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929A - 접속모듈 및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접속모듈 및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929A
KR20100004929A KR1020097015969A KR20097015969A KR20100004929A KR 20100004929 A KR20100004929 A KR 20100004929A KR 1020097015969 A KR1020097015969 A KR 1020097015969A KR 20097015969 A KR20097015969 A KR 20097015969A KR 20100004929 A KR20100004929 A KR 20100004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in body
electronic device
state
conne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2956B1 (ko
Inventor
히사오 모로오카
마사히코 교우즈카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Abstract

내부에 전자회로가 수납된 본체부, 본체부에 축지(軸支)되어서 본체부의 앞에 뉘어지고, 상면인 제 1 면에, 전자회로가 내장되고 상기 전자회로와의 접속용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기기가 편평하게 배치되는 플랫 상태(flat position)와, 본체부에 대해 입설(立設)되어 이 전자기기가 제 1 면에 대한 이면(裏面)인 제 2 면에 기대어 세워지는 스탠딩 상태(standing position)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판부, 및 판부가 플랫 상태에 있을 때에 판부에 편평하게 배치되는 전자기기의 커넥터와 결합하고, 이 전자기기의 내부의 전자회로를 본체부 내부의 전자회로에 접속하는 제 1 커넥터를 구비한다.
전자기기, 전자회로, 접속모듈, 커넥터

Description

접속모듈 및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CONNECTION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COUPLING SYSTEM}
본 발명은 전자기기가 결합되는 접속모듈 및 전자기기 결합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본체부의 키보드에 대면시켜서 포갠 닫힌 상태로부터, 표시부를 본체부 위에 입설(立設)시킨 열린 상태로 하여 사용되는, 소위 노트형 퍼스널컴퓨터(이하, 노트PC 라고 칭함)에서는 휴대성을 감안하여 주변기기와의 접속용 커넥터의 배치가 최소한도로 고정시켜져 있다.
최근, 이 노트PC를 외부기기와의 접속성이 높은 데스크탑형 퍼스널컴퓨터와 동등한 성능을 가진 퍼스널컴퓨터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기기와의 접속용 커넥터가 풍부하게 갖춰져 있는 동시에 노트PC와의 결합이 가능한, 포트 리플리케이터(port replicator) 또는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등으로 불리는 접속모듈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키보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이를 테면 노트PC의 표시부가 본체부 위에 표시 화면을 바깥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서 고정된 것 같은, 슬랫(slate)형의 태블릿 컴퓨터(이하, '슬랫형 컴퓨터'라고 칭함)로 호칭되는, 주변 기기와의 접속용 커넥터 배치는 최소한도로 고정된 휴대형 컴퓨터도 이용되고 있으므로, 이 슬랫형 컴퓨터의 외부기기와의 접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안이 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상기 특허문헌1의 제안에서는 이 슬랫형 컴퓨터와 접속모듈의 결합이, 이 슬랫형 컴퓨터의 표시 화면이 보기 용이하도록, 이 슬랫형 컴퓨터가 접속모듈에 기대어 세워져서 행해진다.
또한 최근에는, 키보드를 구비한 본체부와, 표시 화면을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부에 대해 개폐가능하고 또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축 연결부(二軸連結部)를 통해 연결된 표시부를 설치하고, 이 표시부를 본체 위에 입설(立設)한 열린 상태와, 표시부가 본체 위에 표시 화면을 안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진 제 1 닫힌 상태와, 표시부가 본체부 위에 표시 화면을 바깥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진 제 2 닫힌 상태를 가지는 컨버터블(convertible)형의 태블릿 컴퓨터(이하, '컨버터블형 컴퓨터'라고 칭함)가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101140호(도 3)
이 컨버터블형 컴퓨터에 대해서는, 상술한 열린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와 DVD 재생 등 상술한 제 2 닫힌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의 2 가지 사용 모습이 고려되지만, 특허문헌1에 제안되어 있는 접속모듈에서는 이들 2 가지 사용 모습에 대응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컨버터블형 태블릿 컴퓨터에의 대응도 가능한 접속모듈 및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접속모듈은,
내부에 전자회로가 수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축지(軸支)되어서 상기 본체부의 앞에 뉘어지고, 상면인 제 1 면에 전자기기가 편평하게 배치되는 플랫 상태(flat position)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입설(立設)하여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제 1 면에 대한 이면(裏面)인 제 2 면에 기대어 세워지는 스탠딩 상태(standing position)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판부, 및
상기 판부가 상기 플랫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판부에 편평하게 배치되는 전자기기와 결합하고, 상기 전자기기를 상기 본체부 내부의 전자회로에 접속시키는 제 1 커넥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접속모듈은 플랫 상태와 스탠딩 상태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고, 제 1 커넥터를 구비한 판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판부를 플랫 상태로 함으로써 열린 상태에 있는 컨버터블형 태블릿 컴퓨터와의 결합이 가능해지고, 또한 판부를 스탠딩 상태로 함으로써 제 2 닫힌 상태에 있는 컨버터블형 태블릿 컴퓨터를 판부에 기대어 세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속모듈에 의하면, 컨버터블형 태블릿 컴퓨터에의 대응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접속모듈은, 상기 판부가 상기 스탠딩 상태에 있을 때의 판부에 기대어 세워져 있는 전자기기와 결합하여 이 전자기기를 상기 본체부 내부의 전자회로에 접속시키는 제 2 커넥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스탠딩 상태의 판부에 기대어 세워진 전자기기에 대해서도 본체부 내의 전자회로와의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모듈의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판부의 상기 제 1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모듈의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판부의 상기 제 2 면에 설치될 수 있고, 또는, 본 발명의 접속모듈은 상기 판부가 상기 스탠딩 상태에서 이 판부의 상기 제 2 면에 전자기기가 기대어 세워진 때의 이 전자기기의 하단부를 받치는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받침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모듈은,
