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430B1 - 센서 홀더 - Google Patents

센서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430B1
KR102091430B1 KR1020180130615A KR20180130615A KR102091430B1 KR 102091430 B1 KR102091430 B1 KR 102091430B1 KR 1020180130615 A KR1020180130615 A KR 1020180130615A KR 20180130615 A KR20180130615 A KR 20180130615A KR 102091430 B1 KR102091430 B1 KR 102091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nnector
holder
sensor hold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주
박해주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0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홀더에 관한 것으로, 원통 형상의 몸통부와, 몸통부의 전방에서 돌출되며 끝단에 센서셀이 장착된 센서부와,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되 양측면이 평면형상인 커넥터부가 구비되고, 커넥터부의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제1센서 또는 제2센서를 범퍼커버에 장착시키는 센서 홀더에 있어서, 센서 홀더는, 일측이 범퍼커버의 후방면에 장착되며 타측에 제1센서 또는 제2센서가 결합되되, 센서부가 관통 삽입되어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몸통부와 커넥터부를 지지하는 센서 홀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1센서와 제2센서가 구분없이 조립될 수 있는 센서 홀더가 구비됨에 따라 각각에 맞는 센서 홀더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부품 종류가 줄어들고, 조립시 부품이 혼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 홀더{SENSOR HOLDER}
본 발명은 센서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형상이 상이한 센서가 구분없이 조립될 수 있는 센서 홀더가 구비됨에 따라 각각에 맞는 센서 홀더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부품 종류가 줄어들고, 조립시 부품이 혼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립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센서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거리측정센서, 전방감지센서, 주차거리경고센서 등의 다수개의 센서들이 장착되어 주행 또는 주차시에 운전자를 보조해준다.
일예로,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은, 복수개의 초음파센서를 범퍼에 매립하여서, 초음파센서에서 발진된 초음파가 차량 전방 또는 후방의 물체에 부딪혀서 되돌아오는 것을 이용하여 제어부에서 차량과 차량 전방 또는 후방의 물체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거리를 차량 실내에 배치된 표시부에 표시하면서 거리에 따른 경보음이 울리거나 경보 이미지를 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센서 홀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9908호 등에 나타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센서셀(16)이 구비된 센서부(10)가 홀더(20)의 내측에 삽입 장착되어 있다.
특히, 홀더(20)는 내측면의 형상이 센서부(10)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내측으로 센서부(10)가 삽입되어 후크수단 등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때, 센서부(10)는 센서 종류 및 기능에 따라 그 형상이 제각각 다르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센서부(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홀더(20)를 각각 별도 구비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도 2에는 서로 상이한 형상의 센서(100,20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의 (a)는 제1센서(100), 도 2의 (b)는 제2센서(200)이다.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는 몸통부(120,220)와, 몸통부(120,2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센서셀이 구비되는 센서부(110,210)와, 몸통부(120,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선 등과 연결되는 커넥터부(130,230)가 구비된다.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는 일측에 구비되는 커넥터부(130,230)가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제1센서(100)의 커넥터부(130,230)의 폭이 제2센서(200)의 커넥터부(130,23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어서 각각의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에 맞는 홀더가 요구된다.
