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062A -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062A
KR20190096062A KR1020180015548A KR20180015548A KR20190096062A KR 20190096062 A KR20190096062 A KR 20190096062A KR 1020180015548 A KR1020180015548 A KR 1020180015548A KR 20180015548 A KR20180015548 A KR 20180015548A KR 20190096062 A KR20190096062 A KR 20190096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hole
female
block
fix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153B1 (ko
Inventor
유계희
Original Assignee
(주)태성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성공업 filed Critical (주)태성공업
Priority to KR102018001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153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16L39/02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fo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8Joints tightened by eccentrics or rotatable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20Joints tightened by toggle-action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수커플러를 갖고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된 수고정블럭을 구비한 고정블럭부에 복수개의 암커플러를 갖고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된 암고정블럭을 구비한 착탈블럭부로 구성하여 고정블럭부에서 복수개의 수커플러를 갖는 수고정블럭과 착탈블럭부에서 복수개의 암커플러를 갖는 암고정블럭의 갯수를 하나에서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필요한 만큼 자유롭게 확장하여 수커플러들과 암커플러들이 손쉽게 결합 및 이탈하도록 하고, 이 수커플러들과 암커플러들이 서로 결합 및 이탈시 암,수커플러들의 내부에 잔존되어 외부로 유출된 유압오일이 수커플러가 장착되고 수고정블럭에 형성된 설치공의 내부에 공급되어 수용되는 유압오일을 설치공과 수고정블럭에 형성된 유압오일배출부를 통해 설치공의 내부에서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도록한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는;
하부에 유압호스가 구비된 수커플러를 구비한 수고정블럭이 안착프레임상에 안착된 고정블럭부와, 상기 고정블럭부의 양측에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와 연결설치된 회동핸들부재와, 상기 수커플러와 결합되도록 상부에 유압호스가 구비된 암커플러가 구비된 암고정블럭이 안착프레임상에 안착된 착탈블럭부로 구성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수커플러가 설치되게 복수개의 설치공을 구비한 상기 수고정블럭은 상기 안착프레임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커플러와 결합되는 상기 암커플러가 설치되게 복수개의 설치결합공을 구비한 상기 암고정블럭은 상기 안착프레임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에 구비된 수커플러와 암커플러가 서로 결합 및 이탈시 누출되어 배출되는 유압오일이 상기 설치공내에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 유압오일배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Multi-coupler}
본 발명은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블럭부에 양 수커플러를 구비한 수고정블럭과 착탈블럭부에 양 암커플러를 구비한 암고정블럭을 하나에서 하나이상인 다수개로 갯수를 필요한 수량만큼 자유롭게 확장하도록하여 암,수커플러들을 결합 및 이탈 시키고, 암수커플러들을 반복적으로 서로 결합 및 이탈시 암,수커플러들의 내부에 잔존되어 유출되는 유압오일을 설치공과 고정블럭에 형성된 유압오일배출부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 커플러 연결장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667983호(2016년 10월 14일 등록)『멀티 커플러 연결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
다수개의 유압호스가 연결되는 다수개의 암커플러(11)가 내측에 장착되고, 양측으로 회전부재(12)가 형성되며,상기 회전부재(12)의 주변으로 각각 제1,2이동구멍(13)(14)이 형성된 수고정블럭(10a)과, 상기 제1이동구멍(13)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1가이드부재(21)가 양측에 형성되고, 각 상기 암커플러(11)가 걸리는 걸림구멍(22)이 내측에 다수개 형성된 제1이동블럭(20)과, 상기 제2이동구멍(14)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가이드부재(31)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암커플러(11)를 마주보는 한쪽에는 다수개의 유압호스가 연결되고 걸림구멍(22)을 통과하는 다수개의 수커플러(32)가 장착된 제2이동블럭(30)과,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양측으로회전부재(12)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구멍(4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멍(41)의 