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178U - 콩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콩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178U
KR20100011178U KR2020090005512U KR20090005512U KR20100011178U KR 20100011178 U KR20100011178 U KR 20100011178U KR 2020090005512 U KR2020090005512 U KR 2020090005512U KR 20090005512 U KR20090005512 U KR 20090005512U KR 20100011178 U KR20100011178 U KR 201000111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beans
discharge
networ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7188Y1 (ko
Inventor
김창동
Original Assignee
김창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동 filed Critical 김창동
Priority to KR2020090005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188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1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1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1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별작업의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후 작업이 없도록 한 콩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면에 이동수단을 가지는 개략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망바디에 크기가 다른 선별공을 구간별로 형성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선별망과, 상기 선별망을 마감하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저면 내측에 설치되어 선별망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콩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망의 내측 방향에 선별하고자 하는 탈곡 된 콩을 선별망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공급파트와, 상기 선별망의 전방과 외측에 구비하여 크기별로 선별된 콩을 최종배출하는 배출파트와, 상기 선별망의 입구 측 후방에 콩과 함께 공급되어 선별되면서 낙하 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하는 이물질배출파트와, 상기 선별망을 마감하는 커버에 구비하여 선별망에 끼여있는 콩을 제거하여 선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망정리파트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Figure P2020090005512
콩, 선별

Description

콩 선별장치{A BEAN SORTING DEVICE}
본 고안은 콩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콩, 팥과 같은 탈곡한 대두류를 크기별로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개선한 콩 선별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콩은 여러 종류의 콩은 물론 팥 등을 포함하여 두류(豆類)라 칭하며, 이러한 콩은 탈곡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일부 탈곡기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은 물론, 콩 외에도 껍질, 쭉정이,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혼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탈곡된 콩과 함께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콩을 굵기에 맞게 선별하는 것이 선별장치이며, 이러한 콩 선별장치는 종래에는 탈곡기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과 독립된 것으로 구분된다.
탈곡기 일체형의 경우에는 단순하게 콩과 껍질을 분리하는 기능 정도에 지나지 않으므로 크기별 또는 파손된 콩을 분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별도의 선별장치를 이용하여 탈곡된 콩을 크기, 파손상태 또는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콩 선별장치가 종래에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대 표적인 예를 도 9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의 콩 선별장치(1)는 박스형상으로 구비되는 프레임(2)의 상부에 탈곡되어 선별하고자 하는 콩을 공급하기 위한 호퍼(3)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3)의 하방에는 공급된 콩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진동분류기(4)를 경사지게 설치한다.
상기 진동분류기(4)의 하방에는 순차적으로 1,2,3분류판(5,6,7)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콩을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1,2,3분류판(5,6,7)의 하측 위치에는 선별된 콩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가이드(8,9,10)를 설치한다.
상기 배출가이드(8,9,10)는 프레임(2)의 하방에 구비되는 배출구(11,12,13)와 이송라인(14)으로 연결하고, 진동분류기(4)에는 송풍수단(15)과 연결되는 송풍구(16)를 설치하여 선별하고자 하는 콩과 함께 공급되는 이물질을 바람으로 이물질배출구(17)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는 프레임의 상방에 구비되는 호퍼에 작업자가 일일이 선별하고자 하는 탈곡된 콩을 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선별하고자 하는 콩이 많을 경우에는 상당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상당한 피로를 발생시킨다.
또한, 선별된 콩이 프레임의 최하단에 구비되는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이를 수거할 때 작업자가 항상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반복하여 작은 용기에서 큰 용기로 옮겨야 하기 때문에 역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가중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지 못하게 된다.
콩을 크기별로 선별할 때 경사지게 설치된 진동분류기 또는 1,2,3분류판을 통하여 콩이 경사지게 굴러서 이동하면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경사 정도에 따라 콩이 미처 분류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기 전 배출구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굴러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선별이 어렵게 된다.
