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072A - 조제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조제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072A
KR20100004072A KR1020090111116A KR20090111116A KR20100004072A KR 20100004072 A KR20100004072 A KR 20100004072A KR 1020090111116 A KR1020090111116 A KR 1020090111116A KR 20090111116 A KR20090111116 A KR 20090111116A KR 20100004072 A KR20100004072 A KR 20100004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cription
contraindications
data
contraindic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501B1 (ko
Inventor
히로유키 유야마
요시토 고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004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금기처방의 취급을 효율화하고, 금기처방과 처치의 정보를 유효하게 활용한다.
제어수단(4)에 의하여, 처방 데이터에 금기처방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금기처방데이터를 대기시키고, 표시수단(1)에 표시시킴과 동시에, 입력수단(2)으로 입력된 금기처방의 처치를 개시시킨다.
금기약, 금기처방, 금기처방처치, 금기처방처치데이터, 조제제어시스템

Description

조제제어시스템{PREPARATION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병원 등의 의료시설에 있어서, 약제의 조제업무에서 사용하는 약포(藥袋,약봉지)인쇄기, 약제분포(分包)기, 주사제불출(拂出)기 등의 조제기기를, 처방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조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처방데이터에 근거하여 조제기기를 제어하는 조제제어시스템으로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소63-117760호 공보에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를 조제의 종류에 적합한 조제기의 입력장치에 할당하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9-117491호 공보에는, 처방전의 내용에 관하여 처방의 적부(適否)를 체크하고 부적합한 경우에 인자(印字)출력하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9-94287호 공보에는, 환자의 질환이 금기증(禁忌症)으로 되는 약품이 입력된 경우에 경고를 발하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조제제어시스템에서는, 금기처방을 검출하여도, 인자나 경고 등으로 출력할 뿐이며, 금기처방의 취급이나 관리에 관해서는, 약사에게 맡겨져 있다. 약사, 특히 경험이 적은 약사에 의한 처치(處置)의 판단에는 시간을 요하 기 때문에, 그 후의 처방이 체류하여 버린다. 또한, 약사마다 처치의 판단이 달라지면, 의사 등의 대응이 곤란하게 된다.
금기처방과 처치는 귀중한 정보원이며, 약사가 그 내용을 분석하고 의사에게 정보를 제공하면 약물치료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사한 처방이 자주 금기처방으로 되면 예방책을 강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금기처방과 처치에 대해서, 충분히 분석하고, 그 후에 유효한 정보로서 이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매우 바쁜(繁忙) 조제업무에 있어서의 내용(事柄)을 약사가 기록하는 것은 어렵고, 유효하게 활용되기까지에는 이르고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금기 처방의 취급을 효율화하고, 금기 처방과 처치의 정보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조제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처방데이터에 근거하여 각종 조제기기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조제하도록 한 조제제어시스템에 있어서,
금기처방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이 표시수단에 표시된 금기처방데이터에 근거하여 금기처방의 처치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처방데이터에 금기처방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금기처방데이터를 대기시키고,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킴과 동시에, 상기 입력수단으로 입력된 금기처방의 처치를 개시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금기처방데이터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그 처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후의 처방이 정체하는 일이 없이, 스무스하게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하여 금기처방의 처치를 입력할 때, 기억수단에 금기처방의 처치를 기록시키면, 시간과 수고를 들이지 않고 금기처방과 처치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금기처방과 처치의 정보를 분석하여 의사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하여 금기처방의 처치를 입력할 때, 기억수단에 이미 해당하는 기록이 있으면, 그 기록 내용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면, 과거에 있어서의 금기처방과 처치의 정보를 재이용하거나 참고로 할 수 있어, 경험이 적은 약사가 처치를 판단할 때의 지원이 가능하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금기처방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금기처방이 입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입원인 경우, 상기 송신수단에 의하여 금기처방데이터를 송신시키면, 시간과 수고를 들이지 않고 자동적으로 담당 약사에게 통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제제어시스템은,
