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458A -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458A
KR20100013458A KR1020080074987A KR20080074987A KR20100013458A KR 20100013458 A KR20100013458 A KR 20100013458A KR 1020080074987 A KR1020080074987 A KR 1020080074987A KR 20080074987 A KR20080074987 A KR 20080074987A KR 20100013458 A KR20100013458 A KR 20100013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ssenger
monitoring
vehic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관 이
Original Assignee
명관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관 이 filed Critical 명관 이
Priority to KR1020080074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3458A/ko
Publication of KR20100013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36Conductor-based, e.g. using CAN-Bus, train-line or optic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45Destination indicators, identification panels or distinguishing signs on th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72On-board train data hand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8Vehicle exterior or interior
    • G06T2207/30268Vehicle interi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차 각 차량에 설치되며,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여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과, 운전실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수신하여 나타내는 모니터링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히,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및 승객 존재 여부를 운전실에 나타내줌으로써 운전자가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상황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열차 선로 점유 시간을 저감시켜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열차 실내 모니터링, 모니터링, 승객 하차

Description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TO MONITOR THE INSIDE OF A TRAIN}
본 발명은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차 각 차량 내부에 카메라를 장착한 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상황에 대한 영상(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운전실에 전송하여 나타내줌은 물론, 차량 내부에 승객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운전실에 나타내줌으로써 운전자가 각 차량을 일일이 순회하지 않고도 차량 내부에 승객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열차가 종착역에 도착하게 되면 운전자가 종착역에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안내 방송을 실시하여 탑승 승객의 하차를 유도 한 후, 열차를 열차 기지로 이동하기 전에 운전자가 각 차량을 순회하며 차량 내에 하차하지 않은 승객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신도림 역을 종착역으로 하는 열차가 승강장에 도착하게 되면 모든 승객의 하차를 종용하는 안내 방송을 실시하고, 차량 내의 전등을 점멸시켜 승객의 주의를 환기시킴은 물론 승객 하차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운전자가 직접 각 차량을 순회하며 미처 하차하지 않은 승객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객 하차 확인 방법은, 운전자가 각 차량을 일일이 순회하며 육안으로 승객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는 문제점 및, 열차의 승강장 점유 시간을 지연시켜 열차 운행 효율을 저감시키게 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운전자가 운전실에서 각 차량의 실내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차량 내에 승객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각 차량을 일일이 순회하며 확인하여야 한다는 문제점 및, 열차의 승강장 점유 시간이 길어져 선로 운영 효율을 저감시키고 타 열차의 운행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미처 탑승객을 확인하지 못하고 열차를 기지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승객이 열차기지로 같이 이동되게 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상황에 대한 영상(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운전실로 전송하여 나타내줌으로써 운전자가 각 차량을 직접 순회하지 않고도 탑승객의 존재 여부를 차량 실내 영상을 통해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차량 내부에 승객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자동 검출하여 나타내줌으 로써 운전자가 더욱 용이하게 승객의 존재 유무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열차 각 차량에 차량 실내 상황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단말시스템을 설치하고, 운전실에 모니터링시스템을 설치하여 열차 각 차량 내부의 상황을 운전실에서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단말시스템에 인체 감지 센서 등을 장착하여 승객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거나, 또는 차량 실내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승객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더욱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1은,
열차 각 차량에 설치되며,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여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 및,
운전실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수신하여 나타내는 모니터링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시스템은,
모니터링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
열차 차량 내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이루어져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및,
상기 단말통신부와 영상촬영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단말통신부를 통해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시스템과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단말음성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단말음성통신부는 모니터링시스템에 설치되는 모니터링음성통신부와 함께 음성 통신망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즉, 열차 각 차량과 운전실을 연계하는 음성 통신망을 구성하여 운전자가 인터폰 장치, 또는 차량 방송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차량 내에 존재하는 승객에게 안내 방송 및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단말음성통신부는 스피커와 마이크 및 공지의 음성 통화 회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선로를 사용하여 원격지간의 음성 통화를 실현하는 음성 통화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영상촬영부의 카메라는 CCD 카메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통신부는, 상기 모니터링시스템과 유선통신을 수행하는 공지의 유선통신장치, 또는 공지의 무선통신장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송 선로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유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단말통신부는, 전용선을 사용하여 모니터링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통신부는, 열차 각 차량과 운전실에 설치된 인터폰장치의 통신선로를 사용하여 모니터링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단말통신부는 열차 각 차량과 운전실에 설치된 인터폰 라인에 차량 실내 영상을 실어 보내는 것으로, 인터폰 라인을 이용한 통신방법에 대한 구성 및 동작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단말통신부는, 열차 각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단말통신부는, 열차 각 차량에 설치된 직류 전원선, 또는 교류 전원선을 이용하여 차량 실내 영상을 전송하는 것으로 전력선 통신에 대한 구성 및 동작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본인의 선등록 발명인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0778776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 방법의 일례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단말제어부는 입출력단자와, 연산모듈, 메모리 및, 통신모듈이나 A/D 컨버터, D/A 컨버터 기능 등을 선택적으로 갖는 마이컴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모니터링통신부;