즉, 최상단에 위치한 분류판에 낙하하는 큰 콩과 작은 콩이 많이 모인 상태에서 경사방향으로 흘러내릴 때 콩의 크기에 관계없이 밀려서 이동하고 결국에는 많은 양의 콩이 선별됨이 없이 배출가이드와 이송라인을 통하여 최종 배출구로 배출되므로 실질적인 선별이 이루어지지 않고 이를 그대로 판매할 경우 농가의 이미지를 크게 손상시켜 차후 거래가 어렵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콩이 각각의 분류판으로 낙하하고 낙하 된 상태에서 흘러내리는 과정 에서 분류판의 망체 구멍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제거하는 기능이 없어 이로 인한 선별기능을 저해하는 또 다른 원인이 된다.
즉,콩이 분류판의 망체에 끼이게 되면 다른 콩이 분류판의 망체를 통과하여 다음 단계로 이동하지 못하고 해당 분류판에서 바로 최종배출구로 배출되기 때문에 실제 선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선별상태가 불량하기 때문에 선별을 수행한 후에도 작업자에 의하여 많은 양의 콩을 다시 수작업으로 선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저면에 이동수단을 가지는 개략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망바디에 크기가 다른 선별공을 구간별로 형성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선별망과, 상기 선별망을 마감하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저면 내측에 설치되어 선별망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콩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망의 내측 방향에 선별하고자 하는 탈곡 된 콩을 선별망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공급파트와, 상기 선별망의 전방과 외측에 구비하여 크기별로 선별된 콩을 최종배출하는 배출파트와, 상기 선별망의 입구 측 후방에 콩과 함께 공급되어 선별되면서 낙하 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하는 이물질배출파트와, 상기 선별망을 마감하는 커버에 구비하여 선별망에 끼여있는 콩을 제거 하여 선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망정리파트를 포함하여 선별작업의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후 작업이 없도록 하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선별하고자 하는 콩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고, 선별된 콩을 큰 용기에 바로 담을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선별되는 과정에서 콩이 선별망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선별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선별하고자 하는 콩과 함께 있는 이물질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개선된 콩 선별장치를 제공하여 한 번의 선별작업을 통하여 정확한 선별을 가능하게 하면서 후작업이 없도록 함으로서 효율성 높은 콩 선별장치를 제공하여 농가 일손을 도울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의 공급파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의 이물질배출파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의 망정리파트를 발 췌하여 도시한 파절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의 망정리파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파절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의 망정리파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파절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콩 선별장치(100)는 저면에 이동수단(101)을 가지는 개략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프레임(102)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02)의 상부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망바디(103)에 크기가 다른 선별공(104,105,106,107)을 구간별로 형성한 선별망(108)을 외측(도면 1에서 우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커버(109)로 마감한다.
상기 선별망(108)은 프레임(102)의 저면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수단(M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며, 커버(109)에는 내부 확인을 위한 확인창을 투명하게 또는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선별망(108)에 형성되는 선별공(104,105,106,107)의 크기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하여 콩이 공급되는 입구 측에서는 파손된 콩 또는 돌과 같은 작인 이물질이 선별되도록 하고,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큰 콩이 선별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선별망(108)의 경사는 회전하면서 자연스럽게 콩이 흘러갈 수 있을 정도가 바람직하며, 경사가 완만할 경우에는 선별하고자 하는 콩이 적체되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며, 경사가 급할 경우에는 콩이 한번 외측 방향으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정확한 선별이 곤란하게 될 것이다.