검출된 금기처방과 관련된 금기처방처치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이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금기처방처치데이터에 근거하여 금기처방의 처치를 입력 가능하도록 하는 입력수단과,
처방데이터를 검사하여 금기처방이 검출됨으로써 검출된 금기처방과 관련된 금기처방처치데이터를 기억수단으로부터 추출하고, 검출된 금기처방과 관련된 금기처방처치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고, 상기 입력수단으로 입력된 금기처방의 처치를 개시시키고, 상기 입력된 금기처방의 처치를 금기처방처치데이터로서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하여 금기처방의 처치가 입력될 때, 기억수단에 금기처방의 처치를 기록시킴으로써 금기처방처치기록데이터를 갱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금기처방처치데이터는 처방번호 및 상대처방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금기처방의 처치가 입력될 때, 기억수단에 이미 관련된 금기처방처치데이터가 있으면, 그 금기처방처치데이터의 내용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처방데이터에 근거한 금기처방이 입원/외래 구분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하고, 입원인 경우 상기 처방데이터에 대한 금기처방과 처치의 정보를 송신수단을 통해 메일 클라이언트로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금기처방데이터를 자동적으로 검출하고 그 후의 처치를 입력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조제처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고, 취급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 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조제제어시스템의 기기 구성을 도시한다. 이 조제제어시스템은, 입출력제어를 위하여, 액정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1), 키보드ㆍ마우스 등의 입력장치(2),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장치(3), 및 중앙처리장치(CPU)(4)를 구비하고, 네트워크로 메일 서버(5)와 메일 클라이언트(담당약사)(6)에 접속하고, 호스트 컴퓨터(처방데이터 송신장치)(7)로부터의 수신이나 입력장치(2)로부터 처방데이터를 입력하여 약포(藥袋)인쇄기, 약제분포(分包)기, 주사제불출(拂出)기 등의 조제기기(8)를 제어한다.
표시장치(1)와 입력장치(2)는, 처방데이터, 금기처방과 처치, 각종 마스터 등의 데이터의 입출력, 조제제어시스템 전체의 조작입력 등에 사용한다.
기억장치(3)에는 각종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나 파일로서 기억한다. 이 각종 데이터에는 처방데이터와 각종 마스터가 있다. 각종 마스터는 처방데이터를 입력할 때의 관련정보나 처방검사의 기본정보를 기억하는 것으로, 환자 마스터, 약제 마스터, 용법 마스터, 진료과 마스터, 의사 마스터, 병동 마스터, 처방전 구분 마스터, 처방검사 마스터 등이 있다. (도시 생략)
중앙처리장치(CPU)(4)는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RAM)를 내장하고, 이 메모리는 처방데이터를 기억하는 처방데이터 메모리나 처리상의 작업메모리 등에 사용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CPU)(4)는 조제제어시스 템 전체를 프로그램 제어한다.
또한, 표시장치(1), 입력장치(2), 기억장치(3), 및 중앙처리장치(CPU)(4)는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하드웨어기기는 이것들에 한하지 않고 종류와 대수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7)는, 처방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는 장치이고, 그 처방데이터를 이용하고 조제기기(8)를 제어하는 운용의 경우에 접속한다. 호스트 컴퓨터(7)에서는 병원의 처방오더링시스템이나 의사회계(醫事會計)시스템이 가동한다. 단, 처방데이터는 입력장치(2)로부터도 입력할 수 있으므로, 호스트 컴퓨터(7)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조제기기(8)에는 약포인쇄기, 약제{정제, 산제(가루약), 및 수제(물약)}분포기, 산제조제감사기, 수제조제감사기, 주사제불출기 등이 있으며, 그 종류와 대수는 임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억장치(3)가 독립한 데이터베이스 서버장치(CPU 내장)로, 표시장치, 입력장치(2), 및 중앙처리장치(CPU)(4)가 클라이언트단말로 하여, 서버장치와 네트워크(LAN)로 접속한 것과 같은 클라이언트ㆍ서버 구성이어도 좋다.
그런데, 상기 기억장치(3)에 기억되는 데이터에는 처방데이터, 금기처방 메시지, 및 처치 메시지가 포함된다.
처방데이터 1건의 기억내용을 도 4에 도시한다. 입력한 모든 처방데이터는 기억장치(3)에 기억하고, 처방No.와 처방데이터 상태로 관리한다.
