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563U - 후방리프트 방식의 플렉시블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후방리프트 방식의 플렉시블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563U
KR20100005563U KR2020090013999U KR20090013999U KR20100005563U KR 20100005563 U KR20100005563 U KR 20100005563U KR 2020090013999 U KR2020090013999 U KR 2020090013999U KR 20090013999 U KR20090013999 U KR 20090013999U KR 20100005563 U KR20100005563 U KR 201000055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or
flange
pressing
arm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6575Y1 (ko
Inventor
이-싱 충
숭-티엔 린
Original Assignee
타이완 선케이지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완 선케이지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완 선케이지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055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5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5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방리프트 방식의 플렉시블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 단자와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고정 암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가장자리에 상기 플랜지를 대응되도록 수용할 수 있는 제 1 노치와 제 2 노치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기 커넥터를 작동시키기 전, 상기 가압부재의 제 1 노치를 이용하여 피압부의 플랜지에 체결시키면 작동 전의 정위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기 커넥터를 작동 시킨 후, 상기 가압부재의 제 2 노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압부의 플랜지에 체결시킴으로써, 작동 후의 정위치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기 커넥터가 예정된 누름 동작을 완성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후방리프트 방식의 플렉시블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AFT-LIFT ELECTRIC CONNECTOR FOR A FLEXIBLE CIRCUIT BOARD}
본 고안은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며, 특히 정위치기능을 구비한 후방리프트 방식의 플렉시블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이러한 플렉시블 회로기판은 모두 하나의 전기 커넥터가 연결된다. 상기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 단자 및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커넥터의 가압부재를 작동시키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단자를 작동시켜 단자가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을 눌러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의 실시예 1과 2로서,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전기 커넥터(1)는 하우징(11), 단자(12)와 가압부재(13)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12)는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나가면서 병렬 설치되는 고정 암(121)과 가동 암(122)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 암(121)은 상기 하우징(11)에 고정되며, 상기 가동 암(122)의 일단은 누름부(123)가 구비되고, 타단은 피압부(124)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고정 암(121)과 상기 가동 암(122)은 연결 부(125)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압부재(13)에 캠(131)이 구비된다.
플렉시블 회로기판(14)에 전기 커넥터(1)를 삽입설치할 때, 힘을 인가하여 상기 가압부재(13)를 작동시키면 가압부재(13)가 하나의 예정된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가압부재(13)의 캠(131)이 위를 향해 상기 피압부(124)를 밀어 올리고, 또한 상기 가동 암(122)이 상기 연결부(125)를 지지점으로 하여 각도 이동함으로써, 상기 누름부(123)가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14)을 눌러주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단자(12)가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전기 커넥터(1)는 사용 시, 다음에 열거하는 문제점과 결점이 확실히 존재하여 개선이 필요하다:
1. 종래의 전기 커넥터(1)는 가압부재(13)의 캠(131) 회전을 이용하고 있고, 더 나아가 상기 가동 암(122)의 누름부(123)가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14)까지 눌리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전기 커넥터(1)를 작동시키기 전에 사용자가 상기 가압부재(13)를 잘못 눌러 상기 전기 커넥터(1)에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2. 