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582A -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 Google Patents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582A
KR20100008582A KR1020080069135A KR20080069135A KR20100008582A KR 20100008582 A KR20100008582 A KR 20100008582A KR 1020080069135 A KR1020080069135 A KR 1020080069135A KR 20080069135 A KR20080069135 A KR 20080069135A KR 20100008582 A KR20100008582 A KR 20100008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ttern
interior
hairlin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6024B1 (ko
Inventor
김문규
조양환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8006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024B1/ko
Priority to PCT/KR2009/003932 priority patent/WO2010008225A2/ko
Priority to CN200980127627.0A priority patent/CN102099204B/zh
Priority to JP2011518653A priority patent/JP2011527960A/ja
Priority to US13/003,534 priority patent/US8834990B2/en
Priority to EP09798128.6A priority patent/EP2325024B1/en
Publication of KR20100008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1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metallic or oxidised metallic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5/00Designs characterised by irregular areas, e.g. mottled patter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되고, 헤어라인 패턴, 미세 요철 패턴, 미러 패턴, 에칭 패턴,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비드 블래스트 패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패턴이 구현된 패턴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화학적 에칭, 비드 블라스트 또는 연마 공법 등을 통해 스테인리스에 적용하던 패턴을 플라스틱 계열의 필름에 직접 부여함으로써, 실제와 동등한 금속 질감을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인테리어 필름, 증착, 헤어라인, 미세 요철, 미러 패턴, 에칭 패턴, 바이브레이션 패턴, 비드 블래스트 패턴

Description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Interior films expressing metallic appearance}
본 발명은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플라스틱 계열의 인테리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 판재와 같은 금속 판재는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 냉장고 등의 가전 제품; 자동차 내/외장재; 또는 가구, 도어 및 광고재 등에 사용되는 고급 인테리어 소재이다.
금속 소재들은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거나,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광택 처리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 판재의 표면을 광택 처리한 후, 부식 가공, 연마 또는 비드 블래스트 공법 등을 통해 무늬를 형성하여 미려한 장식미가 구현된 인테리어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금속 소재는 인테리어재로 사용되어 고급스러운 외관을 표현할 수 있으나, 절단, 절삭 및 굴곡 등의 가공이 어렵고, 가격도 매우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의 해결을 위해서, 가공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플라스틱 소재에 금속 소재와 유사한 질감을 구현하여 인테리어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시도가 다양하게 행하여 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시도 중 대표적인 것에는 폴리에스테르계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연마 공법을 통해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하고, 알루미늄 진공 증착 등의 가공을 통해 금속 광택을 부여하는 방법이 있다.
한국 등록 특허 제481,627호는 투명 합성 수지 필름층; 수지, 알루미늄(Al) 플레이크 및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하는 코팅층; 및 불투명 합성 수지 필름을 순차 형성시켜, 다양한 색상의 금속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을 개시한다. 또한, 한국 공개 특허 제2003-87100호는 합성 수지 기재, 하드코트층, 투명 잉크층, 금속 증착층 및 보호층이 순차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투명 잉크층은 스크린 인쇄를 통하여 헤어라인을 표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 플라스틱 필름 상에 헤어라인 패턴을 형성하는 기술은, 필름의 생산 방향(이하, 『필름의 길이 방향』 또는 『필름의 세로 방향』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과 평행한 일 방향의 헤어라인만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 방향으로 형성된 헤어라인만으로는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금속과 유사한 질감을 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금속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코팅층, 또는 스크린 인쇄법으로 형성된 헤어라인 패턴에 의하는 경우에도, 스테인리스 상에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패턴, 예를 들면 꽃 또는 격자 무늬 등과 같은 복잡한 패턴을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광택도가 실제의 금속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므로 고급스러운 금속 질감을 나타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계열의 기재 필름 상에 보다 금속과 유사한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각종 내/외장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인테리어 필름으로서, 스테인리스 스틸(STS) 등의 금속 소재와 동등한 외관을 구현한 플라스틱 계열의 인테리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되고, 헤어라인 패턴, 미러 패턴, 비드 블래스트 패턴, 미세 요철 패턴, 에칭 패턴 및 바이브레이션 패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패턴이 구현된 패턴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방향, 무방향 또는 원형 헤어라인 패턴; 미세 요철 패턴; 미러 패턴; 에칭 패턴; 바이브레이션 패턴; 또는 비드 블래스트 패턴과 같이, 화학적 에칭, 비드 블래스트 또는 연마 공법 등을 통해 스테인리스에 적용하던 각종 패턴을 플라스틱 계열의 필름에 직접 부여함으로써, 실제와 동등한 금속 질감을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필름은 철판, 알루미늄판, 목재 또는 플라스틱 필름 등에 라미네이션되어, 가전 제품, 전자 제품, 자동차 내장재, 건축물(엘리베이터 내부, 실내 공간의 벽 등) 또는 가구, 도어 및 광고재 등의 인테리어 