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430B1 - 헤어라인 금속효과가 우수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헤어라인 금속효과가 우수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430B1
KR101281430B1 KR1020090125393A KR20090125393A KR101281430B1 KR 101281430 B1 KR101281430 B1 KR 101281430B1 KR 1020090125393 A KR1020090125393 A KR 1020090125393A KR 20090125393 A KR20090125393 A KR 20090125393A KR 101281430 B1 KR101281430 B1 KR 101281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airline
decorative sheet
transparent resi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435A (ko
Inventor
김형곤
이민호
김기정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125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4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15Hot-melt adhesive
    • B32B2037/1223Hot-melt adhesive film-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라인 금속효과가 우수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어라인을 형성함에 있어서, 이형필름에 헤어라인을 형성한 다음, 이를 투명수지층에 전이시키는 캐스팅 방법으로 헤어라인을 형성함으로써, 미려한 헤어라인 금속효과(금속질감)를 가지면서 성형성 및 치수안정성 등이 우수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헤어라인, 장식시트, 인서트, 금속, 마감재

Description

헤어라인 금속효과가 우수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HAIRLINE DECORATION SHEET HAVING EXCELLENT METALLIC EFFECT}
본 발명은 헤어라인 금속효과가 우수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어라인을 형성함에 있어서, 이형필름에 헤어라인을 형성한 다음, 이를 투명수지층에 전이되도록 함으로써, 미려한 헤어라인 금속효과(금속질감)를 가지면서 치수안정성 및 성형성 등이 우수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디자인은 구매에 매우 높은 영향을 준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산업 제품은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이 구현되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 제품의 경우에는 그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예를 들어 천연소재의 디자인이 구현되도록 표면에 장식시트를 부착하고 있다. 장식시트는 생활 가전제품, 자동차 내ㆍ외장재, 가구 및 건축물의 내ㆍ외장재 등의 표면 마감재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금속질감(금속효과)과 헤어라인 무늬를 가지는 장식시트는 높은 심미적 효과를 제공하여 장식성 마감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장식시트는 플라스틱 제품, 특히 플라스틱 사출 제품의 경우에는 인서트 성형 공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서트 성형 공법은 다음과 진행된다. 먼저, 장식효과(헤어라인 및 금속효과)를 갖도록 장식시트를 제조한 후, 사출 제품의 크기 및 모양에 맞도록 재단한다. 그리고 사출기 금형 안에 장식시트를 투입한 다음, 장식시트의 배면에 사출 제품용 용융 수지를 사출, 고화시킴으로써, 사출 부품의 표면에 원하는 장식효과를 부여한다. 이러한 인서트 성형 공법은 여러 장점을 제공한다. 인서트 성형용 장식시트를 이용한 제품은 도장 등의 방식으로 사출물에 직접 장식효과를 부여하거나, 점착시트 등을 부착하는 공법과 비교하여, 구현할 수 있는 장식효과가 다양하고, 제품 형상의 제약이 적은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인서트 성형용 장식시트는 자동차의 내ㆍ외장재, 가전제품의 케이스 등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헤어라인 금속효과를 가지는 장식시트는 연마지를 이용하여 헤어라인 무늬를 투명필름에 직접 긁어내어 헤어라인을 구현한 후, 금속층을 증착하고 기재시트를 합판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표면 장식효과로서 미려한 헤어라인 금속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금속질감과 함께 뚜렷한 헤어라인 무늬를 가져야 한다. 이때, 뚜렷한 헤어라인 무늬를 갖도록 상기 투명필름은 우수한 성형성을 가져야 한다. 즉, 투명필름은 연마지를 통해 헤어라인 무늬가 잘 구현되도록 소정의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투명필름은 제조공정에서 수반되는 치수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장식시트는 치수안정성이 떨어져 제조공정에 한계를 갖거나, 성형성이 떨어져 헤어라인 무늬가 뚜렷하지 않고 사출 제품에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성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 만큼 투명필름의 치수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치수안정성의 Trade-Off 관계로 인해 고온의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제조공정에 여러 제약(한계)이 따른다. 또한, 이와 반대로 치수안정성이 높은 투명필름의 경우 연마제를 통한 헤어라인 구현 시 경도가 높아 뚜렷한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하기 어렵다. 이와 함께 치수안정성이 높은 경우 성형성이 떨어져 사출 제품에 적용 시 사출 제품의 형상과 일치(융합)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장식시트는 치수안정성이 없거나, 성형성이 떨어지고, 미려한 헤어라인 금속효과를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와 같이 투명필름에 헤어라인을 직접 구현하지 않고, 이형필름에 헤어라인을 형성한 다음, 이를 투명수지층에 전이시킴으로써, 우수한 치수안정성 및 성형성 등을 가지면서 헤어라인 무늬가 뚜렷하여 헤어라인 금속효과(금속질감)가 우수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어라인이 형성된 투명수지층;
