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670A -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670A
KR20190136670A KR1020180062669A KR20180062669A KR20190136670A KR 20190136670 A KR20190136670 A KR 20190136670A KR 1020180062669 A KR1020180062669 A KR 1020180062669A KR 20180062669 A KR20180062669 A KR 20180062669A KR 20190136670 A KR20190136670 A KR 20190136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color pattern
colo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2566B1 (ko
Inventor
이해중
권혁천
이효수
심동렬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62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56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재층 상에 금속을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증착층 상에 투명필름을 부착하여 투명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필름층 상에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투명필름층 상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임프린팅 및 자외선 경화하여 칼라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다양한 칼라를 가지고 입체감 있는 다양한 패턴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가공성이 우수한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Color patterned adhesiv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임프린팅 및 자외선 경화하여 칼라 패턴층이 형성된 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과 같은 대형 가전제품이나 서랍장, 수납장과 같은 대형 가구제품 표면, 건축 내외장재 및 마감재로 금속재를 사용할 경우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고 금속 고유의 질감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작업자가 사포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금속재 표면에 헤어라인을 일일이 형성함으로써, 금속 특유의 광택을 감소시켜 기스 등이 발생해도 눈에 띄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헤어라인의 미세한 굴곡에 의해 빛의 난반사가 일어나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어 가전제품 및 건축물의 내외장재에 헤어라인이 형성된 금속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금속재는 가격이 고가이고, 무거우며, 부식 발생 등의 물성문제로 인하여 이를 대신하여, 가공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플라스틱 소재에 상기 금속재와 유사한 효과를 갖는 인테리어 필름을 제조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어 왔다.
종래에는 금속재의 질감을 갖는 인테리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투명필름 상부 또는 하부에 헤어라인 무늬를 갖도록 투명잉크를 스크린 인쇄 후, 인쇄면 상에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여 합성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투명잉크를 사용하여 스크린 인쇄하는 방식으로 헤어라인이 구현된 금속질감을 갖는 인테리어 필름의 경우, 입체감 및 금속재 질감이 떨어지고 제조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었고, 투명잉크를 사용하므로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없었으며, 헤어라인 패턴 외에 다른 입체감 있는 다양한 패턴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편, 다양한 색상의 인테리어 필름을 구현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투명필름 상부 또는 하부에 그라비아 인쇄를 하여 인쇄층 형성 후 접착제를 도포하여 PVC 필름과 합지함으로써 인테리어 필름을 제조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인테리어 필름의 경우 입체패턴은 구현하지 못하였고, 금속재 질감이 떨어져 다양한 색상의 금속재 질감의 인테리어 필름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칼라의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재층 상에 금속을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증착층 상에 투명필름을 부착하여 투명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필름층 상에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투명필름층 상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임프린팅 및 자외선 경화하여 칼라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기재층 상에 금속을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증착층 상에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증착층 상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임프린팅 및 자외선 경화하여 칼라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칼라 패턴층 상에 투명필름을 부착하여 투명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PVC(Polyvinylchloride), TPO(Thermo plastic-olefin) 및 TPU(Thermo plastic-uretha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10 내지 100u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Au, Ag, Al, Cu, Co, Ni, Fe, Sn 및 Z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층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층은 10 내지 100u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조성물 95 내지 97wt% 및 무기 안료 3 내지 5wt%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칼라 패턴층은 5 내지 50um 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칼라를 가지고 입체감 있는 다양한 패턴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가공성이 우수한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기재층 상에 금속을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증착층 상에 투명필름을 부착하여 투명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투명필름층 상에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S30); 상기 투명필름층 상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임프린팅 및 자외선 경화하여 칼라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S40); 및 상기 기재층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또한 기재층 상에 금속을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100); 상기 증착층 상에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S200); 상기 증착층 상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임프린팅 및 자외선 경화하여 칼라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S300); 상기 칼라 패턴층 상에 투명필름을 부착하여 투명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S400); 및 상기 기재층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재층은 PVC(Polyvinylchloride), TPO(Thermo plastic-olefin) 및 TPU(Thermo plastic-uretha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상기 증착층을 보호하고, 내후성과 내구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재층은 10 내지 100u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으로 상기 재질의 착색필름을 사용하면, 접착면 