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987A -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987A
KR20100004987A KR1020097017889A KR20097017889A KR20100004987A KR 20100004987 A KR20100004987 A KR 20100004987A KR 1020097017889 A KR1020097017889 A KR 1020097017889A KR 20097017889 A KR20097017889 A KR 20097017889A KR 20100004987 A KR20100004987 A KR 20100004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oor
closing
shoe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후지키
겐스케 이마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4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9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에서는 세이프티 슈(safety shoe)가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도어 닫음 측 단부(端部)에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는 슈 연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슈 연동기구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이동에 연동하여 엘리베이터 칸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대해서 변위되는 슈 변위용 링크를 가지고 있다. 세이프티 슈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대한 변위는 슈 변위용 링크부재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대한 변위와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문턱의 아래쪽에는 폐색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폐색부재는 엘리베이터 칸 문턱과 승강장 문턱과의 사이의 문턱 틈새를 폐색하는 폐색위치와, 문턱 틈새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슈 연동기구와 폐색부재와의 사이에는 폐색부재 연동기구가 연결되어 있다. 폐색부재 연동기구는 슈 변위용 링크부재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변위에 연동시켜 폐색부재를 변위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DOORWAY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문턱(sill)과 승강장 문턱과의 사이의 틈새를 폐색(閉塞)하는 폐색부재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문턱과 승강장 도어의 문턱과의 사이의 틈새로부터 승강로 내에 열쇠 등의 이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용객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승강시에 당해 틈새를 폐색부재로 폐색하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승강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개폐모터와 폐색부재와의 사이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다. 폐색부재는 도어개폐모터의 구동력에 의한 와이어의 이동에 의해 회동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문턱과 승강장 도어의 문턱과의 사이의 틈새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문턱에 대한 폐색부재의 회동에 의해 폐색된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0-229773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도어개폐모터의 구동력을 폐색부재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와이어나, 와이어를 감아 거는 풀리를 새로이 설치할 뿐만 아니라, 도어개폐모터의 회전 스트로크가 와이어의 이동량보다도 길기 때문에, 와이어의 이동량을 조정하기 위한 대형의 감속장치도 새로이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구조가 복잡하게 됨과 동시에, 제조 코스트도 증대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칸 문턱과 승강장 문턱과의 사이의 틈새를 간단한 구성으로 폐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 코스트의 저감화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도어 닫음 측 단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세이프티 슈(safety shoe),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이동에 연동하여 엘리베이터 칸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각각에 대해서 변위되는 슈 변위용 링크부재를 가지고, 슈 변위용 링크부재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대한 변위와, 세이프티 슈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대한 변위가 연동하는 슈 연동기구,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하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문턱과 승강장 출입구의 하부에 설치된 승강장 문턱과의 사이의 문턱 틈새를 폐색하는 폐색위치와, 문턱 틈새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변위 가능한 폐색부재 및 슈 연동기구와 폐색부재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슈 변위용 링크부재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변위에 연동시켜 폐색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에 폐색부재를 변위시키는 폐색부재 연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의해서 전개(全開)되어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의 출입입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폐색부재가 문턱 틈새를 폐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전폐(全閉)하고 있는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에서 엘리베이터 칸(도시하지 않음)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위쪽에 설치된 행거 케이스(2)가 고정되어 있다.
행거 케이스(2)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도어 레일(지지 레일)(3)이 고정되어 있다. 도어 레일(3)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 구(1)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가 매달려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개폐된다. 여기서,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가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에 의해서 전개되어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를 전폐하는 전폐위치(도 1)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를 전개하는 전개위치(도 3)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엘리베이터 칸 문턱(6)이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는 문턱 홈(도시하지 않음)이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문턱 홈에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는 도어 레일(3)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도어 행거(7)와, 도어 행거(7)의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 행거(7)와 함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를 개폐하는 도어 패널(8)을 가지고 있다.
각 도어 행거(7)는 도어 레일(3)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본 예에서는 2개)의 행거 롤러(9)와, 각 행거 롤러(9)가 설치된 공통의 도어 행거 본체(행거판)(10)를 가지고 있다.
각 행거 롤러(9)는 도어 레일(3) 위에 실려져 있다. 또, 각 행거 롤러(9)는 도어 행거(7)가 도어 레일(3)을 따라서 이동될 때, 도어 레일(3)에 접촉하면서 전동(轉動)된다.