주변으로 각각 제1,2가이드부재(21)(31)를 안내하여 제1,2이동블럭(20)(30)을 각각 승강 해주는 제1,2가이드구멍(42)(43)이 형성된 핸들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핸들부재(40)의 정/역회전으로 각각 제1,2이동블럭(20)(30)이 승강하여 다수개의 암커플러(11)와 다수개의 수커플러(32)가 동시에 연결 및 분리되며, 상기 수고정블럭(10a)은 회전부재(12)의 주변으로 출몰구멍(10b)을 더 형성하고, 상기 출몰구멍(10b)에는 스프링(10c)에 탄성 지지되는 걸림판(10d)을 설치하여, 상기 핸들부재(40)의 정회전으로 다수개의 암커플러(11)와 다수개의 수커플러(32) 연결시, 스프링(10c)의 탄성에 의해 출몰구멍(10b)에서 걸림판(10d)이 돌출되어 핸들부재(40)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핸들부재의 정/역회전으로 각각 제1,2이동블럭이 승강하여 다수개의 암커플러와 다수개의 수커플러가 동시에 연결 및 분리되고, 핸들부재의 정회전으로 다수개의 암커플러와 다수개의 수커플러가 연결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출몰구멍에서 돌출되는 걸림판에 핸들부재가 걸리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 및 많은 양의 유체 이동에 따른 흔들림에 의해 핸들부재가 조금이라도 역회전하는 것을 막아주며, 암커플러의 스틸 볼에 수커플러의 걸림홈이 걸려서 고정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 및 많은 양의 유체 이동에 따른 흔들림에 의해 암커플러와 수커플러가 분리되는 것을 막아주고, 스틸 볼이 연결몸체의 내부를 향할수록 안내구멍에 걸리고, 연결몸체의 외부를 향할수록 안내구멍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다수개의 암커플러와 다수개의 수커플러가 신속하게 동시에 연결 및 분리되는 멀티 커플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667983호(2016년 10월 14일 등록)
본 발명은 복수개의 수커플러를 갖고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된 수고정블럭을 구비한 고정블럭부에 복수개의 암커플러를 갖고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된 암고정블럭을 구비한 착탈블럭부로 구성하여 고정블럭부에서 복수개의 수커플러를 갖는 수고정블럭과 착탈블럭부에서 복수개의 암커플러를 갖는 암고정블럭의 갯수를 하나에서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필요한 만큼 자유롭게 확장하여 설치하여서, 수커플러들과 암커플러들이 손쉽게 결합 및 이탈하도록 하고, 이 수커플러들과 암커플러들이 서로 결합 및 이탈시 암,수커플러들의 내부에 잔존되어 외부로 유출된 유압오일이 수커플러가 장착되고 수고정블럭에 형성된 설치공의 내부에 공급되어 수용되는 유압오일을 설치공과 수고정블럭에 형성된 유압오일배출부를 통해 설치공의 내부에서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도록한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부에 유압호스가 구비된 수커플러를 구비한 수고정블럭이 안착프레임상에 안착된 고정블럭부와, 상기 고정블럭부의 양측에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와 연결설치된 회동핸들부재와, 상기 수커플러와 결합되도록 상부에 유압호스가 구비된 암커플러가 구비된 암고정블럭이 안착프레임상에 안착된 착탈블럭부로 구성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수커플러가 설치되게 복수개의 설치공을 구비한 상기 수고정블럭은 상기 안착프레임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커플러와 결합되는 상기 암커플러가 설치되게 복수개의 설치결합공을 구비한 상기 암고정블럭은 상기 안착프레임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에 구비된 수커플러와 암커플러가 서로 결합 및 이탈시 누출되어 배출되는 유압오일이 상기 설치공내에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 유압오일배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압오일배출부는 상기 수고정블럭의 측면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배출공과, 상기 수평배출공은 상기 설치공의 양측면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배출공의 중앙과 연통되게 상기 수고정블럭의 측면에 직각으로 형성된 수직배출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개로 측면이 밀착 설치된 상기 수고정블럭과, 상기 수고정블럭의 상기 수평배출공과, 상기 수고정블럭의 상기 수평배출공의 사이에 오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배출공의 양측가외둘레면에 오링이 설치될 수 있는 오링결합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 상기 설치공이 서로 연결되게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압호스를 구비한 수커플러를 복수개로 구비한 수고정블럭을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구비한 고정블럭부와, 유압호스를 구비한 암커플러를 복수개로 구비한 암고정블럭을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구비한 착탈블럭부로 구성하여 양 수커플러를 갖는 수고정블럭과 양 암커플러를 갖는 암고정블럭의 갯수를 하나에서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필요한 만큼 자유롭게 확장하여 이러하게 자유롭게 확장되는 수고정블럭의 양 암커플러와 암고정블럭의 양 수커플러가 손쉽게 결합 및 