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492A -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와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와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3492A KR20100003492A KR1020080063415A KR20080063415A KR20100003492A KR 20100003492 A KR20100003492 A KR 20100003492A KR 1020080063415 A KR1020080063415 A KR 1020080063415A KR 20080063415 A KR20080063415 A KR 20080063415A KR 20100003492 A KR20100003492 A KR 201000034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pper
- plating
- electroless
- bumps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SiP(Through via in 3D System in packaging)의 관통형 비아 공정을 위하여 도입되는 전기화학적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에서 사용되는 층간전달신호 통로로서 관통형 비아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아에 금속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도금층을 전해연마하여 평탄화 하는 단계와, 상기 평탄화된 도금층상에 구리를 무전해 도금하는 단계와, 상기 구리 도금층상에 주석을 무전해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와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전해도금 비아 충전장비에서 전해액만을 달리하여 진행함으로써 기존의 장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정비용과 공정시간 등 공정경제를 도모할 수 있고, 기존의 전기도금시 발생하는 도금층의 불균일성과 미세피치에서의 PR(Photoregist) 작업시 발생하는 패턴과 마스크의 정렬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 전해연마, 무전해도금, 구리, 주석, 전해액, 펄스-역펄스 전류, 구리/주석 범프
Description
본 발명은 3차원 SiP(Through via 3D System in packaging)의 관통형 비아 공정을 위하여 도입되는 전기화학적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에서 사용되는 층간전달신호 통로로서 관통형 비아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아에 금속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도금층을 전해연마하여 평탄화 하는 단계와, 상기 평탄화된 도금층상에 구리를 무전해 도금하는 단계와, 상기 구리 도금층상에 주석을 무전해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 및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최근 들어 가볍고, 성능이 고도화된 휴대용 전자제품(휴대폰, 노트북, PDA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휴대용 전자제품 등의 경량화는 관련 기술개발의 핵심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개발 추세에 부응하여 반도체 산업에서 전자부품소자도 점차 미세화, 고밀도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대응되는 공정개발이 요구되는 바, 패키지 분야에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서 시스 템 인 패키지(System in Package; SiP)기술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 인 패키지(SiP) 기술은 팹리스(fabless) 반도체설계업계의 사업 다각화 및 업체간 협력을 앞당기며, 국내 시스템 반도체산업 발전의 핵심 요소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는데, 전술한 SiP는 별개의 칩으로 돼 있는 복수 회로를 하나의 패키지로 실장하는 기술로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에 비해 데이터 전송속도 등이 떨어져 SoC화의 전 단계 형태로 인식돼 왔으나, 국내에서는 전문분야별로 강점을 지닌 팹리스 업계가 컨버전스화·기술 사이클 단축 등을 실현하는 특정 사업영역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종합반도체업체(IDM)가 채택을 서둘러 온 SiP 기술이 최근 국내 팹리스업계로 급속히 확산되면서 업계 공동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SiP가 가장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분야는 휴대폰이나 DMB 단말기 등 모바일 기기용 칩이며, 국내 팹리스 업체들은 주로 베이스밴드, RF 칩, 멀티미디어 칩 등을 통합하기 위해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SiP 기술은 그 공정의 차이에 따라서 다시 여러가지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수평형 구조(Horizontal placement), 적층형 구조(Stacked structure), 임베디드 구조(Embedded structure)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본 발명에서는 적층형 구조(stacked structure)중에 관통형 비아 구조(through via type)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였다.
종래에는 개개의 시스템간 연결방법으로 와이어 접합(wire bonding)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위 방법은 이에 사용되는 재료의 가격이 비싸고, 와이어의 길이에 따른 저항이 높아지면 공간적인 면에서도 외부에 와이어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패키지의 사이즈가 커질 수밖에 없다. 이에 반해, 관통형 비아 구조(through via type)는 칩 내부에 비아(via)를 형성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시스템간 신호전달 길이가 짧아져서 저항이 작아지며, 공간적인 면에서도 와이어 접합 방식(wire bonding type)에 비하여 패키지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렴한 구리(Cu)를 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비아 관통형 방식(through via type)의 공정을 간단히 살펴 보도록 하겠다.
도 1은 종래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를 이용한 전도층의 실장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아(via)가 형성된 웨이퍼(wafer)에 전해도금을 위한 확산방지층과 씨앗(seed)층을 형성하고, 여기에 전해도금의 방법으로 구리 비아 충전(Cu via filling)을 행한다. 이후 과도금(overplating)된 부분을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방법을 사용하여 제거하고, 이 위에서 범프(bump) 형성을 위한 패턴화공정(patterning)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전해도금으로 구리(Cu)와 주석(Sn)을 도금한 후 포토레지스트(PR)를 제거하고 리플로우(reflow)하여 범프(bump)를 완성한다.
이 공정 중에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의 경우 공정 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공정 중에 웨이퍼(wafer)에 스크래치(scratch) 등 기계적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 며, 마스크(mask) 제작공정이 필요하여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면이 있고, 아울러 리소그래피(lithography)를 이용한 패턴화 공정(patterning)시에 매우 정밀하게 정렬(align)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공정상에서 화학적 기계적 연마방법(CMP)를 대체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웨이퍼(wafer)의 기계적 손상을 줄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소그래피(lithography) 공정이 필요 없는 무전해 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범프(bump)를 형성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전해연마와 무전해 도금방법을 동시에 도입함으로써 정렬과정(align)이 필요없고 마스크를 사용하지 아니하여도 공정의 진행이 충분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통형 비아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아에 구리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도금층을 전해연마하여 평탄화하는 단계와; 상기 평탄화된 도금층상에 구리를 무전해 도금하는 단계; 및 상기 구리 도금층상에 주석을 무전해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 및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주석을 무전해 도금한 이후에, 도금된 구리 및 주석층을 리플로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아에 구리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펄스-역펄스 전류를 인가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금층을 전해연마하여 평탄화하는 단계는, 전해액으로서 40 내지 70% 농도의 인산(H3PO4)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속제로서 0.1 내지 10%의 농도를 갖는 시트르산과 억제제로서 0.1 내지 5vol%의 농도를 갖는 글리세롤을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탄화된 도금층상에 구리를 무전해 도금하는 단계는, 무전해 구리 도금액에 2,2-바이필리딜을 더 첨가하여 도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탄화된 도금층상에 구리를 무전해 도금하는 단계는, 그 단계 이후에 산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리의 무전해 도금시, 도금의 활성화를 위하여 납화합물을 첨가하고, 활성화시간은 1분 30초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정상에서 화학적 기계적 연마방법(CMP)를 대체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웨이퍼(wafer)의 기계적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소그래피(lithography) 공정이 필요 없는 무전해 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범프(bump)를 형성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전해연마와 무전해 도금방법을 동시에 도입함으로써 정렬과정(align)이 필요없고 마스크를 사용하지 아니하여도 공정의 진행이 충 분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공정이 전기화학적인 습식공정(wet process)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정장비의 호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비의 추가 또는 대체로 인한 비용상승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례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through via type 3D SiP) 생성 공정에서는 층간 신호 전달 통로로 관통형 비아(through via)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와이어 접합(wire bonding)공정 보다 패키지 실장 면적을 줄일 수 있을뿐 아니라 신호전달 길이가 짧기 때문에 신호의 유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SiP내의 비아(via)는 패키지에서 가장 중요한 열상승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열방출 통로로써 작용한다.
