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291A - 물림식 관 커플링, 냉동 장치 및 온수 장치 - Google Patents

물림식 관 커플링, 냉동 장치 및 온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291A
KR20100003291A KR1020097022714A KR20097022714A KR20100003291A KR 20100003291 A KR20100003291 A KR 20100003291A KR 1020097022714 A KR1020097022714 A KR 1020097022714A KR 20097022714 A KR20097022714 A KR 20097022714A KR 20100003291 A KR20100003291 A KR 20100003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ipe
insertion opening
pip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오 나카타
요시키 무라야마
이사오 오가미
가즈야 하라구치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3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8Solder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the rings being integral with one of the connec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물림식 관 커플링에 관한 커플링 본체의 중심부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 대향하는 단부에는, 접속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에 있어서, 결합 부재에 대향하는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장치측 배관이 삽입되어 납땜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측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의 입구의 외주 벽부에는, 외주가 커플링 본체의 기부의 외주보다도 작은 박육 벽부가 형성되어 있다. 박육 벽부는 삽입구의 입구로부터 상기 삽입구의 선단보다 입구측에 위치함과 더불어 상기 삽입구의 선단 근방에 이르는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물림식 관 커플링, 냉동 장치 및 온수 장치{BITE TYPE PIPE COUPLING, REFRIGERATION DEVICE, AND WATER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물림식 관 커플링, 및, 이를 응용한 냉동 장치 및 온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속해야 할 접속 배관이 접속되는 장치의 배관에 납땜되는 커플링 본체를 구비한 물림식 관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유체관에 이용되는 관 커플링으로서, 관의 열화, 유체 공급관의 열화 등이 생겼을 때에 교환 및 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한 관 커플링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 커플링으로서, 용도에 따라 각종 구조를 가지는 관 커플링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유체관 내에 냉매가 흐르는 공기 조화기 등의 냉동 사이클 장치에 있어서, 종래, 관 커플링으로서 플레어(flare)식 관 커플링이 많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냉동 사이클 장치에 있어서는, 지구 환경 보호를 위해, 냉매의 변경이 진행되고 있다. 즉, 냉매는, 종래의 프레온 냉매로부터 가연성을 가지는 프로판, 에탄, 에틸렌, n펜탄, n부탄, 이소부탄 등의 HC냉매로 바뀌거나, 사용 압력이 고압으로 되는 이산화탄소 등의 자연 냉매로 바뀌고 있다. 이 때문에, 새로운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에 있어서는, 냉매 누설이 적은 관 커플링으로서 물림식 관 커플링의 개발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물림식 관 커플링의 일례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관 커플링을 들 수 있다. 이 물림식 관 커플링을 도 12 및 도 13에 의거해 설명한다.
이 물림식 관 커플링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접속해야 할 접속 배관이 접속되는 장치에 부착되는 커플링 본체(101)와, 접속 배관(102)에 외장되어 커플링 본체(101)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103)를 구비한다. 물림식 관 커플링은, 커플링 본체(101)와 결합 부재(103)의 사이에 끼워 장착되는 페룰(104)과, 페룰(104)의 선단부를 배관에 물리도록 가이드하는 캠면(105)을 더 구비하고 있다. 페룰(104)은, 프런트 페룰(104a)과 백 페룰(104b)로 구성되어 있다. 커플링 본체(101)의 중심부에 있어서, 결합 부재(103)에 대향하는 단부에는, 접속 배관(102)이 삽입되도록 삽입구(108)가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 본체(101)의 중심부에 있어서, 결합 부재(103)에 대향하는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장치측 배관(106)이 삽입되어 납땜되는 삽입구(107)가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삽입구(107, 108)의 사이에는, 장치측 배관(106)의 선단부와 접속 배관(102)의 선단부가 양측으로부터 맞닿도록, 내주를 향해 돌출하는 단부(10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109)의 단차는, 장치측 배관(106) 및 접속 배관(102)의 두께와 대략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물림식 관 커플링은, 물림식 관 커플링을 부착하는 밸브 등의 기기가 장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물림식 관 커플링을 장치측 배관(106)에 부착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 예를 들면 분리형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실내 유닛에 물림식 관 커플링이 부착되는 경우에 필요하다.
이러한 물림식 관 커플링에 있어서, 단부(109)는, 장치측 배관(106)과, 커플링 본체(101)에 접속해야 할 접속 배관(102)의 부착 위치를 규제한다. 또한, 단부(109)는, 장치측 배관(106)의 납땜에 사용되는 플럭스(flux)가 접속 배관(102)의 삽입구(108) 및 상기 삽입구(108)에 연속하는 캠면(105) 등의 시일면에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단부(109)는, 장치측 배관(106)의 접속에 사용되는 납재가 삽입구(108)로 유출되는 것도 방지한다.
