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708A -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708A
KR20100002708A KR1020080062702A KR20080062702A KR20100002708A KR 20100002708 A KR20100002708 A KR 20100002708A KR 1020080062702 A KR1020080062702 A KR 1020080062702A KR 20080062702 A KR20080062702 A KR 20080062702A KR 20100002708 A KR20100002708 A KR 20100002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active region
charge storage
tunnel insulation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현
최정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2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708A/ko
Priority to US12/492,237 priority patent/US20090321811A1/en
Priority to CN200910139658A priority patent/CN101621078A/zh
Publication of KR2010000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harge-trapp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01L29/42332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with the floating gate formed by two or more non connected parts, e.g. multi-particles fl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 H01L29/51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with a compositional variation, e.g. multilayer structures
    • H01L29/513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with a compositional variation, e.g. multilayer structures the variation being perpendicular to the channel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 H01L29/7881Programmable transistors with only two possible levels of programmation
    • H01L29/7883Programmable transistors with only two possible levels of programmation charging by tunnelling of carriers, e.g. Fowler-Nordheim tunn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9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e.g. MNOS-memory trans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1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top-view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이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배치된 활성 영역, 활성 영역 상에 배치된 전하 저장 패턴, 전하 저장 패턴 상에 배치된 블로킹 절연 패턴, 블로킹 절연 패턴 상에 배치되고 활성 영역을 가로지르는 제어 게이트 전극, 및 활성 영역과 전하 저장 패턴 사이에 개재된 터널 절연 패턴을 포함하되, 터널 절연 패턴은 복층 구조를 가지고, 터널 절연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층은 제어 게이트 전극이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활성 영역의 상부 측면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된다.
복층 게이트 절연막, 복층 터널 절연막, 비휘발성, 플래시메모리, 누설전류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게이트 절연막 또는 터널 정연막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이다.
비휘발성 기억소자는 전원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도 저장된 정보가 소멸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소자이다. 대표적인 비휘발성 기억소자로서 플래시 기억소자는 제어게이트와 기판 사이에 개재된 전하저장패턴에 전하가 충전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 저장 특성이 향상된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 저장 특성이 향상된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배치된 활성 영역, 상기 활성 영역 상에 배치된 전하 저장 패턴, 상기 전하 저장 패턴 상에 배치된 블로킹 절연 패턴, 상기 블로킹 절연 패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활성 영역을 가로지르는 제어 게이트 전극, 및 상기 활성 영역과 상기 전하 저장 패턴 사이에 개재된 터널 절연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은 복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은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이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상기 활성 영역의 상부 측면보다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의 하나의 패턴은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이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의 다른 패턴보다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널 절연 패턴 중에서 상기 활성 영역과 직접 접촉하는 패턴의 밴드갭은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의 다른 패턴의 밴드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은 상기 활성 영역 상에 차례로 적층된 하부 터널 절연 패턴, 중간 터널 절연 패턴,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의 밴드갭이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 및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의 밴드갭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이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상기 전하 저장 패턴은 상기 활성 영역의 측면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이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전하 저장 패턴의 측면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은 실리콘산화막, 실리콘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SiON), 고유전물질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배치된 활성 영역, 상기 활성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활성 영역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활성영역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배치된 게이트 절연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은 상기 활성영역과 상기 게이트 전극이 중첩된 영역에서 복층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의 하나의 패턴은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의 다른 패턴보다 돌출 또는 함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영역과 상기 게이트 전극은 축전 기를 형성하고, 상기 축전기는 단위 면적당 정전용량이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축전기가 병렬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 게이트 절연 패턴, 중간 게이트 절연 패턴, 상부 게이트 절연패턴을 포함하되,상기 하부 중간 게이트 절연 패턴의 밴드갭은 상기 상부 게이트 절연 패턴 및 상기 하부 게이트 절연 패턴의 밴드갭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 게이트 절연 패턴, 중간 게이트 절연 패턴, 상부 게이트 절연패턴을 포함하되,상기 하부 중간 게이트 절연 패턴의 유전율은 상기 상부 게이트 절연 패턴 및 상기 하부 게이트 절연 패턴의 유전율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널 절연막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의 측면은 상기 활성 영역의 상부 측면보다 돌출 또는 함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활성 영역, 차례로 적층된 터널 절연 패턴, 및 전하 저장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하 저장 패턴 상에 배치된 블로킹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로킹 절연 패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활성 영역을 가로지르는 제어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활성 영역과 상기 전하 저장 패턴 사이에 개재된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은 복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은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이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상기 활성 영역의 상부 측면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활성 영역, 차례로 적층된 터널 절연 패턴, 및 전하 저장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차례로 복층의 터널 절연막, 전하 저장막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전하 저장막, 상기 터널 절연막,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을 차례로 패터닝하여 상기 전하 저장패턴, 상기 터널 절연 패턴, 및 상기 활성 영역을 한정하는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널 절연막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의 측면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 영역과 이웃한 활성 영역 사이의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활성 영역, 차례로 적층된 터널 절연 패턴, 및 전하 저장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차례로 복층의 터널 절연막, 전하 저장막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전하 저장막, 상기 터널 절연막, 상기 반도체 기판을 차례로 패터닝하여 상기 전하 저장패턴, 상기 터널 절연 패턴, 및 상기 활성 영역을 한정하는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활성 영역의 측면을 산화 및/또는 질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활성 영역과 이웃한 