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192B1 - 음식물 보온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보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192B1
KR102132192B1 KR1020190017047A KR20190017047A KR102132192B1 KR 102132192 B1 KR102132192 B1 KR 102132192B1 KR 1020190017047 A KR1020190017047 A KR 1020190017047A KR 20190017047 A KR20190017047 A KR 20190017047A KR 102132192 B1 KR102132192 B1 KR 102132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supply
water
opening
wate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환
김태곤
Original Assignee
홍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환 filed Critical 홍승환
Priority to KR102019001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2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시, 그릇, 냄비 등의 용기에 담긴 음식물이 식사하는 동안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보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음식물 용기를 받칠 수 있도록 된 대(臺) 형상의 본체;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제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요입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음식물 용기가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 상기 본체에 형성된 물공급부; 상기 물공급부에 담긴 물이 상기 수용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물공급부와 수용부를 연결하는 수로; 및 상기 수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된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 보온장치{Device of keep warm for food}
본 발명은 음식물 보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시, 그릇, 냄비 등의 용기에 담긴 음식물이 식사하는 동안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보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식물을 보온이나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과 반응하여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열제는 전력을 사용하지 않아 특히 야외에서의 사용이 편리하고, 증기나 물에 의해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가스나 고체연료와 같은 발화 방식의 가열수단에 비하여 화재의 위험이 없고 그을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발열제를 이용한 음식물 보온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8526호(2016.03.29. 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음식물 보온판"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받침턱과 수납실을 구비한 쟁반형의 금속제 가열용기와, 상기 수납실에 내장되어 물에 접촉되면 뜨겁게 발열하는 발열체와, 가열용기 위에 올려서 사용하는 음식물 보온판에 있어서, 상기 보온판은 수증기구멍을 가진 돌판과; 상기 돌판의 가장 자리에 둘러 처지는 띠형상의 금속테두리와; 상기 금속테두리 상단에 외측을 향하여 수평상으로 돌출되게 성형하여 수평형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게 한 횡돌출부와; 금속테두리의 상단과 하단을 둥글게 말아 붙인 커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온판"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제를 이용한 음식물 보온장치를 제공하고는 있으나, 발열제와 반응하게 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없어 온도의 조절이 어렵고, 소모된 물을 보충하기 위하여 돌판을 가열용기에서 들어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8526호(2016.03.29.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제를 이용하되, 발열제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소모된 물을 용이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보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는, 음식물 용기를 받칠 수 있도록 된 대(臺) 형상의 본체;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제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요입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음식물 용기가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 상기 본체에 형성된 물공급부; 상기 물공급부에 담긴 물이 상기 수용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물공급부와 수용부를 연결하는 수로; 및 상기 수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된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테두리를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결합된 하판;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 안착부 및 물공급부가 형성된 상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물공급부는 1회 사용량 이상의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을 갖는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공급부의 바닥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물공급부와 연결되도록 장착된 제1이음쇠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도록 장착된 제2이음쇠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입구와 출구, 그리고 유량조절을 위한 노브를 포함하는 유량조절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로는 상기 제1이음쇠와 상기 밸브의 입구를 연결하는 제1배관, 그리고 상기 제2이음쇠와 상기 밸브의 출구를 연결하는 제2배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물공급부는 도립된 물통의 입구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로는 상기 물공급부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요입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는, 단부가 상기 수로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로에 위치하게 되는 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개구부를 갖는 개폐로드; 및 상기 수로를 가로막는 형태로 수로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로드의 단부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내부 삽입부, 그리고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수로를 따라 관통 형성된 제2개구부를 갖는 게이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개폐로드의 회전에 의해 상호 연결되거나 단절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제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게 됨으로써 전력을 이용하기 곤란한 상황에서도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물공급부 및 밸브가 마련됨에 따라 물을 용이하게 보충 및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에서 밸브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는 크게 본체(100), 수용부(200), 안착부(300), 물공급부(400), 수로(500) 및 밸브(600)로 이루어진다.