상기 선별망(108)의 내측(도면 1에서 좌측) 방향에는 선별하고자 하는 탈곡 된 콩을 선별망(108)으로 투입하기 위한 공급파트(110)를 설치하고, 상기 선별망(108)의 전방과 외측에는 크기별로 선별된 콩을 최종배출하는 배출파트(130)를 구비하고, 상기 선별망(108)의 입구 측 후방에는 콩과 함께 공급되어 선별되면서 낙하 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배출파트(150)를 구비하고, 상기 선별망(108)을 마감하는 커버(109)에는 선별망(108)에 끼여있는 콩을 제거하여 선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망정리파트(17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공급파트(110)는 프레임(102)의 내측 방향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버킷엘리베이터(111)를 설치하고, 상기 버킷엘리베이터(111)의 하방에는 선별할 콩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호퍼(112)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버킷엘리베이터(111)는 상,하측에 구비되는 풀리 사이를 연결하는 벨트에 등 간격을 유지시켜 다수개의 버킷을 고정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내용물을 담아서 올린 후 방향을 전환하면서 버킷의 내용물이 쏟아지도록 하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내용이므로 내부 구성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호퍼(112)에는 탈곡 과정에서 발생한 콩 줄기 등과 같은 굵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망(113)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버킷엘리베이터(11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토출구(114)는 선별망(108)의 입구(115) 내부에 위치시켜 연속적으로 선별하고자 하는 콩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파트(130)는 선별망(108)의 하방에 프레임(102)의 전방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출가이드(131)를 구비하고, 상기 베출가이드(131)에는 선별망(108)의 저면과 거의 연접할 정도로 격벽(132,133,134)을 구간별로 설치하여 선별된 콩이 서 로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격벽(132,133,134)의 전방은 프레임(102)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하는 배출구(135,136,137)와 연결하여 선별된 콩이 배출되도록 하고, 프레임(102)의 외측면에도 최종선별된 콩이 배출될 수 있는 최종배출구(138)를 설치한다.
상기 이물질배출파트(150)는 선별망(108)을 통하여 콩과 함께 배출되어 배출가이드(131)로 낙하하는 작은 줄기, 껍질 등이 배출구(135,136,137,138)로 콩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별망(108)의 입구 측 배출가이드(131)와 연통 되게 프레임(102)의 후방으로 배출기(151)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배출기(151)는 배출가이드(131)와 연통되는 유입홀(152)과 상기 유입홀(152)의 대향 측에 형성하는 배출홀(153)을 가지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출바디(154)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바디(154)에는 횡 방향으로는 배출샤프트(155)를 설치하여 일측에는 배출샤프트(155)에 대하여 나선형의 흡입블레이드(156)를 고정하고, 다른 측에는 배출샤프트(155)에 대하여 직각방향의 배출블레이트(157)를 고정하여 이물질의 흡입과 동시에 외부로 밀어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망정리파트(170)는 선별과정에서 선별망(108)의 선별공(104,105,106,107)에 끼여지는 콩을 다시 선별망(108) 내부로 밀어주어 선별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별망(108)을 마감하는 커버(109)의 내부에 설치한다.
상기 망정리파트(170)는 선별망(108)의 외면과 연접할 수 있도록 커버(109) 양측 사이에 설치하여 선별공(104,105,106,107)에 끼여진 콩을 눌러서 선별망(108) 내부로 재투입할 수 있도록 정리샤프트(171)에 많은 수의 브러쉬(172)를 심어서 구성되는 브러쉬롤러(173) 또는 정리샤프트(171)의 표면에 고무 또는 우레탄재질의 쿠션재(174)로 마감한 쿠션롤러(175)를 설치하여 선별망(108)과 연접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는 정리샤프트(171)에 끝단이 선별망(108)과 연접될 수 있도록 넓은 정리패드(176)를 고정하여 정리패드(176)의 자중에 의하여 콩을 선별망(108) 내부로 밀어주도록 하여도 된다.
물론, 상기 선별망(108)이 정원상태를 이루고 있을 경우에는 큰 문제는 없을 것이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치수 오차 등을 감안하여 정원상태가 아니라도 정리기(171)가 선별망(108)의 외면과 고른 연접이 가능하도록 정리샤프트(171)를 유지하는 축하우징(177)의 일측은 커버(109)에 힌지 연결하고, 다른 측은 축하우징(178)으로 유지하여 커버(109)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79)을 따라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공급파트(110)의 버킷엘리베이트(111)와 이물질배출파트(150)를 구성하는 배출기(151)의 배출샤프트(155)는 선별망(108)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M1)과는 별도의 구동수단(M2)을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100)에 의하여 콩이 선별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콩 선별장치(100)에 동력을 제공하여 구동수단(M1, M2)으로 하여금 선별망(108)과 버켓엘리베이터(111) 및 배출기(151)가 작동하도록 한 후, 탈곡된 콩을 공급파트(110)의 호퍼(112)에 투입한다.
