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018A -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018A
KR20100009018A KR1020080069687A KR20080069687A KR20100009018A KR 20100009018 A KR20100009018 A KR 20100009018A KR 1020080069687 A KR1020080069687 A KR 1020080069687A KR 20080069687 A KR20080069687 A KR 20080069687A KR 20100009018 A KR20100009018 A KR 20100009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girder
bridge
temporary bridg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7449B1 (ko
Inventor
김상효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9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4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조립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설 교량에 설치되는 바닥판(특히, 복공판(覆工板))이 차량의 운행 등에 의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바닥판의 조립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거더 조립체 위에 거치되는 바닥판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거더의 상부플랜지 중앙에 연결되어 바닥판의 측면과 맞닿는 지지부와,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부 양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바닥판의 절개부에 끼워지는 밀림방지부가 형성된 연결부재에 의하여 거더 조립체 위에 설치되는 바닥판의 전후방향으로의 밀림현상을 방지하여 가설 교량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고, 더 나아가 바닥판과 결합되는 연결부재의 밀림방지부가 지지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바닥판의 절개부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교량의 조립 후 아스팔트 등에 의하여 충진됨으로써 교량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바닥판의 절개부가 연결부재의 밀림방지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빈공간에 고정수단을 삽입하여 바닥판과 거더의 결합신뢰성을 높여 교량의 안정성을 한층 더 보강할 수 있다.
거더, 바닥판, 복공판, 연결부재, 밀림방지부, 지지부, 고정수단

Description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TEMPORARY BRIDGE AND METHOD FOR CONSTUCTING AN TEMPORARY BRIDGE}
본 발명은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거더와 바닥판의 조립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설 교량에 설치되는 바닥판은 신속한 조립 및 해체용이성을 위하여 복공판(覆工板)으로 시공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바닥판의 조립용이성과 교량 위를 소통하는 차량 등에 의해 바닥판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거더 조립체 위에 거치되는 바닥판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거더의 상부플랜지 중앙에 연결되어 바닥판의 측면과 맞닿는 지지부와,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부 양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바닥판의 절개부에 끼워지는 밀림방지부가 형성된 연결부재에 의하여 거더 조립체 위에 설치되는 바닥판의 전후방향으로의 밀림현상을 방지하여 가설 교량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고,
더 나아가 연결부재의 밀림방지부가 지지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공간에 교량의 조립 후 아스팔트 등에 의하여 충진됨으로써 교량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바닥판의 절개부가 연결부재의 지지부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된 밀 림방지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빈공간에 고정수단을 삽입하여 바닥판과 거더의 결합신뢰성을 높여 교량의 안전성을 한층 더 보강할 수 있는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거더교(Girder Bridge)는 수평방향으로 가설한 교량으로, 거더(Girder)(또는 주형)를 교각(기둥) 사이에 설치하여 차량 등의 통행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형태에 따라 크게 플레이트(I)형 거더와 박스형 거더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거더교는 거더를 교각 사이에 설치한 후에, 양생이 완료된 바닥판을 인양하여 거더 위에 재치하거나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켜 바닥판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방법은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현장 작업이 많아 정밀시공이 어렵고 작업자의 작업 숙련도에 따라 시공품질이 달라지는 등의 문제점이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닥판 일체형 거더 조립체에 관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본 특허출원의 발명자는 2007. 02.05.자로 '복공판과 거더 일체형 가설교량'을 특허출원하여 특허 제739823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러나, 복공판 또는 상판이 일체로 제작된 거더 조립체는 공장에서 시공현장으로 운송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공장 제작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운송측면에서 유리하고, 나아가 현장에서의 조립작업에 간편한 새로운 방식의 교량및 그 시공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가설 교량에 설치되는 바닥판은 신속한 조립 및 해체용이성을 위하여 복공판(覆工板)으로 시공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바닥판의 조립용이성과 교량 위를 소통하는 차량 등에 의해 바닥판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거더 조립체 위에 거치되는 바닥판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거더의 상부플랜지 중앙에 연결되어 바닥판의 측면과 맞닿는 지지부와,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부 양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바닥판의 절개부에 끼워지는 밀림방지부가 형성된 연결부재에 의하여 거더 조립체 위에 설치되는 바닥판의 전후방향으로의 밀림현상을 방지하여 가설 교량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고,