상기 판부가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을 관통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판부와는 별도로 축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판부가 상기 스탠딩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개구로 밀쳐 들어가서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판부에 기대어 세워진 전자기기와 결합시키는 결합 상태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판부에 기대어 세워진 전자기기로부터 이간한 이간 상태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커넥터 유지부를 구비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이 접속모듈은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회로를 내장한 것이고, 상기 판부는 상기 스탠딩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판부에 기대어 세워진 전자기기와 결합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3 커넥터를 구비한 것도 바람직한 태양이다.
이와 같이, 판부가 스탠딩 상태에 있을 때의 판부에 기대어 세워진 전자기기와 결합하여 이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3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으면, 닫힌 상태에 있는 컨버터블형 태블릿 컴퓨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가 키보드를 구비한 제 1 유닛과, 표시 화면을 구비하고 이 제 1 유닛에 대해 개폐가능 및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축 연결부(二軸連結部)를 통해 연결된 제 2 유닛을 구비하고, 이 제 2 유닛이 이 제 1 유닛 위에 입설(立設)된 열린 상태와, 이 제 2 유닛이 이 제 1 유닛 위에 이 표시 화면을 안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진 제 1 닫힌 상태와, 이 제 2 유닛이 이 제 1 유닛 위에 이 표시 화면을 바깥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진 제 2 닫힌 상태를 갖는 컨버터블형 태블릿 컴퓨터이며, 이 접속모듈은 이 컨버터블형 태블릿 컴퓨터를 결합 및 기대어 세우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은,
전자회로가 내장되고 이 전자회로와의 접속용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기기와, 내부에 전자회로가 수납된 본체부, 이 본체부에 축지되어서 이 본체부의 앞에 뉘어지고, 상면인 제 1 면에 상기 전자기기가 편평하게 배치되는 플랫 상태와, 이 본체부에 대해 입설하여 이 전자기기가 이 제 1 면에 대한 이면인 제 2 면에 기대어 세워지는 스탠딩 상태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판부, 및 이 판부가 이 플랫 상태에 있을 때에 이 판부에 편평하게 배치되는 상기 전자기기의 커넥터와 결합하고, 이 전자기기의 전자회로를 상기 본체부 내부의 전자회로에 접속시키는 제 1 커넥터를 가지는 접속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인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의 전자기기가, 키보드를 구비한 본체부와, 표시 화면을 구비하여 이 본체부에 대해 개폐가능 및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축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표시부를 구비하고, 이 표시부가 본체 위에 입설된 열린 상태와, 이 표시부가 본체 위에 표시 화면을 안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진 제 1 닫힌 상태와, 이 표시부가 본체부 위에 표시 화면을 바깥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진 제 2 닫힌 상태를 갖는 컨버터블형의 태블릿 컴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버터블형 태블릿 컴퓨터에의 대응도 가능한 접속모듈, 및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접속모듈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접속모듈에 의한 대응이 가능한 컴퓨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외관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에 의한 대응이 가능한 컴퓨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에 의한 대응이 가능한 컴퓨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접속모듈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1)이 본체(2)와, 이 본체(2)에 축지되어 회동이 가능한 회동판(3)과, 이 회동판(3)의 상면(3a)에 설치된 제 1 커넥터(4)와, 이 회동판(3)의 하면(3b)에 설치된 제 2 커넥터(5)로 구성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본체(2)는 배면측에 LAN이나 외부디스플레이 등과의 접속용 커넥터부(2b)(도 1(e)참조)와, 내부에 이 커넥터부(2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자회로(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판(3)은 본체(2)에 축지되어서 이 본체(2) 앞에 뉘어지고, 그 상면(3a)에 컨버터블형 태블릿 컴퓨터(이하, '컴퓨터'라고 칭함)(10)(도 2 참조)가 편평하게 배치되는 플랫 상태(flat position)(도1 (a))와, 이 본체(2)에 대하여 세워져서 이 컴퓨터(10)가 하면(3b)에 기대어 세워지는 스탠딩 상태(standing position)(도 1(b))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본체(2)의 전면측에는 기대어 세워지는 컴퓨터(10)의 하단부를 받치는 받침부(2a)가 구비되어 있다.
