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078B1 - 여성 혼례 앞치마 - Google Patents

여성 혼례 앞치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078B1
KR101558078B1 KR1020140009950A KR20140009950A KR101558078B1 KR 101558078 B1 KR101558078 B1 KR 101558078B1 KR 1020140009950 A KR1020140009950 A KR 1020140009950A KR 20140009950 A KR20140009950 A KR 20140009950A KR 101558078 B1 KR101558078 B1 KR 101558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arm
waist
apron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396A (ko
Inventor
반성자
Original Assignee
반성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성자 filed Critical 반성자
Priority to KR1020140009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078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4Aprons; Fastening devices for ap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일반적인 앞치마가 갖는 국한된 형상 및 구조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전통적인 문양과 각종 고유의 형상이 다양하게 표현된 관련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와 같은 획일화된 방식의 앞치마로부터 벗어나 전통미가 요구되는 특별한 경우에 그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특히 우리 나라 고유의 상징성 있는 시각미를 각 개소별로 구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되 구획 편성된 각 개소의 상호 조합에 의하여 전통적인 미려함이 표출되도록 구성한 여성 혼례 앞치마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상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의부(70);와, 상의부 하방에 귀속되어 착용자의 허리 영역에 조임 역할이 실시되는 허리조임부(40);와, 허리조임부의 하방에 연결 형성되면서 착용자의 하반신을 덮어 커버하는 치마부(50);의 상호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의부(70)는 착용자의 목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목수용부(71) 및 착용자의 팔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팔수용부(72)로 구분 구성하여 목수용부와 팔수용부에 해당하는 상의부의 단부 영역을 해당 내측 방향으로 접어 넣음에 따라 타 영역에 비해 증대된 두께가 되도록 형성한 후 봉제 처리하면서 팔수용부의 하측 옆구리 라인은 별도 봉제 마감되고, 상기 치마부(50)는 전면에서 하나의 주머니 형상으로 구비되는 수납부(60) 및 양측면과 하단 외연부를 연속적으로 경유하면서 일체 감싸게 되는 평면 형상의 마감부(30)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여성 혼례 앞치마{CUSTOM APRON}
본 발명은 통상 거추장스러운 혼례복을 간소화된 형태로 제공하면서 다양한 한국적 전통 의미를 하나의 간편한 의류로 압축시켜 표현한 전통혼례용 여성 앞치마에 관한 것으로, 종래 일반적인 앞치마가 갖는 국한된 형상 및 구조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전통적인 문양과 각종 고유의 형상이 다양하게 표현된 관련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와 같은 획일화된 방식의 앞치마로부터 벗어나 전통미가 요구되는 특별한 경우에 그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특히 우리 나라 고유의 상징성 있는 시각미를 각 개소별로 구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되 구획 편성된 각 개소의 상호 조합에 의하여 전통적인 미려함이 표출되도록 구성하면서도 관련 기능적인 요소를 가미한 여성 혼례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
앞치마는 몸 앞 부분을 두르는 치마를 말하는 것으로서 주로 식사나 부엌일을 할 때 많이 사용하고, 그 외 각종 작업시 의복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앞치마는 몸 앞 부분을 두르기 위하여 양 어깨에 걸칠 수 있는 어깨끈과 허리에 둘러 앞치마를 고정시키기 위한 허리끈을 구비하고 있는바, 어깨끈은 통상적으로 앞치마의 양 어깨 부분에 끈을 하나씩 부착하여 이를 목 뒤에서 묶도록 하고, 허리끈은 앞치마의 양 허리 부분에 끈을 하나씩 부착하여 이를 등 뒤에서 묶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끈을 목이나 등 뒤에서 묶는 것은 인체 구조상 매우 불편할 수밖에 없고,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들은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하여 보호자가 앞치마를 착용시켜주어야 한다.
