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351A -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 - Google Patents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351A
KR20100004351A KR1020080064468A KR20080064468A KR20100004351A KR 20100004351 A KR20100004351 A KR 20100004351A KR 1020080064468 A KR1020080064468 A KR 1020080064468A KR 20080064468 A KR20080064468 A KR 20080064468A KR 20100004351 A KR20100004351 A KR 20100004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vehicle
bumper
insertion hole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908B1 (ko
Inventor
김현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4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90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2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4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2019/026Buffers, i.e. bumpers of limited ex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부품 수를 줄이고 조립을 단순화할 수 있는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가 소개된다. 센서 홀더 기구는 차량 후방을 감지하는 센서유닛(200)이 리어 범퍼(100)의 삽입홀부(110)에 직접 조립되는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로서, 리어 범퍼(100)의 삽입홀부(110)에는 보스부(120)가 차량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센서유닛(200)은 보스부(120)에 삽입되는 스크류(300)를 통해 결합된다.
리어 범퍼, 센서유닛, 보스부, 스크류

Description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SENSOR HOLDER STRUCTURE OF BUMP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후방 감지를 위한 센서유닛이 조립되는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후방 경보시스템은 후진 운행시 운전자의 부주의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차량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과 물체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차량과 물체 사이의 거리 정도에 따라 운전자에게 경고한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리어 범퍼(10)에는 고정홀더(20)가 조립되는 조립구멍(11)이 형성되고, 고정홀더(11)에는 차량 후진시 후방의 사물이나 보행자 등을 감지하는 후방 경보센서유닛(30)이 장착된다.
그리고 후방 경보센서유닛(30)은 리어 범퍼(10)의 조립구멍(11)에 노출되어 사물 또는 보행자 등을 감지하는 후방 경보센서(31)와, 후방 경보센서(31)를 수용하는 하우징(32)과, 리어 범퍼(10)의 걸림홈(21)에 걸리도록 하우징(32)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미도시)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후방 경보센서 유닛은 리어 범퍼에 장착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 홀더가 필요하고 리어 범퍼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구조이므로, 외관 품질이 저하되고, 부품 수가 증가되며, 그에 따라 중량이 증가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유닛이 리어 범퍼의 삽입홀부에 직접 조립되는 구조를 통해, 부품 수를 줄이고 조립을 단순화할 수 있는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후방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이 리어 범퍼의 삽입홀부에 조립되는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로서, 상기 리어 범퍼의 삽입홀부에는 보스부가 차량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보스부에 삽입되는 스크류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삽입홀부에 인입되는 후방 경보센서와, 후방 경보센서가 내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크류가 삽입되는 나사홀이 형성된 돌출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 후방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이 리어 범퍼의 삽입홀부에 조립되는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로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삽입홀부의 차량 전방면에 융착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삽입홀부에 인입되는 후방 경보센서와, 후방 경보센서가 내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홀부의 차량 전방면에 밀착되는 융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 후방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이 리어 범퍼의 삽입홀부에 조립되는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로서, 상기 리어 범퍼의 삽입홀부에는 걸림홈을 갖 는 원통형 홀부가 차량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원통형 홀부를 관통하여 삽입홀부에 인입시 상기 걸림홈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원통형 홀부에 인입되는 후방 경보센서와, 후방 경보센서가 내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걸림홈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유닛이 리어 범퍼의 삽입홀부에 직접 조립되는 구조를 통해, 부품수를 감소하고 제품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리어 범퍼와 센서유닛 간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부품 제작 설비를 축소하고,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는, 리어 범퍼(100)의 삽입홀부(110)에 일체로 형성된 보스부(120)를 통해 센서유닛(200)이 직접 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부품수를 감소하고 조립 구조를 단순화한 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리어 범퍼(100)에는 삽입홀부(110)가 형성된다. 