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484A -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484A
KR20090129484A KR1020097021949A KR20097021949A KR20090129484A KR 20090129484 A KR20090129484 A KR 20090129484A KR 1020097021949 A KR1020097021949 A KR 1020097021949A KR 20097021949 A KR20097021949 A KR 20097021949A KR 20090129484 A KR20090129484 A KR 20090129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omposition
block copolymer
polymer
block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6762B1 (ko
Inventor
히로시 오시마
도요아키 구리하라
아키코 이데
겐이치 하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ublication of KR20090129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08F297/0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56Dashboar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도장성과 내유성을 양립시키고, 박육 성형성, 유연성도 우수한 중합체 조성물, 그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복합 성형체의 그립, 자동차 내외장재 등에 적합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33 ∼ 67 질량% 및 아크릴산 블록 공중합체 (B) 67 ∼ 33 질량% 로 이루어지고 ; 아크릴산 블록 공중합체 (B) 가 아크릴산부틸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1) 의 양단에 2 개의 메타크릴산메틸 등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2) 가 결합되고, 중합체 블록 (b2) 의 합계 질량이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에 대해 20 ∼ 35 질량% 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 ∼ 100,000 이며,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가 180 ∼ 230 ℃ 인 ; 중합체 조성물 및 성형품.

Description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POLYMER COMPOSITION AND MOLDINGS THEREOF}
본 발명은 도장성과 내유성(耐油性)을 양립시키고, 박육 성형성, 유연성도 우수한 중합체 조성물 및 그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이 성형품은 그립재, 예를 들어 일용품, 문구 용품, 가전 용품 및 스포츠 용품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 자동차 내외장용 성형 부품, 예를 들어 도어핸들, 사이드 가니시, 인스트루먼트 패널, 콘솔 박스, 도어트림 및 범퍼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및 전자 기기 부품, 예를 들어 커넥터, 스위치 커버, 하우징 및 용기 등,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는 내약품성, 내열성,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 공업용 수지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결정성이기 때문에 유연성 및 도장성이 열등하여, 사용되는 용도가 한정된다. 그래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본래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소량 첨가 (10 질량% 미만) 하는 방법 (특허 문헌 1) 이 제안되어 있지만,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것은 아니었다. 또,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의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에, 특정한 모 노 비닐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와 공액 디엔의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 유도체, 고무용 연화제를 배합함으로써, 고무 탄성이나 유연성을 개량한 조성물 (특허 문헌 2) 이 제안되어 있지만, 도장성과 내유성의 양립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아, 현 시점에서는, 도장성과 내유성을 양립시키면서 유연성을 갖는 성형품을 부여하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 조성물은 얻지 못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25413호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공보 제2817879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장성과 내유성을 양립시키고, 박육 성형성, 유연성도 우수한 중합체 조성물 및 그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이 검토를 거듭한 결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에 대해, 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의 양단에 2 개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이 결합하여 얻어지는, 특정의 비교적 낮은 분자량의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를 혼합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에 적합한 중합체 조성물 및 성형품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33 ∼ 67 질량% 및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67 ∼ 33 질량% 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로서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의 멜트플로우레이트가 10 ∼ 40 g/10 분이고,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 ∼ 100,000 이고
블록 구조가 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1) 의 양단에 2 개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2) 가 결합된 트리 블록 구조이며,
중합체 블록 (b2) 의 합계 질량이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에 대해 20 ∼ 35 질량% 이고,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가 180 ∼ 230 ℃ 이고,
중합체 조성물 중에서의 모르폴로지가 연속상인 ;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및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를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하는 상기의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 및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이루어지는 층과 경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적층체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용융시의 유동성이 우수하여 성형 가공성, 특히 박육 성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사출 성형을 비롯한 각종 성형 가공법을 적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종 형태의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은 도장성, 내유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그립재, 예를 들어 일용품, 문구 용품, 가전 용품 및 스포츠 용품 등에 사용할 수 있고, 또, 자동차 내외장용 성형 부품, 예를 들어 도어핸들, 사이드 가니시, 인스트루먼트 패널, 콘솔 박스, 도어트림, 및 