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855A - 찜통 - Google Patents

찜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855A
KR20100004855A KR1020090046709A KR20090046709A KR20100004855A KR 20100004855 A KR20100004855 A KR 20100004855A KR 1020090046709 A KR1020090046709 A KR 1020090046709A KR 20090046709 A KR20090046709 A KR 20090046709A KR 20100004855 A KR20100004855 A KR 20100004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generating
generating container
steam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우끼 아오야마
마사노부 야나기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004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찜통을 제공한다.
찜통(1)은, 식품(F)을 수용하는 쇼케이스(2)와, 쇼케이스(2)의 하방에 설치된 증기 발생 용기(6)와, 증기 발생 용기(6)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와, 증기 발생용에 사용되는 물이 저류된 저수 탱크(11)와, 증기 발생 용기(6) 내의 잔수(殘水) 상태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2)와, 저수 탱크(11)를 설치하고,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를 기초로 하여 저수 탱크(11)의 물을 증기 발생 용기(6)에 급수하는 물 공급 수단으로 구성된다. 물 공급 수단은,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를 기초로 하여 개폐 제어되는 급수 밸브(17)와, 이 급수 밸브(17)의 출구 측에 설치된 급수용 배관(18)으로 구성된다. 저수 탱크(11) 및 급수용 배관(18)은 증기 발생 용기(6)에 대해 비연통 상태로 설치한다.
찜통, 쇼케이스, 증기 발생 용기,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 저수 탱크

Description

찜통 {STEAMER}
본 발명은, 식품을 가습 보온하기 위한 찜통에 관한 것이다.
최근, 편의점 등의 매장에서는, 찐 중화 만두, 소위 팥 만두나 고기 만두 등(이하, 식품이라고 칭함)이 판매되고 있다. 이들의 식품은, 가습 보온의 기능을 갖춘 찜통의 쇼케이스(식품 수용실)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가습 보온을 행하는 구성의 찜통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와 같은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의 찜통의 증기 발생 장치는, 히터가 매립된 증기 발생 용기와, 물을 모아두는 저수 용기가 구비되어 있고, 이 증기 발생 장치는 쇼케이스(찜 공간)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증기 발생 용기와 저수 용기는, 관로를 통하여 연통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저수 용기 내의 수면의 높이는, 항상 증기 발생 용기의 수면의 높이와 동등해진다. 이에 의해, 증기 발생 용기가 가열되어 증기 발생 용기 내의 물이 증발하면, 수시로 저수 용기로부터 물이 자동으로 증기 발생 용기로 공급된다.
특허 문헌 2의 찜통은, 증발부와 물 수용부를 갖는 증발 접시와, 증발 접시 상에 설치된 쇼케이스(수용실)와, 증발 접시를 가열하는 시스 히터(Sheath Heater)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증발 접시의 증발부와 수용부는, 도수부를 통하여 연통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물 수용부 상에는, 상기 물 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찜통의 구성에 의해, 증발 접시의 증발부에서 물이 증발하면, 수시로 물탱크로부터 물이 물 수용부 및 도수부를 통하여 자동으로 증발부로 공급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15116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69268호 공보
증기 발생 용기(증발부)에는, 식품 수용실(찜 공간, 수납 용기)에 수용된 식품의 찌꺼기가 떨어지거나, 식품 수용실의 내벽에 발생한 결로수가 회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불순물이 축적되기 쉽다. 또한, 찜통을 장기간 사용하면, 증기 발생 용기 내에 물속에 포함되는 불순물, 예를 들어 칼슘 성분의 불순물이 축적된다. 그로 인해, 증기 발생 용기를, 자주 청소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서는, 증기 발생 용기와 저수부(저수 용기, 물 수용부 및 물탱크)가 연통한 구성이므로, 증기 발생 용기에 축적된 불순물이 저수부 측으로도 옮겨지기 쉽고, 저수부에도 불순물이 축적될 우려가 있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저수부도 자주 할 필요가 있고, 청소가 번거로웠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청소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찜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찜통은, 식품을 수용하는 식품 수용실과, 이 식품 수용실의 하방에 설치된 증기 발생 용기와, 이 증기 발생 용기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 수단과, 상기 증기 발생 용기에 대해 비연통 상태에서 설치된 저수부와, 이 저수부에 저류된 물을 상기 증기 발생 용기로 공급하는 물 공급 수단과, 상기 증기 발생 용기 내의 잔수 상태를 검출하는 잔수 상태 검출 수단과, 이 잔수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물 공급 수단 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찜통에 따르면, 저수부가 증기 발생 용기에 대해 비연통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저수부에 축적되어 있는 물은 증기 발생 용기에 존재하는 물과 비연통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증기 발생 용기에 불순물이 축적되더라도, 이 불순물이 저수부 측으로 옮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저수부가 오염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저수부 측의 청소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찜통(1)의 종단 측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1의 좌측을 전방면측(손님 측), 우측을 배면측(사용자 측)으로 설명한다.
찜통(1)은, 중화 만두, 소위 팥 만두나 고기 만두 등[이하, 식품(F)이라고 칭함]을 찌는 장치이며, 식품(F)은, 식품(F)을 수용하는 식품 수용실, 이 경우 유리로 만든 쇼케이스(2)의 복수 선반판(3) 상에 배열되어 있다. 각 선반판(3)에는, 증기가 지나는 복수의 구멍(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쇼케이스(2) 내의 식품(F)의 출입은, 쇼케이스(2)의 배면측에서 행하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쇼케이스(2)의 하방에는, 쇼케이스(2) 내에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기 발생 장치(4)를 구비한 하우징(5)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하우징(5)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증기 발생 장치(4)의 증기 발생 용기(6)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5a)가 형성 되어 있다. 오목부(5a)는, 증기 발생 장치(4)보다도 큰 구멍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하우징(5)의 상면에는, 오목부(5a)를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5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5b)은, 상기 경사면(5b)에 증기 발생용으로서 공급된 물 및 쇼케이스(2)의 내벽에 발생한 결로수를 오목부(5a) 내의 증기 발생 장치(4)로 회수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5a) 및 경사면(5b)은, 오염이 부착되기 어려운 재질, 예를 들어 세라믹스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5a)의 상단부에는, 패킹(7)이 설치되어 있다.
증기 발생 장치(4)는, 전술한 증기 발생용으로 공급된 물 및 결로수의 증발을 행하는 증기 발생 용기(6)를 구비하고 있다. 증기 발생 용기(6)는, 이 경우, 스테인리스제로, 하우징(5)의 오목부(5a)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증기 발생 용기(6)의 저부에 있어서, 그 저부의 일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오목부(6a)가 형상되어 있다.