비아(via)의 내부는 비저항이 우수한 구리(Cu)를 전기도금법으로 충전하는데, 전기도금시 발생할 수 있는 비아(via)내의 결함은 비저항에 의하거나 전자의 이동(electromigration)에 의하여 회로가 변경되어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저하시키고 소자의 물리적인 접촉 손상(contact failure) 문제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비아(via)의 직경이 작아지고 종횡비가 증가함에 따라, 미세결함의 발생가능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소자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빈도수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결함 없이 비아 충전(via filling)을 하는 데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 다. 또한 비용절감과 속도향상을 위한 비아 충전(via filling)시 비용절감과 속도 향상의 측면을 병행하여 고려하여야 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구리/주석 범프(bump)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모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공방법에 의하면 마스킹과정, 리소그래피 과정이 전혀 소요되지 아니하여 공정경제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기존의 전해연마방법과 무전해 도금방법은 이를 각각 적용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공지된 바 있으나, 이를 하나의 연속된 공정으로 수행함으로써 장비의 호환이 가능해 설비의 추가확충이 불필요하고, 공정의 단축 및 비용절감의 효과가 매우 큰 장점이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룬다고 할 것이다.
도 3은 비아의 각부를 저항표시를 이용하여 표현함으로써 도금층의 성장속도를 비교하기 위한 모식도를 공지문헌에서 발췌한 것이다. 비아 충전(via filling)시 결함이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도시된 바와 같이 비아(via) 입구 쪽의 저항값 R1과 벽면 및 바닥면의 저항값 R2, R3의 차이로 인해 도금층의 성장 속도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저항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비아(via) 입구에서는 전류밀도가 증가되어 도금층이 빨리 성장하고 비아(via) 내부에서는 저항값이 높아 도금층이 느리게 성장한다. 이러한 비아(via) 입구와 내부의 도금층 성장속도 차이는 내부가 다 채워지기 전에 입구가 막혀 결함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결함 없는 비아 충전(via filling)은 첨가제들 특히 유기물 첨가제들의 복합작용과 펄스-역펄스 전류 파형을 이용하여 이룰 수 있다. 구리 비아 충전(Cu via filling) 공정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유기물 첨가제로는 억제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가속제인 4,5-디시아옥탄-1,8-디술폰산(4,5-dithiaoctane-1,8-disulfonic acid; SPS), 이 두 가지 첨가제의 음극 표면으로의 흡착을 돕는 염소(Cl) 이온, 및 평탄제인 야누스 그린 비(Janus Green B, JGB)가 있다.
여기서,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은 염소(Cl) 이온의 도움을 받아 음극 표면에 흡착되어 음극 표면의 전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구리(Cu) 이온이 음극 표면으로의 환원을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4,5-디시아옥탄-1,8-디술폰산(4,5-dithiaoctane-1,8-disulfonic acid; SPS)은 염소(Cl) 이온과 함께 음극 표면에 흡착되어 전위를 낮추어 구리(Cu) 이온의 환원을 가속시킨다. 또한, 평탄제인 JGB는 억제제와 유사한 작용을 하지만 전류가 집중되는 곳에서 전위를 증가시켜 도금된 표면의 단차를 줄이는 평탄 작용을 한다.
이러한 첨가제들의 상호작용과 비아(via) 내부에서 첨가제들의 농도 차이, 흡착 속도 차이로 인해 비아(via) 바닥에서는 가속제에 의한 구리(Cu) 이온의 환원이 촉진되고 비아(via) 입구에서는 억제제와 평탄제에 의해 구리(Cu) 이온의 환원이 억제됨에 따라 구리(Cu)가 비아(via) 내부에 채워지는 동안 입구가 막히지 않고 열린 상태로 바닥부터 채워지는 수퍼 충전(super-filling)을 돕는다.
결함없는 비아 충전(via filling)을 위해서는 첨가제와 함께 전류 인가 방식 또한 중요하다. 첨가제를 이용하여 비아(via) 전체에 도금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더라도 중심부에 면형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따라서 전류가 집 중되는 비아(via) 입구쪽에 역펄스 전류를 인가하여 도금층이 구리(Cu) 이온으로 산화되는 시간을 줌으로써 입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펄스-역펄스 전류를 인가하면 온-타임(on-time)과 오프-타임(off-time)을 가지므로 오프-타임(off-time) 동안 비아(via) 내부로 구리(Cu) 이온과 첨가제들이 확산되어 들어갈 시간을 주기 때문에 결함없는 비아 충전(via filling)을 이룰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특징인 전해연마 공정에 관한 것이다. 다마신(Damascene)공정으로 도금된 비아(via)는 후속 공정인 범프(bump) 형성을 위한 평탄화 공정을 거치게된다. 현재까지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CMP에 사용되는 슬러리(slurry)는 단단한 연마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평탄화 중에 구리(Cu) 표면에 스크래치와 같은 기계적 손상을 주며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시 발생하는 스트레스에 의하여 구리가 들어 올려지는 현상(Cu lifting)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웨이퍼의 표면에 결함을 발생시키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전해연마(electropolishing) 공정을 적용하였다. 전해연마는 전기도금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전기도금이 도금하고자 하는 전도성 물질을 음극으로 하고 전류를 인가하여 표면에 금속을 환원시키는 공정에 반해 전해연마는 연마하고자 하는 물질을 양극으로 하고 전류를 인가하여 표면의 금속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공정이다. 전해연마(electropolishing)는 기계적인 연마가 아닌 전기화학적인 연마를 이용한 평탄화 공정이므로 CMP와 달리 표면에 스크래치 등 기계적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고 평탄화 과정에서 스트레스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기판(substrate)의 소성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공정 중 슬러리(slurry)를 계속적으로 흘려주는 CMP와 달리 전해욕에서 진행되는 공정이므로 폐액(waste stream)이 적고 연마 과정에서 표면의 불순물도 함께 제거된다.