조제를 실행할 수 있는 처방데이터는 처방데이터 상태에「미조제」를 설정하 고, 조제를 대기하는 처방데이터는「대기」를 설정하고, 조제를 실행한 처방데이터는「조제완료(調劑濟)」를 설정하고, 조제를 실행하지 않은 처방데이터는「삭제」를 설정한다. 더욱이, 처방데이터를 기억 관리할 때에는 처방데이터의 목적별로 예를 들면, 대기하는 처방데이터를 별개로 기억 관리하도록 하여도 좋다.
처방데이터의 데이터 항목에는, 처방No.(처방을 식별하는 한 가지 의미를 가진 No.), 처방데이터 상태(미조제=1, 조제완료=2, 대기=3, 삭제=4), 환자번호, 환자성명(가타카나, 한자), 성별(남자=1, 여자=2), 생년월일(연호: 명치=1, 대정=2, 소화=3, 평성=4), 연령(나이, 개월), 처방일(의사가 처방을 발행한 날짜), 복용 개시일(처방의 복용을 개시하는 날짜), 입원/외래 구분(입원=1, 외래=2), 교환 번호(외래에서의 「약 교환권」의 번호), 진료과 코드, 의사 코드, 병동 코드, 병실 번호, 처방전 구분 코드(외래 처방전=01, 입원 처방전=02), 처방No.(한 개 이상의 약제와 용법을 한 세트로 하는 처방의 연속No.), 약제/용법 코드(예:「시요우에」는 약제 코드이며「/」로 시작되는「301」은 용법 코드), 용량(약제의 용량), 단위(약제의 단위) 등이 있다.
또한, 처방데이터의 내용을 표시하는 경우는, 약제명을 약제 마스터로부터 취득하도록 각 코드에 대응한 각 마스터로부터 명칭을 취득한다.
금기처방메시지의 데이터 내용을 도 5에 도시한다. 도 5의 예에서는, 금기처방의 정보로서, 처방No.「200104170008」의 처방데이터 내에는 금기데이터가 1개 있고, 그것은 정제(A)가 처방No.「200104160025」의 처방데이터 내의 캡슐제(B)와 병용 금기인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5 중, 처방No.는 금기처방의 처방No.를 의미 한다. 금기수(禁忌數)는, 금기처방 내의 금기데이터(다음에 이어지는 금기약제코드, 금기구분코드, 상대항목코드, 상대처방No.를 한 세트로 하는 데이터)의 수를 의미한다. 금기약제코드는 금기의 약제코드를 의미한다. 금기구분코드는 금기의 구분코드(병용 금기=1, 금기증(禁忌症)=2 등)를 의미한다. 상대항목코드는 금기의 상대항목코드(약제코드, 질병코드 등)를 의미한다. 상대처방No.는 금기의 상대처방No.(금기구분이 금기증인 경우에는 비어 있음)를 의미한다.
처치 메시지의 데이터 내용을 도 6에 도시한다. 도 6의 예에서는, 금기처방의 처치의 정보로서, 처방No.「200104170008」의 처방데이터를 수정하는 것과, 코멘트가「정제(C)로 변경」임을 도시하고 있다. 도 6 중, 처방No.는 처치하는 금기처방의 처방No.를 의미한다. 처치구분코드는, 처치의 구분코드(중지=1, 수정=2, 속행=3)를 의미한다. 코멘트는 처치의 코멘트(임의의 문자열)를 의미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조제제어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에 관해서, 도 2에 도시하는 블록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처방검사가 처방데이터를 검사하고 금기처방을 검출하면, 금기처방의 정보를 금기처방 메시지로 송신하고, 수신한 금기처방표시는 금기처방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기록표시는 금기처방처치기록 데이터로부터 과거의 금기처방과 처치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약사는 과거의 금기처방과 처치의 정보를 참고로 해서 금기처방의 처치를 판단한다. 처치입력은 약사가 판단한 처치의 정보를 입력한다. 금기처방과 처치의 정보는 금기처방처치기록이 금기처방처치기록 데이터에 기록한다. 더욱이, 처치입력은 처치의 정보를 처치메시지로 송신하고, 그것을 수신한 처치실행이 처치의 정보에 따라 금기처방의 처치를 실행한다. 금기처방처치통지는 금기처방이 입원인 경우에 금기처방과 처치의 정보를 메일 서버를 경유하여 메일 클라이언트(6)의 담당 약사에게 통지한다. 또한, 입력한 처방의 정보는 처방데이터에 기억하고, 환자의 담당약사 등의 정보는 환자 마스터에 기억한다.
