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420A -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420A
KR20220091420A KR1020210185934A KR20210185934A KR20220091420A KR 20220091420 A KR20220091420 A KR 20220091420A KR 1020210185934 A KR1020210185934 A KR 1020210185934A KR 20210185934 A KR20210185934 A KR 20210185934A KR 20220091420 A KR20220091420 A KR 20220091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terior film
metal ink
metal
ink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5195B1 (ko
Inventor
김민수
김준희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220091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1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metallic or oxidised metallic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5/00Designs characterised by irregular areas, e.g. mottled patter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8Printing inks based on natur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어느 일면에 형성된 헤어라인 패턴층; 상기 기재층의 아래에 위치하는 금속잉크층; 및 상기 잉크층의 아래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잉크층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금속박편을 포함하는,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HIGH BRIGHTNESS INTERIO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금속 증착층을 사용하지 않고도, 고휘도의 메탈룩 필름을 구현할 수 있는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테리어 필름은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 가전제품, 전자제품, 자동차 내/외장재, 가구, 도어 및 광고재 등에 다양한 문양 또는 입체적 형상과 같은 장식적 미를 부여하는 인테리어 수단이다.
이러한 인테리어 필름으로,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 판재와 같은 금속 판재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금속 소재들은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거나,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광택 처리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 판재의 표면을 광택 처리한 후, 부식 가공, 연마 또는 비드 블래스트 공법 등을 통해 무늬를 형성하여 미려한 장식미가 구현된 인테리어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금속 소재는 인테리어재로 사용되어 고급스러운 외관을 표현할 수 있으나, 절단, 절삭 및 굴곡 등의 가공이 어렵고, 가격도 매우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의 해결을 위해서, 가공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플라스틱 소재에 금속 소재와 유사한 질감을 구현하여 인테리어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시도가 다양하게 행하여 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시도 중 대표적인 것에는 폴리에스테르계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연마 공법을 통해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하고, 알루미늄 진공 증착 등의 금속 증착 가공을 통해 금속 광택을 부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금속을 증착한 필름을 사용하여 금속 광택을 부여하는 경우, 장시간 사용에 따라서 수분이 침투하여 금속층이 부식되는 등, 내화학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0858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내화학성을 개선하면서도, 금속 증착 방식과 동등한 수준의 외관을 확보할 수 있는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어느 일면에 형성된 헤어라인 패턴층; 상기 기재층의 아래에 위치하는 금속잉크층; 및 상기 잉크층의 아래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잉크층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금속박편을 포함하는,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S1) 기재층의 어느 일면 이상을 브러쉬로 긁어서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S2) 상기 헤어라인이 형성된 기재층에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금속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S3) 상기 금속잉크층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은 금속 증착층을 사용하지 않는 금속잉크층을 사용하여 높은 내화학성을 유지하면서도,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종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종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표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표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비교예에 따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표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내식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내식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비교예에 따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내식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색차 및 광택을 평가하기 위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구체예는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인테리어 필름”은 심미성을 부여하고자 하거나 장식을 하고자 하는 부분에 부착시킬 수 있는 필름이나 시트를 의미한다.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적용 용도는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 가전제품, 전자제품, 자동차 내/외장재, 가구, 도어 및 광고재 등의 마감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테리어 필름
본 발명은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종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1)은
기재층(10); 상기 기재층의 어느 일면에 형성된 헤어라인 패턴층; 상기 기재층의 아래에 위치하는 금속잉크층(20); 및 상기 잉크층의 아래에 위치하는 접착층(30)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잉크층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금속박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인테리어 필름에 기계적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은 상기 금속잉크층 지지하여 필름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금속잉크층을 보호하여 내후성과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접착층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5 ㎛ 내지 300 ㎛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5 ㎛ 이상, 10 ㎛ 이상 또는 15 ㎛ 이상일 수 있고, 300 ㎛ 이하, 100 ㎛ 이하 또는 5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인테리어 필름의 형태 유지, 내후성 및 내구성 강화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가 5 ㎛ 미만이면 내후성과 내구성이 저하되며, 필름 형태로 유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고, 300 ㎛ 초과이면 인테리어 필름 전체 두께가 두꺼워져 적용 용도가 제한될 수 있고, 핸들링(handling)이 어려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어라인 패턴층은 상기 기재층의 어느 일면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어라인 패턴층은 기재층에 금속 질감을 구형하기 위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브러쉬(Brush) 헤어라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헤어라인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기재층의 표면을 브러시로 다수 회 긁어서 대상물의 표면에 머리결 또는 미세한 기스 형상의 줄무늬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아래에 위치하는 금속잉크층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금속잉크층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금속박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폴리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당해 업계에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일례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CAB) 수지 및 니트로 셀룰로오스(NC)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사용함에 따라서 후술하는 금속잉크층 수평선을 기준으로 평행도가 10°이하인 금속박편의 비율의 늘어나, 실제 금속을 증착한 필름과 유사한 정도의 금속 질감을 구현해주는 장점이 있다.