제 1 커넥터(4)는 회동판(3)이 플랫 상태에 있을 때에 이 회동판(3)에 편평하게 배치되는 컴퓨터(10)와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이고, 또한 이 제 1 커넥터(4)는 회동판 내부에 배치된 전기배선을 통해, 본체(2)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회로와 접속되어 있다.
제 2 커넥터(5)는 회동판(3)이 스탠딩 상태에 있을 때에 이 회동판(3)에 기 대어 세워진 컴퓨터(10)와 결합하기 위한, 기능적으로는 제 1 커넥터(4)와 같은 종류의 커넥터이다. 이 제 2 커넥터(5)도, 회동판 내부에 배치된 전기배선을 통해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회로와 접속되어 있다.
도 1(c)에는 도 1(a)에 나타낸 플랫 상태에 있는 회동판(3)을 좌측면측에서 본 모습이 나타나 있고, 도 1(d)에는 도 1(b)에 나타낸 스탠딩 상태에 있는 회동판(3)을 좌측면측에서 본 모습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e)에는 접속모듈(1)을 배면측에서 본 모습이 나타나 있고, 여기에는, 본체(2)의 배면측에 구비되어 있는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프린터 등과의 접속용 커넥터부(2b)가 나타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접속모듈에 의한 대응이 가능한 컴퓨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는 키보드(111)를 구비한 기초부(11)와, 표시 화면(121)을 구비하고 있고 이 기초부(11)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고 또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축 연결부(二軸連結部)(13)를 통해 연결된 화면부(12)를 구비한 컴퓨터(10)가 나타나 있다. 이 컴퓨터(10)는, 화면부(12)가 이 기초부(11) 위에 입설(立設)된 열린 상태와, 화면부(12)가 기초부(11) 위에 이 표시 화면(121)을 안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진 제 1 닫힌 상태와, 화면부(12)가 이 기초부(11) 위에 이 표시 화면(121)을 바깥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진 제 2 닫힌 상태를 갖는 소위 컨버터블형 태블릿 컴퓨터이다.
도 2(a)에는 이 컴퓨터(10)가 상술한 제 1 닫힌 상태에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고, 도 2(b)에는 이 컴퓨터(10)가 상술한 열린 상태에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2(c)부터 도 2(e)에는, 이 컴퓨터(10)가, 도 2(b)에 나타낸 열린 상태로부터 제 2 닫힌 상태로 될 때까지의 과정이 나타나 있고, 도 2(c)에는 열린 상태에서, 이축 연결부(13)에 의해 기초부(11)에 대해 표시부(12)가 다소 회동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2(d)에는, 기초부(11)에 대한 회동이 종료하여 표시부(12)가 기초부(11) 위에 표시 화면(121)을 바깥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지기 직전의 모습이 나타나 있고, 도 2(e)에는 컴퓨터(10)가 제 2 닫힌 상태에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2(f)에는, 컴퓨터(10)의 기초부(11)의 바닥이 나타나 있고, 이 바닥에는, 플랫 상태에 있는 회동판(3)의 상면에 컴퓨터(10)가 편평하게 배치될 때에, 회동판(3)의 상면에 설치된 제 1 커넥터(4)가 끼워 넣어지는 제 1 오목커넥터(112)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인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외관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본 실시예인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400)은 컴퓨터(10)와, 접속모듈(1)(도 1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3(a)에는 플랫 상태에 있는 회동판(3)에 컴퓨터(10)가 편평하게 배치된 모습이 나타나 있고, 도 3(b)에는 스탠딩 상태에 있는 회동판(3)에 컴퓨터(10)가 기대어 세워진 모습이 나타나 있다.