범퍼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및 전자 기기 부품, 예를 들어 커넥터, 스위치 커버, 하우징 및 용기 등,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어, 각종 용도에 있어서 유용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중합체 조성물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와, 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1) 의 양단에 2 개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2) 가 결합된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배합 성분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는 주로 1,4-부탄디올 단위 및 테레프탈산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이지만, 주된 구성 단위가 1,4-부탄디올 단위 및 테레프탈산 단위인 한, 소량이면 1,4-부탄디올 단위 이외의 디올 단위, 테레프탈산 단위 이외의 다카르복실산 단위,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단위, 락톤 단위 등을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와 같이 주된 디올 단위의 탄소수가 3 이하이면, 수 지의 융점이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에 대해 너무 높아져 서로의 상용이 곤란해진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로는, 용융 유동성 (MFR : 250 ℃, 2.16 kg 하중) 이 10 ∼ 40 g/10 분인 것이고, 20 ∼ 40 g/10 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의 중합체 조성물에 대한 양은 33 ∼ 67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33 ∼ 50 질량% 이다. 이 경우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에서 유래하는 성능이 주체가 되어, 내유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배합 성분인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1) 의 양단에 2 개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2) 가 결합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중합체 블록 (b1) 중에 있어서의 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 또는 중합체 블록 (b2) 중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단위의 함유량은 각각 주성분이 되는 양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각각 60 ∼ 100 질량%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100 질량% 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에 있어서, 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1) 은 주로 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구성되는 중합체 블록이고, 그 중합체 블록을 형성시키기 위한 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n-프로필,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sec-부틸, 아크릴산tert-부틸, 아크릴산아밀, 아크릴산이소 아밀, 아크릴산n-헥실, 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펜타데실, 아크릴산도데실, 아크릴산이소보르닐, 아크릴산알릴, 아크릴산페닐, 아크릴산벤질, 아크릴산페녹시에틸,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2-메톡시에틸, 아크릴산글리시딜 등의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아크릴산에스테르 중,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tert-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도데실 등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중합체 조성물의 도장성, 유연성 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이외에,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상실하지 않는 한, 후기하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올레핀 등의 다른 모노머를 공중합 성분 (소량 성분) 으로서 사용해도 지장없다.
상기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에 있어서,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2) 는 주로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구성되는 중합체 블록이고, 그 중합체 블록을 형성시키기 위한 메타크릴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n-프로필, 메타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메타크릴산sec-부틸, 메타크릴산tert-부틸, 메타크릴산아밀, 메타크릴산이소아밀, 메타크릴산n-헥실,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펜타데실, 메타크릴산도데실,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 메타크릴산알릴, 메타크릴산페닐, 메타크릴산벤질, 메타크릴산페녹시에틸,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2-메톡시에틸, 메타크릴산글리시딜 등의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중,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tert-부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 등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중합체 조성물의 도장성, 내유성 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메틸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이외에,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상실하지 않는 한, 상기의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올레핀 등의 다른 모노머를 공중합 성분 (소량 성분) 으로서 사용해도 지장없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1) 과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2) 로 구성되지만, 그 중에서도 중합체 블록 (b1) 의 양단에 중합체 블록 (b2) 가 결합된 트리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유연성, 역학 물성,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필요하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가 디블록 공중합체이면, 용융 점도가 낮기 때문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와의 용융 점도 차가 커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를 적절히 분산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0 ∼ 100,000 일 필요가 있다. 또, 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1)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30,000 ∼ 80,00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b2)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 ∼ 20,00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블록 (b1), 중합체 블록 (b2) 및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와 같이 낮은 값의 범위 내이면, 후술하는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가 규정 범위 내로 되어, 얻어지는 중합체 조성물의 박육 성형성이 우수해진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를 구성하는 중합체 블록 (b1) 과 2 개의 중합체 블록 (b2) 의 질량 비율은 성형품의 교착감, 유연성의 관점에서 65 : 35 ∼ 80 : 20 인 것이 필요하다. 