또한, 어깨끈의 경우 어깨 부분에 걸칠 수 있도록 미리 고정된 형태로 제작되기도 하지만, 미리 고정된 형태로 제작될 경우 상기와 같은 불편함은 해소할 수 있으나 사람 신체에 맞게 어깨끈의 길이를 조절하지 못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한편, 종래에는 통상의 앞치마에 각종 기능성을 부여한 다양한 타입의 앞치마가 제공되고 있으며,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71717호 "건강자석 앞치마"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97102호 "방수 앞치마"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사상은 모두 기능성을 염두에 두고 제안된 것이어서 그 형태 및 구조가 천편일률적일 수밖에 없고, 이뿐만 아니라 전통혼례 등과 같이 전통적인 의복 형태로 앞치마가 요구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마땅히 대처할 것이 없는 실정이므로, 보다 개선되고 특색있는 형상 또는 문양으로 앞치마를 제공하여 그 활용성의 극대화를 도모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획일화된 타입으로 제공되던 종래의 기술사상으로부터 탈피하고자 다양한 문양과 형태로 개별 표현된 각 개소를 구획 분할하여 이들의 상호 조합으로 하나의 앞치마가 구현되게 함으로써 종래와 대비해 앞치마의 외관은 물론 관련 구조의 상이함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상기에서 다양한 문양으로 형성되는 각 개소에 대해 우리나라 고유의 상징적이고 의미있는 표현 방식을 가미함으로써 보다 전통혼례적인 시각미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결과적으로, 다소 거추장스러운 형태로 제공되는 혼례복을 가장 간소화된 형태로 제공하면서도 우리나라의 다양한 전통 의미를 각 개소에 접목시켜 하나의 간편한 의류로 압축시켜 표현함으로써 간편성 및 착용성과 함께 한복과 같은 전통 의상으로서의 이점을 보유하도록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성 혼례 앞치마(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여성 혼례 앞치마(100)는 착용자의 상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의부(70);와, 상의부 하방에 귀속되어 착용자의 허리 영역에 조임 역할이 실시되는 허리조임부(40);와, 허리조임부의 하방에 연결 형성되면서 착용자의 하반신을 덮어 커버하는 치마부(50);의 상호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의부(70)는 착용자의 목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목수용부(71) 및 착용자의 팔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팔수용부(72)로 구분 구성하여 목수용부와 팔수용부에 해당하는 상의부의 단부 영역을 해당 내측 방향으로 접어 넣음에 따라 타 영역에 비해 증대된 두께가 되도록 형성한 후 봉제 처리하면서 팔수용부의 하측 옆구리 라인은 별도 봉제 마감되고, 상기 치마부(50)는 전면에서 하나의 주머니 형상으로 구비되는 수납부(60) 및 양측면과 하단 외연부를 연속적으로 경유하면서 일체 감싸게 되는 평면 형상의 마감부(30)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허리조임부(40)는 착용자의 허리 영역 전면을 감쌀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몸통부(45);와, 몸통부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각 끝단의 매듭으로 조임이 실시되게 한 복수의 조임끈(4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통부(45)는 하나의 조임원단(41)을 길이방향에 대해 반으로 접어 양측면 라인을 봉제 가공(42)한 후 안감과 겉감의 위치가 역전되도록 뒤집어 해당 일면에 파도 형상의 문양이 표현되도록 스티치 박음질로 마감 처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임끈(46)은 몸통부(45)의 내부로부터 수평 방향에 대해 관통 배열되면서 몸통부의 양측 영역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부(30)는 하나의 마감원단(31) 양단을 중심 방향으로 각각 포개 접어 제1경계선(32)과 제2경계선(33)을 형성한 후 해당 제1,2경계선 영역으로부터 각각의 양단이 재차 90°절곡 선회되는 방식에 기인하여 'ㄷ'자 형상으로 눌러 접기 완료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치마부(50)는 양측면 하단부 라인에 절개면(52)을 부가 형성하여 착용자의 활동성이 확보되게 하되, 상기 절개면(52)이 시작되는 영역에는 정삼각 도형을 연속되게 겹쳐 배열한 도형체(61)가 더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획일화된 타입으로 제공되던 종래의 기술사상으로부터 탈피하고자 다양한 문양과 형태로 개별 표현된 각 개소를 구획 분할하여 이들의 상호 조합으로 하나의 앞치마가 구현되게 함으로써 종래와 대비해 앞치마의 외관은 물론 관련 구조의 상이함이 적극 표현되므로 효과적이다. 또한, 통상 거추장스러운 형태로 제공되는 혼례복을 가장 간소화된 형태로 제공하면서도 우리나라의 다양한 전통 의미를 각 개소에 접목시켜 하나의 간편한 의류로 압축시켜 표현하게 되므로 간편성 및 착용성과 함께 한복과 같은 전통 의상으로서의 장점도 가진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문양으로 형성되는 각 개소에 대해 우리나라 고유의 상징적이고 의미 있는 표현 방식을 가미함으로써 보다 전통혼례적인 시각미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유도되는바, 통상의 앞치마가 갖는 보편적인 개념으로부터 벗어나 우리나라 역사, 전통과 관련한 특색있는 상징을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상징에 기인하여 보다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여성 혼례 