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250B1 -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250B1
KR101412250B1 KR1020140020113A KR20140020113A KR101412250B1 KR 101412250 B1 KR101412250 B1 KR 101412250B1 KR 1020140020113 A KR1020140020113 A KR 1020140020113A KR 20140020113 A KR20140020113 A KR 20140020113A KR 101412250 B1 KR101412250 B1 KR 101412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portion
coupling
coupler
fixing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박철종
함창희
Original Assignee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0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16L39/02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for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커플링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플링 장치는, 제1 커플러를 구비하는 제1 결합부와, 제1 커플러와 결합하는 제2 커플러를 구비하고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와, 회전에 의해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상호 결합 또는 분리하는 조작부와,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상호 결합한 경우, 조작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의한 조작부의 회전 제한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조작부가 회전하여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상호 분리될 수 있게 하는 해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플링 장치{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플링 장치(coupling device)는 하나의 대상을 다른 대상에 결합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커플링 장치는 냉매(refrigerant)가 흐르는 하나의 관을 다른 관에 연결할 때 사용되는데, 이때 커플링 장치는 상호 연결하기 위한 관의 단부에 각각 결합된 후 필요한 경우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상호 결합된 관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커플링 장치를 해제하면 된다.
이와 같이 커플링 장치는 사용 과정에서 상호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게 되기 때문에, 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커플링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커플링 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 결합력이 강해서 그 결합 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는 커플링 장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329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커플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플링 장치는, 제1 커플러를 구비하는 제1 결합부와, 제1 커플러와 결합하는 제2 커플러를 구비하고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와, 회전에 의해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상호 결합 또는 분리하는 조작부와,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상호 결합한 경우, 조작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의한 조작부의 회전 제한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조작부가 회전하여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상호 분리될 수 있게 하는 해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작레버 - 조작레버는 가이드홈을 구비함 -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조작레버의 회전에 의해서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가이드홈은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홈은 조작레버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돌기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중 다른 하나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에는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은 가이드홈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는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고정핀을 구비하고, 조작레버는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홀을 구비하며, 조작레버의 회전에 의해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상호 결합하는 경우, 고정핀은 탄성적으로 돌출되어서 고정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해제부는, 고정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핀을 후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커플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커플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커플링 장치의 제1 결합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제1 결합부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예시된 제1 결합부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의 고정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의 조작부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예시된 커플링 장치의 제2 결합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 따른 고정부 및 해제부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상태에 따른 조작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 따른 고정부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상태에 따른 조작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100)를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완전히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 1에 예시된 커플링 장치(100)는, 상호 결합하는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결합부(110)에는 조작부(150)에 해당하는 조작레버(15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조작레버(151)의 일 측에는 해제부(17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조작레버(151)의 내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고정부(도 3의 도면부호 140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제1 결합부(110)에는 제1 커플러(132, 134, 136)가 전면 및 후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제1 커플러(132, 134, 136) 중에서, 제2 결합부(180)와의 결합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제2 결합부(180)에 형성된 연결홈(도 7의 도면부호 184, 186, 188 참조)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제1 결합부의 제1 커플러(132, 134, 136)는 제2 결합부(180)의 제2 커플러(189, 191, 193)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커플러(132, 134, 136) 중에서, 제2 결합부(180)와의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제1 장치(예를 들면, 파이프, 케이블 또는 전선 등)(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 2 결합부(180)의 제2 커플러(189, 191, 193)에는 제2 장치(예를 들면, 파이프, 케이블 또는 전선 등)(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100)는 제1 장치 및 제2 장치를 상호 연결 또는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제1 장치 및 제2 장치는 그 내부에 고압의 냉매가 주입되어 있는 파이프 또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케이블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100)는, 조작레버(151)를 구비하는 조작부(150)의 회전에 의해서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를 상호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100)는,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상호 결합한 경우 고정부(140)가 자동으로 조작레버(151)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100)는, 해제부(170)의 버튼헤드(172)를 눌러주기만 하면 고정부(140)에 의한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겨합부(180)가 자동으로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100)는 그 결합 이 용이하고,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분리도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부(110)에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커플링 장치(100)의 제1 결합부(11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제1 결합부(110)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예시된 제1 결합부(110)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110)는 제2 결합부(180)와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그 둘레에는 조작부(150)가 구비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고정부(140)가 구비되어 있다.
