관(20)의 양단이 각각 연결된 측구수로(110)와, 상기 노반(10)의 상부에 채우는 혼합흙(30)과, 상기 혼합흙(30)의 상부에 타설한 콘크리트(50)와, 상기 수직관(40)의 상부와 전,후 좌,우 수직관(40)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 배수홈(70)과, 상기 콘크리트(50)의 상부 표면에 칼집을 내어 만든 작은 배수홈(50a)과, 상기 수직관(40)의 상부에 스텐타공망(60)과, 상기 스텐타공망(60)이 설치된 양측 배수홈(70)의 내부에 안착되어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타공재(70a)와, 상기 타공재(70a)의 상부에 채워진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80)와, 상기 배수홈(70)에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 또는 동 골재에 우레탄계 수지를 80:20의 중량비로 혼합한 골재(80)가 채워진 콘크리트(50) 상부에 푹신하도록 EPDM(90)을 안착시켜 인조구장이 구성된 것이다.
상기 수평관(20)은 구장의 종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종열파이프와, 구장의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종열파이프와 교차되는 부분에서 상호 연통되는 복수의 횡열파이프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상기 수평관(20)은 100-350mm 파이프이며, 상기 수직관(40)은 80-200mm 파이프이고, 상기 수직관(40)의 높이는 120-200mm로 된 것이다.
상기 혼합흙(30)은 쇄석50-60%와 진흙40-50%가 혼합된 것이고, 상기 골재(80)는 골재80-90%와 우레탄계 수지10-20%가 혼합된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50) 대신 아스콘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EPDM(90)의 상부에 인조잔디(100)을 더 안착시킨 것이다.
상기 EPDM(Ethylene-propylene-diene ter-monomer)은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라고도 한다.
상기 배수홈(70)은 80-200mm로 깊이로 수직관(40)과 수직관(40) 사이에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50)는 최고 두께가 20-30cm인 것이다.
상기 스텐타공망(60)은 사각형상으로 사방에 홀(60a)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폐되도록 하여 내부에 골재(80)를 넣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타공재(70a)는 디귿자(ㄷ) 형상으로 상부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조구장 시공방법은 기존토사를 굴착하여 상면을 다지는 제1과정(S1)과, 다짐한 노반에 수직관이 연결된 수평관을 일정간격으로 안착하여 측구수로와 연결하는 제2과정(S2)과, 상기 수평관이 안착된 상측 노반에 일정높이로 혼합흙을 채우는 제3과정(S3)과, 상기 혼합흙에서 수직관 높이 까지 콘크리트를 1차 타설하고 수직관과 수직관이 연결되게 각목을 올려놓고 각목 높이 까지 콘크리트를 2차 타설하는 제4과정(S4)과, 상기 콘크리트에서 각목을 빼내어 배수홈을 형성하는 제5과정(S5)과, 상기 콘크리트의 상부 표면에 칼집을 주어 작은 배수홈을 만드는 제5-1과정(S5-1)과, 상기 수직관의 상부에는 스텐타공망을 놓고 상기 스텐타공망이 설치된 전,후 좌,우 배수홈의 내부에는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타공재를 안착시키는 제6과정(S6)과, 상기 타공재가 설치된 상부 배수홈에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 또는 동 골재와 우레탄계 수지를 80: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채우는 제7과정(S7)과, 상기 배수홈에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가 채워진 콘크리트 상부에 평탄한 인조구장이 되도록 EPDM을 안착시키는 제8과정(S8)으로 이루진 것이다.
상기 제2과정(S2)에서 수평관은 구장의 종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종열파이프와, 구장의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종열파이프와 교차되는 부분에서 상호 연통되는 복수의 횡열파이프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상기 제4과정(S4)의 혼합흙은 쇄석50-60%과 진흙40-50%이 혼합된 것이고, 상기 제6과정의 스텐타공망 내부에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 80-90%와 우레탄계 수지 10-20%이 혼합되어 채워진 것이다.
상기 제8과정에서 EPDM의 상부에 인조잔디를 더 안착시킨 것이다.
상기 수평관의 양단이 각각 측구수로와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은 인조구장은 우천시 EPDM(90) 또는 인조잔디(100)에 빗물이 스며들면 빗물은 EPDM(90)을 거쳐 콘크리트(50)의 상부에 칼집을 내어 형성시킨 작은 배수홈(50a)을 양측으로 이동되어 체로 거른 20mm 이하의 골재(80)를 통하여 타공재(70a)를 거쳐 하부의 공간으로 된 배수홈(70)을 따라 이동되어 스텐타공망(60)의 홀(60a)을 거쳐 수직관(40)으로 빗물이 들어간다.