이탈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수커플러들과 암커플러들이 서로 결합 및 이탈시 암,수커플러들의 내부에 잔존되어 외부로 유출된 유압오일이 수커플러가 장착되고 수고정블럭에 형성된 설치공의 내부에 공급되어 수용되는 유압오일을 설치공과 수고정블럭에 형성된 유압오일배출부를 통해 설치공의 내부에서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여 설치공의 내부에 잔존하는 유압오일로 인해 암,수커플러와 연결되는 트랙터나 굴삭기 등과 같은 유체를 사용하는 농업 또는 건설장비에 잔존 유압오일이 침투하여 농업 또는 건설장비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안착프레임의 상부에 다수개로 서로 밀착설치된 수고정블럭들과 수고정블럭에 형성된 수평배출공과 수고정블럭에 형성된 수평배출공이 서로 연통될시 수평배출공과 수평배출공의 사이에 오링을 설치하여 수평배출공과 수평배출공을 통과하는 암,수커플러의 결합 및 이탈시 암,수커플러의 내부에 잔존하는 유압오일이 상기 수평배출공과 상기 수평배출공의 사이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개략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고정블럭과, 안착프레임과 회동핸들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개략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블럭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개략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고정블럭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블럭부의 유압오일배출부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고정블럭의 수평배출공과 수고정블럭의 수평배출공에 형성된 오링안착홈과 오링을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개략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고정블럭과, 안착프레임과, 회동핸들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개략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블럭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개략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고정블럭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블럭부의 유압오일배출부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고정블럭의 수평배출공과 수고정블럭의 수평배출공에 형성된 오링안착홈과 오링을 나타낸 개략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는 고정블럭부(10)과, 회동부재(30)와, 회동핸들부재(40)와, 착탈블럭부(50)과, 유압오일배출부(6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블럭부(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블럭부(10)는 안착프레임(20a)의 상부면에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된 수고정블럭(10a)에 복수개로 형성된 설치공(11)과, 상기 설치공(11)에 설치되도록 하부에 유압호스(a)가 구비된 수커플러(1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블럭부(10)는 상기 수고정블럭(10a)이 1개에서 1개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1~3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갯수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고정블럭부(10)에 상기 수고정블럭(10a)을 하나에서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구성하도록하여 상기 고정블럭부(10)에 상기 수고정브럭(10a)을 필요한 만큼 확장을 자유롭게 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고정블럭(10a)에 복수개의 상기 설치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1)에 설치된 상기 수커플러(12)의 하부내측둘레에 삽입결합구(b)의 상부외측둘레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삽입결합구(b)의 하부에 유압호스(a)가 삽입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양 상기 설치공(11)은 서로 연결되게 연결부(11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양 상기 설치공(11)을 서로 연결되게 상기 연결부(11a)를 형성하는 것은,
양 상기 설치공(11)에 설치된 상기 수커플러(12)에 후술되는 암커플러(51)가 결합시 암,수커플러(51,12)의 내부에 잔존하여 내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유압오일이 양 설치공(11)의 내부에서 유동되게 하여 후술되는 유압오일배출부(60)를 상기 설치공(11)에 형성하여 양 상기 설치공(11)에 누유되어 유출된 유압오일을 양 상기 설치공(11)중 선택된 상기 설치공(11)에 형성된 상기 유압오일배출부(60)를 통해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하여 양 상기 설치공(11)에 누유되어 유출된 유압오일로 인해 트랙터나 굴삭기 등과 같은 유체를 사용하는 농업 또는 건설장비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착프레임(20a)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고정블럭(10a)이 다수개로 서로 밀착되게 상부에 고정설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설치공(11)과 