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240A - 메주 발효 건조기 - Google Patents

메주 발효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240A
KR20160125240A KR1020150056163A KR20150056163A KR20160125240A KR 20160125240 A KR20160125240 A KR 20160125240A KR 1020150056163 A KR1020150056163 A KR 1020150056163A KR 20150056163 A KR20150056163 A KR 20150056163A KR 20160125240 A KR20160125240 A KR 20160125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outside air
steam
drying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083B1 (ko
Inventor
장활석
Original Assignee
장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활석 filed Critical 장활석
Priority to KR1020150056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08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11/2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주 발효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메주 성형기를 통해서 성형된 대량의 메주를 동일 조건 하에서 대량으로 발효 건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발효 건조 효율성 향상, 제품의 균일화,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메주 발효 건조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일측으로 출입문이 설치되며 내부에 온도센서와 습도센서가 설치되며 메주가 적층된 복수의 건조대차를 내입하여 건조하는 건조실과; 건조실의 바닥 쪽으로 설치되어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관과; 상기 건조실의 천정에 설치되어 건조실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메주 발효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외기공급관에는 스팀공급부와 배관 연결된 스팀열교환기가 내장 설치되며 흡입측으로 흡기용 송풍팬이 설치된 흡기덕트와; 상기 흡기덕트 내부의 스팀열교환기 전방에 설치되는 가습장치와; 상기 흡기용 송풍팬의 흡입측과 공급관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냉각유닛과 배관 연결된 냉각열교환기가 내장 설치된 외기 공급덕트와; 상기 배출관과 공급관을 연결하는 T 연결관과; 상기 배출관의 중도에 분기되도록 설치되어 공기를 대기로 강제 배출하는 배기용 송풍팬 및 배기용 송풍팬의 흡입측 분기관에 설치되는 오토플랩 댐퍼와; 상기 배출관과 T 연결관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중간댐퍼 및 외기 공급덕트와 T 연결관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흡기댐퍼와; 상기 스팀공급부 및 스팀열교환기의 작동, 가습장치의 작동, 냉각유닛 및 냉각열교환기의 작동, 중간댐퍼와 흡기댐퍼가 연동하는 작동, 흡기용 송풍팬의 작동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메주 발효 건조기{soybean fermentation dryer}
본 발명은 메주 발효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주 성형기를 통해서 성형된 대량의 메주를 동일 조건 하에서 대량으로 발효 건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발효 건조 효율성 향상, 제품의 균일화,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메주 발효 건조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장의 원료로 사용하는 메주의 재래식의 제조방법은 콩을 삶아 으깬 것을 덩어리로 만들어 볏짚위에 얹어 2, 3일 건조시킨다. 그런 다음에 이것을 볏짚으로 묶어 방안의 선반에 달아 메어 발효 숙성시키거나 큰 용기에 짚을 깔고 그 위에 메주덩어리를 넣고 뚜껑을 덮은 다음 27∼28℃에서 2주간 숙성시킨다. 이것을 햇볕에 말려 다시 용기에 넣고 발효를 시켜 말린다.
개량식 메주 제조방법은 1960년대 이후부터 실시되었으며, 삶은 콩에 밀가루와 종곡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것으로, 재래식 메주는 콩만으로 만들고 간장과 된장 겸용으로 쓰이나 개량식의 메주는 간장용과 된장용을 구분하여 별도로 만든다.
재래식 메주는 야생의 잡균이 많이 번식하여 특유한 향을 낸다. 또한 숙성 관리가 미비하여 발효 숙성이 불완전하다. 그러나 개량식 메주의 경우에는 발효 숙성이 양호하여 효소 역가가 높고 불쾌치도 적다. 반면에 품질이 균일하여 과거의 집집마다 독특하던 장맛을 내지 못한다.