상기와 같이 빗물이 수직관(40)으로 들어오면 수직관(40)의 하단에 연결된 수평관(20)을 통해 양측의 측구수로(110)로 빗물이 배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인조구장은 우천시 자연배수가 손쉽게 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구장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구장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인조구장에 설치된 배수관 요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의 인조구장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노반 20:수평관
30:혼합흙 40:수직관
50:콘크리트 50a:작은 배수홈
60:스텐타공망 70:배수홈
70a:타공재 80:골재
90:EPDM 100:인조잔디
110:측구수로

Claims (9)

  1. 기존토사를 굴착하여 상면을 다진 노반(10)과, 상기 노반(10)에 하측이 고정되게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도록 상부에 수직관(40)이 일정간격으로 연결된 수평관(20)과, 상기 수평관(20)의 양단이 각각 연결된 측구수로(110)와, 상기 노반(10)의 상부에 채우는 혼합흙(30)과, 상기 혼합흙(30)의 상부에 타설한 콘크리트(50)와, 상기 콘크리트의 상부 표면에 칼집을 주어 형성한 작은 배수홈(50a)과, 상기 수직관(40)의 상부와 전,후 좌,우 수직관(40)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 배수홈(70)과, 상기 수직관(40)의 상부에 스텐타공망(60)과, 상기 스텐타공망(60)이 설치된 양측 배수홈(70)의 내부에 안착되어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타공재(70a)와, 상기 타공재(70a)의 상부에 채워진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80)와, 상기 배수홈(70)에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80)가 채워진 콘크리트(50) 상부에 푹신하도록 EPDM(90)을 안착시켜 인조구장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구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20)은 구장의 종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종열파이프와, 구장의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종열파이프와 교차되는 부분에서 상호 연통되는 복수의 횡열파이프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구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20)은 100-350mm 파이프 이며, 상기 수직관(40)은 80-200mm 파이프이고, 상기 수직관의 높이는 120-200mm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구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흙(40)은 쇄석50-60%와 진흙40-50%가 혼합된 것이고, 상기 골재(80)는 골재80-90%와 우레탄계 수지 10-20%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구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PDM(90)의 상부에 인조잔디(100)을 더 안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구장.
  6. 기존토사를 굴착하여 상면을 다지는 제1과정(S1)과, 다짐한 노반에 수직관이 연결된 수평관을 일정간격으로 안착하여 측구수로와 연결하는 제2과정(S2)과, 상기 수평관이 안착된 상측 노반에 일정높이로 혼합흙을 채우는 제3과정(S3)과, 상기 혼합흙에서 수직관 높이 까지 콘크리트를 1차 타설하고 수직관과 수직관이 연결되게 각목을 올려놓고 각목 높이 까지 콘크리트를 2차 타설하는 제4과정(S4)과, 상기 콘크리트에서 각목을 빼내어 배수홈을 형성하는 제5과정(S5)과, 상기 콘크리트의 상부 표면에 칼집을 주어 작은 배수홈을 형성하는 제5-1과정(S5-1)과, 상기 수직관의 상부에는 스텐타공망을 놓고 상기 스텐타공망이 설치된 전,후 좌,우 배수홈의 내부에는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타공재를 안착시키는 제6과정(S6)과, 상기 타공재가 설치된 상부 배수홈에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를 채우는 제7과정(S7)과, 상기 배수홈에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가 채워진 콘크리트 상부에 푹신한 인조구장이 되도록 EPDM을 안착시키는 제8과정(S8)으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구장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S2)에서 수평관은 구장의 종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종열파이프와, 구장의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종열파이프와 교차되는 부분에서 상호 연통되는 복수의 횡열파이프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구장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S4)의 혼합흙은 쇄석50-60%과 진흙40-50%이 혼합된 것이고, 상기 제6과정의 스텐타공망 내부에 체로 거른 20mm이하의 골재80-90%와 우레탄계 수지 10-20%이 혼합되어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구장 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8과정에서 EPDM(90)의 상부에 인조잔디를 더 안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구장 시공방법.