연통되게 상부면에 다수개의 연통공(2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통공(21)은 상기 수고정블럭(10a)들의 상기 수커플러(12) 갯수와 대응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수고정블럭(10a)들이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전,후방으로 절곡형성된 전,후방절곡편(22a,22b)의 사이에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전,후방이 위치하여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설치공(11)의 내부에 고정설치된 상기 수커플러(11)의 하부 내측둘레에는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상기 연통공(21)에 나사결합된 상기 삽입결합구(b)의 상부가 나사결합되어 구성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상기 연통공(21)에 나사결합된 상기 삽입결합구(b)의 상부가 상기 연통공(21)의 상부에 노출되어 이 상기 삽입결합구(b)의 노출부의 외측둘레가 상기 수커플러(11)의 하부 내측둘레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안착된 상기 수고정블럭(10a)들중 최좌측의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외측면과, 상기 수고정블럭(10a)들중 최우측의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외측면에 후술되는 회동부재(30)가 관통결합되어 설치되고, 이 양 상기 회동부재(30)가 후술되는 상기 회동핸들부재(60)의 회동부(41)에 관통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고정블럭(10a)이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상부면에 하나에서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설치구성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상부면 1~3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상부면에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갯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안착프레임(20a)에 하나에서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설치하는 것은,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상에서 상기 수고정블럭(10a)들의 갯수를 하나에서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필요한 만큼 자유롭게 확장하고, 상기 수고정블럭(10a)들에 설치된 많은 수의 상기 수커플러(12)들을 후술되는 착탈블럭부(50)들에 설치된 많은 수의 암커플러(51)들을 한번에 동시에 결합 및 이탈을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동부재(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30)는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수고정블럭(10a)들의 최좌측 수고정블럭(10a)의 좌측과, 최우측의 수고정블럭(10a)의 우측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회동부재(30)는 최좌측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좌측면과 최우측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우측면에 각각 형성된 나사공(31)에 머리부를 갖는 볼트(32)의 결합부(32b)가 나사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볼트(32)의 상기 결합부(32b)는 상기 나사공(31)에 결합되기 전에 후술되는 회동핸들부재(40)의 회동부(41)에 형성된 결합공(41a)에 먼저 결합되고 난 다음 상기 나사공(31)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회동핸들부재(40)는 도 1,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핸들부재(40)는 양 상기 회동부재(30)에 중앙이 관통결합된 회동부(41)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41)의 중앙에는 결합공(41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상기 결합공(41a)에 상기 회동부재(30)인 상기 볼트(32)의 상기 결합부(32b)가 먼저 삽입되고 다시 상기 수고정블럭(10a)에 형성된 나사공(31)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양 상기 회동바(41)의 일단에 연장형성된 회동지지대(42)로 구성된다.
양 상기 회동지지대(42)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손잡이(4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41)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41a)의 외측과 인접하여 만곡형성된 만곡이동공(4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만곡이동공(44)에는 후술되는 착탈블럭부(50)의 양측에 설치된 회동안내바(53)가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착탈블럭부(50)는 도 1, 도 2,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블럭부(50)는 상기 수고정블럭(10a)들에 구비된 상기 수커플러(12)들과 결합되게 상부에 유압호스(a)가 구비된 암커플러(51)가 설치되게 복수개로 설치된 설치결합공(52)을 구비한 암고정블럭(10b)들로 구성된다.
