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314A -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314A
KR20090129314A KR1020090003665A KR20090003665A KR20090129314A KR 20090129314 A KR20090129314 A KR 20090129314A KR 1020090003665 A KR1020090003665 A KR 1020090003665A KR 20090003665 A KR20090003665 A KR 20090003665A KR 20090129314 A KR20090129314 A KR 20090129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ow
character string
display
str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요 우에호리
도루 후세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for rolling or scrolling
    • G09G5/34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for rolling or scrolling for systems having a bit-mapped display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for rolling or scro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24Gen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 patterns
    • G09G5/246Gen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 patterns of ideographic or arabic-like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열 정보를 표시할 때에, 이용자의 시선 이동을 저감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복수행으로 배열된 문자열 정보를 받아들이고, 그 받아들인 문자열 정보의 n행째 말미와, n+1행째 선두를 1행으로 연결한 화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그 취득한 행의 화상을, 화면의 미리 정해진 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 장치이다.
정보 표시 장치, 문서 레이아웃 해석부, 문서 속성 추출부, 화상 변형부

Description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화상 정보 및/또는 텍스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화상 텍스트 정보의 임의 부분에 대해서 주주사(主走査) 또는 부(副)주사 방향으로 자동 스크롤시킨다. 또한 스크롤 위치를 변경 지시하는 수단에 의해 스크롤 위치를 변경한다. 또한, 스크롤 속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수단에 의해 스크롤 속도를 변경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문서를 평면상에 레이아웃하는 수단과, 레이아웃한 문서 중 일정한 크기의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수단과, 사용자가 최저 2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수단과, 지시된 2방향을 따라 평면상의 표시 영역을 우 또는 좌로 이동하는 수단과, 표시 영역이 레이아웃 평면의 우단(右端) 또는 좌단(左端)까지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수단과, 표시 영역이 우단 또는 좌단까지 이동한 경우에 표시 영 역을 좌단 또는 우단까지 되돌리는 동시에 표시 영역을 하 또는 상으로 각각 이동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예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11-22408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2003-131642호 공보
문자열 정보를 표시할 때에, 이용자의 시선 이동을 저감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정보 표시 장치로서, 복수행으로 배열된 문자열 정보를 받아들이는 수단과, 상기 받아들인 문자열 정보의 n행째 말미와, n+1행째 선두를 1행으로 연결한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한 행의 화상을, 화면의 미리 정해진 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정보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수단이, 상기 행의 화상 중, 화면 중앙부와 화면 단부(端部)에서의 문자열의 묘화색을 변경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정보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수단이, 상기 취득한 행의 화상의 일부를 상기 표시 범위에 표시하고, 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부분을 축차적으로 변경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3 기재의 정보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수단이, 상기 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부분의 변경 속도를, 이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조정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표시 장치로서, 상기 화상 취득 수단은, 복수행으로 배열된 문자열 정보를 묘화한 원 화상을 생성하고, 그 생성한 원화상을, 문자열의 읽는 방향으로 1행씩 어긋나게 하여 복수 배치하고, 그 복수 배치한 원화상군의 일부의 화상을 추출하여, 문자열 정보의 n행째 말미와, n+1행째 선두를 1행으로 연결한 화상을 생성하여 취득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행으로 배열되는 문자열 정보가 복수있는 경우에는, 상기 화상 취득 수단이, 제 i번째의 문자열 정보의 최종행 말미와, 제 i+1번째의 문자열 정보의 선단행 선두를 1행으로 연결한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표시 수단이, 그 취득한 화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정보 표시 방법으로서, 복수행으로 배열된 문자열 정보를 받아들이고, 상기 받아들인 문자열 정보의 n행째 말미와, n+1행째 선두를 1행으로 연결한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행의 화상을, 화면의 미리 정해진 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것이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컴퓨터를, 복수행으로 배열된 문자열 정보를 받아들이는 수단과, 상기 받아들인 문자열 정보의 n행째 말미와, n+1행째 선두를 1행으로 연결한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과,상기 취득한 행의 화상을, 화면의 미리 정해진 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것이다.
청구항 1, 7, 8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문자열 정보에 포함되는 각 행말과 다음의 행선두가 연속한 화상이 취득되고, 화면의 미리 정해진 표시 범위에 표시되므로, 이용자는 시선을 표시 범위로부터 이동하지 않고, 복수행의 문자열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화면 중앙부와 단부에서의 문자의 묘화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1행으로 연결된 문자열을 순차 표시시킬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표시 내용의 변경 속도를 이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행의 문자열을 1행으로 연결한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문자열의 화상이 복수있는 경우에도, 문자열을 1행으로 연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1)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1)와, 기억부(12)와, 조작부(13)와, 표시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정보 표시 장치(1)는, 네트워크 등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문자열 정보 등을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1)는, 휴대형의 메모리 디바이스 등을 받아들이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그 휴대형의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문자열 정보 등을 기억부(12)에 전송해도 좋다.