또한, 증기 발생 용기(6)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플랜지부(6b)가 형성되어 있고, 증기 발생 용기(6)가 하우징(5)의 오목부(5a)에 수용되었을 때에, 이 플랜지부(6b)가 패킹(7) 상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증기 발생 용기(6)가 오목부(5a)에 수용되면, 오목부(5a)의 상단부와 증기 발생 용기(6)의 플랜지부(6b)의 사이가, 패킹(7)에 의해 밀폐된 상태가 되고, 증기 발생 용기(6)와 오목부(5a)의 사이에, 물 등이 들어오지 않게 된다.
증기 발생 용기(6)의 하방, 즉, 오목부(5a)의 하측의 면에는, 증기 발생 용 기(6)를 가열하고,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열 수단, 이 경우,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증기 발생 용기(6)와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로부터 증기 발생 장치(4)가 구성된다.
하우징(5)의 경사면(5b)에는, 상기 증기 발생 용기(6)[오목부(5a)]의 개구 부분을 덮도록, 커버(9)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9)에는, 증기가 지나는 복수의 구멍(9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커버(9)와 하우징(5)의 경사면(5b)의 사이에는, 전술한 증기 발생용으로 공급된 물 및 결로수를 증기 발생 용기(6)에 회수할 수(흘러들어 올 수) 있도록,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찜통(1)의 하우징(5)에 있어서 쇼케이스(2)의 배면측에는, 저수 탱크(11)와 물 수용부(12)로 이루어지는 저수부가 설치되어 있다. 저수 탱크(11)는, 증기 발생용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카트리지식으로, 물 수용부(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물 수용부(12)는, 저수 탱크(11)의 하방에 설치된 탱크이며, 저수 탱크(11)보다도 다소 작은 용량이다. 그리고 이 물 수용부(12)는, 저수 탱크(11)로부터 물이 수시로 공급되고, 공급된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이 저수 탱크(11)와 물 수용부(12)의 연결은, 저수 탱크(11)의 하단부에 설치된 급수구부(13)를, 물 수용부(12)의 상부에 설치된 급수구 수용부(14)에 끼워 맞춤으로써 행하여진다. 급수구부(13)의 선단부에는 급수구(13a)가 형성되고, 급수구 수용부(14)의 중앙에는, 급수구(13a)와 동일한 형상의 개구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급수구부(13) 내에는, 급수구(13a)의 개폐를 행하는 밸브 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 장치(15)는, 저수 탱크(11)의 내측으로부터 급수구(13a)를 폐색하는 밸브체(15a)와, 밸브체(15a)를 급수구(13a) 측에 압박하는 탄성 부재인 코일 스프링(15b)과, 밸브체(15a)의 중앙부에서 급수구(13a)의 외측으로 돌출한 밸브 작동 돌기(15c)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밸브 장치(15)의 구성에 의해, 저수 탱크(11)의 급수구부(13)가 급수구 수용부(14)에 끼워 맞춰지지 않을 때에는, 밸브 장치(15)의 밸브체(15a)는 코일 스프링(15b)에 의해 급수구(13a) 측에 압박되어 급수구(13a)를 막고, 그 결과, 급수구(13a)로부터 물이 나오지 않는 상태가 된다.
한편, 급수구부(13)가 급수구 수용부(14)에 끼워 맞춰지면, 밸브 장치(15)의 밸브 작동 돌기(15c)의 선단부가 급수구 수용부(14)의 개구부(14a)를 통하여 물 수용부(12)의 저벽부의 상면에 접촉하고, 이에 의해, 밸브체(15a)가 밸브 작동 돌기(15c)와 함께 코일 스프링(15b)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러면, 밸브체(15a)와 급수구(13a)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저수 탱크(11) 내의 물이 이 간극을 통과하여 급수구(13a)로부터 물 수용부(12)로 공급되게 된다.
물 수용부(12) 내에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16)가 설치되어 있다. 수위 센서(16)는, 예를 들어 플로트 스위치이다.
물 수용부(12)의 쇼케이스(2) 측의 면에는, 물 수용부(12) 내의 물을 증기 발생 용기(6)로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물 공급 수단은, 물 수용부(12)의 전방에 설치된 급수 밸브(17)와, 급수 밸브(17)의 출구 측에 설치 된 급수용 배관(18)으로 구성되어 있다. 급수용 배관(18)은, 쇼케이스(2)의 내부로 연장하고, 선단부(18a)가 하방을 향하여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인 배관이다. 이 급수용 배관(18)의 선단부(18a)는, 하우징(5)의 경사면(5b)의 상방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즉, 저수 탱크(11) 및 물 수용부(12)가, 증기 발생 용기(6)에 대해 비연통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찜통(1)의 쇼케이스(2) 내에는, 쇼케이스(2)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고내 온도 센서(21)가 설치되어 있다. 찜통(1)은, 고내 온도 센서(21)의 검출 온도가, 예를 들어 78 내지 82도의 범위 내가 되도록,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의 운전 및 정지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증기 발생 용기(6)의 오목부(6a)에서 어긋난 부위의 하면에는, 온도 센서(22)가 증기 발생 용기(6)에 밀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온도 센서(2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증기 발생 용기(6) 내의 잔수 상태를 검출하는 잔수 상태 검출 수단, 증기 발생 용기(6)의 공가열 상태를 검출하는 공가열 센서, 및 증기 발생 용기(6)의 오염 상태를 검출하는 오염 센서를 겸하고 있다.
또한, 증기 발생 용기(6)의 저부의 하면, 즉, 온도 센서(22)의 근방에는, 온도 퓨즈(23)가 증기 발생 용기(6)에 밀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온도 퓨즈(23)는, 온도 센서(22)의 고장 등의 문제에 의해, 증기 발생 용기(6)가 이상 온도가 되었을 경우, 용융 단속됨으로써, 찜통(1)의 전기 회로를 차단하고, 찜통(1)의 운전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킨다.