그러면, 콩과 작은 크기의 이물질은 호퍼(112)의 차단망(113)을 통과하여 버킷엘리베이터(111)에 의하여 선별망(108)으로 이송되고, 굵은 이물질은 차단망(113) 위에 남게 되므로 작업자가 이를 제거하면 되며, 선별을 위한 콩을 공급하기 위한 호퍼(112)가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선별하고자 하는 콩을 공급하는 데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급된 콩은 버킷엘리베이터(111)에 의하여 상승하여 선별망(108) 입구(115) 측에 삽입되어 있는 토출구(114)를 통하여 선별망(108)에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되고, 선별망(108)은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된 콩은 자연스럽게 외측 방향으로 흘러내리면서 크기별로 선별되게 된다.
즉, 선별망(108)에 투입된 콩은 선별망(108)의 입구 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선별공(104,105,106,107)의 크기가 점차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구 초입에서는 탈곡 과정에서 손상된 콩이 아래로 낙하하게 되고, 그 다음부터는 작은 크기의 콩에서 큰 크기의 콩이 순차적으로 선별망(108)의 아래로 낙하하게 된다.
선별망(108)으로부터 낙하된 콩은 선별망(108) 아래에 프레임(102)의 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배출가이드(131)에 의하여 배출기(135,136,137) 또는 최종배출구(13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상기 배출기(135,136,137) 또는 최종배출구(138)에는 큰 용기를 구비하여 둠으로서 선별 중간 중간에 선별된 콩을 담기 위하여 용기를 교환하여야 하는 불편없이 선별 초기부터 끝까지 용기 교환 없이 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이는 배출기(135,136,137) 또는 최종배출구(138)의 위치가 프레임(102)의 저면에서 상당히 높은 위치에 있어 큰 용기(대형 자루나 박스, 원통 용기 등)를 충분하게 둘 공간을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선별망(108)으로부터 낙하 되는 선별된 콩은 인접한 다른 크기의 선별된 콩과 혼합되는 현상이 배제되는 데, 이는 선별공(104,105,106,107)의 크기에 맞게 배출가이드(131)에서 선별망(108) 방향으로 격벽(132,133,134)을 구간별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선별되는 과정에서 콩과 함께 작은 이물질은 선별망(108)의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는 데, 이를 이물질배출파트(150)를 구성하는 배출기(151)가 프레임(102)의 후방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게 되므로 순수하게 콩만이 배출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배출기(151)의 작동을 살펴보면, 선별망(108)의 입구위치 프레임(102) 후방에 배출가이드(131)와 유입홀(152)로 연결되는 배출바디(154) 내부에 설치된 배출샤프트(155)가 회전한다.
그러면, 배출샤프트(155)의 일측에 나선형으로 고정된 흡입블레이드(156)가 선별망(108)에서 배출가이드(131)로 낙하하는 콩보다 가벼운 이물질을 강하게 흡입하게 되고, 흡입된 이물질은 흡입블레이드(156)가 배출블레이드(157) 방향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를 전달받은 배출블레이드(157)는 배출홀(153)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게 되므로 선별된 콩에는 이물질이 혼합되지 않고 순수한 콩만이 크기별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선별망(108)으로 공급되어 크기별로 선별되는 과정에서 일부 콩이 크기가 동일한 선별공(104,105,106,107) 또는 작은 크기의 선별공(104,105,106,107)에 일부가 끼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콩이 선별공(104,105,106,107)에 끼여진 상태가 지속 될 경우에는 선별공(104,105,106,107)을 통하여 다른 콩들이 배출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결국에는 선별이 불가능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본 고안에서는 커버(109) 내부에 설치되는 망정리파트(170)를 구성하는 정리기(171)에 의하여 선별공(104,105,106,107)에 끼여진 콩이 선별망(108) 내부로 다시 유입되도록 하게 되므로 선별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커버(109)에 회전 자유롭게 유지되는 정리샤프트(171)에 브러쉬(172)나 쿠션재(174)로 마감한 브러쉬롤러(173) 또는 쿠션롤러(173)가 선별망(108)과 연접된 상태에서 맞물려 회전하면서 선별공(104,105,106,107)에 끼여진 콩을 밀어주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리고, 정리샤프트(171)에 넓은 폭의 정리패드(176)를 고정한 경우에도 정리패드(176) 자중에 의하여 선별망(108) 외면과 연접되어 눌러주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선별공(104,105,106,107)에 끼여진 콩을 선별망(108) 내부로 밀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선별하고자 하는 콩을 공급하기 위한 호퍼가 하측에 위치하고 있어 쉽게 공급할 수 있고, 선별된 공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선별 과정에서 용기를 교체하는 등의 불편이 없어 작업자의 일손을 덜어주면서 작업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어 일손이 부족한 농촌 실정에 부합하는 콩 선별장치이다.