본체(100)는 음식물 용기(10, 도 4 참조)를 받칠 수 있도록 대(臺) 형상으로 된 것으로서, 테두리를 이루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 하부에 결합된 하판(120)과,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 상부에 결합된 상판(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10)은 금속판을 판금 가공하거나, 일정 길이를 갖는 목재 판을 직사각 형태로 연결하여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는 양측에는 운반용 손잡이(140)가 형성될 수 있다.
하판(120)은 프레임(110)의 내측 하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된다. 하판(120)은 프레임(110)과 일체형 또는 분리형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110)과 하판(120)을 금속판으로 제작할 경우 일체형이, 목재 또는 목재와 금속판을 조합할 경우 분리형이 적합할 것이다. 프레임(110)과 하판(120)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판(130)은 프레임(110)의 내측 상부를 폐쇄하도록 결합된다. 상판(130)에는 후술될 수용부(200), 안착부(300), 물공급부(400) 등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판(130)은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프레임(110)과 하판(120)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경우 상판(130) 또한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수용부(200)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제(20, 도 4 참조)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상면에 요입 형성된다.
발열제(20)는 물이 흡수될 수 있는 재질로 된 포장재에 담기어 일회용 손난로(핫팩)처럼 된 파우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사용되며, 수용부(200)는 이러한 발열제(20)와 물이 본체(100)의 상면으로 넘치지 않고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안착부(300)는 수용부(200)의 상측에 접시, 그릇, 냄비 등의 음식물 용기(10)가 놓일 수 있도록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안착부(300)는 음식물이 담긴 접시가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본체(100)의 상면과 수용부(200)의 사이에 형성된 단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안착부(300)는 필요에 따라 본체(100)의 상면에 수용부(200)를 중심으로 삼발이와 같은 형태로 갖도록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등 음식물 용기(10)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물공급부(400)는 수용부(2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상면에서 요입된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물공급부(400)는 1회 사용량 이상의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1회 사용량이라 함은 수용부(200)로 투입된 발열제(20)의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필요한 물의 양을 의미한다. 1회 사용량은 음식의 종류나 양, 식사시간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물공급부(400)의 용량 또한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물공급부(400)의 상측에는 물공급부(400)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9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900)는 본체(100)에서 분리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힌지 등의 수단에 의해 여닫이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900)가 물공급부(400)를 덮었을 때 커버(900)의 상면과 본체(100)의 상면이 일치되도록 본체(100)의 상면에는 커버(900)가 안착되는 안착홈(1000)이 형성될 수 있다.
수로(500)는 물공급부(400)에 담긴 물이 수용부(2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물공급부(400)와 수용부(200)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수로(500)는 호스(hose, 도 2에서 파선으로 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호스로 된 수로(500)를 물공급부(400)와 수용부(200)에 연결하기 위하여, 물공급부(400)와 수용부(200)에는 각각 제1이음쇠(700)와 제2이음쇠(800)가 장착된다. 그리고 물공급부(400)에 담긴 물이 제1이음쇠(700) 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물공급부(400)의 바닥은 상기 제1이음쇠(700)와 근접할수록 낮아지고, 제1이음쇠(700)와 멀어질수록 높아지게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다.
밸브(600)는 수로(5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10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600)는 입구(610)와 출구(620), 그리고 유량조절을 위한 노브(630)를 포함하는 유량조절밸브로 이루어진다. 밸브(600)는 상기 노브(630)가 본체(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본체(10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노브(63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수로(500)는 상기 제1이음쇠(700)와 상기 밸브(600)의 입구(610)를 연결하는 제1배관(510), 그리고 상기 제2이음쇠(800)와 상기 밸브(600)의 출구(620)를 연결하는 제2배관(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밸브(600)의 작동에 의해 제1배관(510)과 제2배관(520) 사이의 흐름이 연결되거나 차단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는 수용부(200)에 발열제(20)를 투입하고 물공급부(400)에 물을 채운 후, 밸브(600)로 수로(500)를 개방하여 수용부(200)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발열제(20)가 물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본체(100)에 놓인 음식물 용기(10)를 가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음식물 용기(10)에 담긴 음식을 식사하는 동안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600)의 노브(630)를 이용하여 수용부(20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음식의 종류나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발열제(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에서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보온장치는, 제1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로 본체(100), 수용부(200), 안착부(300), 물공급부(400), 수로(500) 및 밸브(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물공급부(400), 수로(500) 및 밸브(600)의 구성이 제1실시예의 것과 다소 차이가 있다.
