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291B1 - 남성 상례 앞치마 - Google Patents

남성 상례 앞치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291B1
KR101535291B1 KR1020140009927A KR20140009927A KR101535291B1 KR 101535291 B1 KR101535291 B1 KR 101535291B1 KR 1020140009927 A KR1020140009927 A KR 1020140009927A KR 20140009927 A KR20140009927 A KR 20140009927A KR 101535291 B1 KR101535291 B1 KR 101535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ing
arm
wearer
pla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성자
Original Assignee
반성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성자 filed Critical 반성자
Priority to KR102014000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4Aprons; Fastening devices for apr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2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일반적인 앞치마가 갖는 국한된 형상 및 구조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전통적인 문양과 각종 고유의 형상이 다양하게 표현된 관련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와 같은 획일화된 방식의 앞치마로부터 벗어나 전통미가 요구되는 특별한 경우에 그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특히 우리 나라 고유의 상징성 있는 시각미를 각 개소별로 구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되 구획 편성된 각 개소의 상호 조합에 의하여 전통적인 미려함이 표출되도록 구성한 남성 상례 앞치마에 관한 것으로, 용자의 상체 앞과 뒤를 각각 구분하여 커버할 수 있도록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으로 구획 편성하고, 상기 가림앞판(40)은 착용자의 목 부위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해당 단부를 외측으로 말아 접어 박음 완료되는 제1목수용부(41);와, 착용자의 팔을 비롯한 어깨 부위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되는 제1팔수용부(42);와, 착용자의 어깨 부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1목수용부 양쪽 측방에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견장부(43);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뒷판(50)은 착용장의 목 부위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해당 단부를 외측으로 말아 접어 박음 완료되는 제2목수용부(61);와, 착용자의 팔을 비롯한 어깨 부위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되는 제2팔수용부(62);와, 하나의 주머니 형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수납부(55);를 포함하되, 상기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은 착용자의 목에서부터 상체 전면과 후면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최상단 선단부의 봉제 가공에 기인하여 하나의 조끼 형상이 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남성 상례 앞치마{CUSTOM APRON}
본 발명은 남성 상례 앞치마에 관한 것으로, 종래 일반적인 앞치마가 갖는 국한된 형상 및 구조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전통적인 문양과 각종 고유의 형상이 다양하게 표현된 관련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와 같은 획일화된 방식의 앞치마로부터 벗어나 전통미가 요구되는 특별한 경우에 그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특히 우리 나라 고유의 상징성 있는 시각미를 각 개소별로 구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되 구획 편성된 각 개소의 상호 조합에 의하여 전통적인 미려함이 표출되도록 구성하면서도 관련 기능적인 요소를 가미한 남성 상례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
앞치마는 몸 앞 부분을 두르는 치마를 말하는 것으로서 주로 식사나 부엌일을 할 때 많이 사용하고, 그 외 각종 작업시 의복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앞치마는 몸 앞 부분을 두르기 위하여 양 어깨에 걸칠 수 있는 어깨끈과 허리에 둘러 앞치마를 고정시키기 위한 허리끈을 구비하고 있는바, 어깨끈은 통상적으로 앞치마의 양 어깨 부분에 끈을 하나씩 부착하여 이를 목 뒤에서 묶도록 하고, 허리끈은 앞치마의 양 허리 부분에 끈을 하나씩 부착하여 이를 등 뒤에서 묶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끈을 목이나 등 뒤에서 묶는 것은 인체 구조상 매우 불편할 수밖에 없고,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들은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하여 보호자가 앞치마를 착용시켜주어야 한다.
