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036U - 한복 치마 - Google Patents

한복 치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036U
KR20100013036U KR2020090008134U KR20090008134U KR20100013036U KR 20100013036 U KR20100013036 U KR 20100013036U KR 2020090008134 U KR2020090008134 U KR 2020090008134U KR 20090008134 U KR20090008134 U KR 20090008134U KR 20100013036 U KR20100013036 U KR 201000130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apron
zipper
hanbok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9580Y1 (ko
Inventor
이태옥
Original Assignee
이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옥 filed Critical 이태옥
Priority to KR2020090008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580Y1/ko
Publication of KR201000130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0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5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0Petti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4Removable 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겉치마와 속치마로 이루어지는 한복 치마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겉치마의 상부에 형성되는 치마말기의 하부를 일자(一字)말기 형태로 연장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자유단부를 형성하고, 이 자유단부의 하단과 속치마의 상단을 지퍼로 연결하여 속치마와 겉치마로 구성된 한복 치마를 한 번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에 편의성와 함께 한복 치마의 옷맵시를 좋게 하고, 속치마의 제작 공정 단축과 함께 원단사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한복 치마에 관한 것이다.
한복 치마, 속치마, 지퍼, 페티코트

Description

한복 치마{The Korean Traditional Skirt}
본 고안은 한복 치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겉치마와 속치마로 이루어지는 한복 치마에 있어 상기 겉치마의 상부에 형성되는 치마말기의 하부를 일자(一字)말기 형태로 연장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자유단부를 형성하고 이 자유단부의 하단과 속치마의 상단을 지퍼로 연결하여 한복 치마를 한 번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에 편의성와 함께 한복 치마의 옷맵시를 좋게 하고, 속치마의 제작 공정 단축과 함께 원단의 사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한복 치마에 관한 것이다.
한복 치마는 치마를 입을 때 겉에 입는 겉치마와, 상기 겉치마의 속에 받쳐 입는 속치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속치마의 안쪽으로 한복 치마의 볼륨감을 갖게 하기 위한 페티코트(petticoat)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두루마기를 착용할 때에는 페티코트를 부착한 속치마는 앞부위가 벌어짐으로 페티코트가 없는 속치마를 착용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한복 치마를 구성하는 겉치마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치마폭의 양쪽으로 선단이 있어 둘러 입게 한 풀치마(자락치마)와, 치마폭의 양쪽 선단이 없이 통으로 만든 통치마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풀치마 형태의 한복 겉치마는, 양쪽으로 선단이 있어 둘러 입게 치마를 형성하는 치마폭과, 상기 치마폭의 상부로부터 형성되어 가슴을 감싸주는 치마말기와, 상기 치마말기의 양단으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치마말기를 감싸 고정하는 좌·우 치마끈과, 상기 치마말기의 좌·우로부터 각각 형성되어 어깨에 걸치는 어깨끈(또는 '어깨말기'라고 함)으로 구성된다.
상기 통치마 형태의 한복 겉치마는, 통으로 만들어 치마를 형성하는 치마폭과, 상기 치마폭의 상부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치마폭과 함께 통형으로 되어 가슴을 감싸주는 치마말기와, 상기 치마폭과 치마말기의 가슴 부분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형성되어 치마를 착용하게 하는 지퍼 또는 단추와, 상기 치마말기의 좌·우로부터 각각 형성되어 어깨에 걸치는 어깨끈(또는 '어깨말기'라고 함)으로 구성된다.