장치측 배관(106)의 납땜을 지장 없이 행하기 위해서는, 삽입구(107)의 주위를 충분히 가열하고, 장치측 배관(106)의 삽입부의 안쪽까지 납재가 흘러들어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삽입구(107)의 외주 벽부에, 두께가 얇은 박육 벽부가 소정의 길이에 걸쳐서 형성될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2005-36947호 공보
도 13은, 이러한 물림식 관 커플링에 있어서의 커플링 본체(101)를 나타내고 있다. 커플링 본체(10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2개의 삽입구(107, 108)가 가공되는 경우, 1방향으로부터 2개의 삽입구를 가공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2방향으로부터 예를 들면 리밍(reaming)에 의해 각 삽입구(107, 108)의 가공이 행해졌다. 이 때문에, 가공 시간이 길어져 비용이 증대했다. 즉, 1방향으로부터 2개의 삽입구(107, 108)를 가공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단부(109)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삽입구를 마무리 가공할 필요가 있다. 단부(109)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삽입구를 마무리 가공하기 위해서는, 날끝(110b)이 손잡이부(110a)로부터 외주를 향해 돌출되는 보링(boring) 다듬질바이트(110)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 보링 다듬질바이트(110)를 사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하의 3개의 조건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즉, 보링 다듬질바이트(110)의 높이(A1)에 비해 단부(109)의 내경(B1)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보링 다듬질바이트(110)의 날끝의 높이(C1)가 단부(109)의 단차(D1)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보링 다듬질바이트(110)의 손잡이부(110a)가 마무리 가공에 견디는 강도의 굵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배관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단부(109)의 내경(B1)이 작아지므로, 이들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외경이 6.35㎜이고, 또한 두께가 0.8㎜인 구리관을 접속하는 물림식 관 커플링의 경우에는, 단부(109)의 내경(B1)이 보링 다듬질바이트(110)의 높이(A1)에 비해 조금 작으므로, 보링 다듬질바이트(110)를 사용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종래의 물림식 관 커플링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삽입구(107)의 외주 벽부에 있어서의 박육 벽부(101a)가 삽입구(107)의 입구에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강고한 납땜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측 배관의 납땜이 지장없이 행해짐과 더불어, 커플링 본체에 있어서의 장치측 배관의 삽입구 및 접속 배관측의 삽입구를 1방향으로부터 마무리 가공 가능한 물림식 관 커플링 및 이를 이용한 냉동 장치 및 온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의 양태에 의하면, 접속해야 할 접속 배관이 접속되는 장치에 부착되는 커플링 본체와, 접속 배관에 외장되어 커플링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와, 커플링 본체와 결합 부재의 사이에 끼워 장착되는 페룰과, 페룰의 선단부를 접속 배관에 물리도록 가이드하는 캠면을 구비하는 물림식 관 커플링이 제공된다. 상기 커플링 본체의 중심부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 대향하는 단부에는, 접속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부에 있어서, 결합 부재에 대향하는 단부(端部)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장치측 배관이 삽입되어 납땜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측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의 입구의 외주 벽부에는, 외주가 커플링 본체의 기부의 외주보다도 작은 박육 벽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육 벽부는, 삽입구의 입구로부터, 상기 삽입구의 선단보다 입구측에 위치함과 더불어 상기 삽입구의 선단 근방에 이르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본원에 있어서, 삽입구의 선단 근방이란, 당해 위치와 삽입구의 입구의 거리보다도, 상기 위치와 삽입구의 선단의 거리쪽이 짧은 위치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치측 배관의 선단이 삽입구의 선단 위치와 일치하도록 삽입되므로, 삽입구의 외주의 박육 벽부의 선단이, 삽입된 장치측 배관의 선단 근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삽입구의 벽의 열 용량은, 종래의 물림식 관 커플링과는 달리, 장치측 배관의 선단 근방까지 작아진다. 이 결과, 납땜 시, 장치측 배관의 선단 근방까지 납재가 흐르기 쉬워져, 납땜이 강고하게 행해진다.
또한, 이 박육 벽부는, 삽입구의 입구로부터, 상기 삽입구의 선단보다 입구측에 위치함과 더불어 상기 삽입구의 선단 근방까지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치측 배관의 삽입구의 선단에 형성되는 단부의 단차를 작게 하거나, 단부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종래, 납재가 결합 부재의 삽입구에 흘러들어가거나, 플럭스가 결합 부재의 삽입구에 비산함으로써 접속 배관의 시일이 곤란해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단부는 배관의 두께 정도의 단차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발명자 들의 연구에 의해, 상기 박육 벽부의 선단이 삽입구의 선단보다 입구측에 위치함과 더불어 상기 선단 근방에 위치함으로써, 삽입구의 선단 근방의 벽의 열 용량이 급격하게 커져, 납재의 흘러듬 및 플럭스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상기 제1의 양태의 구성에서는, 배관 위치 결정의 수단이 단부 이외의 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종래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던 소정 치수의 단차를 가지는 단부를 생략하거나, 이 단부의 단차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단차를 작게 하거나 단부를 생략함으로써, 장치측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접속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1방향으로부터 가공할 수 있어,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측 배관 및 상기 접속 배관은, 이들 접속 위치의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상기 삽입구에 대해 소정의 삽입 치수로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속 위치의 위치 결정이 행해짐으로써, 장치측 배관의 납땜이 지장없이 행해진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측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접속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의 사이에 있어서의 커플링 본체의 내주면에는, 장치측 배관과 접속 배관이 양측으로부터 맞닿도록 내주를 향해 돌출하는 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부와 각 삽입구의 내주면의 단차는, 양 배관의 두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작은 단차를 가지는 단부가 형성되므로, 장치측 배관 및 접속 배관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단차를 작게 함으로써, 각 삽입구를 1방향으로부터 가공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부와 삽입구의 내주면의 단차가 0.1㎜∼0.5㎜이다. 예를 들면, 보링 다듬질바이트에 의한 다듬질 절삭 치수, 1방향으로부터의 가공에 있어서의 단차 조건 및 단부의 기능 유지의 관점에서 봐서, 이 정도의 치수가 최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 삽입구는, 이들 삽입구가 가공되기 전에 상기 커플링 본체의 중심부에 가공된, 상기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하부 구멍에 대해서, 보링 다듬질바이트에 의해 내주면을 마무리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부는, 상기 하부 구멍의 내주면 중, 보링 다듬질바이트에 의한 마무리 가공이 실시되지 않고 그대로 남겨진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부 구멍의 가공 후에 마무리 가공을 행하는 것만으로 양 삽입구의 가공이 행해진다. 