상기 모니터링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나타내는 표시경보 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조작스위치부; 및,
상기 모니터링통신부와, 표시경보부와, 조작스위치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모니터링통신부를 통해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경보부를 통해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제어부에 접속되어 차량 실내 영상을 저장하는 모니터링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데이터베이스부는 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쉬 메모리 카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단말시스템과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모니터링음성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모니터링음성통신부는 스피커와 마이크 및 공지의 음성 통화 회로로 구성되어 단말시스템에 설치되는 단말음성통신부와 함께 음성 통신망을 구성한다.
상기 모니터링통신부는,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과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공지의 유선통신장치, 또는 공지의 무선통신장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경보부는,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시각표시부; 및,
모니터링 상태를 청각적으로 나타내는 청각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각표시부는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각표시부는 모니터링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합성장치로 구성되거나, 또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발생장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주어진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합성장치나,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발생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조작스위치부는 상기 표시경보부를 이루는 터치스크린 상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제어부는 입출력단자와, 연산모듈, 메모리 및, 통신모듈이나 A/D 컨버터, D/A 컨버터 기능 등을 선택적으로 갖는 마이컴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구성1은, 특히, 상기 단말시스템을 통해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을 촬영하여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면,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에서 이를 수신하여 차량 실내 상황에 대한 영상(동영상, 정지영상)을 나타내줌으로써 운전자가 각 차량을 직접 순회하며 점검하지 않더라도 각 차량의 실내에 승객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차량 실내 영상을 통해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2는,
열차 각 차량에 설치되며,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여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 및,
운전실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수신하여 나타내고, 상기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나타내는 모니터링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모니터링통신부;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을 포함하는 차량 실내 모니터링 상황을 나타내는 표시경보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조작스위치부; 및,
상기 모니터링통신부와, 표시경보부와, 조작스위치부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모니터링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유무를 검출하고, 상기 승객 존재 유무 검출 결과와 차량 실내 영상을 상기 표시경보부를 통해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제어부에 접속되어 차량 실내 영상을 저장하는 모니터링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제어부에 접속되어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모니터링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영상처리부는 공지의 영상처리 전용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모니터링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실내에 승객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기 저장된 승객 탑승 전의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차량 실내에 승객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모니터링영상처리부는 상기 단말제어부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기 저장된 승객이 존재하지 않는 차량 실내 영상(표준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승객 존재 여부 검출방법은 단말시스템에서 실시간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기 저장된 승객이 탑승하지 않은 차량의 실내 표준 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2개 이상의 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물체 및 그 크기를 검출하고 이로부터 사람(승객)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영상처리방법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열차 운행 개시 시 승객 탑승 전에 촬영한 차량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승객 존재 여부 검출방법은 단말시스템에서 실시간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차량 운행 개시 시 승객 탑승 바로 전에 촬영한 차량 실내 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승객의 존재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차량 실내 내부 구조의 변화로 인한 오차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열차 운행 개시를 위해 열차가 열차 기지창에서 배차될 때의 차량 실내 영상(승객 탑승전의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한 후, 운행 종료 시 상기 단말시스템에서 실시간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차량 실내 구조 변화에 따른 검출 오류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열차 운행 개시 시마다 차량 실내 영상(승객 탑승 전의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함으로써 표준 영상을 열차 운행 개시 전의 차량 실내 영상으로 자동 갱신하게 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차량 실내 구조 변화에 따른 검출 오류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으로부터 움직이는 물체 및 그 크기를 검출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승객 존재 여부 검출방법은 상기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움직이는 물체 및 그 크기를 검출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2개 이상의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분석하여 움직이는 물체 및 그 크기를 검출하여 사람(승객)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영상 처리 기술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승객 존재 여부 검출방법은 상기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그 윤곽선을 추출하고, 추출된 윤곽선의 형태로부터 사람이 갖는 특징 요소(크기, 굴곡 정도 등)를 검출하여 사람(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분석하여 그 윤곽선으로부터 물체(또는 사람)를 인식하는 영상 처리 기술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구성2는, 특히, 상기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각 차량의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승객 존재 여부 검출 결과와 차량 실내 영상을 모니터링시스템에 나타내줌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실에서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더욱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3은,