상기 금속박편은 금속박편은 수지는 당해 업계에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일례로 알루미늄 등의 금속의 박편일 수 있다. 상기 금속박편의 입경은 직경은 D50 기준으로 5 내지 18㎛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박편은 박막 plate 형태의 박편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박편의 입경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금속 박편의 입자감을 만족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상기 폴리올은 당해 업계에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일례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카프로락톤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올레핀 폴리올 및 아크릴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잉크층은 총중량 대비 셀룰로오스계 수지 30 내지 90 중량% 및 금속박편 0.01 내지 2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후술하는 금속잉크층 수평선을 기준으로 평행도가 10° 이하인 금속박편의 비율이 적어지고, 박편의 배향에 문제가 발생하며, 인테리어 필름의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금속잉크층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중량 대비 폴리올을 50 중량% 내지 500 중량%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잉크층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중량 대비 폴리올을 70 중량% 이상, 80 중량% 이상, 90 중량% 이상, 100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셀룰로오스계 수지 중량 대비 폴리올을 200 중량% 이하, 170 중량% 이하, 150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내열성이 떨어지고, 고휘도 특성이 발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잉크층 내의 금속박편은 금속잉크층 수평선을 기준으로 평행도가 10° 이하인 것의 비율이 90% 이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평평하게 잘 배향된 금속박편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서, 실제 금속을 증착한 필름과 유사한 정도의 금속 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금속잉크층의 두께는 300nm 내지 3㎛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잉크층의 두께는 300nm 이상, 0.5㎛ 이상 또는 1㎛ 이상일 수 있고, 3㎛ 이하, 2㎛ 이하 또는 1.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금속잉크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인테리어 필름의 형태 유지, 내후성 및 내구성 강화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금속잉크층의 두께가 300nm 미만이면 내후성과 내구성이 저하되며, 필름 형태로 유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고, 3㎛ 초과이면 인테리어 필름 전체 두께가 두꺼워져 적용 용도가 제한될 수 있고, 핸들링(handling)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금속코팅층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그라비아 코팅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잉크층의 아래에 접착층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인테리어 필름을 적용하고자 하는 부분에 상기 인테리어 필름이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인테리어 필름에 우수한 계면 부착성 및 내습성을 부여하여, 상기 인테리어 필름이 외부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에폭시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비닐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및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400 nm 내지 5 um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400nm 이상, 1um 이상 또는 2 um 이상일 수 있고, 5 um 이하, 3 um 이하 또는 1 u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가 400 nm 미만이면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5 um 초과이면 부착된 인테리어 필름이 밀려서 그 형태가 일그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하면에 위치한 이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종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1)은 기재층(10); 및 상기 기재층(10) 아래에 형성된 금속잉크층 (20)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잉크층(20)의 하면에는 접착층(3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아래에 이형층(40)이 추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은 인테리어 필름이 구체적인 대상에 적용되기 전에 박리 및 제거되는 층으로서, 인테리어 필름의 제품 상태에서 접착층을 보호하여,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유통을 원활히 하고,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 이후 시공 전까지 형상 및 물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형층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형제, 이형필름, 이형시트 등을 광범위하게 포함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이형층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일례로 PVC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층의 두께는 0.1 내지 5 ㎛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형층의 두께는 0.1 ㎛ 이상, 0.5 ㎛ 이상 또는 1 ㎛ 이상일 수 있고, 3 ㎛ 이하, 4 ㎛ 이하 또는 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에 포함될 경우, 상기 접착층으로부터의 박리가 용이하고 상부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우수한 가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의 두께가 0.1 ㎛ 미만이면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박리 시 찢어질 수 있고, 이형층의 상부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이형층이 손상되거나 접착층 형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의 두께가 5 ㎛ 초과이면 상기 