또한, 콩이 선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자연낙하시지 않고 강제로 흡입하여 프레임의 외부로 배출하므로 선별 후 별도의 후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선별과정에서 콩이 선별망에 끼여 불분명한 선별상태를 방지하여 선별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콩 선별장치의 품질을 높여 대외적인 경쟁력의 우위에 있을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의 공급파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의 이물질배출파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의 망정리파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파절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의 망정리파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파절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의 망정리파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파절사시도.
도 9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콩 선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콩 선별장치
108; 선별망
110; 공급파트
130; 배출파트
150; 이물질배출파트
151; 배출기
170; 망정리파트

Claims (6)

  1. 저면에 이동수단(101)을 가지는 개략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프레임(102)과;
    상기 프레임(102)의 상부에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망바디(103)에 크기가 다른 선별공(104,105,106,107)을 구간별로 형성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선별망(108)과;
    상기 선별망(108)을 마감하는 커버(109)와;
    상기 프레임(102)의 저면 내측에 설치되어 선별망(108)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M1)으로 구성되는 콩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망(108)의 내측 방향에 선별하고자 하는 탈곡 된 콩을 선별망(108)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공급파트(110)와;
    상기 선별망(108)의 전방과 외측에 구비하여 크기별로 선별된 콩을 최종배출하는 배출파트(130)와;
    상기 선별망(108)의 입구 측 후방에 콩과 함께 공급되어 선별되면서 낙하 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하는 이물질배출파트(150)와;
    상기 선별망(108)을 마감하는 커버(109)에 구비하여 선별망(108)에 끼여있는 콩을 제거하여 선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망정리파트(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선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파트(110)는 프레임(102)의 내측 방향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세워지는 버킷엘리베이터(111)와;
    상기 버킷엘리베이터(111)의 하방에 선별할 콩을 버킷엘리베이터(111)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호퍼(112)와;
    상기 호퍼(112)에 굵은 이물질이 선별망(108)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하는 차단망(113)을 포함하고;
    상기 버킷엘리베이터(11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토출구(114)는 선별망(108)의 입구(115) 내부에 위치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선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파트(130)는 선별망(108)의 하방에 프레임(102)의 전방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하는 배출가이드(131)와;
    상기 베출가이드(131)와 선별망(108) 저면 사이에 설치하여 선별된 콩의 혼합을 방지하는 격벽(132,133,134)과;
    상기 격벽(132,133,134)의 전방에 연결하여 프레임(102)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배출구(135,136,137)와;
    상기 프레임(102)의 외측면에 최종선별된 콩이 배출될 수 있는 최종배출구(1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선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배출파트(150)는 선별망(108) 입구 측 배출가이드(131)와 연통 되게 프레임(102)의 후방으로 배출기(151)를 연결하고;
    상기 배출기(151)는 배출가이드(131)와 연통되는 유입홀(152)과 상기 유입홀(152)의 대향 측에 형성하는 배출홀(153)을 가지고 구비하는 배출바디(154)와;
    상기 배출바디(154)에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배출샤프트(155)와;
    상기 배출샤프트(155)의 일측에 배출샤프트(155)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고정하는 흡입블레이드(156)와;
    상기 배출샤프트(155)의 다른 측에 배출샤프트(155)에 대하여 직각방향의 배출블레이트(157)를 고정하여 이물질의 흡입과 동시에 외부로 밀어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선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정리파트(170)는 선별망(108)의 선별공(104,105,106,107)에 끼인 콩을 다시 선별망(108) 내부로 밀어주도록 커버(109) 내부에 정리샤프트(71)를 설치하고;
    상기 정리샤프트(171)에 브러쉬(172)를 심은 브러쉬롤러(173) 또는 정리샤프트(171)에 쿠션재(174)를 가지는 쿠션롤러(175) 또는 정리샤프트(171)에 고정하는 정리패드(176)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선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9)에는 내부 확인이 가능하게 투명하거나 또는 개,폐 가능한 확인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선별장치.