이 삽입홀부(110)는 센서유닛(200)의 결합단부가 인입되는 장착구멍과 그 주위를 포함하며, 센서유닛(200)의 결합단부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다. 센서유닛(200)의 장착시 센서유닛(200)의 결합단부는 삽입홀부(1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삽입홀부(110)에는 스크류(300)의 결합이 가능한 보스부(120)가 형성된다. 보스부(120)는 삽입홀부(110)에서 도 2의 왼쪽 방향, 즉 차량 전방으로 돌출되며, 스크류(300)가 결합되는 보스홀(미도시)을 마련한다. 이 보스부(120)는 보스홀에 고정되는 스크류(300)를 매개로 센서유닛(2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유닛(200)은 리어 범퍼(100)의 삽입홀부(110)에 장착되어 차량 후방측에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한다. 이러한 센서유닛(200)은 삽입홀부(110)에 인입되어 차량과 물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후방 감지센서(210)와, 후방 감지센서(210)를 감싸는 하우징(220), 및 하우징(220)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크류(300)가 삽입되는 나사홀(231)이 형성된 돌출편(230)으로 구성된다.
이 센서유닛(200)은 스크류(300)에 의해 결합되는 보스부(120)를 통해 리어 범퍼(100)와 직접 고정되므로, 종래 센서유닛을 리어 범퍼에 장착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홀더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품수를 감소하고, 부품 제작 설비를 축소하며,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 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는, 센서유닛(200)이 융착을 통해 리어 범퍼(100)의 삽입홀부(110)에 직접 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부품수를 감소하고 조립 구조를 단순화한다.
구체적으로, 리어 범퍼(100)에는 센서유닛(200)이 조립되는 삽입홀부(110)가 형성된다. 이 삽입홀부(110)의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다만, 이 삽입홀부(110)에는 융착을 통해 센서유닛(200)이 직접 고정된다. 이때, 삽입홀부(110) 및 센서유닛(200) 간 융착은 삽입홀부(110) 및 센서유닛(200)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유닛(200)은 리어 범퍼(100)의 삽입홀부(110)에 장착되어 차량 후방측에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삽입홀부(110)에 인입되어 차량과 물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후방 감지센서(210)와, 후방 감지센서(210)를 감싸는 하우징(220), 및 하우징(220)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삽입홀부(110)의 융착면(130)에 밀착 및 융착되는 융착부(240)로 구성된다.
이 센서유닛(200)은 융착을 통해 리어 범퍼(100)와 직접 고정되므로, 종래 센서유닛(200)을 리어 범퍼(100)에 장착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홀더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품수를 감소하고,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센서 홀더 기구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는, 리어 범퍼(100)의 삽입홀부(110)에 원통형 홀부(140)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원통형 홀부(140)에 센서유닛(200)이 걸려 고정되는 구조를 통해, 부품수를 감소하고 조립 구조를 단순화한다.
즉, 리어 범퍼(100)의 삽입홀부(110)에는 원통형 홀부(140)가 차량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원통형 홀부(140)는 센서유닛(20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으며, 센서유닛(200)과의 결합을 위한 걸림홈(141)이 형성된다. 이 걸림홈(141)은 원통형 홀부(140)의 양측벽에 대향되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센서유닛(200)의 걸림편(미도시)이 구속되도록 한다.
센서유닛(200)은 리어 범퍼(100)의 삽입홀부(110)에 장착되어 차량 후방측에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 홀부(140)에 인입되어 차량과 물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후방 감지센서(210)와, 후방 감지센서(210)를 감싸는 하우징(220), 및 원통형 홀부(140)의 걸림홈(141)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우징(220)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편으로 구성된다. 이 걸림편은 갈고리 형상의 후크로, 원통형 홀부(140)에 대한 센서유닛(200)의 장착시 센서유닛(200)이 원통형 홀부(140)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 센서유닛(200)은 리어 범퍼(100)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홀부(140)에 직접 고정되므로, 종래 센서유닛을 리어 범퍼에 장착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홀더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품수를 감소하고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 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a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센서 홀더 기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리어 범퍼 110 :삽입홀부
120 :보스부 200 :센서유닛
210 :후방 경보센서 220 :하우징
230 :돌출편 240 :융착부
300 :스크류

Claims (6)