상기 투명수지층의 헤어라인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 형성된 금속층;
상기 금속층의 하부에 형성된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의 하부에 형성된 기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수지층에 형성된 헤어라인은, 이형필름에 형성된 헤어라인이 전이되어 형성된 장식시트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는, 상기 투명수지층과 금속층의 사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하거나, 상기 접착제층과 기재층의 사이에 형성된 인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형필름에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형필름의 헤어라인이 형성된 면에 투명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수지층 상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층 상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층 상에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하여 투명수지층의 표면에 헤어라인이 전이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은, 상기 투명수지층과 금속층의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접착제층과 기재층의 사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형필름에 헤어라인을 형성한 다음, 이를 투명수지층에 전이시키는 캐스팅 방법으로 헤어라인이 뚜렷하게 구현되어, 우수한 헤어라인 금속효과를 갖는다. 또한, 투명수지층은 치수안정성 및 성형성이 높은 재질의 사용이 가능하여 장식시트의 제조공정에 제약이 따르지 않고, 사출 제품에 적용시 성형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치수안정성 및 성형성 등을 가지면서 헤어라인 금속효과(금속질감)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시트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0)는 헤어라인(H)이 형성된 투명수지층(10); 상기 투명수지층(10)의 하부에 형성된 금속층(20); 상기 금속층(20)의 하부에 형성된 접착제층(30); 및 상기 접착제층(30)의 하부에 형성된 기재층(40)을 포함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0)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라서, 상기 투명수지층(10)과 금속층(20)의 사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라서, 상기 접착제층(30)과 기재층(40)의 사이에 형성된 인쇄층(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명수지층(10)의 일면(상부면)에는 헤어라인(H)이 형성되어 있고, 반대쪽 다른 면(하부면)에는 금속층(20)이 형성된 구조(도 1)를 갖거나 프라이머층(50)이 형성된 구조(도 2)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금속층(20)과 프라이머층(50)은 투명수지층(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되, 투명수지층(10)의 헤어라인(H)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투명수지층(10)에 형성된 헤어라인(H)은, 본 발명에 따라서 이형필름(200)에 형성된 헤어라인(H)이 캐스팅 방법으로 전이되어 형성된다. 이를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0)의 제조방법은, 이형필름(200)에 헤어라인(H)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형필름(200)의 헤어라인(H)이 형성된 면에 투명수지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수지층(10) 상에 금속층(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층(20) 상에 접착제층(3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층(30) 상에 기재층(4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필름(200)을 제거하여 투명수지층(10)의 표면에 헤어라인(H)이 전이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0)의 제조방법은, 투명수지층(10)과 금속층(20)의 사이에 프라이머층(5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0)의 제조방법은, 접착제층(30)과 기재층(40)의 사이에 인쇄층(6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헤어라인(H)은 종래와 같이 투명필름에 헤어라인을 직접 구현하지 않고, 별도의 이형필름(200)에 헤어라인(H)을 형성한 다음, 이를 투명수지층(10)에 전이시키는 캐스팅 방법으로 투명수지층(10)에 헤어라인(H)이 구현된다. 이때, 상기 이형필름(200)에 헤어라인(H)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마지를 이용하여 긁어내는 방법으로 이형필름(200)에 헤어라인(H)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이형필름(200) 상에 별도의 수지를 헤어라인 무늬로 코팅, 경화시켜 헤어라인(H)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헤어라인 형성용 수지는, 예를 들어 열경화형 수지 또는 UV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200)은 여기에 형성된 헤어라인(H)이 투명수지층(10)에 전이되게 한 후, 박리 제거된다. 즉, 이형필름(200)은 최종 제품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형필름(200)은 그 재질이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치수안정성을 가지면 것이면 좋다. 상기 이형필름(200)은, 예를 들어 치수안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형필름(200)은, 바람직하게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하면 좋다.