찜통(1)의 하우징(5)의 배면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조작 패널(24)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24)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찜통(1)의 운전 및 정지를 행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25), 찜통(1)의 운전이 행하여지는지의 여부의 상태를 표시하는 운전 램프(26), 고내 온도 센서(21)의 검출을 기초로 하여 쇼케이스(2)의 고내 온도를 표시하는 고내 온도 표시부(27), 수위 센서(16)의 검출을 기초로 하여 물 수용부(12) 내의 수위가 낮아졌을 때에 점등하는 급수 램프(28), 청소가 필요할 때에 점등하는 손질 램프(29)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 램프(28) 및 손질 램프(29)의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찜통(1)의 전기적 구성도이다. 찜통(1)은, 제어 수단인 제어 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 장치(3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조작 패널(24)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30)에는, 전원 스위치(25)의 신호가 입력되는 동시에, 고내 온도 센서(21) 및 온도 센서(22)로부터의 검출 온도(신호), 수위 센서(16)로부터의 검출 수위(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30)는, 상기 각종 검출 온도, 검출 수위 및 미리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운전 램프(26), 고내 온도 표시부(27), 급수 램프(28), 손질 램프(29), 버저(31), 급수 밸브(17) 및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를, 도시하지 않는 구동 회로를 통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버저(31)는, 통지 수단의 하나로, 급수 램프(28)와 손질 램프(29)가 점등할 때에 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해 도 4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의 횡축은 찜통(1)의 운전 시간, 종축은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찜통(1)이 정상적으로 운전하는 상태(상태 A)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공가열 상태(상태 B 및 상태 C)의 시점을 파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찜통(1)을 장시간 사용하여 운전함으로써 증기 발생 용기(6)에 오염이 발생하는 상태를, 상태 D 내지 상태 F로서 실선으로 나타낸다.
우선, 찜통(1)이 정상적으로 운전하는 상태(상태 A)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저수 탱크(11)에 물을 넣고, 이 저수 탱크(11)를 물 수용부(12)에 장착하면, 밸브 장치(15)의 급수구(13a)가 개방되고, 저수 탱크(11)의 물의 일부가 물 수용부(12)로 공급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저수 탱크(11) 내의 수위는 도 1에 도시하는 수위 a가 되고, 또한, 수위 센서(16)는 수위의 최고값(도 1의 수위 b 참조)을 검출한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급수 밸브(17)는 폐쇄되어 있다.
다음에, 사용자가 조작 패널(24)의 전원 스위치(25)를 켜면, 제어 장치(30)는,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를 운전시켜 증기 발생 용기(6)를 가열시킨다.
증기 발생 용기(6)가 가열되어, 온도 센서(22)가 급수 개시 온도(예를 들어 120도)를 검출하면, 제어 장치(30)는,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급수 밸브(17)를 일정 시간 개방한다.
그러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수용부(12) 내의 물이 급수용 배관(18)으로부터 쇼케이스(2) 내로 공급된다. 급수용 배관(18)으로부터 공급된 물 은, 경사면(5b)에 전달되고, 증기 발생 용기(6) 내로 공급된다. 또한, 급수용 배관(18)으로부터 물이 나오면, 물 수용부(12)의 수위가 급수구부(13)의 높이(수위 b)가 되도록, 저수 탱크(11)로부터 물이 자동적으로 공급된다.
물이 증기 발생 용기(6) 내로 공급됨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기 발생 용기(6)의 온도는 저하되지만,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는 계속해서 운전하므로, 증기 발생 용기(6)의 온도는, 급수 후에 다시 상승한다. 여기서, 급수 직후의 증기 발생 용기(6) 내의 수위를 수위 c라고 한다.
증기 발생 용기(6)로 공급된 물이 가열되면, 마침내 증기 발생 용기(6)의 수면에서 증기가 발생한다. 발생된 증기는, 커버(9)의 구멍(9a) 및 선반판(3)의 구멍(3a)을 통하여 쇼케이스(2) 내의 전체에 확대되고, 이에 의해, 식품(F)은 쪄진다. 이때, 쇼케이스(2)의 내벽에는 결로가 발생하여, 이 결로로 인해 발생한 물(결로수)이 쇼케이스(2)의 내벽 및 하우징(5)의 경사면(5b)에 전달되어 증기 발생 용기(6)로 회수되고, 이 결로수는 다시 가열되어 증기가 된다.
또한, 쇼케이스(2)의 고내 온도를 78 내지 82도로 유지하기 위해서, 제어 장치(30)는, 고내 온도 센서(21)의 검출 온도를 기초로 하여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의 운전 및 정지의 제어를 행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증기 발생 용기(6)의 저부의 온도는, 약 105도에서 일정해진다.
다음에, 증기 발생 용기(6) 내의 물이 증발하면, 마침내 증기 발생 용기(6)의 오목부(6a)를 제외하고, 물이 없어진다(도 1의 수위 d 참조). 이 수위 d의 상태에서는, 오목부(6a)로부터 벗어난 부위의 하면의 온도는, 급상승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도, 오목부(6a)에 물이 존재하므로, 오목부(6a)에 물이 없어질 때까지는, 공가열 상태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센서(22)가 120도를 검출하면, 제어 장치(30)는 이 검출 온도를 기초로 하여 급수 밸브(17)를 일정 시간 개방하고, 물을 증기 발생 용기(6)로 공급한다. 그러면, 물 수용부(12)의 수위가 저하되므로, 저수 탱크(11)로부터 물 수용부(12)로 물이 자동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이 물의 공급으로부터 다음 물의 공급까지의 1 사이클은, 찜통(1)이 정상 운전이면 약 20분간이다. 그로 인해, 찜통(1)의 정상 운전으로는, 급수 간격이 약 20분간의 사이클이 되풀이된다(도 4의 상태 A 참조).
여기서, 저수 탱크(11) 내의 물이 없어지면, 물 수용부(12) 내의 수위는 저하된다. 그리고 수위 센서(16)의 검출 수위가 설정 수위 이하가 되면, 제어 장치(30)는, 이 수위 센서(16)의 검출 수위를 기초로 하여 조작 패널(24)의 급수 램프(28)를 점등시키는 동시에, 버저(31)를 일정 시간 울리는 통지의 제어를 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저수 탱크(11)를 제거하여 이 저수 탱크(11)에 물을 보충하고, 다시 저수 탱크(11)를 물 수용부(12)에 장착하면, 저수 탱크(11)로부터 물 수용부(12)로 물이 공급되고, 수위 센서(16)는 소정 수위(수위 b)를 검출한다. 그러면, 제어 장치(30)는, 이 수위 센서(16)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통지의 제어를 해제[조작 패널(24)의 급수 램프(28)를 소등하고, 버저(31)를 정지]하여 통상의 운전(정상 운전)을 행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통지가 제어됨에도 불구하고 저수 탱크(11)에 물을 보충하 지 않으면, 증기 발생 용기(6) 내의 물은 모두 증발하고, 마침내 물이 없는 상태에서 증기 발생 용기(6)가 가열된다(도 4의 상태 B 참조). 여기서, 온도 센서(22)가 120도를 검출하면, 제어 장치(30)는, 이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를 기초로 하여 급수 밸브(17)를 일정 시간 개방하고, 물 수용부(12)로부터 물을 증기 발생 용기(6)로 공급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 물 수용부(12)에 물이 없기 때문에, 제어 장치(30)는, 조작 패널(24)의 급수 램프(28)를 점등시킨 채의 상태에서, 버저(31)를 일정 시간 울리는 통지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가 200도를 검출하기까지 동안에, 물 수용부(12)에 물이 공급되지 않고,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가 200도가 되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30)는 공가열 상태라고 판단하고,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버저(31)를 일정 시간 울리는 경고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온도 센서(22)가 120도를 검출하여 통지할 경우와, 200도를 검출하여 경고할 경우, 급수 램프(28)의 램프의 색이나 점등(점멸) 상태, 버저(31)의 소리를 변경시켜도 좋다.