접착층으로부터의 박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인테리어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져 유통 과정에서 운송 등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은 상기 기재층과 상기 금속잉크층 사이에 프라이머층 및 인쇄(Printing) 헤어라인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각 층간의 접착력을 높여 상기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내구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프라이머 조성물을 대상층의 표면에 공지의 인쇄 방법 또는 도포방법에 따라 도포하고, 열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아크릴우레탄 수지, 비닐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약 0.5㎛ 내지 약 5㎛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지의 용액상 점도를 변화시켜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사용되는 그라비아 인쇄 롤 또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인쇄 롤에 따라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그라비아 인쇄 롤과 상기 마이크로 그라비아 인쇄 롤은 메쉬크기와 심도로 구분되며, 상기 메쉬크기는 단위 넓이당 포함된 사선수를 의미한다. 상기 마이크로 그라비아 인쇄 롤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 롤에 비해 단위 넓이당 사선수가 많지만, 심도가 얕아 상기 포켓에 묻는 코팅 조성물의 양이 적어 그라비아 인쇄 롤에 비해 얇은 두께로 코팅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인쇄(Printing) 헤어라인층은 그라비아 패턴롤을 사용하여 헤어라인 인쇄를 진행한다. 상기 헤어라인 인쇄시에 사용하는 재료 당해 업계에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일례로 당해 업계에서 사용하는 잉크나 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구조 및 구성물질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은,
(S1) 기재층의 어느 일면 이상을 브러쉬로 긁어서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S2) 상기 헤어라인이 형성된 기재층에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금속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S3) 상기 금속잉크층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S3) 이후에, (S4) 접착층의 일면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각 단계별로 본 발명의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S1) 단계에서는 기재층의 어느 일면 이상을 브러쉬로 긁어서 헤어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 상에 기재층에 금속 질감을 구형하기 위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브러쉬(Brush) 헤어라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헤어라인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기재층의 표면을 브러시로 다수 회 긁어서 대상물의 표면에 머리결 또는 미세한 기스 형상의 줄무늬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S2) 단계에서는, 상기 헤어라인이 형성된 기재층에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금속잉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금속박편 외에 용매를 더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폴리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다. 상기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5 내지 12 중량%, 금속박편 0.1 내지 2 중량% 및 용매 60 내지 90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폴리올 3 내지 1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로 금속잉크층을 형성하는 경우, 그라비아 코팅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S3) 단계에서는, 상기 금속잉크층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코팅은 폴리에스테르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콤마 코타 공법으로 도포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불투명층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입체감을 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체층을 불투명층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접착제에 안료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히드록실기 함유 아크릴계 접착제,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경화제로서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헥사메틸렌디이소아네이트(HDI),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DI),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용제로서는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4) 단계에서는, 접착층의 일면에 이형층을 형성하는데, 이형제를 코팅시킬 수도 있고, 이형 필름 또는 이형 시트를 부착시켜 형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S1) 단계과 (S2) 단계 사이에, 프라이머층 및 인쇄(Printing) 헤어라인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을 더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 및 인쇄(Printing) 헤어라인층의 형성방법을 업계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은 상기 이형층이 제거된 후, 상기 접착층에 의해 피착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인테리어 필름은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 가전제품, 전자제품, 자동차 내/외장재, 가구, 도어 및 광고재 등의 마감재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
금속 박편 입자(쉬랭크, 입도 10 ㎛ ) 0.5 중량%(고형분 기준)를 니트로 셀룰로오스 7 중량%, 폴리올 5 중량%,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1.5 중량% 및 용매((MEK : PM : Tol를 7: 1: 2로 혼합)를 잔량으로 혼합하여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MEK는 메틸 에틸 케톤이고, PM은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이고 Tol은 톨루엔이다.