또한, 어깨끈의 경우 어깨 부분에 걸칠 수 있도록 미리 고정된 형태로 제작되기도 하지만, 미리 고정된 형태로 제작될 경우 상기와 같은 불편함은 해소할 수 있으나 사람 신체에 맞게 어깨끈의 길이를 조절하지 못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한편, 종래에는 통상의 앞치마에 각종 기능성을 부여한 다양한 타입의 앞치마가 제공되고 있으며,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71717호 "건강자석 앞치마"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97102호 "방수 앞치마"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사상은 모두 기능성을 염두에 두고 제안된 것이어서 그 형태 및 구조가 천편일률적일 수밖에 없고, 이뿐만 아니라 전통관례 등과 같이 전통적인 의복 형태로 앞치마가 요구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마땅히 대처할 것이 없는 실정이므로, 보다 개선되고 특색있는 형상 또는 문양으로 앞치마를 제공하여 그 활용성의 극대화를 도모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획일화된 타입으로 제공되던 종래의 기술사상으로부터 탈피하고자 다양한 문양과 형태로 개별 표현된 각 개소를 구획 분할하여 이들의 상호 조합으로 하나의 앞치마가 구현되게 함으로써 종래와 대비해 앞치마의 외관은 물론 관련 구조의 상이함 및 각 개소별 기능성의 구현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다양한 문양으로 형성되는 각 개소에 대해 우리나라 고유의 상징적이고 의미있는 표현 방식을 가미함으로써 보다 전통관례적인 시각미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결과적으로, 다소 거추장스러운 형태로 제공되는 상례복을 가장 간소화된 형태로 제공하면서도 우리나라의 다양한 전통 의미를 각 개소에 접목시켜 하나의 간편한 의류로 압축시켜 표현함으로써 간편성 및 착용성과 함께 한복과 같은 전통 의상으로서의 이점을 보유하도록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과제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분된 개소의 조합으로 하나의 조끼형 앞치마를 구현하면서 이들의 상호 결합을 위한 새로운 개념의 고정수단을 접목시킴에 따라 사용상 편의성 및 그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남성 상례 앞치마(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남성 상례 앞치마(100)는 착용자의 상체 앞과 뒤를 각각 구분하여 커버할 수 있도록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으로 구획 편성하고, 상기 가림앞판(40)은 착용자의 목 부위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해당 단부를 외측으로 말아 접어 박음 완료되는 제1목수용부(41);와, 착용자의 팔을 비롯한 어깨 부위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되는 제1팔수용부(42);와, 착용자의 어깨 부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1목수용부 양쪽 측방에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견장부(43);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뒷판(50)은 착용장의 목 부위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해당 단부를 외측으로 말아 접어 박음 완료되는 제2목수용부(61);와, 착용자의 팔을 비롯한 어깨 부위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되는 제2팔수용부(62);와, 하나의 주머니 형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수납부(55);를 포함하되, 상기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은 착용자의 목에서부터 상체 전면과 후면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최상단 선단부의 봉제 가공에 기인하여 하나의 조끼 형상이 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팔수용부(42)과 제2팔수용부(62)의 상호 조합에 의해 착용자의 팔을 비롯한 어깨 부위가 일괄 수용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팔수용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2팔수용부(42,62)는 각 단부 영역을 해당 내측 방향으로 접어 넣음에 따라 타 영역에 비해 증대된 두께가 되도록 형성한 후 봉제 처리되고, 상기 제2팔수용부(62)는 제1팔수용부(42)에 비해 협소된 개방 공간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에는 각각 해당 일면으로 종 방향에 대한 직선 타입의 문양이 표현되도록 스티치 박음질(47)로 마감 처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은 각각의 양측 및 하단 외연부를 연속적으로 경유하면서 일체 감싸게 되는 평면 형상의 마감부(30);를 더 형성하되, 상기 마감부(30)는 하나의 마감원단(31) 양단을 중심 방향으로 각각 포개 접어 제1경계선(32)과 제2경계선(33)을 형성한 후 해당 제1,2경계선 영역으로부터 각각의 양단이 재차 90°절곡 선회되는 방식에 기인하여 'ㄷ'자 형상으로 눌러 접기 완료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제1,2조임끈(46,52)을 각각 제1,2결속루프(45,51)를 통해 부가 형성하고, 상기 제1,2조임끈은 삼베를 사용하여 머리 땋기 방식으로 제공하고, 상기 제1,2결속루프는 가림앞판(40)의 겉감과 가림뒷판(50)의 안감이 서로 마주될 수 있게 배치하여 완성 박음을 실시하되 인체에 간섭 내지 노출되지 않도록 덧감(53)을 더 채용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견장부(43)는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의 서로 대응되는 최상단 선단부의 봉제 가공시 해당 일측 단부가 삽입 개재된 상태에서 결부되고, 견장부(43)의 일단이 개재된 상태로 상호 봉제되는 가림앞판과 가림뒷판의 각 단부 영역을 해당 내측 방향으로 접어 넣음에 따라 타 영역에 비해 증대된 두께가 되도록 형성한 후 봉제 처리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획일화된 타입으로 제공되던 종래의 기술사상으로부터 탈피하고자 다양한 문양과 형태로 개별 표현된 각 개소를 구획 분할하여 이들의 상호 조합으로 하나의 앞치마가 구현되게 함으로써 종래와 대비해 앞치마의 외관은 물론 관련 구조의 상이함이 적극 표현되므로 효과적이다. 그리고, 통상 거추장스러운 형태로 제공되는 상례복을 가장 간소화된 형태로 제공하면서도 우리나라의 다양한 전통 의미를 각 개소에 접목시켜 하나의 간편한 의류로 압축시켜 표현하게 되므로 간편성 및 착용성과 함께 한복과 같은 전통 의상으로서의 장점도 가진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문양으로 형성되는 각 개소에 대해 우리나라 고유의 상징적이고 의미있는 표현 방식을 가미함으로써 보다 전통관례적인 시각미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유도되는바, 통상의 앞치마가 갖는 보편적인 개념으로부터 벗어나 우리나라 역사, 전통과 관련한 특색있는 상징을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상징에 기인하여 보다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분된 개소의 조합으로 하나의 조끼형 앞치마를 구현함에 따라 이들의 상호 결합을 위한 소정의 결속루프 및 조임끈이 부여되므로, 사용상 편의성 및 그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남성 상례 앞치마.