활성 영역 사이의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활성 영역, 차례로 적층된 터널 절연 패턴, 및 전하 저장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차례로 복층의 터널 절연막, 전하 저장막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전하 저장막, 상기 터널 절연막, 상기 반도체 기판을 차례로 패터닝하여 상기 전하 저장패턴, 상기 터널 절연 패턴, 및 상기 활성 영역을 한정하는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의 하면 및 측면, 및 상기 전하 저장 패턴의 측면 및 상부면을 산화 및/또는 질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활성 영역과 이웃한 활성 영역 사이의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활성 영역, 차례로 적층된 터널 절연 패턴, 및 전하 저장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렌치 측면 및 하면, 및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의 측면 및/또는 상기 전하 저장 패턴의 측면 및 상부면을 식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절연 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관통하여 상기 전하 저장 패턴과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을 연결하도록 버팅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터널 절연 패턴의 누설 전류는 감소되고, 상기 반도체 소자의 신뢰성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명세서에서, 돌출 또는 함몰은 기판과 같은 평면의 방향에서 하나의 층 또는 패턴의 측면이 서로 정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2a는 상기 낸드(NAND) 비휘발성 기억 소자의 회로도이다. 도 1b는 상기 낸드(NAND) 비휘발성 기억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d 는 도 1b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1)는 비트라인(BL)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셀 스트링(2)을 포함한다. 각 셀 스트링(2)은 제1 선택 트랜지스터로서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 제2 선택 트랜지스터로서 접지선택 트랜지스터(GST), 및 상기 선택 트랜지스터(SST,GST)들 사이에 직렬 연결된 복수의 셀 트랜지스터들(M1)를 포함한다. 상기 셀 트랜지스터들(M1)의 게이트들은 워드라인들(WL)에 연결된다. 상기 워드라인들(WL), 스트링 선택 라인(SSL), 및 접지 선택 라인(GSL)은 X-디코더에 연결된다.
도 1b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낸드(NAND) 비휘발성 기억 소자는 셀 영역을 구비하는 반도체 기판(100) 을 포함한다. 소자 분리막(160)이 상기 반도체 기판(100)에 배치된다. 상기 소자 분리막(160)은 활성영역(110)을 정의한다. 상기 소자 분리막(160)은 상기 활성 영역(110)과 이웃한 활성 영역 사이의 트렌치(180)를 채울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은 상기 활성영역(110)의 상부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160)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일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은 평탄화될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11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트링 선택 라인(SSL) 및 접지 선택 라인(GSL)이 상기 활성영역(110)을 가로지르고, 복수의 워드라인들(WL)이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 및 접지 선택 라인(GSL) 사이의 활성영역(110)을 가로지른다.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 접지 선택 라인(GSL), 및 워드라인(WL)은 상기 일 방향에 교차하는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셀 스트링 군은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 워드라인들(WL), 및 접지 선택 라인(GS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스트링 군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미러( mirror ) 대칭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 복수의 상기 워드라인들(WL), 및 상기 접지 선택 라인(GSL)의 양측의 활성영역(110)에 소오스 및 드레인에 해당하는 불순물 영역들(107)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들(WL) 및 상기 워드라인들(WL) 양측의 불순물 영역은 셀 트렌지스터를 구성하고, 상기 접지 선택 라인(GSL) 및 상기 접지 선택 라인(GSL) 양측의 불순물 영역은 접지 선택 트렌지스터(GST)를 구성한다.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 및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 양측의 불순물 영역은 스트링 선택 트렌지스터(SST)를 구성한다.
상기 워드라인들(WL) 각각은 블로킹 절연 패턴(140) 및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100)과 상기 워드라인들(WL) 사이에 터널 절연 패턴(120)과 전하 저장 패턴(13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50)이 상기 활성영역(110)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은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의 측면보다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의 측면과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은 서로 정렬될 수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보다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은 열산화막으로 5 내지 100Å 두께일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은 ISSG(In-Situ Steam Generation)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챔버 내에 수소 및 산소를 주입하여 850 내지 900℃의 온도에서 5 내지 100 Torr 압력하에서 산화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은 실리콘 산화막에 한정되는 아니며, 실리콘 산화질화막 및 금속 산화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은 화학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CVD) 또는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on: ALD)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 및 고유전체 물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전체 물질은 알루미늄 산화막(Al2O3), 하프늄산화막(HfO2), 하프늄알루미늄산화막(HfAlO), 하프늄실리콘산화막(HfSiO), 지르코늄산화막(ZrO2) 또는 탄탈륨 산화막(Ta2O5)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의 밴드 갭은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의 밴드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의 유전율은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의 유전율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은 화학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CVD) 또는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on: ALD)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 및 금속 산화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 상에 전하 저장 패턴(1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트랩들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은 유전체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은 실리콘 질화막, 금속 퀀텀 돗, 실리콘 퀀텀 돗, 금속, 도핑된 실리콘, 도핑된 게르마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순수한 금속 및 금속혼합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은 나노 결정 실리콘(nano crystalline silicon), 나노 결정 실리콘게르마늄(nano crystalline silicon germanium), 나노 결정 금속(nano crystalline metal), 게르마늄 퀀텀 돗(Ge quantum dot), 금속 퀀텀 돗(metal quantum dot), 실리콘 퀀텀 돗(silicon quantum dot)을 구비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은 금속 도핑을 통하여 금속 트랩 사이트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은 전하 저장막(미도시) 형성 후 습식 산화 공정을 통하여 상기 전하 저장막의 에너지 밴드 내에 깊은 트랩 위치(deep trap site)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은 단층 구조에 한하지 않고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과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이 도전체인 경우,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은 상기 활성 영역(110)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이 유전체인 경우,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은 상기 활성 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은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과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은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 및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의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은 상기 활성영역의 상부 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절연 패턴(140)은 고유전체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전체막은 실리콘 산화막 보다 유전율이 큰 물질일 수 있다. 