제조예 2: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
니트로 셀룰로오스 7 중량%, 폴리올 5 중량% 대신, 니트로 셀룰로오스 2 중량%, 폴리올 10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
니트로 셀룰로오스 7 중량%, 폴리올 5 중량% 대신, 니트로 셀룰로오스 4.5 중량%, 폴리올 7.5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
니트로 셀룰로오스 7 중량%, 폴리올 5 중량% 대신, 니트로 셀룰로오스 6 중량%, 폴리올 6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
니트로 셀룰로오스 7 중량%, 폴리올 5 중량% 대신, 니트로 셀룰로오스 8 중량%, 폴리올 4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
폴리올 5 중량%, 니트로 셀룰로오스 7 중량% 대신, 비닐 수지 2.4 중량%와 우레탄 수지 9.6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30 ㎛ 두께의 PET 필름(효성 제품)을 기재층으로 준비한 후, 여기에 헤어라인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브러시로 표면을 5회 긁어서 헤어라인을 형성하였다.
상기 헤어라인이 형성된 기재층 상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팅하고, 히트 박스에서 50℃로 건조시켜 두께 1 ㎛인 금속잉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금속잉크층의 하면에 두께 1 ㎛의 아크릴계 접착제를 코팅하여 접착층을 형성하여 인테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테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은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테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제조예 4에서 얻은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테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제조예 5에서 얻은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테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조예 6에서 얻은 표면층 형성용 조성물로 표면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테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알루미늄 금속층을 사용한 종래의 제품(PET Metalon, 엘지 하우시스)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인테리어 필름의 물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인테리어 필름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예 1: 인테리어 필름의 구조 확인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인테리어 필름과 비교예 1의 인테리어 필름을 ultramicrotome (leica, em uc7)로 절단한 시편의 측면을 SEM (Zeiss, Marlin compact)으로 촬영하여 이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을 보면, 본 발명의 인테리어 필름은 특정 조성의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함에 따라서, 금속잉크층 내의 금속박편이 수평 방향으로 잘 배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금속잉크층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금속박편의 평행도가 10° 이하인 것의 비율이 90%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에 비하여 도 4를 보면, 금속잉크층 내의 금속박편이 수평 방향으로 배향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인테리어 필름의 외관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인테리어 필름과 비교예 1 내지 2의 인테리어 필름을 SEM (Zeiss, Marlin compact)으로 이를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냈다.
도 5와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인테리어 필름은 고투명 PET와 특정 조성의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함에 따라서,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제조한 비교예 2와 유사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종래의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고휘도 금속의 외관을 구현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인테리어 필름의 내식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인테리어 필름과 비교예 1 내지 2의 인테리어 필름을 제조한 후 이를 35℃의 5% NaCl에서 10일간 보관한 후, 사진 촬영하여 이를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냈다.
도 8 및 도 10의 비교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인테리어 필름은 특정 조성의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함에 따라서, 금속의 산화반응을 차단함에 따라서, 기존의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제조한 비교예 2나 기존의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한 비교예 1에 비하여 내식성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조성 함량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외관 평가
실시예 2 내지 5에서 제조된 인테리어 필름에 대한 색차 및 광택을 측정하여 하기 표 1 및 도 11에 나타냈다. 하기 표 1에서 색차는 CM-2600D (코니카 미놀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광택은 AG-4561 (BY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색차 NC : Polyol 중량비
실시예 2
(1:5)
실시예 3
(3:5)
실시예 4
(5:5)
실시예 5
(10:5)
코팅면 측정
(1차)
L 77.4 72.9 74.4 76.5
a -0.3 -0.35 0.3 -0.47
b -0.44 1 1.13 0.75
광택
(60°)
130 164 169 126
코팅면 측정
(2차)
L 77 77.03 77.24 77.15
a -0.39 -0.51 -0.37 -0.48
b 0.74 0 -0.34 -0.48
광택
(60°)
140 186 190 170
도 11과 표 1을 살펴보면, 니트로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5의 경우, 혼합 수지의 점도가 높아서 도막형성이 원활하게 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슷한 수준의 L값 (밝기)에서 광택이 높을 수록 육안상 고휘도 제품으로 인지하게 되는데(즉, 고광택일 수록 같은 L값 (밝기)에서 어둡게 인지됨), 도 11과 표 1을 살펴보면, 실시예 3 및 4이 다른 실시예에 비하여 고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 인테리어 필름
10: 기재층
20: 금속잉크층
30: 접착층
40: 이형층

Claims (13)

  1.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어느 일면에 형성된 헤어라인 패턴층;
