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214A - 메주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메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메주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메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214A
KR20100007214A KR1020080067741A KR20080067741A KR20100007214A KR 20100007214 A KR20100007214 A KR 20100007214A KR 1020080067741 A KR1020080067741 A KR 1020080067741A KR 20080067741 A KR20080067741 A KR 20080067741A KR 20100007214 A KR20100007214 A KR 20100007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ju
molding machine
raw material
conveyor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2899B1 (ko
Inventor
신중철
Original Assignee
(주)퓨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퓨어시스템 filed Critical (주)퓨어시스템
Priority to KR1020080067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89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메주 원료의 분쇄율이 전통식 메주와 같은 40~60%가 되도록 하여 일부 원료의 입자가 살아 있는 메주로 성형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호기성 발효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전통식 된장의 미각을 살릴 수 있고, 발효시간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원료의 세척, 침지, 증숙공정을 마친 원료를 상기 메주성형기로 압축 분쇄하여 소정의 형태로 연속 배출하고,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메주를 형성한 후, 망사로 포장하고 발효 및 건조실로 이동시켜 보관할 때까지의 일련의 공정이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메주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메주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증숙된 원료를 스크류로 압축 분쇄하여 소정 형태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상의 성형기몸체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성형기몸체의 투입구로 투입된 원료를 배출구쪽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스크류에 의해 밀려 이송하는 원료를 압축하여 분쇄하는 기다란 막대 형상의 분쇄바를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한 메주성형기; 상기 메주성형기로부터 배출되는 메주성형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콘베이어; 상기 콘베이어의 메주성형물 이송선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메주성형물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메주를 형성하는 성형물절단기; 상기 콘베이어의 메주 이송선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메주를 망사로 포장하는 파우치포장기; 상기 콘베이어의 포장된 메주 이송선상에 설치되어 포장된 메주를 매달아 발효 및 건조시 키기 위한 발효실; 상기 콘베이어상의 포장메주를 걸어 발효실 내에서 매달기 위한 걸고리; 및 상기 걸고리를 동일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하여 발효실 내에 미리 설정한 경로를 따라 순환시키도록 된 걸고리이송기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메주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메주 제조장치{Fermented soybeans molding machin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ermented soybean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주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메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두를 세척, 침지 및 증숙하여 얻어진 원료를 분쇄하여 메주형태로 성형한 후, 절단, 포장, 발효 및 건조공정을 차례로 수행하여 유통 및 판매 가능한 메주를 생산하기까지의 일련의 공정이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켜 대량생산할 수 있는 메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주는 원료를 솥에서 삶아 증숙시킨 후, 일정한 틀에 넣어 통상 육면체의 형상으로 성형하고, 약 24시간 정도 저장하게 되면, 메주가 말라 금이 가게 되며, 이때 짚으로 메주를 매달아 발효 및 건조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메주 제조방법은 오래전부터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방식으로, 가내 수공업 형태로 메주를 생산할 때 사용하고 있으나, 비위생적이고, 특히, 여름과 같이 온도가 높은 계절에는 원료가 변질되어 주로 겨울철에만 생산해야 하는 결점이 있어 대량생산에 어려움이 있으며, 전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종래에도 메주 제조시 작업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안된 것이 있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공개 특1994-0000026호에는 원료로부터 돌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선 삭발기와, 상기 정선 삭발기에서 공급되는 원료를 세척하는 세척기와, 세척된 원료를 침지시켜 불리기 위한 침수조와, 불린 콩을 증숙하기 위한 연속 증숙기와, 증숙된 원료를 파쇄하면서 일정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과, 상기 성형틀로부터 성형된 메주를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기로 구성되어 원료의 세척에서부터 메주의 형성공정까지의 공정이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메주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메주 제조장치는 원료의 세척공정, 침지공정, 증숙공정 및 메주를 성형하여 절단하는 공정까지 자동화되어 있으나, 성형 및 절단된 메주를 발효 및 건조실로 옮겨 발효 및 건조시키는 공정은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건조후 유통시키기 위해 별도로 포장해야 하는 등 완전 자동화를 이루지 못하였다.