상기 고유전체막은 커플링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블로킹 절연 패턴(140)은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로킹 절연 패턴(140)은 실리콘 산화막 보다 높은 유전율을 가지는 금속 산화막, 금속 질화막, 금속 산화질화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막은 알루미늄 산화막, 하프늄 산화막, 지르코늄 산화막, 하푸늄 알루미늄 산화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50)은 차례로 적층된 베리어 금속/고일함수 금속, 고일함수 금속/베리어 금속/금속, 도핑된 폴리실리콘/베리어 금속/금속, 금속/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도핑된 폴리 실리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금속은 금속 질화막, 및 금속 산화질화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50) 상에는 하부 층간 절연막(172) 및 상부 층간 절연막(17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층간 절연막(174) 상에 비트라인(BL)이 상기 활성 영역(110)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50)과 상기 블로킹 절연 패턴(140)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110)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은 상기 블로킹 절연 패턴(140)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이 유전체인 경우, 상기 블로킹 절연 패턴(140)은 패터닝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접지 선택 라인(GSL) 및 상기 스트링 선택 선택 라인(SSL)는 상기 워드라인들(WL)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과 상기 접지 선택 라인(GSL)의 선폭은 상기 워드라인들(WL)의 선폭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과 상기 접지 선택 라인(GSL)의 선폭은 상기 워드라인들(WL) 에 비하여 클 수 있다. 상기 스트링 선택 라인(SSL) 및 상기 접지 선택 라인(GSL)에서 상기 블로킹 절연 패턴(14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되어 상기 전하 저장 패턴(140)과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50)이 서로 접촉하도록 버팅 콘택(BUTTING CONTACT)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 전하 저장 패턴(130), 상기 블로킹 절연 패턴(140)에 대응되는 상기 접지 및 스트링 선택 라인(GSL,SSL)내의 층들은 상기 접지 및 스트링 선택 트렌지스터들의 게이트 절연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의 소오스에 공통 소오스 라인(CSL)이 배치되고, 상기 공통 소오스 라인(CSL)은 상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의 드레인에 비트라인 콘택(BC)이 배치된다. 상기 비트라인 콘택(BC)을 채우는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는 상기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비트라인(BL)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구조 및 개념은 노아(NOR) 비휘발성 기억 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셀 영역의 단면도 및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100) 상에 배치된 활성 영역(110), 상기 활성 영역(110) 상에 배치된 전하 저장 패턴(130),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배치된 블로킹 절연 패턴(140), 상기 블로킹 절연 패턴(140) 상 에 배치되고 상기 활성 영역(110)을 가로지르는 제어 게이트 전극(150), 및 상기 활성 영역(110)과 상기 전하 저장 패턴(120) 사이에 개재된 터널 절연 패턴(120)을 포함한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50)이 상기 활성 영역(110)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은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 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의 밴드갭은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밴드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의 유전율은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유전율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은 각각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 및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이 유전체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전하 트랩형 비휘발성 기억 소자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차례로 적층된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및 실리콘 산화막일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은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의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에 전하가 축적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50)에 양의 전압이 인가면, 전계는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50)에서 상기 활성 영역(110)의 방향으로 형성된다. 중심 영역(A 영역)에서 전자의 터널링 전류 밀도(JA)는 가장 자리 영역(B 영역)에서 전자의 터널링 전류 밀도(JB)보다 클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실선은 상기 중심 영역(A 영역)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고, 점선은 상기 가장 자리 영역(B 영역)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상기 활성 영역(110)과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사이의 전압 강하는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의 유전율에 의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심 영역(A)의 유효 유전율이 상기 가장 자리 영역(B)의 유효 유전율 보다 큰 경우, 상기 중심 영역(A)의 상기 전압 강하는 상기 가장 자리 영역(B)의 상기 전압 강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110)의 전자는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을 터널링 하여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에 축적될 수 있다. 상기 중심 영역(A)에서,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의 터널링 전류 밀도는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의 문턱 장벽의 높이와 터널링 길이에 의존할 수 있다. 상기 중심 영역(B)에서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의 밴드갭은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의 밴드갭보다 작을 수 있어, 상기 중심 영역(A)의 터널링 길이는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의 두께(t1)과 같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장 자리 영역(B)에서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은 제거되고, 제거된 공간은 실리콘 산화막인 소자 분리막(160)으로 채워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장 자리 영역(B)에서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실리콘 산화막만으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가장 자리 영역(B)의 터널링 길이(tB)는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의 두께(t1)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가장 자리 영역(B)의 터널링 길이(tB)는 상기 중심 영역(A)의 터널링 길이 보다 증가할 수 있다. 결국, 상기 가장 자리 영역(B)의 터널 전류 밀도(JB)는 상기 중심 영역(A)의 터널 전류 밀도(JA) 보다 작을 수 있다. 유사한 동작 원리는 리텐션 상태에도 적용될 수 있어, 리텐션 상태의 특성은 향상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는 도 1c의 일부일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에 트렌치(180)을 형성하여 활성영역(110)을 한정할 수 있다. 소자 분리막(160)은 상기 트렌치(180)를 채울 수 있다.상기 소자 분리막(160)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일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은 평탄화될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은 상기 활성영역(110)의 상부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110) 상에 터널절연 패턴(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 상에 전하 저장 패턴(1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180)의 하면 및 측면은 선택적 산화 공정에 의하여 산화되어 선택 산화 영역(1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산화 영역(112)의 두께는 수 nm 정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의 측면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 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블로킹 절연 패턴(140) 및 제어 게이트 전극(1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110)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의 폭은 상기 활성영역(110)의 상부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은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상부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과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은 서로 정렬될 수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은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의 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은 상기 활성 영역의 상부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상기 블로킹 절연 패턴(140) 및 제어 게이트 전극(150)이 차례로 콘포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에 트렌치(180)을 형성하여 활성영역(110)을 한정한다. 