비아 관통형 타입의 SiP(Through via type SiP)에서 전해연마(electropolishing) 공정이 갖는 가장 큰 장점은 전해도금 비아 충전(via filling)과의 장비 호환성이다. CMP에 비해 단일 공정비용도 매우 적을 뿐 아니라 같은 장비로 전해액만 달리하여 진행하는 연속 공정이므로 공정비용과 공정시간면에서 경제를 이룰 수 있다.
전해연마(Electropolishing) 공정은 돌출부분에 전류가 집중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단차를 줄이면서 평탄화 시킨다. 하지만 비아 패턴(via pattern) 과 같은 미세한 평탄화를 위해서는 전해연마용 전해액과 첨가제의 복합작용이 필요하다. 전해연마에 이용되는 첨가제로는 전해액의 pH를 낮춰 전도도(conductivity)를 증가 시키는 산 계열의 가속제와 용액의 점도를 높이는 알코올 계열의 억제제 등이 있다.
도 4에서는 비아 형상 내에서의 첨가제들의 농도 분포를 모식도를 공지문헌으로부터 발췌하여 나타내었다. 전해액내의 첨가제들은 용액의 확산층으로 확산되어 비아(via) 시편 표면에 흡착된다. 이때 첨가제들이 흡착되는 반응은 확산 율속 반응이므로 상대적으로 두꺼운 확산층을 통해 들어가야 하는 비아(via) 형상내의 표면은 첨가제들의 농도가 낮아서 연마 속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비아(via) 형상밖에 있는 표면은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가속제와 억제제의 적절한 농도 조절을 통해 미세 패턴(pattern)의 평탄화를 완성할 수 있다.
다음은, 구리 무전해 도금과정으로서 이에 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무전해 구리 도금(electroless Cu plating)은 형상이 복잡한 기지나 부도체 등에 전도성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MEMS 및 ULSI의 구리 금속화(Cu metalization)의 기지 도전층에 응용되고 있다. 무전해 도금은 금속염과 가용성 환원제가 공존하는 용액에서 환원제의 산화반응으로 방출되는 전자에 의해서 금속이온을 환원시켜 금속피막을 석출시키는 것으로 전기력에 의하지 않으므로 무전해 도금이라 불리고 있으며, 촉매표면상에서 금속이온의 선택적 환원 반응이 일어나 도금층 자체의 촉매작용을 통해 도금이 지속되는 자기촉매반응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을 착화제로 사용하여 피막 표면 활성화 처리에 따른 도금의 선택성과 도금액 온도와 도금시간에 따라 임계크기의 무전해 구리 범프(electroless Cu bump)를 성장시키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EDTA를 착화제로 사용한 용액에서의 무전해 구리(electroless Cu) 도금반응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무전해 구리(electroless Cu) 도금의 기지 선택성을 구현하기 위해 활성화 처리의 영향을 분석하였고, 또한 선택적인 무전해 구리 범프(electroless Cu bump)를 형성하기 위해 구리(Cu), 티타늄(Ti), 탈륨(Ta), 규소(Si) 등의 기지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것은 이전 전해연마공정을 통해 얻은 구리 비아 충전(Cu via filling)된 실리콘 웨이퍼(Si wafer)에 기존의 포토레지스트(PR) 작업을 통한 전기도금 구리 범프(Cu bump) 공정을 대체하여 무전해 구리 범프(electroless Cu bump)를 적용함으로써 공정을 간단히 하고 공정 시간 단축하며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기존에 전기도금 시 발생하는 도금층의 불균일성과 미세피치에서 포토레지스트(PR)작업 시 발생하는 패턴(pattern)과 마스크(mask)의 정렬(allign)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전해 구리(electroless Cu) 도금은 범프(bump)를 형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리소그래피(lithography)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공정이며, 선택적인 무전해 구리 범프(electroless Cu bump) 형성이 가능한 이유는 기본적으로는 확산 방지층(barrier layer)의 산화물(oxide)층은 무전해 구리층(electroless Cu layer)층과 젖음성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활성화처리시 확산방지층(barrier layer)의 산화물(oxide)층위에서 팔라듐(Pd)이온이 환원되지 않아서 구리(Cu)가 도금되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탈륨(Ta)의 산화물(oxide) 은 원 산화물(native oxide) 중에서도 팔라듐(Pd) 이온과 확산방지층(barrier layer) 사이의 2중치환반응(displacement reaction)을 방해해서 무전해 구리(electroless Cu)의 전착을 억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탈륨(Ta)은 상온에서 산화막을 잘 형성하기 때문에 산화막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고 확산 방지층(barrier layer)으로서의 역할도 뛰어나기 때문에 선택적인 무전해 구리 범프(electroless Cu bump)의 형성을 위하여 산화 탈륨(Ta oxide)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무전해 도금에 대한 개략도이다.
다음은, 주석의 무전해 도금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전해 주석 도금(electroless Sn plating) 공정은 주로 구리기판(Cu substrate)에만 사용하는 무전해 도금 방법이다. 무전해 주석 도금의 기술에는 두가지의 방법이 잘 알려져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알칼리용액 내에서 주석(Sn)의 불균등화 해리(disproportionation)의 방법으로 주석(Sn) 도금층을 형성하는 방법과 다른하나는 산성용액에서 주석-티오요소(Sn-thiourea)에 의한 구리(Cu)의 2중치환(displacement)에 의한 방법이 있다. 이중에 두번째의 2중치환(displacement)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도금층의 두께가 일정하며 저온공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중 본 발명에서는 산성용액에서 2중치환(displacement)에 의한 무전해 주석 도금(electroless Sn plating) 공정을 사용하였다.