더 나아가 바닥판의 절개부가 연결부재의 지지부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된 밀림방지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빈공간에 고정수단을 삽입하여 바닥판과 거더의 결합신뢰성을 높여 교량의 안정성을 한층 더 보강할 수 있는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은
교량의 교각 위에 나란힌 배열되는 거더(girder); 상기 거더와 거더의 각 상 부 플랜지에 양단이 거치되고, 절개부를 갖는 바닥판; 및 상기 거더 상부 플랜지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 측면과 맞닿는 지지부와,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 양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절개부에 끼워져 상기 바닥판의 전후방향으로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부를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닥판은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절되어 형성된 복공판(覆工板)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의 밀림방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닥판의 절개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밀림방지부와의 결합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의 전후방향으로의 밀림방지를 보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어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하단부가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바닥판의 폭방향으로 인접한 절개부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걸쇠형상의 고정구일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고정구는 양측으로 형성된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또 상기 연결부재의 지지부에는 상기 고정구가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를 수용하는 삽입홈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 시공방법은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절개부를 갖는 강판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트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바닥판을 형성하는 제1 단계; 2개 이상의 'I'형 거더의 측부를 가로 보강부재로 연결하여 거더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각 거더의 상부플랜지 위에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부 양측에 상기 바닥판의 절개부에 대응하여 해당위치에 형성되는 밀림방지부가 형성된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제3 단계; 상기 인접한 바닥판이 상기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의 절개부가 상기 연결부재의 밀림방지부에 끼워져 상기 거더 조립체와 상기 바닥판이 일체화되는 제4 단계; 및 제4 단계가 완료된 바닥판과 거더 조립체가 인양되어 교각에 설치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여
특히 가설 교량에 설치되는 바닥판은 신속한 조립 및 해체용이성을 위하여 복공판(覆工板)으로 시공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바닥판의 조립용이성과 교량 위를 소통하는 차량 등에 의해 바닥판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거더 조립체 위에 거치되는 바닥판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거더의 상부플랜지 중앙에 연결되어 바닥판의 측면과 맞닿는 지지부와,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부 양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바닥판의 절개부에 끼워지는 밀림방지부가 형성된 연결부재에 의하여 거더 조립체 위에 설치되는 바닥판의 전후방향으로의 밀림현상을 방지하여 가설 교량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고,
더 나아가 연결부재의 밀림방지부가 지지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공간에 교량의 조립 후 아스팔트 등에 의하여 충진됨으로써 교량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바닥판의 절개부가 연결부재의 지지부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된 밀림방지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빈공간에 고정수단을 삽입하여 바닥판과 거더의 결합신뢰성을 높여 교량의 안전성을 한층 더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고정수단을 다양하게 구현함으로써 교량의 구조나 형상에 따라 고정수단을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또 강판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합성된 바닥판에 의하여 단면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 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의 거더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내지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의 조립체와 밀림방지부와 고정수단의 고정편의 결합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의 밀림방지부에 삽입되는 고정수단의 고정구를 위한 거더 조립체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7 내지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의 조립체와 밀림방지부와 고정수단의 고정편의 결합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서 가설 교량은
교량의 교각 위에 나란힌 배열되는 거더(11)(girder); 상기 거더(11)와 거더(11)의 각 상부플랜지(11b)에 양단이 거치되고, 절개부(26)를 갖는 바닥판(20); 및 상기 거더(11) 상부플랜지(11b)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20) 측면과 맞닿는 지지부(32)와, 그리고 상기 지지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32) 양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20)의 절개부(26)에 끼워져 상기 바닥판(20)의 전후방향으로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부(34)를 갖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에서, 상기 거더(11)는