소자 분리막(160)은 상기 트렌치(180)를 채울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160)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일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160) 의 상부면은 상기 활성영역(110)의 상부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110) 상에 터널절연 패턴(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 및 상부 터널 절연패턴(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은 상기 하부 절연 패턴(122) 및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과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의 측면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 및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의 폭은 상기 하부 절연 패턴(122) 및 상부 절연 패턴(126)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 상에 전하 저장 패턴(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의 상부면은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은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블로킹 절연 패턴(140) 및 제어 게이트 전극(150)이 차례로 콘포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에 트렌치(180)을 형성하여 활성영역(110)을 한정한다. 소자 분리막(160)은 상기 트렌치(180)를 채울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은 상기 활성영역(110)의 상부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110) 상에 터널절연 패턴(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 및 상부 터널 절연패턴(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의 측면은 상기 하부 절연 패턴(122) 및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보다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 상에 전하 저장 패턴(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은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 및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의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은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의 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상부면은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블로킹 절연 패턴(140) 및 제어 게이트 전극(150)이 차례로 콘퍼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에 트렌치(180)을 형성하여 활성영역(110)을 한정한다. 소자 분리막(160)은 상기 트렌치(180)를 채울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은 상기 활성영역(110)의 상부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110) 상에 터널절연 패턴(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 및 상부 터널 절연패턴(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은 상기 하부 절연 패턴(122) 및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절연 패턴(122) 및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의 측면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 상에 전하 저장 패턴(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은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은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의 측면보다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은 도핑된 폴리실리콘일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은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상부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블로킹 절연 패턴(140) 및 제어 게이트 전극(150)이 콘퍼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에 트렌치(180)을 형성하여 활성영역(110)을 한정한다. 소자 분리막(160)은 상기 트렌치(180)를 채울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은 상기 활성영역(110)의 상부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110) 상에 터널절연 패턴(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 및 상부 터널 절연패턴(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의 측면은 상기 하부 절연 패턴(122)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보다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의 측면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 상에 전하 저장 패턴(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은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은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 의 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은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상부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은 도핑된 폴리실리콘일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블로킹 절연 패턴(140) 및 제어 게이트 전극(150)이 차례로 콘퍼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8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소자는 도 6에서 설명한 반도체 소자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블로킹 절연 패턴(140)은 전하 저장 패턴(140) 상에 버팅 콘택(1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50)은 상기 버팅 콘택(190)을 채울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는 기억 소자로 동작하지 않고, 통상의 트랜지스터로 동작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소자는 도 7에서 설명한 반도체 소자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반도체 소자의 블로킹 절연 패턴(140)은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버팅 콘택(1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게이트 전극(150)은 상기 버팅 콘택(190)을 채울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는 기억 소자로 동작하지 않고, 통상의 트랜지스터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주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III-III'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의 IV-IV'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을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200) 상에 배치된 활성 영역(210), 상기 활성 영역(210)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활성 영역(210) 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250), 및 상기 활성영역(210)과 상기 게이트 전극(250) 사이에 배치된 게이트 절연 패턴(220)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220)은 상기 활성영역(210)과 상기 게이트 전극(250)의 중첩된 영역에서 복층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220)의 하나의 패턴은 상기 게이트 전극(250)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220)의 다른 패턴보다 돌출 또는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210)과 상기 게이트 전극(250)은 축전기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축전기는 단위 면적당 정전용량이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축전기가 병렬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반도체 기판(200)에 트렌치(280)을 형성하여 활성영역(210)을 한정한다. 소자 분리막(260)은 상기 트렌치(280)를 채울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260)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일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260)의 상부면은 평탄화될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260)의 상부면은 상기 활성영역(210)의 상부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활성영역(210) 상에 게이트 절연 패턴(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220)은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220) 상에 게이트 전극(2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50)은 하부 게이트 전극(252) 및 상부 게이트 전극(25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 마스크 패턴(256)은 상기 상부 게이트 전극(25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258)는 상기 게이트 전극(25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220)은 셀 영역의 터널 절연 패턴(12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50)은 셀 영역의 블로킹 절연 패턴(140)이 제거되고, 셀 영역의 제어 게이트 전극(150)과 전하 저장패턴(130)이 접촉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부 게이트 전극(252)는 셀 영역의 전하 저장 패턴(13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게이트 전극(252)은 도전체일 수 있다. 상기 하부 게이트 전극(252)은 복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게이트 전극(252)은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금속 실리사이드, 도핑된 게르마늄, 도핑된 실리콘 게르마늄, 금속 화합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게이트 전극(252)의 측면은 상기 중간 게이트 절연 패턴(224)의 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게이트 전극(252)의 측면은 상기 상부 게이트 절연 패턴(226)의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게이트 전극(252)의 측면은 상기 활성영역(210)의 상부 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게이트 전극(254)은 상기 활성영역(210)을 가로지르면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게이트 전극(254)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 또는 상기 활성 영역(210)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상기 하부 게이트 전극(252)의 측면은 상기 상부 게이트 전극의 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게이트 전극(254)은 도전체일 수 있다. 