따라서, 제1센서와 제2센서에 대응되는 각각의 홀더를 금형 설계하여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각각의 홀더가 구비됨에 따라 부품 종류가 증가하고 조립시 부품이 혼동되어 조립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990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형상이 상이한 제1센서와 제2센서가 결합될 수 있는 하나의 센서 홀더를 제작하여 각각에 대응되는 센서 홀더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서 부품 종류가 줄어들고, 조립시 부품이 혼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센서 홀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 형상의 몸통부와, 몸통부의 전방에서 돌출되며 끝단에 센서셀이 장착된 센서부와,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되 양측면이 평면형상인 커넥터부가 구비되고, 커넥터부의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제1센서 또는 제2센서를 범퍼커버에 장착시키는 센서 홀더에 있어서, 센서 홀더는, 일측이 범퍼커버의 후방면에 장착되며 타측에 제1센서 또는 제2센서가 결합되되, 센서부가 관통 삽입되어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몸통부와 커넥터부를 지지하는 센서 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센서 홀더는 범퍼커버의 후방면에 장착되고 센서부가 관통되게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부,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베이스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몸통부가 삽입되고, 돌출된 끝단에 폭이 보다 넓게 형성된 제1센서의 커넥터부가 지지되게 마련되는 제1센서 안착부와, 제1센서 안착부에서 함몰 형성되어 제2센서의 커넥터부가 삽입되는 제2센서 안착부가 구비된 몸체부, 몸통부의 양측을 감싸도록 몸체부의 끝단 양측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홀더는 몸체부의 외주면 양측에 구비되어 제1센서의 커넥터부의 양측면을 지지해주는 한쌍의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몸통부의 외주면 양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걸림부가 삽입 체결되는 걸림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는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커넥터부의 반대측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방지부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된 회전방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는 회전방지부에서 회전방지홈 측으로 돌출 형성된 끼움부가 삽입되도록 회전방지홈에서 함몰 형성된 끼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센서와 제2센서가 구분없이 조립될 수 있는 센서 홀더가 구비됨에 따라 각각에 맞는 센서 홀더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부품 종류가 줄어들고, 조립시 부품이 혼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립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센서 홀더,
도 2는 일반적인 센서를 보여주는 예시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 홀더가 장착되는 차량 범퍼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 홀더에 제1센서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 홀더에 제2센서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 홀더, 제1센서, 및 제2센서가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 홀더, 제1센서, 및 제2센서가 도시되어 있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 홀더에 제1센서 또는 제2센서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 홀더가 장착되는 차량 범퍼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 홀더에 제1센서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 홀더에 제2센서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 홀더, 제1센서, 및 제2센서가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 홀더, 제1센서, 및 제2센서가 도시되어 있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며,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 홀더에 제1센서 또는 제2센서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홀더(300)는 원통 형상의 몸통부(120,220)와, 몸통부(120,220)의 전방에서 돌출되며 끝단에 센서셀(111,211)이 장착된 센서부(110,210)와, 몸통부(120,2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되 양측면이 평면형상인 커넥터부(130,230)가 구비되고, 커넥터부(130,230)의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제1센서(100) 또는 제2센서(200)를 범퍼커버(400)에 장착시키는 센서 홀더(300)에 있어서, 센서 홀더(300)는 일측이 범퍼커버(400)의 후방면에 장착되며 타측에 제1센서(100) 또는 제2센서(200)가 결합되되 센서부(110,210)가 관통 삽입되어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몸통부(120,220)와 커넥터부(130,230)를 지지하는 센서 홀더(300)이다.
범퍼커버(400)는 차량의 전방에 구비되어 외관을 형성하며 후방에 운전자의 주행 또는 주차 등을 보조하는 센서들이 장착되고, 본 발명에서는 범퍼커버(400)에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일원화된 센서 홀더(300)에 대해 설명한다.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는 일예로 주차시에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며 주변 장애물과의 거리를 알려주는 센서이거나, 주차시 자동차 스스로 인식한 공간에 주차가 가능하도록 제어해주는 센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는 차량 전방 상황을 폭넓게 감지할 수 있도록 일예로 범퍼커버(400) 중 사이드 두 곳에 설치되거나, 정면 두 곳과 끝단 두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를 범퍼커버(400)에 장착시키는 센서 홀더(300)가 여러개 구비된다.
이러한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는 원통 형상의 몸통부(120,220), 몸통부(120,220)의 전방에서 돌출 형성되어 전방의 물체와 주변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셀(111,211)이 장착된 센서부(110,210), 몸통부(120,220)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전선 등과 연결되는 커넥터부(130,230)를 포함하며, 각각의 형상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의 커넥터부(130,230)의 형상이 상이하며, 제1센서(100)의 커넥터부(130)의 폭은 제2센서(200)의 커넥터부(23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특히 제1센서(100)는 커넥터부(130)의 폭이 몸통부(120)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고, 제2센서(200)는 커넥터부(230)의 폭이 몸통부(220)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부(130,230)의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를 범퍼커버(400)의 후방에 장착시키도록, 일측이 범퍼커버(400)의 후방면에 장착되며 타측에 제1센서(100) 또는 제2센서(200)가 모두 결합될 수 있는 일원화된 센서 홀더(300)가 구비된다.
센서 홀더(300)는, 관통홀(311)이 형성되며 범퍼커버(400)에 장착되는 베이스부(310), 관통홀(311)의 둘레를 따라 베이스부(310)에서 범퍼커버(400)의 반대편으로 돌출 형성된 몸체부(320), 몸체부(320)의 돌출된 끝단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부(3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10)는 곡면 형성되거나 평평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범퍼커버(400)의 후방면에 장착되고, 센서부(110,210)가 관통홀(311)에 관통 삽입되어 차량의 전방으로 향하여 장착된다.