또한, 이 양 삽입구의 마무리 가공이 실시됨으로써, 가공을 더 실시하지 않고, 작은 단차를 가지는 단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합리적인 가공이 허용되어, 가공 비용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부의 내경은, 상기 보링 다듬질바이트의 손잡이부 및 날끝을 포함하는 전체 높이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부와 삽입구의 내주면의 단차는, 상기 보링 다듬질바이트의 날끝의 높이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링 다듬질바이트의 손잡이부는, 보링 마무리 가공에 견디는 굵기를 갖추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1방향으로부터 양 삽입구의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부에 있어서, 장치측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에 대향하는 단차면은, 상기 삽입구의 입구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차면은, 상기 보링 다듬질바이트의 날끝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차면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측 배관의 외주에는, 상기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물림식 관 커플링은, 장치측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에 상기 돌출부가 맞닿음으로써 장치측 배관의 삽입 치수가 소정 치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부의 형성이 불필요해지므로 가공이 보다 용이해진다. 접속 배관의 위치 결정은, 먼저 납땜된 장치측 배관의 선단부에 접속 배관의 선단부가 맞닿음으로써 용이하게 행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측 배관은 구리관이며, 상기 커플링 본체는 황동제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장없이 장치측 배관과 커플링 본체를 소정대로의 강도로 납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양태에 의하면, 상기 물림식 관 커플링이 냉매 회로, 급수 회로에 사용된 냉동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양태에 의하면, 상기 물림식 관 커플링이 급탕 회로, 급수 회로에 사용된 온수 장치가 제공된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냉동 장치 및 온수 장치의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물림식 관 커플링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서, 체결 개시 후에 페룰이 캠면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물림식 관 커플링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서, 체결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커플링 본체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결합 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물림식 관 커플링에 있어서 캠면의 주위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물림식 관 커플링에 있어서 페룰의 주위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페룰의 주위에 있어서의 배관의 접속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페룰의 선단부에 의해 배관이 임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페룰이 분리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체결이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커플링 본체에 있어서의 삽입구의 가공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하부 구멍의 가공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장치측 배관의 삽입구의 가공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커플링 본체에 있어서의 삽입구의 가공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접속 배관의 삽입구의 가공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물림식 관 커플링에 있어서의 커플링 본체의 주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물림식 관 커플링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서, 체결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종래의 물림식 관 커플링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서, 체결 개시 후에 페룰이 캠 면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커플링 본체에 있어서의 삽입구의 가공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물림식 관 커플링으로 구체화한 각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각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실시의 형태 2 이후에 있어서는,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실시의 형태 1)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관 커플링에 대해서, 도 1∼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관 커플링은, 냉동 장치,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 등의 냉매 회로, 급수 회로, 및 급탕 회로 등에 사용되는 물림식 관 커플링이다. 도 1은, 물림식 관 커플링의 체결 개시 후에 페룰이 캠면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접속 배관의 체결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커플링 본체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4는 결합 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캠면의 주위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페룰의 주위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c)는, 배관의 접속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물림식 관 커플링은, 이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접속해야 할 접속 배관(P2)이 접속되는 장치에 부착되는 커플링 본체(1)와, 접속 배관(P2)에 외장되어 커플링 본체(1)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2)와, 결합 부재(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페룰(3)을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커플링 본체(1)측,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의 좌측방을 전방으로 칭하고, 결합 부재(2)측,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의 우측방을 후방으로 칭한다.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커플링 본체(1)에 있어서 결합 부재(2)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장치측 배관(P1)이 삽입되어 납땜되는 삽입구(11a)를 가지는 소켓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부(11)의 결합 부재(2)측에는, 결합 부재(2)의 체결 시에 체결 공구로 파지되는 너트부(12)가 외주에 형성된 기부(13)와, 결합 부재(2)가 나사식 결합되는 나사식 결합부로서의 암나사(14a)가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 통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나사 통부(14)의 외주에는, 상기 기부(13)로부터 연속하여 너트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부(11)에서는, 삽입구(11a)의 입구의 외주가 기부(13)의 외주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박육 벽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박육 벽부(11b)는, 삽입구(11a)의 입구로부터 삽입구(11a)의 선단 근방까지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11a)의 선단 근방이란, 당해 위치와 삽입구(11a)의 입구의 거리보다도, 상기 위치와 삽입구(11a)의 선단의 거리쪽이 짧은 위치인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도 1에 기재된 위치, 즉 삽입구(11a)의 선단의 바로 앞 가까이의 위치이다.
커플링 본체(1)는, 기부(13)에 있어서 결합 부재(2)에 대향하는 단면으로부터 암나사 통부(14) 내로 돌출하는 축부(15)를 가지고 있다. 이 축부(15)로부터 기부(13)에 걸친 중심부에는, 배관 접속 시에 접속 배관(P2)이 삽입되는 삽입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11a)와 삽입구(16)의 사이에는, 이들 삽입구(11a, 16)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단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17)의 내주면의 직경은, 삽입구(11a, 16)의 직경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구(11a, 16)에 삽입된 장치측 배관(P1) 및 접속 배관(P2)은, 이들 선단부가 단부(17)의 단차면에 접함으로써 소정 위치에 유지된다. 장치측 배관(P1)은 접속 배관(P2)과 동일한 배관 직경을 가지고 있다.