상기 암고정블럭(10b)들을 상부면에 하나에서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구비한 안착프레임(20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프레임(20b)의 상부면에서 상기 암고정블럭(10b)의 갯수를 하나에서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그 갯수를 필요한 만큼 자유롭게 확장하여 하나에서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자유롭게 확장되는 상기 수고정블럭(10b)과 같이 구성하여 상기 암고정블럭(10b)과 상기 수고정블럭(10a)을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착프레임(20b)의 상부에는 하나에서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갯수를 자유롭게 확장하여 구성하나, 본 발명의 상기 안착프레임(20b)의 상부에 1~3개의 상기 암고정블럭(10b)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암고정블럭(10b)이 상기 안착프레임(20b)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갯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안착프레임(20b)에는 다수개의 연통공(21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통공(21b)의 갯수른 상기 암고정블럭(10b)들의 상기 암커플러(51)의 갯수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통공(21b)의 상부는 상기 설치결합공(52)과 연통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설치결합공(52)에 설치된 상기 암커플러(51)의 하부내측둘레에 상기 연통공(21b)을 통과한 상기 삽입결합구(b)의 상부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삽입결합구(b)의 하부에 유압호스(a)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암고정블럭(10b)들중 최좌측의 상기 암고정블럭(10b) 우측과, 최우측의 상기 암고정블럭(10b) 좌측에 에 회동안내바(53)가 수평으로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동안내바(53)의 외측둘레는 상기 회동부(41)의 둘레에 만곡 형성된 만곡이동공(44)의 내측둘레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안내바(53)의 외측둘레가 상기 만곡이동공(44)의 내측둘레에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양측에 상기 회동부(41)와, 상기 회동지지대(42)가 구비되고 양 상기 회동지지대(42)를 연결하는 상기 수평손잡이(42)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상부에 다수개의 상기 수고정블럭(10a)이 설치되고, 상기 수고정블럭(10a)들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회동부재(30)가 양 상기 회동부(41)의 상기 결합공(41a)에 결합된 후,
상기 고정블럭부(10) 상기 수고정블럭(10a)들의 상기 설치공(11)들에 구비된 상기 수커플러(12)들에 상기 착탈블럭부(50) 상기암고정블럭(10b)들의 상기 설치결합공(52)에 설치된 상기 암커플러(51)들을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블럭부(10)의 상부면과 상기 착탈블럭부(50)의 하부면을 결합하고 난 다음에,
상기 고정블럭부(10)의 상부면에서 상기 착탈블럭부(50)의 하부면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블럭부(10)의 양측에서 상기 회동부(41)와 상기 회동지지대(42)로 구성된 상기 회동핸들부재(40)를 회동시켜 상기 착탈블럭부(50)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회동안내바(53)가 상기 만곡이동공(44)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만곡이동공(44)의 상부내부에 고정되게 하여 상기 고정블럭부(10)와 상기 착탈블럭부(5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유지되게 하여서,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수커플러(12)들과 상기 착탈블럭부(50)의 상기 암고정브럭(10b) 상기 암커플러(51)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서로 결합을 유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압오일배출부(6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압오일배출부(60)는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11)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유압오일배출(60)는 상기 설치공(11)에 구비된 수커플러(12)와 암커플러(51)가 서로 결합 및 이탈시 상기 암,수커플러(51,12)의 내부에 잔존되어 배출되는 유압오일을 상기 설치공(11)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유압오일배출부(60)는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측면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배출공(61)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배출공(61)은 상기 설치공(11)의 양측면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배출공(61)의 중앙과 연통되게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측면에 직각으로 형성된 수직배출공(62)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상부면에 3개의 상기 수고정블럭(10a)이 설치될 경우 상기 수고정블럭(10a)에 형성된 양 상기 설치공(11)중의 하나의 상기 설치공(11)에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상기 수직배출공(62)을 형성하게 된다.