소재로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되고, 헤어라인(hairline) 패턴, 미러(mirror) 패턴, 비드 블래스트(bead blast) 패턴, 미세 요철 패턴, 에칭 패턴 및 바이브레이션 패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패턴이 구현된 패턴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인테리어 필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재 필름은 절단 가공 또는 절곡 가공 등의 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필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필름(ex. PET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필름 및 ABS(Acrylate-Butadien-Styrene 삼공중합체)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나열된 필름의 이종 이상의 혼합이란, 이종 이상의 필름이 적층된 필름 또는 나열된 수지 중 이종 이상의 혼합 수지로부터 제조된 필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기재 필름의 두께는 0.023 mm 내지 0.5 mm일 수 있으며, 0.03 mm 내지 0.2 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0.023 mm 미만 이면, 필름 상에 다양한 패턴의 형성이 어려워지거나, 또는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0.5 mm를 초과하면, 필름의 취급성 및 가공성이 떨어지거나, 접착력 등의 물성의 저하가 발생 가능하며, 경제적인 비용 면에서도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필름은 전술한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되고, 다양한 패턴을 통해 금속 질감을 구현하는 패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존 범용되던 플라스틱계 인테리어 필름의 경우 연마 공정 등을 통해 형성한 헤어라인층을 통해 금속 질감을 구현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기존 헤어라인층은 기재인 플라스틱 필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일방향 헤어라인이 전부였기 때문에, 필름의 금속 표면에 근접한 질감을 구현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기재 필름 상에 기존 일방향 헤어라인 패턴만이 아닌 다양한 형상의 헤어라인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현이 가능한 헤어라인 패턴의 예로는 필름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헤어라인, 다방향 헤어라인, 무방향 헤어라인 및 원형 헤어라인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패턴을 구현함으로써, 기존 금속 소재의 필름과 대등한 금속 질감을 나타내는 인테리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어라인 패턴과 함께 또는 별도로, 미세 요철 패턴, 미러(mirror) 패턴, 에칭 패턴, 바이브레이션 패턴 및 비드 블래스트(bead blast) 패턴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조합을 기재 필름 상에 형성하여 보다 풍부하고, 금속과 유사한 질감을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을 제공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테리어 필름에서 형성되는 각종 패턴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다방향 헤어라인 패턴, 미러 패턴 및 비드 블래스트 패턴이 조합되어 형성된 꽃 무늬가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 내지 5는 도 1의 인테리어 필름의 일정 부분을 확대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다방향 헤어라인』은, 도 1 내지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방향 헤어라인이 기재 필름 상에서 여러 방향으로 무늬를 구현하고 있는 패턴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단방향 헤어라인』은 그 깊이와 폭이 1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정도인 매우 가는 선(스크래치)이 기재 필름 상에서 단방향(기재 필름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또는 기타 방향)으로 무늬를 형성하고 있는 패턴을 의미한다. 즉, 다방향 헤어라인이란 하나 이상의 단방향 헤어라인의 복합 패턴을 의미하고, 이 때 각 헤어라인의 형성 방향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방향 헤어라인 패턴』은 기재 필름의 일정 부분에는 필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단방향 헤어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정 부분에는 기재 필름의 길이 방향과 0° 초과, 그리고 360° 미만의 범위에서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형성된 헤어라인이 복합되어 있는 패턴일 수 있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무방향 헤어라인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나타내며, 도 7은 상기 무방향 헤어라인 패턴을 확대한 도면이다. 즉, 용어 『무방향 헤어라인』은, 도 6 및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의 헤어라인이 아닌 곡선 형상(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은 물결 형상)의 헤어라인에 의해 무늬가 구현 된 패턴을 의미하며, 이 때 상기 헤어라인은 파형(wave),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원형 헤어라인』은 가는 스크래치(헤어라인)가 원형을 이루는 패턴으로서, 형성되는 원의 크기는 목적하는 효과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종 헤어라인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미세한 연마 부재가 형성된 연마재를 사용하여, 필름의 표면을 목적하는 헤어라인 패턴에 따라 스크래치 가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용어 『미러 패턴』은, 도 1, 2, 3 및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재 필름의 표면이 거울과 같이 형성되어 경면 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미러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미세한 크기(ex. 나노 스케일)의 연마재를 사용하여 필름 표면을 긁음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비드 블래스트 패턴』은, 도 1 내지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드 블래스트 공법에 의해 형성된 미세 요철 패턴을 의미한다. 