또,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분자량 분포 (Mw/Mn) 는 1.0 ∼ 2.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좋고, 중합체 조성물의 내유성을 저하시키는 저중합체의 함유량이 매우 소량으로 되는 1.0 ∼ 1.6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체 블록 (b1) 과 중합체 블록 (b2) 의 질량 비율 및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분자량 분포가 상기의 범위 내이면, 후술하는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가 규정의 범위 내로 되어, 얻어지는 중합체 조성물의 박육 성형성이 우수해진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는 필요에 따라, 분자 사슬 중 또는 분자 사슬 말단에 수산기, 카르복실기, 산 무수물, 아미노기 등의 관능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제조 방법으로는, 각 블록을 구성하는 모노머를 리빙 중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리빙 중합의 수법으로는, 예를 들어, 유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중합 개시제로 하고,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염 등의 광산염 존재하에서 아니온 중합하는 방법 (일본 특허공보 평7-25859호 참조), 유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중합 개시제로 하고,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아니온 중합하는 방법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35432호 참조), 유기 희토류 금속 착체를 중합 개시제로 하여 중합하는 방법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93060호 참조),
Figure 112009064363016-PCT00001
-할로겐화 에스테르 화합물을 개시제로 하여 구리 화합물의 존재하 라디칼 중합하는 방법 (마크로몰레큘러 케미칼 피직스 (Macromol. Chem. Phys.) 201 권, 1108 ∼ 1114 페이지 (2000년))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가 라디칼 중합 개시제나 다가 라디칼 연쇄 이동제를 사용하여, 각 블록을 구성하는 모노머를 중합시키고,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를 함유하는 혼합물로서 제조하는 방법 등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 중, 블록 공중합체가 고순도로 얻어지고, 또 분자량 분포가 좁은, 즉 중합체 조성물의 도장성, 내유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는 올리고머나, 유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는 고분자량체를 함유하지 않는 점에서, 유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중합 개시제로 하고,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아니온 중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그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이소부틸비스(2,6-디-t-부틸-4-메틸페녹시)알루미늄, 이소부틸비스(2,6-디-t-부틸페녹시)알루미늄, 이소부틸비스[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녹시)]알루미늄, n-옥틸비스(2,6-디-t-부틸-4-메틸페녹시)알루미늄, n-옥틸비스(2,6-디-t-부틸페녹시)알루미늄, n-옥틸비스[2,2'-메틸렌비 스(4-메틸-6-t-부틸페녹시)]알루미늄, 트리스(2,6-디-t-부틸-4-메틸페녹시)알루미늄, 트리스(2,6-디페닐페녹시)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이소부틸비스(2,6-디-t-부틸-4-메틸페녹시)알루미늄, 이소부틸비스(2,6-디-t-부틸페녹시)알루미늄, n-옥틸비스(2,6-디-t-부틸-4-메틸페녹시)알루미늄 또는 n-옥틸비스(2,6-디-t-부틸페녹시)알루미늄이 중합 활성, 블록 효율 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질서-무질서 전이 (ODT) 온도는 180 ℃ ∼230 ℃ 의 범위 내이고, 190 ℃ ∼ 21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용융 혼련을 실시할 때에 중합체 블록 (b1) 과 중합체 블록 (b2) 가 무질서 상태로 되어 상용되고,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용융 점도가 작아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의 분산성이 양호해진다. 한편으로,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가 230 ℃ 이상이면, 중합체 조성물의 각 성분의 분산성이 열등해져, 성형시에 디라미네이션 (표층 박리)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 180 ℃ 이하이면, 용융 혼련을 실시할 때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와 블록 공중합체 (B) 의 용융 점도 차가 너무 커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에 전단력이 가해지지 않아 충분히 용융 혼련시킬 수 없는 것, 혼련 장치의 출구에서의 드로우 다운이 현저해지는 것 등으로부터, 중합체 조성물을 펠릿으로서 얻기가 곤란하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는 그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와 사용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의 융점의 차가 45 ℃ 이하가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일반적으로 블록 공중합체의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는 χ 파라미터 (각 블록의 모노머 단위의 조합),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 조성, 결합 양식 (블록·그래프트·스타) 에 의존한다고 일컬어지지만, 이들에 추가하여, 분자량 분포, 각 블록의 분자량의 영향도 받는다. (b21)-(b1)-(b22) 의 블록 구조를 갖는 트리 블록 공중합체 (B) 의 경우를 예로 하면, (b21) 블록과 (b22) 블록의 분자량이 상이한 비대칭형의 블록 공중합체 (B) 인 경우에는, 큰 분자량을 갖는 블록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블록 공중합체 (B) 의 조성 및 분자량이 동일해도, 대칭형의 블록 공중합체 (B) 보다 높은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가 된다. 또, 블록 공중합체 (B) 의 리빙 중합법에 의한 제조 중의 중합 실활 등에 의해 분자량 분포가 커지는 경우에는, 리빙 중합되는 최종 블록의 분자량이 큰 중합체가 혼합됨으로써 비대칭형의 블록 공중합체의 비율이 증가되어,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가 높아진다. 또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가 대칭형이었다고 해도, 2 관능의 리빙 중합 개시제에 의한 중합에 있어서 중합 실활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양 말단 블록의 분자량이 큰 중합체가 혼합되어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가 높아진다. 그 때문에, 블록 공중합체가 동일 조성, 동일 분자량이라도, 상이한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를 규정의 범위 내로 하는 데에는, 중합체 블록 (b2) 의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적절히 유지하고, 특히 고분자량체의 혼입이 없는 것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중합체 조성물에 대한 양이 33 ∼ 67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50 ∼ 67 질량% 이다. 