무전해 주석 도금(electroless Sn plating) 공정의 기구를 살펴보면, 2중치 환(displacement) 반응에서 구리(Cu)와 주석(Sn)의 경우 구리(Cu, 0.337V)가 주석(Sn, -0.136V)에 비하여 전위(potential)가 높기 때문에 구리(Cu)가 산화되고, 주석(Sn)이온이 환원되는 2중치환(displacement) 반응이 자발적으로 일어나기는 힘들다. 따라서, 2중치환(displacement) 반응을 위해서는 구리(Cu)의 전위(potential)을 낮추어 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구리(Cu)를 착화합물(complex)형태로 만들어서 전위(potential)를 낮추어 준다. 용액내의 착화합물 유도제(complexing agent)가 구리(Cu)와 착화합물(complex) 형태가 되어 전위(potential)가 낮아지면서 용액중으로 용해되어 나오고, 이 빈자리로 주석(Sn)이온이 환원되어 2중치환(displacement) 반응이 발생하는 것이다(도 6 (a)).
하지만, 표면에서 착화합물 유도제(complexing agent)가 반응할 수 있는 구리(Cu)가 모두 반응하고 난 후에는 더 이상 2중치환(displacement) 반응이 일어날 수 없다. 따라서 2중치환(displacement) 반응만으로는 일정 높이 이상의 주석(Sn) 도금층을 기대하기 힘들다. 이러한 2중치환(displacement) 공정 후에는 무전해 도금과 같은 환원 반응으로 인하여 주석(Sn) 도금층이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환원 반응을 위하여 주석(Sn)이온의 환원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해줄 반응이 필요하다. 이때 하이포아인산염(hypophosphite)이 이러한 환원제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용액내의 이온중에서 하이포아인산염(hypophosphite)이 유도양성자제거현상 (deprotonation)에 의하여 수소가 분리되어 나가고 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다. 이 에너지가 용액중의 주석(Sn)이온이 기지에 도금될 수 있도록 해준다(도 6 (b)).
이하에서는 각 실시예를 단계별로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비아 충전 공정
P형(P-type)(100) 실리콘웨이퍼(Si wafer)에 DRIE(Deep Reactive Ion Etching)법으로 깊이 170~190㎛, 직경 50㎛의 약 3.5:1의 종횡비를 가지는 비아(via)와 깊이 100㎛, 직경 20㎛의 약 5:1의 종횡비를 가지는 비아(via)를 형성시킨 후 IMP(Ionized metal plasma)의 방법을 이용하여 확산 방지층으로 탈륨층(Ta layer, 200㎚)과 씨앗(seed) 층으로 구리(Cu, 700㎚)가 증착된 시편을 사용하여 첨가제, 전류인가방식, 펄스-역펄스 전류에서 환원전류밀도와 산화전류밀도의 비에 따른 비아 충전(via filling)에 대해 실험하였다. 첨가제는 염소음이온(Cl-), PEG, SPS, JGB등이 이용되었다. 전류 인가 방식은 직류전류(direct current), 펄스전류 (pulse current), 펄스-역펄스전류(pulse-reverse current)가 이용되었다. 모든 비아(via) 시편은 5%의 농도를 갖는 황산 용액에서 전처리를 하고 도금을 실시하였다. 이 때, 황산 이외의 다른 산성용액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구리(Cu) 씨앗 층이 산화막으로 덮여있어서 도금시 전착성과 균일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첨가제와 전류인가 방식에 따른 비아 충전을 관찰하기 위해 도금후 전계 방출 주사전자현미경(FESEM)으로 비아 단면을 관찰하였다. 도 7(a)와 도 8(a)는 각각 직경 50㎛와 20㎛의 비아 시편을 전해액에 첨가제 없이 직류전류를 인가한 결과이다. 비아 입구의 도금층 성장 속도가 비아 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기 때문에 비아 내부가 다 채워지기 전에 입구가 막혀 결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결함은 전류인가 방식을 펄스-역펄스로 인가하면 첨가제 없이도 결함의 크기를 상당량 줄일 수 있다. 산화전류가 인가될 때에도 환원전류가 인가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비아 입구에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밀도가 집적되어 구리 이온으로 에칭되는 속도가 비아 내부보다 빨라서 비아 입구가 막히는 시간을 지연시킨다. 도 7(b)는 직경 50㎛ 비아를 첨가제 없이 펄스-역펄스 전류를 인가하여 도금한 결과이다. 하지만 여전히 면형 결함이 관찰되었다. 펄스-역펄스의 전류인가와 유기물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비아 입구의 도금층의 에칭과 억제제의 영향으로 입구의 우선 막힘 현상을 막고 비아 바닥면은 가속제의 영향으로 도금층의 성장 속도를 향상시켜 도 7(c)와 도 8(b)에서와 같이 직경 50㎛와 20㎛ 비아 모두 결함없는 비아 충전을 이룰 수 있었다.
도 9(a)와 (b)는 성공적인 시편의 단면 주사전자현미경(SEM)사진이다. 50㎛와 20㎛ 둘 다 모든 비아가 결함없이 충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전해연마 공정
구리 비아 충전(Cu via filling)된 시편은 전해액의 종류 또는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전해연마(electropolishing)를 실시하였다. 전해액으로는 5% HNO3, 85% H3PO4, 50% H3PO4, 가속제로는 시트르산(citric acid), 억제제로는 글리세 롤(glycerol)을 사용하였다. 전류밀도는 100mA/cm2로 고정하였고 공정 진행중 음극과 양극간 시간에 따른 전위차를 측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마(polishing) 완결 시간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었다. 표면에 전해도금 된 구리(Cu)층이 다 연마되고 확산 방지층인 탈륨(Ta) 표면이 나타나 음극과 양극간 전위차의 상승이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점까지 연마공정을 진행하였다. 그 시간은 시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5분 전후에서 전해연마(electropolishing)가 완료된다. 음극으로는 압연 가공한 구리(Cu) 평판을 사용하였다. 또한 첨가제에 따른 전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50% H3PO4에 첨가제를 변화시켜가며 정전압-정전류 측정장비(potentiostat)로 정전류(galvanostatic)를 측정하였다. 전류밀도는 100㎃/㎠로 하였으며, 120초 동안 측정하였다.