교량의 교각 위에 나란히 배열되고, 또 상기 거더(11)는 I형 거더(11)로 교량의 폭 즉 도로노면의 폭에 따라 다수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거더(11)와 거더(11)의 지지를 보다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 가로 보강부재(13)에 의하여 상기 거더(11)와 거더(11)를 연결하여 거더 조립체(10)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거더(11)는 상부에는 상부플랜지(11b)와 하부에는 하부플랜지(11c)가 배열되고, 상기 상부플랜지(11b)와 상기 하부플랜지(11c)는 I형강의 웹(11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거더 조립체(10) 상부에는 강판(22)과 콘크리트(21)가 합성된 바닥판(20)이 일체로 체결되어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에서, 상기 바닥판(20)은
상기 거더(11)와 거더(11)의 각 상부플랜지(11b)에 양단이 거치되고, 절개부(26)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26)는 상기 바닥판(20)의 폭방향 양측에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연결부재(30)의 밀림방지부(34)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30)의 밀림방지부(34)에 관한 해당부분에서 그 결합구조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20)은 콘크리트(21)와 강판(22)이 합성된 강 합성 바닥판(20)으로, 강판(22) 위에 철근을 배근하여 콘크리트(21)가 타설, 양생되어 형성되며,
또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강판(22)과 콘크리트(21) 사이에는 접합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전단연결부재(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닥판(20)은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장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으나, 가설 교량의 특성상 신속한 조립시공 및 해체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분절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바닥판(20)은 복공판(覆工板)(20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에서,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거더(11)의 상부플랜지(11b)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20) 측면과 맞닿는 지지부(32)와, 그리고 상기 지지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32) 양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20)의 절개부(26)에 끼워져 상기 바닥판(20)의 전후방향으로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부(34)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거더(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부재(30)의 상기 지지부(32) 및 상기 밀림방지부(34)는 상기 거더(11)의 상부플랜지(11b)에 각각 용접 등의 결합방식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연결부재(30)에 베이스(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부(32)와 상기 밀림방지부(34)가 상기 베이스(31)에 일체로 연결된 독립된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거더(11)의 상부플랜지(11b) 위에 용접 또는 체결볼트(12) 등에 의한 결합방식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으나,
상기 연결부재(30)를 상기 거더(11)에 결합하는 상기와 같은 방식은 제조 및 조립 편의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방식을 취사선택할 수 있으나,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0)의 지지부(32)와 밀림방지부(34)가 상기 거더(11)의 상부플랜지(11b) 위에 용접 등의 결합방식에 의하여 직접연결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30)의 지지부(32), 특히 상기 밀림방지부(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에 설치되는 바닥판(20)은 신속한 조립 및 해체용이성을 위하여 복공판(覆工板)(20a)으로 시공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교량의 폭 및 길이에 따라 다수 개수의 복공판(20a)이 가설 교량에 배열되어 있어 가설 교량 위를 질주하는 자동차 등에 의하여 교량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에 대하여 복공판(20a)의 밀림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가설 교량의 안전성을 해하게 되며, 특히 교량의 길이방향에 대한 복공판(20a)의 밀림현상이 심하게 일어나 가설 교량의 안전성에 대한 보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20)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연결부재(30)의 밀림방지부(34)와 삽입연결되는 절개부(26)가 해당위치에 형성되어, 거더 조립체(10) 위에 상기 바닥판(20) 즉 복공판(20a)을 개별적으로 조립시공하는 경우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지지부(32)는 교량의 폭방향에 대하여 상기 바닥판(20)의 측면과 맞닿아 지지하게 되고,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0)의 밀림방지부(34)는 교량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기 바닥판(20)의 절개부(26)와 삽입연결됨으로써, 상기 바닥판(20)이 길이방향으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연결부재(30)의 밀림방지부(34)는 상기 지지부(3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데,
이 경우 상기 바닥판(20)과 결합되는 연결부재(30)의 밀림방지부(34)가 지지부(3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바닥판(20)의 절개부(22)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아스팔트 등에 의하여 충진됨으로써 교량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의 밀림방지부(34)와 상기 바닥판(20)의 절개부(26) 가 삽입연결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30)와 상기 바닥판(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여 상기 바닥판(20)의 전후방향 밀림현상방지를 더욱 확고히 보강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20)의 절개부(26)와 상기 밀림방지부(34)와의 결합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20)의 전후방향으로의 밀림방지를 보강하기 위한 고정수단(36)이 더 구비된다.