행거 케이스(2) 위에는 도어구동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구동장치(11)는 모터(12)와, 모터(12)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풀리(13)를 가지고 있다. 행거 케이스(2)의 폭방향 일단부에는 서로 동축에 배치된 전달풀리(14) 및 제1 도어이동용 풀리(15)가 설치되어 있다. 행거 케이스(2)의 폭방향외 단부에는 제2 도어이동용 풀리(16)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풀리(13) 및 전달풀리(14) 사이에는 무단상(無端狀)의 전달벨트(17)가 감아 걸려져 있다. 구동풀리(13)의 회전력은 전달벨트(17)의 둘레 이동에 의해 전달풀리(14)에 전달된다. 또, 제1 도어이동용 풀리(15)는 전달풀리(14)와 일체로 회전된다.
제1 도어이동용 풀리(15) 및 제2 도어이동용 풀리(16) 사이에는 무단상의 도어 이동용 벨트(전동조체)(18)가 감아 걸려져 있다. 도어 이동용 벨트(18)는 제1 도어이동용 풀리(15)의 회전에 의해 둘레 이동된다. 제2 도어이동용 풀리(16)는 도어 이동용 벨트(18)의 둘레 이동에 의해 회전된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는 도어 이동용 벨트(18)의 둘레 이동에 의해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연결부재(19, 20)를 통하여 도어 이동용 벨트(18)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5)의 도어 닫음 측 단부에는 세이프티 슈(21)가 한 쌍의 슈 장착부재(22)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슈 장착부재(22)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5)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쪽(아래쪽)의 슈 장착부재(22)에는 맞닿음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세이프티 슈(21)는 각 슈 장착부재(22)의 회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5)로부터 돌출하는 돌출위치와, 돌출위치보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5)의 안쪽으로 후퇴하는 후퇴위치와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5)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5)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이동(즉, 엘리베이터 칸 도어(5)의 개폐 동작시의 이동)과, 세이프티 슈(21)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5)에 대한 변위를 연동시키는 슈 연동기구(23)가 설치되어 있다. 슈 연동기구(23)는 엘리베이터 칸 문턱(6) 위에 고정된(즉,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고정된) 고정부재(24)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5)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5)에는 도어 측 접속부재(25)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재(24)에는 고정 측 접속부재(26)가 마련되어 있다. 슈 연동기구(23)는 도어 측 접속부재(25)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도어 측 링크부재(제1 슈 변위용 링크부재)(27)와, 고정 측 접속부재(26)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고정 측 링크부재(제2 슈 변위용 링크부재)(28)를 가지고 있다.
도어 측 링크부재(27) 및 고정 측 링크부재(28)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5)의 개폐 동작시의 이동에 따라서 도어 측 링크부재(27)가 도어 측 접속부재(25)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고정 측 링크부재(28)가 고정 측 접속부재(26)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즉, 도어 측 링크부재(27) 및 고정 측 링크부재(28)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5)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이동에 연동하여 엘리베이터 칸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5)의 각각에 대해서 변위된다.
슈 장착부재(22)의 맞닿음부(22a)에는 도어 측 링크부재(27)의 단부가 맞닿아 있다. 슈 장착부재(22)는 도어 측 링크부재(27)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5)에 대한 변위(회동)에 의해, 도어 측 링크부재(27)에 맞닿게 되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5)에 대해서 회동된다. 세이프티 슈(21)는 슈 장착부재(22)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5)에 대한 회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5)에 대해서 변위된다. 즉, 세이프티 슈(21)는 도어 측 링크부재(27)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5)에 대한 변위에 연동하여 돌출위치(도 1)와 후퇴위치(도 3)와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세이프티 슈(21)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5)의 전폐위치로의 변위에 의해 돌출위치로 변위되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5)의 전개위치로의 변위에 의해 후퇴위치로 변위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도 엘리베이터 칸 도어(5)와 동일한 세이프티 슈(21) 및 슈 연동기구(23)가 설치되어 있다.
각 층에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개폐되는 승강장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장 도어는 엘리베이터 칸이 각 층에 정지하고 있을 때,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에 대향한다. 각 승강장 도어는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장치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에 걸어맞추면서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와 함께 이동된다. 승강장 출입구는 각 승강장 도어의 이동에 의해 개폐된다.