    상기 기재층의 아래에 위치하는 금속잉크층; 및
    상기 금속잉크층의 아래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잉크층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금속박편을 포함하는,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라인 패턴층은, 브러쉬(Brush) 헤어라인 패턴이 구현된 것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CAB) 수지 및 니트로 셀룰로오스(NC)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잉크층은, 폴리올을 더 포함하는 것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카프로락톤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올레핀 폴리올 및 아크릴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편은 금속잉크층 수평선을 기준으로 평행도가 10° 이하인 것의 비율이 90% 이상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편은 알루미늄의 박편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편의 입경은 D50 기준으로 5~18㎛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 상기 금속잉크층 사이에 프라이머층 및 인쇄(Printing) 헤어라인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하는,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계 접착제, 비닐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및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하면에 형성된 이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13. (S1) 기재층의 어느 일면 이상을 브러쉬로 긁어서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S2) 상기 헤어라인이 형성된 기재층에 금속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금속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S3) 상기 금속잉크층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210185934A 2020-12-23 2021-12-23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655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82384 2020-12-23
KR1020200182384 2020-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420A true KR20220091420A (ko) 2022-06-30
KR102655195B1 KR102655195B1 (ko) 2024-04-05

Family

ID=8221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934A KR102655195B1 (ko) 2020-12-23 2021-12-23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1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462A (ko) * 1991-09-19 1993-04-21 마쓰모도 도오루 알바더식 파인더
JP2006123390A (ja) * 2004-10-29 2006-05-18 Kojima Press Co Ltd 金属調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104710A (ko) * 2008-03-31 2009-10-06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장식 시트 및 그것이 적층된 장식재
KR20100008582A (ko) 2008-07-16 2010-01-26 (주)엘지하우시스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KR20110068435A (ko) * 2009-12-16 2011-06-22 (주)엘지하우시스 헤어라인 금속효과가 우수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3206A (ko) * 2017-08-01 2019-02-11 주식회사 케이씨씨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필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462A (ko) * 1991-09-19 1993-04-21 마쓰모도 도오루 알바더식 파인더
JP2006123390A (ja) * 2004-10-29 2006-05-18 Kojima Press Co Ltd 金属調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104710A (ko) * 2008-03-31 2009-10-06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장식 시트 및 그것이 적층된 장식재
KR20100008582A (ko) 2008-07-16 2010-01-26 (주)엘지하우시스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KR20110068435A (ko) * 2009-12-16 2011-06-22 (주)엘지하우시스 헤어라인 금속효과가 우수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3206A (ko) * 2017-08-01 2019-02-11 주식회사 케이씨씨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195B1 (ko)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84654B (zh) 装饰片和装饰板、以及它们的制造方法
JP4885363B2 (ja) 光沢金属化ラミネートフィルム
CN114734705A (zh) 装饰性膜以及与其整合的制品
KR101068277B1 (ko) 인사이드 헤어라인 인서트 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10308832B2 (en) Hydraulic transfer film and molded product decorated using same
EP3848199A1 (en) Decorative sheet, decorative panel, and coating agent for forming surface protective layer
CN106061727A (zh) 金属外观效果优秀的装饰膜及其制备方法
JP2008080650A (ja) 化粧シート
KR101281430B1 (ko) 헤어라인 금속효과가 우수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8087303A (ja) インサート成形用加飾シート
JP5533937B2 (ja) 化粧シート
EP3053738A1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resin molded article
JP2004050777A (ja) 化粧シート
JP3209532U (ja) 光輝性装飾シート
KR102655195B1 (ko)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3959825B2 (ja) 化粧シート
KR101248743B1 (ko) 성형가공 후에도 높은 광택을 가지는 성형용 적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0343649A (ja) 化粧シート
JP2015214031A (ja) 転写フィルムおよび装飾成形品
JP2002187238A (ja) 光輝性積層シート
WO2021167050A1 (ja) 化粧材、積層体及び化粧材の製造方法
CN111376638B (zh) 装饰膜成型体、装饰膜成型体的制造方法
JP2017530883A (ja) シボ面を有するエラストマースキンを製造する方法
JP7400212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金属板
KR101288901B1 (ko) 펄 감을 가지는 장식시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