제2실시예에 의하면, 물공급부(400)는 도립(倒立)된 물통(30)의 입구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상면에서 요입된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립"이라 함은 물통(30)의 입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로서 결국, 상기 물공급부(400)는 물통(30)의 입구가 뒤집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공급부(400)에는 필요에 따라 수밀(水密)을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수밀을 위한 수단은 물통(30)의 입구와 접하도록 물공급부(4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패킹일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수밀을 위한 수단은 물통(30)의 입구와 물공급부(400)를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물공급부(400)에 형성된 암나사일 수 있다.
이때 물통(30)은 전용 물통이 본체(100)와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시중에 판매되는 생수가 담긴 용기가 이용될 수도 있다.
수로(500)는 물공급부(400)와 수용부(200)를 연결하도록 본체(100)의 상면에서 요입된 홈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실시예에서 수로(500)는 수용부(200), 안착부(300) 및 물공급부(400)와 함께 상판(130)에 일체로 형성된다.
밸브(600)는, 단부가 수로(500)를 가로지르도록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로드(640)와, 상기 개폐로드(640)의 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개구부(650)와, 상기 수로(500)를 가로막는 형태로 수로(500)에 배치된 게이트부재(660)와, 상기 게이트부재(660)에 관통 형성된 제2개구부(6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개폐로드(640)는 일단이 수로(5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프레임(110)을 관통하여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노출된 개폐로드(640)의 타단에는 노브(6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개구부(650)는 수로(500) 상에 위치하도록 개폐로드(640)의 단부에 형성된다. 제1개구부(650)는 개폐로드(640) 상에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개폐로드(640)는 제1개구부(650)가 형성된 구간의 직경이 다른 구간보다 확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게이트부재(660)는 직육면체의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로(500)를 가로막도록 설치된다. 게이트부재(660)의 내부에는 개폐로드(640)의 단부가 밀착되게 삽입된다. 즉, 게이트부재(660)의 내측으로 개폐로드(640)의 단부가 관통하게 되고, 이때 제1개구부(650)가 게이트부재(66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제2개구부(670)는 수로(500)를 따라 관통되도록 게이트부재(660)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개구부(670)는 게이트부재(660)의 내측 공간과 연결되며, 제1개구부(650)가 배치되는 각도에 따라 제1개구부(650)와 연결되거나 차단된다.
결국, 밸브(600)는 제1개구부(650)와 제2개구부(670)가 개폐로드(640)의 회전에 의해 상호 연결되거나 단절됨으로써 수로(500)를 개폐하게 되고, 이때 제1개구부(650)와 제2개구부(670)가 연결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수용부(20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본체 110 : 프레임
120 : 하판 130 : 상판
140 : 손잡이 200 : 수용부
300 : 안착부 400 : 물공급부
500 : 수로 510 : 제1배관
520 : 제2배관 600 : 밸브
610 : 입구 620 : 출구
630 : 노브 640 : 개폐로드
650 : 제1개구부 660 : 게이트부재
670 : 제2개구부 700 : 제1이음쇠
800 : 제2이음쇠 900 : 커버
1000 : 안착홈

Claims (6)

  1. 음식물 용기(10)를 받칠 수 있도록 된 대(臺) 형상의 본체(100);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제(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요입 형성된 수용부(200);
    상기 수용부(200)의 상측에 음식물 용기(10)가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300);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물공급부(400);
    상기 물공급부(400)에 담긴 물이 상기 수용부(2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물공급부(400)와 수용부(200)를 연결하는 수로(500); 및
    상기 수로(5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에 결합된 밸브(600);를 포함하되,
    상기 수로(500)는 상기 물공급부(400)와 상기 수용부(200)를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서 요입된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600)는
    단부가 상기 수로(500)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로드(640);
    상기 수로(500)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개폐로드(640)의 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개구부(650);
    상기 수로(500)를 가로막는 형태로 수로(500)에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개폐로드(640)의 단부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게이트부재(660); 및
    상기 게이트부재(660)에 상기 수로(500)를 따라 관통 형성된 제2개구부(6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개구부(650)와 상기 제2개구부(670)는 상기 개폐로드(640)의 회전에 의해 상호 연결되거나 단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테두리를 이루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 하부에 결합된 하판(120); 및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200), 안착부(300) 및 물공급부(400)가 형성된 상판(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400)는 1회 사용량 이상의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을 갖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서 요입된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공급부(400)의 바닥은 상기 수용부(200)의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400)와 연결되도록 장착된 제1이음쇠(700)와, 상기 수용부(200)와 연결되도록 장착된 제2이음쇠(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600)는 입구(610)와 출구(620), 그리고 유량조절을 위한 노브(630)를 포함하는 유량조절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로(500)는 상기 제1이음쇠(700)와 상기 밸브(600)의 입구(610)를 연결하는 제1배관(510), 그리고 상기 제2이음쇠(800)와 상기 밸브(600)의 출구(620)를 연결하는 제2배관(5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400)는 도립된 물통(30)의 입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서 요입된 구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온장치.