이 경우에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에서 유래하는 성능이 주체가 되어, 도장성 및 유연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가 상기의 범위 내인 경우도 있고, 적어도 블록 공중합체 (B) 가 연속상이 되는 모르폴로지를 형성한다. 블록 공중합체 (B) 가 연속상이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는 입자 형상 분산, 실린더 형상 분산 또는 공 (共) 연속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중합체 조성물의 모르폴로지는 필요에 따라 전자 염색을 실시한 후에, 단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관찰 또는 초박절편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 관찰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 중합체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상기한 수지 (A) 및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외에, 필요에 따라 다른 중합체나 첨가 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 첨가제의 예로는,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등의 광물유 연화제 ; 내열성, 내후성 등의 향상 또는 증량 등을 목적으로 하는 탄산칼슘, 탤크, 카본 블랙, 산화티탄, 실리카, 클레이, 황산바륨, 탄산마그네슘 등의 무기 충전제 ; 보강을 위한 유리 섬유, 카본 섬유 등의 무기 섬유 또는 유기 섬유 ; 열 안정제 ; 산화 방지제 ; 광 안정제 ; 점착제 ; 점착 부여제 ; 가소제 ; 대전 방지제 ; 발포제 ; 착색 안료 ; 난연제 ; 교착 방지제 ; 결정핵제 ; 상용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제 중에서도, 내열성, 내후성을 더욱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등을 첨가하는 것이 실용상 바람직하 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합체 조성물의 조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를, 필요에 따라 상기한 다른 중합체나 첨가제와 함께 혼합 후, 수지 (A) 와 혼합해도 된다. 혼합 조작은 압출기로 실시하는 것이 좋고, 2 축 압출기로 혼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더, 밴버리 믹서, 믹싱 롤 등의 혼련 장치를 사용하면, 용융 점도의 보다 낮은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가 먼저 고유동화되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에 전단이 가해지기 어려우므로 용융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분산이 불충분한 것이 되는 경우가 있다. 혼련시의 온도는 사용하는 수지 (A) 의 융점 온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고, 통상적으로 180 ℃ ∼ 250 ℃ 의 범위 내의 온도에서 혼합하면 된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정량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및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를, 사용하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하는 제조 방법이면,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가 고유동화되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를 미 (微)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펠릿, 분말 등의 임의의 형태로 얻을 수 있다. 펠릿, 분말 등의 형태의 중합체 조성물은 성형 재료로서 사용하는 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용융 유동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성형 가공 방법이나 성형 가공 장치를 사용하여 성형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 성형, 압출 성형, 압축 성형, 블로 우 성형, 캘린더 성형, 진공 성형 등의 임의의 성형 가공법에 의해 성형 가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형물 (型物), 파이프, 시트, 필름, 섬유 형상물, 그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등의 임의의 형태의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융 유동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은 금형으로부터의 냉각에 의해 스킨층이 형성되어 용융 유동이 방해받기 쉬운, 두께 1 mm 미만의 얇은 판자 형상 성형품의 사출 성형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여기에서 그 얇은 판자 형상 성형품이란, 성형품의 적어도 일부에 두께 1 mm 미만의 평면 또는 국면의 판 형상 부분을 갖고 있는 것을 말한다.
또 상기와 같은 적층체 등의 복합 수지 성형체 중, 열가소성의 경질 수지층과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으로 이루어지고, 경질 수지층은 복합 성형체 전체의 강성을 유지하는 것이면, 경질 수지층에서 복합 성형체의 본체 또는 골격을 형성하고,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층에서, 그립 표층 부재, 표피 부재로서의 성능을 발현하는 복합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또, 열가소성의 경질 수지로는, 목적하는 기계적 강도를 갖는 수지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 아크릴계 수지, ABS 수지나 폴리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수지 ; 폴리에스테르 수지 ; 폴리아미드 수지 ;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이 사용된다.
상기의 복합 수지 성형체는 예를 들어, 상기 경질 수지와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2 재료를 2 대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따로따로 압출하고, 하나의 구금에 합류시켜 2 재료가 열 융착됨으로써 2 층 성형체가 되는 공압출 성형법, 혹은, 사출 통 (筒) 이 2 대 탑재된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2 재료가 하나의 금형 내에서 열 융착됨으로써 2 층 성형체가 되는 2 색 성형법, 혹은, 사출 성형기로 성형한 상기 경질 수지의 성형체를 인서트 배치한 금형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사출 주입하여 열 융착함으로써 2 층 성형체로 하는 인서트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제조된다. 열 융착 혹은 열 접착하는 경우, 특히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박리 강도가 우수한 복합 수지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성형품은 도장성과 내유성을 양립시키고, 유연성도 우수하므로, 그립재, 예를 들어 일용품, 문구 용품, 가전 용품 및 스포츠 용품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 자동차 내외장용 성형 부품, 예를 들어 도어핸들, 사이드 가니시, 인스트루먼트 패널, 콘솔 박스, 도어트림 및 범퍼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및 전자 기기 부품, 예를 들어 커넥터, 스위치 커버, 하우징 및 용기 등,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어 각종 용도에 유용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각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 (Mn),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이하 GPC 로 나타낸다) 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으로 구하고, 이것으로부터 분자량 분포 (Mw/Mn) 를 산출하였다. 또, 각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각 중합체 블록의 구성 비율은 1H-NMR (1H-핵자기 공명) 측정에 의해 구하였다.