삽입구(16)의 입구에는 캠면(18)이 형성되어 있다. 캠면(18)은, 그 전방에 있어서 삽입구(16)에 연결되고, 후방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 커플링의 축심에 대한 캠면(18)의 경사 각도는, 후술하는 페룰(3)의 선단부의 테이퍼면(32)의 경사 각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캠면(18)의 중앙부(18a)의 경사 각도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캠면(18)에 있어서의 중앙 부(18a) 이외의 부분의 경사 각도보다도 더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는, 페룰(3)의 선단부를 접속 배관(P2)에 물리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결합 부재(2)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축심에 접속 배관(P2)이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된 기부(22)를 가지고 있다. 이 기부(22)에 있어서 커플링 본체(1)에 대향하는 단부에는, 페룰(3)의 외주를 보호하는 보호 통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 통부(23)에 연속되는 기부(22)의 외주에는, 커플링 본체(1)와 나사식 결합하는 나사식 결합부로서의 수나사(22a)가 형성되어 있다. 기부(22)의 후부에는, 체결 공구로 파지 가능하도록 외형이 크게 형성됨과 더불어 육각 너트형상을 가지는 파지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장치측 배관(P1) 및 접속 배관(P2)은 구리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커플링 본체(1) 및 결합 부재(2)는 황동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재료는 냉동 장치용 재료로서 최적이고, 범용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결합 부재(2)에는, 보호 통부(23) 내에 있어서 기부(22)로부터 전방으로, 즉 커플링 본체(1)를 향해 돌출하도록 환형상의 페룰(3)이 형성되어 있다. 페룰(3)의 축심의 구멍은 접속 배관(P2)이 관통하는 관통공(31)이며, 그 직경은, 상기 삽입구(16) 및 기부(22)의 축심에 설치된 관통공(21)과 대략 동일한 직경이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페룰(3)은, 그 후단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박육부(4)를 통해 기부(22)에 연결되어 있고, 결합 부재(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페룰(3)을 그 축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보면,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바 와같이, 페룰(3)의 후부가 대략 일정한 두께로 형성됨과 더불어 전부가 선단을 향함에 따라 얇아지도록, 외주면이 테이퍼면(32)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면(32)의 경사 각도는, 전술한 것처럼 캠면(18)의 경사 각도보다도 약간 작은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페룰(3)의 후단면(33)은, 기부(22)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기부(22)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움푹 패인 공간(34)을 통해, 기부(22)에 형성된 가압면(25)과 대향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공간(34)의 첨단(尖端)부, 즉 외주 부분은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공간(34)의 내주 부분은, 그 전후면이 축선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공간(34)의 첨단부에는, 기부(22)의 축심을 따라 연장되는 짧은 직선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페룰(3)의 후부의 외주면과 박육부(4)의 전면은, 축방향을 따라 절단된 단면에 있어서 대략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직각의 모퉁이부는, 페룰(3)로부터 박육부(4)에 걸치는 후단면(33)과, 페룰(3)의 원통형상을 가지는 외주면 및 박육부(4)의 전면으로 구성되는 단면 형상에 있어서, 엣지형상의 절결(41)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절결(41)에 의해, 국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최박육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결합 부재(2)에 축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이 최박육부(42)에 응력 집중이 발생된다.
페룰(3)의 선단 부근의 내주면에는 제1 노치(35)가 설치되어 있고, 페룰(3)의 후단 부근의 내주면에는 제2 노치(3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노치(35)는, 상기 제1 노치(35)의 선단 부분(3a)의 변형을 용이하게 한다. 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노치(35)의 단면 형상은 직각 삼각형이며, 제1 노치(35)는, 후방의 절결면이 축심에 대해서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노치(35)는, 결합 부재(2)를 수동 돌림으로 조이는 단계에 있어서, 제1 노치(35)의 선단 부분(3a)이 접속 배관(P2)과 삽입구(16)의 사이에 쐐기 형상으로 삽입되어 접속 배관(P2)을 임시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노치(35)의 후방의 절결면과 페룰(3)의 내주면의 교차부가 엣지부(3b)를 형성하고 있고, 이 엣지부(3b)가 페룰(3)에 있어서의 선단부의 접속 배관(P2)에의 물림을 행한다(도 7(c) 참조).
제2 노치(36)는 대략 V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외주에 대향하는 변이 짧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노치(36)는, 상기 공간(34)의 첨단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공간(34)은, 제2 노치(36)의 V자 형상의 양측단으로부터 축선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이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첨단부가 대략 V자 형상인 제2 노치(36)가 형성됨으로써, 제2 노치(36)의 외주에 대향하는 변(즉 첨단 부분)과, 페룰(3)의 후부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얇은 환형상 박육부(37)(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노치(36)가 형성되어 환형상 박육부(37)가 형성됨으로써, 페룰(3)의 선단 근방의 엣지부(3b)가 접속 배관(P2)에 물리도록 변형됨과 더불어, 후단면(33)의 내주측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엣지부(3c)가 접속 배관(P2)에 물리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페룰(3) 전체가 제2 노치(36)를 중심으로 하여 변형한다(도 2 및 도 7(c) 참조). 이와 같이, 선단부의 엣지부(3b)의 물림 이외에 후단부의 엣지부(3c)가 접속 배관(P2)에 물리도록 변형됨으로써, 접속 배관(P2)이 빠지지 않도록 유지됨과 더불어, 접속 배관(P2)을 전 달하는 진동이 엣지부(3b)에 전달되는 것이 억제되어, 선단부에 있어서의 엣지부(3b)의 물림에 의한 시일 기능 및 배관 유지 기능이 높게 유지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물림식 관 커플링에 의한 배관의 접속 방법에 대해서,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커플링 본체(1)에의 접속 배관(P2)의 접속에 앞서, 커플링 본체(1)는 장치측 배관(P1)에 부착되어 있다. 이 부착 작업은, 커플링 본체(1)가 황동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입구(11a)의 내주면에 플럭스가 도포된다. 다음에, 장치측 배관(P1)이 삽입구(11a)에 삽입된다. 이 삽입은, 장치측 배관(P1)의 선단부가 단부(17)에 맞닿을 때까지 행해진다. 그리고, 삽입구(11a)가 가열되고, 납재가 삽입구(11a)의 입구로부터 흘려넣어진다. 이 납땜 작업에 있어서, 삽입구(11a)의 외주의 박육 벽부(11b)가 삽입구(11a)의 입구로부터 삽입구(11a)의 선단 근방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치측 배관(P1)의 선단 근방까지 납재가 흐르기 쉬워져, 납땜이 강고하게 행해진다. 또한, 이 박육 벽부(11b)는, 삽입구(11a)의 선단보다 앞에서 종료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럭스가 결합 부재(2)에 대향하는 삽입구(16)로 비산하지 않고, 납재가 삽입구(16)에 흘러들어가는 일도 없다.