상기 투명수지층(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의 헤어라인 효과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투명수지층(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를 인서트 성형 공법으로 사출 제품에 적용할 때, 또는 장식시트(100)의 제조공정 시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하부의 금속층(20) 및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인쇄층(6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투명수지층(10)은, 헤어라인(H)이 구현된 이형필름(200)에 수지 조성물이 도포된 후 건조(경화)되어 형성된다. 이때, 투명수지층(10)을 구성하는 수지 수 성물은 이형필름(200)의 헤어라인(H)이 형성된 면에 도포된다. 그리고 투명수지층(10)의 형성(도포, 건조) 후, 이형필름(200)은 박리, 제거된다. 이에 따라, 투명수지층(10)의 표면에는 이형필름(200)에 형성된 헤어라인(H) 무늬가 전이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이형필름(200)은 투명수지층(10)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금속층(20), 접착제층(30) 및 기재층(40) 등을 적층, 형성한 후에 박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투명수지층(10)은 헤어라인(H) 무늬가 뚜렷하게 구현될 수 있고, 치수안정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재질로부터 선택되면 좋다. 상기 투명수지층(10)은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수지층(10)은 상기 나열한 수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수지가 적절한 조성비로 포함된 수지 조성물을 이형필름(200)에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코팅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콤마 코팅, 슬롯다이 코팅, 롤 코팅, 리버스 롤 코팅 등의 다양한 코팅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수지층(10)은 이형필름(200)에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하되, 수지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나열한 수지(고형분) 15 ~ 40중량부 및 유기용제 60 ~ 85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용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톨루엔, 크실렌,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투명수지층(10)은 금속층(20) 및 인쇄층(60)의 보호능이 향상되도록 내화학성 및 내스크래치성 등이 우수하면 좋다. 이때, 내화학성 및 내스크래치성 등이 향상되도록 투명수지층(10)을 구성하는 상기 수지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 디이소아네이트(HMDI ; Hexamethylene Diisocyanate),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 Toluene Diisocyanate),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및 이소프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 Isophorone Diisocyanate)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수지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 ~ 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0.2 ~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투명수지층(10)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각 성분의 중량비에 있어서 최종제품의 요구물성 및 공정조건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내스크래치성, 내화학성, 내광성, 성형성, 치수안정성, 깨짐성, 코팅방법, 경화시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경화제 함량을 3중량부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층(20)은 투명수지층(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장식시트(10)의 금속효과(금속질감)를 부여해주는 것으로서, 이는 다양한 금속 코팅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층(20)을 구성하는 금속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크롬, 니켈, SUS, 구리, 은, 금 및 백금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 다. 아울러, 상기 금속층(20)은 진공증착, 스퍼터링(Sputtering), 페이스트(paste) 코팅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퍼터링 공법이 적용되면 좋다.
상기 접착제층(30)은 금속층(20)과 기재층(40)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는 금속층(20)과 기재층(40)의 견고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접착제층(30)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아크릴 수지 및 에폭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의 접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제층(30)은 상기 나열한 접착성 수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수지가 적절한 조성비로 포함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금속층(20)에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코팅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콤마 코팅, 슬롯다이 코팅, 롤 코팅, 리버스 롤 코팅 등의 다양한 코팅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30)은 접착성 수지 조성물이 금속층(20)에 코팅되어 형성되되, 접착성 수지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나열한 접착성 수지(고형분) 15 ~ 50중량부 및 유기용제 50 ~ 85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용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톨루엔, 크실렌,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접착제층(30)을 구성하 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 디이소아네이트(HMDI),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및 이소프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 ~ 5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 2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접착제층(20)은 핫멜트(hot melt) 방식으로 접착성 수지를 직접 압출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접착성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폴리우레탄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4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0)의 지지력 및 기계적 물성 등을 위한 것으로서, 이는 합성수지, 섬유, 종이 등으로부터 선택된 기재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4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를 인서트 성형 공법으로 사출 제품에 적용할 경우 투명수지층(10), 금속층(20) 및 인쇄층(60) 등을 보호해 줄 수 있으면 좋다. 구체적으로, 사출 제품의 사출 시 용용수지의 열과 압력으로부터 투명수지층(10), 금속층(20) 및 인쇄층(60) 등을 보호해 줄 수 있으면 좋다. 