상기에서 사용한 측정 장치 및 조건은, 이하와 같다.
○GPC :
장치 : 토소사 제조 GPC 장치 「HLC-8020」
분리 칼럼 : 토소사 제조 「TSKgel GMHXL」, 「G4000HXL」및 「G5000HXL」 을 직렬로 연결
용리액 :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리액 유량 : 1.0 ㎖/분
칼럼 온도 : 40 ℃
검출 방법 : 시차 굴절률 (RI)
1H-NMR :
장치 : 닛폰 전자사 제조 핵자기 공명 장치 「JNM-LA400」
중 (重) 용매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계 수지 (A) 의 용융 유동성 :
하기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사용한 원료 PBT 수지의 멜트플로우레이트 (MFR) 를 JIS K7210 에 준거하여 250 ℃, 2.16 k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 :
실시예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를 사용하여, Rheometric Scientific 사 제조 ARES 점탄성 측정 시스템을 사용하고, 평행 평판 모드, 진동 주파수 6.28 라디안/초, 인가 변형 0.5 %, 승온 속도 3 ℃/분으로, 150 ℃ ∼ 300 ℃ 의 온도 범위의 저장 탄성률 (G') 을 측정하였다. 급격하게 G' 의 값이 저하되는 온도를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 (TODT) 로 하였다.
또,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성형품 (시험편) 의 도장성, 내유성, 유연성, 인장 특성, 유동성, 성형성 및 박육 성형성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 또는 평가하였다.
(1) 성형품의 도장성 :
하기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기에 의해 소정의 실린더 온도 및 금형 온도에서 길이 110 mm, 폭 110 mm, 두께 2.0 mm 의 시험편을 성형하고, 그 도장성을 JIS K5600 에 준거하여 크로스컷법의 조건에서 평가하였다. 도료로서 합성 수지제 에나멜 도료 (A-007 ; 아사히펜사 제조) 를 사용하고, 도포막을 관통하여 소지에 도달하는 크로스컷 형상의 칼집을 넣고 (가로세로 2 mm 로 25 메시), 이것에 셀로판 테이프를 부착시켜, 떼어낸 후에 소지 상에 남아 있는 메시 수를 계수함으로써 평가하였다.
(2) 성형품의 내유성 :
하기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기에 의해 소정의 실린더 온도 및 금형 온도에서 성형한 길이 110 mm, 폭 110 mm, 두께 2.0 mm 의 평판을, 길이 50 mm, 폭 20 mm, 두께 2.0 mm 의 치수로 절삭하고, JIS K6258 에 준거하여 윤활유에 대한 침지 시험 전후의 체적 변화율 (ΔV), 중량 변화율 (ΔW) 을 평가하였다. 이것을, 내유성의 지표로 하였 다.
(3) 성형품의 유연성 :
하기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기에 의해 소정의 실린더 온도 및 금형 온도에서 길이 110 mm, 폭 11 0 mm, 두께 2.0 mm 의 시험편을 성형하고, 얻어진 3 장의 시험편의 중앙부를 중첩하여, 두께 6.0 mm 로 하고, JIS K6253 에 준거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이것을 유연성의 지표로 하였다.
(4) 성형품의 인장 특성 :
하기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기에 의해 소정의 실린더 온도 및 금형 온도에서 성형한 길이 110 mm, 폭 110 mm, 두께 2.0 mm 의 평판으로부터, JIS K6251 시험용의 JIS3 호 형상으로 구멍을 뚫은 시험편을 사용하여, JIS K6251 에 준거하여 인장 속도 500 mm/분에 있어서의 인장 파단 강도 (MPa) 및 인장 파단 신장도 (%) 를 측정하였다.
(5) 성형품의 용융 유동성 :
하기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중합체 조성물의 멜트플로우레이트 (MFR) 를, JIS K7210 에 준거하여 230 ℃, 2.16 k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이것을 용융 유동성의 지표로 하였다.
(6) 조성물의 성형성의 평가 방법 :
사출 성형으로 길이 110 mm, 폭 110 mm, 두께 2.0 mm 의 평판을 성형하여, 외관, 감촉을 평가하였다.
○ : 양호한 성형품이 얻어졌다.
× : 디라미네이션 (표층 박리), 성형품의 교착 등의 불량이 보였다.
(7) 조성물의 박육 성형성 :
길이 200 mm, 폭 40 mm, 두께 0.5 mm 의 캐비티를 갖는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을 실시하고, 게이트 근방의 변형이나 버(burr)가 발생하지 않는 조건 (금형 온도 : 50 ℃, 사출 속도 : 80 mm/s, 실린더 온도 : 250 ℃) 에서 성형한 성형품의 유동 길이를 측정하였다. 유동 길이가 5 mm 미만인 것은「×」로 하였다.
