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722B1 -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722B1
KR100824722B1 KR1020060069931A KR20060069931A KR100824722B1 KR 100824722 B1 KR100824722 B1 KR 100824722B1 KR 1020060069931 A KR1020060069931 A KR 1020060069931A KR 20060069931 A KR20060069931 A KR 20060069931A KR 100824722 B1 KR100824722 B1 KR 100824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mounting bracket
input device
cas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011A (ko
Inventor
김윤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9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722B1/ko
Publication of KR20080010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의 입력을 위한 키이가 상면에 배치되고 키이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상대적으로 낮은 단차부를 형성하는 판상으로 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제1힌지 및 제2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바일기기와 결합되는 장착브라켓과, 상기 장착브라켓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모바일기기의 배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배면밀착부와, 모바일기기의 측면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배면밀착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측면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기기와 입력장치를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바일기기만을 가지고 다니거나, 모바일기기와 입력장치를 결합한 상태로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입력장치의 케이스와 모바일기기를 연결하는 장착브라켓이 2개의 힌지에 의해 다양하게 회전될 수 있어 입력장치를 모바일기기와 결합하여 입력장치에 대해 모바일기기를 다양한 상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모바일기기, 입력, 착탈

Description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Input apparatus for mobi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보관하기 위해 장착브라켓을 수납시킨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모바일기기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a에서 도 6i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사용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스 12: 키이
14: 커넥터안착부 15: 도피부
16: 제1힌지 17: 힌지연결부
18: 제2힌지 20: 장착브라켓
22: 배면밀착부 24: 측면걸이부
26: 걸이돌기 27: 걸이부
29: 커넥터 30: 모바일기기
32: 하우징 34: 디스플레이부
36: 보조레그 36': 힌지핀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기기에 착탈식으로 장착하여 정보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착탈식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다양한 모바일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노트북컴퓨터, 울트라모바일컴퓨터, 태블릿컴퓨터 등이다. 이와 같은 모바일기기에서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일반적으로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정보의 입력도 함께 하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모바일기기에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속도의 한계가 있고 많은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에 많이 사용되는 키이보드를 모바일기기에 연결하여 문자입력등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키이보드에 연결된 케이블의 선단에 있는 커넥터를 모바일기기에 연결하여 키이보드와 모바일기기를 연결하여 문자입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모바일기기는 휴대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인데,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는 기존의 키이보드를 함께 휴대하고 다니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왜냐 하면, 기존의 키이보드는 모바일기기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기 않아, 서로 분리된 상태로 키이보드를 휴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바일기기와 결합하여 입력작업 및 휴대가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제1힌지 및 제2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바일기기와 결합되는 장착브라켓과, 상기 장착브라켓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모바일기기의 배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배면밀착부와, 모바일기기의 측면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배면밀착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측면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커넥터는 상기 장착브라켓의 배면밀착부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커넥터는 USB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는 상기 장착브라켓을 상기 케이스의 선단에 대해 좌우로 회전되게 하고, 상기 제2힌지는 상기 장착브라켓을 상기 케이스의 선단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상기 케이스의 후단 양측에는 상기 장착브라켓의 양단에 구비되는 측면걸이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도피부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입력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입력수단이 구비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단차부로서 상기 장착브라켓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단차부에는 상기 장착브라켓에 구비되는 연결커넥터가 안착되는 커넥터안착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입력수단은 다수개가 다수의 열로 배치되는 키이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정보의 입력을 위한 키이가 상면에 배치되고 키이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상대적으로 낮은 단차부를 형성하는 판상으로 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제1힌지 및 제2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바일기기와 결합되는 장착브라켓과, 상기 장착브라켓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모바일기기의 배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배면밀착부와, 모바일기기의 측면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배면밀착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측면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면밀착부에는 상기 연결커넥터가 구비되는 돌출편이 배면밀착부에서 돌출되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에는 상기 모바일기기에 삽입되어 걸이지는 걸이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의 후단 양측에는 상기 장착브라켓의 양단에 구비되는 측면걸이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도피부가 구비된다.