승강장 출입구의 하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장 출입구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승강장 문턱(29)이 고정되어 있다. 승강장 문턱(29)의 하부에는 보호판으로서의 토 가드(toe guard)(30)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이 각 층에 정지하고 있을 때는 엘리베이터 칸 문턱(6)과 승강장 문턱(29)이 문턱 틈새(31)를 통하여 대향한다.
엘리베이터 칸 문턱(6)의 아래쪽에는 엘리베이터 칸 문턱(6)과 승강장 문턱(29)과의 사이의 문턱 틈새(31)를 폐색하기 위한 폐색부재(32)가 설치되어 있다. 폐색부재(32)는 엘리베이터 칸 문턱(6)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 폐색부재(32)는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따른 회동축(33)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폐색부재(32)는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대해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폐색부재(32)는 회동축(33)에 장착된 장변부(34)와, 장변부(34)의 승강장 문턱(29) 측의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단변부(35)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도 4는 도 2의 폐색부재(32)가 문턱 틈새(31)를 폐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색부재(32)는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대한 회동에 의해, 문턱 틈새(31)를 폐색하는 폐색위치(도 4)와, 문턱 틈새(31)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도 2)와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장변부(34)의 승강장 문턱(29) 반대 측의 단부는 폐색부재(32)의 회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변위된다. 단변부(35)의 하단부는 폐색부재(32)의 회동에 의해 토 가드(30)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폐색부재(32)가 폐색위치에 있을 때는 단변부(35)가 토 가드(30)에 맞닿게 된다. 문턱 틈새(31)는 단변부(35)의 토 가드(30)와의 맞닿음에 의해 폐색된다.
슈 연동기구(23)와 폐색부재(32)와의 사이에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색부재 연동기구(36)가 연결되어 있다. 폐색부재 연동기구(36)는 고정 측 링크부재(28)의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대한 변위와, 폐색부재(32)의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대한 변위를 연동시킨다. 즉, 폐색부재(32)는 폐색부재 연동기구(36)가 슈 연동기구(23)와 폐색부재(32)와의 사이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고정 측 링크부재(28)의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대한 변위로 연동하여 폐색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폐색부재 연동기구(36)는 슈 기구 측 링크부재(제1 폐색부재 변위용 링크부재)(37)와 지지 측 링크부재(제2 폐색부재 변위용 링크부재)(38)를 가지고 있다. 슈 기구 측 링크부재(37) 및 지지 측 링크부재(38)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는 슈 기구 측 링크부재(37)가 통과되는 통과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문턱(6)의 하부에는 지지 측 링크부재(38)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재(40)에는, 지지 측 링크부재(38)의 중간부가 지지 측 접속부재(41)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고정 측 링크부재(28)의 중간부에는 통과구멍(39)을 통과한 슈 기구 측 링크부재(37)가 슈 기구 측 접속부재(42)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폐색부재(32)의 장변부(34)에는 지지부재(40)에 지지된 지지 측 링크부재(38)가 폐색부재 측 접속부재(43)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슈 기구 측 링크부재(37)는 고정 측 링크부재(28)의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대한 변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된다. 지지 측 링크부재(38)는 슈 기구 측 링크부재(37)의 상하방향으로의 변위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대해 지지 측 접속부재(41)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즉, 슈 기구 측 링크부재(37) 및 지지 측 링크부재(38)는 고정 측 링크부재(28)의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대한 변위에 연동하여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대해 변위된다.
폐색부재 측 접속부재(43)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변부(34)에 고정된 폐색부재 고정부(43a)와, 폐색부재 고정부(43a)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43b)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43b)는 회동축(33)을 포함하고 또한 장변부(34)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 측 링크부재(38)에는 돌출부(43b)가 삽입되는 관통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44)의 내경은 관통구멍(44)의 중간 부분에서 최소이며, 관통구멍(44)의 개구부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지지 측 링크부재(38)는 관통구멍(44)에 돌출부(43b)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폐색부재(32)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지지 측 링크부재(38)는 돌출부(43b)의 축선의 둘레방향에 대할 뿐만 아니라, 돌출부(43b)의 축선방향에 대해서도 폐색부재(32)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폐색부재 측 접속부재(43)는 지지 측 링크부재(38)의 지지 측 접속부재(41)(도 1 및 도 3)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변위된다. 폐색부재(32)는 폐색부재 측 접속부재(43)의 상하방향으로 의 변위에 의해 폐색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폐색부재(32)와 엘리베이터 칸 문턱(6)과의 사이에는 개방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폐색부재(32)를 가압하는 가압스프링(가압체)(45)이 접속되어 있다. 즉, 이 가압스프링(45)은 폐색부재 측 접속부재(43)가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폐색부재(32)를 가압하고 있다.