한편, 한복 속치마의 경우는 양쪽 선단이 없이 통으로 만든 통치마 형태로 하여 상부에 어깨에 걸치는 어깨끈(어깨말기)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통상의 한복 치마를 착용하는 순서를 보면, 어깨끈을 통하여 속치마를 착용한 다음 겉치마를 착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통상의 한복 치마는 겉치마와 속치마가 각각 분리 구성되어 있는바, 속치마와 겉치마를 각각 착용함에 따른 불편함이 있고, 어깨에 걸치는 속치마의 어깨말기(어깨끈)와 겉치마의 어깨끈이 서로 겹치게 되어 이로 인해 착용한 외관이 깔끔하지 못하고, 저고리의 착용 모습이 매끈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7-11854호에 개시된 '속치마가 일체로 된 한복'은 속치마의 원형심지의 일부분을 한복 치마의 내측 상부 안단의 소정부위에 봉제선으로 재봉하여 일체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구성한 것으로, 치마와 속치마가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에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으나 상기 속치마가 치마에 봉제선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후 세탁과 보관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즉, 한복을 사용 후 보관할 때는 겉치마와 속치마를 따로 보관함으로써 치마에 구김이 없이 보관할 수 있는데 상기 선행기술은 겉치마와 속치마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상에 문제점이 있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은 통형으로 된 속치마의 일부 소정부위만이 겉치마의 안쪽으로 재봉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겉치마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속치마를 착용했을 때 겉치마와 일체감을 갖지 않게 되어 착용감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겉치마와 속치마로 이루어지는 한복 치마에 있어 속치마를 겉치마에 지퍼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한복 치마의 착용을 간편하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함께 사용 후 속치마와 겉치마를 각기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어 세탁과 보관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속치마가 겉치마에 지퍼로 설치됨에 따라 종래와 같은 속치마에 형성되는 어깨끈(어깨말기)이 생략됨으로써 한복 치마를 착용할 때 겉치마의 치마말기에 형성된 어깨끈만이 어깨에 드러남으로써 어깨선을 단정하게 살릴 수 있게 되어 옷맵시를 높일 수 있고, 어깨끈의 생략에 따른 속치마의 제작 공정의 단축과 함께 그만큼의 원단사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한복 치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속치마의 안쪽으로 볼륨감을 갖게 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페티코트의 중간 부분 둘레에 지퍼를 설치하여 페티코트를 어퍼커버(upper cover)와 로워커버(lower cover)로 구분하여 어퍼커버로부터 로워커버를 착탈 가능하게 하여 필요에 따라 페티코트의 로워커버를 어퍼커버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한복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함께 한복의 변모를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하는 한복 치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으로서, 양쪽으로 선단이 있어 둘러 입게 치마를 형성하는 치마폭과, 상기 치마폭의 상부로부터 형성되어 가슴을 감싸주는 치마말기와, 상기 치마말기의 양단으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치마말기를 감싸 고정하는 좌·우 치마끈과, 상기 치마말기의 좌·우로부터 각각 형성되어 어깨에 걸치는 어깨끈으로 구성된 풀치마 형태의 한복 겉치마에 있어서, 상기 겉치마의 상부에 형성되는 치마말기의 하부를 일자(一字)말기 형태로 연장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자유단부를 형성하고 이 자유단부의 하단에 지퍼를 설치하고, 이와 대응하여 속치마의 상단 둘레에 지퍼를 설치하여 상기 겉치마와 속치마를 지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속치마와 겉치마를 한 번에 착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겉치마의 치마말기 좌·우로 형성된 어깨끈을 통해 한복 치마를 어깨에 걸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통으로 만들어 치마를 형성하는 치마폭과, 상기 치마폭의 상부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치마폭과 함께 통형으로 되어 가슴을 감싸주는 치마말기와, 상기 치마폭과 치마말기의 가슴 부분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형성되어 치마를 착용하게 하는 지퍼 또는 단추와, 상기 치마말기의 좌·우로부터 각각 형성되어 어깨에 걸치는 어깨끈으로 구성된 통치마 형태의 겉치마에 있어서, 상기 겉치마의 상부에 형성되는 치마말기의 하부를 일자말기 형태로 연장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자유단부를 형성하고 이 자유단부의 하단에 지퍼를 설치하고, 이와 대응하여 속치마의 상단 둘레에 지퍼를 설치하여 상기 겉치마와 속치마를 지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속치마와 겉치마를 한 번에 착용 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겉치마의 치마말기 좌·우로 형성된 어깨끈을 통해 한복 치마를 어깨에 걸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속치마의 안쪽으로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페티코트에 있어 중간 부분 둘레에 지퍼를 설치하여 페티코트를 어퍼커버(upper