앞치마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상의부의 형성 과정을 상세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허리조임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된 여성 혼례 앞치마의 사용 양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마감부의 형성 과정을 상세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 몸통부의 형성 과정을 상세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여성 혼례 앞치마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상의부의 형성 과정을 상세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허리조임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된 여성 혼례 앞치마의 사용 양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 일반적인 앞치마가 갖는 국한된 형상 및 구조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전통적인 문양과 각종 고유의 형상이 다양하게 표현된 관련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와 같은 획일화된 방식의 앞치마로부터 벗어나 전통미가 요구되는 특별한 경우에 그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특히 우리 나라 고유의 상징성 있는 시각미를 각 개소별로 구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되 구획 편성된 각 개소의 상호 조합에 의하여 전통적인 미려함이 표출되도록 구성한 전통혼례용 여성 앞치마(100)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거추장스러운 형태로 제공되는 혼례복을 가장 간소화된 형태로 제공하면서도 우리나라의 다양한 전통 의미를 각 개소에 접목시켜 하나의 간편한 의류로 압축시켜 표현하게 되므로 간편성 및 착용성과 함께 한복과 같은 전통 의상으로서의 장점도 내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앞치마(100)에 관하여 개시된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성 혼례 앞치마(100)는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바, 각 영역에 따라 구분하면 크게 상의부(70);와, 허리조임부(40);와, 치마부(50);를 포함하여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상기 여성 혼례 앞치마(100)는 착용자의 상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의부(70);와, 상의부 하방에 귀속되어 착용자의 허리 영역에 조임 역할이 실시되는 허리조임부(40);와, 허리조임부의 하방에 연결 형성되면서 착용자의 하반신을 덮어 커버하는 치마부(50);의 상호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의부(70)는 착용자의 목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목수용부(71) 및 착용자의 팔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팔수용부(72)로 구분 구성하여 목수용부와 팔수용부에 해당하는 상의부의 단부 영역을 해당 내측 방향으로 접어 넣음에 따라 타 영역에 비해 증대된 두께가 되도록 형성한 후 봉제 처리하면서 팔수용부의 하측 옆구리 라인은 별도 봉제 마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치마부(50)는 전면에서 하나의 주머니 형상으로 구비되는 수납부(60) 및 양측면과 하단 외연부를 연속적으로 경유하면서 일체 감싸게 되는 평면 형상의 마감부(30)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허리조임부(4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허리조임부(40)는 착용자의 허리 영역 전면을 감쌀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몸통부(45);와, 몸통부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각 끝단의 매듭으로 조임이 실시되게 한 복수의 조임끈(46);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몸통부(45)는 하나의 조임원단(41)을 길이방향에 대해 반으로 접어 양측면 라인을 봉제 가공(42)한 후 안감과 겉감의 위치가 역전되도록 뒤집어 해당 일면에 파도 형상의 문양이 표현되도록 스티치 박음질(43)로 마감 처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한 도면은 도 8로, 상기 도면은 본 발명 몸통부(45)의 형성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일례이다.
상기에서 스티치 박음질(43)이라 함은 자수, 양재, 편물 따위에서 바늘로 뜬 한 땀이나 한 코 또는 이러한 방식으로 수 놓는 방법을 지칭한다.
여기서, 상기 조임끈(46)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몸통부(45)의 내부로부터 수평 방향에 대해 관통 배열되면서 몸통부의 양측 영역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조임끈(46)을 자유로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기 위함인바 이러한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사용상 효율성 및 편의성을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 치마부(50)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것처럼 통상의 치마와 동일 유사한 개념의 것으로, 다만 본 발명에서는 절개면(52)과 도형체(61), 수납부(60)를 더 채용하여 앞치마의 원 기능과 함께 전통미를 표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였다.