상기 상부 게이트 전극(254)은 금속, 및 금속 화함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게이트 전극은 텅스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게이트 전극(252)과 상기 상부 게이트 전극(254) 사이에 도전성의 확산 방지용 베리어 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11c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차례로 터널 절연막(미도시), 전하 저장막(미도시), 및 하드 마스크막(미도시)을 적층한다. 상기 터널 절연막은 하부 터널 절연막, 중간 터널 절연막, 상부 터널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 전하 저장막, 터널 절연막, 및 반도체 기판(200)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하드 마스크 패턴(132), 전하 저장 패턴(130), 및 터널 절연패턴(120), 및 활성 영역(110)을 한정하는 트렌치(18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상기 패터닝에 의하여 제거된 부분은 트랜치(180)를 형성한다. 상기 패터닝은 포토 리소그라피 및 건식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막은 열산화막으로 5 내지 100Å 두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터널 절연막은 ISSG(In-Situ Steam Generation)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챔버 내에 수소 및 산소를 주입하여 850 내지 900℃의 온도에서 5 내지 100 Torr 압력하에서 산화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에 한정되는 아니며, 실리콘 산화질화막 및 금속 산화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막은 화학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CVD) 또는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on: ALD)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막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 및 고유전체 물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전체 물질은 알루미늄 산화막(Al2O3), 하프늄산화막(HfO2), 하프늄알루미늄산화막(HfAlO), 하프늄실리콘산화막(HfSiO), 지르코늄산화막(ZrO2) 또는 탄탈륨 산화막(Ta2O5)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막의 밴드갭은 상기 하부 터널 절연막의 밴드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막의 유전율은 상기 하부 터널 절연막의 유전율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막의 두께는 각각 상기 중간 터널 절연막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상부 터널 절연막은 화학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CVD) 또는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on: ALD)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터널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 및 금속 산화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터널 절연막의 밴드갭은 상기 중간 터널 절연막의 밴드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상부 터널 절연막의 유전율은 상기 중간 터널 절연막의 유전율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상부 터널 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중간 터널 절연막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트랩들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은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은 실리콘 질화막, 금속 퀀텀 돗, 실리콘 퀀텀 돗, 금속, 도핑된 실리콘, 도핑된 게르마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순수한 금속 및 금속혼합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은 나노 결정 실리콘(nano crystalline silicon), 나노 결정 실리콘게르마늄(nano crystalline silicon germanium), 나노 결정 금속(nano crystalline metal), 게르마늄 퀀텀 돗(Ge quantum dot), 금속 퀀텀 돗(metal quantum dot), 실리콘 퀀텀 돗(silicon quantum dot)을 구비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은 금속 도핑을 통하여 금속 트랩 사이트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전하 저장막은 전하 저장막 형성 후 습식 산화 공정을 통하여 상기 전하 저장막의 에너지 밴드 내에 깊은 트랩 위치(deep trap site)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은 단층 구조에 한하지 않고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는 상기 전하 저장막과 식각 선택비를 가지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을 선택적으로 식각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산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 및 상기 상부 절연 패턴(126) 이 각각 실리콘 산화막, 고유전체 물질, 및 실리콘 산화막인 경우,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의 측면은 선택적 등방성 식각에 의하여 리세스될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의 측면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터널 절연 패턴의 측면보다 함몰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상기 소자 분리막(160)은 상기 트렌치(180)를 채울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180)은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132)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100)은 평탄화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는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 또는 에치백 공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은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132)이 노출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 다. 이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132)은 선택적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다시 도 2a을 참조하면, 상기 소자 분리막(160)은 추가적으로 리세스되어,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은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상부면과 같은 높이일 수 있다. 블로킹 절연막(미도시) 및 제어 게이트 전극막(미도시)이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차례로 콘포멀하게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막 및 상기 블로킹 절연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제어 게이트 전극(150) 및 블로킹 절연 패턴(14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150)을 형성하고, 상기 블로킹 절연막은 패터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2a 내지 12c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차례로 터널 절연막, 전하 저장막, 및 하드 마스크막을 적층한다. 상기 터널 절연막은 하부 터널 절연막, 중간 터널 절연막, 상부 터널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 전하 저장막, 터널 절연막, 상기 반도체 기판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하드 마스크 패턴(132),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및 상기 터널 절연패턴(120), 및 활성 영역(110)을 한정하는 트렌치(18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터닝에 의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제거된 부분은 트랜치(180)를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 기판(200)의 상기 트렌치(180)의 측면 및 하부면을 선택적으로 산화시키어 선택 산화 영역(1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널 절연패턴(120)은 상기 활성영역(110)의 상부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소자 분리막(160)은 상기 트렌치(180)을 채우고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132)을 덮도록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은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132)이 노출될 때까지 평탄화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132)은 선택적 식각 공정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다시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블로킹 절연막 및 제어 게이트 전극막을 콘퍼멀하게 형성하고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제어 게이트 전극(140) 및 블로킹 절연 패턴(15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1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3a 내지 13c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차례로 터널 절연막, 전하 저장막, 및 하드 마스크막을 적층한다. 상기 터널 절연막은 하부 터널 절연막, 중간 터널 절연막, 상부 터널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 전하 저장막, 터널 절연막, 상기 반도체 기판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하드 마스크 패턴(132),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및 상기 터널 절연패턴(120), 및 활성 영역(110)을 한정하는 트렌치(18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터닝에 의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제거된 부분은 트랜치(180)를 형성한다.