상태가 다소 불균일 하더라도 접착 후 외관품질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증착층은 일반적인 진공 열증착 방법 또는 스퍼터링 방법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진공 열증착 방법의 경우 10-4 내지 10-6 torr 및 300 내지 800℃에서 진공 증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퍼터링 방법의 경우 플라즈마 상태에서 작은 금속 나노 입자로서 분리되어 상기 기재층 상에 상기 금속 나노 입자가 코팅되도록 하여 금속 증착을 진행할 수 있으나, 증착 방법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은 Au, Ag, Al, Cu, Co, Ni, Fe, Sn 및 Z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Al을 사용하는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증착층은 100 내지 1000A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착층의 두께가 100A 미만인 경우 투명필름층 외부에서 금속성 느낌을 감지하기 어렵도, 두께가 1000A을 초과하는 경우, 크렉이 발생하고, 밀착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필요 이상으로 비용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범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착층은 단일의 증착층 또는 다층 구조의 증착층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필름층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투명필름층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BT(Polybutylene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VC(Poly vinylchloride), PMMA(Polymethylmethacrylat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C(Polycarbonate), SAN(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필름 중 선택된 하나의 투명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얇고, 균일성 및 투명도가 우수한 투명 PET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칼라 패턴층에 구현된 칼라 표면 입체패턴과 그 하부에 형성된 증착층의 금속 휘도감을 더욱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필름층은 10 내지 100u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투명필름층의 두께가 10um 미만일 경우, 그 하부에 형성된 증착층을 지지하지 못하여 그 형태가 망가질 수 있고, 100um를 초과할 경우, 그 상부에 형성되는 칼라 패턴층의 경화성 및 부착성 저하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um의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필름층으로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여 타층과의 접착시 접착력이 우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기 위한 프라이머로 아크릴계, 아크릴 우레탄계 또는 에폭시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리페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1 내지 10u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조성물 95 내지 97wt% 및 무기 안료 3 내지 5wt%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모노머, 광개시제 및 기타 물성을 보완해주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로 우레탄계, 에폭시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또는 실리콘계 중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제조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개시제는 통상적인 것으로 예를 들면, Irgacure 184와 같은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고, Tinuvin 400과 같은 광안정제를 병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안료는 금속 산화물(예를 들면, 이산화티타늄, 전기전도성 이산화티타늄, 산화철(예를 들면, 적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및 투명 산화철),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카본블랙 안료(예를 들면, 퍼니스 블랙(furnace black)), 금속 황화물, 금속 염화물 및 이들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무기 안료 함량이 3wt% 미만인 경우 칼라 효과가 미미하고, 5wt%를 초과하면 자외선 경화도가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라 패턴층은 5 내지 50um 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칼라 패턴층은 입체패턴이 형성된 성형롤러로 상기 투명필름층 상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임프린팅 후, 자외선 경화시켜, 성형롤러에 형성된 입체패턴이 상기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가 도포된 투명필름층 상에 구현되어 형성된다. 또는 상기 증착층 상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임프린팅 후, 자외선 경화시켜, 성형롤러에 형성된 입체패턴이 상기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가 도포된 증착층 상에 구현되어 형성된다. 상기 표면 입체패턴은 원형 또는 다각형 무늬,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무늬, 모눈(grid) 무늬, 스트라이프 무늬, 도트 무늬, 모자이크 무늬, 도비 무늬, 꽃무늬와 같은 식물무늬, 각종 동물 무늬, 캐릭터 무늬, 이들의3D 입체무늬 등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의 무늬가 구현된 입체패턴을 의미한다. 상기 입체패턴은 2 내지 50um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범위 외일 경우 난반사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은 선택적으로 칼라 패턴층 상부에 표면코팅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코팅층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칼라 패턴의 표면을 보호하며, 표면 스크래치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또는 열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그라비아 코팅방법으로 코팅 후 자외선 경화 또는 열 결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또는 열경화형 수지 조성물로는 아크릴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에스터계, 아크릴레이트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아미드계, 멜라민계, 합성고무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무기 필러를 더 포함하여 강도향상 및 기계적 물성을 보완시킬수 있다.
상기 표면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30u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um 미만인 경우 스크래치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30um를 초과하는 경우 효과에 비해 비용 상승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은 열과 압력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지는 핫멜트 타입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하부에는 이형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을 제공한다.
도 3은 도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이고, 도 4는 도 2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이다.
도 3에 따르면 기재층(110) 상에 금속을 증착하여 증착층(120)을 형성하고, 증착층(120)상에 투명필름을 부착하여 투명필름층(130)을 형성한 다음, 투명필름층(130)상에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도포한다.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임프린팅 및 자외선 경화하여 칼라 패턴층(140)을 형성하고, 기재층(110)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150)을 형성한다.
