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276B1 -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276B1
KR100991276B1 KR1020090027719A KR20090027719A KR100991276B1 KR 100991276 B1 KR100991276 B1 KR 100991276B1 KR 1020090027719 A KR1020090027719 A KR 1020090027719A KR 20090027719 A KR20090027719 A KR 20090027719A KR 100991276 B1 KR100991276 B1 KR 100991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conveyor
plate
water tank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224A (ko
Inventor
명순승
Original Assignee
명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순승 filed Critical 명순승
Priority to KR102009002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27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A47L15/3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with brushes on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1/00Dumping solid waste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판과 그릇(국그릇,밥그릇,찬그릇,뚜껑 등)의 분리공정과 투입공정 및 세척공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식판과 그릇을 동시에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릇(2)이 얹혀진 식판(1)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투입컨베이어(10); 투입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식판(1)과 그릇(2)을 분리시키는 분리기(20); 분리기(20)에서 분리된 식판(1)을 유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유턴컨베이어(30); 분리기(20)에서 분리된 그릇(2)을 버블링하면서 폭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버블수조(40); 버블수조(40)와 통하도록 설치되어 찌꺼기를 걸러내는 걸름통(50); 유턴컨베이어(30)를 통해 이송되는 식판(1)을 세워서 식판컨베이어(60)로 투입하는 식판투입기(70); 버블수조(40)에서 버블링된 그릇(2)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그릇컨베이어(80); 식판,그릇컨베이어(60)(80)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식판(1)과 그릇(2)을 세척하는 식판,그릇세척기(90)(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90027719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분리기, 식판투입기, 식판세척기, 그릇세척기

Description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Dishwashing automatic system}
본 발명은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식판과 그릇(국그릇,밥그릇,찬그릇,뚜껑 등)의 분리공정과 투입공정 및 세척공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식판과 그릇을 동시에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대량의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 및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호텔,병원,학교,공장,군대 등과 같이 주로 단체급식하는 대형식당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대량의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시켜주는 식기세척기에는 식판과 그릇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식판과 그릇에 세척용수 및 헹굼용수를 분사시켜주는 세척실과 헹굼실이 설치되며, 또한 세척된 식판과 그릇을 건조시키는 건조실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식판과 그릇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하나씩 분리하여 세척실로 각각 투입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식판과 그릇을 따로따로 나누어서 각각 세척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많은 인력과 작업시간이 요구되어 인건비가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과 세척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식판과 그릇의 분리공정과 투입공정 및 세척공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식판과 그릇을 동시에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이를 통해 인건비를 크게 절감하는 동시에 세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그릇이 얹혀진 식판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투입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투입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식판과 그릇을 분리시키는 분리기를 설치하며,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식판을 유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유턴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그릇을 버블링하면서 폭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버블수조를 설치하며, 상기 버블수조와 통하도록 걸름통을 설치하여 찌꺼기를 걸러내고, 상기 유턴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식판을 세워서 식판컨베이어로 투입하는 식판투입기를 설치하며, 상기 버블수조에서 버블링된 그릇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그릇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식판,그릇컨베이어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식판과 그릇을 세척하는 식판,그릇세척기를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에 따르면 식판과 그릇의 분리공정과 투입 공정 및 세척공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식판과 그릇을 동시에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인건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세척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1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릇(2)이 얹혀진 식판(1)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투입컨베이어(10); 투입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식판(1)과 그릇(2)을 분리시키는 분리기(20); 분리기(20)에서 분리된 식판(1)을 유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유턴컨베이어(30); 분리기(20)에서 분리된 그릇(2)을 버블링하면서 폭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버블수조(40); 버블수조(40)와 통하도록 설치되어 찌꺼기를 걸러내는 걸름통(50); 유턴컨베이어(30)를 통해 이송되는 식판(1)을 세워서 식판컨베이어(60)로 투입하는 식판투입기(70); 버블수조(40)에서 버블링된 그릇(2)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그릇컨베이어(80); 식판,그릇컨베이어(60)(80)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식판(1)과 그릇(2)을 세척하는 식판,그릇세척기(90)(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투입컨베이어(10)는 다수의 그릇(2)이 얹혀진 식판(1)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투입컨베이어(10)는 식기투입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식사 후 배출된 식판(1)과 그릇(2)을 회수하되, 도 1에서와 같이 식판(1)에 그릇(2)이 얹혀진 상태 그대로 회수하여 투입컨베이어(10)에 올려놓으면, 그릇(2)이 얹혀진 식판(1)은 투입컨베이어(10)를 따라 분리기(2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투입컨베이어(10)는 그릇(2)이 얹혀진 식판(1)을 도 1에서 볼 때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송시키고, 한편 상기 식기,그릇컨베이어(70)(80)는 식기(1)와 그릇(2)을 도 1에서 볼 때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분리기(20)는 도 4,5,6에서와 같이 도 투입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식판(1)과 그릇(2)을 분리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분리기(20)는 그릇(2)이 분리통(21)으로 떨어지도록 식판(1)을 경사지게 이송시키는 경사컨베이어(22), 분리통(21)으로 떨어진 그릇(2)을 버블수조(40)로 이송시키는 슈트컨베이어(23), 슈트컨베이어(23)를 통해 이송되는 그릇(2)에 세척용수를 분사시키는 노즐(24), 분리통(21)에서 걸러진 잔반을 잔반통(25)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레이퍼컨베이어(26)로 구성된다.