열차 각 차량에 설치되며,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고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유무에 대한 신호를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 및,
운전실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유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나타내는 모니터링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시스템은,
모니터링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
열차 차량 내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이루어져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및,
상기 단말통신부와 영상촬영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한 후, 상기 승객 존재 유무에 대한 신호와 차량 실내 영상을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에 접속되어 차량 실내 영상을 저장하는 단말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에 접속되어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말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영상처리부는, 공지의 영상처리 전용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기 저장된 승객 탑승 전의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차량 실내에 승객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함이 바 람직하다.
이러한 단말영상처리부는 상기 단말제어부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말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기 저장된 승객이 존재하지 않는 차량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열차 운행 개시 시 승객 탑승 전에 촬영한 차량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으로부터 움직이는 물체 및 그 크기를 검출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말시스템은,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한 후 상기 승객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와 차량 실내 영상을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말시스템은,
모니터링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
열차 차량 내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이루어져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열차 차량 내에 설치되어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승객검출부; 및,
상기 단말통신부와 영상촬영부와 승객검출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승객검출부를 통해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를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객검출부는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인체 감지 센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체온을 검출하는 체온 검출 센서를 차량 실내에 하나 이상 장착하여 승객의 체온을 검출함으로써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온도를 색상으로 표현하는 열화상 카메라나, 또는 초음파 센서 등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온 검출 센서나 초음파 센서, 또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승객을 검출하는 구성 및 동작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말시스템은,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고, 승객검출부를 통해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한 후, 상기 승객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와 차량 실내 영상을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말시스템은,
모니터링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
열차 차량 내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이루어져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열차 차량 내에 설치되어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승객검출부; 및,
상기 단말통신부와 영상촬영부와 승객검출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승객검출부를 통해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한 후, 상기 승객 존재 유무에 대한 신호와 차량 실내 영상을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말시스템은, 이중으로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승객 검출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모니터링통신부;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을 포함하는 차량 실내 모니터링 상황을 나타내는 표시경보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조작스위치부; 및,
상기 모니터링통신부와, 표시경보부와, 조작스위치부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모니터링통신부를 통해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신 호를 수신하여,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상기 표시경보부를 통해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모니터링제어부는 상기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승객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와는 별도로, 상기 모니터링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승객 존재 유무 검출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구성3은, 특히, 상기 단말시스템에서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차량 실내 영상과 함께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면,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 및 승객 존재 여부를 나타내줌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실에서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상황을 더욱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의 구성1은,
열차 차량 실내의 영상을 촬영하여 운전실로 전송하는 단말제어단계; 및,
열차 각 차량에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실내 영상을 수신하여 운전실에 나타내는 모니터링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제어단계는,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단계; 및,
상기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하여 촬영한 차량 실내 영상을 운전실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를 수행한 후 운전실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음성통화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음성통화기능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운전실과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단말음성통화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하여 촬영한 차량 실내 영상을 저장하는 단말데이터베이스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제어단계는,