접속모듈(1)의 회동판(3)이 도 1(a)에 나타낸 플랫 상태에 있을 때에, 회동판(3)의 상면에 구비된 제 1 커넥터(4)와 컴퓨터(10)의 바닥에 구비된 제 1 오목커넥터(112)가 결합되도록 컴퓨터(10)가 편평하게 배치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전자기 기 결합 시스템(400)에서는 컴퓨터(10)가 접속모듈(1)에 결합되고, 접속모듈(1)의 본체(2)의 전자회로와 컴퓨터(10) 내부의 전자회로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400)에서는 접속모듈(1)의 회동판(3)이 도 1(b)에 나타낸 스탠딩 상태에 있을 때에, 회동판(3)의 하면(3b)에 구비된 제 2 커넥터(5)와 컴퓨터(10)의 바닥에 구비된 제 1 오목커넥터(112)가 결합되도록 컴퓨터(10)를 기대어 세워놓음으로써 이 컴퓨터(10) 내부의 전자회로가 접속모듈(1)에 결합되어, 본체(2)의 전자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체(2)의 전자회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LAN이나 프린터 등과의 접속용 커넥터부(2b)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2)의 전자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컴퓨터(10)는 그 자신에 구비되어 있는 외부기기와의 접속 성능을 뛰어넘는 높은 접속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1)에 의하면, 기초부(11)에 대해 표시부(12)가 입설(立設)된 열린 상태와, 이 화면부(12)가 이 기초부(11) 위에 이 표시 화면(121)을 바깥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진 제 2 닫힌 상태로 사용되는 컴퓨터(10)에의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400)에서는, 컴퓨터(10)의 전자회로가 본체(2)의 전자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컴퓨터(10)는, 그 자신에 구비된 외부기기와의 접속 성능을 뛰어넘는 높은 접속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접속모듈(1)에 의하면, 이를 테면 상술한 제 2 닫힌 상태로만 사용되는 슬랫형 태블릿 컴퓨터, 또는, 이를 테면 상술한 열린 상태로만 사용되는 노트형 퍼스널컴퓨터에도 대응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커넥터(4)가 회동판(3)의 상면(3a)에 설치되고, 제 2 커넥터(5)가 회동 판(3)의 하면(3b)에 설치된 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회동판(3)이 플랫 상태에 있을 때의 이 회동판(3)의 상면(3a)에 편평하게 배치된 컴퓨터(10)와 결합하게 되는 것이라면, 이 제 1 커넥터(4)가 설치되는 위치는 회동판(3)의 상면(3a)에 한정되지 않고, 회동판(3)이 스탠딩 상태에 있을 때의 이 회동판(3)의 하면(3b)에 기대어 세워진 컴퓨터(10)와 결합하게 되는 것이라면, 이 제 2 커넥터(5)가 설치되는 위치도 회동판(3)의 하면(3b)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컴퓨터(10)를 기대어 세워놓은 경우에도 이 컴퓨터(10)와 본체 내부의 전자회로와의 접속을 도모하기 위한 제 2 커넥터(5)를 구비한 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이 제 2 커넥터(5)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서 이 컴퓨터(10)가 기대어 세워지는 때에는 본체 내부의 전자회로와의 접속이 의도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기본적 효과는 감소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접속모듈의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부재에서, 도 1에 나타낸 부재와 같은 종류의 부재에는, 도 1에 첨부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였다.
도 4에 나타낸 접속모듈(100)과 도 1에 나타낸 접속모듈(1) 사이의 차이점은, 도 1에 나타낸 접속모듈(1)에서는 회동판(3)의 하면(3b)에 구비되어 있는 제 2 커넥터(5)가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100)에서는 본체(2)의 받침부(2a)에 구비되어 있는 점이다.