근자에는 건조기술의 발달로 개량식 메주를 보다 효과적으로 건조하는 방법들이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10-0007214호(2010.01.22.)의 메주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메주 제조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선행기술에 의하면 포장된 메주를 매달아 발효 및 건조시키기 위한 발효실이 제안되고 있으나, 메주 발효에 최상의 온도 및 습도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부재함으로 메주 발효 효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KR 1020100007214 A 2010.01.22.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메주 발효 건조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증자된 후 스크류식 성형기를 통해 압출된 것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생산되는 메주를 건조에 투입 후 발효 건조함에 있어, 건조실 내부의 발효 및 건조 조건을 최상의 상태로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대량의 메주를 건조기에 투입 하면서도 발효 건조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 건조기 내부의 메주 발효 건조 상태가 균일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메주 발효 건조기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첫째 일측으로 출입문이 설치되며 내부에 온도센서와 습도센서가 설치되며 메주가 적층된 복수의 건조대차를 내입하여 건조하는 건조실과; 건조실의 바닥 쪽으로 설치되어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관과; 상기 건조실의 천정에 설치되어 건조실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메주 발효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외기공급관에는 스팀공급부와 배관 연결된 스팀열교환기가 내장 설치되며 흡입측으로 흡기용 송풍팬이 설치된 흡기덕트와; 상기 흡기덕트 내부의 스팀열교환기 전방에 설치되는 가습장치와; 상기 흡기용 송풍팬의 흡입측과 공급관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냉각유닛과 배관 연결된 냉각열교환기가 내장 설치된 외기 공급덕트와; 상기 배출관과 공급관을 연결하는 T 연결관과; 상기 배출관의 중도에 분기되도록 설치되어 공기를 대기로 강제 배출하는 배기용 송풍팬 및 배기용 송풍팬의 흡입측 분기관에 설치되는 오토플랩 댐퍼와; 상기 배출관과 T 연결관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중간댐퍼 및 외기 공급덕트와 T 연결관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흡기댐퍼와; 상기 스팀공급부 및 스팀열교환기의 작동, 가습장치의 작동, 냉각유닛 및 냉각열교환기의 작동, 중간댐퍼와 흡기댐퍼가 연동하는 작동, 흡기용 송풍팬의 작동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하였다.
둘째 건조실 바닥 쪽으로 설치되는 외기공급관은 건조실 내에 위치하는 건조대차의 높이에 부합하는 넓은 판상으로 외기공급챔버를 구성하고, 외기공급챔버에는 건조대차 쪽으로 향하도록 노즐을 형성하였다.
셋째 건조실에는 스팀공급부와 연결된 스팀공급관을 배관하고, 스팀공급관에는 스팀제어밸브를 중도에 설치하여 건조실 내부를 고온의 스팀으로 소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메주 발효 건조기를 사용할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잇다.
-건조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외기공급챔버가 건조대차의 높이에 부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메주 전체에 고르게 공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 건조실 내부 환경이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건조 및 발효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메주를 적층한 건조대차를 이용하므로 메주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메주 발효 건조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메주 발효 건조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메주 발효 건조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메주 발효 건조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메주 발효 건조기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메주 발효 건조기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메주 발효 건조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메주 발효 건조기의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메주 발효 건조기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메주 발효 건조기(1)는 대량의 메주(2)를 동일한 조건하에서 발효 건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일측으로 출입문(4)이 설치된 건조실(3)을 마련한다. 건조실(3)내에는 출입문(4)을 통해서 출입하는 복수의 건조대차(30)가 내입될 수 있으며, 건조대차(30)는 메주(2)를 적층할 수 있는 선반이 구비된다.
상기 건조실(3)에는 바닥 쪽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관(5)이 배관되어 있으며, 천정에는 건조실(3)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6)이 배관 설치한다.
외기공급관(5)은 건조실(3)내부에 설치되는 외기공급챔버(7)에 연결된다.
외기공급챔버(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실(3)의 양쪽 벽면에 위치하는 것과, 건조실(3)내에 내입한 건조대차(3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제공되며, 벽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넓은 판상으로 구성된다.