또한 발효 및 건조실에 보관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짚으로 메주를 매달거나 바구니에 메주를 담아 보관하였던 것으로, 메주를 짚으로 매다는 방법은 메주의 발효 및 건조에 가장 이상적이지만, 일일이 짚으로 매다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비생산적이라는 단점이 있고, 메주를 바구니에 담는 방식은 매다는 방식보다 편리한 이점은 있지만, 공기의 흐름이 전체적으로 원활하지 않아 발효 및 건조효율이 저하 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 메주를 뒤집어야 하므로 역시 작업이 번거롭고 비생산적이라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메주성형기는, 성형기몸체(1) 내부에 전동모터(2)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축(3)이 설치되고, 이 회전축(3)에 원료(W1)를 배출구(1b)쪽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4)가 설치되어 있으며, 스크류(4)의 배출구(1b)쪽 끝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쇄원판(5)과 분쇄날(6)이 차례로 설치되어 원료(W1)를 압축시켜 분쇄한 후, 배출구(1b)를 통해 소정 형태의 메주성형물(W2)을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투입구(1a)를 통해 성형기몸체(1) 내부로 투입된 원료(W1)는 스크류(4)에 의해 배출구(1b)쪽으로 이송되고, 이송압력에 의해 원료(W1)가 분쇄원판(5)의 면에 압축됨과 동시에, 다수의 작은 분쇄구멍(5a)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분쇄되며, 이어서 분쇄날(6)에 의해 다시 한번 잘게 분쇄된 후, 배출구(1b)로 배출됨으로써 일정한 외형을 가지는 메주성형물(W2)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구성은 분쇄원판(5) 및 분쇄날(6)에 의한 원료(W1)의 분쇄율이 대략 90%로서, 전통 방식으로 분쇄할 때의 40~60%보다 매우 높기 때문에, 원료(W1)의 원형이 대부분 유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배출구(1b)로 배출되어 성형되는 메주성형물(W2)의 밀도가 전통 방식으로 제조된 메주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편이고, 메주에 형성되는 틈새 및 기공도 매우 적어 호기성보다는 혐기성 발효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어 전통 된장의 미각을 살릴 수 없으며, 발효시간도 매우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메주 원료의 분쇄율이 전통식 메주와 같은 40~60%가 되도록 하여 일부 원료의 입자가 살아 있는 메주로 성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성형된 메주에 틈새 및 기공이 많이 형성되도록 하여 호기성 발효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전통식 된장의 미각을 살릴 수 있으며, 발효시간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메주성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의 세척, 침지, 증숙공정을 마친 원료를 상기 메주성형기로 압축 분쇄하여 소정의 형태로 연속 배출하고,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메주를 형성한 후, 망사로 포장하고 발효 및 건조실로 이동시켜 보관할 때까지의 일련의 공정이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메주의 발효 및 건조효율을 증대시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메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상의 성형기몸체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성형기몸체의 투입구로 투입된 원료를 배출구쪽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를 구비하는 메주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스크류에 의해 밀려 이송하는 원료를 압축하여 분쇄하는 기다란 막대 형상의 분쇄바를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한 메주성형기에 특징 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숙된 원료를 스크류로 압축 분쇄하여 소정 형태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상의 성형기몸체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성형기몸체의 투입구로 투입된 원료를 배출구쪽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스크류에 의해 밀려 이송하는 원료를 압축하여 분쇄하는 기다란 막대 형상의 분쇄바를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한 메주성형기; 상기 메주성형기로부터 배출되는 메주성형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콘베이어; 상기 콘베이어의 메주성형물 이송선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메주성형물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메주를 형성하는 성형물절단기; 상기 콘베이어의 메주 이송선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메주를 망사로 포장하는 파우치포장기; 상기 콘베이어의 포장된 메주 이송선상에 설치되어 포장된 메주를 매달아 발효 및 건조시키기 위한 발효실; 상기 콘베이어상의 포장메주를 걸어 발효실 내에서 매달기 위한 걸고리; 및 상기 걸고리를 동일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하여 발효실 내에 미리 설정한 경로를 따라 순환시키도록 된 걸고리이송기구로 구성된 메주 