열차 각 차량에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실내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실내 영상을 운전실에 나타내는 표시경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표시경보단계를 수행한 후 열차 각 차량, 또는 어느 하나의 차량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음성통화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음성통화기능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해당 차량과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모니터링음성통화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음성통화기능은 하차를 완료하지 않은 승객이 존재하는 차량이 있을 경우 해당 차량에 대한 방송, 또는 해당 차량과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여 승객의 하차를 종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표시경보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한 차량 실내 영상을 저장하는 모니터링데이터베이스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의 구성2는,
열차 차량 실내의 영상을 촬영하여 운전실로 전송하는 단말제어단계; 및,
열차 각 차량에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실내 영상을 수신하여 나타내고, 상기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유무를 검출하여 운전실에 나타내는 모니터링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제어단계는,
열차 각 차량에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실내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한 차량 실내 영상과, 상기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를 수행하여 검출한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시경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유무 를 검출할 경우에는,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기 저장된 승객이 존재하지 않는 차량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유무를 검출할 경우에는,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열차 운행 개시 시 승객 탑승 전에 촬영한 차량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유무를 검출할 경우에는,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으로부터 움직이는 물체 및 그 크기를 검출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유무를 검출할 경우에는,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의 구성3은,
열차 차량 실내의 영상을 촬영하고,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유무에 대한 신호를 운전실로 전송하는 단말제어단계; 및,
열차 각 차량에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유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운전실에 나타내는 모니터링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제어단계는,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단계;
상기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한 후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말승객검출단계; 및,
상기 단말승객검출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하여 촬영한 차량 실내 영상과 상기 단말승객검출단계를 수행하여 검출한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를 운전실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승객검출단계에서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차량 내에 하나 이상의 인체 감지 센서를 장착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승객검출단계에서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하여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기 저장된 승객이 존재하지 않는 차량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승객검출단계에서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하여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기 저장된 승객이 존재하지 않는 차량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승객검출단계에서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하여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으로부터 움직이는 물체 및 그 크기를 검출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승객검출단계에서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하여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제어단계는,
열차 각 차량에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단계를 수행한 후,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를 운전실에 나타내는 표시경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는 상기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하는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와는 별도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한 번 더 검출함으로써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검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은, 특히, 열차 각 차량 내부에 카메라를 장착한 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상황에 대한 영상(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운전실에 전송하여 나타내줌은 물론, 차량 실내에 승객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운전실에 나타내줌으로써 운전자가 각 차량을 순회하며 육안으로 점검하지 않고도 차량 실내에 승객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은 물론, 열차의 승강장 정차 시간을 단축시켜 선로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의 기술적 사상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을 함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부호를 사용한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열차 각 차량에 하나의 CCD 카메라를 장착하여 차량 실내를 촬영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열차 각 차량에 승객을 검출하는 인체 감지 센서를 하나 이상 장착하여 승객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와는 별도로 승강장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유무를 한번 더 검출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상기 승객 존재 유무 검출은 단말시스템에서 실시간 전송되는 차량 실내 영상과 기 저장된 승객이 탑승하지 않은 표준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경보부의 시각표시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조작스위치부를 설치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음성합성장치와 경보음발생장치로 청각표시부를 구성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승강장시스템에서 모니터링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말시스템에 단말음성통신부를 설치하고, 모니터링시스템에 모니터링음성통신부를 설치하여 운전실과 각 차량 사이의 음성 통화 및 방송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영상처리 전용 프로세서로 모니터링영상처리부를 구성하여 승객 존재 검출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를 구성한 이유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촬영부(110)와, 승객검출부(120)와, 단말통신부(150) 및, 단말음성통신부(160)를 단말제어부(130)에 접속하여 단말시스템(100)를 구성하고, 도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스위치부(210)와, 표시경보부(220)와, 모니터링데이터베이스부(240)와, 모니터링통신부(250)와, 모니터링음성통신부(260) 및, 모니터링영상처리부(270)를 모니터링제어부(230)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시스템(200)을 구성한 후, 도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열차 각 차량과 운전실에 상기 단말시스템(100, 100', 100",...)과 모니터링시스템(200)을 장착하여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10)는 1개의 CCD 카메라(111)로 구성하고, 승객검출 부(120)는 적절한 위치에 다수개의 인체 검지 센서(미도시)를 장착하여 구성하며, 단말제어부(130)는 마이컴으로 구성한다.