폐색부재(32)의 개방위치로부터 폐색위치로의 변위는 지지 측 링크부재(38)의 지지 측 접속부재(41)를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가압스프링(4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행해진다. 즉, 폐색부재 연동기구(36)는 이 가압스프링(45)의 가압력에게 저항하여 폐색부재(32)를 폐색위치로 변위시킨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가 전폐위치에 있을 때는 세이프티 슈(21)가 돌출위치에 배치되고, 폐색부재(32)가 개방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이 층에 정지하여 도어 열림 동작을 실시할 때는 도어구동장치(11)의 구동력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가 승강장 도어에 걸어맞춰지면서 전폐위치(도 1)로부터 전개위치(도 3)로 향하여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 측 링크부재(27)가 도어 측 접속부재(25)를 중심으로 도 1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고정 측 링크부재(28)가 고정 측 접속부재(26)를 중심으로 도 1의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도어 측 링크부재(2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세이프티 슈(21)가 돌출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향하여 변위된다. 또, 고정 측 링크부재(28)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슈 기구 측 링크부재(37)가 위쪽으로 변위된다.
슈 기구 측 링크부재(37)의 위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지지 측 링크부재(38)가 지지 측 접속부재(41)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폐색부재 측 접속부재(43)가 가압스프링(4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폐색부재 측 접속부재(43)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면, 폐색부재(32)가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방위치로부터 폐색위치로 향하여 변위된다.
이 후,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의 전개위치로의 이동을 계속하여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가 전개위치에 이르면, 세이프티 슈(21)가 후퇴위치에 이름과 동시에 폐색부재(32)가 폐색위치에 이른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문턱(6)과 승강장 문턱(29)과의 사이의 문턱 틈새(31)가 폐색부재(32)에 의해서 폐색된다.
도어 닫음 동작을 실시할 때는 도어구동장치(11)를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와 반대의 동작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폐색부재(32)가 개방위치로 변위되어 문턱 틈새(31)에 대한 폐색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에서는 폐색부재(32)와 슈 연동기구(23)와의 사이에 폐색부재 연동기구(36)가 연결되고, 폐색부재(32)가 슈 연동기구(23)에 연동하여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감속장치 등의 대형기기를 새로이 추가하지 않고 폐색부재(32)를 변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문턱 틈새(31)를 간단한 구성으로 폐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 코스트의 저감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 폐색부재 연동기구(36)는 슈 연동기구(23)에 연동하여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대해서 회동되는 지지 측 링크부재(38)를 가지고 있고, 폐색부재(32)가 지 지 측 링크부재(38)의 회동에 연동하여 폐색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되므로, 폐색부재(32)의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대한 변위를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또, 폐색부재(32)는 엘리베이터 칸 문턱(6)을 따라서 배치된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회동되므로, 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폐색부재(32)를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 대해 용이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또, 폐색부재(32)는 개방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스프링(45)에 의해 가압되어 있으므로, 폐색부재(32)의 개방위치로의 변위를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폐색부재(32)가 폐색부재 연동기구(36)로부터 벗어나 버렸을 경우에, 폐색부재(32)를 개방위치에 유지시켜 둘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시에서의 폐색부재(32)의 폐색위치로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어 폐색부재(32)나 승강로 내의 기기의 파손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문턱과 승강장 문턱과의 사이의 틈새를 폐색하는 폐색부재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도어 닫음 측 단부(端部)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세이프티 슈(safety shoe),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각각에 대해서 변위되는 슈 변위용 링크부재를 가지고, 상기 슈 변위용 링크부재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대한 변위와, 상기 세이프티 슈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대한 변위가 연동하는 슈 연동기구,
    상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하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문턱과 승강장 출입구의 하부에 설치된 승강장 문턱과의 사이의 문턱 틈새를 폐색(閉塞)하는 폐색위치와, 상기 문턱 틈새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변위 가능한 폐색부재 및
    상기 슈 연동기구와 상기 폐색부재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슈 변위용 링크부재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변위에 연동시켜 상기 폐색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와의 사이에 상기 폐색부재를 변위시키는 폐색부재 연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색부재 연동기구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 측 링크부재를 가지고,
    상기 지지 측 링크부재는 상기 슈 변위용 링크부재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변위에 연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회동되며,
