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332Y1 - 차량용 블랙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랙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332Y1
KR200469332Y1 KR2020120006543U KR20120006543U KR200469332Y1 KR 200469332 Y1 KR200469332 Y1 KR 200469332Y1 KR 2020120006543 U KR2020120006543 U KR 2020120006543U KR 20120006543 U KR20120006543 U KR 20120006543U KR 200469332 Y1 KR200469332 Y1 KR 200469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box
bracket
vehicle
box body
wind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택
Original Assignee
(주)카네비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네비컴 filed Critical (주)카네비컴
Priority to KR2020120006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332Y1/ko
Priority to CN2013202060972U priority patent/CN203267931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3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앞유리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는 브라켓(A)이 넓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앞유리(1) 내측면에 고정되고, 브라켓(A)의 후측면과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에는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10) 및 결합홈(40)이 형성되어, 블랙박스본체(B)가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고 발생시 또는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브라켓(A)이 앞유리(1)에서 떨어져 블랙박스가 운전자 또는 승객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되거나, 블랙박스본체(B)가 흔들려 블랙박스본체(B)에 촬영된 영상이 흔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A)이 얇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블랙박스본체(B)가 차량의 앞유리(1)에 밀착되도록 고정되므로, 블랙박스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 또는 조수석에 앉은 동승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black box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의 앞유리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공개특허 10-2011-0060548호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방의 영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블랙박스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블랙박스는 차량의 앞유리 내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 카메라모듈이 구비되어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된 블랙박스본체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브라켓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단에 구비된 흡착패널에 의해 앞유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의 하단에는 블랙박스본체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브라켓을 차량의 앞유리에 탈착하거나 브라켓에 블랙박스본체를 탈착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의 결합부에 블랙박스본체를 결합하면 블랙박스본체가 앞유리에서 이격되도록 브라켓의 하단에 고정되어, 사고 발생시 또는 차량의 주행시 블랙박스에 과도한 진동이 가해지면 상기 브라켓의 흡착패널부분에 하중이 집중되고, 블랙박스가 앞유리에서 이탈되어 운전자 또는 승객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이 험한 길을 달릴 경우, 블랙박스본체가 브라켓의 상단을 중심으로 흔들리게 되어 블랙박스본체에 촬영된 영상이 흔들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므로, 앞유리에 설치된 블랙박스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 또는 조수석에 앉은 동승자의 시야가 가려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앞유리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블랙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앞유리(1) 내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A)과, 상기 브라켓(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 카메라모듈(50)이 구비되어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된 블랙박스본체(B)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A)은 상기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에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앞유리(1)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A)의 후측면과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에는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10) 및 결합홈(40)이 형성되어 상기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이 상기 브라켓(A)의 후측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돌기(10)는 상기 브라켓(A)의 후측면 또는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에서 돌출된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선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12)를 포함하는 L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40)은 상기 결합돌기(10)에 대응되는 L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0)가 결합홈(40)에 삽입되도록 한 후 블랙박스본체(B)를 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결합돌기(10)와 결합홈(40)이 상호 맞물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 중앙에는 블랙박스본체(B)의 가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표시램프(60)가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A)에는 상기 작동표시램프(60)와 대응되는 개구부(30)가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블랙박스본체(B)를 브라켓(A)에 결합한 상태에서 차량의 전방에서 상기 개구부(30)를 통해 작동표시램프(60)의 점등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A)의 전면에는 양면테이프(21)가 부착되는 오목홈(20)이 형성되어, 상기 양면테이프(21)를 이용하여 브라켓(A)을 차량의 앞유리(1)에 부착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는 브라켓(A)이 넓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앞유리(1) 내측면에 고정되고, 브라켓(A)의 후측면과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에는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10) 및 결합홈(40)이 형성되어, 블랙박스본체(B)가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고 발생시 또는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브라켓(A)이 앞유리(1)에서 떨어져 블랙박스가 운전자 또는 승객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되거나, 블랙박스본체(B)가 흔들려 블랙박스본체(B)에 촬영된 영상이 흔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A)이 얇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블랙박스본체(B)가 차량의 앞유리(1)에 밀착되도록 고정되므로, 블랙박스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 또는 조수석에 앉은 동승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결합돌기 및 결합홈을 도시한 후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도시한 것으로, 차량의 앞유리(1) 