도 4에 따르면 기재층(210) 상에 금속을 증착하여 증착층(220)을 형성하고, 증착층(220)상에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도포한다.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임프린팅 및 자외선 경화하여 칼라 패턴층(230)을 형성하고, 상기 칼라 패턴층 상에 투명필름을 부착하여 투명필름층(240)을 형성한다. 기재층(210)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250)을 형성한다.
이렇게 제조된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은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과 같은 대형 가전제품이나 서랍장, 수납장과 같은 대형 가구제품 표면, 건축 내외장재 및 마감재로 사용하여 다양한 칼라를 가지고 입체감 있는 다양한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110, 210 : 기재층
120, 220: 증착층
130, 240 : 투명필름층
140, 230 : 칼라 패턴층
150, 250 : 접착층

Claims (10)

  1. 기재층 상에 금속을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증착층 상에 투명필름을 부착하여 투명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필름층 상에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투명필름층 상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임프린팅 및 자외선 경화하여 칼라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
  2. 기재층 상에 금속을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증착층 상에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증착층 상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를 임프린팅 및 자외선 경화하여 칼라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칼라 패턴층 상에 투명필름을 부착하여 투명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PVC(Polyvinylchloride), TPO(Thermo plastic-olefin) 및 TPU(Thermo plastic-uretha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10 내지 100u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Au, Ag, Al, Cu, Co, Ni, Fe, Sn 및 Z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층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층은 10 내지 100u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조성물 95 내지 97wt% 및 무기 안료 3 내지 5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패턴층은 5 내지 50um 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제조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KR1020180062669A 2018-05-31 2018-05-31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2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669A KR102502566B1 (ko) 2018-05-31 2018-05-31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669A KR102502566B1 (ko) 2018-05-31 2018-05-31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670A true KR20190136670A (ko) 2019-12-10
KR102502566B1 KR102502566B1 (ko) 2023-02-23

Family

ID=6900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669A KR102502566B1 (ko) 2018-05-31 2018-05-31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5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582A (ko) * 2008-07-16 2010-01-26 (주)엘지하우시스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KR20130111704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제품 외장재
KR20140009934A (ko) * 2012-07-12 2014-01-23 (주)엘지하우시스 횡방향 헤어라인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83593A (ko) * 2012-12-26 2014-07-04 (주)엘지하우시스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4972A (ko) * 2015-08-27 2017-03-08 (주)엘지하우시스 컬러 표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582A (ko) * 2008-07-16 2010-01-26 (주)엘지하우시스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KR20130111704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제품 외장재
KR20140009934A (ko) * 2012-07-12 2014-01-23 (주)엘지하우시스 횡방향 헤어라인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83593A (ko) * 2012-12-26 2014-07-04 (주)엘지하우시스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4972A (ko) * 2015-08-27 2017-03-08 (주)엘지하우시스 컬러 표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566B1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611B1 (ko) 컬러 표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7784B1 (ko) 종방향 헤어라인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0537226C (zh) 地板材料用装饰板和使用该板的地板用装饰材料
KR101175721B1 (ko) 장식용 경면 입체 성형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6141114A (ja) 加飾フィルム及びそれと一体化した物品
KR20110041794A (ko) 디지털 인쇄층을 구비하는 금속 질감을 갖는 투명 장식 패널
US10737465B2 (en) Interior film having excellent metallic appearance effe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9321033B (zh) 油墨组合物及利用其的室内装饰薄膜
US20150314327A1 (en) Films expressing metallic appearance using ultraviolet curable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140083593A (ko)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421433Y1 (ko) 금속질감이 극대화된 유리부착용 장식시트
JP6667854B1 (ja) 成形用加飾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加飾成形体
JP5285996B2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00290B1 (ko) 에칭된 금속질감을 갖는 고광택 시트
KR20190136670A (ko) 칼라 패턴이 형성된 접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2533B1 (ko) 임프린팅 공법을 이용한 양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479883A (zh) 一种抗污复合膜和含有该复合膜的抗污板材及其制备方法
KR101386931B1 (ko) 가전제품용 인테리어 접합유리
KR20130094411A (ko) 인테리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32964A (ko) 자석 부착용 필름과 그 제조 방법 및 자석 부착용 시트
KR101732416B1 (ko) 가구 및 건축자재용 메탈층을 포함하는 opet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70244B1 (ko) 플라스틱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100671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KR102689850B1 (ko) 플라스틱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283797B1 (ko) 엠보 패턴을 갖는 금속 판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5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5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8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