상기 트렌치(180)의 측면 및 하부면을 선택적으로 산화시키어 선택 산화 영 역(1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산화 영역(112)은 선택적 등방성 식각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패턴(120)은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중간 터널 절연패턴(124),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또는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은 선택적 등방성 식각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선택적 산화 영역(112),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4)이 모두 실리콘 산화막인 경우, 상기 선택적 산화 영역(112),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의 일부는 동시에 선택적 등방성 식각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의 측면은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의 측면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소자 분리막(160)은 상기 트렌치(180)을 채우고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132)을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소자 분리막의 상부면은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132)이 노출될 때까지 평탄화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132)은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블로킹 절연막(미도시) 및 제어 게이트 전극막(미도시)을 차례로 콘퍼멀하게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막 및 상기 블로킹 절연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제어 게이트 전극(150) 및 블로킹 절연 패턴(14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4a 내지 14c, 및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 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선택 산화 영역(112)은 선택적 등방성 식각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의 측면 및/또는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은 선택적 등방성 식각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선택적 등방성 식각에 의하여,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또는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보다 함몰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14e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4a 내지 14e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차례로 터널 절연막(미도시), 전하 저장막(미도시)을 적층한다. 상기 터널 절연막은 하부 터널 절연막, 중간 터널 절연막, 상부 터널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은 폴리실리콘일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 터널 절연막, 상기 반도체 기판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전하 저장 패턴(130), 및 터널 절연패턴(120), 및 활성 영역(1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터닝에 의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제거된 부분은 트랜치(180)를 형성한다.
상기 트렌치(180)의 측면 및 하부면, 및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 및 상부면을 선택적으로 산화시키어 각각 선택 산화 영역(112) 및 전하 저장 산화 영역(13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산화 영역(112) 및 전하 저장 산화 영역(131)은 선택적 등방성 식각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은 선택적 등방성 식각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의 측면은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 상기 활성영역(110)의 상부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소자 분리막(160)은 상기 트렌치(180)을 채우고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을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은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이 노출될 때까지 평탄화될 수 있다.
다시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소자분리막(160)은 선택적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블로킹 절연막 및 제어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고,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제어 게이트 전극(150) 및 블로킹 절연 패턴(14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 산화 영역(112) 및 전하 저장 산화 영역(131)은 선택적 등방성 식각에 의하여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의 측면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 및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의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트렌치(180) 및 상기 전하 저장 산화 영역(131)을 덮도록 소자분리막(1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소자 분리막(160)은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이 노출되도록 평탄화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블로킹 절연막 및 제어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고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제어 게이트 전극(150) 및 블로킹 절연 패턴(14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15d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5a 내지 15d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차례로 터널 절연막(미도시) 및 전하 저장막(미도시)을 적층한다. 상기 터널 절연막은 하부 터널 절연막, 중간 터널 절연막, 상부 터널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은 폴리실리콘일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막, 터널 절연막, 상기 반도체 기판(100)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전하 저장 패턴(130), 터널 절연패턴(120), 및 활성 영역(110)을 한정하는 트렌치(18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 패턴(120)은 하부 터널 절연패턴(122),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의 측면은 선택적 등방성 식각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124)은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 및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126)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122)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상부 측면보다 함몰될 수 있다.
다시 도 7를 참조하면, 소자 분리막(160)은 상기 트렌치(180)을 채우고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을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은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이 노출되도록 평탄화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소자분리막(160)은 선택적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블로킹 절연막 및 제어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고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제어 게이트 전극(150) 및 블로킹 절연 패턴(14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6a 내지 16b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도 15a 내지 도 15c에서 설명된 공정을 통하여 형성된 결과물 상에 소자 분리막()을 트렌치(180)를 채우도록 형성한다. 상기 소자 분리막(160)은 전하 저장 패턴(130)을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소자 분리막(160)의 상부면은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이 노출되도록 평탄화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소자분리막(160)은 선택적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블로킹 절연막(141)을 콘퍼멀하게 형성한다. 상기 블로킹 절연막(141)을 패터닝하여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버팅 콘택(190)을 형성한다.