제조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형물절단기와 파우치포장기 사이의 메주 이송선상에 메주의 외관을 가압하는 성형물가압기를 더욱 구비한 메주 제조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걸고리이송기구는, 발효실 내에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미리 설정한 경로를 따라 설치된 복수개의 스프로킷휘일과, 상기 스프로 킷휘일에 안내되어 순환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고정되어 체인과 함께 설정 경로를 따라 순환하고 상기 걸고리가 설치된 고정축과, 상기 스프로킷휘일중 어느 하나를 회전구동하여 상기 고정축에 구비된 걸고리를 설정 경로를 따라 순환시키기 위한 전동모터로 구성된 메주 제조장치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메주성형기는, 회전축에 구비된 복수개의 분쇄바가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메주 원료를 분쇄하도록 된 것이므로, 분쇄바의 설치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메주 원료의 분쇄율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메주 원료의 분쇄율을 전통식 메주의 제조시와 마찬가지로 원료의 원형이 일부 살아 있는 40~60%로 설정할 수 있고, 이로써 성형된 메주에 틈새 및 기공이 많이 형성됨에 따라 호기성 발효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어 전통 된장의 미각을 살릴 수 있으며, 호기성 발효의 증대로 인해 발효시간도 종전에 비하여 대폭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주 제조장치는, 증숙시킨 원료를 메주성형기내에 투입하고 압축 분쇄하여 소정 형태의 메주성형물로 배출하고, 절단기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메주를 형성하며, 파우치포장기에 의해 메주를 망사로 포장한 후, 발효실로 이동시켜 발효 및 건조시키는 일련의 공정이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원료를 세척하고 침지시켜 증숙시키는 자동화 시스템과 연계하여 메주 제조를 위한 전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성 및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포장기에 의해 메주가 망사로 포장되고, 포장된 상태에서 발효실 내에 매달아 발효 및 건조시키는 것이므로, 일정시간 경과 후에 메주를 뒤집어야 하는 종래의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 없고,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여 발효 및 건조효율이 증대되어 메주의 품질이 향상되며 건조후 출하를 위해 별도로 메주를 포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메주성형기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메주성형기에서 회전축에 구비된 스크류 및 분쇄바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메주성형기(10)는 증숙된 원료(W1)를 압축 및 분쇄하여 소정 형태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원료(W1)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a)와 분쇄된 원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1b)를 형성하고 있는 원통형상의 성형기몸체(11)를 구비한다.
상기 투입구(11a)는 성형기몸체(11)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1b)는 타측 중앙부에 형성되며, 배출구(11b)의 단면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출구(11b)를 통해 배출되어 길게 연속하여 성형되는 메주성형물(W2)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성형기몸체(11) 내부 중앙에는 회전축(12)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축(12)에 스크류(13)가 구비되어 투입구(11a)로 투입된 원료(W1)를 배출구(11b)쪽으로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12)의 바깥둘레면에는 기다란 막대 형상의 분쇄바(14)가 돌출형성되어 스크류(13)에 의해 밀려 이송하는 원료(W1)를 압축하여 분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2)은 성형기몸체(11)의 외부에 구비된 전동모터(15)에 의해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분쇄바(14)는 회전축(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한다. 이때 상기 분쇄바(14)는 원료(W1)를 압축시켜 분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치수를 증가시킬수록 원료(W1)의 분쇄율이 높아지고, 설치수를 감소시킬수록 원료(W1)의 분쇄율이 낮아진다. 따라서 분쇄바(14)의 설치수를 조절하여 원료(W1)의 분쇄율을 40~60%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증숙시킨 원료(W1)를 성형기몸체(11)의 투입구(11a)를 통해 내부로 투입하고, 전동모터(15)를 구동하여 회전축(12)을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12)에 구비된 스크류(13)가 회전하여 원료(W1)를 배출구(11b)쪽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스크류(13)에 밀려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축(12)에 구비된 분쇄바(14)에 위치한 원료(W1)는 이송압력에 의해 분쇄바(14)에 압축되어 분쇄된 후 이동하게 되고, 분쇄바(14)가 없는 위치에 있는 원료(W1)는 분쇄됨이 없이 그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분쇄바(14)를 