종래의 전기 커넥터(1)는 가압부재(13)의 캠(131) 회전을 이용하고 있고, 나아가 상기 가동 암(122)의 누름부(123)가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14)까지 눌리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전기 커넥터(1)는 작동 후,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123)가 이미 확실하게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14)까지 눌리면서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가 없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피압부에 이웃한 고정 암의 일단측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가압부재의 가장자리에 상기 플랜지를 대응되도록 수용할 수 있는 제 1 노치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기 커넥터를 작동시키기 전, 상기 가압부재의 제 1 노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압부의 플랜지에 체결시키기만 하면 효과적으로 작동 전에 정위치시킬 수 있고, 나아가 전기 커넥터에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통하여, 종래 커넥터에서 존재하는 작동 전 정위치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작동 전 정위치 기능을 갖춘 실용적인 진보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음 목적은 피압부에 이웃한 고정 암의 일단측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가압부재의 가장자리에 상기 플랜지를 대응되도록 수용할 수 있는 제 2 노치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기 커넥터를 작동시킨 후, 상기 가압부재의 제 2 노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압부의 플랜지에 체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 2 노치를 상기 플렌지에 체결시켜 가압부재가 예정된 가압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어, 전기 커넥터 조작 시 오작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통하여, 종래의 전기 커넥터에 존재하는 작동 후 정위치효과를 이룰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작동 후 정위치 기능을 갖춘 실용적인 진보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인 전기 커넥터는 플렉시블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 되는 것으로서, 하우징, 단자와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나가면서 병렬 설치되는 가동 암과 고정 암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 암의 일단측에 누름부가 구비되고, 타단측에는 피압부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 암은 상기 하우징을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고정 암은 상기 피압부의 일단측과 이웃한 부위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 이웃한 부위에 지지변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가동 암과 상기 고정 암은 연결부를 통하여 하나의 구성부재를 형성한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피압부를 누를 수 있는 압력지탱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가장자리에 각각 상기 플랜지를 대응되도록 수용할 수 있는 제 1 노치와 제 2 노치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인 전기 커넥터는 작동전, 후의 정위치효과를 갖추고 있으며, 작동전에는 사용자가 전기 커넥터을 잘못 눌러 전기 커넥터에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동 후에는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전기 커넥터가 예정된 누름 동작을 완성했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가압부재를 누름으로 인하여 상기 전기 커넥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채택한 기술 수단 및 구조에 대해, 완전한 이해를 돕도록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여 그 특징과 기능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인 전기 커넥터(2)는 다음을 포함한다.
하우징(3)과;
단자(4)로서, 상기 단자(4)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나가면서 병렬되는 가동 암(41)과 고정 암(42)이 구비되고, 상기 가동 암(41)의 일단측에 누름부(411)가 구비되며, 타단에 피압부(412)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 암(42)은 일단의 고정단(421)을 이용하여 하우징(3)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암(42)의 상기 피압부(412)에 이웃한 일단에 플랜지(422)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422)에 이웃한 부위에 지지변(42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암(42)의 상기 누름부(411)에 대응되는 부위에 체결부(424)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가동 암(41)과 고정 암(42)이 연결부(43)를 통하여 하나의 구성부재를 형성한다.
가압부재(5)로서, 상기 가압부재(5)는 상기 피압부(412)를 눌러주는 압력지탱부(51)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가압부재(5)의 가장자리에 각각 상기 플랜지(422)를 대응되도록 수용할 수 있는 제 1 노치(52)와 제 2 노치(53)가 형성된다.
상기 구조와 구성 설계를 통하여, 본 고안의 사용 작동 상황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자 한다.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과 도 9를 동시에 참조하면,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실시도 1 내지 6으로서,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인 전기 커넥터(2)는 플렉시블 회로기판(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 4를 살펴보면, 본 고안인 전기 커넥터(2)는 작동 전, 상기 피압부(412)에 이웃한 상기 고정 암(42)의 일단측에 플랜지(4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5)의 가장자리에 상기 플랜지(422)를 대응되도록 수용할 수 있는 제 1 노치(5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압부재(5)가 상기 제 1 노치(52)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고정 암(42)의 플랜지(42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전기 커넥터(2)를 동작시키기 전 상기 가압부재(5)를 잘못 눌러 본 고안인 전기 커넥터(2)에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동 전 정위치효과를 갖춘 실용적인 진보성을 달성할 수 있다.