상기 기재층(40)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로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우레탄(PU, TPU 등), 및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등으로 이 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기재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재층(40)의 선정은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 공법으로 적용 시 사출 제품에 사용되는 용융수지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기재층(40)은, 예를 들어 자동차 내ㆍ외장재용 사출 제품의 경우에는 ABS 수지나 폴리올레핀계 시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가전제품의 경우에는 ABS, PC 또는 PC/ABS 시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40)은 건식 전사 방식을 통하여 합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형필름(200), 투명수지층(10), 금속층(20) 및 접착제층(30)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된 전사필름을 얻고, 상기 전사필름의 접착제층(30) 상에 건식 전사 방식을 통하여 열가소성 기재시트를 적층, 가압하여 기재층(40)이 합판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건식 전사 공정에서는 열가소성 기재시트와 전사필름이 130 ~ 180℃의 온도범위에서 고무재질의 롤과 스틸재질의 롤 사이에 함께 지나가도록 하여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 롤을 지나가도록 한 다음, 상기 전사필름의 이형필름(200)을 박리, 제거하여 헤어라인(H) 무늬가 투명수지층(10)이 전이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0)는 상기 투명수지층(10)과 금속층(20)의 사이에 프라이머층(5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프라이머층(50)은 투명수지층(10)과 금속층(20)이 낮은 접착 강도를 가질 때, 양자 간의 접착력 증진을 위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라이머층(50)은 투명수지층(10)과 금속층(20)이 통상적인 테이프 박리 테스트에서 박리가 일어날 때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프라이머층(50)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금속층(20)의 종류 및 코 팅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50)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및 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지 조성물에는 경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0)는 상기 접착층(30)과 기재층(40)의 사이에 형성된 인쇄층(6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인쇄무늬를 통한 장식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적용되거나, 금속층(20)에 의해 구현되는 장식시트(100)의 색상을 변경하고자 할 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층(60)은 바인더와 잉크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이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치수안정성 및 성형성 등을 가지면서 헤어라인(H) 무늬가 뚜렷하여 미려한 헤어라인 금속효과(금속질감)를 갖는다. 종래와 같이 투명필름에 헤어라인을 직접 구현하는 경우, 치수안정성을 고려하게 되면 헤어라인 무늬가 뚜렷하지 않고 성형성이 떨어져 사출 제품에 적용이 어렵거나, 성형성을 고려하게 되면 치수안정성이 떨어져 제조공정에 여러 제약(한계)이 따른다. 그러나 투명필름에 헤어라인을 직접 구현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라서 이형필름(200)에 헤어라인(H)을 형성한 다음, 이를 투명수지층(10)에 전이시키는 캐스팅 방법으로 구현하는 경우, 투명수지층(10)의 재질이 제한되지 않아 우수한 치수안정성 및 성형성을 가지는 재질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치수안정성 등을 가져 제조공정에 제약이 따르지 않으면서, 성형성이 우수하여 사출 제품에 적용이 용이하다. 그리고 헤어라인(H) 무늬가 뚜렷하게 구현되어 미려한 장식효과(헤어라인 금속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0)는 금속 제품이나 플라스틱 제품, 예를 들어 생활 가전제품, 자동차 내ㆍ외장재, 가구 및 건축물의 내ㆍ외장재 등의 표면 마감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사용 제품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0)는 자동차 내ㆍ외장재, 가구 및 건축물의 내ㆍ외장재 등의 제품에 적용 시, 예를 들어 접착제(점착제)를 통해 부착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0)는, 상기 기재층(40)의 하부에 형성된 점착제층(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점착제층의 하부에 형성된 이형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더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형부재는 제품에 적용된 후 탈리, 제거되는 것으로서, 이는 이형성의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0)는 플라스틱 사출 제품의 경우에는 인서트 성형 공법을 통해 적용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사출 제품에 적용 시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0)를 사출 제품의 크기 및 모양에 맞도록 재단한 후, 사출기 금형 안에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100)를 투입한 다음, 장식시트(100)의 배면에 사출 제품용 용융 수지를 사출, 고화시키는 방법으로 적용되는 것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시트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투명수지층 20 : 금속층
30 : 접착제층 40 : 기재층
50 : 프라이머층 60 : 인쇄층
100 : 장식시트 200 : 이형필름
H : 헤어라인

Claims (15)

  1. 헤어라인이 형성된 투명수지층;
    상기 투명수지층의 헤어라인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 형성된 금속층;
    상기 금속층의 하부에 형성된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의 형성 후 상기 접착제층의 하부에 형성된 기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수지층에 형성된 헤어라인은, 이형필름에 형성된 헤어라인이 전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투명수지층과 금속층의 사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접착제층과 기재층의 사이에 형성된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이형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시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투명수지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시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접착제층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아크릴 수지 및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시트.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기재층은 아크릴로부타디엔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및 폴리올레핀계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시트.
  8. 이형필름에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형필름의 헤어라인이 형성된 면에 투명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수지층 상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층 상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층 상에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하여 투명수지층의 표면에 헤어라인이 전이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시트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투명수지층과 금속층의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시트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접착제층과 기재층의 사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시트의 제조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이형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시트의 제조방법.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투명수지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형필름에 코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시트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투명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시트의 제조방법.