회전축(12)을 따라 많이 설치하게 되면, 그 만큼 스크류(13)에 의해 밀려 이동하는 원료(W1)가 분쇄바(14)에 압축되어 분쇄되는 양이 증가하게 되므로 원료(W1)의 분쇄율이 높아지고, 반대로 분쇄바(14)를 적게 설치하게 되면, 분쇄되는 양이 감소하므로 분쇄율은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본 발명의 메주성형기(10)는 분쇄바(14)의 설치수로 원료(W1)의 분쇄율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전통식 메주의 제조시와 마찬가지로 원료(W1)의 원형이 일부 살아 있는 40~60%의 분쇄율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분쇄율로 배출구(11b)를 통과하여 성형된 메주성형물(W2)에는 틈새 및 기공이 많이 형성되어 발효시 호기성 발효를 더욱 활발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한 구성의 메주성형기(10)를 이용한 본 발명의 메주 제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증숙된 원료(W1)를 압축 및 분쇄하여 소정 형태로 배출하는 메주성형기(10)와, 상기 메주성형기(10)로부터 배출되는 메주성형물(W2)을 이송시키기 위한 콘베이어(20A~20C)를 구비한다. 상기 메주성형기(10)의 구성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메주성형기(1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콘베이어(20A~20C)는 롤러(21A~21C)에 의해 이송가능하게 지지된 콘베이어벨트(22A~22C)와, 상기 롤러(21A~21C)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모터(23A~23C)로 구성되어 메주성형기(10)로부터 성형되어 배출되는 메주성형물(W2)을 설정된 제조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고, 최종 콘베이어(20C)에는 메주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스토퍼(24C)가 구비되어 있다.
콘베이어(20A~20C)의 이송라인 상에는 성형물절단기(30), 성형물가압기(40), 파우치포장기(50) 및 발효실(60)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성형물절단기(30)는 이송되는 메주성형물(W2)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메주(W3)를 형성하게 되고, 성형물가압기(40)는 도 5의 실선상태에서 가상선 상태로 동작하여 메주(W3)의 표면을 일정한 가압력으로 가압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메주(W3)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거나 부서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파우치포장기(40)는 절단된 메주(W3)를 망사(P)로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식품용 포장기로 사용하는 통상의 자동포장기를 사용하고, 포장지로서 비닐지 대신 통기성이 좋은 망사(P)를 사용하여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포장시와 동일한 형태로 포장한다.
또한 발효실(60)은, 포장된 메주(W3)를 발효 및 건조시키기 위한 것이고, 이 발효실(60)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베이어(20C)상에 위치한 포장된 메주(W3)를 걸어 발효실(60) 내에 매달아 두기 위한 걸고리(61)와, 상기 걸고리(61)를 동일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하여 발효실(60) 내에 미리 설정한 경로를 따라 순환시키도록 된 걸고리이송기구(62)를 구비한다.
걸고리(61)는, 메주(W3)를 포장한 망사(P)의 상부를 관통하여 걸도록 된 끝이 뾰족한 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걸고리이송기구(62)는, 발효실(60) 내에 구비한 프레임(62a)과, 상기 프레임(62a)에 미리 설정한 경로를 따라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 복수개의 스프로킷휘일(62b)과, 상기 스프로킷휘일(62b)에 안내되어 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체인(62c)과, 상기 체인(62c)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고정되어 체인(62c)과 함께 설정 경로를 따라 순환하고 상기 걸고리(61)가 각각 설치된 고정축(62d)과, 상기 스프로킷휘일(62b)중 어느 하나를 회전구동하여 상기 고정축(62d)에 구비된 걸고리(61)가 설정 경로를 따라 순환되도록 하는 전동모터(62e)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고리(6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62d)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하여 걸고리(61)가 메주(W3)를 걸고 설정 경로를 따라 수직 또 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항상 메주(W3)가 아래방향으로 매달리도록 하고, 걸고리(61)를 고정축(62d)에 복수개, 예들 들면 4개 구비하여 하나의 고정축(62d)에 4개의 메주(W3)를 매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메주 제조장치는,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증숙시킨 원료(W1)를 메주성형기(10)의 투입구(11a)를 통해 투입하게 되면, 전동모터(12)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스크류(13)에 의해 원료(W1)가 배출구(11b)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분쇄바(14)에 의해 압축되고 분쇄되어 배출구(11b)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소정 형태의 메주성형물(W2)이 성형된다.