상기 분리통(21)은 경사컨베이어(22)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분리통(21)에는 경사컨베이어(22)에 의해 밑으로 굴러 떨어지는 그릇(2)이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도 5,6에서와 같이 입구(21a)가 형성되고, 또한 분리통(21)에는 슈트컨베이어(23)에 의해 이송되는 그릇(2)이 버블수조(40)로 투입될 수 있도록 출구(21b)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컨베이어(22)는 도 6에서와 같이 투입컨베이어(10)와 유턴컨베이어(30) 사이에 대략 45°정도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경사컨베이어(22) 는 그릇(2)이 분리통(21)으로 떨어지도록 식판(1)을 경사지게 이송시킨다. 따라서, 상기 투입컨베이어(10)를 통해 경사컨베이어(22)로 이송되는 식판(1)은 경사진 상태로 그대로 이송되지만, 경사진 상태로 이송되는 식판(1)에 얹혀진 그릇(2)들은 자중에 의해 밑으로 굴러 떨어지고, 이와 같이 밑으로 굴러 떨어지는 그릇(2)들은 분리통(21)의 입구(21a)를 통해 슈트컨베이어(23)로 투입된다.
상기 슈트컨베이어(23)는 분리통(2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슈트컨베이어(23)는 분리통(21)의 입구(21a)를 통해 투입된 그릇(2)을 버블수조(40)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상기 슈트컨베이어(23)로 투입된 그릇(2)은 슈트컨베이어(23)를 따라 버블수저(40)측으로 이송하면서 분리통(21)의 출구(21b)를 통해 버블수조(40)로 투입된다.
상기 노즐(24)은 분리통(2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노즐(24)은 슈트컨베이어(23)를 통해 이송되는 그릇(2)에 세척용수를 분사시키고, 노즐(24)에서 분사되는 세척용수는 펌프에 의해 노즐(24)로 다시 순환된다. 따라서, 상기 슈트컨베이어(23)를 통해 이송되는 그릇(2)은 노즐(24)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용수에 의해 1차적으로 세척된다.
상기 잔반통(25)은 스크레이퍼컨베이어(26)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잔반통(25)은 그릇(2)에서 나온 잔반을 수거한다.
상기 스크레이퍼컨베이어(26)는 슈트컨베이어(23)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스크레이퍼컨베이어(26)는 분리통(21)에서 걸러진 잔반을 잔반통(25)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유턴컨베이어(30)는 분리기(20)에서 분리된 식판(1)을 유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유턴컨베이어(30)는 분리기(20)의 경사컨베이어(22)를 통해 이송된 식판(1)을 유턴시켜 식판투입기(60)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상기 분리기(20)의 경사컨베이어(22)를 통해 경사진 상태로 이송되는 식판(1)은 유턴컨베이어(30)로 투입되면서 다시 수평으로 평탄하게 눕혀지고, 이와 같이 눕혀진 식판(1)은 유턴컨베이어(30)를 따라 식판투입기(60)로 이송된다.