도 2는 도 1의 전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견장부의 채용 과정을 상세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결속루프의 채용 과정을 상세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마감부의 형성 과정을 상세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남성 상례 앞치마이고, 도 2는 도 1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견장부의 채용 과정을 상세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결속루프의 채용 과정을 상세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 일반적인 앞치마가 갖는 국한된 형상 및 구조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전통적인 문양과 각종 고유의 형상이 다양하게 표현된 관련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와 같은 획일화된 방식의 앞치마로부터 벗어나 전통미가 요구되는 특별한 경우에 그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특히 우리 나라 고유의 상징성 있는 시각미를 각 개소별로 구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되 구획 편성된 각 개소의 상호 조합에 의하여 전통적인 미려함이 표출되도록 구성한 남성 상례 앞치마(100)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거추장스러운 형태로 제공되는 상례복을 가장 간소화된 형태로 제공하면서도 우리나라의 다양한 전통 의미를 각 개소에 접목시켜 하나의 간편한 의류로 압축시켜 표현하게 되므로 간편성 및 착용성과 함께 한복과 같은 전통 의상으로서의 장점도 내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앞치마(100)에 관하여 개시된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남성 상례 앞치마(100)는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바, 각 영역에 따라 구분하면 크게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을 비롯하여 마감부(30)의 형성으로 구성되고, 나아가 상기 가림앞판(40)에는 제1목수용부(41);와, 제1팔수용부(42);와, 견장부(43);와, 제1결속루프(45) 및 제1조임끈(46);과, 스티치 박음질(47)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가림뒷판(50)에는 제2목수용부(61);와, 제2팔수용부(62);와, 수납부(55);와, 제2결속루프(51)와 제2조임끈(52);이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상기 남성 상례 앞치마(100)는 착용자의 상체 앞과 뒤를 각각 구분하여 커버할 수 있도록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으로 구획 편성하고, 상기 가림앞판(40)은 착용자의 목 부위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해당 단부를 외측으로 말아 접어 박음 완료되는 제1목수용부(41);와, 착용자의 팔을 비롯한 어깨 부위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되는 제1팔수용부(42);와, 착용자의 어깨 부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1목수용부 양쪽 측방에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견장부(43);를 포함한다.