내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A)과, 상기 브라켓(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 카메라모듈(50)이 구비되어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된 블랙박스본체(B)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브라켓(A)은 넓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앞유리(1)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A)의 후측면과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에는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10) 및 결합홈(40)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0)와 결합홈(40)을 상호 결합하여 블랙박스본체(B)를 브라켓(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블랙박스본체(B)는 전후방향으로 긴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전면이 상기 브라켓(A)의 후측면에 결합되며, 전방에서 하측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면에 상기 카메라모듈(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A)은 상기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양면테이프(21)가 부착되는 오목홈(20)이 형성되어 상기 양면테이프(21)를 이용하여 브라켓(A)을 차량의 앞유리(1)에 부착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0)는 상기 브라켓(A)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선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12)를 포함하는 L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40)은 상기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에 상기 결합돌기(10)에 대응되는 L자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10)와 결합홈(40)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브라켓(A)의 후측면과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분산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양면테이프(21)를 이용하여 차량의 앞유리(1)에 브라켓(A)을 접착고정하고, 상기 결합돌기(10)가 결합홈(40)에 삽입되도록 한 후 블랙박스본체(B)를 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결합돌기(10)와 결합홈(40)이 상호 맞물려 블랙박스본체(B)를 브라켓(A)에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브라켓(A)에 결합된 블랙박스본체(B)를 분리할 때는 상기 블랙박스본체(B)를 결합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밀어 상기 결합돌기(10)와 결합홈(40)의 결합을 해제하여 블랙박스본체(B)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 중앙에는 블랙박스본체(B)의 가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표시램프(60)가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A)에는 상기 작동표시램프(60)와 대응되는 개구부(30)가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블랙박스본체(B)를 브라켓(A)에 결합한 상태에서 차량의 전방에서 상기 개구부(30)를 통해 작동표시램프(60)의 점등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70은 전원스위치며, 도면번호 80은 모드선택스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면번호 90은 블랙박스본체(B)의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표시램프이며, 도면번호 100은 마이크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블랙박스는 브라켓(A)이 넓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앞유리(1) 내측면에 고정되고, 브라켓(A)의 후측면과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에는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10) 및 결합홈(40)이 형성되어, 블랙박스본체(B)가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고 발생시 또는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브라켓(A)이 앞유리(1)에서 떨어져 블랙박스가 운전자 또는 승객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되거나, 블랙박스본체(B)가 흔들려 블랙박스본체(B)에 촬영된 영상이 흔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A)이 얇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블랙박스본체(B)가 차량의 앞유리(1)에 밀착되도록 고정되므로, 블랙박스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 또는 조수석에 앉은 동승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0)는 상기 브라켓(A)의 후측면 또는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에서 돌출된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선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12)를 포함하는 L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40)은 상기 결합돌기(10)에 대응되는 L자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블랙박스본체(B)를 브라켓(A)에 결합하거나 블랙박스본체(B)를 브라켓(A)으로부터 분리할 때는 블랙박스본체(B)를 측방향으로 밀어야 하므로, 차량의 운행중 자주 발생되는 사고유형인 전방 또는 후방추돌 사고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블랙박스본체(B)가 브라켓(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 중앙에는 블랙박스본체(B)의 가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표시램프(60)가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A)에는 상기 작동표시램프(60)와 대응되도록 개구부(30)가 형성되어, 블랙박스본체(B)를 브라켓(A)에 결합한 상태에서 차량의 전방에서 상기 개구부(30)를 통해 작동표시램프(60)의 점등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시킨 후 외부에서 블랙박스본체(B)의 작동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개구부(30)를 통해 작동표시램프(60)의 점등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동표시램프(60)를 블랙박스본체(B)의 중앙부에 배치할 수 있어서, 블랙박스본체(B)의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작동표시램프(60)의 점등상태가 외부에서 매우 잘 보이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A)의 전면에는 양면테이프(21)가 부착되는 오목홈(20)이 형성되어, 상기 양면테이프(21)를 이용하여 브라켓(A)을 차량의 앞유리(1)에 부착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A)의 전면 전체가 차량의 앞유리(1)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브라켓(A)과 블랙박스본체(B)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블랙박스본체(B)에 구비된 카메라모듈(50)을 이용하여 흔들리지 않는 더욱 선명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결합돌기(10)는 상기 브라켓(A)의 후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40)은 상기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결합돌기(10)를 상기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에 구비하고 상기 결합홈(40)을 상기 브라켓(A)의 후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A)은 양면테이프(21)에 의해 차량의 앞유리(1)에 직접 부착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앞유리(1)에 별도의 시트(2)를 부착하고, 상기 시트(2)에 브라켓(A)을 부착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2)는 견고하면서 적절한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앞유리(1)의 굴곡에 따라 적절히 휘어져 앞유리(1)에 견고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브라켓(A)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A. 브라켓 B. 블랙박스본체
10. 결합돌기 20. 오목부
30. 개구부 40. 결합홈
50. 카메라모듈 60. 작동표시램프