상기 버블수조(40)는 분리기(20)에서 분리된 그릇(2)을 버블링하면서 폭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버블수조(40)의 바닥은 도 8에서와 같이 입구에서 출구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버블수조(40)에는 버블을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노즐(41)이 적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버블수조(40)에는 냉,온수인입구(42)(4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기(20)에서 분리된 각종 국그릇,밥그릇,찬그릇,뚜껑 등의 그릇(2)이 슈트컨베이어(23)를 통해 버블수조(40)의 입구로 투입되면, 그릇(2)은 다수개의 노즐(41)에서 발생되는 버블에 의해 버블링되면서 바닥의 경사면을 따라 그릇컨베이어(6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걸름통(50)은 버블수조(40)와 통하도록 설치되어 버블링에 의해 그릇(2)에서 나온 찌꺼기를 걸러내는 것으로, 이러한 걸름통(50)에는 배수구(51)와 1,2차걸름망(52)(53)이 구비되고, 걸름통(50)에는 버블수조(40)로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라인(54) 및 버블수조(40)와 통하는 통공(55)이 구비된다. 따라서, 버블수조(40)의 통공(45)을 통해 걸름통(50)으로 유입된 물은 순환라인(54)을 통해 다시 버블수조(40)의 노즐(41)로 순환되고, 이때 물에 포함된 찌꺼기는 1,2차걸름 망(52)(53)에 의해 걸려지기 때문에, 1,2차걸름망(52)(53)에 의해 찌꺼기가 걸러진 물만 버블수조(40)의 노즐(41)로 다시 순환된다.
상기 식판컨베이어(60)는 세척이 용이하도록 식판(1)을 세워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식판컨베이어(60)는 식판(1)을 식판세척기(90)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식판컨베이어(60)에는 도 13 내지 도 15b에서와 같이 적정 간격을 두고 브래킷(61)이 설치되고, 브래킷(61)에는 이송핑거(6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핑거(62)에는 추 역할을 수행하는 중량체(63)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핑거(56)는 중량체(63)에 의해 평상시에는 모두 세워진 상태로 이송하지만, 상기 식판투입기(70)를 통해 식판(1)이 식판컨베이어(60)에 세워진 상태로 투입될 때, 식판(1)이 이송핑거(62)의 상부로 떨어지면 해당 이송핑거(56)는 도 13과 도 14a,14b에서와 같이 식판(1)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식판(1)을 받쳐주고, 한편 식판(1)에 눌려지지 않은 다른 이송핑거(62)들은 중량체(63)에 의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송하다가, 식판(1)이 식판컨베이어(60)를 따라 이송하지 않을 경우 뒤에서 해당 이송핑거(62)가 식판(1)을 밀고 이송하게 된다.
상기 식판투입기(70)는 유턴컨베이어(30)를 통해 이송되는 식판(1)을 세워서 식판컨베이어(60)로 투입하는 것으로, 이러한 식판투입기(70)는 도 10,11,12에서와 같이 유턴컨베이어(30)의 출구측 전방에 형성되는 투입공간(71), 투입공간(71)의 하부에 “V”형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쌍의 경사판(72)(73), 경사판(72)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식판(1)을 경사판(73)측으로 기울여 낙하시키는 낙하유도받침(74), 식판(1)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가이드(75)(76)로 구성된다.
상기 투입공간(71)은 유턴컨베이어(30)의 출구측 전방에 식판(1)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투입공간(71)은 식판(1)이 밑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입구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경사판(72)(73)은 투입공간(71)의 하부에 “V”형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한쌍의 경사판(72)(73)은 식판(1)이 식판컨베이어(60)로 정확하게 투입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낙하유도받침(74)은 경사판(72)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식판(1)을 경사판(73)측으로 기울여 낙하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낙하유도받침(74)은 이송되는 식판(1)의 일측만을 받쳐준다. 따라서, 상기 낙하유도받침(74)이 유턴컨베이어(30)를 통해 이송되는 식판(1)의 일측만을 받쳐주고 타측은 받쳐주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낙하유도받침(74)으로 이송된 식판(1)은 타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자동적으로 낙하하게 된다. 즉, 도 11에서와 같이 유턴컨베이어(30)를 통해 낙하유도받침(74)으로 이송된 식판(1)은 식판(1)의 일측만을 받쳐주는 낙하유도받침(74)에 의해 타측이 밑으로 기울어지면서 자중에 의해 떨어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75)(76)는 도 12에서와 같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한쌍의 가이드(75)(76)는 식판(1)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그릇컨베이어(80)는 버블수조(40)에서 버블링된 그릇(2)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그릇컨베이어(80)는 그릇(2)을 그릇세척기(100)로 이송시킨다.