상기 표시경보부(220)는, 도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221) 상에 각 차량의 실내 영상을 표시하는 10개의 영상표시창(221a)을 마련하고, 상기 영상표시창(221a) 아래에 해당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표시바(221b)를 마련하며, 터치스크린(221) 하단에 승객 하차 완료 여부를 나타내는 완료상태바(221c)와, 승객 하차가 완료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진행상태표시바(221d)와, 승객이 존재하는 차량 번호를 나타내는 차량번호표시바(221e)와, 화면 확대를 지시하는 확대명령표시바(221f)와, 각 차량과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통화기능선택표시바(221g) 등을 마련한 후, 상기 터치스크린(221) 우측에 경보등(221h)과, 스피커(222a)와, 모니터링 기능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온/오프스위치(211) 및, 모니터링데이터베이스부(240)를 이루는 메모리카드삽탈부(241)를 마련하여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모니터링제어부(230)의 내부메모리나 외부메모리, 또는 상기 모니터링데이터베이스부(240)에 열차 각 차량의 승객 탑승 전의 영상(표준영상),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각종 신호처리 루틴 및, 음성 안내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이후, 도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니터링 기능이 수행되면 단말시스템(100)의 단말제어부(130)가 영상촬영단계(S110)를 수행하여 CCD 카메라(111)를 통해 차량 실내를 촬영하게 된다.
상기 영상촬영단계(S110)를 수행한 후 상기 단말제어부(130)는 단말승객검출단계(S120)를 수행하여 차량 내에 승객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즉, 다수개의 인체 감지 센서(미도시)로 이루어진 승객검출부(1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 내에 하차하지 않은 승객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일정한 공간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인체 감지 센서의 구성 및 동작을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객검출단계(S120)를 수행한 후 상기 단말제어부(130)는 전송단계(S130)를 수행하여 상기 영상촬영단계(S110)를 수행하여 촬영한 차량 실내 영상과 상기 단말승객검출단계(S120)를 수행하여 검출한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를 단말통신부(150)를 통해 모니터링시스템(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전송단계(S130)를 수행한 후에는 음성통화기능이 요청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운전실로부터 음성통화기능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음성통신부(160)를 통해 모니터링음성통신부(260)와 음성 통화 회로를 구성하는 단말음성통화단계(S150)를 수행하게 된다.
즉, CCD 카메라(111)를 통해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고, 승객검출부(120)를 통해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단말통신부(150)를 통해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모니터링시스템(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시스템(200)으로부터 음성통화기능이 지령되면 상기 단말음성통신부(160)와 모니터링음성통신부(260)를 통해 운전실과 해당 차량간의 음성 통화 회로를 구성하여 음성 통화(또는 방송)를 실시하게 된다.
한편, 다수개의 단말시스템(100)에서 상기 단말제어단계(S100)를 수행하여 차량 실내 영상 및 승객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모니터링시스템(200)으로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S210)를 수행하게 된다.
즉, 모니터링통신부(250)를 통해 상기 차량 실내 영상 및 승객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수신단계(S210)를 수행한 후 상기 모니터링제어부(230)는 열차 각 차량 내에 하차하지 않은 승객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S220)를 수행한다.