cover)와 로워커버(lower cover)로 구분하여 상기 어퍼커버로부터 로워커버를 상기 지퍼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속치마를 겉치마에 지퍼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한복 치마의 착용을 간편하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함께 사용 후 속치마와 겉치마를 각기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보관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속치마를 겉치마에 지퍼로 연결할 때 겉치마에 설치된 지퍼가 치마말기의 하부를 일자말기 형태로 연장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자유단부를 통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자유단부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여 상기 자유단부를 손으로 파지하여 지퍼를 채울 수 있게 되어 속치마를 겉치마에 지퍼로 연결하거나 분리할 때 손동작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속치마가 겉치마에 지퍼로 설치됨에 따라 종래와 같은 속치마에 형성되는 어깨끈이 생략됨으로써 겉치마의 치마말기에 형성된 어깨끈만이 어깨에 드러남으로써 어깨선을 단정하게 하여 옷맵시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속치마가 상부에 설치된 지퍼를 통해 겉치마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됨으로써 속치마의 어깨끈이 생략되어 그에 따른 속치마의 제작 공정의 단축과 함께 그만큼의 원단사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한복 치마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속치마의 안쪽에 필요에 따라 함께 착용하는 페티코트에 있어 중간 둘레 부분에 지퍼로 설치하여 상기 페티코트의 상부를 구성하는 어퍼커버와 하부를 구성하는 로워커버를 상기 지퍼로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볼륨감을 갖게 하는 페티코트의 본연의 기능을 살리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어퍼커버로부터 지퍼를 이용하여 로워커버를 떼어내어 한복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함께 한복 치마의 변모에 신속히 대응하는 효과 및 보관의 편의성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여러 도면에서 설명하는 도면부호에 있어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 예로, 풀치마 형태의 한복 치마의 구성도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겉치마와 속치마를 지퍼로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한복 치마(10)는 풀치마 형태의 겉치마(20)와 속치마(40)로 구성되며, 상기 겉치마(20)와 속치마(40)는 지퍼(22)(42)를 통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치마 형태의 겉치마(20)는 양쪽으로 선단이 있어 둘러 입게 치마를 형성하는 치마폭(24)과, 상기 치마폭(24)의 상부로부터 형성되어 가슴을 감싸주는 치마말기(26)와, 상기 치마말기(26)의 양단으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치마말기(26)를 감싸 고정하는 좌·우 치마끈(28)(30)과, 상기 치마말기(26)의 좌·우로부터 각각 형성되어 어깨에 걸치는 어깨끈(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치마말기(26)는 치마폭(24)의 상단부(24a)와 바느질로 고정되고 이 상단부(24a)로부터 하부를 일자말기 형태로 길이를 연장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자유단부(26a)로 형성하고 이 자유단부(26a)의 하단에 지퍼(22)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겉치마(20)의 치마말기(26) 자유단부(26a)에 설치된 지퍼(22)와 대응하여 속치마(40)의 상단 둘레에 지퍼(42)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지퍼(22)(42)는 서로 이가 맞물리도록 금속이나 플라스틱의 조각을 헝 겊 테이프에 나란히 박아주어, 그 두 줄을 고리로 밀고 당겨 여닫을 수 있도록 만든 통상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겉치마(20)의 치마말기(26) 자유단부(26a)에 설치된 지퍼(22)와 속치마(40)의 상단 둘레에 설치된 지퍼(42)를 도 2와 같이 고리(44)를 통해 지퍼(22)(42)를 채워 겉치마(20)에 속치마(40)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속치마(40)를 겉치마(20)에 지퍼(42)(22)로 연결할 때 겉치마(20)에 설치된 지퍼(22)가 치마말기(26)의 하부를 일자말기 형태로 연장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자유단부(26a)를 통해 설치됨으로써 상기 자유단부(26a)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여 상기 자유단부(26a)를 손으로 파지하여 지퍼(22)(42)를 채울 수 있게 되어 속치마(40)를 겉치마(20)에 지퍼(42)(22)로 연결하거나 분리할 때 손동작의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겉치마(20)에 속치마(40)를 지퍼(22)(42)로 연결한 상태에서 한복 치마를 착용할 때는 겉치마(20)와 일체로 된 속치마(40)를 함께 입고, 겉치마(20)에 형성된 어깨끈(32)을 어깨에 걸치고 치마끈(28)(30)을 가슴에 둘러 동여매어 한복 치마(10)의 착용이 완료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2실시 예로, 통치마 형태의 한복 치마의 구성도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겉치마와 속치마를 지퍼로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치마 형태의 겉치마(20a)는 통으로 만들어 치마를 형성하는 치마폭(25)과, 상기 치마폭(25)의 상부로부터 형성되어 가슴을 감싸주는 치마말기(27)와, 상기 치마폭(25)과 