상기 식판세척기(90)는 식판컨베이어(60)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식 판(1)을 세척하는 것으로, 이러한 식판세척기(90)에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이송되는 식판(1)에 세척용수 및 헹굼용수를 분사시켜주는 세척실(91)과 헹굼실(92)이 설치되고, 또한 식판세척기(90)에는 세척된 식판(1)을 건조시켜주는 건조실(93)이 설치된다.
상기 그릇세척기(100)는 그릇컨베이어(80)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그릇(1)을 세척하는 것으로, 이러한 그릇세척기(100)에는 도 1과 도 3에서와 같이 이송되는 그릇(2)에 세척용수 및 헹굼용수를 분사시켜주는 세척실(110)과 헹굼실(120)이 설치되고, 또한 그릇세척기(100)에는 세척된 그릇(2)을 건조시켜주는 건조실(13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그릇세척기(100)의 세척실(110)과 헹굼실(12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분사압에 의한 그릇(2)의 상승유동을 방지하는 압착컨베이어(14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사 후 배출된 식판(1)과 그릇(2)을 회수하여 그릇(2)이 얹힌 상태 그대로 식판(1)을 투입컨베이어(10)에 차례대로 올려놓으면, 그릇(2)이 얹혀진 식판(1)은 투입컨베이어(10)를 따라 분리기(2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투입컨베이어(10)를 통해 분리기(20)로 이송되는 식판(1)은 분리기(20)의 경사컨베이어(22)로 이송되고, 경사컨베이어(22)로 이송되는 식판(1)은 경사진 상태로 그대로 이송되지만, 경사진 상태로 이송되는 식판(1)에 얹혀진 그릇(2)들은 자중에 의해 밑으로 굴러 떨어지고, 이와 같이 밑으로 굴러 떨어지는 그릇(2)들은 분 리통(21)의 입구(21a)를 통해 슈트컨베이어(23)로 투입된다.
분리기(20)의 경사컨베이어(22)를 통해 경사진 상태로 이송되는 식판(1)은 유턴컨베이어(30)로 투입되면서 다시 수평으로 평탄하게 눕혀지고, 이와 같이 눕혀진 식판(1)은 유턴컨베이어(30)를 따라 식판투입기(60)로 이송된다.
분리기(20)의 슈트컨베이어(23)로 투입된 그릇(2)은 슈트컨베이어(23)를 따라 버블수저(40)측으로 이송하면서 분리통(21)의 출구(21b)를 통해 버블수조(40)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슈트컨베이어(23)를 통해 이송되는 그릇(2)은 노즐(24)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용수에 의해 1차적으로 세척되고, 1차 세척에 의해 분리통(21)에서 걸러진 잔반은 스크레이퍼컨베이어(26)를 통해 잔반통(25)으로 수거된다.
유턴컨베이어(30)를 통해 식판투입기(70)로 이동되는 식판(1)은 낙하유도받침(74)에 의해 타측이 밑으로 기울어지면서 자중에 의해 한쌍의 경사판(72)(73) 사이로 떨어지고, 경사판(72)(73) 사이로 떨어진 식판(1)은 식판컨베이어(60)에 세워진 상태로 투입된다. 이때, 식판(1)은 한쌍의 가이드(75)(76)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식판투입기(70)를 통해 식판(1)이 식판컨베이어(60)에 세워진 상태로 투입될 때, 식판(1)이 이송핑거(62)의 상부로 떨어지면 해당 이송핑거(56)는 도 13과 도 14a,14b에서와 같이 식판(1)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식판(1)을 받쳐주고, 한편 식판(1)에 눌려지지 않은 다른 이송핑거(62)들은 중량체(63)에 의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송하다가, 식판(1)이 식판컨베이어(60)를 따라 이송하지 않을 경우 뒤에서 해당 이송핑거(62)가 식판(1)을 밀고 이송하게 된다.
식판컨베이어(60)에 순차적으로 투입된 식판(1)은 식판컨베이어(60)를 따라 식판세척기(90)로 이동한다.
한편, 슈트컨베이어(23)를 따라 버블수조(40)의 입구로 투입된 그릇(2)은 다수개의 노즐(41)에서 분사되는 버블에 의해 버블링되면서 바닥의 경사면을 따라 그릇컨베이어(80)로 이동하고, 그릇컨베이어(80)로 이동되는 그릇(2)은 그릇컨베이어(80)를 따라 그릇세척기(100)로 이동한다. 이때, 버블수조(40)에서 그릇(2)을 버블링하여 찌꺼기가 포함된 물은 걸름통(50)으로 유입되고, 걸름통(50)으로 유입된 물에 포함된 찌꺼기는 1,2차걸름망(52)(53)에 의해 걸러지고, 찌꺼기가 걸리진 물은 순환라인(54)을 통해 다시 버블수조(40)의 노즐(41)로 순환한다.