또한, 온도 센서(22)가 고장이 난 경우, 증기 발생 용기(6)의 저부의 온도가 200도 이상의 이상 온도에 도달하면, 온도 퓨즈(23)가 용융 단속되고, 찜통(1)의 운전은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또한, 찜통(1)의 운전 개시시에 있어서 저수 탱크(11)에 물이 들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25)를 켰을 경우라도(도 4의 상태 C 참조), 제어 장치(30)는,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를 작동시켜, 증기 발생 용기(6)를 가열시키지만, 전술한 상태 B와 마찬가지로, 통지의 제어 및 경고의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 다.
다음에, 찜통(1)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상태 D 내지 상태 F)에 대해 설명한다.
찜통(1)을 장기간 사용하면, 쇼케이스(2)에 수용된 식품(F)의 찌꺼기가 증기 발생 용기(6) 내에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쇼케이스(2)의 내벽에 발생한 결로수에 포함되는 불순물이, 증기 발생 용기(6)에 축적되는 경우도 있다. 더욱이는, 찜통(1)을 장기간 사용함으로써, 증기 발생 용기(6) 내에 물속에 포함되는 불순물, 예를 들어 칼슘 성분의 불순물이 증기 발생 용기(6)에 축적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불순물이 증기 발생 용기(6) 내, 특히 증기 발생 용기(6)의 저부에 축적되면,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에서 가열된 증기 발생 용기(6)의 열은 물로 전해지기 어렵고, 또한, 공급된 물의 열(저온의 열)도 증기 발생 용기(6)에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물은, 깨끗한 물보다도 비점이 높고, 증발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경우, 온도 센서(22)는, 물의 공급에 의한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예를 들어, 도 4의 상태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이 공급되었을 경우에는 증기 발생 용기(6)의 온도는 저하되지만, 축적된 불순물에 의해 증기 발생 용기(6)의 온도는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의 열이 물에 전해지기 어려워지는 것에 의해, 공급된 물의 온도는 상승하기 어렵고, 1 사이클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져,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의 변화는 완만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태 D에 있어서도, 증기 발생 용기(6)의 오목부(6a)로부터 어긋난 부위의 하면에 물이 없어지면, 오목부(6a)로부터 어긋난 부위의 하면의 온도는, 급상승한다.
또한, 상태 B의 사이클이 잠시 동안 계속되면, 증기 발생 용기(6)에 물이 공급되어도 증기 발생 용기(6)의 저부의 온도는 더욱 저하되기 어려워진다(도 4의 상태 E 참조). 또한, 상태 E에 있어서는, 불순물이 증기 발생 용기(6)에 축적됨으로써, 증기 발생 용기(6)의 열이 주로 불순물의 가열에 사용되고, 증기 발생 용기(6) 내의 물이 증발하지 않고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증기 발생 용기(6)는 120도에 도달하고,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도 120도가 되어, 이를 기초로 하여 물 수용부(12)로 물이 공급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태 E의 사이클이 잠시 동안 계속되면, 물이 증기 발생 용기(6)로 공급되어도 증기 발생 용기(6)의 온도는 더욱 저하되기 어렵고, 보다 단시간에 120도까지 도달하여, 물의 공급 시간의 간격(1 사이클)이 약 5분이 된다(도 4의 상태 F 참조). 이 상태 F에 도달하면, 증기 발생 용기(6)는 물로 가득찬 상태가 된다.
그로 인해, 제어 장치(30)는, 급수 밸브(17)가 5분 이내로 개방하는 동작을 2회 연속으로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렇게 단시간에 물의 공급이 연속으로 행하여졌을 경우(5분 이내에 물이 공급되는 동작이 2회 계속될 경우)에는, 제어 장치(30)는, 증기 발생 용기(6)가 오염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의 운전을 정지시켜, 조작 패널(24)의 손질 램프(29)를 점등시키는 동시에, 버저(31)를 일정 시간 울리고, 손질이 필요한 것을 통지하는 제어를 행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저수 탱크(11) 및 물 수용부(12)에 저장된 물은, 급수 밸브(17) 및 급수용 배관(18)을 통하여 증기 발생 용기(6) 내로 공급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용 배관(18)의 선단부(18a)와 하우징(5)의 경사면(5b)이 이격되어 있는 구성, 즉, 저수 탱크(11) 및 물 수용부(12)가 증기 발생 용기(6)에 대해 비연통 상태로 설치된 구성이므로, 저수 탱크(11) 및 물 수용부(12)에 저장되어 있는 물은, 증기 발생 용기(6)에 존재하는 물과 비연통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증기 발생 용기(6)에 불순물이 축적되어도, 이 불순물이 저수 탱크(11) 및 물 수용부(12) 측으로 옮겨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저수 탱크(11) 및 물 수용부(12)가 오염되기 어렵고, 저수 탱크(11) 및 물 수용부(12) 측의 청소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증기 발생 용기(6)의 저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가 급수 개시 온도 120도에 도달하였을 때에 물 수용부(12)로 물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물 수용부(12)에 물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급수 램프(28)의 점등 및 버저(31)를 울리는 것에 의해 통지가 되므로, 잔수 상태의 검출에 의해 공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물의 공급이 되지 않는 경우(200도에 도달하였을 경우)에는, 경고를 하는 구성이므로, 공가열이 발생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증기 발생 용기(6)는, 하우징(5)의 오목부(5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므로, 하우징(5)으로부터 증기 발생 용기(6)를 제거하여 청소할 수 있으므로, 청소가 용이하다.
증기 발생 용기(6)의 저부에 오목부(6a)를 설치하고, 온도 센서(22)를, 오목부(6a)를 벗어난 부위에 설치하였으므로, 온도 센서(22)가 급수 개시 온도의 120도를 검출하였을 경우에도, 오목부(6a)에 저장된 물의 증발 시간만큼, 공가열의 발생을 늦출 수 있다.