또한, 몸체부(320)는 내측에 몸통부(120,220)가 삽입되며, 몸통부(120,22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커넥터부(130,230)가 안착되도록 제1센서 안착부(321)와 제2센서 안착부(322)가 구비된다.
도 6에는 센서 홀더(300)에 형성된 제1센서 안착부(321)와 제2센서 안착부(322)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제1센서 안착부(321)는 후술할 지지부(330) 사이에 위치하여 제1센서(100)의 커넥터부(130)가 안착되게 마련됨에 따라, 몸체부(320)에 몸통부(120)의 삽입시에 몸통부(120)의 외주면에서 튀어나온 형상의 커넥터부(130)가 센서 홀더(300)와 간섭 없이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제2센서 안착부(322)는 제1센서 안착부(321)에서 함몰 형성되어 제2센서(200)의 커넥터부(230)가 안착되게 마련됨에 따라, 제1센서(100)의 커넥터부(13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제2센서(200)의 커넥터부(230)의 양측면이 제2센서 안착부(322)의 양쪽 내측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제2센서 안착부(322)는 양쪽 내측면에 제2센서(200)의 커넥터부(230)의 양측면이 맞닿도록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가 제1센서 안착부(321)와 제2센서 안착부(322)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제1센서(100)의 커넥터부(130)는 제2센서 안착부(32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센서(200)의 커넥터부(230)는 제2센서 안착부(32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31,231)는 제2센서 안착부(322) 내측면에 맞닿아 삽입되어 센서 홀더(300)에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가 보다 정확하게 결합된다.
한편,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는 정확한 위치에 조립되되 설계된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립되어야 원하는 정보들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가 범퍼커버(400)에 정확하게 조립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조립된 후 방향이 틀어지지 않도록,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의 몸통부(120,220) 및 커넥터부(130,2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몸체부(320)의 끝단 중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330)가 구비되며, 몸통부(120,220)의 양측을 감싸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센서부(110,210)가 차량의 전방을 향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센서 홀더(300)는 몸체부(320)의 외주면 양측에 구비되어 제1센서(100)의 커넥터부(130)의 양측면을 지지해주는 한쌍의 지지플레이트(34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몸체부(320)와 지지부(330)는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보강리브(332)가 구비되며, 보강리브(332)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340)의 외측면에도 보강리브(3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플레이트(340)가 제1센서(100)의 커넥터부(130)의 양측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가 센서 홀더(300)에 삽입된 후 체결될 수 있도록, 지지부(330)에 걸림홀(331)이 관통 형성되며, 몸통부(120,220)에 걸림부(123,223)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123,223)는 몸통부(120,220)의 외주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데, 센서부(110,210)와 반대되는 측에 걸림턱(124,224)이 형성되어 걸림턱(124,224)이 걸림홀(331)의 내측면에 맞닿아 삽입된 후 체결된다.
걸림홀(331)은 지지부(330)의 걸림부(123,223)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데, 일예로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구멍으로 형성되어 걸림부(123,223)가 삽입된 후 내측면에 걸림턱(124,224)이 맞닿아 체결된다.
또한,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에서 센서부(110,210)의 직경이 몸통부(120,2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센서 홀더(300)에서 베이스부(310)의 관통홀(311)이 몸체부(320)의 내주면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몸통부(120,220)가 베이스부(310)에 안착된다.
여기서,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에는 몸통부(120,220)에서 센서부(110,210)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몸통부(120,220)와 센서부(110,210) 사이의 외주면에 경사부와 단턱부가 원통형상의 원주방향으로 번갈아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전방으로는 몸통부(120,220)의 전방이 베이스부(310)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후방으로는 걸림홀(331)에 걸림부(123,223)가 삽입 체결되어, 센서 홀더(300)에서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가 삽입되는 길이방향으로의 이동 없이 고정 결합된다.
한편, 도 7에는 후술할 회전방지홈(323)과 끼움홈(324)이 형성된 센서 홀더(300) 및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센서(100)와, 도 7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센서(200)는 후술할 회전방지부(121,221)와 끼움부(122,222)가 구비된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센서 홀더(300) 내측에서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통부(120,220)는 외주면에서 커넥터부(130,230)의 반대측으로 회전방지부(121,221)가 돌출 형성되며, 몸체부(320)는 회전방지부(121,221)가 삽입되도록 회전방지홈(323)이 함몰 형성된다.