즉, 1개에서 3개이상의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설치공(11)에 형성된 상기 수평배출공(61)은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고, 1개에서 3개이상의 상기 수고정블럭(10a)들중 최좌측의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설치공(11)에 형성된 상기 수평배출공(61)의 좌측을 폐쇄하고 또한, 1개에서 3개이상의 상기 수고정블럭(10a)들중 최좌측의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설치공(11)에 형성된 상기 수평배출공(61)의 우측을 폐쇄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1개에서 3개이상의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설치공(11)에 형성된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연통되어 형성된 수직배출공(62)에 배출수단(미도시)을 설치하여 상기 설치공(11)들 내부에 공급되는 유압오일을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상기 수직배출공(61)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양 상기 설치공(11)은 상기 연결부(11a)로 연결되어 양 상기 설치공(11)의 내부에 유압오일 이동되어 양 상기 설치공(11)의 내부에 공급된 유압오일을 상기 설치공(11)에 형성된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연통되어 형성된 수직배출공(62)에 배출수단(미도시)을 설치하여 상기 설치공(11)들 내부에 공급되는 유압오일을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상기 수직배출공(61)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상기 수직배출공(62)으로 구성된 상기 유압오일배출부(60)를 상기 설치공(11)과 상기 수고정블럭(10a)에 연통되게 형성하여 양 상기 설치공(11)에 설치된 상기 수커플러(12)와 결합하는 암커플러(51)가 서로 결합 및 이탈시 상기 수커플러(12)와 상기 암커플러(51)의 내부에 잔존된 유압오일 누출되어 양 설치공(11)의 내부에 공급되고 이러하게 유입된 유압오일을 양 상기 설치공(11)의 내부에서 외부로 손쉽게 배출하여 상기 설치공(11)에 잔존하는 유압오일로 인해 상기 암,수커플러(51,12)와 연결되는 트랙터나 굴삭기 등과 같은 유체를 사용하는 농업 또는 건설장비에 잔존 유압오일이 침투하여 농업 또는 건설장비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하나에서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측면이 밀착 설치된 상기 수고정블럭(10a)과,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수평배출공(61)의 사이에 오링(63)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수평배출공(61)의 사이에 오링(63)이 설치되는 것은,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양 상기 설치공(11)에 유입 또는 잔존하는 유압오일이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수평배출공(61)의 사이로 통과시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상기 수평배출공(61)의 사이로 유압오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수평배출공(61)의 양측가외둘레면에 오링(63)이 설치될 수 있는 오링결합홈(63a)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평배출공(61)에 상기 오링결합홈(63a)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오링(63)의 외측둘레가 상기 오링결합홈(63a)의 내측둘레에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유지되어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수평배출공(61)의 사이에 상기 오링(63)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상기 수평배출공(61)의 사이에 유압오일이 유출되지 않고 안정되게 상기 수평배출공(61)들을 통과시키기위함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프레임(20a)에 상기 커버부(70)를 설치하여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상기 수고정블럭(10a)들의 상부면을 개페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70)는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전,후방에 절곡형성된 전,후방절곡편(22a,22b)으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절곡편(22b)의 중앙에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연결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연결부(22)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양측후방절곡편(23a,23b)으로 구성된다.