이 때 『비드 블래스트 공법』은 기판에 일정 크기의 비드를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하여 미세 요철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며, 비드의 재질과 크기, 분사 압력 및 속도 등에 따라 다양한 질감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비드로 사용되는 재료를 기판 상으로 분산(scattering)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이용하여, 비드를 기판인 필름 표면에 직접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비드 블래스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미세 요철 패턴』은 에칭 공법 또는 기계적 가공에 의해 형성된 요철을 갖는 금형에 의한 압연 공정을 통해 형성된 패턴을 의미하며, 이 경우 통상적으로 상기 헤어라인 패턴에 비하여 깊은 패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미세 요철 패턴은 또한 미세한 바늘 형상의 침 등을 사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도 필름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바이브레이션 패턴』은 상하로 빠르게 움직이는 바이브레이터 헤드가 회전함으로써 형성되는 패턴을 의미하며, 상기 헤드의 자전 및 공정 주기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 바이브레이션 패턴은 전술한 원형 헤어라인 패턴과 유사하나, 완전한 원형을 이루지는 않으며, 반원형 또는 4분의 3 원형 등과 같이 연속하지 않는 원형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헤어라인, 에칭, 바이브레이션 및/또는 비드 블래스트와 같은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엠보 무늬의 깊이는 1 ㎛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내지 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엠보 무늬의 깊이가 전술한 범위로 형성됨으로 해서, 외관 상 빛에 의한 정반사 및 난반사 효과 등을 일으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늬가 부여된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의 외관 효과와 동등한 질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패턴에서 헤어라인 패턴의 경우, 각 패턴간의 폭은 1 ㎛ 내지 50 ㎛인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엠보 무늬의 깊이 및 헤어라인의 폭은 목적하는 외관 효과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필름에서는 또한, 보다 금속과 유사한 질감을 구현하기 위하여, 금속 색감을 표현하기 위한 금속층을 상기 패턴층 상에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금속층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구리, 금, 은, 니켈, 크롬 또는 코발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구현하고자 하는 금속 질감 효과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단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으로 금속층을 구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금속은 이종 이상의 합금 또는 산화물의 형태로 금속층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금속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전술한 금속 소재를 사용한 진공 열 증착 공법 또는 스퍼터링 공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공법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금속층의 두께 및 광투과율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효과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면 된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필름은 또한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표면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면 코팅층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필름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인테리어 필름을 철판, 목재 또는 알루미늄판 등의 제 3 의 물질에 라미네이션할 경우에,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패턴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면 코팅층을 형성하는 소재 및 그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상기 중 이종 이상의 혼합 수지와 같은 범용의 소재를 사용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코팅층의 두께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작업성, 양산성 및 표면 보호 효과 등을 고려하여, 1.0 ㎛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20 ㎛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기재 필름과 상기 표면 보호층의 접착 내구성 향상의 관점에서, 기재 필름 및 표면 코팅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필름은 또한 기재 필름의 하부에 형성된 접착층 또는 점착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형성함으로 해서, 본 발명의 인테리어 필름을 목재, 플라스틱 시트, 금속 강판 또는 유리 등의 소재에 라미네이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착층 또는 접착층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또는 고무계 점착제 또는 접착제와 같은 일반적인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 또는 점착층의 두께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 ㎛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20 ㎛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필름은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 기존 일방향 헤어라인만으로는 구현할 수 없었던, 금속 질감을 기존 스테인리스 스틸 강판과 동등한 수준으로 구현하여, 전자 제품의 표면재 또는 건축 내외장재, 광고재 등의 다양한 인테리어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꽃 무늬가 형성된 인테리어 필름의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5는 도 1의 인테리어 필름의 일정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무방향 헤어라인 패턴이 형성된 인테리어 필름의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인테리어 필름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Claims (12)

  1.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되고, 헤어라인 패턴, 미러 패턴, 비드 블래스트 패턴, 미세 요철 패턴, 에칭 패턴 및 바이브레이션 패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패턴이 구현된 패턴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이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필름 및 ABS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은 두께가 0.023 mm 내지 0.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헤어라인 패턴은 다방향 헤어라인 패턴, 무방향 헤어라인 패턴 및 원형 헤어라인 패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패턴층에 의해 형성된 엠보 무늬의 깊이가 1 ㎛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헤어라인 패턴은 각 패턴 사이의 폭이 1 ㎛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패턴층 상에 형성된 금속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금속층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구리, 금, 은, 니켈, 크롬 및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표면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표면 코팅층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 수지 및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필름.