도 4(a)에는 접속모듈(100)의 회동판(3)의 플랫 상태가 나타나 있고, 도 4(b)에는 접속모듈(100)의 회동판(3)의 스탠딩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4(c)에는 플랫 상태의 회동판(3)을 좌측면측에서 본 모습이 나타나 있고, 도 4(d)에는 스탠딩 상태의 회동판(3)을 좌측면측에서 본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에 의한 대응이 가능한 컴퓨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는 이 접속모듈(100)에 의한 대응이 가능한 컴퓨터(20)가 나타나 있다. 이 컴퓨터(20)에는, 도 2에 나타낸 컴퓨터(10)와는 달리, 접속모듈(100)에 기대어 세웠을 때에 하단이 되는 위치에 제 1 오목커넥터(112)와 기능적으로는 동일한 제 2 오목커넥터(212)가 더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100)의 회동판(3)이 도 4(a)에 나타낸 플랫 상태에 있을 때에, 회동판(3)의 상면(3a)에 구비된 제 1 커넥터(4)와 컴퓨터(20)의 바닥에 구비된 제 1 오목커넥터(112)가 결합되도록 컴퓨터(20)를 편평하게 배치함으로써 이 컴퓨터(20)는 접속모듈(100)에 결합되어서, 본체 내부의 전자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100)의 회동판(3)이 도 4(b)에 나타낸 스탠딩 상태에 있을 때에, 본체(2)의 받침부(2a)에 구비된 제 2 커넥터(5)와 컴퓨터(10)에 구비된 제 2 오목커넥터(212)가 결합되도록 컴퓨터(20)를 기대어 세워 놓음으로써 이 컴퓨터(20)는 접속모듈(100)에 결합되어서, 본체 내부의 전자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전자회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LAN이나 프린터 등과의 접속용 커넥터부(2b)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내부의 전자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컴퓨 터(10)는 그 자신에 구비되어 있는 외부기기와의 접속 성능을 뛰어넘는 높은 접속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100)에 의해서도, 기초부(21)에 대해 표시부(12)가 입설된 열린 상태와, 이 화면부(12)가 이 기초부(11) 위에 이 표시 화면(121)을 바깥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진 제 2 닫힌 상태로 사용되는 컴퓨터(20)에의 대응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접속모듈의 제 3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부재에서 도 4에 나타낸 부재와 같은 종류의 부재에는, 도 4에 첨부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였다.
도 6에 나타낸 접속모듈(200)과 도 4에 나타낸 접속모듈(100) 사이의 차이점은, 도 4에 나타낸 접속모듈(100)에서는 본체(2)의 받침부(2a)에 제 2 커넥터(5)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대해, 본 실시예인 접속모듈(200)에서는 본체(202)의 받침부(2a)에 제 2 커넥터(5) 대신 제 3 커넥터(6)가 구비되어 있는 점이다. 이 제 3 커넥터(6)는 본체 내부에 구비된 전력공급회로(미도시)를 통해서 전력을 컴퓨터(30)(도 7 참조)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도 6(a)에는 접속모듈(200)의 회동판(3)의 플랫 상태가 나타나 있고, 도 6(b)에는 접속모듈(200)의 회동판(3)의 스탠딩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6(c)에는 플랫 상태에 있는 회동판(3)을 좌측면측에서 본 모습이 나타나 있고, 도 6(d)에는 스탠딩 상태에 있는 회동판(3)을 좌측면측에서 본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인 접속모듈에 의한 대응이 가능한 컴퓨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는 이 접속모듈(200)에 의한 대응이 가능한 컴퓨터(30)가 나타나 있다. 이 컴퓨터(30)에는, 도 5에 나타낸 컴퓨터(20)에서는 제 2 오목커넥터(212)가 설치된 위치에 제 3 오목커넥터(3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3 오목커넥터(313)에는,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200)의 본체(202)의 받침부(2a)에 구비된, 컴퓨터(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 3 커넥터(6)가 끼워 넣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제 3 오목커넥터(313)에 제 3 커넥터(6)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전력공급회로로부터 컴퓨터(30)로 전력이 공급된다.
본 실시예인 접속모듈(200)의 회동판(3)이 도 6(a)에 나타낸 플랫 상태에 있을 때에, 회동판(3)의 상면에 구비된 제 1 커넥터(4)와 컴퓨터(30)의 바닥에 구비된 제 1 오목커넥터(112)가 결합되도록 컴퓨터(30)가 편평하게 배치됨으로써, 이 컴퓨터(30)는 접속모듈(200)에 결합되어서, 본체 내부의 전자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전자회로는, 제 1 실시예의 접속모듈(1)과 마찬가지로, LAN이나 프린터 등과의 접속용 커넥터부(2b)와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30)는 그 자신에 구비되어 있는 외부기기와의 접속 성능을 뛰어넘는 높은 접속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인 접속모듈(200)의 회동판(3)이 도 6(b)에 나타낸 스탠딩 상태에 있을 때에, 본체(202)의 받침부(2a)에 구비된 제 3 커넥터(6)와 컴퓨터(30)에 구비된 제 3 오목커넥터(313)가 결합되도록 컴퓨터(30)를 기대어 세워 놓음으로 써 이 컴퓨터(30)는 접속모듈(200)에 결합되어서, 전력이 공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인 접속모듈(200)에 의해서도, 기초부(31)에 대해 표시부(12)가 입설된 열린 상태와, 이 화면부(12)가 이 기초부(11) 위에 이 표시 화면(121)을 바깥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진 제 2 닫힌 상태로 사용되는 컴퓨터(30)에의 대응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커넥터(6)를 본체(202)의 