치마말기(27)의 가슴 부분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절개부(29)를 통해 형성되어 치마를 착용하게 하는 지퍼(31) 또는 단추(31a)와, 상기 치마말기(27)의 좌·우로부터 각각 형성되어 어깨에 걸치는 어깨끈(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치마말기(27)는 치마폭(25)의 상단부(25a)와 바느질로 고정되고 이 상단부(25a)로부터 하부를 일자말기 형태로 길이를 연장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자유단부(27a)로 형성하고 이 자유단부(27a)의 하단에 지퍼(22)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겉치마(20a)의 치마말기(27) 자유단부(27a)에 설치된 지퍼(22)와 대응하여 속치마(40)의 상단 둘레에 지퍼(42)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겉치마(20a)의 치마말기(27) 자유단부(27a)에 설치된 지퍼(22)와 속치마(40)의 상단 둘레에 설치된 지퍼(42)를 도 4와 같이 고리(44)를 통해 지퍼(22)(42)를 채워 겉치마(20a)에 속치마(40)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속치마(40)를 겉치마(20a)에 지퍼(42)(22)로 연결할 때 겉치마(20a)에 설치된 지퍼(22)가 치마말기(27)의 하부를 일자말기 형태로 연장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자유단부(27a)를 통해 설치됨으로써 상기 자유단부(27a)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여 상기 자유단부(27a)를 손으로 파지하여 지퍼(22)(42)를 채울 수 있게 되어 속치마(40)를 겉치마(20a)에 지퍼(42)(22)로 연결하거나 분리할 때 손동작의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겉치마(20a)에 속치마(40)를 지퍼(22)(42)로 연결한 상태에서 한복 치마를 착용할 때는 겉치마(20a)와 일체로 된 속치마(40)를 함께 입고, 겉치마(20a)에 형성된 어깨끈(33)을 어깨에 걸치고 지퍼(31)와 단추(31a)를 채움으로써 한복 치마(10a)의 착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1,2실시 예에 의하면, 속치마(40)가 겉치마(20)(20a)에 지퍼(42)(22)로 설치됨에 따라 종래와 같은 속치마에 어깨끈이 생략됨으로써 겉치마(20)(20a)의 치마말기(26)(27)에 형성된 어깨끈(32)(33)만이 어깨에 드러남으로써 어깨선을 단정하게 하여 옷맵시를 향상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 예로, 속치마 안쪽으로 페티코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치마(40)의 안쪽으로 망사 형태의 페티코트(46)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페티코트(46)의 중간 부분 둘레에 지퍼(48)를 설치하여 상기 페티코트(46)를 어퍼커버(46a)와 로워커버(46b)로 구분하여 상기 어퍼커버(46a)로부터 로워커버(46b)를 상기 지퍼(48)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지퍼(48)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이가 맞물리도록 금속이나 플라스틱의 조각을 헝겊 테이프에 나란히 박아주어, 그 두 줄을 고리(44)로 밀고 당겨 여닫을 수 있도록 만든 통상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에서 페티코트(46)의 어퍼커버(46a) 상부는 속치마(40)의 상부와 바느질로 재봉하여 고정된 것이며, 지퍼(48)에 의하여 페티코트(46)를 어퍼커버(46a)와 로워커버(46b)로 구분하여 상기 어퍼커버(46a)로부터 로워커버(46b)를 상기 지퍼(48)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페티코트(46)에 의하면, 예컨대 신부가 결혼식 때 웨딩드레스에서 한복으로 갈아입은 경우 한복의 볼륨감을 높이기 위하여 페티코트를 포함하는 속치마를 착용하게 된다. 이후 행사를 마친 후에는 활동을 편하게 하기 위함이나 두루마기를 착용하기 위하여 페티코트가 없는 속치마로 갈아입게 되는데, 이때 본 고안의 경우 볼륨감을 갖는 페티코트(46)의 로워커버(46b)를 지퍼(48)를 통해 분리하게 됨으로써 사용에 편의성과 함께 한복 치마의 변모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속치마와 페티코트 두 벌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 매우 경제적이며, 보관에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 예로, 풀치마 형태의 한복 치마의 구성도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겉치마와 속치마를 지퍼로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2실시 예로, 통치마 형태의 한복 치마의 구성도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겉치마와 속치마를 지퍼로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 예로, 속치마 안쪽으로 페티코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3)

  1. 양쪽으로 선단이 있어 둘러 입게 치마를 형성하는 치마폭과, 상기 치마폭의 상부로부터 형성되어 가슴을 감싸주는 치마말기와, 상기 치마말기의 양단으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치마말기를 감싸 고정하는 좌·우 치마끈과, 상기 치마말기의 좌·우로부터 각각 형성되어 어깨에 걸치는 어깨끈으로 구성된 풀치마 형태의 한복 겉치마에 있어서,
    상기 겉치마의 상부에 형성되는 치마말기의 하부를 일자(一字)말기 형태로 연장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자유단부를 형성하고 이 자유단부의 하단에 지퍼를 설치하고, 이와 대응하여 속치마의 상단 둘레에 지퍼를 설치하여 상기 겉치마와 속치마를 지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속치마와 겉치마를 한 번에 착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겉치마의 치마말기 좌·우로 형성된 어깨끈을 통해 한복 치마를 어깨에 걸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치마.