벽 쪽에 위치하는 외기공급챔버(7)에는 건조대차(30)가 위치하는 한쪽으로만 노즐(8)이 형성되며, 건조대차(30) 사이에 위치하는 외기공급챔버(7)에는 양쪽으로 노즐(8)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외기공급챔버(7)를 넓은 판상으로 구성하고, 노즐(8)을 통해서 건조대차(30)에 적층식으로 실려 있는 메주(2)에 외기를 직접 공급하는 경우 건조실(3)전체 온도를 상승 혹은 가강시키는 것에 비해 짧은 시간에 메주(2)를 직접 가온 혹은 냉각 시킬 수 있게 되므로 메주(2)의 발효 및 건조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외기공급관(5)에는 흡기덕트(9)가 연결되며, 흡기덕트(9)의 내부에는 스팀공급부(10)와 배관 연결된 스팀열교환기(11)가 내장 설치되어 외기공급관(5)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스팀열교환기(11)의 전방으로는 가습장치(12)를 설치하여 외기공급관(5)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적당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습장치(12)는 공급되는 물을 압축공기에 의해 분사되도록 한 스프레이방식이 적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스팀열교환기(11)를 흡기덕트(9)에 설치하는 경우 건조실(3)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고자 할 때 외기가 스팀열교환기(11)에 의해 열 교환된 상태로 건조실(3)로 유입되도록 함으로 해서 온도 상승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스팀열교환기(11) 전방으로 스프레이식 가습장치(12)를 설치하면 건조실(3)내부로 습기를 제공할 때 냉습 또는 스팀열교환기(11)를 통한 온습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외기공급관(5)과 반대쪽의 흡기덕트(9)에는 흡기용 송풍팬(13)이 설치되어 흡기덕트(9)로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흡기용 송풍팬(13)의 흡입측에는 공급관(14)을 이용하여 외기 공급덕트(15)를 설치하고, 외기 공급덕트(15)의 내부에는 냉각유닛(16)과 배관 연결된 냉각열교환기(17)가 내장 설치되어 외부 공기가 공급될 때 필요온도로 냉각시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냉각열교환기(17)의 설치는 하절기 외기를 공급할 때 사용 온도로 냉각하는 기능성, 메주(2)가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건조실(3)내부 온도가 상승할 때 건조실(3)을 냉각하는 기능성 등을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냉동기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제공된다.
한편 공급관(14)에는 배출관(6)을 T 연결관(18)으로 연결하며, 배출관(6)의 중도에는 분기관(19)을 설치하고, 이에 공기를 대기로 강제 배출하는 배기용 송풍팬(20)을 설치하며 분기관(19)에는 배기용 송풍팬(20)의 흡입측에 위치하도록 오토플랩 댐퍼(21)를 설치하여 배기용 송풍팬(20)의 작동시 개방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6)과 T 연결관(18)의 연결부에는 중간댐퍼(22)를 설치하고, 외기 공급덕트(15)와 T 연결관(18)의 연결부분에는 흡기댐퍼(23)를 설치한다.
상기 중간댐퍼(22)와 흡기댐퍼(23)의 작동례를 설정온도 28℃에서 건조실(3)의 온도가 28℃ 이하일 때는 중간댐퍼(22) 100% 개방, 흡기댐퍼(23) 폐쇄 상태에서 흡기용 송풍팬(13)로 건조실(3)내부 공기를 순환시킬 때 스팀열교환기(11)를 이용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설정온도로 상승시킨다.