증기 발생 용기(6)의 가열 수단으로서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를 사용하므로, 불을 사용한 가열 수단보다도 효율적으로 증기 발생 용기(6)를 가열할 수 있고, 증기 발생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물이 담긴 저수 탱크(11)를 물 수용부(12)에 설치하면, 저수 탱크(11)의 급수구(13a)로부터 물이 물 수용부(12)로 자동적으로 공급되는 구성이므로, 물을 찜통(1)으로 공급하는 수고를 최대한 생략할 수 있다.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를 기초로 하여 물이 공급되는 시간의 간격이, 단시간(5분 이내에 1회의 급수가 2회 이상)이 되면, 제어 장치(30)는, 증기 발생 용기(6)가 오염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를 정지시켜, 사용자에 급수 램프(28)의 점등 및 버저(31)를 울리는 구성이므로, 증기 발생 용기(6)의 청소의 시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증기 발생 용기(6)의 저부에 온도 퓨즈(23)를 설치하고, 증기 발생 용기(6)가 이상 온도를 초과해버린 경우, 찜통(1)의 운전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증기 발생 용기(6)의 이상 가열이나, 찜통(1) 전체가 고장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증기 발생 용기(6) 대신에, 도 5에 도시하는 증기 발생 용기(41)가 사용되고 있다. 이 증기 발생 용기(41)는, 저부가 평탄하고, 제1 실시 형태에서 도시한 오목부(6a)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 경우, 증기 발생 용기(41)에는 요철이 거의 없고, 증기 발생 용기(41)의 청소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증기 발생 용기(41)를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에 추가하여, 증기 발생 용기(41)의 상부 내지 중앙부를 가열하는 보조 가열 수단, 이 경우 시스 히터로 이루어지는 보조 히터(42)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 히터(42)는,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에 의한 증기 발생 용기(41)의 가열을 보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보조 히터(42)에 의한 증기 발생 용기(41)에 대한 가열 에너지는,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의 증기 발생 용기(41)에 대한 가열 에너지보다 작다.
이 보조 히터(42)는,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의 운전 및 정지에 맞추어, 운전 및 정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증기 발생 용기(41),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 및 보조 히터(42)로 증기 발생 장치(43)가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 히터(42)의 근방에, 증기 발생 용기(41)의 상부로부터 중앙부까지의 범위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온도 센서(44)는, 상세하게 후술하겠지만, 잔수 상태 검출 수단 및 오염 센서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증기 발생 용기(41)의 저부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온도 센서(22)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온도 센서(22)는, 상세하게 후술하겠지만, 공가열 센서 및 오염 센서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도 6은, 찜통(1)의 전기적 구성도이며, 제1 실시 형태에 추가하여, 온도 센서(44)의 검출 온도 신호도 제어 장치(30)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30)는, 각종 검출 온도, 검출 수위의 입력 및 미리 기억한 제어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운전 램프(26), 고내 온도 표시부(27), 급수 램프(28), 손질 램프(29), 버저(31), 급수 밸브(17),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 및 보조 히터(42)를, 도시하지 않는 구동 회로를 통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해 도 7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의 횡축은 찜통(1)의 운전 시간, 종축은, 온도 센서(22) 및 온도 센서(44)의 검출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찜통(1)이 정상적으로 운전하는 상태(상태 G)의 때의 온도 센서(44)의 검출 온도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찜통(1)이 정상적으로 운전하는 상태의 시점의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공가열 상태(상태 H 및 상태 I)의 시점의 온도 센서(44)의 검출 온도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증기 발생 용기(41)에 오염이 축적된 상태를, 상태 G의 후에 상태 J로 나타낸다.
또한, 공가열 상태의 때의 온도 센서(44)의 검출 온도는, 제어에 사용되지 않으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우선, 찜통(1)이 정상적으로 운전하는 상태(상태 G)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물이 들어간 저수 탱크(11)를 물 수용부(12)에 장착하면, 저수 탱크(11)의 물의 일부가 물 수용부(12)로 공급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조작 패널(24)의 전원 스위치(25)를 켜면, 증기 발생 용기(41)가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 및 보조 히터(42)에 의해 가열된다. 여기서, 증기 발생 용기(41)는, 보조 히터(42) 부근보다도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 부근 쪽이 온도가 상승하기 쉬우므로,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는, 온도 센서(44)의 검출 온도보다도 높아진다.
이 상태에서, 온도 센서(44)가 급수 개시 온도의 120도를 검출하면, 제어 장치(30)는, 온도 센서(44)의 검출 온도를 기초로 하여 급수 밸브(17)를 일정 시간 개방하고, 물 수용부(12)로부터 물이 증기 발생 용기(41) 내로 공급되는 구성이다.
물이 증기 발생 용기(41) 내로 공급됨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기 발생 용기(41)의 온도는 저하되지만,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 및 보조 히터(42)는 계속해서 운전하므로, 증기 발생 용기(41)의 온도는, 급수 후에 다시 상승한다. 공급된 물이 가열되면, 마침내 증기가 발생하고, 발생한 증기로 식품(F)은 쪄진다.
이때의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는 약 105도에서 일정하며, 온도 센서(44)의 검출 온도는,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보다 약간 낮은 100도에서 일정하다. 온도 센서(22)와 온도 센서(44)의 검출 온도의 차이는, 온도 센서(22)가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의 근방에 설치되고, 온도 센서(44)가 보조 히터(42)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따른다.
이 증기 발생 용기(41)로부터의 물의 증발에 수반하여, 온도 센서(44) 부근에 물이 없어지면(도 5의 수위 d 참조), 온도 센서(44)의 검출 온도는 급상승한다. 또한, 증기 발생 용기(41) 내의 하부에는 잔수가 있기 때문에,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는 약 105도 그대로이다.
그리고 온도 센서(44)가 급수 개시 온도인 120도를 검출하면, 제어 장치(30)는, 온도 센서(44)의 검출 온도를 기초로 하여 물 공급 수단의 급수 밸브(17)를 일정 시간 개방하고, 물을 공급한다. 이 경우, 증기 발생 용기(41) 내에 잔수가 있어도 물이 공급된다. 또한, 이 물의 공급으로부터 다음 물의 공급까지의 1 사이클의 시간은, 찜통(1)이 정상 운전이면 약 20분간이다(상태 G 참조).