    상기 폐색부재는 상기 지지 측 링크부재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폐색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색부재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문턱을 따라서 배치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폐색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색부재를 상기 개방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폐색부재 연동기구는 상기 가압체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폐색부재를 상기 폐색위치로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
KR1020097017889A 2007-03-16 2007-03-16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 KR201000049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5370 WO2008114344A1 (ja) 2007-03-16 2007-03-16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987A true KR20100004987A (ko) 2010-01-13

Family

ID=3976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889A KR20100004987A (ko) 2007-03-16 2007-03-16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301821A1 (ko)
EP (1) EP2143682A4 (ko)
JP (1) JPWO2008114344A1 (ko)
KR (1) KR20100004987A (ko)
WO (1) WO2008114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26908T3 (es) 2011-03-22 2022-10-31 Otis Elevator Co Conjunto de protección de los dedos de los pies para un sistema de ascensor
ES2597969T3 (es) 2011-04-05 2017-01-24 Otis Elevator Company Conjunto de protección de los dedos de los pies para un sistema elevador
EP2774887B1 (en) * 2013-03-08 2016-05-18 KONE Corporation Door sill unit and method for an elevator landing door unit
US20180229973A1 (en) * 2015-08-31 2018-08-16 Frédéric Beauchaud Elevator recuperator
DE112016006878T5 (de) * 2016-05-20 2019-01-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türvorrichtung
JP6306125B1 (ja) * 2016-11-02 2018-04-0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6388418B1 (ja) * 2017-06-23 2018-09-1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11034549B2 (en) * 2018-04-25 2021-06-15 Otis Elevator Company Gap-reducing sill assembly for an elevator car
CN109368465A (zh) * 2018-12-15 2019-02-22 康达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与层门间隙的防护机构
CN111908310B (zh) * 2020-08-11 2022-07-29 浙江蒂尔森电梯有限公司 一种延迟关门的电梯门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3464U (ko) * 1975-08-07 1977-02-18
JPS54104147A (en) * 1978-01-31 1979-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evice
JPS5935825B2 (ja) * 1978-03-27 1984-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出入口装置
JPH05301692A (ja) * 1992-04-27 1993-11-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出入口扉の安全装置
JPH0789684A (ja) * 1993-09-21 1995-04-04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扉装置
JP2800674B2 (ja) * 1994-03-10 1998-09-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JPH0859156A (ja) * 1994-08-18 1996-03-05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
JP3356607B2 (ja) * 1995-12-25 2002-12-16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ーの出入口装置
US6508332B2 (en) * 2000-11-15 2003-01-21 Fujitec America, Inc. Elevator car door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43682A1 (en) 2010-01-13
WO2008114344A1 (ja) 2008-09-25
US20090301821A1 (en) 2009-12-10
EP2143682A4 (en) 2013-10-23
JPWO2008114344A1 (ja)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4987A (ko)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장치
JPWO2008149456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N112125106B (zh) 一种基于电梯轿厢门联动的防剪切保护装置
JP5312449B2 (ja) エレベーターのカゴドアロック装置
JP2009113976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1114863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448306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側ドア施錠装置
JP201807615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ロック機構付き係合装置
JP2015037995A (ja) エレベータの係合装置
KR19990016667A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닫힘장치
US10501288B2 (en) Seal member for sealing a door sill gap
JP4955279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627842B1 (en) Door device of elevator
CN113544076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KR102432822B1 (ko) 도어 모터 제동기
JP6880317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5239243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KR100420041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잠금장치
JP4791153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2390117A (zh) 电梯的门装置
JP2023090128A (ja) 遮煙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JP7425528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WO202319516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7088405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35611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