좌측 상기 양측후방절곡편(23a,23b)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구(71a)와, 우측 상기 양측후방절곡편(23a,23b)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구(71b)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또한, 양 상기 양측후방절곡편(23a,23b)과 양 상기 연결구(71a,71b)를 서로 관통하는 힌지핀(7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힌지핀(72)의 외측둘레에 삽입된 스프링(73)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연결부(22)의 후면을 지지하고 상기 스프링(73)의 우단(73b)은 상기 수직연결부(22)를 전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하는 상기 커버부(70)로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상에 설치된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설치공(11)에 설치된 상기 수커플러(12)들을 폐쇄했다 개방하는 것은,
상기 수고정블럭(10a)들의 상기 설치공(11)들에 설치된 상기 수커플러(12)와 상기 설치공(11)의 내부에 이물질이 상기 커버부(70)로 인해 들어가는 방지하여 상기 수커플러(12)와 상기 설치공(11)의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 상기 착탈블럭부(50)에 구비된 상기 암커플러(51)가 상기 수커플러(12)에 원할하게 결합되지 못하거나, 불안정으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블럭부(10)의 상기 안착프레임(20a)에 1개에서 3개이상의 상기 수고정블럭(10a)들에 형성된 상기 설치공(11)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수커플러(12)들에 상기 착탈블럭부(50)에 1개에서 3개이상의 상기 암고정블럭(10b)들에 복수개로 형성된 상기 설치결합공(51)의 설치된 상기 암커플러(51)를 서로 결합시켜주면, 상기 고정블럭부(10)의 상부면에 상기 착탈블럭부(50)의 하부가 서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블럭부(10)와 상기 착탈블럭부(50)를 결합하고 난 다음에 상기 고정블럭부(10)의 구성인 상기 수고정블럭(10a)들이 설치된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양측에 상기 회동부(41)와, 상기 회동지지대(42)와, 상기 수평손잡이(42)로 구비된 상기 회동핸들부재(40)를 구비하고 난 다음에,
상기 고정블럭부(10)의 양측에서 상기 회동부(41)와 상기 회동지지대(42)로 구성된 상기 회동핸들부재(40)를 회동시켜 상기 착탈블럭부(50)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회동안내바(53)가 상기 만곡이동공(44)의 내부에 고정되게 하여 상기 고정블럭부(10)와 상기 착탈블럭부(5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유지되게 하여준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블럭부(10)에 구비된 상기 수커플러(12)들과 상기 착탈블럭부(50)에 구비된 상기 암커플러(51)들을 반복적으로 결합 및 이탈을 장기간 하게 되면, 상기 암,수커플러(51,12)의 내부에 잔존된 유압오일이 상기 암,수커플러(51.12)의 외부로 누유 유출되어 상기 고정블럭부(10)의 상기 수커플러(12)가 설치되는 상기 설치공(11)들의 내부에 유압오일이 발생하게 된다.
이 유압오일을 상기 수고정블럭(10a)과 상기 설치공(11)에 연통되게 형성된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이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연통되게 형성된 상기 수직배출공(62)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수직배출공(62)에 별도의 배출수단(미도시)을 설치하여 상기 설치공(11)에 유입된 유압오일을 상기 배출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외부로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고정블럭부 10a: 암고정블럭
10b: 수고정블럭 11: 설치공
11a: 연결부 12: 수커플러
20a,29b: 안착프레임 21a,21b: 연통공
22; 수직연결부 22a: 전방절곡편
22b: 후방절곡편 23a,23b: 양측후방절곡편
30: 회동부재 40: 회동핸들부재
41: 회동부 42: 회동지지대
43: 수평손잡이 44: 만곡이동공
50: 착탈블럭부 51: 암커플러
52: 설치결합공 53: 회동안내바
60: 유압오일배출부 61: 수평배출공
62: 수직배출공 63: 오링
63a: 오링안착홈 70: 커버부
71a,71b: 연결구 72: 힌지핀
73: 스프링 73a: 좌단
73b: 우단 a: 유압호스

Claims (5)

  1. 하부에 유압호스(a)가 구비된 수커플러(12)를 구비한 수고정블럭(10a)이 안착프레임(20a)상에 안착된 고정블럭부(10)와, 상기 고정블럭부(10)의 양측에 설치된 회동부재(30)와, 상기 회동부재와 연결설치된 회동핸들부재(40)와, 상기 수커플러(13)와 결합되도록 상부에 유압호스(a)가 구비된 암커플러(51)가 구비된 암고정블럭(10b)이 안착프레임(20b)상에 안착된 착탈블럭부(50)로 구성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수커플러(12)가 설치되게 복수개의 설치공(11)을 구비한 상기 수고정블럭(10a)은 상기 안착프레임(20a)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커플러(12)와 결합되는 상기 암커플러(51)가 설치되게 복수개의 설치결합공(52)을 구비한 상기 암고정블럭(10b)은 상기 안착프레임(20b)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1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1)에 구비된 수커플러(12)와 암커플러(51)가 서로 결합 및 이탈시 누출되어 배출되는 유압오일이 상기 설치공(11)내에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 