비아 충전후 전해액을 변화시키면서 전해연마를 하였다. 도 10은 50㎛ 비아 시편의 전해연마 후 단면 SEM 사진이다. 도 10(a)와 같이 5% HNO3 전해액으로 전해연마한 경우, 전류인가에 의한 구리의 산화도 일어나지만 동시에 HNO3에 의한 입계(grain boundary)를 따라서 화학적 에칭(chemical etching)이 급격히 일어난다. 전해액을 85% H3PO4로 바꾼후 전해연마 한 경우 입계 에칭 등이 발생하지는 않았으나 비아 형상 내에 있는 표면이 상대적으로 많이 연마되어 후속 범프 공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10(b)는 85% H3PO4용액을 사용하여 전해연마 한 후의 단면사 진이다. 85% H3PO4경우 전해액의 점도가 높아서 구리가 산화되는 과정에서 동시에 표면에 발생하는 산소가 용액내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히게 되는데 이때 산소에 의해 산화된 산화구리가 패시베이션(passivation) 막으로 작용해 그 부위만 연마가 안되는 에치핏(etch pit)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전해액의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H3PO4의 농도를 50%로 줄이고 가속제로 1% 시트르산과 억제제로 1vol% 글리세롤을 첨가하고 전해연마 하였다. 가속제와 억제제의 복합 작용으로 비아 형상 안쪽과 바깥쪽의 연마 속도 조절을 통해 단차 없이 평탄한 표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0(c)는 가속제와 억제제를 사용하여 전해연마 한 후의 단면사진이다.
전해연마 시 종료시점은 표면의 구리가 용해됨에 따라 색상 변화를 일으키나 산소의 발생 등으로 시각적인 종료시점의 판단이 과-전해연마 현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음극과 양극의 전위차를 측정하여 종료점을 예측하였다. 표면의 구리가 모두 전해연마됨에 따라 표면에 전도도가 낮은 탈륨(Ta) 및/또는 탈륨산화물(Ta2O5)만 남게되어 저항이 증가하므로 양단간의 전위차가 증가하게 된다. 전해연마를 진행 하면서 음극과 양극간의 전위차를 측정한 결과는 도 11과 같다.
전해연마의 종료점에서 전위차가 급격히 상승함을 알수 있는데, 50㎛ 비아 시편의 경우 약 280초에서, 20㎛ 비아 시편의 경우 약 240초에서 음극과 양극간 전위차의 급격한 증가가 일어난다. 이는 전해도금된 구리층과 확산방지층인 탈륨층이 음극으로 사용된 구리 도금과의 전위차가 다르기 때문에 전해도금된 구리층이 모두 산화되어 제거되고 그 밑에 있는 탈륨층이 시편 표면에 드러나면서 나온 결과이다. 따라서 전위의 급격한 증가가 일어나는 시점을 전해도금된 구리층의 전해연마가 완료된 시점이라 판단하고 실험을 진행하였고 시편의 단면 SEM사진을 통해 이에 부합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전위의 급격한 증가가 일어나는 시점에서 전해연마 공정을 종료하면 도 12(a)와 같이 과도금(overplating)된 높이까지만 연마가 이루어진다. 전위의 급격한 증가가 일어나는 시점을 지나 공정을 더 진행한 결과 비아 내부까지 전해도금된 구리가 산화되어 제거되었다. 도 12(b)는 20㎛ 비아 시편을 약 300초까지 전해연마한 후 관찰한 단면사진이다.
도 13은 첨가제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50% H3PO4 전해액과 여기에 첨가제로 1% 시트르산과 1vol% 글리세롤을 각각 첨가한 전해액과 모두 첨가한 전해액으로 정전류(galvanstatic)를 측정한 결과이다. 여기서, 상기 전해액(H3PO4)은 50%의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며, 이외에도 약 40~70%로 유지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해액의 농도가 전해도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따라서 위와 같은 범위의 농도는 본 발명의 임계적 의의를 갖는다.
인가한 전류밀도 100㎃/㎠는 실제 비아 시편을 전해연마 할 때 인가한 전류밀도와 동일하다. 시트르산을 첨가했을 경우 전해연마시 양극 표면의 전위의 감소를 일으켜 구리의 산화를 촉진하는 가속제 역할을 하고 반대로 글리세롤을 첨가하면 양극 표면의 전위를 증가시켜 구리의 산화를 억제시킨다. 두 첨가제를 모두 첨가하면 큰 전위의 큰 변화를 보이지는 않는다. 따라서 가속제인 시트르산과 억제제 인 글리세롤을 모두 첨가하고 전해연마를 실시함으로써 연마속도의 감소를 이루지않고 표면의 단차는 효과적으로 줄이며 평탄화를 이루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4는 최적의 조건인 50% H3PO4 전해액에 1% 시트르산과 1vol% 글리세롤을 첨가한 후 전류밀도 100㎃/㎠로 전해연마를 실시한 20㎛ 비아 시편의 단면 SEM사진이다. 50㎛ 비아 시편과 마찬가지로 20㎛ 비아 시편 역시 단차 없는 평탄화 표면을 얻을 수 있었다. 여기서 상기 시트르산은 0.1 내지 10%, 글리세롤은 0.1 내지 5 vol%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트르산과 글리세롤은 위와 같은 범위내에서 사용되어야 하는데, 이는 지나치게 적으면 전해연마시 두께가 불균일한 구리층의 평탄화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지나치게 많으면 전해액의 성질에 영향을 주며, 전해액의 점도를 높여주기 때문에 연마를 방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전해연마공정에서 전해액의 농도(점도)를 낮추어 에치핏(etch pit)의 발생을 억제하고 전해액에 가속제와 억제제를 첨가함으로써 비아 형상 내와 바깥의 단차를 줄임으로써 과도금된 구리의 두께에 무관하게 평탄화를 이룰 수 있었다.