이와 대응하여, 상기 가림뒷판(50)은 착용장의 목 부위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해당 단부를 외측으로 말아 접어 박음 완료되는 제2목수용부(61);와, 착용자의 팔을 비롯한 어깨 부위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되는 제2팔수용부(62);와, 하나의 주머니 형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수납부(55);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은 착용자의 목에서부터 상체 전면과 후면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최상단 선단부의 봉제 가공에 기인하여 하나의 조끼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에는 각각 해당 일면으로 종 방향에 대한 직선 타입의 문양이 표현되도록 스티치 박음질(47)로 마감 처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스티치 박음질(47)이라 함은 자수, 양재, 편물 따위에서 바늘로 뜬 한 땀이나 한 코 또는 이러한 방식으로 수 놓는 방법을 지칭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시각의 효과성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하여 소정의 견장부(43)를 더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견장부(43)는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의 서로 대응되는 최상단 선단부의 봉제 가공시 해당 일측 단부가 삽입 개재된 상태에서 결부되는바, 더욱 상세하게 기재하면 상호 봉제되는 가림앞판과 가림뒷판의 각 단부 영역을 해당 내측 방향으로 접어 넣음에 따라 타 영역에 비해 증대된 두께가 되도록 형성한 후 봉제 처리하되, 봉제 처리되는 영역에는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견장부(43) 일단이 개재된 상태로 놓여 있게 되므로 서로 봉제 가공에 의해 불가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가림앞판(40) 어깨 영역에 견장부(43)를 부여한 것은 상례를 행함에 있어 보다 남성적이고 규율화된 시각 이미지를 추구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은 전면부와 후면부를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 구성요소로, 이들의 상호 조합으로 하나의 앞치마를 구현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의 결합시 소정의 팔수용부를 형성하게 되는바, 상기 팔수용부는 가림앞판의 제1팔수용부(42)와 가림뒷판의 제2팔수용부(62)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팔이 수용되는 각 단부 영역을 해당 내측 방향으로 접어 넣음에 따라 타 영역에 비해 증대된 두께가 되도록 형성한 후 봉제 처리하여서 마감된다. 이로써, 착용자의 팔을 비롯한 어깨 부위가 일괄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바 한복 등과 같은 의복의 착용시에도 어깨 영역에 넉넉한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즉,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의 양측 어깨선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일부 영역을 착용자의 팔이 수용될 수 있는 적정 공간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두꺼운 형태로 봉제 가공한다. 이처럼 두꺼운 형상의 표현은 가림앞판과 가림뒷판의 해당 영역 단부를 안쪽으로 말아 접은 후 위치 보존을 위해 봉제 처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팔수용부(42)과 제2팔수용부(62)의 상호 조합에 의해 착용자의 팔을 비롯한 어깨 부위가 일괄 수용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팔수용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2팔수용부(42,62)는 각 단부 영역을 해당 내측 방향으로 접어 넣음에 따라 타 영역에 비해 증대된 두께가 되도록 형성한 후 봉제 처리되고, 아울러 상기 제2팔수용부(62)는 제1팔수용부(42)에 비해 협소된 개방 공간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팔 및 어깨를 수용하기 위한 적정 공간만을 제공하면서도 팔의 유동시 자유로운 활동범위를 갖게 된다.
상기 제1목수용부(41)는 제2목수용부(61)와 동일하게 평면형으로 제조되는 앞치마의 구조상 착용자의 목 부위에 보다 쉬운 거치 상태를 도모하기 위한 수단이 되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요소를 단순히 목걸이용으로 한정하지 않고 한복 등에 쓰이는 전통적인 동정과 같은 형상으로 구비함으로써 예컨대 남성의 상례시 보다 차별화된 것으로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상기 수납부(55)는 주머니의 기능성을 염두에 두고 구비한 것으로, 도면에 상세 도시하진 않았으나 각기 다른 크기로 이루어진 5개소의 천 조각들을 사각 형상이 되게 배열한 후 이를 봉제 처리하여 가림앞판 전면 소정의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제작 완료될 수 있으며, 이는 오복이라는 상징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55)에는 정삼각 도형을 연속되게 겹쳐 배열한 도형체(미도시함)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도형체는 정사각 형상의 도형을 반으로 접어 절개함으로써 획득된 정삼각 형상을 서로 나란하게 겹쳐 배열한 것으로, 특색적인 시각미와 단아하면서도 역동적인 의미를 표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은 전술한 것처럼 상단 일정 영역만이 봉제 가공된 상태이므로 양측 옆구리 영역은 개방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의 상호 체결을 위하여 소정의 고정수단이 더 부여되는바, 결속루프와 조임끈이 그것이다.