즉, 모니터링영상처리부(270)에서 상기 수신단계(S210)를 수행하여 수신한 차량 실내 영상과 기 저장된 표준영상(승객 탑승 전의 차량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차량 내에 승객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S220)를 수행한 후 상기 모니터링제어부(230)는 표시경보단계(S230)와 모니터링데이터베이스단계(S240)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 및 승객 존재 여부를 시각표시부(221)를 통해 나타내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저장하게 된다.
도4는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경보부(220)를 나타낸 것이고, 도5는 미처 하차하지 않은 승객이 존재하는 2호 차량의 차량 실내 영상을 확대한 확대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21i)는 차량 내에 남아 있는 승객, (221j)는 2호 차 량의 확대화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데이터베이스단계(S240)를 수행한 후에는 운전자에 의해 음성통화기능이 요청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음성통화기능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니터링음성통신부(260)를 통해 단말음성통신부(160)와 음성 통화 회로를 구성하는 모니터링음성통화단계(S250)를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모니터링통신부(250)를 통해 단말시스템(100)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 및 승객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모니터링영상처리부(270)를 통해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이중으로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표시경보부(220)를 통해 나타내줌으로써 운전자가 각 차량을 일일이 순회하지 않고도 차량 실내 상황을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은,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 및 승객 존재 여부를 운전실에 나타내줌으로써 운전자가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상황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열차 선로 점유 시간을 저감시켜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 중 그 하나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도 1 은 본 발명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중 단말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중 모니터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중 표시경보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중 표시경보부의 확대 화면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 은 본 발명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단말시스템 110: 영상촬영부
111: CCD카메라 120: 승객검출부
130: 단말제어부 140: 단말데이터베이스부
150: 단말통신부 160: 단말음성통신부
170: 단말영상처리부
200: 모니터링시스템 210: 조작스위치부
211: 동작스위치 220: 표시경보부
221: 시각표시부 222: 청각표시부
230: 모니터링제어부 240: 모니터링데이터베이스부
241: 메모리카드삽입구 250: 모니터링통신부
260: 모니터링음성통신부 270: 모니터링영상처리부
S100: 단말제어단계 S110: 영상촬영단계
S120: 단말승객검출단계 S130: 전송단계
S140: 단말데이터베이스단계 S150: 단말음성통화단계
S200: 모니터링제어단계 S210: 수신단계
S220: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 S230: 표시경보단계
S240: 모니터링데이터베이스단계 S250: 모니터링음성통화단계

Claims (52)

  1. 열차 각 차량에 설치되며,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여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 및,
    운전실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수신하여 나타내는 모니터링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2. 열차 각 차량에 설치되며,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여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 및,
    운전실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수신하여 나타내고, 상기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나타내는 모니터링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3. 열차 각 차량에 설치되며,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고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유무에 대한 신호를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 및,
    운전실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유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나타내는 모니터링시스템;을 포함하여 구 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시스템은,
    모니터링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
    열차 차량 내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이루어져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및,
    상기 단말통신부와 영상촬영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단말통신부를 통해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시스템은,
    모니터링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
    열차 차량 내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이루어져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및,
    상기 단말통신부와 영상촬영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단말통신부를 통해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시스템은,
    모니터링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
    열차 차량 내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이루어져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및,
    상기 단말통신부와 영상촬영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한 후, 상기 승객 존재 유무에 대한 신호와 차량 실내 영상을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시스템은,
    모니터링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
    열차 차량 내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이루어져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열차 차량 내에 설치되어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승객검출부; 및,
    상기 단말통신부와 영상촬영부와 승객검출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승객검출부를 통해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를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시스템은,
    모니터링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
    열차 차량 내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이루어져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열차 차량 내에 설치되어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승객검출부; 및,
    상기 단말통신부와 영상촬영부와 승객검출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승객검출부를 통해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한 후, 상기 승객 존재 유무에 대한 신호와 차량 실내 영상을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시스템은,
    상기 단말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모니터링시스템과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단말음성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시스템은,
    상기 단말제어부에 접속되어 차량 실내 영상을 저장하는 단말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 6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시스템은,
    상기 단말제어부에 접속되어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말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통신부는,
    열차 각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 또는 열차 각 차량과 운전실에 설치된 인터폰장치의 통신선로를 사용하여 모니터링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 6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기 저장된 승객이 존재하지 않는 차량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14. 제 6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열차 운행 개시 시 승객 탑승 전에 촬영한 차량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 터링 시스템.