즉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36)은 상기 바닥판(20)의 각 절개부(26)와 밀림방지부(34)와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시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고정편(36a)으로
상기 연결부재(30)의 밀람방지부(34)와 상기 바닥판(20)의 절개부(26)가 1차적으로 삽입연결된 후, 상기 바닥판(20)의 절개부(26)과 상기 연결부재(30)의 밀림방지부(34)와의 공간을 상기 고정편(36a)이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20)의 전후방향으로의 밀림방지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36a) 하단부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36a)을 해머나 압착장치로 가압삽입하는 경우 그 삽입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36)은 상기 바닥판(20)의 폭방향으로 인접한 절개부(26)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걸쇠형상의 고정 구(36b)일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고정구(36b)는 양측으로 형성된 결합편(36c)과, 상기 결합편(36c)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6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또 상기 연결부재(30)의 지지부(32)에는 상기 고정구(36b)가 상기 바닥판(20)의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36d)를 수용하는 삽입홈(32b)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의 인접한 바닥판(20)의 각 절개부(26)는 동일 선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구(36b)는 걸쇠형상 즉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상기 절개부(26)에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구(36b) 양측에 결합편(36c)이 형성되고,
또 상기 결합편(36c)은 연결부(36d)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이 경우 상기 고정구(36b)가 상기 바닥판(20)의 절개부(2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30)의 지지부(32)에는 상기 고정구(36b)의 연결부의 높이만큼을 제외한 결합편(36c)만이 삽입되게 되고, 따라서 상기 고정구(36b)의 연결부(36d)의 높이만큼 상기 고정구(36b)가 바닥판(20)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30)의 지지부(32)에는 상기 연결부(36d)를 수용하는 삽입홈(32b)이 절개되어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36b)가 바닥판(20)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고정구(36b)의 결합부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편(36a)과 마찬가지로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구(36b)를 해머나 압착장치로 가압삽입하는 경우 그 삽입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거더 조립체(10) 위에 연결되는 상기 바닥판(20)는 상기 거더(11)와 거더(11)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30)의 지지부(32)를 중심으로 지지부(32) 양측으로 인접한 상기 바닥판(20)의 측면이 각각 맞닿도록 형성되며, 이 경우 상기 바닥판(20)의 폭방향으로 양측에는 아랫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20)의 양단에서의 단면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0)와 상기 바닥판(20)이 일체로 연결되어 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접한 상기 바닥판(20)의 돌출부(24)와 상기 연결부재(30)의 지지부(32)의 동일선상에 체결공(24a)(32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4a)(32a)을 통하여 인접한 상기 바닥판(20)과 상기 연결부재(30)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도록 체결볼트(12)에 의하여 결합고정되게 된다.
즉 상기 바닥판(20)과 상기 연결부재(30)의 지지부(32)에 형성된 체결공(24a)(32a)과 상기 체결볼트(12)에 의하여 상기 바닥판(20)과 상기 연결부재(30) 및 상기 거더 조립체(10)가 일체로 거동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교량 시공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절개부(26)를 갖는 강판(22)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트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바닥판(20)을 형성하는 제1 단계(S1);
2개 이상의 'I'형 거더(11)의 측부를 가로 보강부재(13)로 연결하여 거더 조립체(10)를 형성하는 제2 단계(S2);
상기 각 거더(11)의 상부플랜지(11b) 위에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부(32)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부(32) 양측에 상기 바닥판(20)의 절개부(26)에 대응하여 해당위치에 형성되는 밀림방지부(34)가 형성된 연결부재(30)를 결합하는 제3 단계(S3);
상기 인접한 바닥판(20)이 상기 지지부(32)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20)의 절개부(26)가 상기 연결부재(30)의 밀림방지부(34)에 끼워져 상기 거더 조립체(10)와 상기 바닥판(20)이 일체화되는 제4 단계(S4); 및
제4 단계(S4)가 완료된 바닥판(20)과 거더 조립체(10)가 인양되어 교각에 설치되는 제5 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서,
상기 제1 단계(S1)는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절개부(26)를 갖는 강판(22)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트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바닥판(20)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 강판(22)과 콘크리트(21)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강판(22)의 상부에는 전단연결부재(30)가 다수 개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바닥판(20)은 가설 교량의 특성상 일정한 길이로 분절되어 형성되는 복공판(20a)으로 형성하여 신속한 조립 및 해체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단계(S2)는 2개 이상의 'I'형 거더(11)의 측부를 연결하는 가로 보강부재(13)를 용접 등의 결합방식으로 각각 고정하여 거더 조립체(1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단계(S3)는 상기 각 거더(11)의 상부플랜지(11b) 위에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부(32)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부(32) 양측에 상기 바닥판(20)의 절개부(26)에 대응하여 해당위치에 형성되는 밀림방지부(34)가 형성된 연결부재(30)를 결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4 단계(S4)는 상기 인접한 바닥판(20)이 상기 지지부(32)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20)의 절개부(26)가 상기 연결부재(30)의 밀림방지부(34)에 끼워져 상기 거더 조립체(10)와 상기 바닥판(20)이 일체화되는데,
이 경우 상기 바닥판(20)의 전후방향으로의 밀림현상을 방지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 상기 고정수단(36)인 상기 고정구(36b) 또는 상기 고정편(36a)에 의하 여 상기 바닥판(20)의 절개부(26)와 상기 밀림방지부(34)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5 단계(S5)는 기 제4 단계(S4)가 완료된 바닥판(20) 및 거더 조립체(10)를 인양하여 교각 위에 설치함으로써 가설 교량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의 거더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내지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의 조립체와 밀림방지부와 고정수단의 고정편의 결합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의 밀림방지부에 삽입되는 고정수단의 고정구를 위한 거더 조립체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의 조립체와 밀림방지부와 고정수단의 고정편의 결합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교량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거더 조립체 11 : 거더