다시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버팅 콘택(190)을 채우도록 제어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막 및 상기 블로킹 절연막(141)을 패터닝하여 제어 게이트 전극(150) 및 블로킹 절연 패턴(14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17b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도 15a 내지 도 15d에서 설명된 공정을 통하여 형성된 결과물 상에, 블로킹 절연막(141)을 콘퍼멀하게 형성한다. 상기 블로킹 절연막(141)을 패터닝하여 상기 전하 저장 패턴(130) 상에 버팅 콘택(190)을 형성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버팅 콘택(190)을 채우도록 제어 게이트 전극막 을 형성한다.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막 및 상기 블로킹 절연막(141)을 패터닝하여 제어 게이트 전극(150) 및 블로킹 절연 패턴(140)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술한 실시예들에 개시된 반도체 소자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기억장치는 전자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기억장치를 갖는 전자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자 시스템(1300)은 제어기(1310), 입출력 장치(1320) 및 기억 장치(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310), 입출력 장치(1320) 및 기억 장치(1330)는 버스(1350, bus)를 통하여 서로 결합 되어 있다. 상기 버스(1350)는 데이터들이 이동하는 통로에 해당한다. 상기 제어기(131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이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논리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장치(1320)는 키패드, 키보드 및 표시 장치(display device)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장치(133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상기 기억 장치(1330)는 데이터 및/또는 상기 제어기(131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장치(1330)는 상기 기억 장치(1330)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개시된 비휘발성 기억 소자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3100)은 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340)를 더 포함할 수 있 다. 상기 인터페이스(1340)는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터페이스(1340)는 안테나 또는 유무선 트랜시버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1300)은 모바일 시스템, 개인용 컴퓨터, 산업용 컴퓨터 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바일 시스템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모바일폰(mobile phone), 무선폰(wireless phone), 랩톱(laptop) 컴퓨터, 메모리 카드, 디지털 뮤직 시스템(digital music system) 또는 정보 전송/수신 시스템 등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1300)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인 경우에, 상기 전자 시스템(1300)은 CDMA, GSM, NADC, E-TDMA, WCDAM, CDMA2000 같은 3세대 통신 시스템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 카드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갖는 메모리 카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1400)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1410) 및 메모리 제어기(1420)를 포함한다. 상기 비휘발성 기억 장치(1410)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기억 장치(1410)는 실시예들에 개시된 반도체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제어기(1420)는 호스트(host)의 판독/쓰기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데이 터를 저장하도록 상기 비휘발성 장치(1410)를 제어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셀 영역의 단면도 및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주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 내지 11c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3a 내지 1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4a 내지 14e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 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5a 내지 15d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6a 내지 16b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7a 내지 17b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기억장치를 갖는 전자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갖는 메모리 카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Claims (18)

  1. 반도체 기판 상에 배치된 활성 영역;
    상기 활성 영역 상에 배치된 전하 저장 패턴;
    상기 전하 저장 패턴 상에 배치된 블로킹 절연 패턴;
    상기 블로킹 절연 패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활성 영역을 가로지르는 제어 게이트 전극; 및
    상기 활성 영역과 상기 전하 저장 패턴 사이에 개재된 터널 절연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은 복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은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이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상기 활성 영역의 상부 측면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된 반도체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의 하나의 패턴은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이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의 다른 패턴보다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절연 패턴 중에서 상기 활성 영역과 직접 접촉하는 패턴의 밴드갭 은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의 다른 패턴의 밴드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은 상기 활성 영역 상에 차례로 적층된 하부 터널 절연 패턴, 중간 터널 절연 패턴, 및 상부 터널 절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터널 절연 패턴의 밴드갭이 상기 하부 터널 절연 패턴 및 상기 상부 터널 절연 패턴의 밴드갭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이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상기 전하 저장 패턴은 상기 활성 영역의 측면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이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전하 저장 패턴의 측면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은 실리콘산화막, 실리콘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SiON), 고유전물질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8. 반도체 기판 상에 배치된 활성 영역;
    상기 활성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활성 영역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활성영역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배치된 게이트 절연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은 상기 활성영역과 상기 게이트 전극이 중첩된 영역에서 복층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의 하나의 패턴은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의 다른 패턴보다 돌출 또는 함몰된 반도체 소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영역과 상기 게이트 전극은 축전기를 형성하고, 상기 축전기는 단위 면적당 정전용량이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축전기가 병렬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 게이트 절연 패턴, 중간 게이트 절연 패턴, 상부 게이트 절연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중간 게이트 절연 패턴의 밴드갭은 상기 상부 게이트 절연 패턴 및 상기 하부 게이트 절연 패턴의 밴드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 게이트 절연 패턴, 중간 게이트 절연 패턴, 상부 게이트 절연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중간 게이트 절연 패턴의 유전율은 상기 상부 게이트 절연 패턴 및 상기 하부 게이트 절연 패턴의 유전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절연막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의 측면은 상기 활성 영역의 상부 측면보다 돌출 또는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3. 