플렉시블 회로기판(21)에 상기 하우징(3)을 삽입하여 전기적인 연결을 실행할 때, 가압부재(5)에 힘을 인가하여 가압부재(5)를 예정된 방향으로 위치를 이동시키면, 가압부재(5)의 압력지탱부(51)가 상기 가동 암(41)의 피압부(412)를 눌러 주면서, 상기 가동 암(41)이 상기 연결부(43)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렛대 모양으로 각도 위치 이동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가동 암(41)의 누름부(411)가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21)을 눌러주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부재(5)에 힘을 인가하면서 상기 연결부(43)를 지지점으로 이용하여 각도 위치를 이동시킬 때, 상기 가압부재(5)의 제 1 노치(52)가 가압부재(5)의 위치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플랜지(422)를 이탈하게 된다. 아울러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노치(52)가 상기 플랜지(422)를 이탈하기 때문에, 상기 플랜지(422)가 상기 가압부재로 하여금 위를 향해 미는 힘을 발생시키게 하는 동시에, 가압부재(5)의 압력지탱부(51)가 상기 위를 향해 미는 힘에 의해 가동 암(41)의 피압부(412)를 눌러주어, 가동 암(41)의 피압부(412)가 위를 향해 들어 올려진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부재(5)의 압력지탱부(51)가 계속 상기 위를 향해 미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가동 암(41)의 피압부(412)를 들어올리면, 상기 가동 암(41)의 피압부(412)가 효과적으로 떠받쳐지면서 위를 향하게 되고, 가동 암(41)이 연결부(43)를 지지점으로 이용하여 지렛대 모양의 각도로 위치 이동을 하면서, 상기 가동 암(41)의 누름부(411)가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21)을 눌러줄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가동 암(41)의 피압부(412)가 효과적으로 떠받쳐져 위를 향해 들어 올려진 후, 상기 고정 암(42)의 상기 플랜지(422)에 이웃한 부위에 지지변(423)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변(423)은 상기 가압부재(5)를 하우징(3) 내부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밀어준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변(423)이 상기 가압부재(5)를 밀어 가압부재(5)가 상기 하우징(3)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가압부재(5)의 상기 제 1 노치(52)에 이웃한 부위 가장자리에 상기 플랜지(422)가 대응되도록 수용될 수 있는 제 2 노치(53)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노치(53)는 상기 고정 암(42)의 플랜지(422)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노치(53)가 상기 플랜지(422)에 완전하게 체결되어 들어가면 플렉시블 회로기판(21)의 전기적 연결이 완성된다. 상기 구조를 통하여, 본 고안의 커넥터는 작동 후의 정위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가압부재(5)가 예정된 가압 동작을 완료하였는지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오작동으로 인한 전기 커넥터(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 전체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사용할 때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인 전기 커넥터(2)는 상기 피압부(412)에 이웃한 고정 암(42)의 일단 에 플랜지(422)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5)의 가장자리에 상기 플랜지(422)를 대응되도록 수용할 수 있는 제 1 노치(52)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기 커넥터(2)를 작동시키기 전, 상기 가압부재(5)의 제 1 노치(52)를 이용하여 상기 피압부(412)의 플랜지(422)에 체결시키게 되면 작동 전의 정위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5)의 가장자리에 상기 플랜지(422)를 대응되도록 수용할 수 있는 제 2 노치(53)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기 커넥터(2)를 작동시킨 후, 상기 가압부재(5)의 제 2 노치(53)를 이용하여 상기 피압부(412)의 플랜지(422)에 체결시키면,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상기 가압부재(5)가 예정된 가압 동작을 완성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인 전기 커넥터(2)는 작동전, 후의 정위치효과를 갖추고 있으며, 작동전에는 사용자가 상기 전기 커넥터(2)을 잘못 눌러 전기 커넥터(2)에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동 후에는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전기 커넥터(2)가 예정된 누름 동작을 완성했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상기 가압부재(5)를 누름으로 인하여 상기 전기 커넥터(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 커넥터(2)가 작동 전, 후의 정위치효과를 갖추도록 하는 실용적인 진보성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커넥터의 실시도 1,
도 2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의 실시도 2,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실시도 1,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실시도 2,
도 6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실시도 3,
도 7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실시도 4,
도 8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실시도 5 및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실시도 6이다.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 설명
1, 2 : 전기 커넥터 3, 11 : 하우징
4, 12 : 단자 5, 13 : 가압부재
14, 21 : 플렉시블 회로기판 41, 122 : 가동 암
42, 121 : 고정 암 43, 125 : 연결부
51: 압력지탱부 52 : 제 1 노치
53: 제 2 노치 123, 411 : 누름부