다음에, 본 물림식 관 커플링에 의한 접속 배관(P2)의 접속에서는, 결합 부재(2)의 관통공(21)에 접속 배관(P2)이 삽입되고, 결합 부재(2)가 접속 배관(P2)에 외장된다. 그리고, 접속 배관(P2)의 선단부가 페룰(3)의 관통공(31)을 통해 삽입구(16)에 삽입되고, 그 선단이 단부(17)에 맞닿은 상태에서 결합 부재(2)가 커플링 본체(1)에 나사식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페룰(3)의 선단 부분(3a)이 캠면(18) 에 맞닿은 상태를 도 1에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결합 부재(2)가 수동 돌림으로 더 조여지면, 페룰(3)의 선단 부분(3a)이 접속 배관(P2)과 삽입구(16)의 사이에 삽입되어, 접속 배관(P2)의 임시 고정이 행해진다. 이 상태를 도 7(a)에 도시한다.
그 후는, 페룰(3)에 있어서의 제1 노치(35)의 후방의 테이퍼면(32)이 캠면(18)에 맞닿으므로 큰 회전 토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후의 공정에서는 체결 공구를 사용하여 결합 부재(2)가 커플링 본체(1)에 조여진다. 이 조임에 의해, 종래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페룰(3)의 선단부가 캠면(18)에 눌려진 상태로 결합 부재(2)가 조여지고,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향하는 힘이 박육부(4)에 작용한다. 이 때, 페룰(3)의 외주면과 박육부(4)의 전면의 교차부, 즉 절결(41)(도 7(a) 참조)을 가지는 최박육부(42)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고, 이 최박육부(42)에 있어서 박육부(4)가 절단되고, 후단면(33)의 외주 단부가 가압면(25)에 맞닿는다(도 7(b) 참조).
페룰(3)은, 전술한 것처럼 결합 부재(2)로부터 분리되고, 후단면(33)의 외주 단부가 가압면(25)에 의해 가압된다. 또한, 페룰(3)은, 그 후는 독립한 페룰(3)과 동일하게 작용한다. 즉, 페룰(3)은, 후단면(33)의 외주 단부가 가압면(25)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에서 결합 부재(2)가 더 조여지면, 기부(22)의 축심을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지는 가압면(25)에 의해, 제2 노치(36)를 중심으로 하여 그 전후의 부분이 축심을 향해 구부러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페룰(3)에 있어서, 제2 노치(36)의 전부(前部)는 제2 노치(36)를 중심으로 하여 엣지부(3b)가 접속 배관(P2) 에 물리도록 경사지고, 제2 노치(36)의 후부(後部)는, 제2 노치(36)를 중심으로 하여 후단면(33)의 내주 가장자리의 엣지부(3c)가 접속 배관(P2)에 물리도록 경사진다(도 7(c) 참조).
또한, 페룰(3)에서는, 이와 같이 후부가 제2 노치(36)를 중심으로 하여 경사지도록 변형되어 엣지부(3c)가 물리고, 이 물림량이 적정치로 되면, 제2 노치(36)를 형성하는 전면과 후면이 대략 전면에서 맞닿도록, 제2 노치(36)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이 형상은, 도 6에 확대하여 도시되는 바와같이 공간(34)의 첨단부의 형상과 동일한 대략 V자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노치(36)의 첨단에 짧은 직선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노치(36)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획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페룰(3)에서는, 제2 노치(36)를 획정하는 전면과 후면이 대략 전면에서 서로 맞닿은 후는, 제2 노치(36)를 중심으로 하는 경사가 규제되고, 엣지부(3c)의 과잉 물림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페룰(3)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엣지부(3b)의 물림 및 페룰(3)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엣지부(3c)의 물림이 소정량에 이르면, 결합 부재(2)를 조이기 위한 회전 토크가 소정치에 도달하게 되어, 접속 배관(P2)의 접속이 완료한다(도 2 참조).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커플링 본체에 있어서의 삽입구(11a, 16) 및 단부(17)의 가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들 가공에서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드릴 등의 하부 구멍 가공용의 절삭 공구(5)에 의해, 커플링 본체(1)의 중심부에 단부(17)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하부 구멍(17a)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결합 부재에 대향하는 단부로부터 하부 구멍(17a)에 보링 다듬질바이트(6)가 삽입되고, 삽입구(11a)에 상당하는 부분이 마무리 가공되어 삽입구(11a)가 형성된다. 보링 다듬질바이트(6)에서는, 날끝(6b)이 손잡이부(6a)로부터 외주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다음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보링 다듬질바이트(6)가 앞으로 당겨져, 삽입구(16)에 상당의 부분이 마무리 가공된다. 이에 따라, 삽입구(11a)와 삽입구(16)의 사이에, 먼저 가공된 하부 구멍(17a)의 면이 그대로 남겨진 부분이 형성된다. 이 남겨진 부분이 단부(17)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하여 단부(17)가 형성되어 있고, 단부(17)와 삽입구(11a)의 내주면의 단차가 0.1㎜∼0.5㎜로 설정된다. 캠면(18)의 가공은, 삽입구(11a) 및 삽입구(16)의 가공 후에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삽입구(11a, 16)가 1방향으로부터 형성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즉, 단부(17)를 형성하는 하부 구멍(17a)의 내경(B)은, 보링 다듬질바이트(6)의 손잡이부(6a) 및 날끝(6b)를 포함하는 전체 높이(A)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단부(17)의 단차(D)는, 보링 다듬질바이트(6)의 날끝(6b)의 높이(C)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보링 다듬질바이트(6)의 손잡이부(6a)는, 보링 마무리 가공에 견디는 굵기를 구비하고 있다.
단부(17)의 삽입구(11a)에 대향하는 단차면(17b)은, 삽입구(11)의 입구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경사면은, 보링 다듬질바이트(6)의 날끝(6b)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물림식 관 커플링은 이하의 이점을 가진다.
