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211A - 액티브 후드 힌지 - Google Patents

액티브 후드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211A
KR20100011211A KR1020080072333A KR20080072333A KR20100011211A KR 20100011211 A KR20100011211 A KR 20100011211A KR 1020080072333 A KR1020080072333 A KR 1020080072333A KR 20080072333 A KR20080072333 A KR 20080072333A KR 20100011211 A KR20100011211 A KR 20100011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od
hinge shaft
fixed electrod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주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211A/ko
Publication of KR2010001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액티브 후드 힌지는 후드의 내측과 결합되는 힌지아암과, 일단이 힌지아암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차체 프레임에 관통되도록 연장 형성된 힌지축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을 지지하는 브라켓과, 상기 힌지축의 타단에 마련되어 인력 및 척력에 의해 힌지축을 승하강시키는 자력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본 발명은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후드를 상승시킴으로써, 후드의 완충 효과로 인해 보행자의 상해치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힌지아암, 후드, 고정극, 전자석, 탄성 부재

Description

액티브 후드 힌지{ACTIVE HOOD HINGE}
본 발명은 액티브 후드 힌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충격 상해치를 저감시키기 위한 액티브 후드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드는 차량 전방측의 엔진룸을 덮는 부분으로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후드는 보행자와 차량의 전방과의 충돌이 발생되면 보행자에게 가장 큰 상해를 일으키는 부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차량의 후드에는 액티브 후드 힌지(Active Hood Hinge)가 사용되고 있다.
액티브 후드 힌지는 평상시에는 후드를 개폐 작동하다가 보행자가 차량의 전방과 충돌할 경우 보행자의 머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후드를 상향으로 밀어 올려 후드의 변형 공간을 확보하여 보행자의 충격 상해치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종래 액티브 후드 힌지는 액츄에이터의 폭발력에 의해 후드를 전방으로 밀어올리기 때문에 액츄에이터 폭발력으로 인해 충돌 이후에 사후 충격이 발생하여 보행자의 상해치를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1회성으로 재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할 때마다 빈번하게 교체해야하며 이로 인해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후드를 부상시켜 보행자의 상해치를 저감시키기 위한 액티브 후드 힌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액티브 후드 힌지는 후드의 내측과 결합되는 힌지아암과, 일단이 힌지아암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차체 프레임에 관통되도록 연장 형성된 힌지축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을 지지하는 브라켓과, 상기 힌지축의 타단에 마련되어 인력 및 척력에 의해 힌지축을 승하강시키는 자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력부는 힌지축의 하부 끝단에 마련된 고정극과, 상기 고정극과 대향 마련된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극의 상부와 차체 프레임과 하부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인장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는 전자석을 지지하며 힌지축, 고정극 및 스프링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력 및 척력은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힌지축을 상승시킴으로써, 충돌이 발생될 때마다 빈번하게 교체할 필요가 없어 원가가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부재의 복원력을 이용해 힌지축의 상승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후드의 전개 속도를 높여 전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후드를 상승시킴으로써, 후드의 완충 효과로 인해 보행자의 상해치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력 또는 척력의 세기에 따라 후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힌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액티브 후드 힌지에 구비된 탄성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힌지의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힌지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힌지는 후드(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힌지아암(200)과, 일단이 힌지아암(20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차체 프레임(900)에 관통되도록 연장 형성된 힌지축(300)과, 상기 차체 프레임(900)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300)을 지지하는 브라켓(400)과, 상기 힌지축(300)의 타단에 마련되어 힌지축(300)을 승하강시키는 자력부(700, 800)를 포함한다.
힌지아암(200)은 나사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일단이 후드(100)의 내측에 결합되며, 엔진룸으로부터 후드(10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힌지아암(200)의 타측에는 힌지아암(200)이 회동가능하도록 힌지축(30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힌지축(300)은 차체 프레임(900)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연장형성된다.
힌지축(300)에는 힌지축(300)이 차체 프레임(900)에 지지되도록 브라켓(400)이 마련되며 브라켓(400)은 차체 프레임(900)이 고정 설치된다.
힌지축(300)은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축(300)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힌지축(300)의 하부에는 자력부(700, 800)가 마련되며, 자력부(700, 800)는 힌지축(300)을 자력 예컨대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력부(700, 800)는 힌지축(300)의 하부 끝단에 마련된 고정극(700)과, 상기 고정극(700)과 대향 마련된 전자석(800)을 포함한다. 고정극(700)은 예컨대, N극 S극을 가지는 자석이 사용되고, 이러한 고정극(700)은 힌지축(30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된다. 물론, 고정극(700)은 N극 S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가지는 자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석(800)은 힌지축(300)에 결합된 고정극(700)과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전자석(800)은 전자석(800)과 고정극(700)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 키는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고정극(700)에 연결된 힌지축(300)이 승하강될 수 있다.
여기서, 인력 또는 척력은 전자석(80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며, 전류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전류의 세기에 따라 인력 또는 척력의 힘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석(800)과 고정극(700) 사이에서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켜 고정극(700)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전자석(800)은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전자석(800)은 차체 프레임(900)에 하우징(50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하우징(500)은 차체 프레임(900)과 전자석(800) 사이에 마련된 힌지축(300)과, 고정극(700)을 수납하도록 설치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500) 없이 별도의 차체 부재에 고정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극(700)과 전자석(800)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여 고정극이 상승될 경우, 고정극(700)의 상승 속도를 높이기 위해 고정극(700)과 차체 프레임(900)의 하부에는 탄성 부재(600) 예컨대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 부재(600)는 팽창된 상태 예컨대, 인장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을 이루어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극(700)의 상승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탄성 부재(600)는 힌지축(300)이 필요 이상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힌지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보행자가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충돌이 발생하면 충돌을 인식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여기서, 충돌은 차량에 구비된 충돌 감지 센서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이어서, 충돌 감지 센서로부터 충돌이 감지되면 감지된 정보는 차량 내의 제어부(ECU)에 전달되고,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전류와 전압이 결정되며, 결정된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이어서,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여 전류의 흐름을 바꿔 전자석의 극성을 변환시키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이어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800)의 변환된 극성에 의해 전자석(800)과 고정극(700)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은 척력으로 바뀌게 되고, 이로 인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극(700)은 상승하게 되어 고정극(700)에 연결된 힌지축(300)이 상승하여 후드(100)를 상승시키는 단계(S400)를 마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힌지축을 상승시킴으로써, 충돌이 발생될 때마다 빈번하게 교체할 필요가 없어 원가가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 부재의 복원력을 이용해 힌지축의 상승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후드의 전개 속도를 높여 전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후드를 상승시킴으로써, 후드의 완충 효과로 인해 보행자의 상해치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력 또는 척력의 세기에 따라 후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힌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액티브 후드 힌지에 구비된 탄성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힌지의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힌지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후드 200: 힌지아암
300: 힌지축 400: 브라켓
500: 하우징 600: 탄성부재
700: 고정극 800: 전자석