즉, 치마부(50)의 양측면 하단부 라인에 절개면(52)을 부가 형성하여 착용자의 활동성이 확보되게 하는 것은 물론, 상기 절개면(52)이 시작되는 영역이나 기타 수납부(60)의 일측면에는 정삼각 도형을 연속되게 겹쳐 배열한 각각의 도형체(61)가 더 형성되게 하였다.
상기에서 도형체(61)라 함은 정사각 형상의 도형을 반으로 접어 절개함으로써 획득된 정삼각 형상을 서로 나란하게 겹쳐 배열한 것으로, 특색적인 시각미와 단아하면서도 역동적인 의미를 표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60)는 주머니의 기능성을 염두에 두고 구비한 것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크기로 이루어진 5개소의 천 조각들을 사각 형상이 되게 배열한 후 이를 봉제 처리하여 치마부 전면 소정의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제작 완료되고, 이는 오복이라는 상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마감부의 형성 과정을 상세 도시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의 마감부(30)는 전술한 치마부(50)를 내주연을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요소인바, 이에 관하여 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마감부(30)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마감원단(31)을 마련하고, 해당 마감원단 양단을 중심 방향으로 각각 포개 접어 제1경계선(32)과 제2경계선(33)을 형성한 후, 해당 제1,2경계선(32,33) 영역으로부터 각각의 양단이 재차 90°절곡 선회되는 방식에 기인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눌러 접기 완료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식을 부여한 것은 앞치마의 마감 처리를 우리나라 전통적인 의복과 같은 형태로 표현하여 관련 시각적인 의미를 제공하기 위함인바, 직선 형태의 마감부를 통해 볼륨감 있는 치마부(50)의 외주연을 보다 견고히 감싸 지지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마감부의 채택으로 인해 규범이나 규율, 모범의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치마부의 외주연에 대해 일정한 지지력을 행사하여 착용자의 활동시에도 치마부(50)가 표현하고자 하는 입체감에 저해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이는 곧 앞치마의 전개(펼쳐짐)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여성 혼례 앞치마(100)에 의하면, 획일화된 타입으로 제공되던 종래의 기술사상으로부터 탈피하고자 다양한 문양과 형태로 개별 표현된 각 개소를 구획 분할하여 이들의 상호 조합으로 하나의 앞치마가 구현되게 함으로써 종래와 대비해 앞치마의 외관은 물론 관련 구조의 상이함이 적극 표현되므로 효과적이다. 또한, 통상 거추장스러운 형태로 제공되는 혼례복을 가장 간소화된 형태로 제공하면서도 우리나라의 다양한 전통 의미를 각 개소에 접목시켜 하나의 간편한 의류로 압축시켜 표현하게 되므로 간편성 및 착용성과 함께 한복과 같은 전통 의상으로서의 장점도 가진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문양으로 형성되는 각 개소에 대해 우리나라 고유의 상징적이고 의미있는 표현 방식을 가미함으로써 보다 전통혼례적인 시각미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유도되는바, 통상의 앞치마가 갖는 보편적인 개념으로부터 벗어나 우리나라 역사, 전통과 관련한 특색있는 상징을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상징에 기인하여 보다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 마감부 31. 마감원단
32. 제1경계선 32. 제2경계선
40. 허리조임부 41. 조임원단
42. 봉제 가공 43. 스티치 박음질
45. 몸통부 46. 조임끈
50. 치마부 52. 절개면
60. 수납부 61. 도형체
70. 상의부 71. 목수용부
72. 팔수용부
100. 여성 혼례 앞치마

Claims (5)

  1. 삭제
  2. 착용자의 상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의부(70);와, 상의부 하방에 귀속되어 착용자의 허리 영역에 조임 역할이 실시되는 허리조임부(40);와, 허리조임부의 하방에 연결 형성되면서 착용자의 하반신을 덮어 커버하는 치마부(50);의 상호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의부(70)는 착용자의 목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목수용부(71) 및 착용자의 팔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팔수용부(72)로 구분 구성하여 목수용부와 팔수용부에 해당하는 상의부의 단부 영역을 해당 내측 방향으로 접어 넣음에 따라 타 영역에 비해 증대된 두께가 되도록 형성한 후 봉제 처리하면서 팔수용부의 하측 옆구리 라인은 별도 봉제 마감되고, 상기 치마부(50)는 전면에서 하나의 주머니 형상으로 구비되는 수납부(60) 및 양측면과 하단 외연부를 연속적으로 경유하면서 일체 감싸게 되는 평면 형상의 마감부(30)를 포함하는 여성 혼례 앞치마에 있어서,