받침부(2a)에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탠딩 상태에 있는 회동판(3)에 기대어 세워지는 컴퓨터(30)와 결합하고 이 컴퓨터(3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라면 이 장소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컴퓨터(30)가 제 1 닫힌 상태와 제 2 닫힌 상태의 어느 쪽의 상태에 있어도 좋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인 접속모듈의 제 4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인 접속모듈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는, 제 1 실시예의 접속모듈(1)에서는 회동판(3)의 하면(3b)에 구비된 제 2 커넥터부(5)가, 이 회동판(3)과는 별도로 본체(2)에 회동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커넥터 유지판(7)에 구비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300)은 제 1 실시예인 접속모듈(1)에 의한 대응이 가능한 컴퓨터(10)에 대응이 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 커넥터 유지판(7)은 본체(2)에 축지되는 동시에, 회동판(3)이 스탠딩 상태에 있는 때에는 플랫 상태에서의 본체(302) 받침부(2a)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회동판(3)에 구비된 개구(3c)로 밀쳐 들어가고, 제 2 커넥터부(5)가 회동판(3)에 기대어 세워진 컴퓨터(10)의 제 1 오목커넥터(도 2(f) 참조)(112)와 결합한 결합 상태와 이 제 2 커넥터부(5)가 회동판(3)에 기대어 세워진 컴퓨터(10)로부터 이간한 이간 상태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도 8(a)에는 이 접속모듈(300)의 회동판(3)의 플랫 상태가 나타나 있고, 본체(302)의 중앙부에는 제 2 커넥터부(5)가 설치된 커넥터 유지판(7)도 나타나 있다. 또한, 도 8(a)에는, 본체(302)에 커넥터 유지판(7)을 손가락으로 위쪽으로 세우기 위한 지입부(指入部)(302a)가 설치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8(b)에는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300)의 회동판(3)의 스탠딩 상태가 나타나 있고, 도 8(c)에는 접속모듈(300)의 좌측면측에서 본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8(d)에는, 커넥터 유지판(7)이 도 8(a)에 나타낸 이간 상태로부터 손가락에 의해 세워져서, 제 2 커넥터부(5)와 컴퓨터(10)의 제 1 오목커넥터(112)의 결합이 가능한 결합 상태로 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8(e)에는 커넥터 유지판(7)이 이간 상태와 결합 상태 사이의 상태에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8(e)에는, 회동판(3)에, 결합 상태를 향해서 회동판측으로 회동되는 커넥터 유지판(7)의 단부의 단차부분(71)과 맞물리도록 굴입된 굴입부(3d)가 설치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이 굴입부(3d)가 설치됨으로써 회동판측으로 세워진 커넥터 유지판(7)은, 스탠딩 상태에 있는 회동판(3)의 개구(3c)를 넘어서서 본체(2)의 받침부(2a)측으로까지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회동판(3)에 기대어 세워져 있고, 커넥터 유지판(7)의 제 2 커넥터부(5)가 제 1 오목커넥터(112)와 결합하고 있는 컴퓨터(10)를, 무의식 중에 커넥터 유지 판(7)을 이간시키지 않고 접속모듈(300)로부터 떼어낸 경우에, 이 커넥터 유지판(7)을 회동판(3)의 개구(3c) 이상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커넥터 유지판(7)에 지지되어 있는 제 2 커넥터부(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e)에는, 컴퓨터(10)와 결합 상태에 있는 제 2 커넥터(5)를 제거할 때에 사용하는 볼록부(8)가, 커넥터 유지판(7)에서 제 2 커넥터(5)가 설치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도 나타나 있다.
도 8(f)에는, 커넥터 유지판(7)의 단차부(71)와 회동판(3)의 굴입부(3d)가 맞물려 있을 때에, 회동판(3)의 하면(3b)과 커넥터 유지판(7)의 제 2 커넥터(5)가 장착된 면이 하나의 면으로 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300)의 회동판(3)이 도 8(a)에 나타낸 플랫 상태에 있을 때에, 회동판(3)의 상면(3a)에 구비되어 있는 제 1 커넥터(4)와 컴퓨터(10)의 바닥에 구비되어 있는 제 1 오목커넥터(112)가 결합되도록 컴퓨터(10)를 편평하게 배치함으로써, 이 컴퓨터(10)는 접속모듈(300)에 결합되어 본체 내부의 전자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300)의 회동판(3)이 도 8(b)에 나타낸 스탠딩 상태에 있을 때에, 커넥터 유지판(7)에 지지되어 있는 제 2 커넥터(5)와 컴퓨터(10)에 구비되어 있는 제 1 오목커넥터(112)가 결합되도록 컴퓨터(10)를 기대어 세워놓음으로써 이 컴퓨터(10)는 접속모듈(300)에 결합되어서, 본체 내부의 전자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전자회로는, 제 1 실시예의 접속모듈(1)과 마찬가지로, LAN이나 프린터등과의 접속용 커넥터부(2b)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내 부의 전자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컴퓨터(10)는 그 자체에 구비되어 있는 최소한도의 접속성을 뛰어넘는, 외부기기와의 높은 접속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접속모듈(300)에 의해서도 기초부(11)에 대해 표시부(12)가 입설되는 열린 상태와, 이 화면부(12)가 이 기초부(11) 위에 이 표시 화면(121)이 바깥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지는 제 2 닫힌 상태로 사용되는 컴퓨터(10)에의 대응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유지판(7)을 손가락으로 세울 수 있도록 지입부(302a)가 설치된 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커넥터 유지판(7) 밑에 캠을 배치하고 스위치 조작으로 캠을 회전시켜서 이 커넥터 유지판(7)을 세울 수도 있다.