  11. 제 9 항에 있어서, 표면 코팅층은 두께가 1.0 ㎛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인테리어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의 하부에 형성된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필름.
KR1020080069135A 2008-07-16 2008-07-16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KR101296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135A KR101296024B1 (ko) 2008-07-16 2008-07-16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PCT/KR2009/003932 WO2010008225A2 (ko) 2008-07-16 2009-07-16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CN200980127627.0A CN102099204B (zh) 2008-07-16 2009-07-16 具有金属外观效果的内饰设计膜
JP2011518653A JP2011527960A (ja) 2008-07-16 2009-07-16 金属外観効果を具現したインテリアフィルム
US13/003,534 US8834990B2 (en) 2008-07-16 2009-07-16 Interior design film giving an impression of the appearance of metal
EP09798128.6A EP2325024B1 (en) 2008-07-16 2009-07-16 Interior design film giving an impression of the appearance of met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135A KR101296024B1 (ko) 2008-07-16 2008-07-16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582A true KR20100008582A (ko) 2010-01-26
KR101296024B1 KR101296024B1 (ko) 2013-08-12

Family

ID=4155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135A KR101296024B1 (ko) 2008-07-16 2008-07-16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34990B2 (ko)
EP (1) EP2325024B1 (ko)
JP (1) JP2011527960A (ko)
KR (1) KR101296024B1 (ko)
CN (1) CN102099204B (ko)
WO (1) WO2010008225A2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6638A1 (ko) * 2014-04-11 2015-10-1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성형품,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7871A (ko) * 2014-04-11 2015-10-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성형품의 제조방법
KR20170024972A (ko) * 2015-08-27 2017-03-08 (주)엘지하우시스 컬러 표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24971A (ko) * 2015-08-27 2017-03-08 (주)엘지하우시스 임프린팅 공법을 이용한 양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507815A (ja) * 2014-02-28 2017-03-23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Lg Hausys,Ltd. 金属外観効果に優れたインテリ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136670A (ko) * 2018-05-31 2019-12-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91420A (ko) 2020-12-23 2022-06-30 (주)엘엑스하우시스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24019256A1 (ko) * 2022-07-21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용 외장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014B1 (ko) 2009-12-17 2012-10-16 (주)엘지하우시스 헤어 라인이 구현된 고 내후성 데코레이션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294865A (zh) * 2011-07-20 2011-12-28 江苏立霸实业股份有限公司 环保型pet-abs光亮膜
CN102416741A (zh) * 2011-09-29 2012-04-18 江苏立霸实业股份有限公司 环保型pet-pbs光亮膜
KR101993805B1 (ko) 2012-10-05 2019-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N104416993A (zh) * 2013-08-26 2015-03-18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一种仿金属拉丝装饰膜
CN104417245A (zh) * 2013-08-26 2015-03-18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仿金属拉丝彩钢板贴膜
JP6157386B2 (ja) * 2014-03-12 2017-07-0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表面構造体及び当該表面構造体の製造方法
USD984143S1 (en) * 2021-04-22 2023-04-25 Sofidel S.P.A. Paper shee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17538A1 (de) 1969-03-31 1970-10-08 Armin Pohlenz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ildern,Skalen,Geraete-Frontplatten u.dgl. mit metallischen und/oder farbigen Zonen
US4197337A (en) * 1978-12-22 1980-04-08 Mobil Oil Corporation Optical transformation of metallized polymeric film material
US4918800A (en) * 1989-04-03 1990-04-24 Eastman Kodak Company Continuous method for making decorative sheet materials
KR100259198B1 (ko) 1996-11-22 2000-06-15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스탬핑 호일