(1) 장치측 배관(P1)이 삽입되는 삽입구(11a)의 입구에 있어서의 외주 벽부에는, 박육 벽부(11b)가 삽입구(11a)의 입구로부터 삽입구(11a)의 선단 근방에 이르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물림식 관 커플링에 비해, 삽입구(11a)의 벽의 열용량이 장치측 배관(P1)의 선단 근방까지 작아진다. 이 결과, 납땜 시, 장치측 배관(P1)의 선단 근방까지 납재가 흐르기 쉬워져, 납땜이 강고하게 행해진다.
(2) 박육 벽부(11b)는, 삽입구(11a)의 입구로부터, 상기 삽입구(11a)의 선단보다 앞쪽, 즉 상기 삽입구의 선단보다 입구측, 또한 삽입구(11a)의 선단 근방까지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삽입구(11a)의 선단에 형성되는 단부(17)의 단차가 작아도 되고, 단부(17)가 생략되어도 되는 것이 실험적으로 해명되었다. 이는, 박육 벽부(11b)로부터 큰 벽 두께를 가지는 기부(13)로 이행하는 부분에서 벽의 열 용량이 급격하게 커짐으로써, 납재의 흘러들어감 및 플럭스의 비산이 방지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단부(17)의 단차가 작게 형성된 경우에도, 이 구성이 접속 배관(P2)의 시일, 예를 들면 캠면(18)에 있어서의 시일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3)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장치측 배관(P1) 및 접속 배관(P2)의 선단부가 단부(17)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으므로, 장치측 배관(P1)의 납땜 및 접속 배관(P2)의 물림식 접속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4)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플링 본체(1)에 있어서는, 그 중심부에, 단부(17)의 내주면의 직경에 상당하는 직경을 가지는 하부 구멍(17a)이 가공되고, 그 후에, 장치측 배관(P1)의 삽입구(11a) 및 접속 배관(P2)의 삽입구(16)의 가공이 행해진다. 양 삽입구(11a, 16)의 가공에서는, 하부 구멍(17a)의 가공 후에 마무리 가공을 행할 뿐이고, 이 양 삽입구(11a, 16)의 마무리 가공이 실시됨으로써, 가공을 더 실시하지 않고 단차가 작은 단부(1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합리적인 가공을 허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가공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5) 단부(17)와 삽입구(11a)의 내주면의 단차가 0.1㎜∼0.5㎜로 설정되어 있다. 보링 다듬질바이트에 의한 다듬질 절삭 치수, 1방향으로부터의 가공에 있어서의 단차 조건, 단부의 기능 유지 등의 관점에서 봐서, 이 정도의 치수가 최적이라고 생각된다.
(6)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단부(17)의 단차가 작으므로, 장치측 배관(P1)의 삽입구(11a) 및 접속 배관(P2)측의 삽입구(16)를 1방향으로부터 가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플링 본체(1)의 비용을 더욱 경감시킬 수 있다.
(7)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단부(17)에 있어서의 장치측 배관(P1)의 삽입구(11a)에 대향하는 단차면(17b)이, 삽입구(11a)의 마무리 가공에 사용되는 보링 다듬질바이트(6)의 날끝(6b)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삽입구(11a) 내주면의 가공과 동시에, 경사면을 이루는 단차면(17b)의 가공이 행해진다. 이것도 비용 경감에 기여할 수 있다.
(9) 장치측 배관(P1)이 구리관임과 더불어 커플링 본체(1)가 황동제이므로, 지장없이 소정대로의 강도로 납땜을 행할 수 있다.
(8)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페룰(3)에서는, 내주면에 있어서의 후단부 근방 의 위치에 페룰(3)을 전부와 후부로 이분하는 제2 노치(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제2 노치(36)를 사이에 끼고 페룰(3)의 전부와 후부가 중심을 향해 꺽이도록 구부러지기 쉽다. 이에 따라, 선단부의 엣지부(3b)와, 후단부의 엣지부(3c)가 접속 배관(P2)의 표면에 물리기 쉬워진다.
(9) 페룰(3)의 선단부에 제1 노치(35)가 형성되고, 이 제1 노치(35)의 선단 부분(3a)이, 결합 부재(2)를 수동 돌림으로 조임으로써, 접속 배관(P2)의 외주면과 삽입구(16)의 내주면의 사이의 간극에 밀어넣어진다. 따라서, 본 물림식 관 커플링은, 체결에 있어, 결합 부재(2)를 수동 돌림으로 조임으로써 페룰(3)의 선단 부분(3a)을 접속 배관(P2)의 외주면과 삽입구(16)의 내주면의 사이의 간극에 밀어넣어 접속 배관(P2)을 임시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결과, 결합 부재(2)를 체결 공구로 체결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기 전에 접속 배관(P2)이 임시 고정되어, 배관 접속 작업이 용이해진다.
(10) 결합 부재(2)의 기부(2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페룰(3)의 외주는, 보호 통부(23)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관 접속 전의 부품 보관 상태에 있어서, 페룰(3)을 손상시키는 것이 예방된다.
(11)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물림식 관 커플링을, 냉동 장치 및 온수 장치의 냉매 회로, 급수 회로, 급탕 회로 등에 사용할 수 있어, 이러한 냉동 장치 및 온수 장치의 비용 경감에 공헌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단부(17)가 장치측 배관(P1) 및 접속 배관(P2)의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는데,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위치 결정 수단이 다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장치측 배관(P1)의 외주에 돌출부(71)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측 배관(P1)의 외주에 환형상의 돌출부(71)가 돌출되어도 되고, 복수의 돌출부(71)가 부분적으로 돌출되어도 된다.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물림식 관 커플링에서는, 이러한 돌출부(71)가 설치됨과 더불어,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단부(17)가 생략되어 있다. 이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는, 장치측 배관(P1)의 삽입구(11a)와 접속 배관(P2)의 삽입구(16)가, 서로 연속함과 더불어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양 삽입구(11a, 16)의 가공은, 1방향으로부터 일련의 작업으로서 용이하게 행해진다. 접속 배관(P2)의 위치 결정은, 삽입구(16)에 접속 배관(P2)이 삽입되기 전에, 삽입구(11a)에 장치측 배관(P1)이 납땜되어 있으므로, 이 납땜된 장치측 배관(P1)의 선단에 접속 배관(P2)의 선단을 맞닿게 함으로써 행해진다.