즉, 상기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제1,2조임끈(46,52)을 각각 제1,2결속루프(45,51)를 통해 부가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제1,2조임끈은 삼베를 소재로 사용하여 통상의 머리 땋기 타입으로 제공된다. 그 형상은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으며, 특히 본 발명의 제1,2결속루프는 가림앞판(40)의 겉감과 가림뒷판(50)의 안감이 서로 마주될 수 있게 배치하여 완성 박음을 실시하되 인체에 간섭 내지 노출되지 않도록 덧감(53)을 더 채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머리 땋기로 제공되는 조임끈 또한 우리나라의 전통미를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이고, 여기에 각각의 결속루프를 별도로 더 구현함으로써 현대와 같은 단순 고정 방식이 아니라 서로 엮고 꼬아 연결짓는 옛 방식을 그대로 재현한 것과 같은 시각미를 유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마감부(30)의 형성 과정을 상세 도시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은 각각의 양측 및 하단 외연부를 연속적으로 경유하면서 일체 감싸게 되는 평면 형상의 마감부(3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마감부(30)는 전술한 가림앞판과 가림뒷판 외연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요소인바, 이에 관하여 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마감부(30)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마감원단(31)을 마련하고, 해당 마감원단 양단을 중심 방향으로 각각 포개 접어 제1경계선(32)과 제2경계선(33)을 형성한 후, 해당 제1,2경계선(32,33) 영역으로부터 각각의 양단이 재차 90°절곡 선회되는 방식에 기인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눌러 접기 완료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식을 부여한 것은 앞치마의 마감 처리를 우리나라 전통적인 의복과 같은 형태로 표현하여 관련 시각적인 의미를 제공하기 위함인바, 직선 형태의 마감부를 통해 볼륨감 있는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의 외주연을 보다 견고히 감싸 지지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마감부의 채택으로 인해 규범이나 규율, 모범의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가림앞판과 가림뒷판의 외주연에 대해 일정한 지지력을 행사하여 착용자의 활동시에도 흐트러짐이나 기타 구겨짐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하였으며, 이는 곧 앞치마의 전개(펼쳐짐)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남성 상례 앞치마(100)에 의하면, 획일화된 타입으로 제공되던 종래의 기술사상으로부터 탈피하고자 다양한 문양과 형태로 개별 표현된 각 개소를 구획 분할하여 이들의 상호 조합으로 하나의 앞치마가 구현되게 함으로써 종래와 대비해 앞치마의 외관은 물론 관련 구조의 상이함이 적극 표현되므로 효과적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문양으로 형성되는 각 개소에 대해 우리나라 고유의 상징적이고 의미있는 표현 방식을 가미함으로써 보다 전통관례적인 시각미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유도되는바, 통상의 앞치마가 갖는 보편적인 개념으로부터 벗어나 우리나라 역사, 전통과 관련한 특색있는 상징을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상징에 기인하여 보다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분된 개소의 조합으로 하나의 조끼형 앞치마를 구현함에 따라 이들의 상호 결합을 위한 소정의 결속루프 및 조임끈이 부여되므로, 시각적인 효과는 물론 사용상 편의성 및 그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 마감부 31. 마감원단
32. 제1경계선 32. 제2경계선
40. 가림앞판 41. 제1목수용부
42. 제1팔수용부 43. 견장부
45. 제1결속루프 46. 제1조임끈
47. 스티치 박음질 50. 가림뒷판
51. 제2결속루프 52. 제2조임끈
53. 덧감 55. 수납부
61. 제2목수용부 62. 제2팔수용부
100. 남성 상례 앞치마

Claims (6)

  1. 착용자의 상체 앞과 뒤를 각각 구분하여 커버할 수 있도록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으로 구획 편성하고, 상기 가림앞판(40)은 착용자의 목 부위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해당 단부를 외측으로 말아 접어 박음 완료되는 제1목수용부(41);와, 착용자의 팔을 비롯한 어깨 부위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되는 제1팔수용부(42);와, 착용자의 어깨 부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1목수용부 양쪽 측방에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견장부(43);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뒷판(50)은 착용장의 목 부위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해당 단부를 외측으로 말아 접어 박음 완료되는 제2목수용부(61);와, 착용자의 팔을 비롯한 어깨 부위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되는 제2팔수용부(62);와, 하나의 주머니 형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수납부(55);를 포함하되, 상기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은 착용자의 목에서부터 상체 전면과 후면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최상단 선단부의 봉제 가공에 기인하여 하나의 조끼 형상이 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상례 