반도체 기판 상에 활성 영역, 차례로 적층된 터널 절연 패턴, 및 전하 저장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하 저장 패턴 상에 배치된 블로킹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로킹 절연 패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활성 영역을 가로지르는 제어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활성 영역과 상기 전하 저장 패턴 사이에 개재된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은 복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은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이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상기 활성 영역의 상부 측면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된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활성 영역, 차례로 적층된 터널 절연 패턴, 및 전하 저장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차례로 복층의 터널 절연막, 전하 저장막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전하 저장막, 상기 터널 절연막,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을 차례로 패터닝하여 상기 전하 저장패턴, 상기 터널 절연 패턴, 및 상기 활성 영역을 한정하는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널 절연막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의 측면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 영역과 이웃한 활성 영역 사이의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활성 영역, 차례로 적층된 터널 절연 패턴, 및 전하 저장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차례로 복층의 터널 절연막, 전하 저장막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전하 저장막, 상기 터널 절연막, 상기 반도체 기판을 차례로 패터닝하여 상기 전하 저장패턴, 상기 터널 절연 패턴, 및 상기 활성 영역을 한정하는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활성 영역의 측면을 산화 및/또는 질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활성 영역과 이웃한 활성 영역 사이의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활성 영역, 차례로 적층된 터널 절연 패턴, 및 전하 저장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차례로 복층의 터널 절연막, 전하 저장막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전하 저장막, 상기 터널 절연막, 상기 반도체 기판을 차례로 패터닝하여 상기 전하 저장패턴, 상기 터널 절연 패턴, 및 상기 활성 영역을 한정하는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의 하면 및 측면, 및 상기 전하 저장 패턴의 측면 및 상부면을 산화 및/또는 질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활성 영역과 이웃한 활성 영역 사이의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활성 영역, 차례로 적층된 터널 절연 패턴, 및 전하 저장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렌치 측면 및 하면, 및 상기 터널 절연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의 측면 및/또는 상기 전하 저장 패턴의 측면 및 상부면을 식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절연 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관통하여 상기 전하 저장 패턴과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을 연결하도록 버팅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1020080062702A 2008-06-30 2008-06-30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20100002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702A KR20100002708A (ko) 2008-06-30 2008-06-30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US12/492,237 US20090321811A1 (en) 2008-06-30 2009-06-26 Memory cell transistors having bandgap-engineered tunneling insulator layers, non-volatile memory devices including such transistors, and methods of formation thereof
CN200910139658A CN101621078A (zh) 2008-06-30 2009-06-30 具有多层隧道绝缘体的存储器单元晶体管及存储器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702A KR20100002708A (ko) 2008-06-30 2008-06-30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708A true KR20100002708A (ko) 2010-01-07

Family

ID=4144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702A KR20100002708A (ko) 2008-06-30 2008-06-30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321811A1 (ko)
KR (1) KR20100002708A (ko)
CN (1) CN1016210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159A (ko) * 2014-10-24 2016-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633A (ko) * 2009-01-06 201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95987B1 (ko) * 2017-04-05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 적층 메모리 소자
KR20200134818A (ko) * 2019-05-23 2020-12-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9310A (en) * 1973-08-06 1978-08-22 Xerox Corporation Variable field length addressing system having data byte interchange
US5273923A (en) * 1991-10-09 1993-12-28 Motorola, Inc. Process for fabricating an EEPROM cell having a tunnel opening which overlaps field isolation regions
JP3187539B2 (ja) * 1992-07-28 2001-07-11 株式会社東芝 データ転送装置
US5467308A (en) * 1994-04-05 1995-11-14 Motorola Inc. Cross-point eeprom memory array
US6897520B2 (en) * 1996-05-29 2005-05-24 Madhukar B. Vora Vertically integrated flash EEPROM for greater density and lower cost
JP4212432B2 (ja) * 2003-08-29 2009-01-21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0528486B1 (ko) * 2004-04-12 2005-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100660840B1 (ko) * 2004-10-08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층의 터널링 장벽층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및 그 제조 방법
JP4928773B2 (ja) * 2004-12-10 2012-05-0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TWI306669B (en) * 2005-01-03 2009-02-21 Macronix Int Co Ltd Non-volatile memory cells, memory array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operating cells and arrays
US7636257B2 (en) * 2005-06-10 2009-12-22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thods of operating p-channel non-volatile memory devices
KR20070053071A (ko) * 2005-11-19 2007-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층의 터널링층을 포함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KR100876082B1 (ko) * 2006-12-07 2008-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US20090242956A1 (en) * 2008-03-28 2009-10-01 Heng Jiunn B Tunnel dielectrics for semiconductor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159A (ko) * 2014-10-24 2016-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21811A1 (en) 2009-12-31
CN101621078A (zh)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669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US9196630B2 (en)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carbon-contained porous insulation over gate stack structures
US9349879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s including blocking insulation patterns with sub-layers having different energy band gaps
KR101926610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95281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373961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contact structure
US8030150B2 (en) Method of fabricating non-volatile memory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non-volatile memory integrated circuit device fabricated using the same
TW201921653A (zh) 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US7842571B2 (en)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KR20090056454A (ko) 비휘발성 기억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JP2015167200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20100002708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101458957B1 (ko) 선택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JP5787855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20100101450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방법
US20230354582A1 (en) Semiconductor device
KR101426844B1 (ko) 비휘발성 기억 소자
KR101263824B1 (ko) 부유 게이트의 측벽 상에 이중 스페이서들을 구비하는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및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JP2023178203A (ja) 半導体メモリ装置
JP2008118141A (ja) メモリトランジスタ、不揮発性メモリ素子、そのスタック構造、その動作方法、その製造方法及び不揮発性メモリ素子を利用したシステム
KR20090098527A (ko) 부유게이트의 누설전류가 감소된 비휘발성 기억소자 및 그형성방법
KR20090119310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