이 상태 G에 있어서, 찜통(1)의 정상 운전의 도중에, 저수 탱크(11) 내의 물이 없어지면, 물 수용부(12) 내의 수위는 저하된다. 그리고 수위 센서(16)의 검출 수위가 설정 수위 이하가 되면, 제어 장치(30)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수위 센서(16)의 검출 수위를 기초로 하여 조작 패널(24)의 급수 램프(28)를 점등시키는 동시에, 버저(31)를 일정 시간 울리는 통지의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저수 탱크(11)를 떼어내어 물을 넣고, 다시 이 저수 탱크(11)를 물 수용부(12)에 장착하면, 제어 장치(30)는, 이 수위 센서(16)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통지의 제어를 해제하여 통상의 운전(정상 운전)을 행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저수 탱크(11)에 물을 보충하지 않으면, 증기 발생 용기(6) 내의 물은 모두 증발하고, 마침내 물이 없는 상태에서 증기 발생 용기(6)가 가열된다(도 7의 상태 H 참조). 여기서, 온도 센서(44)가 120도를 검출하면, 제어 장치(30)는, 이 온도 센서(44)의 검출 온도를 기초로 하여 급수 밸브(17)를 일정 시간 개방하고, 물 수용부(12)로부터 물을 증기 발생 용기(6)로 공급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 물 수용부(12)에 물이 없기 때문에, 제어 장치(30)는, 조작 패널(24)의 급수 램프(28)를 점등시킨 채의 상태에서, 버저(31)를 일정 시간 울리는 통지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가 200도를 검출하기까지 동안에, 물 수용부(12)에 물이 공급되지 않고,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가 200도가 되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30)는, 공가열 상태라고 판단하고,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 및 보조 히터(42)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버저(31)를 일정 시간 울리는 경고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찜통(1)의 운전 개시시에 있어서 저수 탱크(11)에 물이 들어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25)를 켜는 경우라도(상태 I 참조), 제어 장치(30)는,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를 작동시켜, 증기 발생 용기(6)를 가열시키지만, 전술한 상태 H와 마찬가지로, 수위 센서(16)의 검출 수위 및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를 기초로 하여 통지의 제어 및 경고의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다.
한편, 장기간의 사용에 수반하여, 불순물이 증기 발생 용기(41)의 저부에 축적되면,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의 열이 불순물의 가열에 사용된다. 그러면, 온 도 센서(44)는, 약 100도의 온도를 검출함에도 불구하고, 온도 센서(22)의 검출 온도가 120도를 초과해버린다(도 7의 상태 J 참조).
그로 인해, 온도 센서(22)가 이상 온도(예를 들어 140도)를 초과하고, 온도 센서(44)가 통상의 온도 이하(예를 들어 105도 이하)이면, 제어 장치(30)는, 증기 발생 용기(41)에 오염이 있다고 판단하고, 온도 센서(22) 및 온도 센서(44)의 검출 온도를 기초로,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 및 보조 히터(42)의 운전을 정지시켜, 조작 패널(24)의 손질 램프(29)를 점등시키는 동시에, 버저(31)를 일정 시간 울리는 제어를 행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저수 탱크(11)에 저장되어 있는 물은 증기 발생 용기(41)에 존재하는 물과 비연통 상태가 되므로, 증기 발생 용기(41)에 불순물이 축적되어도, 이 불순물이 저수 탱크(11) 측으로 옮겨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저수 탱크(11)가 오염되기 어려우며, 저수 탱크(11) 측의 청소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온도 센서(44)가 급수 개시 온도(120도)에 도달하였을 때의 물 수용부(12)로 물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물 수용부(12)에 물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급수 램프(28)의 점등 및 버저(31)를 울리는 통지가 이루어지므로, 잔수 상태의 검출에 의해 공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200도에 도달하였을 경우)에는, 버저(31)를 울리는 경고를 하는 구성이므로, 공가열이 발생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22) 및 온도 센서(44)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어 장치(30) 가 증기 발생 용기(41)의 손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30)가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 및 보조 히터(42)를 정지시키고, 사용자에 급수 램프(28)의 점등 및 버저(31)를 울리는 구성이므로, 증기 발생 용기(6)의 청소의 시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증기 발생 용기(41)는, 비교적 요철이 적은 형상이므로, 청소가 용이하다.
그 밖에,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8의 좌측을 전방면측(손님 측), 우측을 배면측(사용자 측)으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찜통(51)의 쇼케이스(2)의 하방에는, 쇼케이스(2) 내에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기 발생 장치(52)가 설치되어 있다.
증기 발생 장치(52)는, 증기 발생용으로 공급된 물 및 결로수의 증발을 행하는 증기 발생 용기(53)를 구비하고 있다. 증기 발생 용기(53)는, 이 경우, 스테인리스제의 접시 형상을 이루고, 외주부에 중앙을 향하는 것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53a)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53a)에 둘러싸인 내주부에 평탄한 면의 평탄부(53b)가 형성되어 있다.
증기 발생 용기(53)의 평탄부(53b)의 하측의 면에는, 증기 발생 용기(53)를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시스 히터로 이루어지는 주 히터(54)가 설치되고, 경사면(53a)의 중앙의 면에는, 보조 히터(4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증기 발생 용기(53)와 주 히터(54)와 보조 히터(42)로 증기 발생 장치(52)가 구성된다.
또한, 보조 히터(42)의 근방, 이 경우, 경사면(53a)에 밀착하는 위치에, 증기 발생 용기(53)의 상부로부터 중앙부의 범위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4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 히터(54)의 근방, 이 경우, 평탄부(53b)에 밀착하는 위치에, 증기 발생 용기(53)의 저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2) 및 온도 퓨즈(23)가 설치되어 있다.
증기 발생 용기(53)의 상방에는, 상기 증기 발생 용기(53)를 덮도록, 커버(9)가 설치되어 있다.