제1 결합부(11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내부결합면(112) 및 외부결합면(114)을 구비한다. 내부결합면(112)은 제2 결합부(180)와 접하는 면에 해당하고, 외부결합면(114)은 내부결합면(112)에 대향하는 면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1 결합부(110)는 금속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그 표면에는 니켈 등에 의한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10)는 다수 개의 제1 커플러(132, 134, 136)를 구비하는데, 제1 커플러(132, 134, 136)는 제1 결합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 커플러(132, 134, 136)는 내부결합면(112) 및 외부결합면(114)에서 각각 돌출된다.
제1 결합부(110)는 다수 개의 관통공(116)을 갖는다. 관통공(116)은 제1 결합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제2 결합부(180)와의 결합시 가이드핀(194)이 삽입된다. 가이드핀(194)이 관통공(116)을 관통함으로써,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안정적으로 상호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100)에서, 관통공(116)은 제1 결합부(110)에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핀(194)은 제2 결합부(180)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관통공(116) 및 가이드핀(194)의 위치는 상호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결합부(110)의 양 측면에는 스토퍼(12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토퍼(124)는 조작레버(151)의 단턱(163)에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조작레버(151)의 회전이 제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110)의 양 측면에는 회전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홈(126)에는, 조작레버(151)의 회전 중심축(도면부호 없음)이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조작레버(151)는 회전홈(126)을 중심으로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110)의 일 측면에는 삽입홈(128)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128)에는 도 5에 예시된 고정부(140)가 삽입된다. 고정부(140)의 고정핀(142)은 조작레버(151)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홀(158)에 삽입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서 조작레버(151)의 회전이 제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100)의 고정부(14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140)는 고정핀(142)과 탄성부재(146)를 구비한다.
고정핀(142)은 삽입홈(128)의 외부로 돌출되어 조작레버(151)의 고정홀(158)에 삽입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고정핀(142)의 후방에는 탄성부재(146)가 구비되어 있는데, 탄성부재(146)는 고정핀(142)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상호 결합하기 이전의 경우, 고정핀(142)은 조작레버(151)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된다(도 9 참조). 그리고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상호 결합한 경우, 고정핀(142)은 조작레버(151)에 형성된 고정홀(158)에 삽입된다. 고정홀(158)에 삽입된 고정핀(142)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탄성부재(146)의 가압력에 의해서 고정홀(158)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100)의 조작부(150)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커플링 장치(100)의 제2 결합부(18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조작부(150)는 조작레버(151)를 포함하고, 조작레버(151)는 대칭적으로 형성된 제1 조작레버(152) 및 제2 조작레버(16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조작레버(152) 및 제2 조작레버(164)의 내측에는 호(arc) 형상의 가이드홈(15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50)는 가이드홈(154)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168)를 포함한다. 조작레버(151)의 회전에 의해서 가이드홈(154)의 내부에서 가이드돌기(168)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80)가 상호 결합하게 된다.
제1 조작레버(152) 및 제2 조작레버(164)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데, 다만 제1 조작레버(152)에는 고정홀(158)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제1 조작레버(152) 및 제2 조작레버(164)는 가이드홈(154), 회전중심(156) 및 걸림돌기(162)를 구비한다.
