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230A -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230A
KR20100004230A KR1020080064290A KR20080064290A KR20100004230A KR 20100004230 A KR20100004230 A KR 20100004230A KR 1020080064290 A KR1020080064290 A KR 1020080064290A KR 20080064290 A KR20080064290 A KR 20080064290A KR 20100004230 A KR20100004230 A KR 20100004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ting
utensils
separating
utensil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훈
Original Assignee
정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훈 filed Critical 정영훈
Priority to KR1020080064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230A/ko
Publication of KR20100004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식사도구를 그 종류별로 자동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에 관해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식사도구가 투입되는 식사도구 투입구; 상기 식사도구의 출구 쪽에 연속된 삼각형 굴곡을 이루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식사도구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이송 경로를 구분시키는 분리 채널; 및 상기 분리 채널의 말단에서 삼각형 굴곡의 중간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삼각형 굴곡의 상 하부로 구분되어 이송된 상기 다른 종류의 식사도구를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분리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식사 도구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고, 대량의 식사도구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Description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APPARATUS FOR SEPERATING SPOON AND CHOPSTICK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식사도구, 특히 숟가락 및 젓가락을 그 종류별로 자동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고객의 음식을 제한된 시간 내에 제공하여야 하는 대중 음식점 등에서는 식판과 함께 많은 양의 식사도구를 세척 및 정리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숟가락 및 젓가락이 세척을 전/후로 분리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그 세척 및 정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불필요한 노동력의 낭비 및 신속한 서비스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다양한 식사도구를 투입과 함께 자동으로 분리하는 장치를 고안한 바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8529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585295의 분리장치는 수저투입구에 투입된 수저의 무게중심을 이용하여 수저를 분리 정렬할 수 있는 수저정렬수단부와 수저를 분리하는 수저분리수단부와 수저를 분리하여 보관하는 보관수단부로 구성되고, 수저정렬수단부는 경사진 수저투 입구와 수평상태의 무게중심을 유지하는 무게중심가이드판과, 무게중심가이드판과 연장선상에 구성된 수저 무게중심판별대와, "
Figure 112008048083511-PAT00001
"형 분리가이드대와, 분리가이드대의 우측면 하부에 형성되어 떨어진 수저의 위치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부 볼록가이드와 속도감속볼록가이드대와, 분리가이드대의 좌측상부에서 하부쪽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수저가이레일판으로 구성되며, 수저분리수단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할 수 있도록 1개이상의 칸막이를 수저의 진행 방향과 수평하게 배열하여 칸막이의 상부는 숟가락이 하부에는 젓가락이 각각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분리장치는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제조 비용이 많이 들고, 숟가락 등이 한 줄로 전달되면서 분리되는 방식을 취함으로 인해 처리 속도가 느려 대량의 식사도구를 처리해야 하는 대형 식당에서 활용하기 어려운 단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식사 도구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사도구가 여러 열로 전달되면서 분리될 수 있어 대량의 식사도구를 처리하는데 적합한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는,
식사도구가 투입되는 식사도구 투입구;
상기 식사도구의 출구 쪽에 연속된 삼각형 굴곡을 이루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식사도구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이송 경로를 구분시키는 분리 채널; 및
상기 분리 채널의 말단에서 삼각형 굴곡의 중간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삼각형 굴곡의 상 하부로 구분되어 이송된 상기 다른 종류의 식사도구를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분리 플레이트
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삼각형 굴곡의 시작부는 상기 식사도구의 진행 방향으로 볼 때 삼각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 플레이트는 상기 분리 채널과 만나는 부위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사도구 투입구는 깔때기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식사도구는 숟가락 및 젓가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식사 도구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에 의하면, 식사도구가 여러 열로 전달되면서 분리될 수 있어 대량의 식사도구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의 외부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100)는, 식사도구, 바람직하게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투입되는 깔때기 형태의 식사도구 투입구(10), 투입된 숟가락과 젓가락이 1차적으로 분리되어 이송되는 분리부(20), 이송된 숟가락 및 젓가락이 2차적으로 분리되어 배출되는 분리 배출부(30), 분리 배출된 숟가락이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숟가락 배출구(40), 및 분리 배출 된 젓가락이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젓가락 배출구(50)를 구비한다.
이때, 숟가락 및 젓가락 배출구(40, 50) 각각의 말단에는 숟가락 및 젓가락 수거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식사도구 투입구(10)의 형태는 설치 장소의 특성에 비추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식사를 마친 손님들이 1열로 숟가락 및 젓가락을 넣게 되는 대형 대중 음식점 등에서는 하나의 방향으로만 투입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분리부의 내부를 나타낸 절개도이고, 도 3은 도 2를 식사도구의 진입 방향(In)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분리부(20)는 바람직하게는 덕트의 형상을 이루며, 그 내부에는 연속된 삼각형 굴곡을 이루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분리 채널(21)이 덕트의 저벽을 따라 설치된다. 분리 채널(21)을 이루는 삼각형 굴곡의 시작부(21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사도구의 진행 방향으로 볼 때 삼각뿔 형태의 입체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진입된 숟가락은 그 굵기로 인해 삼각형 굴곡 사이의 상부(도 3의 S 영역)를 지나가게 되고, 젓가락은 하부(도 3의 C 영역)를 지나가게 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삼각형 굴곡의 시작부(21a)는 삼각뿔 형태, 즉 진행 방향의 후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룸으로써, 진입된 숟가락 및 젓가락이 막힘 없이 그 크기에 맞추어 상부 및 하부의 채널로 분리 이송되게 된다.
도 4는 도 1의 분리부와 분리 배출부가 만나는 부위를 나타낸 절개도이고, 도 5는 도 4를 식사도구의 배출 방향(Out)과 반대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분리 채널(21)의 말단에는 삼각형 굴곡의 중간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분리 플레이트(31)가 연결된다. 분리 플레이트(31)는 분리 배출부(3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분리 플레이트(31)는 분리 채널(21)을 통해 각각 분리되어 이송된 숟가락 및 젓가락을 상 하부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채널(21)의 상부로 이송된 숟가락은 분리 플레이트(31)의 위로 올려져서 숟가락 배출구(40)를 통해 최종 배출되고, 분리 채널(21)의 하부로 이송된 젓가락은 분리 플레이트(31)의 아래를 거쳐 젓가락 배출구(50)를 통해 최종 배출된다.
이때, 분리 채널(21)과 접한 분리 플레이트(31)의 단부(31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려진 형상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각진 숟가락의 뒤쪽 부분이 진입하게 될지라도 분리 플레이트(31)에 막히거나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의 외부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분리부의 내부를 나타낸 절개도
도 3은 도 2를 식사도구의 진입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1의 분리부와 분리 배출부가 만나는 부위를 나타낸 절개도
도 5는 도 4를 식사도구의 배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바라본 도면
<도면의 간단한 설명>
100: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10: 식사도구 투입구
20: 분리부 21: 분리 채널
30: 분리 배출부 31: 분리 플레이트
40: 숟가락 배출구 50: 젓가락 배출구