이어서, 상기 조제제어시스템에 있어서의 조제제어의 처리를, 도 3의 플로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이 조제제어의 처리(도 3)는 시스템 개시시에 자동적으로 기동하여 시스템 종료까지 동작한다.
조제제어의 처리에서는, 우선, 호스트 컴퓨터(7)로부터의 수신이나 입력장치(2)에 의하여 처방데이터(도 4)를 입력한다(S1). 입력한 처방 데이터에는, 식별용의 한가지의 의미를 가진 처방No.를 부여하고, 처방데이터 상태에「미조제」를 설정하여 기억장치(3)에 기억한다. 그리고, 입력한 처방데이터를 각종의 체크방법으로 검사한다(S2). 체크방법에는, 2종류 이상의 의약품의 병용에 관한 병용금기체크, 환자의 질병(병명)과 의약품의 금기증 체크 등이 있는데, 이것들에 한하지 않고 적응증(適應症)체크, 약물상호작용체크, 약물중복체크 등의 그 어느 것을 실행하여도 좋다.
여기서, 처방 데이터가, 조제를 실행할 수 없는 금기처방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3). 금기처방이면, 금기처방데이터를 대기의 상태로 한다(S4). 이때, 처방데이터(도 4)의 처방데이터 상태에「대기」를 설정한다. 그리고, 금기처방관리처리(도 7)에 금기처방의 정보로서 금기처방메시지(도 5)를 송신한다(S5).
한편, 금기처방이 아니라면, 처방데이터에 근거하여 약포인쇄기, 약제분포 기, 주사제불출기 등의 조제기기(8)의 동작을 제어한다(S6). 조제를 실행하면, 처방데이터(도4)의 처방데이터 상태에「조제완료」를 설정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금기처방관리처리(도 7)로부터 처치의 정보인 처치메시지(도 6)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7). 수신하지 않았으면, 단계(S1)로 되돌아가 상기 처리를 반복하고, 수신하면, 처치메시지(도 6)의 처치의 구분이, 중지, 수정, 또는 속행 중의 어느 것인지를 판단한다(S8).
처치의 구분이 중지인 경우, 대기한 금기처방데이터를 삭제의 상태로 하고(S9), 다음의 처방데이터의 입력으로 진행한다. 또한, 처방데이터(도 4)의 처방데이터 상태에「삭제」를 설정한다. 처치의 구분이 수정인 경우, 대기한 금기처방데이터를 삭제의 상태로 하고(S10), 그 금기처방데이터의 내용을 복사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해서 다음의 처방데이터의 입력으로 진행한다. 단, 호스트 컴퓨터(7)로부터 처방데이터를 수신할 경우에는, 수정입력도 호스트 컴퓨터(7)로 행해지기 때문에, 대기한 금기처방데이터를 삭제의 상태로 하여 다음의 처방데이터의 수신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처치의 구분이 속행인 경우, 즉 금기처방의 검출이 잘못된 경우에는, 대기한 금기처방데이터의 상태를 회복하고(S11), 조제를 실행하기 위하여 조제기기제어로 진행한다. 또한, 처방데이터(도 4)의 처방데이터 상태에「미조제」를 설정한다.
금기처방관리의 처리의 플로차트를 도 7에 도시한다. 이 금기처방관리의 처리(도 7)는 시스템 개시시에 자동적으로 기동하고 시스템 종료까지 동작한다.