또한, 회전방지부(121,221)에 회전방지홈(323) 측으로 끼움부(122,222)가 돌출 형성되며 몸체부(320)에 끼움부(122,222)가 삽입되는 끼움홈(324)이 함몰 형성되며, 끼움부(122,222)의 크기와 끼움홈(324)의 크기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센서 홀더(300) 내측에서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도 8에는 센서 홀더(300)에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가 각각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8의 (a)를 참고하여 센서 홀더(300)와 제1센서(100)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제1센서(100)는 몸체부(320)와 지지부(330) 사이에 몸통부(120)가 삽입되며 제1센서 안착부(321)에 제1센서(100)의 커넥터부(130)가 안착되고, 지지플레이트(340)에 제1센서(100)의 커넥터부(130)의 양측면이 지지된다. 그리고, 몸통부(120)의 전방이 베이스부(310)에 지지되며 걸림부(123)가 걸림홀(331)에 삽입 체결되어 결합된다.
또한, 도 8의 (b)를 참고하여 센서 홀더(300)와 제2센서(200)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제2센서(200)는 몸체부(320)와 지지부(330) 사이에 몸통부(220)가 삽입되며 제2센서 안착부(322)에 제2센서(200)의 커넥터부(230)가 안착되고, 제2센서 안착부(322)의 양쪽 내측면에 제2센서(200)의 커넥터부(230)의 양측면이 지지된다. 그리고, 몸통부(220)의 전방이 베이스부(310)에 지지되며 걸림부(223)가 걸림홀(331)에 삽입 체결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센서 홀더(300)에는 제1센서 안착부(321)와 제2센서 안착부(322)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가 모두 장착 가능하며, 이로 인해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 각각에 맞는 별도의 센서 홀더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부품의 종류가 줄어들어 조립시 부품이 혼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320)와 지지부(330)는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325)가 구비되어 가이드부(325)의 끝단이 몸체부(320) 내측으로 삽입되는 몸통부(120,220)를 지지한다.
특히, 가이드부(325)는 몸체부(320)에 몸통부(120,220)가 삽입될 때 걸림없이 삽입되며 몸체부(320) 내에서 몸통부(120,220)가 정확하게 삽입되어 위치됨에 따라 센서부(110,210)가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몸통부(120,220)가 삽입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325)의 돌출된 끝단이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의 몸통부(120,220)를 지지하여 몸체부(320)와의 유격이 제거되면서 조립이 용이해지고, 차체로부터 전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 등이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몸체부(320)에 몸통부(120,220)가 삽입되면서 가이드부(325)를 일정량 압축시키면서 삽입될 수 있으며, 압축된 가이드부(325)가 복원되면서 몸통부(120,220)를 지지하므로 몸체부(320)와 몸통부(120,220) 사이의 유격이 제거된다.
이러한 가이드부(325)와 유사하게, 지지플레이트(340)에도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지지부(342)가 구비되고, 가이드지지부(342)의 끝단이 제1센서(100)의 커넥터부(130)의 양측면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지지플레이트(340)와 제1센서(100)의 커넥터부(130) 사이의 유격이 제거되면서 제1센서(100)의 커넥터부(13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게 된다.