  2. 통으로 만들어 치마를 형성하는 치마폭과, 상기 치마폭의 상부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치마폭과 함께 통형으로 되어 가슴을 감싸주는 치마말기와, 상기 치마폭과 치마말기의 가슴 부분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형성되어 치마를 착용하게 하는 지퍼 또는 단추와, 상기 치마말기의 좌·우로부터 각각 형성되어 어깨에 걸치는 어깨끈으로 구성된 통치마 형태의 겉치마에 있어서,
    상기 겉치마의 상부에 형성되는 치마말기의 하부를 일자말기 형태로 연장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자유단부를 형성하고 이 자유단부의 하단에 지퍼를 설치하고, 이와 대응하여 속치마의 상단 둘레에 지퍼를 설치하여 상기 겉치마와 속치마를 지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속치마와 겉치마를 한 번에 착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겉치마의 치마말기 좌·우로 형성된 어깨끈을 통해 한복 치마를 어깨에 걸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치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속치마의 안쪽으로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페티코트에 있어 중간 부분 둘레에 지퍼를 설치하여 페티코트를 어퍼커버와 로워커버로 구분하여 상기 어퍼커버로부터 로워커버를 상기 지퍼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치마.
KR2020090008134U 2009-06-24 2009-06-24 한복 치마 KR200459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34U KR200459580Y1 (ko) 2009-06-24 2009-06-24 한복 치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34U KR200459580Y1 (ko) 2009-06-24 2009-06-24 한복 치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036U true KR20100013036U (ko) 2010-12-31
KR200459580Y1 KR200459580Y1 (ko) 2012-04-04

Family

ID=4448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134U KR200459580Y1 (ko) 2009-06-24 2009-06-24 한복 치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5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19674A1 (en) * 2021-10-14 2023-04-20 Lood, Llc Method and apparatus to convert clothing for sexual interest, bondage and power 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93Y1 (ko) * 2012-09-20 2013-01-28 방미숙 한복치마조립체
KR102081080B1 (ko) 2018-08-28 2020-02-25 강영숙 한복 치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854U (ko) * 1995-09-19 1997-04-25 김태영 속치마가 일체로 된 한복
KR100358961B1 (ko) * 2000-08-19 2002-10-31 김광순 착용이 편리한 전통한복치마
KR200314618Y1 (ko) 2003-02-17 2003-05-27 김종식 재킷 의류
KR100889123B1 (ko) * 2008-06-05 2009-03-17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여성용 치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19674A1 (en) * 2021-10-14 2023-04-20 Lood, Llc Method and apparatus to convert clothing for sexual interest, bondage and power 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580Y1 (ko)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1003B2 (ja) 対丈着物
US20170027253A1 (en) Convertible garment, method of making convertible garment, kit for making convertible garment, and bands for use therewith
KR200459580Y1 (ko) 한복 치마
KR101511919B1 (ko)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JP3185385U (ja) セパレート式着物の上衣、及びセパレート式着物
JP3134529U (ja) 携帯前掛け
JP3218364U (ja) 二部式着物
JP3206851U (ja) 仕立衿および該仕立衿付きの対丈着物
KR101535293B1 (ko) 여성 제례 앞치마
KR101558077B1 (ko) 여성 상례 앞치마
JP5183653B2 (ja) シャツ
US2942272A (en) Garment with a floating hem line
CN213096157U (zh) 一种多种穿法的连衣裙
JP3192345U (ja) 襦袢型シャツ及び衿芯
JP2010106417A (ja) バチ衿型形状の衿芯
JP7328672B2 (ja) リフォーム着物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3177774U (ja) スカーフ
JP3139368U (ja) きものドレス
JP6340745B1 (ja) 洋服様着物セット
CN210203422U (zh) 假两件拼接女上衣
JP3210755U (ja)
KR101558078B1 (ko) 여성 혼례 앞치마
JP3150864U (ja) 簡易もんぺ
JP3211105U (ja) 男性用長襦袢及び男性用着物
JP3173378U (ja) 襟なし二部式着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