  15. 제 6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으로부터 움직이는 물체 및 그 크기를 검출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16. 제 6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17.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검출부는,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인체 감지 센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모니터링통신부;
    상기 모니터링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나타내는 표시경보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조작스위치부; 및,
    상기 모니터링통신부와, 표시경보부와, 조작스위치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모니터링통신부를 통해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경보부를 통해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1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모니터링통신부;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을 포함하는 차량 실내 모니터링 상황을 나타내는 표시경보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조작스위치부; 및,
    상기 모니터링통신부와, 표시경보부와, 조작스위치부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모니터링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유무를 검출하고, 상기 승객 존재 유무 검출 결과와 차량 실내 영상을 상기 표시경보부를 통해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2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단말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모니터링통신부;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을 포함하는 차량 실내 모니터링 상황을 나타내는 표시경보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조작스위치부; 및,
    상기 모니터링통신부와, 표시경보부와, 조작스위치부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모니터링통신부를 통해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열차 각 차량의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상기 표시경보부를 통해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은,
    상기 모니터링제어부에 접속되어 차량 실내 영상을 저장하는 모니터링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22.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은, 상기 모니터링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단말시스템과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모니터링음성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23. 제 19 항 또는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제어부에 접속되어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모니터링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24.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통신부는,
    열차 각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 또는 열차 각 차량과 운전실에 설치된 인터폰장치의 통신선로를 사용하여 단말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25.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경보부는,
    모니터링 상태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시각표시부; 및,
    모니터링 상태를 청각적으로 나타내는 청각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26. 제 19 항 또는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기 저장된 승객이 존재하지 않는 차량 실내 영상(표준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27. 제 19 항 또는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열차 운행 개시 시 승객 탑승 전에 촬영한 차량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28. 제 19 항 또는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으로부터 움직이는 물체 및 그 크기를 검출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29. 제 19 항 또는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시스템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의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단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차량 실내 영상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30. 열차 차량 실내의 영상을 촬영하여 운전실로 전송하는 단말제어단계; 및,
    열차 각 차량에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실내 영상을 수신하여 운전실에 나타내는 모니터링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31. 열차 차량 실내의 영상을 촬영하여 운전실로 전송하는 단말제어단계; 및,
    열차 각 차량에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실내 영상을 수신하여 나타내고, 상기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유무 를 검출하여 운전실에 나타내는 모니터링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32. 열차 차량 실내의 영상을 촬영하고,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유무에 대한 신호를 운전실로 전송하는 단말제어단계; 및,
    열차 각 차량에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유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운전실에 나타내는 모니터링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는,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단계; 및,
    상기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하여 촬영한 차량 실내 영상을 운전실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는,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단계; 및,
    상기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하여 촬영한 차량 실내 영상을 운전실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는,
    차량 실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단계;
    상기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한 후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말승객검출단계; 및,
    상기 단말승객검출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하여 촬영한 차량 실내 영상과 상기 단말승객검출단계를 수행하여 검출한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를 운전실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36. 제 33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는,
    상기 전송단계를 수행한 후 운전실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음성통화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음성통화기능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운전실과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단말음성통화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37. 제 33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는,