  6. 삭제
KR1020190017047A 2019-02-14 2019-02-14 음식물 보온장치 KR102132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47A KR102132192B1 (ko) 2019-02-14 2019-02-14 음식물 보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47A KR102132192B1 (ko) 2019-02-14 2019-02-14 음식물 보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192B1 true KR102132192B1 (ko) 2020-07-09

Family

ID=7160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047A KR102132192B1 (ko) 2019-02-14 2019-02-14 음식물 보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1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855A (ko) * 2008-07-04 2010-01-1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찜통
JP5657662B2 (ja) * 2009-07-26 2015-01-21 フォエバー ヤ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ク. インスタント自己発熱容器
JP2016500619A (ja) * 2012-10-29 2016-01-14 フォエバー ヤ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ク. 温度変更容器
KR101608526B1 (ko) 2014-11-07 2016-04-05 이경호 음식물 보온판
JP6017144B2 (ja) * 2012-02-06 2016-10-26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855A (ko) * 2008-07-04 2010-01-1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찜통
JP5657662B2 (ja) * 2009-07-26 2015-01-21 フォエバー ヤ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ク. インスタント自己発熱容器
JP6017144B2 (ja) * 2012-02-06 2016-10-26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16500619A (ja) * 2012-10-29 2016-01-14 フォエバー ヤ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ク. 温度変更容器
KR101608526B1 (ko) 2014-11-07 2016-04-05 이경호 음식물 보온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1455B2 (en) Electric thermos jug
US20130312617A1 (en) Mobile self-contained brewer and cup
US20060283332A1 (en) Hot beverage maker
KR101572533B1 (ko) 휴대용 유도가열기
US58161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dispensing hot water or hot beverages
KR102132192B1 (ko) 음식물 보온장치
EP1955621B1 (fr) Dispositif de régulation du niveau d'eau d'une cavité chauffante d'un appareil électromenager
CH689769A5 (it)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caffè e bevande infuse simili in dosi singole e miscelato con latte.
CN213096624U (zh) 一种多功能食物容器
KR102268602B1 (ko) 음식포장용기
EP1955622B1 (fr) Dispositif d'alimentation en eau d'une cavité chauffante pour un appareil électromenager
KR102384317B1 (ko) 히터가 구비된 보온병
KR200195151Y1 (ko) 온수기
KR20130130345A (ko) 자체 가열 및 보온 포트와 공급원수보관 보온 및 용기 일체형
CN218164895U (zh) 一种茶吧机
KR102431917B1 (ko) 가열식 휴대용 텀블러
JP3266150B2 (ja) 電気給湯器
CN218791848U (zh) 一种饮品加热保温装置
FR2614400A1 (fr) Appareil autonome de cuisson par rayonnement
KR200496851Y1 (ko) 주전자
JP2008178439A (ja) 飲料抽出容器
JPS6038429Y2 (ja) コ−ヒ−液抽出装置
KR200341713Y1 (ko) 보온 배식대
KR950006717Y1 (ko) 이 · 미용용 중화제 보온기
KR200270673Y1 (ko) 음식보온용 가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