(8) 조성물의 모르폴로지 :
얻어진 펠릿의 중심부 단면 (斷面) 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가 연속상인지 분산상인지를 판정하였다.
표 1 에 기재된 각 성분을 나타내는 기호는 하기와 같다. (이하, 하기 기호로 기재한다.)
PBT (A-1)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미츠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사 제조 「노바듀란 5010R5」) MFR = 22g/10 분 융점 = 225 ℃
PBT (A-2)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플라스틱스사 제조 「쥬라넥스 2002」) MFR = 23 g/10 분 융점 = 225 ℃
PBT (A-3)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플라스틱스사 제조 「쥬라넥스 500 KP」) MFR = 35 g/10 분 융점 = 183 ℃
PBT (A-4)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미츠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사 제조 「노바듀란 5008」) MFR = 76 g/10 분 융점 = 225 ℃
PET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데이진 화성사 제조 「TR-8550」)
TPEE :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토레이·듀퐁사 제조 「하이트렐 4047」) TPEE 계 컴파운드 :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프리마로이 A1600N」)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1) :
PMMA 블록-PnBA 블록-PMMA 블록의 트리 블록 공중합체 (PMMA-b-PnBA-b-PMMA) 로서, 그 PMMA 블록부의 Mw 는 9,900, Mw/Mn 는 1.11 이고, 또, 트리 블록 공중합체 전체의 Mw 는 64,000, Mw/Mn 는 1.13 이며, 각 중합체 블록의 비율은 PMMA (16 질량%)-PnBA (68 질량%)-PMMA (16 질량%) 이다. 전술한 방법으로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를 측정한 결과, 205 ℃ 였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2) :
PMMA 블록-PnBA 블록-PMMA 블록의 트리 블록 공중합체 (PMMA-b-PnBA-b-PMMA) 로서, 그 PMMA 블록부의 Mw 는 21,000, Mw/Mn 는 1.13 이고, 또, 트리 블록 공중합체 전체의 Mw 는 132,000, Mw /Mn 는 1.24 이며, 각 중합체 블록의 비율은 PMMA ( 16 질량%)-PnBA (68 질량%)-PMMA (16 질량%) 이다. 전술한 방법으로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를 측정한 결과, G' 의 급격한 변화를 확인할 수 없는 점에서, 300 ℃ 이상인 것이 판명되었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3) :
PMMA 블록-PnBA 블록의 디블록 공중합체 (PMMA-b-PnBA) 로서, 그 PMMA 블록부의 Mw 는 4,500, Mw/Mn 는 1.13 이고, 또, 디블록 공중합체 전체의 Mw 는 68,000, Mw/Mn 는 1.21 이며, 각 중합체 블록의 비율은 PMMA (7 질량%)-PnBA (93 질량%) 이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4) :
PMMA 블록-PnBA 블록-PMMA 블록의 트리 블록 공중합체 (PMMA-b-PnBA-b-PMMA) 로서, 그 다른 한쪽의 PMMA 블록 (b21) 의 Mw 는 3,000, Mw/Mn 는 1.15 이고, 또, 트리 블록 공중합체 전체의 Mw 는 64,000, Mw/Mn 는 1.17 이며, 각 중합체 블록의 비율은 PMMA (b21 : 6 질량%)-PnBA (68 질량%)-PMMA (26 질량%) 이다. 전술한 방법으로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를 측정한 결과, G' 의 급격한 변화를 확인할 수 없는 점에서, 260 ℃ 이상인 것이 판명되었다.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5) :
PMMA 블록 PnBA 블록의 디블록 공중합체 (PMMA-b-PnBA) 로서, 그 PMMA 블록부의 Mw 는 20,000, Mw/Mn 는 1.15 이고, 또, 디블록 공중합체 전체의 Mw 는 64,000, 각 중합체 블록의 비율은 PMMA (32 질량%)-PnBA (64 질량%) 였다. 전술한 방법으로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를 측정한 결과, G' 의 급격한 변화를 확인할 수 없는 점에서, 300 ℃ 이상인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1]
PBT 수지 (A) 40 중량부와,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60 중량부의 비율로 펠릿을 혼합한 후, 2 축 압출기 (Werner & Pfleiderer 사 제조 「ZSK-25」) 에 공급하여 230 ℃ 에서 용융 혼련하고, 압출하고, 절단하여 펠릿 형상의 중합체 조성 물을 제조하였다. 이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유동성 (MFR) 을 상기한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하기의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에서 얻어진 중합체 조성물의 펠릿을 사용하여, 상기한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그 특성을 측정 또는 평가한 결과, 하기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실시예 2]
혼합 비율을 표 1 에 나타내는 것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용융 혼련하여 중합체 조성물의 펠릿을 제조하였다. 이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유동성을 측정함과 함께, 이 펠릿을 사용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여 상기한 특성을 측정 또는 평가한 결과, 하기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길이 100 mm, 폭 40 mm, 두께 1.0 mm 의 평판 형상 캐비티를 갖는 사출 성형 금형에, 길이와 폭이 동일하고 두께 0.5 mm 인 ABS 수지 판을 미리 삽입해 두고, 상기의 펠릿을 사출 성형하여,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과 ABS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3 ∼ 5]
혼합 비율을 표 1 에 나타내는 것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용융 혼련하여 중합체 조성물의 펠릿을 제조하였다. 이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유동성을 측정함과 함께, 이 펠릿을 사용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여 상기한 특성을 측정 또는 평가한 결과, 하기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비교예 1, 2]