KR1020080075098A 2008-07-31 2008-07-31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 KR101005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098A KR101005340B1 (ko) 2008-07-31 2008-07-31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098A KR101005340B1 (ko) 2008-07-31 2008-07-31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531A true KR20100013531A (ko) 2010-02-10
KR101005340B1 KR101005340B1 (ko) 2011-01-05

Family

ID=4208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098A KR101005340B1 (ko) 2008-07-31 2008-07-31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34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4344A (zh) * 2015-12-10 2016-05-04 天津泰达盐碱地绿化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增强城市缓坡透水路面渗水性能的方法
CN107313321A (zh) * 2017-08-10 2017-11-03 新沂市中诺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透水型沥青路面结构
CN109098064A (zh) * 2018-09-17 2018-12-28 汤文健 避免路面雨水沉积的海绵城市道路结构
KR101978973B1 (ko) * 2018-10-10 2019-05-15 주식회사 한길알엠비 인조잔디 시공구조
KR20200041238A (ko) * 2019-01-09 2020-04-21 주식회사 한길알엠비 인조잔디 시공구조를 위한 시공방법
CN113279299A (zh) * 2021-06-16 2021-08-20 重庆具得建筑工程有限公司 透水市政道路及其施工工艺
CN113818304A (zh) * 2021-09-09 2021-12-21 中交投资南京有限公司 公路路面结构的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750B1 (ko) * 2019-02-08 2020-10-27 지수건설산업(주) 전천후 멀티 하드코트
CN111485472B (zh) * 2020-04-24 2021-11-05 张颖 一种基于抗压装置的高速公路路面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8410U (ja) 1983-05-11 1984-11-29 日本植生株式会社 天然芝生の生育できる人造芝生板
JPS60123603A (ja) * 1983-12-08 1985-07-02 日本植生株式会社 人造芝生グリ−ンの下地構造
KR100698488B1 (ko) 2005-02-18 2007-03-23 (주)건설과환경 운동장 또는 경기장 시공 방법
KR100593258B1 (ko) 2005-10-25 2006-06-28 (주)종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수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보차도용 경계블록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4344A (zh) * 2015-12-10 2016-05-04 天津泰达盐碱地绿化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增强城市缓坡透水路面渗水性能的方法
CN107313321A (zh) * 2017-08-10 2017-11-03 新沂市中诺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透水型沥青路面结构
CN109098064A (zh) * 2018-09-17 2018-12-28 汤文健 避免路面雨水沉积的海绵城市道路结构
KR101978973B1 (ko) * 2018-10-10 2019-05-15 주식회사 한길알엠비 인조잔디 시공구조
KR20200041238A (ko) * 2019-01-09 2020-04-21 주식회사 한길알엠비 인조잔디 시공구조를 위한 시공방법
CN113279299A (zh) * 2021-06-16 2021-08-20 重庆具得建筑工程有限公司 透水市政道路及其施工工艺
CN113818304A (zh) * 2021-09-09 2021-12-21 中交投资南京有限公司 公路路面结构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340B1 (ko)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340B1 (ko)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
CN103510441A (zh) 防止寒区公路水损破坏的立体排水路基结构及施工方法
CN110306565B (zh) 一种道路生态护坡系统及施工方法
CN210857182U (zh) 一种路基排水结构
CN112681043B (zh) 路基拼接拓宽结构及施工方法
CN210975426U (zh) 预制装配式卵形槽暗排水沟系统
CN110172884B (zh) 一种山区公路路基及施工方法
CN110552322A (zh) 一种利用河道清淤料的平铺式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N214573096U (zh) 具有高透水性的人行道铺装结构
CN214459270U (zh) 路基拼接拓宽结构
CN212895900U (zh) 一种重力式u型桥台台后排水结构
KR20090129292A (ko) 보강매트와 유공관이 결합된 무 배수로 투수 기층구조 의 시공방법.
CN211079810U (zh) 一种避免积水的沥青公路
CN113152628A (zh) 一种v字型冲沟高填方临时排水系统及其构筑方法
CN210621457U (zh) 一种沥青桥面排水结构
CN206143898U (zh) 软土地基的雨水促渗系统
CN219604497U (zh) 一种施工道路排水结构
CN213772763U (zh) 一种防沉降的公路路基结构
CN213013740U (zh) 一种复合式公路路基结构
CN214614463U (zh) 一种截水沟
CN109162164A (zh) 消灭城市局部水涝的海绵化方法
CN215290501U (zh) 一种超高段排水结构
CN216006460U (zh) 一种半填半挖生态路基结构
CN214301079U (zh) 一种室外透水地面结构
CN217324803U (zh) 一种市政道路透水铺砌路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