KR100481627B1 (ko) 1996-12-04 2006-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금속질감을갖는합성수지재시트의제조방법
JPH1134146A (ja) * 1997-07-16 1999-02-09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CA2262218A1 (en) 1999-02-15 2000-08-15 Han Chil Choi Textured image laminating film
KR20030087100A (ko) 2002-05-06 2003-11-13 (주) 태양기전 금속질감을 표현한 합성수지패널 및 그 제조방법
DE10333255B3 (de) * 2003-07-21 2005-01-13 Leonhard Kurz Gmbh & Co. Kg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Flächenmusters hoher Auflösung
JP4616634B2 (ja) * 2004-05-13 2011-01-19 東洋鋼鈑株式会社 化粧金属板
KR200387100Y1 (ko) 2005-03-29 2005-06-17 김현대 봉독 채집기
EP2581224B1 (en) 2005-08-18 2014-12-17 Toray Industries, Inc. Laminate film and molded article
KR200400382Y1 (ko) * 2005-08-19 2005-11-04 박의석 투명 또는 칼라투명 합성수지재 헤어라인 미러
CN2907504Y (zh) 2006-05-15 2007-06-06 毛昱峰 慢炖锅覆膜外壳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7815A (ja) * 2014-02-28 2017-03-23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Lg Hausys,Ltd. 金属外観効果に優れたインテリ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10737465B2 (en) 2014-02-28 2020-08-11 Lg Hausys, Ltd. Interior film having excellent metallic appearance effe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5156638A1 (ko) * 2014-04-11 2015-10-1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성형품,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7871A (ko) * 2014-04-11 2015-10-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성형품의 제조방법
US10774189B2 (en) 2014-04-11 2020-09-15 Kolon Industries, Inc.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polyester mold product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70024972A (ko) * 2015-08-27 2017-03-08 (주)엘지하우시스 컬러 표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24971A (ko) * 2015-08-27 2017-03-08 (주)엘지하우시스 임프린팅 공법을 이용한 양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36670A (ko) * 2018-05-31 2019-12-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91420A (ko) 2020-12-23 2022-06-30 (주)엘엑스하우시스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24019256A1 (ko) * 2022-07-21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용 외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5024A2 (en) 2011-05-25
US20110123778A1 (en) 2011-05-26
EP2325024B1 (en) 2016-11-16
KR101296024B1 (ko) 2013-08-12
WO2010008225A3 (ko) 2010-04-22
WO2010008225A2 (ko) 2010-01-21
EP2325024A4 (en) 2012-10-24
US8834990B2 (en) 2014-09-16
JP2011527960A (ja) 2011-11-10
CN102099204B (zh) 2015-07-29
CN102099204A (zh)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024B1 (ko)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KR101437783B1 (ko) 횡방향 헤어라인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429754A (zh) 一種具立體效果的印刷裝飾膜及其裝飾產品
EP2033717A3 (en) Decorated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379093B1 (ko) 다층 데코레이션 필름구조
JP4691371B2 (ja) 転写シート
KR20100107973A (ko) 사출물 제조 방법
KR101557539B1 (ko)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H11504872A (ja) 模造面取りガラスアップリケ
KR20130111704A (ko) 가전제품 외장재
JP2009045841A (ja) 加飾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86329A (ko) 3차원 인쇄 장식 박막 및 그것으로 만든 제품들
JP5658817B2 (ja) 成形加工後にも高い光沢を有する成形用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382Y1 (ko) 투명 또는 칼라투명 합성수지재 헤어라인 미러
JP5615567B2 (ja) 装飾用薄物
KR20130076356A (ko) 금속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49727B1 (ko)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655195B1 (ko)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283797B1 (ko) 엠보 패턴을 갖는 금속 판재 및 그 제조방법
TWI406911B (zh) Coating composition
KR100523196B1 (ko) 네임플레이트
JP2014233850A (ja) 加飾合成樹脂成形品
KR20170032997A (ko) 패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459785B1 (ko)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16404B1 (ko) 장식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