조제제어처리(도 3)로부터 금기처방의 정보인 금기처방메시지(도 5)를 수신 하면(S21), 금기처방처치의 화면(도 8)에 금기처방의 정보를 표시한다(S22). 도 8의 화면에서는, 금기처방란에 금기처방의 처방데이터의 내용을 표시하고, 금기정보란에는 금기처방 내의 금기데이터의 내용을 표시한다(S23). 또한, 금기정보란의 상대처방No.를 선택하고「처방표시」버튼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다른 윈도우 화면에 상대처방의 처방데이터의 내용이 표시된다. 거기서, 금기처방처치기록데이터(도 10)로부터 과거의 금기처방처치기록의 정보를 취득하고, 금기처방처치의 기록 내용의 화면(도 9)에 표시한다. 금기처방처치기록데이터(도 10)에는 모든 금기처방처치데이터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금기약제가 동일한 금기처방처치데이터를 추출하여 표시한다. 도 9의 예에서는 금기약제가 정제(A)로 되어 있는 금기처방처치기록의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도 9의 화면에서는, 금기처방처치기록 중에서 처치를 선택하고「처치 첩부(貼付)」버튼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그 처치와 코멘트를 금기처방처치의 화면(도 8)의 처치란에 첩부된다. 또한, 처방No.를 선택하고「처방표시」버튼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다른 윈도우화면에 그 처방의 처방데이터의 내용이 표시된다.
이어서, 금기처방처치의 화면(도 8)에서 약사가 처치를 입력한다(S24). 처치란의 중지ㆍ수정ㆍ속행의 선택 버튼을 마우스로 클릭하고, 필요에 따라 코멘트를 입력한다. 그리고, 조제제어처리(도 3)에 처치의 정보로서 처치메시지(도 6)를 송신한다(S25). 또한, 금기처방처치기록데이터(도 10)에 금기처방과 처치의 정보를 기록한다(S26).
여기에서, 처방데이터(도 4)의 입원/외래 구분 중 어느 것인지를 판단한다(S27). 입원이면, 금기처방과 처치의 정보(도 11)를 메일 서버를 경유하여 메일 클라이언트(6)의 담당약사에게 통지한다(S28). 환자의 담당약사의 메일 어드레스 등은 환자 마스터로부터 취득한다. 입원이 아니면 외래이므로, 금기처방메시지 수신부터 반복한다. 또한, 이것은 처방데이터(도 4)의 처방전구분코드로 판단하여도 좋다.
도 1은 조제제어시스템의 기기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조제제어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조제제어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처방데이터의 기억 내용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5는 금기처방메시지의 데이터 내용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6은 처치메시지의 데이터 내용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7은 금기처방관리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금기처방처치의 화면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9는 금기처방처치의 기록내용의 화면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10은 금기처방처치기록데이터의 기억 내용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11은 금기처방처치의 통지의 데이터 내용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장치 2 : 입력장치
3 : 기억장치 4 : 중앙처리장치
5 : 메일 서버 6 : 메일 클라이언트
7 : 호스트 컴퓨터 8 : 조제기기

Claims (5)

  1. 처방데이터에 근거하여 각종 조제기기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조제하도록 한 조제제어시스템에 있어서,
    검출된 금기처방과 관련된 금기처방처치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이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금기처방처치데이터에 근거하여 금기처방의 처치를 입력 가능하도록 하는 입력수단과,
    처방데이터를 검사하여 금기처방이 검출됨으로써 검출된 금기처방과 관련된 금기처방처치데이터를 기억수단으로부터 추출하고, 검출된 금기처방과 관련된 금기처방처치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고, 상기 입력수단으로 입력된 금기처방의 처치를 개시시키고, 상기 입력된 금기처방의 처치를 금기처방처치데이터로서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하여 금기처방의 처치가 입력될 때, 기억수단에 금기처방의 처치를 기록시킴으로써 금기처방처치기록데이터를 갱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제어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기처방처치데이터는 처방번호 및 상대처방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제어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금기처방의 처치가 입력될 때, 기억수단에 이미 관련된 금기처방처치데이터가 있으면, 그 금기처방처치데이터의 내용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제어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처방데이터에 근거한 금기처방이 입원/외래 구분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하고, 입원인 경우 상기 처방데이터에 대한 금기처방과 처치의 정보를 송신수단을 통해 메일 클라이언트로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제어시스템.