  14.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접착제층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아크릴 수지 및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금속층에 코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시트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시트의 제조방법.
KR1020090125393A 2009-12-16 2009-12-16 헤어라인 금속효과가 우수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281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393A KR101281430B1 (ko) 2009-12-16 2009-12-16 헤어라인 금속효과가 우수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393A KR101281430B1 (ko) 2009-12-16 2009-12-16 헤어라인 금속효과가 우수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435A KR20110068435A (ko) 2011-06-22
KR101281430B1 true KR101281430B1 (ko) 2013-07-02

Family

ID=4440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393A KR101281430B1 (ko) 2009-12-16 2009-12-16 헤어라인 금속효과가 우수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4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397A (ko) 2014-09-18 2016-03-28 (주)에스케이엠 수지계 시트의 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코팅장치
KR20220008623A (ko) 2020-07-14 2022-01-21 주식회사 동남티에스 금속증착층에 의한 장식패턴의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장식패턴을 포함한 플라스틱 장식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553A (ko) * 2014-02-28 2015-09-07 (주)엘지하우시스 금속 외관 효과가 우수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7179438B2 (ja) 2016-08-25 2022-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金型の製造方法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2039254B1 (ko) * 2018-04-16 2019-10-31 송민근 헤어라인패턴이 형성된 장식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58172B1 (ko) * 2020-02-12 2020-09-22 주식회사 디에스피 금속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55195B1 (ko) * 2020-12-23 2024-04-05 (주)엘엑스하우시스 고휘도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5673A (ja) 2001-11-13 2003-05-20 Katani Sangyo Kk 金属調化粧シート
JP2005246887A (ja) 2004-03-05 2005-09-15 Shozaburo Sumi 金属調化粧シート、化粧金属板
KR200400382Y1 (ko) 2005-08-19 2005-11-04 박의석 투명 또는 칼라투명 합성수지재 헤어라인 미러
KR100840992B1 (ko) 2007-04-16 2008-06-24 오선호 표면처리제에 구형물질이 함유된 고광택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5673A (ja) 2001-11-13 2003-05-20 Katani Sangyo Kk 金属調化粧シート
JP2005246887A (ja) 2004-03-05 2005-09-15 Shozaburo Sumi 金属調化粧シート、化粧金属板
KR200400382Y1 (ko) 2005-08-19 2005-11-04 박의석 투명 또는 칼라투명 합성수지재 헤어라인 미러
KR100840992B1 (ko) 2007-04-16 2008-06-24 오선호 표면처리제에 구형물질이 함유된 고광택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397A (ko) 2014-09-18 2016-03-28 (주)에스케이엠 수지계 시트의 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코팅장치
KR20220008623A (ko) 2020-07-14 2022-01-21 주식회사 동남티에스 금속증착층에 의한 장식패턴의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장식패턴을 포함한 플라스틱 장식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435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430B1 (ko) 헤어라인 금속효과가 우수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23799B1 (ko) 엠보싱 장식 사출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5296059B2 (ja) 優れた立体感を有する転写シート
KR101437784B1 (ko) 종방향 헤어라인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303048B (zh) 装饰用转印膜及成型品
CN109321033A (zh) 油墨组合物及利用其的室内装饰薄膜
KR20120099129A (ko) 장식 성형물의 제조 방법
KR20190025996A (ko) 전사 필름,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 전사 필름의 용도, 및 부품의 코팅 방법
KR100888656B1 (ko) 인몰드 성형용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합성수지 제품과 금속판의 제조방법
KR101281355B1 (ko) 인서트 엠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5903768B2 (ja) 転写箔、および転写箔の製造方法
KR101470645B1 (ko) 인서트 가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101303418B1 (ko) 인테리어용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3514565B2 (ja) インサートフィルムとこれを用いた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KR102033683B1 (ko) 두께감 및 메탈감을 갖는 고광택 문양 구현이 가능한 데코필름 제조방법 및 그 데코필름
KR101222067B1 (ko) 입체장식효과를 가지는 인서트 성형용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4411A (ko) 인테리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N101746171B (zh) 抗磨耗转印架构
KR20090013740A (ko) 인몰드 성형용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 제품과 금속판의 제조방법
US20130269872A1 (en) Decorative sheet for decorating a surface of a three-dimensional molded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corating the surface of the molded material using the same
JP3710858B2 (ja) 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サートフィルム
KR20090131419A (ko) 가죽시트로 이루어진 표면을 갖는 인서트 필름 및 이를이용한 사출품의 제조 방법
KR102100669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KR102100671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JP4488843B2 (ja) 成形同時加飾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