쇼케이스(2)의 하방에는, 쇼케이스(2) 및 증기 발생 장치(52)를 지지 고정하는 하우징(5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하우징(55)의 중앙 상부에, 상기 증기 발생 장치(52)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55) 내의 증기 발생 장치(52)의 하방에는, 저수부, 이 경우, 저수 탱크(56)가 설치되어 있다. 저수 탱크(56) 내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5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저수 탱크(56)의 하부에는, 쇼케이스(2) 내에 연결되는 급수용 배관(58)이 설치되어 있다. 급수용 배관(58)의 쇼케이스(2) 측의 선단부(58a)는, 쇼케이스(2)의 중앙을 향하고 있고, 증기 발생 용기(53)에 대해 비연통 상태가 되도록, 증기 발생 용기(53)의 경사면(53a)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급수용 배관(58) 의 중간부, 이 경우, 저수 탱크(56)보다 하측의 위치에는, 저수 탱크(56) 내의 물을 퍼올리는 펌프(5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급수용 배관(58)과 펌프(59)로 물 공급 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이 저수 탱크(56)의 배면측 하부에는, 하우징(55)의 배면측으로 연장하고, 또한, 하우징(55)의 배면에 따라 상방으로 연장하는 물 보충용 배관(60)이 설치되어 있다. 물 보충용 배관(60)의 하우징(55) 측의 선단부(60a)에는, 개폐식의 도어(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도어(61)의 하측에는, 저수 탱크(56) 내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유리로 만든 창(62)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창(62)으로부터 저수 탱크(56)의 잔수의 양을 확인할 수 있고, 저수 탱크(56)에 물이 없는 경우에는, 도어(61)를 열고, 적절하게 물을 저수 탱크(56)로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저수 탱크(56)의 수량이 일정량이 되도록 공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쇼케이스(2) 내에는 고내 온도 센서(21)가 설치되고, 찜통(51)의 하우징(55)의 배면측 상부, 이 경우, 도어(61)의 상방에는 조작 패널(24)이 설치되어 있다.
전기적 구성도는, 제2 실시 형태의 전기적 구성도와 거의 동일하므로 도시하지는 않지만, 제2 실시 형태의 전자기 가열 장치(8)가 주 히터(54)로 변경되고, 제2 실시 형태의 급수 밸브(17)가 펌프(59)로 변경되고, 제2 실시 형태의 수위 센서(16)가 수위 센서(57)로 변경된 구성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온도 센서(22) 및 온도 센서(44)를 기초로 하여 급수의 표시 및 손질 표시의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므로,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한 작용인 급수 방법만을 설명한다.
우선, 저수 탱크(56)에 물이 들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 패널(24)의 전원 스위치(25)를 켜면, 제어 장치(30)는, 주 히터(54) 및 보조 히터(42)를 운전시켜, 증기 발생 용기(53)를 가열시킨다. 증기 발생 용기(53)가 가열되어, 온도 센서(44)가 급수 개시 온도의 120도를 검출하면, 제어 장치(30)는, 온도 센서(44)의 검출 온도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펌프(59)를 일정 시간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저수 탱크(56) 내의 물은, 급수용 배관(58)을 통과하고, 이 급수용 배관(58)의 선단부(58a)로부터 나오고, 증기 발생 용기(53)의 경사면(53a)에 전달되어, 증기 발생 용기(53)로 공급된다. 또한, 저수 탱크(56)에 물이 공급된 후의 수위를, 수위 e로 나타낸다. 그 후,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어가 행하여진다.
한편, 저수 탱크(56)에 물이 들어 있지 않은 경우 혹은 급수를 행하는데에 불충분한 양만 들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 패널(24)의 전원 스위치(25)를 켜면, 제어 장치(30)는, 주 히터(54) 및 보조 히터(42)를 작동시켜, 증기 발생 용기(53)를 가열시킨다. 여기서, 저수 탱크(56)에는 물이 들어 있지 않거나 혹은 급수를 행하는데에 불충분한 양만 들어 있으므로, 증기 발생 용기(53)에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 상태의 경우에는, 수위 센서(57)는 급수에 필요한 수위를 검출하지 않으 므로, 제어 장치(30)는, 수위 센서(16)의 검출 수위를 기초로 하여 조작 패널(24)의 급수 램프(28)를 점등시키는 동시에, 버저(31)를 일정 시간 울리는 통지의 제어를 행한다.
사용자가 저수 탱크(56)에 물을 소정량 보충하면, 수위 센서(16)는 소정 수위(수위 e)를 검출하고, 제어 장치(30)는, 이 수위 센서(57)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통상의 운전(제2 실시 형태의 통상의 운전)을 행한다.
한편, 온도 센서(22)가 200도에 도달하기까지 동안에, 저수 탱크(56)에 물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 장치(30)는, 주 히터(54) 및 보조 히터(42)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버저(31)를 일정 시간 울리는 경고의 제어를 행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도,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저수 탱크(56)에 저장되어 있는 물은 증기 발생 용기(53)에 존재하는 물과 비연통 상태이므로, 증기 발생 용기(53)에 불순물이 축적되어도, 이 불순물이 저수 탱크(56) 측으로 옮겨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저수 탱크(56)가 오염되기 어렵고, 저수 탱크(56) 측의 청소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22) 및 온도 센서(44)를 사용하고,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공가열 방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청소의 시기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증기 발생 용기(53)는, 착탈할 수 없지만, 경사면(53a)과 평탄부(53b)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요철이 적고 청소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또한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 음과 같은 변형, 확장이 가능하다.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증기 발생 용기 내의 잔수 상태를 검출하는 잔수 상태 검출 수단으로는, 온도 센서(22)에 한하지 않고, 수위 센서를 사용하여도 좋다.
제1 실시 형태의 찜통(1)에 있어서, 증기 발생 장치(4) 대신에 제3 실시 형태의 증기 발생 장치(52)를 사용하는 구성도 좋고, 제2(제3) 실시 형태와 같이 온도 센서(22) 및 온도 센서(44)로 급수의 표시 및 손질 표시의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1개의 온도 센서(22)만을 사용하여, 급수, 공가열, 오염을 판단하는 제어로 하여도 좋다.
제3 실시 형태의 찜통(51)에 있어서, 증기 발생 장치(52) 대신에 제1 실시 형태의 증기 발생 장치(4)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제3 실시 형태로는, 가열 수단으로서 주 히터(54)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주 히터(54) 대신에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8) 대신에, 제3 실시 형태의 주 히터(54)를 사용하여도 좋다.
그 밖에, 상기 설명한 실시 형태의 구성, 온도, 시간 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찜통의 종단 측면도.
도 2는 조작 패널의 정면도.
도 3은 찜통의 전기적 구성도.
도 4는 찜통의 운전 시간과 온도 센서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 1에 상당하는 도면.