설정온도 28℃에서 건조실(3)의 온도가 29℃ 일 때는 중간댐퍼(22) 50% 개방, 흡기댐퍼(23) 50% 개방 상태에서 흡기용 송풍팬(13)로 송풍한다. 이때 오토플랩 댐퍼(21)가 일부 개방되면서 건조실(3)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 일부가 대기로 배출되고, 아울러 흡기댐퍼(23)로 외기가 보충되면서 건조실(3)내부 온도를 서서히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설정온도 28℃에서 건조실(3)의 온도가 30℃ 일 때는 중간댐퍼(22) 폐쇄, 흡기댐퍼(23) 100% 개방 상태에서 흡기용 송풍팬(13)로 송풍한다. 이때 오토플랩 댐퍼(21)가 개방되면서 건조실(3)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가 대기로 배출되고, 아울러 흡기댐퍼(23)로 외기가 보충되면서 건조실(3)내부 온도를 하강시키게 되는데, 외부 공기의 상태가 28도 이상 고온일 때 냉각유닛(16) 및 냉각열교환기(17)의 작동에 의해 건조실(3)내부 온도를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팀공급부(10) 및 스팀열교환기(11)의 작동, 가습장치(12)의 작동, 냉각유닛(16) 및 냉각열교환기(17)의 작동, 중간댐퍼(22)와 흡기댐퍼(23)는 연동하는 작동, 흡기용 송풍팬(13)의 작동은 제어부(24)에 의해 일괄 제어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건조실(3)내부에는 온도센서(25)와 습도센서(26)가 설치되어 건조실(3)외부에 독립적으로 시설되는 제어부(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도 및 습도에 의해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24)는 스크린 터치 방식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 메주 발효 건조기(1)의 온도, 습도, 운전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각 구성부의 작동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포맷으로 구성됨은 당연한 것이며, 이와 같은 제어부(24)는 전기적인 회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실(3)을 사용 전 또는 사용 후에 스팀으로 소독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스팀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스팀이 건조실(3)내부에 직접 공급되도록 스팀공급관(27)을 설치하고, 스팀공급관(27)에는 제어부(24)에 의해 제어되는 스팀제어밸브(28)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은 건조실(3)을 사용코자 잡균(雜菌)을 소멸시켜 메주(2)의 발효성을 높이고, 또한 발효 불량으로 메주(2)를 버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메주 발효 건조기(1)는 삶은 콩에 밀가루와 종곡을 첨가하여 압출기 등으로 압출한 후 소정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이송대차에 적층한 후 건조실(3)에 투입한 후 발효 건조시키면 되는 것이다.
통상 40~43℃ 온도에서 2일 건조 후 28℃에서 2주간 숙성시키는 방법으로 종래 재래식에서 제공하는 메주(2)와 같은 우수한 품질의 메주(2)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메주의 건조 및 발효에 필요한 온도의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가상의 온도로 설정한 것이며, 주변 환경등에 따라 변경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메주 발효 건조기 2:메주
3:건조실 4:출입문
5:외기공급관 6:배출관
7:외기공급챔버 8:노즐
9:흡기덕트 10:스팀공급부
11:스팀열교환기 12:가습장치
13:흡기용 송풍팬 14:공급관
15:외기 공급덕트 16:냉각유닛
17:냉각열교환기 18:T 연결관
19:분기관 20:배기용 송풍팬
21:오토플랩 댐퍼 22:중간댐퍼
23:흡기댐퍼 24:제어부
25:온도센서 26:습도센서
27:스팀공급관 28:스팀제어밸브
30::건조대차

Claims (3)

  1. 일측으로 출입문(4)이 설치되며 내부에 온도센서(25)와 습도센서(26)가 설치되며 메주(2)가 적층된 복수의 건조대차(30)를 내입하여 건조하는 건조실(3)과; 건조실(3)의 바닥 쪽으로 설치되어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관(5)과; 상기 건조실(3)의 천정에 설치되어 건조실(3)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6)을 포함하는 메주 발효건조기(1)에 있어서;
    상기 외기공급관(5)에는 스팀공급부(10)와 배관 연결된 스팀열교환기(11)가 내장 설치되며 흡입측으로 흡기용 송풍팬(13)이 설치된 흡기덕트(9)와;
    상기 흡기덕트(9) 내부의 스팀열교환기(11) 전방에 설치되는 가습장치(12)와;
    상기 흡기용 송풍팬(13)의 흡입측과 공급관(14)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냉각유닛(16)과 배관 연결된 냉각열교환기(17)가 내장 설치된 외기 공급덕트(15)와;
    상기 배출관(6)과 공급관(14)을 연결하는 T 연결관(18)과;
    상기 배출관(6)의 중도에 분기되도록 설치되어 공기를 대기로 강제 배출하는 배기용 송풍팬(20) 및 배기용 송풍팬(20)의 흡입측 분기관(19)에 설치되는 오토플랩 댐퍼(21)와;
    상기 배출관(6)과 T 연결관(18)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중간댐퍼(22) 및 외기 공급덕트(15)와 T 연결관(18)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흡기댐퍼(23)와;
    상기 스팀공급부(10) 및 스팀열교환기(11)의 작동, 가습장치(12)의 작동, 냉각유닛(16) 및 냉각열교환기(17)의 작동, 중간댐퍼(22)와 흡기댐퍼(23)가 연동하는 작동, 흡기용 송풍팬(13)의 작동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주 발효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건조실(3) 바닥 쪽으로 설치되는 외기공급관(15)은 건조실(3) 내에 위치하는 건조대차(30)의 높이에 부합하는 넓은 판상으로 외기공급챔버(7)를 구성하고, 외기공급챔버(7)에는 건조대차(30) 쪽으로 향하도록 노즐(8)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주 발효건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3)에는 스팀공급부(10)와 스팀공급관(27)으로 연결하고, 스팀공급관(27)에는 스팀제어밸브(28)를 중도에 설치하여 건조실(3) 내부를 고온의 스팀으로 소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주 발효건조기.