상기 단차부에는 상기 장착브라켓에 구비되는 연결커넥터가 안착되는 커넥터안착부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입력장치에 의하면, 모바일기기와 입력장치를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바일기기만을 가지고 다니거나, 모바일기기와 입력장치를 결합한 상태로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입력장치의 케이스와 모바일기기를 연결하는 장착브라켓이 2개의 힌지에 의해 다양하게 회전될 수 있어 입력장치를 모바일기기와 결합하여 입력장치에 대해 모바일기기를 다양한 상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입력장치만을 보관할 때, 장착브라켓이나 연결커넥터가 케이스에 대해 돌출되지 않도록 되므로 입력장치의 보관에 소요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입력장치만의 휴대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되는 이점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보관하기 위해 장착브라켓을 수납시킨 상태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모바일기기 가 장착된 상태가 각각 평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예의 외관을 케이스(10)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즉, 상면과 하면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고 네 측면이 폭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입력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케이스(10)의 상면에는 키이(12)가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키이(12)는 일반적인 키이보드에 키이가 배치되는 것과 같이 다수개가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키이(12)는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눌러줌에 의해 해당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입력된다. 상기 키이(12)는 상기 케이스(10)의 상면 후단에서부터 일정 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다수개의 열로 배치된다.
상기 키이(12)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케이스(10)의 상면 후단 영역은 케이스(10)의 상면중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이 부분을 단차부(13)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단차부(13)는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브라켓(20)이 상대적으로 케이스(10)의 상면에서 상부로 덜 돌출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차부(13)의 일측에는 커넥터안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안착부(14)는 요입되게 형성되는데,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커넥터(29)가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넥터안착부(14)는 상기 케이스(10)를 선단 전방에서 봤을 때 가상의 중심선(m)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의 후단 양단부에는 각각 도피부(15)가 형성된다. 상기 도피부(15)는 상기 케이스(10)의 후단 양단이 요입되게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도피 부(15)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브라켓(2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걸이돌기(26)가 케이스(10)와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기 케이스(10)의 가상의 중심선(m)에 중심이 있도록 제1힌지(16)가 구비된다. 상기 제1힌지(16)는 상기 케이스(10)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브라켓(20)이 회전하는 중심이 된다. 상기 제1힌지(16)는 상기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힌지(16)에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브라켓(20)이 장착된다. 상기 제1힌지(16)의 구성은 크게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되는 부분과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된 부분에 대해 상대회전가능한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제1힌지(16)에는 힌지연결부(17)가 연결되어 제1힌지(16)와 함께 회전된다. 즉, 상기 힌지연결부(17)는 제1힌지(16)중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된 부분에 대해 상대회전가능한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0)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연결부(17)에는 제2힌지(18)가 구비된다. 상기 제2힌지(18)는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브라켓(20)의 회전중심이 된다. 즉, 상기 제2힌지(18)에 의해 장착브라켓(20)이 케이스(10) 보다 정확하게는 힌지연결부(17)에 대해 상대회전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힌지(16)는 상기 케이스(10)의 선단 전방에서 봤을 때, 상기 장착브라켓(20)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힌지(18)는 상기 장착브라켓(20)을 상하방향, 즉 장착브라켓(20)이 케이스(10)의 상면과 마주보는 방향과 케이스(10)의 상면에 대해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장착브라켓(2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에 상하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장착브라켓(20)은 아래에서 설명될 모바일기기(30)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장착브라켓(20)은 모바일기기(30)의 배면 일측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배면밀착부(22)와 상기 배면밀착부(22)의 양단에 구비되는 측면걸이부(24)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걸이부(24)는 상기 배면밀착부(22)의 양단에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구성된다.
상기 배면밀착부(22)는 도 3에 그 구성이 잘 도시되어 있는데, 상단 중간쯤에 돌출편(22')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돌출편(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부(27)와 연결커넥터(29)등이 설치된다. 하지만, 반드시 돌출편(22')을 둘 필요는 없다. 상기 배면밀착부(22)는 모바일기기(30)와 접촉되는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해야 모바일기기(30)와의 결합력이나 모바일기기(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측면걸이부(24)는 상기 배면밀착부(22)의 양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각각 선단에 걸이돌기(26)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돌기(26)는 모바일기기(30)의 일측면 양단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브라켓(20)과 모바일기기(3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배면밀착부(22),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돌출편(22')에는 걸이부(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27)는 상기 걸이돌기(26)와 유사한 구성으로 상기 모바일기기(30)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걸이부(27)가 그 자체의 탄성만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30)에 삽 입되어 걸어지거나, 모바일기기(30) 측이나 장착브라켓(20) 측에 있는 별도의 탄성부재 등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모바일기기(30)에 걸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20)의 배면밀착부(22)에는 연결커넥터(29)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커넥터(29)는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돌출편(22')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커넥터(29)는 케이스(10)의 키이(12)와 모바일기기(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커넥터(29)는 상기 장착브라켓(20) 내부, 제2힌지(18), 힌지연결부(17), 제1힌지(16)를 통해 키이(12)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커넥터(29)는 모바일기기(30)측에 구비되는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커넥터(29)로서 USB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30)의 예로는 노트북컴퓨터, 울트라모바일컴퓨터, 태블릿컴퓨터 등이 있을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것 외에도 다양한 모바일기기(30)에 본 발명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기기(30)가 본 발명의 입력장치에 장착된 상태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모바일기기(30)는 외관을 하우징(3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32)은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대략 판상이다. 