(실시의 형태 3)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결합 부재(2)에 페룰(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커플링 본체에 페룰이 부착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물림식 관 커플링에서는, 커플링 본체(1)의 기부(13)로부터 돌출하는 축부(15)가 실시의 형태 1의 축부(15)에 비해 짧게 형성되고, 상기 축부(15)의 선단부에, 축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대략 산형상을 가지는 페룰(7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결합 부재(2)에서는, 보호 통부(23)가 제1의 실시 의 형태 1의 보호 통부(23)에 비해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 부재(2)의 중심부의 관통공(21)에 있어서 커플링 본체(1)에 대향하는 단부에 캠면(76)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이 물림식 관 커플링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인데,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페룰(75)은 커플링 본체(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체적으로 형성된 채로 커플링 본체(1)와 결합 부재(2)에 끼워 장착되어 접속 배관(P2)에 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예의 물림식 관 커플링에 있어서, 박육 벽부(101a)를 삽입구(107)의 끝까지 연장함과 더불어 단부(109)의 단차를 작게 한 경우는, 납땜 성능이 양호해진다. 그러나, 납땜을 위해서 사용되는 플럭스가 장치측 배관(106)의 삽입구(107)로부터 접속 배관(102)의 삽입구(108)로 비산하고, 비산한 플럭스가 캠면(105)에 부착된다. 그리고, 부착된 플럭스가 고형화하여 캠면(105)의 시일 기능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페룰이 커플링 본체에 형성되고, 캠면이 결합 부재에 형성된 물림식 관 커플링에 있어서는, 플럭스가 장치측 배관의 삽입구로부터 접속 배관의 삽입로에 비산하면, 페룰의 엣지부가 오염되어 엣지부의 시일 기능이 손상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는, 장치측 배관(P1)이 삽입되는 삽입구(11a)의 입구에 있어서의 외주 벽부에, 박육 벽부(11b)가 삽입구(11a)의 입구로부터, 삽입구(11a)의 선단보다 입구측에 위치함과 더불어 삽입구(11a)의 선단 근방까지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물림식 관 커플링에 있어서는, 박육 벽부(11b)가 장치측 배관(P1)의 선단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장치측 배관(P1)의 납땜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또한, 박육 벽부(11b)가 삽입구(11a)의 입구로부터, 삽입구(11a)의 선단보다 입구측에 위치함과 더불어 삽입구(11a)의 선단 근방에 이르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단부(17)가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납땜에 사용되는 플럭스가 장치측 배관(P1)의 삽입구(11a)로부터 접속 배관(P2)의 삽입구(16)에 비산하지 않고, 페룰(75)의 엣지부(75a, 75b)가 오염되지도 않는다.
(변형예)
(1)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페룰(3, 75)은 결합 부재(2) 또는 커플링 본체(1)에 일체화되어 있는데, 일체화된 페룰(3, 75) 대신에, 종래예와 같이 독립의 페룰이 채용되어도 된다.
(2) 페룰(3)은, 공간(34), 제1 노치(35) 및 제2 노치(36)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페룰(3)은, 공간(34)과 제2 노치(36)만을 구비해도 되고, 또한, 공간(34)과 제1 노치(35)만을 구비해도 된다. 나아가, 제1 노치(35) 및 제2 노치(36)가 생략된 페룰이 채용되어도 된다.
(3)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커플링 본체(1)에 암나사(14a)가 형성됨과 더불어 결합 부재(2)에 수나사(22a)가 형성된 나사식 결합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커플링 본체와 결합 부재의 나사식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종래예와 같이, 커플링 본체(1)에 수나사가 형성됨과 더불어 결합 부재(2)에 암나사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그 경우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종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장치측 배관(P1)과 접속 배관(P2)의 사이즈가 동일한데, 장치측 배관(P1)보다 대경(大徑)의 접속 배관(P2)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실시의 형태 1 및 3에 있어서는, 접속 배관(P2)의 삽입구(16)에 대향하는 단차가 커진다.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는, 접속 배관(P2)의 삽입구(16)의 선단에 단부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단부에 의해 접속 배관(P2)의 위치 결정이 행해져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관 커플링은, 플레어식 관 커플링, 물림식 관 커플링 등의 관 커플링으로서 이용된다. 이들 관 커플링의 용도로는, 공기 조화기, 히트 펌프식 급탕 장치 등의 냉동 장치에 있어서 구리관을 사용하는 냉매 배관의 관 커플링, 급수 장치, 급탕 장치 등의 강관, 스테인레스 강관, 플라스틱관 등을 사용하는 수(水) 배관에 있어서의 관 커플링,그 외 용도의 배관에 있어서의 관 커플링 등을 들 수 있다.