Claims (5)

  1. 후드의 내측과 결합되는 힌지아암;
    일단이 힌지아암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차체 프레임에 관통되도록 연장 형성된 힌지축;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을 지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힌지축의 타단에 마련되어 인력 및 척력에 의해 힌지축을 승하강시키는 자력부;
    를 포함하는 액티브 후드 힌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는 힌지축의 하부 끝단에 마련된 고정극과, 상기 고정극과 대향 마련된 전자석을 포함하는 액티브 후드 힌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극의 상부와 차체 프레임과 하부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인장된 상태로 고정되는 액티브 후드 힌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는 전자석을 지지하며 힌지축, 고정극 및 스프링 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액티브 후드 힌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력 및 척력은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액티브 후드 힌지.
KR1020080072333A 2008-07-24 2008-07-24 액티브 후드 힌지 KR20100011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333A KR20100011211A (ko) 2008-07-24 2008-07-24 액티브 후드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333A KR20100011211A (ko) 2008-07-24 2008-07-24 액티브 후드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11A true KR20100011211A (ko) 2010-02-03

Family

ID=42085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333A KR20100011211A (ko) 2008-07-24 2008-07-24 액티브 후드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21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3918A (zh) * 2012-01-26 2013-07-31 富士重工业株式会社 车辆的发动机罩移动装置
KR20170065800A (ko) * 2015-12-04 2017-06-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스티어링 장치의 힌지장치
CN107700986A (zh) * 2017-08-09 2018-02-16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用于车辆的铰链组件以及车辆
KR20200039328A (ko) * 2018-10-05 2020-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das 연계 상시 작동 액티브 후드 장치
CN113511169A (zh) * 2021-05-17 2021-10-1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发动机罩抬升装置以及汽车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3918A (zh) * 2012-01-26 2013-07-31 富士重工业株式会社 车辆的发动机罩移动装置
KR20170065800A (ko) * 2015-12-04 2017-06-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스티어링 장치의 힌지장치
CN107700986A (zh) * 2017-08-09 2018-02-16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用于车辆的铰链组件以及车辆
CN107700986B (zh) * 2017-08-09 2019-07-23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用于车辆的铰链组件以及车辆
KR20200039328A (ko) * 2018-10-05 2020-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das 연계 상시 작동 액티브 후드 장치
CN113511169A (zh) * 2021-05-17 2021-10-1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发动机罩抬升装置以及汽车
CN113511169B (zh) * 2021-05-17 2022-09-0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发动机罩抬升装置以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1211A (ko) 액티브 후드 힌지
JP4973412B2 (ja) 自動車のフード跳ね上げ装置及びフード跳ね上げ方法
KR20180058137A (ko) 차량용 액티브 후드장치
CN102271945B (zh) 挡风板
KR101640550B1 (ko) 차량용 액티브 후드 장치
JP7143237B2 (ja) フードポップアップ構造
RU2007104174A (ru) Автомобиль с поднимающимся капотом
KR20120015933A (ko) 액티브 힌지 구조
KR101139285B1 (ko)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시스템
KR101682806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힌지 작동구조
KR101491316B1 (ko) 차량용 액티브후드 구동 장치
CN107290153B (zh) 车用窗帘的疲劳测试装置
KR101271811B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장치
KR100980716B1 (ko)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KR101463345B1 (ko) 자동차의 후드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액티브 힌지장치
KR101282693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JP4172265B2 (ja) 車両のピラー部構造
JP5501389B2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KR101028454B1 (ko) 자동차의 후드 리프트 장치
CN110481484A (zh) 一种利于行人保护的发动机罩锁结构及车辆
CN219769788U (zh) 一种升降立标结构、发动机盖及汽车
KR19980038180U (ko) 도어 글래스 파괴 장치
KR100644488B1 (ko) 자동차용 후드의 힌지
KR101735048B1 (ko)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장치
KR20180029468A (ko)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