가이드홈(154)은 제1 조작레버(152) 및 제2 조작레버(164)의 내측에 형성된 호(arc) 형상의 홈에 해당한다. 가이드홈(154)의 폭은, 그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가이드돌기(168)의 직경에 비해 다소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홈(154)의 길이는, 도 10 및 도 13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80)가 완전히 결합하는 경우, 가이드돌기(168)가 그 단부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가이드홈(154)의 양단부에는 약간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155)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안착홈(155)에는 가이드돌기(168)가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결합하기 이전(도 10 참조) 그리고 완전히 결합한 이후(도 13 참조) 가이드돌기(168)가 가이드홈(154)에서 이동하는 것이 어느 정도 제한될 수 있다.
가이드홈(154)은 호 형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곡선 형상 또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54)이 곡선의 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의 상호 결합 및 분리를 위한 조작레버(151)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중심(156)은 제1 조작레버(152) 및 제2 조작레버(164)의 회전 중심에 해당한다. 회전중심(156)에 삽입된 회전 중심축(도면부호 없음)은, 제1 결합부(110)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홈(126)에 삽입된다.
고정홀(158)은 제1 조작레버(152)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고정부(140)의 고정핀(142)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158)에는 해제부(170)의 버튼바디(174)가 삽입되어 있다. 버튼바디(174)가 고정홀(158)의 내부에서 고정핀(142)을 가압하여 후방(삽입홈(128)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상호 결합된 제1 커플러(132, 134, 136) 그리고 제2 커플러(189, 191, 193) 상호간의 강한 반발력에 의해서 조작레버(151)가 회전하면서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상호 분리된다.
제1 조작레버(152)의 외측면에서 고정홀(158)의 입구에는 걸림돌기(162)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162)는 도 9 및 도 1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해제부(170)의 버튼바디(174)가 걸리게 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버튼바디(174)가 걸림돌기(162)에 걸리게 됨으로써, 버튼바디(174)가 고정홀(15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조작레버(152) 및 제2 조작레버(164)는 바(bar) 형상의 연결부(166)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돌기(168)는 제2 결합부(180)의 양 측면에서 외향 돌출된 것으로, 조작레버(151)의 가이드홈(154)에 삽입된다. 조작레버(151)의 회전으로 인해서, 가이드돌기(168)가 가이드홈(154)의 내부를 따라서 이동하면,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 사이의 거리가 점차 축소되면서 결과적으로 상호 밀착 결합하게 된다. 즉, 조작레버(151)의 회전에 의해서 가이드홈(154)의 내측면(153)이 가이드돌기(168)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가이드돌기(168)는 가이드홈(154)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상호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결합부(180)는 제1 결합부(110)와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다수 개의 연결홈(184, 186, 188) 및 제2 커플러(189, 191, 193)를 포함한다. 연결홈(184, 186, 188)은 제2 커플러(189, 191, 193)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완전 결합되면, 연결홈(184, 186, 188)에 삽입되는 제1 커플러(132, 134, 136)는 제2 커플러(189, 191, 193)와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제1 커플러(132, 134, 136)에 연결된 제1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제2 커플러(189, 191, 193)에 연결된 제2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상호 연결된다.
제2 결합부(180)는 제1 결합부(110)와 동일하게 금속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표면에는 니켈 등에 의한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연결홈(184, 186, 188)에는 제1 커플러(132, 134, 136)가 삽입되어서 제2 커플러(189, 191, 193)와 연결되는데, 이 과정에서 제1 커플러(132, 134, 136)는 제2 커플러(189, 191, 193)를 강하게 압착하기 때문에, 제1 커플러(184, 186, 188)와 제2 커플러(189, 191, 193) 사이에는 강한 반발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발력은, 해제부(170)에 의해서 조작부(150)에 대한 고정부(14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제1 연결부(110) 및 제2 연결부(180)가 자동으로 상호 분리되도록 한다.
제2 결합부(180)의 내부결합면(182)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핀(194)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상호 결합하는 경우, 가이드핀(194)은 제1 결합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16)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제1 결합부(110)에 대한 제2 결합부(180)의 결합 과정에서 제2 결합부(180)를 제1 결합부(110)에 대해 정위치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제2 결합부(180)의 양 측면에는 원형의 가이드돌기(168)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100)의 해제부(17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해제부(170)는 조작레버(151)의 일 측에 구비되어, 조작레버(151)에 대한 고정부(14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 해제부(170)는 버튼헤드(172) 및 버튼바디(174)를 포함한다.