메주성형기(10)로부터 성형된 메주성형물(W2)은 도 5에서와 같이 콘베이어(20A)에 의해 성형물절단기(30)쪽으로 이송되고, 성형물절단기(30)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됨으로써 메주(W3)를 형성하게 된다. 성형물절단기(30)에 의해 절단된 메주(W3)는 성형물가압기(40)로 이송되고, 성형물가압기(40)는 메주(W3)가 이송되어 오면, 실선상태에서 가상선상태로 동작하여 메주(W3)의 외관을 가압하게 된다. 이로써 메주(W3)의 결합력이 더욱 증대되어 메주(W3)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거나 부서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성형물가압기(40)로부터 가압된 메주(W3)는 콘베이어(20B)에 의해 파우치포장기(50)로 이송되고, 파우치포장기(50)에 의해 통상의 식품포장 형태와 같이 망사(P)로 포장된 후, 콘베이어(20C)를 통해 발효실(60)로 이송되며, 콘베이어(20C)의 스토퍼(24C)에 의해 발효실(60) 앞에서 차례로 정지된다.
이때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실(60)에 구비된 걸고리이송기 구(62)의 전동모터(62e)를 구동하여 스프로킷휘일(62b)을 회전 구동시키게 되면, 이 스프로킷휘일(62b)의 회전에 의해 체인(62c) 및 이에 고정된 고정축(62d)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고정축(62d)에 구비된 4개의 걸고리(61)가 이동하면서 콘베이어(20C) 상에 놓인 4개의 포장된 메주(W3)의 망사(P)를 관통하여 걸어 매달게 된다.
걸고리(61)를 망사(P)에 거는 동작은, 걸고리(61)의 뾰족한 부분을 망사(P)의 걸이부분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망사(P)가 쉽게 관통되어 걸리게 되므로, 도 8에서와 같이 걸고리(61)의 뾰족한 부분이 이동하는 경로와, 콘베이어(20C) 상에 정지된 메주(W3)의 망사(P) 걸이부분이 일치되도록 설정하는 것에 의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4개의 걸고리(61)에 걸린 메주(W3)는 체인(62c)의 이송에 의해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체인(62c)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걸고리(61)가 차례로 이동하여 콘베이어(20C) 상에 정지된 메주(W3)를 4개씩 걸어 발효실(60) 내의 공간으로 이동시켜 발효 및 건조시킬 수 있게 되며, 발효실(60) 내에 여러개의 스프로킷휘일(62b)과 체인(62c)으로 설정해 놓은 경로 상에 보관하게 되므로 많은 양의 메주(W3)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료(W1)의 분쇄 및 성형공정에서 부터 발효 및 건조공정까지의 공정이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공정중에 메주(W3)가 망사(P)로 포장되고 발효실(60)에 매달아 보관하게 되므로 발효 및 건조효율이 증대되어 품질이 향상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발효실(60)내에 온도센서와 히터를 설치하여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메주(W3)를 발효 및 건조시키기 위한 조건을 조성하게 되면, 발효 및 건조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메주성형기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메주성형기에서 분쇄원판과 분쇄날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주성형기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주성형기에서 분쇄바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절결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주 제조장치 전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메주 제조장치에서 발효실 부분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메주 제조장치에서 걸고리이송기구를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메조 제조장치에서 걸고리로 메주를 걸어 매다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주성형기 11 : 성형기몸체
12 : 회전축 13 : 스크류
14 : 분쇄바 20A~20C : 콘베이어
30 : 성형물절단기 40 : 성형물가압기
50 : 파우치포장기 60 : 발효실
61 : 걸고리 62 : 걸고리이송기구
62a : 프레임 62b : 스프로킷휘일
62c : 체인 62d : 고정축
62e : 전동모터 W1 : 원료
W2 : 메주성형물 W3 : 메주
P : 망사

Claims (4)

  1. 원통형상의 성형기몸체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성형기몸체의 투입구로 투입된 원료를 배출구쪽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를 구비하는 메주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스크류에 의해 밀려 이송하는 원료를 압축하여 분쇄하는 기다란 막대 형상의 분쇄바를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메주성형기.