  1. 차량 후방을 감지하는 센서유닛(200)이 리어 범퍼(100)의 삽입홀부(110)에 조립되는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로서,
    상기 리어 범퍼(100)의 삽입홀부(110)에는 보스부(120)가 차량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센서유닛(200)은 스크류(300)를 통해 상기 보스부(1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200)은 상기 삽입홀부(110)에 인입되는 후방 감지센서(210)와, 후방 감지센서(210)가 내장되는 하우징(220), 및 상기 하우징(220)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크류(300)가 삽입되는 나사홀(231)이 형성되는 돌출편(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
  3. 차량 후방을 감지하는 센서유닛(200)이 리어 범퍼(100)의 삽입홀부(110)에 조립되는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로서,
    상기 센서유닛(200)은 상기 삽입홀부(110)의 차량 전방면에 융착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200)은 상기 삽입홀부(110)에 인입되는 후방 감지센서(210)와, 후방 감지센서(210)가 내장되는 하우징(220), 및 상기 하우징(220)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홀부(110)의 차량 전방면에 밀착되는 융착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
  5. 차량 후방을 감지하는 센서유닛(200)이 리어 범퍼(100)의 삽입홀부(110)에 조립되는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로서,
    상기 리어 범퍼(100)의 삽입홀부(110)에는 걸림홈(141)을 갖는 원통형 홀부(140)가 차량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센서유닛(200)은 상기 원통형 홀부(140)를 관통하여 삽입홀부(110)에 인입시 상기 걸림홈(141)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200)은 상기 삽입홀부(110)에 인입되는 후방 감지센서(210)와, 후방 감지센서(210)가 내장되는 하우징(220), 및 상기 걸림홈(141)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하우징(220)의 외면에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
KR1020080064468A 2008-07-03 2008-07-03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 KR101013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468A KR101013908B1 (ko) 2008-07-03 2008-07-03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468A KR101013908B1 (ko) 2008-07-03 2008-07-03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51A true KR20100004351A (ko) 2010-01-13
KR101013908B1 KR101013908B1 (ko) 2011-02-14

Family

ID=41813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468A KR101013908B1 (ko) 2008-07-03 2008-07-03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9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818B1 (ko) * 2017-08-29 2018-09-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외기온도센서의 공용 장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350B1 (ko) 2020-08-28 2022-04-01 에스. 피. 엘 (주) 자동차 범퍼용 센서브래킷 설치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942A (ko) * 1997-08-26 1999-03-15 양재신 차량용 근접센서 마운팅 구조
KR200212160Y1 (ko) * 1998-12-31 2001-02-15 김종수 차량용 센서장착 장치
EP2052863B1 (en) * 2000-01-21 2012-04-11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for use with recording apparatus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KR20060110040A (ko) * 2005-04-19 2006-10-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후방감지센서유닛 조립구조
KR100726496B1 (ko) * 2005-11-01 2007-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비돌출형 후방 경보센서 유닛의 장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818B1 (ko) * 2017-08-29 2018-09-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외기온도센서의 공용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908B1 (ko) 201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8504C (en) Apparatus to attach a proximity sensor to an energy absorbing vehicle bumper
EP2457773B1 (en) Mirror device for vehicle
KR20130055130A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JP2009023405A (ja) 衝突検知センサ
JP2006298321A (ja) 車両の衝突検知装置
KR101013908B1 (ko)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
KR100726496B1 (ko) 자동차의 비돌출형 후방 경보센서 유닛의 장착구조
US9114769B1 (en) Vehicle sensor assembly with lever assist
JP2018058439A (ja) 取付部品
KR100948024B1 (ko) 자동차용 거리측정센서의 설치부재와 이를 이용한 설치구조
KR200452237Y1 (ko) 차량 범퍼용 비노출형 브라켓
JP2006199065A (ja) 後方監視カメラの取付構造およびガーニッシュ部材
KR102091430B1 (ko) 센서 홀더
CN107963044B (zh) 一种汽车及其防护杠组件
KR20060000159A (ko) 차량의 후방 경보용 센서 장착 구조
KR200469332Y1 (ko) 차량용 블랙박스
KR100577893B1 (ko) 자동차용 후방 감지센서의 설치구조
KR101943640B1 (ko) 차량 범퍼장착용 센서장치
KR20090041965A (ko) 차량용 장애물 감지장치
KR20060106456A (ko)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취부 구조
KR200433082Y1 (ko) 차량용 벌브 하우징
JP2009208500A (ja) センサーの配置構造
KR102005032B1 (ko) 초음파센서의 이탈 방지 구조
KR101676665B1 (ko) 차량의 물체감지 센서 모듈
JP7372822B2 (ja) 車両用サイドミ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