KR1020090111116A 2001-08-28 2009-11-17 조제제어시스템 KR101122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57788A JP4638628B2 (ja) 2001-08-28 2001-08-28 調剤制御システム
JPJP-P-2001-257788 2001-08-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783A Division KR101058813B1 (ko) 2001-08-28 2002-08-19 조제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072A true KR20100004072A (ko) 2010-01-12
KR101122501B1 KR101122501B1 (ko) 2012-03-19

Family

ID=190853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783A KR101058813B1 (ko) 2001-08-28 2002-08-19 조제제어시스템
KR1020090111116A KR101122501B1 (ko) 2001-08-28 2009-11-17 조제제어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783A KR101058813B1 (ko) 2001-08-28 2002-08-19 조제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30060926A1 (ko)
JP (1) JP4638628B2 (ko)
KR (2) KR101058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7861B2 (en) * 2001-11-30 2005-01-25 Mckesson Automation, Inc. Carousel product for use in integrated restocking and dispensing system
US7052097B2 (en) * 2002-12-06 2006-05-30 Mckesson Automation, Inc. High capacity drawer with mechanical indicator for a dispensing device
JP4601270B2 (ja) * 2003-07-15 2010-12-22 株式会社薬進 薬局支援システム
US7698019B2 (en) 2003-11-03 2010-04-13 Tech Pharmacy Services, Inc. System and software of enhanced pharmaceutical operation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related methods
US7865263B2 (en) * 2003-11-26 2011-01-04 Mckesson Automation, Inc. Integrated suite of medical tools
US20080270178A1 (en) * 2007-04-30 2008-10-30 Mckesson Specialty Distribution Llc Inventory Management System For A Medical Service Provider
JP2011503722A (ja) * 2007-11-08 2011-01-27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医療用品施与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355881B2 (ja) * 2011-08-26 2018-07-11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薬剤分包装置
KR101526494B1 (ko) * 2013-06-28 2015-06-05 주식회사 인포피아 중앙 조제 관리 시스템
JP6290584B2 (ja) * 2013-10-18 2018-03-07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薬局支援システム
US10796256B2 (en) * 2015-01-02 2020-10-06 Paragon Health Process validation and electronic supervision system
AU2016226164A1 (en) * 2015-03-03 2017-10-19 Baxter Corporation Englewood Pharmacy workflow management with integrated aler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7062A (ja) * 1991-01-19 1992-10-29 Tokyo Shokai:Kk 調剤業務用処理装置
US6564121B1 (en) * 1999-09-22 2003-05-13 Telepharmacy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rug dispensing
US7426476B2 (en) * 2000-03-27 2008-09-16 Whittier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rescription management
KR20000037512A (ko) * 2000-04-03 2000-07-05 임상진 인터넷을 통한 처방전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62043A (ja) 2003-03-04
US20030060926A1 (en) 2003-03-27
KR101122501B1 (ko) 2012-03-19
KR101058813B1 (ko) 2011-08-23
JP4638628B2 (ja) 2011-02-23
KR20030019872A (ko) 200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501B1 (ko) 조제제어시스템
JP6981499B2 (ja) 病棟薬剤業務支援システム
US7917375B2 (en) Medicine management apparatus and medicine management system
JP7193813B2 (ja) 臨床検査値を表示する表示装置、サーバ、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214014A1 (en) Pharmacy quality checking and alert system and method
JP5708673B2 (ja) 薬剤管理指導支援システム
JP4953495B2 (ja) 調剤機器用制御装置
JP7311747B2 (ja) 服薬指導支援システム、服薬指導支援プログラム
JP4495431B2 (ja) Icdコード付与装置及び方法
JP2008250415A (ja) 医薬品処方支援方法、医薬品処方支援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9185827A (ja) 医療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医療情報提供装置、医療情報提供媒体、医療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4260173A (ja) 薬剤処方監査処理システム
JP4601270B2 (ja) 薬局支援システム
JP2010044783A (ja) Icdコード付与装置
JPH09147031A (ja) 警告機能を備えた調剤料算定機
JP7360010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2019057076A (ja) 病院情報システム及び病院情報表示プログラム
JP7440736B2 (ja)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医療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601277B2 (ja) 処方チェック装置
JP4695889B2 (ja) 相互作用チェック装置及び相互作用チェックプログラム
JP2003223512A (ja) 電子薬歴管理ソフトウェア
JP5946160B1 (ja) 残薬調整支援装置、残薬調整支援プログラム及び残薬調整の支援方法、並びに服薬通知管理装置及び残薬調整方法
JP2022069224A (ja) 業務支援システム及び業務支援プログラム
JP4580456B2 (ja) 調剤機器用制御装置
JP2020149276A (ja) 調剤管理システム、調剤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