124, 412 : 피압부 131: 캠
421: 고정단 422: 플랜지
423: 지탱변 424: 체결부

Claims (3)

  1. 미리 설치되는 플렉시블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주기 위한 후방리프트 방식의 플렉시블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나오면서 병렬로 설치되는 가동 암과 고정 암이 구비되어, 상기 가동 암의 일단측에 누름부가 구비되고, 타단측에 피압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 암은 상기 하우징을 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피압부에 이웃한 고정 암의 일단측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에 이웃한 부위에 지지변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가동 암과 고정 암이 연결부를 통하여 하나의 구성부재를 형성하는 단자; 및
    상기 피압부를 눌러주는 압력지탱부가 구비되고, 가압부재의 가장자리에 각각 상기 플랜지를 대응되도록 수용할 수 있는 제 1 노치와 제 2 노치가 형성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가 위치 이동 조작에 의해 예정된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할 때, 상기 가압부재의 압력지탱부가 상기 가동 암의 피압부를 눌러주게 되고, 상기 가동 암은 상기 연결부를 지지점으로 이용하여 지렛대 모양으로 각도 위치 이동을 함으로써, 상기 가동 암의 누름부가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을 눌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리프트 방식의 플렉시블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암은 상기 하우징을 고정한 부위에 고정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리프트 방식의 플렉시블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암은 상기 누름부에 대응되는 부위에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리프트 방식의 플렉시블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20090013999U 2008-11-21 2009-10-28 후방리프트 방식의 플렉시블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045657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7220892 2008-11-21
TW097220892U TWM354923U (en) 2008-11-21 2008-11-21 Improved electrical connector for back-lift flexible circuit 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63U true KR20100005563U (ko) 2010-05-31
KR200456575Y1 KR200456575Y1 (ko) 2011-11-07

Family

ID=42196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999U KR200456575Y1 (ko) 2008-11-21 2009-10-28 후방리프트 방식의 플렉시블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45962B2 (ko)
KR (1) KR200456575Y1 (ko)
TW (1) TWM35492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2929B2 (ja) * 2012-06-11 2014-01-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42342B2 (ja) * 2015-01-26 2018-06-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33151B2 (ja) 2015-11-18 2019-06-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D941244S1 (en) * 2019-06-25 2022-01-18 Kyocera Corporation Electric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7982B2 (ja) * 2005-08-08 2010-03-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282027B2 (ja) * 2006-11-15 2009-06-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338738B2 (ja) * 2007-02-02 2009-10-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858249B2 (ja) * 2007-03-1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TW200931729A (en) * 2008-01-14 2009-07-16 P Two Ind Inc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575Y1 (ko) 2011-11-07
US20100130051A1 (en) 2010-05-27
TWM354923U (en) 2009-04-11
US7845962B2 (en)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8249B2 (ja) コネクタ
JP4704505B1 (ja) 基板用コネクタ
CN103002700B (zh) 电路板装置及其与电子卡的组合结构
KR200456575Y1 (ko) 후방리프트 방식의 플렉시블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TWI307980B (en) Electrical connector
JP4359568B2 (ja) コネクタ
TW201101613A (en) Connector
JP4073766B2 (ja) コネクタ
JP2008305621A (ja) コネクタ
JP5571837B1 (ja) 電気コネクタ
TW201340486A (zh) 連接器裝置
KR20060094460A (ko) 플렉서블 기판용 커넥터
JP3149540U (ja) 後方跳上げ式フレキシブル配線板用電気コネクタ
JP5218749B2 (ja) コネクタ装置
JP2008235183A (ja) 電気コネクタ
JPH11307191A (ja) カードコネクタ
KR100763721B1 (ko) 커넥터
JP5077032B2 (ja) コネクタ装置
JP2006059724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6843973B2 (ja) ケーブル迅速係止用の電気コネクタ
KR101121506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및 이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
CN220155886U (zh) 一种按压式自锁连接器及排线连接结构
KR200457338Y1 (ko) 커넥터
JP6195797B2 (ja) コネクタ
KR200294815Y1 (ko) 인쇄 회로 기판 연결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