11a : 웹 11b : 상부플랜지
11c : 하부플랜지 12 : 체결볼트
13 : 가로 보강부재
20 : 바닥판 20a : 복공판
21 : 콘크리트 22 : 강판
24 : 돌출부 24a : 체결공
26 : 절개부
30 : 연결부재 31 : 베이스
32 : 지지부 32a : 체결공
32b : 삽입홈
34 : 밀림방지부 36 : 고정수단
36a : 고정편 36b : 고정구
36c : 결합편 36d : 연결부

Claims (9)

  1. 교량의 교각 위에 나란힌 배열되는 거더(girder);
    상기 거더와 거더의 각 상부 플랜지에 양단이 거치되고, 절개부를 갖는 바닥판; 및
    상기 거더 상부 플랜지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 측면과 맞닿는 지지부와,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 양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절개부에 끼워져 상기 바닥판의 전후방향으로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부를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설 교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절되어 형성된 복공판(覆工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교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밀림방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교량.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절개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밀림방지부와의 결합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의 전후방향으로의 밀림방지를 보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교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하단부가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교량.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바닥판의 폭방향으로 인접한 절개부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걸쇠형상의 고정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교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양측으로 형성된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 상부를 연결하는 연 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교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지지부에는 상기 고정구가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를 수용하는 삽입홈이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교량.
  9.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절개부를 갖는 강판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트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바닥판을 형성하는 제1 단계;
    2개 이상의 'I'형 거더의 측부를 가로 보강부재로 연결하여 거더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각 거더의 상부플랜지 위에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부 양측에 상기 바닥판의 절개부에 대응하여 해당위치에 형성되는 밀림방지부가 형성된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제3 단계;
    상기 인접한 바닥판이 상기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의 절개부가 상기 연결부재의 밀림방지부에 끼워져 상기 거더 조립체와 상기 바닥판이 일체화되는 제4 단계; 및
    제4 단계가 완료된 바닥판과 거더 조립체를 인양하여, 교각에 설치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설 교량 시공방법.
KR1020080069687A 2008-07-17 2008-07-17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997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687A KR100997449B1 (ko) 2008-07-17 2008-07-17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687A KR100997449B1 (ko) 2008-07-17 2008-07-17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18A true KR20100009018A (ko) 2010-01-27
KR100997449B1 KR100997449B1 (ko) 2010-11-30

Family

ID=4181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687A KR100997449B1 (ko) 2008-07-17 2008-07-17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4742A (zh) * 2021-12-16 2022-03-11 佘琦峰 一种用于地下道路与地面桥梁的合建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8497A (ja) 1986-11-05 1988-05-23 ユニタイト株式会社 セグメントの締結用金具
KR100739823B1 (ko) 2007-02-05 2007-07-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공판과 거더 일체형 가설교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4742A (zh) * 2021-12-16 2022-03-11 佘琦峰 一种用于地下道路与地面桥梁的合建结构
CN114164742B (zh) * 2021-12-16 2024-01-16 佘琦峰 一种用于地下道路与地面桥梁的合建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7449B1 (ko) 201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856B1 (ko)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KR101391637B1 (ko) 강재트러스를 이용한 복합트러스 거더의 제작공법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JP2007016594A (ja) 合成パネル構造およびパネル橋梁構造ならびに連続合成桁橋の施工方法
KR100967734B1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1120672B1 (ko) 조립식 거더 교량
KR100911451B1 (ko) 메인거더와 대형복공판이 일체화된 합성가설교량용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합성가설교량 시공방법
KR100990967B1 (ko) 조립형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5318293B1 (ja) 連続桁橋とその施工方法
JP2002227133A (ja) 打ち替え合成床版鋼桁橋及び施工方法
KR20080093261A (ko)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시공방법
KR101274990B1 (ko) 중간가로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거더교
JP4650255B2 (ja) 鋼床版の補強構造及び既設鋼床版の補強方法
KR100997449B1 (ko)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447723B1 (ko)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
JP4287755B2 (ja) 鋼桁と合成床版の結合構造
KR20080099100A (ko) 복공판 구조체
KR20130081606A (ko) 복부 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교량에서의 연속지점부의 시공방법
KR101693266B1 (ko) 하이브리드 거더
KR101067895B1 (ko) 복공판
JP4960788B2 (ja) 鋼とコンクリートの複合桁の桁端部構造
KR100997450B1 (ko) 엇물림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2006336231A (ja) 複合床版
KR100962677B1 (ko) 조립형 교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