유압오일배출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유압오일배출부(60)는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측면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배출공(61)과, 상기 수평배출공(61)은 상기 설치공(11)의 양측면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배출공(61)의 중앙과 연통되게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측면에 직각으로 형성된 수직배출공(6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다수개로 측면이 밀착 설치된 상기 수고정블럭(10a)과,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수평배출공(61)과, 상기 수고정블럭(10a)의 상기 수평배출공(61)의 사이에 오링(6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배출공(61)의 양측가외둘레면에 오링(63)이 설치될 수 있는 오링결합홈(63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양 상기 설치공(11)이 서로 연결되게 연결부(1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KR1020180015548A 2018-02-08 2018-02-08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KR102029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548A KR102029153B1 (ko) 2018-02-08 2018-02-08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548A KR102029153B1 (ko) 2018-02-08 2018-02-08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062A true KR20190096062A (ko) 2019-08-19
KR102029153B1 KR102029153B1 (ko) 2019-10-07

Family

ID=67807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548A KR102029153B1 (ko) 2018-02-08 2018-02-08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5674B2 (en) 2020-12-18 2024-02-20 Deere & Company Multi-coupler and cover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333A (ko) * 2006-06-08 2006-07-31 주식회사 유니팩시스템 리프트유압장치용 밸브블럭
KR101412250B1 (ko) * 2014-02-21 2014-06-25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커플링 장치
KR101667983B1 (ko) 2015-05-18 2016-10-21 (주)태성공업 멀티 커플러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333A (ko) * 2006-06-08 2006-07-31 주식회사 유니팩시스템 리프트유압장치용 밸브블럭
KR101412250B1 (ko) * 2014-02-21 2014-06-25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커플링 장치
KR101667983B1 (ko) 2015-05-18 2016-10-21 (주)태성공업 멀티 커플러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5674B2 (en) 2020-12-18 2024-02-20 Deere & Company Multi-coupler and cover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153B1 (ko)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8559B2 (en) Plug-and-socket connection device
JP5087126B2 (ja) 拡張可能な気体又は液体分配システム
AU2006257635B2 (en) A connection arrangement
US9592518B2 (en) Jet diffuser device with quick-replaceable nozzle for irrigation systems
CA2172865A1 (en) Plural male and female fluid coupler connecting mechanism and method
KR102029153B1 (ko)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US5342098A (en) Multiple coupling device
US10107059B2 (en) Stab connec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13210102A (ja) 拡張可能な気体又は液体分配システム
JP6872358B2 (ja) 急速継手のための複式継手マニホールド
KR101667983B1 (ko) 멀티 커플러 연결장치
BR102014031834A2 (pt) sistema de conexão para conexão submarina
KR20110004978U (ko)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US20180142538A1 (en) Subsea horizontal connection arrangement
RU2007105871A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CA2435278C (en) Fluid coupler automatically uncouplable in an emergency
JP4935301B2 (ja) 油圧配管の圧抜き装置及び油圧配管構造
NO344856B1 (en) Misalignment Accommodating Hydraulic Coupler
KR102065668B1 (ko)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CN214458970U (zh) 一种管路接头、管线承载结构及衣物处理设备
AU2018435067B2 (en) Valve housing assembly
CN112323379A (zh) 一种管路接头、管线承载结构及衣物处理设备
CN212069190U (zh) 一种自动除垢花洒
KR20130112106A (ko) 굴삭기용 퀵 커플러
CN211513667U (zh) 一种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