즉, 가이드부(325)와 가이드지지부(342)가 구비되지 않는다면 센서 홀더(300)의 몸체부(320), 지지부(330), 지지플레이트(340)에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의 외측면이 면대 면으로 맞닿기 때문에 유격 없이 조립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차체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 등이 그대로 전달됨에 따라 전기적 부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325)와 가이드지지부(342)를 구비함에 따라 센서 홀더(300)의 몸체부(320), 지지부(330), 지지플레이트(340)와, 제1센서(100)와 제2센서(200)의 외측면 사이의 유격이 흡수되며 충격 또는 진동 등이 완충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1센서와 제2센서가 구분없이 조립될 수 있는 센서 홀더가 구비됨에 따라 각각에 맞는 센서 홀더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부품 종류가 줄어들고, 조립시 부품이 혼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립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센서 200: 제2센서
110,210: 센서부 120,220: 몸통부
130,230: 커넥터부 300: 센서 홀더
310: 베이스부 311: 관통홀
320: 몸체부 321: 제1센서 안착부
322: 제2센서 안착부 323: 회전방지홈
324: 끼움홈 325: 가이드부
330: 지지부 331: 걸림홀
332: 보강리브 340: 지지플레이트
341: 보강리브 342: 가이드지지부
400: 범퍼커버

Claims (6)

  1. 원통 형상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전방에서 돌출되며 끝단에 센서셀이 장착된 센서부와,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되 양측면이 평면형상인 커넥터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부의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제1센서 또는 제2센서를 범퍼커버에 장착시키는 센서 홀더에 있어서,
    상기 센서 홀더는 일측이 상기 범퍼커버의 후방면에 장착되며 타측에 상기 제1센서 또는 상기 제2센서가 결합되되, 상기 센서부가 관통 삽입되어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몸통부와 상기 커넥터부를 지지하고,
    상기 센서 홀더는,
    상기 범퍼커버의 후방면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부가 관통되게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통부가 삽입되고, 폭이 보다 넓게 형성된 상기 제1센서의 커넥터부가 돌출된 끝단에 지지되게 마련된 제1센서 안착부와, 상기 제1센서 안착부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2센서의 커넥터부가 삽입되는 제2센서 안착부가 구비된 몸체부; 및
    상기 몸통부의 양측을 감싸도록 상기 몸체부의 끝단 양측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홀더.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홀더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센서의 커넥터부의 양측면을 지지해주는 한쌍의 지지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홀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 양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가 삽입 체결되는 걸림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홀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커넥터부의 반대측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방지부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된 회전방지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홀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회전방지부에서 상기 회전방지홈 측으로 돌출 형성된 끼움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방지홈에서 함몰 형성된 끼움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홀더.
KR1020180130615A 2018-10-30 2018-10-30 센서 홀더 KR102091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615A KR102091430B1 (ko) 2018-10-30 2018-10-30 센서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615A KR102091430B1 (ko) 2018-10-30 2018-10-30 센서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430B1 true KR102091430B1 (ko) 2020-03-23

Family

ID=6999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615A KR102091430B1 (ko) 2018-10-30 2018-10-30 센서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4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908A (ko) 2010-12-01 2012-06-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경보센서장치
JP2013137260A (ja) * 2011-12-28 2013-07-11 Panasonic Corp 超音波センサ
JP2017154592A (ja) * 2016-03-01 2017-09-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超音波センサ及びそれを備える超音波センサ装置
JP2018058439A (ja) * 2016-10-04 2018-04-12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取付部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908A (ko) 2010-12-01 2012-06-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경보센서장치
JP2013137260A (ja) * 2011-12-28 2013-07-11 Panasonic Corp 超音波センサ
JP2017154592A (ja) * 2016-03-01 2017-09-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超音波センサ及びそれを備える超音波センサ装置
JP2018058439A (ja) * 2016-10-04 2018-04-12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取付部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00526B (zh) 旋转角度传感器
EP2808694B1 (en) Ultrasonic wave device
US20110242941A1 (en) Distance sensor for vehicle with electrical connector
JP6443322B2 (ja) 超音波センサ
CN110431445B (zh) 超声波传感器
JP4787107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
US9755350B2 (en) Connector
JP2015513682A (ja) センサユニット及び当該センサユニットを備える軸受組立体
JP5897900B2 (ja) 防水コネクタ接続構造
KR102091430B1 (ko) 센서 홀더
JP2012026805A (ja) 車両用障害物検知センサおよび、これが取り付けられるバンパー
US10696237B2 (en) Attachment component
US11307305B2 (en) Ultrasonic sensor
JP5495566B2 (ja) 加速度センサ及びバンパカバー
JP5689217B2 (ja) 超音波センサ装置
EP1878624B1 (en) Device for detecting objects near vehicles
KR101013908B1 (ko)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
KR200440639Y1 (ko) 차량용 감지센서 고정장치
ES2266609T3 (es) Emisor acustico para un sistema de ayuda al aparcamiento.
KR20130095552A (ko) 차량용 센서 장착 구조체
CN107963044B (zh) 一种汽车及其防护杠组件
JP4202150B2 (ja) 障害物検出装置及びその取り付け構造
JP6858013B2 (ja) 組付構造体及びブラケット
US20230070901A1 (en) Vehicle-mounted assembly
KR20090041965A (ko) 차량용 장애물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