따라서 전면과 배면이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사각형이고 네 측면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2)의 외면중 상대적으로 넓은면 중 어느 하나에는 디스플레이부(34)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4)는 정보의 표시 및 입력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4)로는 터치기능이 있는 액정판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는 모바일기기(30)를 형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모바일기기(30)의 내부는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모바일기기(30)의 하우징(32) 내외부로 입출되게 보조레그(36)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레그(36)는 상기 하우징(32)에 힌지핀(36')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씩 회전되어 모바일기기(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레그(36)는 상기 모바일기기(30)가 경사지게 되어 사용될 때 그 무게에 의해 본 발명의 입력장치의 케이스(10) 선단이 들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모바일기기(30)의 무게를 상기 케이스(10)가 지지할 수 있다면 없어도 상관없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착탈식 입력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도 6a에서 도 6i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a에는 본 발명의 입력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장착브라켓(20)의 배면밀착부(29)가 상기 케이스(10)의 상면과 마주보고, 상기 연결커넥터(29)가 상기 커넥터안착부(14)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브라켓(20)의 배면밀착부(29)가 케이스(10)의 상면과 마주보게 인접하고 연결커넥터(29)가 커넥터안착부(14)에 안착됨으로 인해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져 보관시 소요공간이 최소화되고 주변과의 간섭이 줄어든다.
다음으로, 상기 제2힌지(18)를 중심으로 장착브라켓(20)을 대략 90도 정도 회전시킨 상태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브라켓(20)의 배면밀착 부(22)가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대해 대략 직립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힌지(16)를 중심으로 상기 장착브라켓(20)을 180도 회전시킨 상태가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연결커넥터(29)가 케이스(10)의 후단 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20)을 다시 상기 제2힌지(18)를 중심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장착브라켓(20)의 배면밀착부(22)의 일면이 케이스(10)의 상면의 단차부(13)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커넥터(29)는 케이스(10)의 상부를 향하도록 된다.
모바일기기(30)와 본 발명의 입력장치를 결합하는 것은 도 6d의 상태에서 가능하다. 즉, 도 6d의 상태에서 모바일기기(30)를 본 발명의 입력장치에 장착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도 6d의 상태에서 모바일기기(30)의 장착홈에 상기 걸이돌기(26)가 안착되도록 한다. 즉, 모바일기기(30)를 상기 걸이돌기(26)를 향해 비스듬히 삽입하여 상기 걸이돌기(26)가 모바일기기(30)에 삽입되어 걸어지게 하고, 모바일기기(30)를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을 향해 살짝 눌러주면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연결커넥터(29)가 모바일기기(30)와 연결된다. 물론, 상기 걸이부(27)도 상기 모바일기기(30)의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되어 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기기(30)와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연결커넥터(29)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e에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6e의 상태로 상기 모바일기기(30)를 사용하거나 휴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입력장치를 모바일기기(30)에 장착한 상태로 이동하다가 필요시에는 아래의 설명과 같이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10)와 모바일장치(30)가 상기 제2힌지(18)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여 서로 벌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f에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0)와 모바일장치(30)가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는 상기 케이스(10)에 대해 상기 장착브라켓(20)이 수직으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6g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힌지(16)를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킨다. 이 상태는 도 6h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모바일기기(30)의 디스플레이부(34)가 상기 케이스(10)의 상면과 직각을 이루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기기(30)에 입력장치의 키이(12)를 사용하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모바일기기(30)가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대해 90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기기(30)를 케이스(10)에 대해 90도 이상의 각도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키이(12)를 눌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기기(30)와 케이스(10)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가 더 커지면, 상기 모바일기기(30)의 무게에 의해 케이스(10) 선단이 들어올려 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조레그(36)를 힌지핀(36')에 대해 회전되게 하여 모바일기기(30)의 하우징(32)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레그(36)가 지면에 지지되면 모바일기기(30)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키이(12)가 배열되어 있으나, 반드시 키이(12)를 배열하지 않고 다른 형태의 입력수단을 배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키이보드의 배열과 같은 형태로 문자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키이(12)의 배열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즉, 키이(12)가 아니더라도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쉽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된다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모바일기기와 착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바일기기만을 휴대하거나 모바일기기와 입력장치를 결합한 상태로 함께 휴대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입력장치의 케이스에 배열된 키이를 사용하여 모바일기기에서의 입력작업을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입력장치의 케이스와 모바일기기를 연결하는 장착브라켓이 2개의 힌지에 의해 다양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장치와 모바일기기를 다양한 상태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장치를 모바일기기와 결합한 상태로 보관, 휴대 및 사용할 수 있어 입력 장치의 사용도를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입력장치만을 보관할 때, 장착브라켓이나 연결커넥터가 케이스에 대해 돌출되지 않도록 되므로 입력장치의 보관에 소요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입력장치만의 휴대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4)