    상기 허리조임부(40)는 착용자의 허리 영역 전면을 감쌀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몸통부(45);와, 몸통부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각 끝단의 매듭으로 조임이 실시되게 한 복수의 조임끈(4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통부(45)는 하나의 조임원단(41)을 길이방향에 대해 반으로 접어 양측면 라인을 봉제 가공(42)한 후 안감과 겉감의 위치가 역전되도록 뒤집어 해당 일면에 파도 형상의 문양이 표현되도록 스티치 박음질(43)로 마감 처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혼례 앞치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끈(46)은 몸통부(45)의 내부로부터 수평 방향에 대해 관통 배열되면서 몸통부의 양측 영역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혼례 앞치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30)는 하나의 마감원단(31) 양단을 중심 방향으로 각각 포개 접어 제1경계선(32)과 제2경계선(33)을 형성한 후 해당 제1,2경계선 영역으로부터 각각의 양단이 재차 90°절곡 선회되는 방식에 기인하여 'ㄷ'자 형상으로 눌러 접기 완료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혼례 앞치마.
  5. 삭제
KR1020140009950A 2014-01-27 2014-01-27 여성 혼례 앞치마 KR101558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950A KR101558078B1 (ko) 2014-01-27 2014-01-27 여성 혼례 앞치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950A KR101558078B1 (ko) 2014-01-27 2014-01-27 여성 혼례 앞치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396A KR20150089396A (ko) 2015-08-05
KR101558078B1 true KR101558078B1 (ko) 2015-10-07

Family

ID=53885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950A KR101558078B1 (ko) 2014-01-27 2014-01-27 여성 혼례 앞치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0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115Y1 (ko) 1999-12-16 2000-06-15 한은경 원피스형 아동이불
KR200320552Y1 (ko) 2003-04-18 2003-07-22 이상일 원피스형 앞치마
KR100930732B1 (ko) 2008-01-23 2009-12-09 김경구 일회용 진료 스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115Y1 (ko) 1999-12-16 2000-06-15 한은경 원피스형 아동이불
KR200320552Y1 (ko) 2003-04-18 2003-07-22 이상일 원피스형 앞치마
KR100930732B1 (ko) 2008-01-23 2009-12-09 김경구 일회용 진료 스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396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06222A (en) Scarf
JP5630755B2 (ja) 着物
CN202122098U (zh) 衬衫
US20100192282A1 (en) Versatile stretchable crown-shaped hair covering
CN108471819B (zh) 可变换式服装
US20140298563A1 (en) 7 in 1 garment
KR101511919B1 (ko)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KR101558078B1 (ko) 여성 혼례 앞치마
JP2006214021A (ja) 着回し自在被服
JP2009019308A (ja) 新しい軽装帯
KR20210080653A (ko) 개량형 전통 복식 조립체
JP3175830U (ja) 鞄用持ち手
KR101535293B1 (ko) 여성 제례 앞치마
KR101530710B1 (ko) 전통관례용 여성 앞치마
KR200459580Y1 (ko) 한복 치마
JP3134529U (ja) 携帯前掛け
KR101558077B1 (ko) 여성 상례 앞치마
KR101558076B1 (ko) 남성 혼례 앞치마
KR20200049426A (ko) 의복
JP3219756U (ja) 着物
KR101530709B1 (ko) 전통관례용 남성 조끼형 앞치마
KR101535291B1 (ko) 남성 상례 앞치마
JP3177774U (ja) スカーフ
KR20180054409A (ko) 긴 한복저고리 제작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한복 긴저고리
JP2018123463A (ja) 洋服様着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