식판세척기(90)로 이송되는 식판(1)은 세척용수 및 헹굼용수를 분사시켜주는 세척실(91)과 헹굼실(92)을 거치면서 자동으로 세척되고, 세척된 식판(1)은 건조실(93)을 거치면서 자동으로 건조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그릇세척기(100)로 이송되는 그릇(2)은 세척용수 및 헹굼용수를 분사시켜주는 세척실(110)과 헹굼실(120)을 거치면서 자동으로 세척되고, 세척된 그릇(2)은 건조실(130)을 거치면서 자동으로 건조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에 따르면 분리기(20)에 의해 식판(1)과 그릇(2)의 분리공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유턴컨베이어(30)와 식판투입기(70)에 의해 식판(1)의 투입공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버블수조(40)와 그릇컨베이어(80)에 의해 그릇(2)의 투입공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명의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에 따르면 식판컨베이어(60)와 식기세척기(90)에 의해 식판(1)의 세척공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릇컨베이어(80)와 그릇세척기(100)에 의해 그릇(2)의 세척공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에 따르면 식기세척기(90)와 그릇세척기(100)를 통해 식판(1)과 그릇(2)을 동시에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식판(1)과 그릇(2)의 분리공정과 투입공정 및 세척공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식판(1)과 그릇(2)을 동시에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인건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식판(1)과 그릇(2)의 세척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기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C - C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D - D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턴컨베이어와 버블수조 부위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E - E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F - F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투입기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G - G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H - H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컨베이어를 보인 예시도.
도 14a,14b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컨베이어 이송핑거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5a,15b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컨베이어 이송핑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식판 2 : 그릇
10 : 투입컨베이어 20 : 분리기
30 : 유턴컨베이어 40 : 버블수조
50 : 걸름통 60 : 식판컨베이어
70 : 식판투입기 80 : 그릇컨베이어
90 : 식판세척기 100 : 그릇세척기

Claims (7)

  1. 그릇(2)이 얹혀진 식판(1)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투입컨베이어(10); 투입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식판(1)과 그릇(2)을 분리시키는 분리기(20); 분리기(20)에서 분리된 식판(1)을 유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유턴컨베이어(30); 분리기(20)에서 분리된 그릇(2)을 버블링하면서 폭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버블수조(40); 버블수조(40)와 통하도록 설치되어 찌꺼기를 걸러내는 걸름통(50); 유턴컨베이어(30)를 통해 이송되는 식판(1)을 세워서 식판컨베이어(60)로 투입하는 식판투입기(70); 버블수조(40)에서 버블링된 그릇(2)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그릇컨베이어(80); 식판,그릇컨베이어(60)(80)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식판(1)과 그릇(2)을 세척하는 식판,그릇세척기(90)(100)를 포함하는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20)는 그릇(2)이 분리통(21)으로 떨어지도록 식판(1)을 경사지게 이송시키는 경사컨베이어(22), 분리통(21)으로 떨어진 그릇(2)을 버블수조(40)로 이송시키는 슈트컨베이어(23), 슈트컨베이어(23)를 통해 이송되는 그릇(2)에 세척용수를 분사시키는 노즐(24), 분리통(21)에서 걸러진 잔반을 잔반통(25)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레이퍼컨베이어(2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수조(40)의 바닥은 입구에서 출구로 하향경사지 게 형성되고, 버블수조(40)에는 버블을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노즐(41)이 적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버블수조(40)에는 냉,온수인입구(42)(4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통(50)에는 배수구(51)와 1,2차걸름망(52)(53)이 구비되고, 걸름통(50)에는 버블수조(40)로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라인(54) 및 버블수조(40)와 통하는 통공(5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판컨베이어(60)에는 적정 간격을 두고 브래킷(61)이 설치되고, 브래킷(61)에는 이송핑거(6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핑거(62)에는 추 역할을 수행하는 중량체(6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판투입기(70)는 유턴컨베이어(30)의 출구측 전방에 형성되는 투입공간(71), 투입공간(71)의 하부에 “V”형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쌍의 경사판(72)(73), 