Claims (10)

  1. 내부에 전자회로가 수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축지(軸支)되어서 상기 본체부의 앞에 뉘어지고, 상면인 제 1 면에 전자기기가 편평하게 배치되는 플랫 상태(flat position)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입설(立設)되어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제 1 면에 대한 이면(裏面)인 제 2 면에 기대어 세워지는 스탠딩 상태(standing position)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판부, 및
    상기 판부가 상기 플랫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판부에 편평하게 배치되는 전자기기와 결합하고, 상기 전자기기를 상기 본체부 내부의 전자회로에 접속시키는 제 1 커넥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가 상기 스탠딩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판부에 기대어 세워지는 전자기기와 결합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상기 본체부 내부의 전자회로에 접속시키는 제 2 커넥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가, 상기 판부의 상기 제 1 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판부의 상기 제 2 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가 상기 스탠딩 상태에서 상기 판부의 상기 제 2 면에 전자기기가 기대어 세워질 때의 상기 전자기기의 하단부를 받치는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받침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가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을 관통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판부와는 별도로 축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판부가 상기 스탠딩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개구로 밀쳐 들어가서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판부에 기대어 세워진 전자기기와 결합시키는 결합 상태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판부에 기대어 세워진 전자기기로부터 이간한 이간 상태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커넥터 유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모듈은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회로를 내장한 것이고,
    상기 판부는 상기 스탠딩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판부에 기대어 세워진 전자기기와 결합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3 커넥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키보드를 구비한 제 1 유닛과, 표시 화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유닛에 대해 개폐가능 및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축 연결부(二軸連結部)를 통해 연결된 제 2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유닛이 상기 제 1 유닛 위에 입설(立設)된 열린 상태와, 상기 제 2 유닛이 상기 제 1 유닛 위에 상기 표시 화면을 안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진 제 1 닫힌 상태와, 상기 제 2 유닛이 상기 제 1 유닛 위에 상기 표시 화면을 바깥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진 제 2 닫힌 상태를 갖는 컨버터블형 태블릿 컴퓨터이며,
    상기 접속모듈은 상기 컨버터블형 태블릿 컴퓨터를 결합 및 기대어 세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모듈.
  9. 전자회로가 내장되고 상기 전자회로와의 접속용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기기와,
    내부에 전자회로가 수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축지되어서 상기 본체부의 앞에 뉘어져서 상면인 제 1 면에 상기 전자기기가 편평하게 배치되는 플랫 상태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입설되어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제 1 면에 대한 이면인 제 2 면에 기대어 세워지는 스탠딩 상태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판부, 및 상기 판부가 상기 플랫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판부에 편평하게 배치되는 상기 전자기기의 커넥터와 결합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전자회로를 상기 본체부 내부의 전자회로에 접속시키는 커넥터를 가지는 접속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키보드를 구비한 본체부와, 표시 화면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부에 대해 개폐가능 및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축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가 본체 위에 입설된 열린 상태와, 상기 표시부가 본체 위에 표시 화면을 안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진 제 1 닫힌 상태와, 상기 표시부가 본체부 위에 표시 화면을 바깥쪽을 향하도록하여 포개진 제 2 닫힌 상태를 갖는 컨버터블형의 태블릿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
KR1020097015969A 2007-02-09 2007-02-09 접속모듈 및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 KR101092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2398 WO2008096448A1 (ja) 2007-02-09 2007-02-09 接続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結合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929A true KR20100004929A (ko) 2010-01-13
KR101092956B1 KR101092956B1 (ko) 2011-12-12

Family

ID=3968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969A KR101092956B1 (ko) 2007-02-09 2007-02-09 접속모듈 및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7940523B2 (ko)