버튼헤드(172)는 조작레버(151)의 외측면에 노출된다. 그리고 버튼헤드(172)는 버튼바디(174)에 비해서 큰 직경을 갖는데, 이로 인해 버튼헤드(172)는 걸림돌기(162)에 걸리게 되어 고정홀(158)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된다.
버튼바디(174)는 조작레버(151)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홀(158)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버튼바디(174)는 고정홀(158)의 직경에 비해 다소 작은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버튼바디(174)는 걸림돌기(162)에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버튼바디(174)가 고정홀(158)에서 외측방향(도 3에서는 좌측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100)의 결합 및 분리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커플링 장치(100)의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상호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8은 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상태에 따른 고정부(140) 및 해제부(170)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상태에 대한 조작부(15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 내지 도 13은 커플링 장치(100)의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1은 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 따른 고정부(140) 및 해제부(170)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상태에 대한 조작부(15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서, 제2 결합부(180)의 가이드핀(194)을 제1 결합부(110)의 관통공(116)에 삽입한다. 이때, 조작레버(15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154)의 입구에는 제2 결합부(180)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168)가 도 10과 같이 삽입된다. 그리고 도 9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상호 결합되지 않은 경우, 고정부(140)의 고정핀(142)은 고정홀(158)에 삽입되지 않고 조작레버(151)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의 상태에서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80)를 상호 완전히 결합하기 위해서, 조작레버(151)를 일 방향(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조작레버(151)의 회전에 의해서 가이드돌기(168)는 가이드홈(154)을 따라서 그 단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완전히 결합된다.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완전히 결합된 경우,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168)는 가이드홈(154)의 단부에 위치한다.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완전히 결합된 경우,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40)의 고정핀(142)은 조작레버(151)의 고정홀(158)에 삽입된다. 즉, 조작레버(151)의 회전에 의해서 고정홀(158)이 고정핀(142)이 구비되어 있는 삽입홈(128)과 일치하게 되면, 탄성부재(146)의 탄성력에 의해서 고정핀(142)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고정홀(158)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다. 고정핀(142)이 고정홀(158)에 삽입됨으로써, 조작레버(151)가 회전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도 11 및 도 13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호 완전히 결합하면, 제1 커플러(132, 134, 136) 및 제2 커플러(189, 191, 193)가 상호 연결된다. 제1 커플러(132, 134, 136)는 제2 커플러(189, 191, 193)를 강하게 압착하면서 상호 연결되기 때문에, 양자 사이에는 강한 반발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커플러(132, 134, 136)와 제2 커플러(189, 191, 193) 사이의 반발력에 의해서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상호 분리된다. 그러나, 도 11 및 도 13의 상태에서는, 조작레버(151)가 고정부(140)에 의해서 회전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반발력에도 불구하고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가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호 결합된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13의 상태에서 조작레버(151)를 화살표 방향으로 돌려주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100)는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를 분리하기 위해서 조작레버(151)를 별도로 회전시키지 않고 해제부(170)의 버튼헤드(172)를 눌러 주기만 하면 된다.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버튼헤드(172)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버튼바디(174)가 고정핀(142)을 후퇴시켜서 고정홀(158)의 외부로 밀어낸다. 고정핀(142)이 고정홀(158)의 내부에서 빠지게 되면, 조작레버(151)에 대한 고정부(140)의 고정력이 상실되기 때문에, 상호 결합된 제1 커플러(132, 134, 136) 및 제2 커플러(189, 191, 193) 사이의 반발력에 의해서 조작레버(151)가 도 13의 화살표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조작레버(151)가 도 13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돌기(168)가 가이드홈(154)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도 10의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80)는 분리되고, 고정부(140)는 도 9의 상태로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커플링 장치 110: 제1 결합부
140: 고정부 150: 조작부
170: 해제부 180: 제2 결합부

Claims (8)