앞치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팔수용부(42)과 제2팔수용부(62)의 상호 조합에 의해 착용자의 팔을 비롯한 어깨 부위가 일괄 수용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팔수용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2팔수용부(42,62)는 각 단부 영역을 해당 내측 방향으로 접어 넣음에 따라 타 영역에 비해 증대된 두께가 되도록 형성한 후 봉제 처리되고, 상기 제2팔수용부(62)는 제1팔수용부(42)에 비해 협소된 개방 공간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상례 앞치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에는 각각 해당 일면으로 종 방향에 대한 직선 타입의 문양이 표현되도록 스티치 박음질(47)로 마감 처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상례 앞치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은 각각의 양측 및 하단 외연부를 연속적으로 경유하면서 일체 감싸게 되는 평면 형상의 마감부(30);를 더 형성하되, 상기 마감부(30)는 하나의 마감원단(31) 양단을 중심 방향으로 각각 포개 접어 제1경계선(32)과 제2경계선(33)을 형성한 후 해당 제1,2경계선 영역으로부터 각각의 양단이 재차 90°절곡 선회되는 방식에 기인하여 'ㄷ'자 형상으로 눌러 접기 완료됨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상례 앞치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제1,2조임끈(46,52)을 각각 제1,2결속루프(45,51)를 통해 부가 형성하고, 상기 제1,2조임끈은 삼베를 사용하여 머리 땋기 방식으로 제공하고, 상기 제1,2결속루프는 가림앞판(40)의 겉감과 가림뒷판(50)의 안감이 서로 마주될 수 있게 배치하여 완성 박음을 실시하되 인체에 간섭 내지 노출되지 않도록 덧감(53)을 더 채용한 것에 특징이 있는 남성 상례 앞치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장부(43)는 가림앞판(40)과 가림뒷판(50)의 서로 대응되는 최상단 선단부의 봉제 가공시 해당 일측 단부가 삽입 개재된 상태에서 결부되고, 견장부(43)의 일단이 개재된 상태로 상호 봉제되는 가림앞판과 가림뒷판의 각 단부 영역을 해당 내측 방향으로 접어 넣음에 따라 타 영역에 비해 증대된 두께가 되도록 형성한 후 봉제 처리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남성 상례 앞치마.
KR1020140009927A 2014-01-27 2014-01-27 남성 상례 앞치마 KR101535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927A KR101535291B1 (ko) 2014-01-27 2014-01-27 남성 상례 앞치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927A KR101535291B1 (ko) 2014-01-27 2014-01-27 남성 상례 앞치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291B1 true KR101535291B1 (ko) 2015-07-09

Family

ID=5379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927A KR101535291B1 (ko) 2014-01-27 2014-01-27 남성 상례 앞치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2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0410A (ja) * 2000-01-18 2001-07-27 Shinto Print Kk 介護用衣料
KR200320552Y1 (ko) * 2003-04-18 2003-07-22 이상일 원피스형 앞치마
KR200386473Y1 (ko) * 2005-03-15 2005-06-17 임원진 수영복용 부력체
JP2009019319A (ja) * 2007-07-16 2009-01-29 Yumiko Watabe エプロ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0410A (ja) * 2000-01-18 2001-07-27 Shinto Print Kk 介護用衣料
KR200320552Y1 (ko) * 2003-04-18 2003-07-22 이상일 원피스형 앞치마
KR200386473Y1 (ko) * 2005-03-15 2005-06-17 임원진 수영복용 부력체
JP2009019319A (ja) * 2007-07-16 2009-01-29 Yumiko Watabe エプロ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73427A1 (en) Swimwear Having Magnetic Attachments
US9445634B2 (en) Reversible dresses
CN202122098U (zh) 衬衫
US20140298563A1 (en) 7 in 1 garment
US20080271223A1 (en) Combination of an undershirt and a four-cornered garment with fringes
US11278085B2 (en) Wristband with integrated pocket
KR101511919B1 (ko)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CN109831906B (zh) 衣服
KR20210080653A (ko) 개량형 전통 복식 조립체
KR101558077B1 (ko) 여성 상례 앞치마
KR101535291B1 (ko) 남성 상례 앞치마
KR101535293B1 (ko) 여성 제례 앞치마
JP3200705U (ja) 浴衣
KR20120005688A (ko) 청바지
KR101530709B1 (ko) 전통관례용 남성 조끼형 앞치마
KR101530710B1 (ko) 전통관례용 여성 앞치마
KR101558076B1 (ko) 남성 혼례 앞치마
KR101249088B1 (ko) 바지의 허리선 높이 조절 방법 및 허리선 높이조절이 가능한 바지
KR101558078B1 (ko) 여성 혼례 앞치마
JP3174928U (ja) スカート付きパンツ
JP3180977U (ja) パンツ
JP3213804U (ja) 弾性パンツのウエストバンド構成
KR20160126585A (ko) 디자인 테이프 라이닝 벨트
KR20090004533U (ko) 바지위로 삐짐을 방지하는 구조의 셔츠
JP3202553U (ja) 茶道用稽古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