도 6은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도 7은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 1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찜통
2 : 쇼케이스(식품 수용실)
6 : 증기 발생 용기
8 :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가열 수단)
11 : 저수 탱크(저수부)
12 : 물 수용부(저수부)
17 : 급수 밸브(물 공급 수단)
18 : 급수용 배관(물 공급 수단)
22 : 온도 센서(잔수 상태 검출 수단, 공가열 센서, 오염 센서)
30 : 제어 장치(제어 수단)
41 : 증기 발생 용기
42 : 보조 히터(보조 가열 수단)
44 : 온도 센서(잔수 상태 검출 수단, 오염 센서)
51 : 찜통
53 : 증기 발생 용기
54 : 주 히터(가열 수단)
56 : 저수 탱크(저수부)
58 : 급수용 배관(물 공급 수단)
59 : 펌프(물 공급 수단)

Claims (6)

  1. 식품을 수용하는 식품 수용실과,
    이 식품 수용실의 하방에 설치된 증기 발생 용기와,
    이 증기 발생 용기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 수단과,
    상기 증기 발생 용기에 대해 비연통 상태로 설치된 저수부와,
    이 저수부에 저류된 물을 상기 증기 발생 용기로 공급하는 물 공급 수단과,
    상기 증기 발생 용기 내의 잔수 상태를 검출하는 잔수 상태 검출 수단과,
    이 잔수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물 공급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상태 검출 수단은, 상기 증기 발생 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설치된 온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증기 발생 용기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증기 발생 용기의 공가열을 검출하는 공가열 센서를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통.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증기 발생 용기의 오염을 검출하는 오염 센서를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통.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 용기의 상부에, 상기 증기 발생 용기를 가열하는 보조 가열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 가열 수단의 근방에 상기 온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 용기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통.
KR1020090046709A 2008-07-04 2009-05-28 찜통 KR201000048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75596 2008-07-04
JP2008175596A JP2010012085A (ja) 2008-07-04 2008-07-04 蒸し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855A true KR20100004855A (ko) 2010-01-13

Family

ID=41511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709A KR20100004855A (ko) 2008-07-04 2009-05-28 찜통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012085A (ko)
KR (1) KR20100004855A (ko)
CN (1) CN101617915A (ko)
TW (1) TW2010022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072B1 (ko) * 2010-01-14 2010-07-08 나창환 찜용 증기발생장치
KR200459908Y1 (ko) * 2010-01-21 2012-04-20 이진오 찜통용 히팅솥의 결합구조
KR102132192B1 (ko) * 2019-02-14 2020-07-09 홍승환 음식물 보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8451A (zh) * 2011-12-07 2012-06-13 刘培利 采用蒸汽烹煮食物的装置
CN103417106B (zh) * 2012-05-22 2016-05-04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蒸锅
CN103417105B (zh) * 2012-05-22 2015-10-28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分体式电蒸锅
CN102920316A (zh) * 2012-10-21 2013-02-13 安徽工程大学 可控温湿度的智能蒸锅
CN102920315A (zh) * 2012-10-21 2013-02-13 安徽工程大学 一种可控温湿度的智能蒸菜方法
FR3014667B1 (fr) * 2013-12-13 2016-02-05 Seb Sa Dispositif de cuisson a la vapeur simple et economique permettant deux temperatures de cuisson
CN104146591B (zh) * 2014-08-21 2016-09-07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烹饪器具及其缺水检测方法和缺水检测装置
CN104188505B (zh) * 2014-09-25 2017-01-25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烹饪设备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04825049B (zh) * 2015-05-18 2017-09-26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电蒸炉
CN106264098A (zh) * 2015-06-10 2017-01-04 江苏板桥厨具有限公司 节能电热蒸饭箱
CN107246601A (zh) * 2017-07-27 2017-10-13 惠州市柯仕桑拿泳池设备有限公司 一种延缓水垢堆积的高使用寿命蒸汽机及其使用方法
JP6958253B2 (ja) * 2017-11-07 2021-11-02 三浦工業株式会社 電気ボイラ
CN108618589B (zh) * 2018-07-02 2024-05-10 陕西华泰厨房设备有限公司 一种多模块组合式智能电磁蒸饭柜
CN109316044A (zh) * 2018-09-28 2019-02-12 隗有祥 一种防干烧蒸锅
CN111387802B (zh) * 2019-01-03 2021-07-2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双内胆蒸箱的蒸汽系统及其蒸汽阀故障检测方法
CN114468746A (zh) * 2020-11-13 2022-05-13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盘式储水蒸汽发生器的控制方法及烹饪设备
CN112493846A (zh) * 2020-12-23 2021-03-16 广东乘心电器实业有限公司 蒸汽加热柜的供液系统
CN112856369A (zh) * 2021-03-01 2021-05-2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发生器及其控制装置、方法以及蒸汽烹饪装置
CN114847509B (zh) * 2022-04-11 2023-06-06 湖北省烟草科学研究院 一种深褐色茄衣制作设备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7447A (ja) * 1993-12-16 1995-07-04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JP3775352B2 (ja) * 2002-06-14 2006-05-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JP2004173797A (ja) * 2002-11-25 2004-06-24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食品加熱保温器
JP4059165B2 (ja) * 2003-08-07 2008-03-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蒸気発生機能付き高周波加熱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072B1 (ko) * 2010-01-14 2010-07-08 나창환 찜용 증기발생장치
KR200459908Y1 (ko) * 2010-01-21 2012-04-20 이진오 찜통용 히팅솥의 결합구조
KR102132192B1 (ko) * 2019-02-14 2020-07-09 홍승환 음식물 보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12085A (ja) 2010-01-21
TW201002252A (en) 2010-01-16
CN101617915A (zh)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4855A (ko) 찜통
CN107981712B (zh) 蒸汽烹饪装置的控制方法及蒸汽烹饪装置
US20030178411A1 (en) Food steamer with automatic electric steam trap, power modulation and automatic connected water supply
JP2007040565A (ja) 加熱調理器
US11698195B2 (en) Electrical cooking appliance with automatic cleaning of cooking chamber
JP2005083708A (ja) 蒸気発生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加熱調理器
US20020020177A1 (en) Ice maker harvest control and method
KR910001683B1 (ko) 커피 추출기
US7730830B2 (en) Steam cooking apparatus
JP4012006B2 (ja) 湯供給装置
EP1221570A2 (en) Steam generator with automatic water loading system
KR100234763B1 (ko) 냉장고의 급수제어방법
CN112368522B (zh) 控制和清洁烧水器的方法
JP2018017449A (ja) 氷ディスペンサ
JP4020727B2 (ja) 飲料生成装置
JP2000342448A (ja) 蒸し器
JP2010038407A (ja) 蒸気発生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JP5187028B2 (ja) ウォータサーバ
TW201742825A (zh) 飲水機及空氣活門
KR200250555Y1 (ko) 냉장고
JP2006345969A (ja) 炊飯器
JP2005152196A (ja) 炊飯器
JP2000253998A (ja) 電気給湯機
CN113028377A (zh) 蒸汽发生器、家用电器、提示方法、控制方法及存储介质
ES2528184T3 (es) Máquina de lavar provista con un generador de vapor de flujo continuo autocontrolado y autolimpi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