  1. 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제1힌지 및 제2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바일기기와 결합되는 장착브라켓과,
    상기 장착브라켓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모바일기기의 배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배면밀착부와,
    모바일기기의 측면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배면밀착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측면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넥터는 상기 장착브라켓의 배면밀착부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넥터는 USB커넥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는 상기 장착브라켓을 상기 케이스의 선단에 대해 좌우로 회전되게 하고, 상기 제2힌지는 상기 장착브라켓을 상기 케이스의 선단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후단 양측에는 상기 장착브라켓의 양단에 구비되는 측면걸이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도피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입력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입력수단이 구비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단차부로서 상기 장착브라켓을 위한 공간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는 상기 장착브라켓에 구비되는 연결커넥터가 안착되는 커넥터안착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다수개가 다수의 열로 배치되는 키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10. 정보의 입력을 위한 키이가 상면에 배치되고 키이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상대적으로 낮은 단차부를 형성하는 판상으로 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제1힌지 및 제2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바일기기와 결합되는 장착브라켓과,
    상기 장착브라켓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모바일기기의 배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배면밀착부와,
    모바일기기의 측면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배면밀착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측면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밀착부에는 상기 연결커넥터가 구비되는 돌출편이 배면밀착부에서 돌출되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에는 상기 모바일기기에 삽입되어 걸이지는 걸이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착탈식 입력장치.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후단 양측에는 상기 장착브라켓의 양단에 구비되는 측면걸이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도피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는 상기 장착브라켓에 구비되는 연결커넥터가 안착되는 커넥터안착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KR1020060069931A 2006-07-25 2006-07-25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KR100824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931A KR100824722B1 (ko) 2006-07-25 2006-07-25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931A KR100824722B1 (ko) 2006-07-25 2006-07-25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011A KR20080010011A (ko) 2008-01-30
KR100824722B1 true KR100824722B1 (ko) 2008-04-24

Family

ID=3922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931A KR100824722B1 (ko) 2006-07-25 2006-07-25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7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151A (ko) * 2002-08-29 2004-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키보드 탈착 장치
JP2005071297A (ja) 2003-08-28 2005-03-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KR20060011180A (ko) * 2004-07-29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장치의 커넥터 착탈구조
KR20060016424A (ko) * 2004-08-17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151A (ko) * 2002-08-29 2004-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키보드 탈착 장치
JP2005071297A (ja) 2003-08-28 2005-03-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KR20060011180A (ko) * 2004-07-29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장치의 커넥터 착탈구조
KR20060016424A (ko) * 2004-08-17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011A (ko)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8733B2 (en) Swivel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0520960B1 (ko) 스위블 힌지조립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JP4518536B2 (ja) パソコン兼用携帯電話機。
US6930881B2 (en) Portable computer having a split screen and a multi-purpose hinge
US8050018B2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3044169A (ja) 電子機器
KR20050017243A (ko) 휴대형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US20110176266A1 (en) Connect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upling system
KR100824722B1 (ko) 모바일기기용 착탈식 입력장치
KR20070069663A (ko) 멀티 모니터장치
KR20080034646A (ko) 컨버터블 컴퓨터
KR100982261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틸팅스탠드 조립체
JP5244138B2 (ja) 電子機器
KR100616304B1 (ko) 휴대 단말기
KR101069242B1 (ko) 노트북 컴퓨터용 힌지장치
KR100640232B1 (ko) 휴대용 컴퓨터의 지지장치
KR100640231B1 (ko) 테블릿 컴퓨터용 키보드
KR100505162B1 (ko) 스위블 힌지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0905080B1 (ko) 노트북 컴퓨터
JPH0934370A (ja) 上下反転表示が可能な携帯型情報処理装置
KR19990000118U (ko) 휴대용 컴퓨터
JP2000267758A (ja) 情報処理装置
KR19990004441A (ko) 휴대용 컴퓨터
JP2006178797A (ja) 電子機器
KR20000020699U (ko) 키보드와 일체화한 엘씨디 모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