Claims (11)

  1. 접속해야 할 접속 배관이 접속되는 장치에 부착되는 커플링(coupling) 본체와, 접속 배관에 외장(外裝)되어 커플링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와, 커플링 본체와 결합 부재의 사이에 끼워 장착되는 페룰과, 페룰의 선단부를 접속 배관에 물리도록 가이드하는 캠면을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 본체의 중심부에서, 상기 결합 부재에 대향하는 단부(端部)에는, 접속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에서, 결합 부재에 대향하는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장치측 배관이 삽입되어 땜납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장치측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의 입구의 외주 벽부에는, 외주가 커플링 본체의 기부(基部)의 외주보다도 작은 박육 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박육 벽부는, 삽입구의 입구로부터, 상기 삽입구의 선단보다 입구측에 위치함과 더불어 상기 삽입구의 선단 근방에 이르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림식 관 커플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배관 및 상기 접속 배관은, 그들의 접속 위치의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상기 삽입구에 대해 소정의 삽입 치수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림식 관 커플링.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접속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의 사이에서의 커플링 본체의 내주면에는, 장치측 배관과 접속 배관이 양측으로부터 맞닿도록 내주를 향해 돌출하는 단부(段部)가 형성되고,
    상기 단부와 각 삽입구의 내주면의 단차는, 양 배관의 두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림식 관 커플링.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양 삽입구는, 이들 삽입구가 가공되기 전에 상기 커플링 본체의 중심부에 가공된, 상기 단부의 내경(內徑)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하부 구멍에 대해서, 보링(boring) 다듬질바이트에 의해 내주면을 마무리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단부는, 상기 하부 구멍의 내주면 중, 보링 다듬질바이트에 의한 마무리 가공이 실시되지 않고 그대로 남겨진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림식 관 커플링.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부의 내경은, 상기 보링 다듬질바이트의 손잡이부 및 날끝을 포함하는 전체 높이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단부와 삽입구의 내주면의 단차는, 상기 보링 다듬질바이트의 날끝의 높이보다 작게 설정되며,
    상기 보링 다듬질바이트의 손잡이부는, 보링 마무리 가공에 견디는 굵기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림식 관 커플링.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단부와 삽입구의 내주면의 단차가 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림식 관 커플링.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부에서, 장치측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에 대향하는 단차면은, 상기 삽입구의 입구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차면은, 상기 보링 다듬질바이트의 날끝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림식 관 커플링.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배관의 외주에는, 상기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돌출부가 형성되고, 장치측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에 상기 돌출부가 맞닿음으로써 장치측 배관의 삽입 치수가 소정 치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림식 관 커플링.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배관은 구리관이며, 상기 커플링 본체는 황동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림식 관 커플링.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림식 관 커플링이 냉매 회로, 급수 회로, 또는 냉매 회로와 급수 회로의 양쪽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림식 관 커플링이 급탕 회로, 급수 회로, 또는 급탕 회로와 급수 회로의 양쪽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장치.
KR1020097022714A 2007-05-18 2008-05-14 물림식 관 커플링, 냉동 장치 및 온수 장치 KR201000032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33237 2007-05-18
JP2007133237A JP2008286338A (ja) 2007-05-18 2007-05-18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291A true KR20100003291A (ko) 2010-01-07

Family

ID=4003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714A KR20100003291A (ko) 2007-05-18 2008-05-14 물림식 관 커플링, 냉동 장치 및 온수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084861A1 (ko)
EP (1) EP2149734A1 (ko)
JP (1) JP2008286338A (ko)
KR (1) KR20100003291A (ko)
CN (1) CN101680581A (ko)
AU (1) AU2008252110A1 (ko)
WO (1) WO20081430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1093B2 (ja) * 2008-12-26 2014-01-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CN102853185A (zh) * 2012-09-15 2013-01-02 侯如升 一种一体式防漏接头装置
KR101412250B1 (ko) 2014-02-21 2014-06-25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커플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785Y2 (ko) * 1985-12-27 1990-02-05
JPH02214005A (ja) * 1989-02-14 1990-08-27 Sharp Corp 回転磁気ヘッドドラム装置
JPH02237734A (ja) * 1990-01-16 1990-09-20 Fanuc Ltd 主軸定位置停止制御装置
JPH04110286U (ja) * 1991-02-01 1992-09-24 太平洋工業株式会社 管継手
JPH1130368A (ja) * 1997-07-14 1999-02-02 Chiyoda Kucho Kiki Kk 配管継手
JP2000266248A (ja) * 1999-03-19 2000-09-26 Fujitsu General Ltd 配管の接続装置
IL148632A0 (en) * 1999-09-13 2002-09-12 Swagelok Co Tube fitting with indicating means
US6279242B1 (en) * 1999-09-13 2001-08-28 Swagelok Company Intrinsic gauging for tube fittings
US7194817B2 (en) * 1999-09-13 2007-03-27 Swagelok Company Intrinsic gauging for tube fittings
US6640457B2 (en) * 1999-09-13 2003-11-04 Swagelok Company Intrinsic gauging for tube fittings
JP4385519B2 (ja) * 2000-11-30 2009-12-1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切削工具
JP2005036947A (ja) * 2003-07-18 2005-02-10 Ihara Science Corp 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43098A1 (ja) 2008-11-27
US20100084861A1 (en) 2010-04-08
CN101680581A (zh) 2010-03-24
EP2149734A1 (en) 2010-02-03
JP2008286338A (ja) 2008-11-27
AU2008252110A1 (en) 200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177B1 (ko) 물림식 관 조인트, 냉동 장치 및 온수 장치
JP5012118B2 (ja)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EP2189699B1 (en) Duplex pipe fitting, refrigeration system and separation type air conditioner employing the duplex pipe fitting, respectively
WO2007063801A1 (ja) 管継手
JP2010048409A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2005036947A (ja) 管継手
EP2180221A1 (en) Bite type pipe connection structure, valve, bite type pipe joint, and freezing device
KR20100003291A (ko) 물림식 관 커플링, 냉동 장치 및 온수 장치
KR20110097873A (ko) 물림식 관 접속 구조, 밸브, 물림식 관 조인트 및 냉동 장치
JP2008286337A (ja)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JP4730079B2 (ja) フレア式管継手兼用の食い込み式管継手
JP2009085430A (ja) 管継手及びこれを用いた冷凍装置
JP2007218300A (ja) 管継手、冷凍装置、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及び給水配管
WO2010010885A1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その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を用いた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4858372B2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2009068565A (ja) 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4935444B2 (ja)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JP2009085343A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4998029B2 (ja)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JP5320884B2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4656210B2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2010060047A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2009085342A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2009150443A (ja) 管接続構造、弁、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2009150442A (ja) 管接続構造、弁、管継手及び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