혼합 비율을 표 1 에 나타내는 것으로 한 것 이외에는, 소정의 온도에서 실 시예 1 과 동일하게 용융 혼련하여 중합체 조성물의 펠릿을 제조하였다. 이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유동성을 측정함과 함께, 이 펠릿을 사용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여 상기한 특성을 측정 또는 평가한 결과, 하기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비교예 3]
PBT 수지 (A) 를 첨가하지 않고,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만을 사용하여, 그 용융 유동성을 측정함과 함께, 상기한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또한 그 시험편을 사용하여, 특성을 측정 또는 평가한 결과, 하기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비교예 4, 5]
상기한 TPPE 수지 단체 또는 TPEE 계 콤파운드 수지 단체를 각각 사용하여, 그 용융 유동성을 측정함과 함께, 상기한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또한, 그 시험편을 사용하여, 특성을 측정 또는 평가한 결과, 하기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비교예 6]
PBT 수지 (A) 대신에 PET 수지를 사용하고, 소정의 온도 조건에서 용융 혼련을 실시했지만, PET 수지의 융점이 높아 펠릿화가 곤란하여, 성형품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7]
중량 평균 분자량이 큰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2) 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사출 성형을 실시했지만, 성형품의 디라미네이션 (표층 박리) 이 현저하여, 물성 평가가 가능한 샘플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8]
디블록 공중합체의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3) 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사출 성형을 실시했지만, 성형품의 교착이 현저하고, 또한, 재료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물성 평가가 가능한 샘플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9, 10]
비대칭으로 중합체 블록 (b2) 의 다른 한쪽의 분자량이 큰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4) 또는
중합체 블록 (b2) 의 함유율이 동일하지만 디블록 공중합체인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5) 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사출 성형을 실시했지만, 성형품의 디라미네이션이 현저하여, 물성 평가가 가능한 샘플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11]
멜트플로우레이트가 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A-4) 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용융 혼련을 실시했지만 드로우다운이 현저하고, 사출 성형을 실시했지만, 계량 안정성이 나빠 성형성이 열등한 것이었다.
Figure 112009064363016-PCT00002
상기의 표 1 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 3 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은 비교예 1 의 PBT 수지 75 중량부와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인 경우에 대해, 내유성에 열등하지만, 유연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비교예 2 의 PBT 수지 25 중량부와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7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인 경우에 대해, 도장성 및 내유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 의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만으로 이루어지는 각 조성물인 경우에 대해, 내유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고, 비교예 4 의 TPEE 수지만으로 이루어지는 각 조성물인 경우에 대해, 내유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고, 비교예 5 의 TPEE 계 콤파운드 수지만으로 이루어지는 각 조성물인 경우에 대해, 도장성 및 내유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의 중합체 조성물은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 또는 블록 구조가 본 발명에 규정하는 범위 내이기 때문에, 이들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6 ∼ 9 에 대해, 성형성, 특히 박육 성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33 ∼ 67 질량% 및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67 ∼ 33 질량% 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로서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의 멜트플로우레이트가 10 ∼ 40 g/10 분이고 ;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 ∼ 100,000 이고
    블록 구조가 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1) 의 양단에 2 개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2) 가 결합된 트리 블록 구조이며,
    중합체 블록 (b2) 의 합계 질량이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에 대해 20 ∼ 35 질량% 이고,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가 180 ∼ 230 ℃ 이고,
    중합체 조성물 중에서의 모르폴로지가 연속상인 ;
    중합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A) 및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를,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B) 의 질서-무질서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 하는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기재된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사출 성형품인 성형품.
  5. 제 4 항에 있어서,
    두께가 1 mm 미만의 판 형상인 사출 성형품.
  6. 제 3 항에 있어서,
    그립 표층재인 성형품.
  7. 제 3 항에 있어서,
    자동차 내외장재인 성형품.
  8. 제 1 항에 기재된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과 경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적층체.