  1. 제1 커플러를 구비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커플러와 결합하는 제2 커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상호 결합 또는 분리하는 조작부;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상호 결합했을 때 상기 조작부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의한 상기 조작부의 회전 제한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부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에 의한 상기 조작부의 회전 제한 상태가 해제된 경우, 상기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 사이의 반발력에 의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분리되는 커플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작레버 - 상기 조작레버는 가이드홈을 구비함 -와,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호 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가이드홈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고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홀을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상호 결합한 경우, 상기 고정핀은 탄성적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고정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고정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고정핀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홀의 외부로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조작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버튼헤드와, 상기 버튼헤드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고정핀을 가압하는 버튼바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8. 삭제
KR1020140020113A 2014-02-21 2014-02-21 커플링 장치 KR101412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113A KR101412250B1 (ko) 2014-02-21 2014-02-21 커플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113A KR101412250B1 (ko) 2014-02-21 2014-02-21 커플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250B1 true KR101412250B1 (ko) 2014-06-25

Family

ID=5113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113A KR101412250B1 (ko) 2014-02-21 2014-02-21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2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062A (ko) * 2018-02-08 2019-08-19 (주)태성공업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KR20230091501A (ko) * 2021-12-16 2023-06-23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스톱래치 결합방식 멀티 유압커플러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3098A1 (ja) 2007-05-18 2008-11-27 Daikin Industries, Ltd.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KR100955055B1 (ko) 2007-12-31 2010-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KR101218130B1 (ko) * 2011-07-21 2013-01-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케이블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3098A1 (ja) 2007-05-18 2008-11-27 Daikin Industries, Ltd.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KR100955055B1 (ko) 2007-12-31 2010-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KR101218130B1 (ko) * 2011-07-21 2013-01-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케이블 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062A (ko) * 2018-02-08 2019-08-19 (주)태성공업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KR102029153B1 (ko) * 2018-02-08 2019-10-07 (주)태성공업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KR20230091501A (ko) * 2021-12-16 2023-06-23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스톱래치 결합방식 멀티 유압커플러 고정장치
KR102622650B1 (ko) 2021-12-16 2024-01-10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스톱래치 결합방식 멀티 유압커플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6956B2 (ja) 第一及び第二ラッチを持つ導管コネクタ
US6231089B1 (en) Two piece molded female coupling
US763213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inner and outer plug housings
JP2016106200A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1575896B1 (ko) 배관용 압착체결구
JP4970571B2 (ja) プッシュ・プル方式の差込式コネクター
TWI750865B (zh) 光學連接器與光學連接器模組及其操作方法
CN104425988A (zh) 带有弹簧操作的辅助锁的连接器组件
JP2008286349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US20080231045A1 (en) Quick-Action Coupling for Pipes
KR101412250B1 (ko) 커플링 장치
KR20170051901A (ko) 커넥터 조립체
JP6077333B2 (ja) ロックボール式管継手
JP6347438B2 (ja) コネクタ
JP2018535370A (ja) 確実な流体接続のための分割可能なリングを備える管状急速連結器
JP2009297511A (ja) 自動固定コネクターシステム用雌型連結器
US20120045924A1 (en) Flexible breakaway connector
CN103688421B (zh) 电连接器组件
WO2016103363A1 (ja) 携帯型電子機器におけるコネクター類の接続装置
US20070236005A1 (en) Fitting device for compressed air pipe
JP2014199811A (ja) ポジティブロックコネクタ連結器
JP6334672B2 (ja) ラッチ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7126863B2 (ja) 電気コネクタデバイス
TW201304304A (zh) 通訊用插頭
JP6951521B2 (ja) 人工心肺装置のためのラッチ機構を有する機器ドッキングインターフェ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