<실시예 3> 무전해 구리 도금 공정
비아충전(via filling)된 웨이퍼에 선택적으로 무전해 도금을 구현하기 위해 활성화 처리 과정, 산세처리 유무, 도금시간의 변화에 따른 실험을 진행하였다. 무전해 도금을 하기 위한 도금액 성분으로 구리원(Cu source)으로는 황산구리(CuSO4 · 5H2O)를 사용하였으며, 착화제로는 EDTA를 사용하였다. 자세한 조성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화학성분 | 농도 |
구리 전구체 | 10g/L |
환원제(HCHO) | 10ml/L |
착화합물 유도제(EDTA) | 40g/L |
도금조의 조건 | |
pH 조절제 | NaOH(12.8) |
온도 | 60℃ |
도금액의 pH가 pH 9~10에서는 무전해 구리(electroless Cu) 도금이 되지 않고, pH 11~12.2에서는 pH증가에 따라 구리 범프(Cu bump)의 전착률(deposition rate)은 증가하고 저항은 커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무전해 구리(electroless Cu) 도금의 두께가 pH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균일한 전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고된 pH 12.8로 설정하였다.
도금액 제조 과정에서 용해의 순서가 바뀌면 용해가 잘 되지 않거나 도금액 제조 중에 자기분해가 일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활성화 방법으로는 염화팔라듐(PdCl2)용액을 이용한 활성화 처리, 활성화 처리 후 황산(H2SO4)을 이용한 에칭(etching) 방법을 이용하였다. 무전해 구리(electroless Cu) 도금의 선택성은 기지와 활성방법에 따라 민감하게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기지 재료에 따라 팔라듐(Pd)층이 전착되는 자기촉매반응이 일어나는 조건이 기지마다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안정제는 2'2-바이피리딜(2'2-bipyridyl)을 사용하였다. 안정제의 첨가 없이도 무전해 도금을 할 수 있으나 공정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면, 도금액의 분해가 일어날 수 있고 선택적인 무전해 구리 범프(electroless Cu bump) 형성에 어려움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정제를 첨가하였고 안정제 첨가 전 후 도금상태를 비교하여 도금기지 선택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첨가제 조성은 표 2에 나타내었다.
첨가제 | 농도 |
PdCl2(활성화제) | 400ppm |
H2SO4 | 10% |
2'2-bipylidyl | 10ppm |
실험에서 사용한 시편은 20㎛ 비아 패턴(via pattern)에 구리 비아 충전이 완료된 후 전해연마 처리한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였다. 이는 선택적인 구리 범프(Cu bump) 형성을 위한 것으로, 이렇게 얻은 시편은 표면에 탈륨(Ta)과 비아 충전된 구리(Cu)가 선택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렇게 준비된 시편에 비아 충전된 구리의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해 10%의 농도를 갖는 황산 용액에 10초간 에칭하였고, 시편에 따라 활성화 처리를 다르게 하면서 전 처리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 때, 황산 대신 질산, 염산, 초산 등 산성을 띄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전 처리 방법은 활성화 처리, 활성화 처리 후 산세 처리 등의 방법으로 전 처리를 변화시키면서 무전해 구리 도금의 선택성을 비교하였다. 도금온도는 60℃에서 진행하였다.
무전해 구리 범프(bump) 위에 무전해 주석 도금을 실시하고 리플로우(reflow) 했을 때 전체적으로 10㎛이상의 범프(bump)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무전해 구리 범프(bump)의 높이가 최소 5㎛이상이 필요하다. 비아 충전된 구리 위에만 선택적인 무전해 구리 범프(bump)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탈륨산화물의 역할이 중요하다. 주석은 탈륨산화물과의 접착력이 좋지 않아 활성화 처리시에 팔라듐 이온이 서로 응집되게 하여 무전해 구리가 균일하게 도금되지 않게 되고 도금이 되더라도 젖음성이 좋지 않다. 일반적으로 탈륨산화물은 팔라듐 이온과 확산방지층 사이의 2중치환반응(displacement reaction)을 방해하기 때문에 무전해 구리의 도금을 불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탈륨은 상온에서 산화물을 잘 형성하기 때문에 산화물층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따로 필요하지 않고 확산 방지층으로서의 역할도 뛰어나기 때문에 선택적인 무전해 구리 범프(bump) 형성을 위한 탈륨 산화물은 반드시 필요하다. 비아 충전과 전해연마한 시편의 표면은 노출된 비아의 표면은 구리로, 비아 밖은 탈륨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구리 비아 형상 위에만 무전해 구리 범프(bump)가 도금되는 선택적인 기지가 된다. 전해연마한 시편을 이용하여 전처리 공정에 따른 선택적인 무전해 구리 범프(bump) 형성 결과를 살펴보았다. 실험에서 실시한 전처리 공정은 활성화 처리, 산세척, 첨가제를 변수로 두어 실험하였다. 활성화 처리만 실시한 시편에 무전해 구리 도금을 실시한 결과 처리시간과 온도에 따라 선택적인 구리 범프(bump) 형성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무전해 구리 범프(bump)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못했고 구리 범프(bump) 주변에도 아일랜드 형태의 무전해 구리 도금층이 형성되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시편 전체에 걸쳐 무전해 구리 도금층이 형성되는 등 선택적인 무전해 구리 범프(bump) 형성에 한계가 있었다.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표면사진은 도 15(a)에 나타내었다. 무전해 구리 범프(bump) 의 선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도금액의 자기분해를 지연시키고 도금층의 표면에 균일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2'2-바이피리딜(2'2-bipylidyl) 10ppm을 무전해 구리 도금액에 첨가하여 무전해 구리 범프(bump)를 형성한 경우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보다 선택적인 구리 범프(Cu bump)를 형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 하지만 안정제를 첨가한 경우에서도 탈륨 산화물 위에 부분적으로 구리가 올라가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에 활성화 처리 후 탈륨 산화물 위에 부분적으로 남아있는 팔라듐 이온을 제거하기 위해 짧은 시간 동안 황산으로 시편의 표면을 세척하는 공정을 추가하였다. 그 결과 좀 더 선택적인 구리 범프(bump)가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도 15(c)는 활성화 처리 후 표면을 황산으로 세척하여 탈륨 표면에 남을수 있는 팔라듐의 핵을 제거하고, 안정제가 첨가된 무전해 도금액에서 90분간 도금한 후의 표면사진이다.