Claims (4)

  1. 차량의 앞유리(1) 내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A)과,
    상기 브라켓(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 카메라모듈(50)이 구비되어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된 블랙박스본체(B)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A)은 상기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에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앞유리(1)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A)의 후측면과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에는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10) 및 결합홈(40)이 형성되어 상기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이 상기 브라켓(A)의 후측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 중앙에는 블랙박스본체(B)의 가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표시램프(60)가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A)에는 상기 작동표시램프(60)와 대응되는 개구부(30)가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블랙박스본체(B)를 브라켓(A)에 결합한 상태에서 차량의 전방에서 상기 개구부(30)를 통해 작동표시램프(60)의 점등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A)의 전면에는 양면테이프(21)가 부착되는 오목홈(20)이 형성되어,
    상기 양면테이프(21)를 이용하여 브라켓(A)을 차량의 앞유리(1)에 부착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0)는
    상기 브라켓(A)의 후측면 또는 블랙박스본체(B)의 전면에서 돌출된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선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12)를 포함하는 L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40)은 상기 결합돌기(10)에 대응되는 L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0)가 결합홈(40)에 삽입되도록 한 후 블랙박스본체(B)를 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결합돌기(10)와 결합홈(40)이 상호 맞물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3. 삭제
  4. 삭제
KR2020120006543U 2012-07-23 2012-07-23 차량용 블랙박스 KR200469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543U KR200469332Y1 (ko) 2012-07-23 2012-07-23 차량용 블랙박스
CN2013202060972U CN203267931U (zh) 2012-07-23 2013-04-22 车辆用黑匣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543U KR200469332Y1 (ko) 2012-07-23 2012-07-23 차량용 블랙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332Y1 true KR200469332Y1 (ko) 2013-10-08

Family

ID=4949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543U KR200469332Y1 (ko) 2012-07-23 2012-07-23 차량용 블랙박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9332Y1 (ko)
CN (1) CN20326793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346B1 (ko) * 2013-12-05 2015-06-3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듀얼 카메라가 장착된 차량용 블랙박스
KR101548224B1 (ko) * 2013-11-22 2015-08-31 박종석 차량용 블랙박스의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751Y1 (ko) * 2004-08-16 2004-11-06 주식회사에이아이티에스 하이패스 단말기용 차량 장착구조물
KR20090078439A (ko) * 2008-01-15 2009-07-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휴대용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KR20120003254U (ko) * 2010-11-02 2012-05-10 박만금 차량용 블랙박스의 카메라 틸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751Y1 (ko) * 2004-08-16 2004-11-06 주식회사에이아이티에스 하이패스 단말기용 차량 장착구조물
KR20090078439A (ko) * 2008-01-15 2009-07-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휴대용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KR20120003254U (ko) * 2010-11-02 2012-05-10 박만금 차량용 블랙박스의 카메라 틸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224B1 (ko) * 2013-11-22 2015-08-31 박종석 차량용 블랙박스의 거치대
KR101532346B1 (ko) * 2013-12-05 2015-06-3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듀얼 카메라가 장착된 차량용 블랙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267931U (zh)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2362B (zh) 用于将照相机安装在车辆上的结构
US10272849B2 (en) In-vehicle camera attached to windshield forming inhibition space therebetween
US9294657B2 (en) Vehicular imaging device
JP4786281B2 (ja) カメラカバー
US9332207B2 (en) Vehicular display device
JP7147613B2 (ja) カメラ搭載構造
CN109328153B (zh) 摄像头单元
WO2020158449A1 (ja) 車載カメラ用ブラケット
US20070115434A1 (en) External ornament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external ornament
JP6361691B2 (ja) 車載カメラ
KR200469332Y1 (ko) 차량용 블랙박스
JP5260398B2 (ja) カメラ配置構造
KR102012031B1 (ko) 룸미러와 보조미러 사이에 개재된 브래킷
KR200470257Y1 (ko) 레인센서커버 연결형 차량용 블랙박스
US7448781B2 (en) External mirror having indicator light
JP2015116937A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
JP2008168715A (ja) 車両用カメラの防水取付構造
JP2017081261A (ja) ステレオカメラのカバー
JP7118255B2 (ja) 車載カメラ
KR100896052B1 (ko) 카메라모듈 교체가 가능한 카메라 어셈블리
JP2006056278A (ja) 車両用表示器のフード構造
JP2016000584A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583437B1 (ko) 자동차용 콘솔 리어 커버의 결합구조
CN210062870U (zh) 集成摄像头的控制器的安装结构及车辆
JP2005145412A (ja) インナーミラー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322

Effective date: 201308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