KR2020090005512U 2009-05-07 2009-05-07 콩 선별장치 KR2004571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512U KR200457188Y1 (ko) 2009-05-07 2009-05-07 콩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512U KR200457188Y1 (ko) 2009-05-07 2009-05-07 콩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178U true KR20100011178U (ko) 2010-11-17
KR200457188Y1 KR200457188Y1 (ko) 2011-12-07

Family

ID=4420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512U KR200457188Y1 (ko) 2009-05-07 2009-05-07 콩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18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167B1 (ko) * 2015-05-04 2016-11-14 강옥자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CN112170178A (zh) * 2020-10-18 2021-01-05 惠州市清之美环保有限公司 一种化工加工用原料筛选装置
KR102325426B1 (ko) * 2021-07-02 2021-11-10 이선동 두류선별장치
KR102492427B1 (ko) * 2022-06-28 2023-01-27 주식회사 파워리텍 회전 케이지 타입을 가지는 재생골재 선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107B1 (ko) * 2014-09-11 2016-02-25 바이오매스아시아(주) 중력식 폐배지 선별기
KR20160096260A (ko) 2015-02-04 2016-08-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불량 콩 선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689Y1 (ko) * 2005-06-07 2005-08-30 진 기 김 콩선별기
KR100766650B1 (ko) 2006-12-11 2007-10-15 김창동 곡물 탈곡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167B1 (ko) * 2015-05-04 2016-11-14 강옥자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CN112170178A (zh) * 2020-10-18 2021-01-05 惠州市清之美环保有限公司 一种化工加工用原料筛选装置
KR102325426B1 (ko) * 2021-07-02 2021-11-10 이선동 두류선별장치
KR102492427B1 (ko) * 2022-06-28 2023-01-27 주식회사 파워리텍 회전 케이지 타입을 가지는 재생골재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188Y1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188Y1 (ko) 콩 선별장치
KR101721178B1 (ko) 쌀눈 선별장치
KR101616525B1 (ko) 분진흡입장치가 구성된 씨앗 탈망 및 알곡선별기
KR200440261Y1 (ko) 콩 탈곡기
KR102390603B1 (ko) 마늘 일관 선별기
KR101676167B1 (ko)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US20100062129A1 (en) Legume sheller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200064299A (ko) 검불 분리 및 선별이 가능한 과실 수확장치
KR100804074B1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010029792A (ja) 籾摺選別機
KR100558362B1 (ko) 곡물 탈곡장치
KR200393689Y1 (ko) 콩선별기
KR102421445B1 (ko) 2차 선별장치를 구비한 배출부가 적용된 콤바인
JP6733642B2 (ja) 籾摺選別機
KR200427299Y1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057043B1 (ko) 농작물 세척 선별기
KR200344538Y1 (ko) 콩 정선이 가능한 콩 탈곡기
CN212549677U (zh) 脱壳分选机
KR101539062B1 (ko) 콩 선별장치
KR200427517Y1 (ko)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JP2009136711A (ja) 籾摺選別装置
JP5521382B2 (ja) 穀粒処理機の異物選別除去装置
RU2565294C1 (ru) Способ приемки очесанного зернобобового вороха, домолота и очистки с выделением кормовой, семенной и товарной фракций зерна со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458453B1 (ko)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JP4946917B2 (ja) 昇降機の粗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