안정제 2'2-바이피리딜(2'2-bipylidyl)을 10ppm 첨가한 도금액 조성에서, 활성화 처리 시간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았다. 시편의 활성화 처리 시간은 1, 3, 5분으로 실시하였으며, 활성화 처리 3분, 5분에는 시편의 전면에서 도금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활성화 처리 임계시간을 초과한 경우 산세처리 공정으로 도금기지표면에 선택적인 팔라듐 층을 확보할 수 없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 처리 1분을 실시한 시편에서 선택적인 무전해 구리 범프(bump)가 형성되었다. 대체로 활성화 처리 시간을 1분 30초 이내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구리 범프(bump) 형성을 위한 무전해 도금시간을 1시간에서 2시간 30분까지 30분 단위로 실시하였으며 1시간 동안 도금을 실시한 경우 범프(bump)의 높이가 3㎛이고, 2시간이 넘는 경우에는 비아 이외의 시편부분에도 도금이 되는 결과를 보였으므로, 1시간 30분동안 도금을 실시했을 경우에 5㎛ 정도의 높이의 선택적인 무전해 구리 범프(bump)가 형성되었다.
결과적으로 1분간 활성화 처리후 황산으로 산세하고 안정제가 첨가된 도금용액서 1시간 30분간 무전해 도금을 한 결과 5㎛ 높이의 구리 범프(bump)를 얻을 수 있었다. 무전해 도금용액의 온도는 60℃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도 17은 무전해 도금후 구리 범프(bump) 사진이다.
<실시예 4> 무전해 주석 도금 공정
무전해 주석 도금(electroless Sn plating) 실험에서 사용한 용액의 조성은 표 3과 같다.
화학성분 | 농도 |
황화주석(SnSO4) | 28.0g/L |
나트륨하이포아염소산(NaH2PO4) | 100g/L |
티오요소(Tu) | 80g/L |
황산(H2SO4) | 77.5g/L |
무전해 구리 도금으로 형성된 선택적인 구리 범프(Cu bump) 위에 무전해 주석 도금(electroless Sn plating) 공정을 이용하여 주석 범프(Sn bump)를 형성하였다. 우선 무전해 주석 도금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평판에 구리 도금을 하고 그 위에 무전해 주석 도금 공정을 실시하였다. 온도는 80℃이하의 온도에서도 가능하지만, 80℃ 하이포아염소산(hypophosphite)에 의한 유도양성자제거현상(deprotonation)이 가장 잘 일어나기 때문에 주석층(Sn layer)의 성장에도 도움을 준다. 따라서 온도는 80℃로 고정하였다.
실험에서 사용한 시편은 20㎛ 비아 패턴(via pattern)에 구리 비아 충전이 완료된 후 전해연마를 실시하고, 이 위에 선택적인 무전해 구리 도금을 실시한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였다. 도금 시간은 전해도금된 구리 평판위에 무전해 주석 도금을 한 두께를 관찰한 후 조건을 결정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전해 주석 도금은 구리와의 치환반응과 주석의 무전해 도금 반응의 두 가지 기구에 의하여 조절된다. 도 18은 무전해 도금 시간에 따른 주석의 두께를 측정하기 측정하기 위하여 전해연마의 방법으로 형성된 평판 구리 위에 무전해 주석 도금을 한 후 단면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을 1시간 진행하였을 때 그 높이가 약 3㎛ 정도 인것으로 측정되었고, 4시간을 진행하였을 경우 약 8㎛정도의 높이를 형성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19는 전술한 공정에서 구리 비아 충전 후 전해연마 방법을 이용하여 표면에 있는 구리를 제거하고 무전해 도금법을 이용하여 구리 범프(bump)를 형성한 후 무전해 주석 도금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19(b)에서와 같이 형성된 구리 위에 무전해 주석 도금을 행하였을 경우 그 형상이 도 19(a)의 구리 범프(bump)와는 전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전해 주석 도금이 구리와의 치환반응이 전면적으로 일정하게 일어나지 않고, 이후에도 무전해 주석이 균일하게 성장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는 평판에 도금후 단면을 관찰한 도 18에서 어느 정도 예측된 결과이다.
<실시예 5>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형성된 범프(bump)를 부풀리기(ball-up) 위하여 리플로우(reflow) 공정을 실시하였다. 우선 주석 표면에 형성된 산화물 때문에 리플로우(reflow)시에 볼(ball)의 모양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플로우(reflow) 바로 전에 유동화제(flux)를 가하였다.
이 후 열판을 이용하여 270℃에서 약 20초간 리플로우(reflow)를 실시하였다. 리플로우한 시편은 유동화제를 없애주기 위하여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에서 약 1분간 세척을 해주고, 이후 아세톤과 알코올로도 세척하였다.
상기 시편을 리플로우(reflow) 시켰을 경우 표면장력에 의하여 범프(bump)가 구(ball) 형태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구리 범프(bump)위에 동일한 양의 주석만 무전해 주석 도금 공정에 의해 형성되면, 구(ball) 모양의 범프(bump)를 형성하는 데는 큰 지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도 20은 위의 리플로우(reflow)된 시편을 관찰한 사진이다. 둥근 원형의 구(ball)가 형성되었으며, 그 높이는 약 10㎛로 이후 플립칩(flip chip)이나 후속 범프(bump) 접합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높이가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구리/주석 범프 형성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구리/주석 범프 형성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비아의 각부를 저항표시를 이용하여 표현함으로써 구리 도금층의 성장속도를 비교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연마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탈륨이 스퍼터링된 실리콘 웨이퍼에 구리를 무전해 도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전해 주석도금의 기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비아 충전된 직경 50㎛ 비아의 전류인가방식에 따른 단면도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비아 충전된 직경 50㎛ 비아의 첨가제에 따른 단면도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비아 충전된 직경 50㎛와 20㎛ 비아의 단면도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전해연마된 비아의 전해액, 농도, 첨가제 유무에 따른 단면도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해연마 공정 동안의 전극전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전해연마한 후 나타낸 연마시간에 따른 직경 20㎛ 비아의 단면도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각각 전해연마 조건을 달리하여 측정한 전극전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전해연마한 후 나타낸 직경 20㎛ 비아의 단면도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첨가제의 변화에 따른 무전해 구리 범프의 미세구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리 범프의 활성화 시간에 따른 미세구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구리를 선택적으로 무전해 도금한 후 미세구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무전해 주석 도금을 행한 후 나타낸 단면도사진과 주석층의 도금 시간에 따른 두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무전해 구리 범프와 무전해 주석 범프를 형성한 후 리플로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나타낸 주석 범프의 미세구조 사진이다.