KR1020097021949A 2007-03-26 2008-03-26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 KR101136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79195 2007-03-26
JPJP-P-2007-079195 2007-03-26
PCT/JP2008/055758 WO2008123316A1 (ja) 2007-03-26 2008-03-26 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484A true KR20090129484A (ko) 2009-12-16
KR101136762B1 KR101136762B1 (ko) 2012-04-20

Family

ID=3983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949A KR101136762B1 (ko) 2007-03-26 2008-03-26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29030B2 (ko)
EP (1) EP2130869B1 (ko)
JP (1) JPWO2008123316A1 (ko)
KR (1) KR101136762B1 (ko)
CN (1) CN101641407B (ko)
AT (1) ATE517150T1 (ko)
WO (1) WO2008123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3768B2 (ja) * 2011-03-30 2015-09-24 株式会社クラレ アクリル系ジブロック共重合体ペレット及びそれを含有する粘着剤組成物
JP2015189844A (ja) * 2014-03-28 2015-11-02 クラレ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摺動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WO2016190138A1 (ja) * 2015-05-22 2016-12-01 株式会社クラレ アクリル系ブロック共重合体とそれからなる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並びに光学部材
CN106854344A (zh) * 2016-11-24 2017-06-16 广东美塑塑料科技有限公司 低成本耐老化阻燃增强pbt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9183033A (ja) * 2018-04-12 2019-10-24 東亞合成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EP3865541A4 (en) * 2018-10-10 2022-08-31 Kuraray Co., Ltd. BLOCK COPOLYMER PELLETS AND MOLDED ARTICLE MADE FROM THESE PELLE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07718B2 (en) * 1986-10-30 1991-03-14 Mitsui Chemicals, Inc. Laminated and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JP2817879B2 (ja) 1988-01-28 1998-10-30 三菱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FR2655049B3 (fr) * 1989-11-27 1992-02-21 Norsolor Sa Polymeres comportant des motifs, derives de maleimides a resistance a la chaleur amelioree.
US5264527A (en) 1989-07-10 1993-11-23 Elf Atochem S.A. Acrylic triblock copolymer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manufacture of elastomeric articles
JP3334177B2 (ja) 1992-09-09 2002-10-15 三菱化学株式会社 メタクリル系ブロック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29347B2 (ja) 1993-07-08 1998-03-18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トリス(トリブロモフェノキシ)−s−トリアジンの製造方法
CA2265310C (en) * 1998-03-23 2007-12-18 Kuraray Co., Ltd. Preparation process of acrylic acid ester polymer
JP4057735B2 (ja) 1998-03-23 2008-03-05 株式会社クラレ アクリル系ブロック共重合体の製造方法
WO2002092696A1 (fr) * 2001-05-14 2002-11-21 Kaneka Corporation Composition de resine thermoplastique
JP3828447B2 (ja) * 2002-03-27 2006-10-04 株式会社クラレ アクリル系重合体組成物
WO2004013192A1 (ja) * 2002-08-02 2004-02-12 Kaneka Corporation アクリル系ブロック共重合体および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315899C (zh) 2002-11-06 2007-05-16 可乐丽股份有限公司 热塑性聚合物粉末
EP1669406B1 (en) 2003-09-30 2008-12-24 Kaneka Corporatio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JP2005264069A (ja) 2004-03-19 2005-09-29 Kaneka Corp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6225413A (ja) 2005-02-15 2006-08-31 Kuraray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0869A1 (en) 2009-12-09
CN101641407B (zh) 2011-10-26
JPWO2008123316A1 (ja) 2010-07-15
ATE517150T1 (de) 2011-08-15
CN101641407A (zh) 2010-02-03
KR101136762B1 (ko) 2012-04-20
EP2130869B1 (en) 2011-07-20
WO2008123316A1 (ja) 2008-10-16
US8129030B2 (en) 2012-03-06
US20100119797A1 (en) 2010-05-13
EP2130869A4 (en)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8447B2 (ja) アクリル系重合体組成物
KR10129715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47479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136762B1 (ko)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
CN104530573A (zh) 低光泽、低翘曲、软触感车用聚丙烯组合物及制备和应用
WO2014168078A1 (ja) 接触用部品、および該接触用部品を含む構造体
JP2006225413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02051042A (zh) 一种低光泽、耐刮擦尼龙/丙烯腈-丁二烯-苯乙烯树脂共混材料
KR2013007874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01554B1 (ko) 열가소성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210156B1 (ko) 우수한 내충격성과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5564336B2 (ja) 塗装代替用フィルム及びこれを具備する積層成形品
KR2021003341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949377B1 (ko)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WO2018143211A1 (ja) 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183567A1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102044168B1 (ko)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균일하게 개선된 생분해성 다층시트의 제조방법
KR102044172B1 (ko)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강화된 생분해성 다층시트의 제조방법
KR102211145B1 (ko) 저광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성형품
CN106928568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使用其生产的模塑制品
CN112625343B (zh) 低收缩率改性聚丙烯及其制备方法和注塑制品
JP2000143932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KR10158322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2000143934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7271196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