Claims (3)

  1. 다양한 종류의 식사도구를 그 종류별로 자동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에 있어서,
    식사도구가 투입되는 식사도구 투입구;
    상기 식사도구의 출구 쪽에 연속된 삼각형 굴곡을 이루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식사도구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이송 경로를 구분시키는 분리 채널; 및
    상기 분리 채널의 말단에서 삼각형 굴곡의 중간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삼각형 굴곡의 상 하부로 구분되어 이송된 상기 다른 종류의 식사도구를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분리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 굴곡의 시작부는 상기 식사도구의 진행 방향으로 볼 때 삼각뿔 형태인 것인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플레이트는 상기 분리 채널과 만나는 부위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것인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KR1020080064290A 2008-07-03 2008-07-03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KR20100004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290A KR20100004230A (ko) 2008-07-03 2008-07-03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290A KR20100004230A (ko) 2008-07-03 2008-07-03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230A true KR20100004230A (ko) 2010-01-13

Family

ID=41813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290A KR20100004230A (ko) 2008-07-03 2008-07-03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2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9622A (zh) * 2019-08-15 2019-11-22 浙江工业大学之江学院 一种球头销检测装置及球头销生产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9622A (zh) * 2019-08-15 2019-11-22 浙江工业大学之江学院 一种球头销检测装置及球头销生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883B2 (en) Article baskets for a dishwasher
EP2478820B1 (en) Dishwasher
KR101330794B1 (ko) 수저 세척장치
US3486939A (en) Apparatus for classifying,cleaning and collecting culinary items
KR100991276B1 (ko)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US2710617A (en) Dishwashing machine and article racks therefor
US90286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tokens
KR100904221B1 (ko) 수저분류장치
JP5744778B2 (ja) 皿選別装置及び皿洗浄システム
KR101237914B1 (ko) 수저 자동 세척 및 분리기
KR100585295B1 (ko)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CN106583257A (zh) 餐具分选装置
KR20100004230A (ko)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KR101506183B1 (ko) 수저분리장치
KR101525477B1 (ko) 전복 선별기
EP2753227A1 (en) Dish rack for dishwashers
JP2005021220A (ja) トレーおよび積載物の分離洗浄装置
KR102138805B1 (ko) 식기 및 식판의 회전세척시스템
US3675770A (en) Silverware sorting means
US6237779B1 (en) Utensil sorting apparatus
JP6282422B2 (ja) 食器篭の取り扱い方法
KR20070116780A (ko) 식기세척기내에 날붙이류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JP5006157B2 (ja) 食器の収納具および食器の洗浄方法、食器の洗浄装置
JP2000093378A (ja) 喫食後の下膳洗浄処理システム
KR102158502B1 (ko) 젓가락 정렬 및 수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