KR1020150056163A 2015-04-21 2015-04-21 메주 발효 건조기 KR101702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163A KR101702083B1 (ko) 2015-04-21 2015-04-21 메주 발효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163A KR101702083B1 (ko) 2015-04-21 2015-04-21 메주 발효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240A true KR20160125240A (ko) 2016-10-31
KR101702083B1 KR101702083B1 (ko) 2017-02-02

Family

ID=57446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163A KR101702083B1 (ko) 2015-04-21 2015-04-21 메주 발효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0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702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릴타워 스팀공급량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90B1 (ko) * 2008-10-23 2009-01-30 (주)해팍이엔지 메주 제조 설비 및 이 설비를 이용한 메주 제조방법
KR20100007214A (ko) 2008-07-11 2010-01-22 (주)퓨어시스템 메주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메주 제조장치
KR20100125078A (ko) * 2009-05-20 2010-11-30 이옥임 대량생산을 위한 메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00129834A (ko) * 2009-06-02 2010-12-10 이옥임 균일한 품질의 메주 제조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214A (ko) 2008-07-11 2010-01-22 (주)퓨어시스템 메주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메주 제조장치
KR100881290B1 (ko) * 2008-10-23 2009-01-30 (주)해팍이엔지 메주 제조 설비 및 이 설비를 이용한 메주 제조방법
KR20100125078A (ko) * 2009-05-20 2010-11-30 이옥임 대량생산을 위한 메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00129834A (ko) * 2009-06-02 2010-12-10 이옥임 균일한 품질의 메주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702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릴타워 스팀공급량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083B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389B1 (ko) 비순환식 공기흐름을 이용한 곶감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204177171U (zh) 热风循环利用烘干装置
CN206269525U (zh) 一种农副产品烘烤箱
CN109210875B (zh) 一种采用热泵烘干的烘房温湿度控制系统及方法
CN206101542U (zh) 一种新型香菇烘干装置
CN207197188U (zh) 利用输送网带的热泵果蔬烘干机
CN104266463A (zh) 一种丝绵烘干方法及用于该方法的装置
KR101246341B1 (ko) 건조기
KR101702083B1 (ko) 메주 발효 건조기
CN205037720U (zh) 节能烘房
CN105595378A (zh) 一种柿饼烘干装置
CN203590905U (zh) 茶叶发酵烘焙机
CN211510553U (zh) 一种用于烟叶烘烤密闭循环式节能烤房
CN204787615U (zh) 一种新型鼓风干燥箱
CN205695370U (zh) 一种用于湿稻谷烘干储藏的应急系统
CN205228022U (zh) 食品烘干机
CN203310207U (zh) 一种热风循环烘烤系统
CN203642618U (zh) 卫浴陶瓷成型青坯干燥室
CN208238408U (zh) 一种底部出风的热泵烘干房
CN102997637B (zh) 一种双循环风道红外烘干机
CN205403398U (zh) 一种自动化木材烘干设备
CN209944886U (zh) 一种均风型干燥箱
CN209445716U (zh) 一种直射式热气烘干设备
CN209484995U (zh) 一种防开裂型隧道窑式干燥室装置
CN202501721U (zh) 高效新型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