EP (1) EP2110733B1 (ko)
JP (1) JP4590000B2 (ko)
KR (1) KR101092956B1 (ko)
CN (1) CN101606114B (ko)
WO (1) WO2008096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6170B (zh) * 2011-12-27 2017-07-11 株式会社东芝 确定用于外部设备的电子设备的尺寸的方法和该电子设备
US20130178161A1 (en) * 2012-01-08 2013-07-11 Arthur M. Shulenberger Multifunctional carrying case for a tablet computer
CN202884392U (zh) * 2012-09-14 2013-04-17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平板显示装置及其支撑底座
JP2014130947A (ja) * 2012-12-28 2014-07-10 Toshiba Corp 電子機器用のスタンド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CN104879618B (zh) * 2014-02-28 2017-02-0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可调整平板状显示装置的支撑角度的支撑设备
TWI578877B (zh) * 2014-04-16 2017-04-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鎖固結構
JP6880128B2 (ja) * 2019-09-04 2021-06-0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799A (ja) 1989-07-28 1991-03-14 Hochiki Corp 火災感知器
JPH0359799U (ko) * 1989-10-16 1991-06-12
JP3059799B2 (ja) 1991-09-17 2000-07-04 三洋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ヒートポンプの制御
JPH08249086A (ja) * 1995-03-08 1996-09-27 Toshiba Corp 携帯用のコンピュータ及びその拡張ユニット
JP3071662B2 (ja) 1995-03-29 2000-07-3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装置組立体
JPH1159799A (ja) 1997-08-22 1999-03-02 Tatsuno Co Ltd 給油装置
US6556435B1 (en) * 1997-10-31 2003-04-29 Hewlett-Packard Company Adjustable height docking station and computing device for use therewith
JPH11282573A (ja) * 1998-03-31 1999-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拡張装置
JP3059799U (ja) * 1998-12-11 1999-07-13 サンワサプライ株式会社 ノートパソコン用スタンド
JP2001101140A (ja) 1999-09-30 2001-04-13 Pfu Ltd 携帯情報端末用クレードル
US6583984B2 (en) 2001-03-23 2003-06-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position computing device docking station
JP2004118386A (ja) * 2002-09-25 2004-04-15 Sharp Corp がたつき防止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TWI230576B (en) * 2003-11-14 2005-04-01 Asustek Comp Inc Hinge device
JP2005321998A (ja) 2004-05-07 2005-11-17 Sony Corp 携帯型コンピュータ用ドッキング装置およびドッキング構造
US7502225B2 (en) 2004-09-17 2009-03-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er docking station
JP2006301770A (ja) 2005-04-18 2006-11-02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動作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96448A1 (ja) 2008-08-14
US20110176266A1 (en) 2011-07-21
EP2110733B1 (en) 2013-02-13
EP2110733A1 (en) 2009-10-21
JP4590000B2 (ja) 2010-12-01
KR101092956B1 (ko) 2011-12-12
CN101606114A (zh) 2009-12-16
EP2110733A4 (en) 2012-01-11
JPWO2008096448A1 (ja) 2010-05-20
US7940523B2 (en) 2011-05-10
US20110182038A1 (en) 2011-07-28
US20090284917A1 (en) 2009-11-19
CN101606114B (zh) 2011-08-10
US8243436B2 (en) 2012-08-14
US8238092B2 (en)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956B1 (ko) 접속모듈 및 전자기기 결합 시스템
KR102616247B1 (ko) 모듈형 컴퓨팅 시스템
EP3340008B1 (en) Mobile apparatus
US6108198A (en) Modular computer device
US9152187B2 (en) Docking station and portable apparatus
US8422210B2 (en) Reconfigurable computer
JP3810617B2 (ja) 複数の装置のための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KR101097813B1 (ko) 스탠드 및 전자기기 시스템
CN101636708B (zh) 电子设备和框架
US20120044624A1 (en) Handle assembly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8233986A (ja) 接続装置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US7352565B2 (en) Portable computer system
US6023411A (en) Modular docking tray and method
US20110199319A1 (en) Reconfigurable Computer
US20050146446A1 (en) Keyboards
CN201812229U (zh) 携带式电子装置
KR20040035019A (ko)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 시스템 및 스피커 구동방법
KR100584685B1 (ko) 모니터 접이식 일체형 컴퓨터
NL1043573B1 (en) Docking device
CN109407786B (zh) 卡座式电脑
CN210724903U (zh) 具有柔性屏幕的移动终端设备
WO1994006073A1 (en) Space efficient el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TWI324719B (en) Connect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upling system
JP4475838B2 (ja) キーボード装置
KR100824722B1 (ko)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