경사판(72)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식판(1)을 경사판(73)측으로 기울여 낙하시키는 낙하유도받침(74), 식판(1)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가이드(75)(7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릇세척기(100)의 세척실(110)과 헹굼실(120)에는 분사압에 의한 그릇(2)의 상승유동을 방지하는 압착컨베이어(1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KR1020090027719A 2009-03-31 2009-03-31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KR100991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719A KR100991276B1 (ko) 2009-03-31 2009-03-31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719A KR100991276B1 (ko) 2009-03-31 2009-03-31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224A KR20100109224A (ko) 2010-10-08
KR100991276B1 true KR100991276B1 (ko) 2010-11-01

Family

ID=4313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719A KR100991276B1 (ko) 2009-03-31 2009-03-31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2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067B1 (ko) 2012-07-27 2013-02-22 명형진 고속 식기세척기
KR200477139Y1 (ko) * 2014-07-01 2015-05-12 명형진 식기세척자동시스템용 식판그릇분리장치
KR101547518B1 (ko) * 2014-10-08 2015-09-04 명형진 식기세척용 경사이송부를 갖는 식판그릇분리장치에 구비된 식판이송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221B1 (ko) * 2012-04-13 2014-02-10 명형진 식기세척기의 식판 이송장치
KR101327716B1 (ko) * 2013-04-11 2013-11-11 명순승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
KR101327580B1 (ko) * 2013-04-22 2013-11-20 명순승 식기세척기 자동화시스템
KR101511606B1 (ko) * 2014-07-01 2015-04-13 명형진 그릇과 식판을 분리세척하는 식기세척자동화시스템
KR102226638B1 (ko) * 2019-05-17 2021-03-11 김성우 자동화 식기 세척 시스템
CN110477832A (zh) * 2019-09-26 2019-11-22 广州鑫盛设备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转弯型餐具清洁装置
KR102170269B1 (ko) * 2020-05-12 2020-10-29 주식회사 엠택코리아 자동 불판 세척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000A (ja) 2001-10-22 2003-05-07 Winterhalter Japan Co Ltd 食器洗浄機及び食器洗浄方法
JP2004147761A (ja) * 2002-10-29 2004-05-27 Kyoudou:Kk 食器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000A (ja) 2001-10-22 2003-05-07 Winterhalter Japan Co Ltd 食器洗浄機及び食器洗浄方法
JP2004147761A (ja) * 2002-10-29 2004-05-27 Kyoudou:Kk 食器洗浄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067B1 (ko) 2012-07-27 2013-02-22 명형진 고속 식기세척기
KR200477139Y1 (ko) * 2014-07-01 2015-05-12 명형진 식기세척자동시스템용 식판그릇분리장치
KR101547518B1 (ko) * 2014-10-08 2015-09-04 명형진 식기세척용 경사이송부를 갖는 식판그릇분리장치에 구비된 식판이송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224A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276B1 (ko)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KR101511606B1 (ko) 그릇과 식판을 분리세척하는 식기세척자동화시스템
EP2648594B1 (en) Loading apparatus for a conveyor dishwasher
CA2817244C (en) Conveyor dishwasher
EP2680735B1 (en) Conveying apparatus for feeding washware to a conveyor warewasher
KR101327580B1 (ko) 식기세척기 자동화시스템
KR200463654Y1 (ko) 식기세척기의 식판이송 컨베이어
JP2015231568A (ja) 食器の予備ゆすぎ
KR101327716B1 (ko)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
CN113710141A (zh) 洗碗装置和方法
JP2013188423A (ja) 皿選別装置及び皿洗浄システム
US20220095880A1 (en) System for loading a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a system of this kind
KR101556518B1 (ko) 복합 식판세척기
US6079427A (en) Garbage and refuse screening system for dish machines
KR101555044B1 (ko) 다수개의 식판투입부를 갖는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KR100985686B1 (ko)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KR20190017715A (ko) 식기 및 식판의 회전세척시스템
KR200477139Y1 (ko) 식기세척자동시스템용 식판그릇분리장치
CN209899302U (zh) 多功能洗碗机
KR101547518B1 (ko) 식기세척용 경사이송부를 갖는 식판그릇분리장치에 구비된 식판이송부
JP2005021220A (ja) トレーおよび積載物の分離洗浄装置
US20220097103A1 (en) Unloading arrangement for unloading items of washware which are arranged, in particular, on trays or tray-like objects
KR20140120708A (ko)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KR102138805B1 (ko) 식기 및 식판의 회전세척시스템
CN111631660A (zh) 餐具清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