Claims (8)
- 관통형 비아를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비아에 구리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도금층을 전해연마하여 평탄화하는 단계와;상기 평탄화된 도금층상에 구리를 무전해 도금하는 단계; 및상기 구리 도금층상에 주석을 무전해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와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주석을 무전해 도금한 이후에,도금된 구리 및 주석층을 리플로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와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비아에 구리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펄스-역펄스 전류를 인가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와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도금층을 전해연마하여 평탄화하는 단계는,전해액으로서 40 내지 70% 농도의 인산(H3PO4)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와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가속제로서 0.1 내지 10%의 농도를 갖는 시트르산과 억제제로서 0.1 내지 5vol%의 농도를 갖는 글리세롤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와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평탄화된 도금층상에 구리를 무전해 도금하는 단계는,무전해 구리 도금액에 안정제로서 2'2-바이필리딜을 더 첨가하여 도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와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구리의 무전해 도금시, 도금의 활성화를 위하여 납화합물을 첨가하고, 활성화시간은 1분 30초 이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와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
-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평탄화된 도금층상에 구리를 무전해 도금하는 단계는,도금공정 후 산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와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3415A KR101014839B1 (ko) | 2008-07-01 | 2008-07-01 |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와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3415A KR101014839B1 (ko) | 2008-07-01 | 2008-07-01 |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와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3492A true KR20100003492A (ko) | 2010-01-11 |
KR101014839B1 KR101014839B1 (ko) | 2011-02-16 |
Family
ID=4181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3415A KR101014839B1 (ko) | 2008-07-01 | 2008-07-01 |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와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483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586477B2 (en) | 2010-08-02 | 2013-11-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miconductor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package |
KR20150083008A (ko) * | 2014-01-08 | 2015-07-16 | 주하이 어드밴스드 칩 캐리어스 앤드 일렉트로닉 서브스트레이트 솔루션즈 테크놀러지즈 컴퍼니 리미티드 | 초미세 피치 플립 칩 범프를 갖는 기판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28427B2 (en) * | 2012-09-28 | 2016-05-03 | Sunpower Corporation | Edgeless pulse plating and metal cleaning methods for solar cells |
KR102018885B1 (ko) | 2012-12-20 | 2019-09-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관통전극을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07432B2 (ja) * | 2001-03-16 | 2007-04-18 | 株式会社荏原製作所 | 電解研磨用電解液及び電解研磨方法 |
KR100467803B1 (ko) * | 2002-07-23 | 2005-01-24 |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
JP2005183599A (ja) * | 2003-12-18 | 2005-07-07 | Mitsubishi Gas Chem Co Inc | Bステージ樹脂組成物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フリップチップ搭載用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
-
2008
- 2008-07-01 KR KR1020080063415A patent/KR10101483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586477B2 (en) | 2010-08-02 | 2013-11-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miconductor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package |
KR20150083008A (ko) * | 2014-01-08 | 2015-07-16 | 주하이 어드밴스드 칩 캐리어스 앤드 일렉트로닉 서브스트레이트 솔루션즈 테크놀러지즈 컴퍼니 리미티드 | 초미세 피치 플립 칩 범프를 갖는 기판 |
US10779417B2 (en) | 2014-01-08 | 2020-09-15 | Zhuhai Access Semiconductor Co., Ltd. | Substrates with ultra fine pitch flip chip bump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14839B1 (ko) | 2011-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24665B2 (en) | Seed layer deposition | |
KR102509652B1 (ko) | Tsv들 (through silicon vias) 내로 구리의 전착을 위한 니켈 라이너 및 코발트 라이너의 전처리 | |
CN113454766B (zh) | 低温铜-铜直接接合 | |
US20110259750A1 (en) | Method of direct plating of copper on a ruthenium alloy | |
TWI642815B (zh) | 用於半導體基板的電鍍方法 | |
US20070045120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features in microfeature workpieces | |
JP2002506927A (ja) | 作業部材の上に金属を電解により沈着させる装置および方法 | |
KR20110127617A (ko) | 듀얼 스테이트 저해제를 지닌 전해질을 이용한 관통형 실리콘 비아 충전 | |
JP2002235187A (ja) | シ−ド修復及び電解めっき浴 | |
KR20150058038A (ko) | 전기도금을 위한 알카리성 전처리 | |
KR20080100223A (ko) | 마이크로 전자공학에서의 구리 전착 | |
KR20060061395A (ko) | 반도체 칩 상의 미세 회로를 전기도금하기 위한 개선된구리 도금조 | |
CN1337064A (zh) | 生产集成电路时由高纯铜电镀形成导体结构的方法 | |
KR101014839B1 (ko) | 3차원 SiP의 관통형 비아와 범프의 전기화학적 가공방법 | |
US6703712B2 (en) | Microelectronic device layer deposited with multiple electrolytes | |
KR20030079745A (ko) | 미세회로배선의 형성방법 및 장치 | |
KR100964030B1 (ko) |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한 관통형 전극 형성방법 | |
KR101752945B1 (ko) | 구리 및 구리 합금의 에칭 방법 | |
US20020090484A1 (en) | Plating bath | |
JP2009065207A (ja) | 集積回路チップ上の電気めっき相互接続構造 | |
Koo et al. | Electrochemical process for 3D TSV without CMP and lithographic processes | |
CN107447242B (zh) | 电镀装置及方法 | |
TWI653366B (zh) | 電鍍設備與方法 | |
JP2002275639A (ja) | シード層堆積 | |
HONMA et al. | Advanced plating technology for electronic devi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