  2. 증숙된 원료를 스크류로 압축 분쇄하여 소정 형태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상의 성형기몸체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성형기몸체의 투입구로 투입된 원료를 배출구쪽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스크류에 의해 밀려 이송하는 원료를 압축하여 분쇄하는 기다란 막대 형상의 분쇄바를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한 메주성형기;
    상기 메주성형기로부터 배출되는 메주성형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콘베이어;
    상기 콘베이어의 메주성형물 이송선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메주성형물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메주를 형성하는 성형물절단기;
    상기 콘베이어의 메주 이송선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메주를 망사로 포장하는 파우치포장기;
    상기 콘베이어의 포장된 메주 이송선상에 설치되어 포장된 메주를 매달아 발효 및 건조시키기 위한 발효실;
    상기 콘베이어상의 포장메주를 걸어 발효실 내에서 매달기 위한 걸고리; 및
    상기 걸고리를 동일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하여 발효실 내에 미리 설정한 경로를 따라 순환시키도록 된 걸고리이송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주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절단기와 파우치포장기 사이의 메주 이송선상에 메주의 외관을 가압하는 성형물가압기를 더욱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주 제조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이송기구는,
    발효실 내에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미리 설정한 경로를 따라 설치된 복수개의 스프로킷휘일과,
    상기 스프로킷휘일에 안내되어 순환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고정되어 체인과 함께 설정 경로를 따라 순환하고 상기 걸고리가 설치된 고정축과,
    상기 스프로킷휘일중 어느 하나를 회전구동하여 상기 고정축에 구비된 걸고리를 설정 경로를 따라 순환시키기 위한 전동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주 제조장치.
KR1020080067741A 2008-07-11 2008-07-11 메주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메주 제조장치 KR100992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741A KR100992899B1 (ko) 2008-07-11 2008-07-11 메주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메주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741A KR100992899B1 (ko) 2008-07-11 2008-07-11 메주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메주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214A true KR20100007214A (ko) 2010-01-22
KR100992899B1 KR100992899B1 (ko) 2010-11-25

Family

ID=4181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741A KR100992899B1 (ko) 2008-07-11 2008-07-11 메주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메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8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5240A (ko) 2015-04-21 2016-10-31 장활석 메주 발효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786A (ko) 2019-11-29 2021-06-08 농업회사법인 바로담 주식회사 메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장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5240A (ko) 2015-04-21 2016-10-31 장활석 메주 발효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2899B1 (ko)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002068U (zh) 一种用于鸡饲料的存储、加工装置
KR101066976B1 (ko) 쌀국수 제조설비
CN107509936A (zh) 一种酸浆米线的自动化生产方法及系统
PT715814E (pt) Um metodo e equipamento para produzir agregados de cereais a escala industrial
CN105380155A (zh) 一种用于制造鱼豆腐的生产系统
KR100992899B1 (ko) 메주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메주 제조장치
KR100947743B1 (ko) 압출성형 떡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압출성형 떡 제조방법
CN209744916U (zh) 一种饲料加工用粉碎烘干装置
CN203040585U (zh) 茶叶自动生产系统
CN208490756U (zh) 一种酸浆米线的自动化生产系统
CN109170970A (zh) 一种蔬菜深加工作业线及其深加工方法
KR100944225B1 (ko) 메주 제조장치
CN1124594A (zh) 一种裙带菜干制品的加工方法
CN208940933U (zh) 一种米粉的自动化生产系统
CN209901462U (zh) 一种一次性竹木签粉碎回收再利用装置
KR100943350B1 (ko) 구운소금 제조시스템
CN216814871U (zh) 一种新型高效的水稻烘干机
CN208428278U (zh) 一种香肠加工用切片装置
CN209147696U (zh) 一种杂粮烘干去皮装置
CN208941017U (zh) 一种用于米粉生产的成型设备
CN209134879U (zh) 一种甜象草专用切碎机
CN216174784U (zh) 一种用于提高种子净度的种子加工装置
CN208940923U (zh) 一种用于米粉生产的蒸粒设备
KR20130004705A (ko) 묵은 벼를 이용한 찐쌀의 제조장치
CN208987803U (zh) 一种用于米粉生产的成型传送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