    상기 전송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하여 촬영한 차량 실내 영상을 저장하는 단말데이터베이스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38.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승객검출단계에서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 우에는, 차량 내에 하나 이상의 인체 감지 센서를 장착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39.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승객검출단계에서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하여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기 저장된 승객이 존재하지 않는 차량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40.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승객검출단계에서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하여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기 저장된 승객이 존재하지 않는 차량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41.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승객검출단계에서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하여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으로부터 움직이는 물체 및 그 크기를 검출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42.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승객검출단계에서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촬영단계를 수행하여 촬영하는 차량 실내 영상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4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제어단계는,
    열차 각 차량에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실내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실내 영상을 운전실에 나타내는 표시경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4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제어단계는,
    열차 각 차량에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실내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한 차량 실내 영상과, 상기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를 수행하여 검출한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시경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4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제어단계는,
    열차 각 차량에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단계를 수행한 후,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여부를 운전실에 나타내는 표시경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46.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제어단계는,상기 모니터링제어단계는,
    열차 각 차량에서 상기 단말제어단계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수신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를 수행한 후, 차량 실내 영상과 승객 존재 여부를 운전실에 나타내는 표시경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47. 제 43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제어단계는,
    상기 표시경보단계를 수행한 후 열차 각 차량, 또는 어느 하나의 차량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음성통화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음성통화기능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해당 차량과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모니터링음성통화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48. 제 43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제어단계는, 상기 표시경보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한 차량 실내 영상을 저장하는 모니터링데이터베이스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49. 제 44 항 또는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유무를 검출할 경우에는,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기 저장된 승객이 존재하지 않는 차량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50. 제 44 항 또는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유무를 검출할 경우에는,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과 열차 운행 개시 시 승객 탑승 전에 촬영한 차량 실내 영상을 비교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51. 제 44 항 또는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유무를 검출할 경우에는,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으로부터 움직이는 물체 및 그 크기를 검출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52. 제 44 항 또는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승객검출단계에서 차량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존재 유무를 검출할 경우에는, 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하는 차량 실내 영상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실내 모니터링 방법.
KR1020080074987A 2008-07-31 2008-07-31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3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987A KR20100013458A (ko) 2008-07-31 2008-07-31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987A KR20100013458A (ko) 2008-07-31 2008-07-31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458A true KR20100013458A (ko) 2010-02-10

Family

ID=42087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987A KR20100013458A (ko) 2008-07-31 2008-07-31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34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927A (ko) * 2016-08-11 2018-02-22 (주)아리온테크놀로지 Plc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무선송수신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927A (ko) * 2016-08-11 2018-02-22 (주)아리온테크놀로지 Plc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무선송수신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17409B (zh) 通信连接的控制方法、系统、服务器及车载终端
CN101875457B (zh) 电梯控制装置以及具有该电梯控制装置的电梯设备
JP4481719B2 (ja) 車輌診断ロボット
JPH0971240A (ja) 列車用ドア安全確認システム
JP2012001191A (ja) 鉄道車両の状況監視装置
KR20090074103A (ko) 출입문 모니터링 스크린도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00013481A (ko) 열차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3458A (ko) 열차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093022B1 (ko) 철도의 객차 내부 감시 시스템
JP6091279B2 (ja) ホーム監視装置
JP4225117B2 (ja) ドアホンシステム
JP2005263421A (ja) エレベータかご内監視カメラの点検装置
JP2003063747A (ja) 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
KR20090076424A (ko) 열차 출입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18002402A (ja) エレベーターの録画映像再生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7070061A (ja) 乗客コンベアの運転管理装置
JP6807493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映像表示方法
JP2006258489A (ja) 検査システムおよび検査方法
KR20100087986A (ko)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
KR20120109181A (ko) 신속 응급처치를 위한 자동제세동기의 운용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917808B1 (ko) 승강기 영상 감시 시스템 및 승강기 영상 감시 방법
KR101802388B1 (ko) 승강기 블랙박스 및 승강기 영상녹화 방법
WO2024004522A1 (ja) 監視支援装置、監視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3807978B2 (ja) 監視システム
JP4701690B2 (ja) 交通撮像装置および交通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