제어부(1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그램 제어 디바이스로서, 기억부(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따라서 동작한다. 이 제어부(11)는, 표시 처리의 대상이 되는 문자열 정보를 취득하고, 그 문자열 정보에서, n행째 말미와, n+1행째 선두를 1행으로 연결한 화상을 생성해서 취득한다. 그리고 그 생성된 행의 화상을, 표시부(14)에서 미리 정해진 표시 범위에 표시한다. 이 제어부(11)의 상세한 처리의 내용에 관해서는, 이후에 기술한다.
기억부(12)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 디바이스로서,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유지한다. 이 프로그램은, CD-R0M(Compact Disc Read 0nly Memory)이나 DVD-R0M(Digital Versatile Disc Read Only Memory), 나아가서는, 휴대형의 메모리 디바이스 등에 저장되어 제공되고, 이 기억부(12)에 저장된 것이라도 좋다. 이 기억부(12)는, 또한 제어부(11)의 워크 메모리로서도 동작한다.
조작부(13)는, 예를 들면, 텐키나, 상하 좌우의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십자 키 등이다. 이 조작부(13)는, 이용자에 의해 행해진 조작 내용을 제어부(11)에 출력한다. 표시부(14)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디바이스로서, 제어부(11)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문자열 등의 화상을, 지시된 위치에 표시한다.
다음에 제어부(11)에 의한 처리의 내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1)는, 기능적으로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문서 레이아웃 해석부(21)와, 문서 속성 추출부(22)와, 화상 변형부(23)와, 이동 제어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문서 레이아웃 해석부(21)는, 처리의 대상이 되는 도큐먼트(document)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도큐먼트의 데이터는, 예를 들면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문자열 부분(T) 외에, 그림이나 사진 등의 도안 부분(P)을 포함해도 좋다. 문서 레이아웃 해석부(21)는, 취득한 도큐먼트의 데이터에 대해서, 널리 알려진 레이아웃 해석 처리에 의해, 문자열 부분(T)을 식별하고, 그 문자열 부분의 화상(원화상)을 추출해서 문서 속성 추출부(22)에 출력한다. 또한, 문자열 부분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미리 정한 순서(예를 들면, 보다 상부에 있는 문자열 부분일수록 앞에,또한 같은 높이에 있는 문자열 부분은, 보다 좌측에 있는 문자열 부분을 앞으로 하는 등)로 순서 부여하여 각각의 화상을 출력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원화상의 폭(문자열의 읽는 방향의 길이)을 W, 높이(문자열의 행의 배열 방향)를 H로 한다.
문서 속성 추출부(22)는, 문서 레이아웃 해석부(21)가 출력한 문자열 부분의 화상에 포함되는 문자열의 정보로부터, 각 행의 개시 위치, 행의 높이, 행의 폭, 행간 길이, 공백 부분의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문서 레이아웃 해석부(21)가 출력하는 문자열 부분의 화상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행으로 배열된 문자열의 정보(비트맵의 화상 정보라도 상관없음)를 포함한다. 문서 속성 추출부(22)는, 예를 들면 유의(有意) 화소가 연속하는 영역을 식별하고, 또한 그 영역간의 거리가 문턱값 미만 또는 이하인 것을 그룹화하여, 각 문자를 구성하는 화소 의 덩어리를 식별한다. 그리고 각 문자에 외접하는 문자 외접 직사각형을 획정한다(도 4(S1)).
문서 속성 추출부(22)는, 인접하는 문자 외접 직사각형의 상하 방향의 평균 거리와, 좌우 방향의 평균 거리 중, 거리가 짧은 방향으로 문자가 읽혀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문자의 읽는 방향의 복수의 문자 외접 직사각형에 더 외접하는 행외접 직사각형을 얻는다(도 4(S2)).
그리고, 당해 행외접 직사각형의, 문자가 읽혀지는 방향과는 반대측의 단의 위치가 행의 개시 위치(L1, L2···)로 인식한다(도 4(S3)).
또한, 문서 속성 추출부(22)는, 행 마다의 행외접 직사각형의 높이(hn), 행외접 직사각형의 폭(wn), 인접하는 행외접 직사각형까지의 거리(ln)를 각각, 행의 높이, 행의 폭, 행간 길이로 인식한다(S4). 또한, 각 행외접 직사각형의 폭 중, 최대의 폭을 나타내는 값(wmax)을 검출하여, 각 행외접 직사각형의 폭과의 차 Wrest_n=wmax-wn을 얻는다. 이 Wrest_n이, n행째의 공백 부분의 폭을 나타내는 값이 된다. 또한, 각 행외접 직사각형 중, 행의 개시 위치가 가장 문자가 읽혀지는 방향과 반대에 있는 것(예를 들면 좌에서 우로 읽는 경우에는, 가장 좌측에 있는 것)의 개시 위치의 값(Lmin)을 얻어 두고, 행 선단측의 공백│Ln- Lmin│과, 행 말측의 공백 Wrest_n-│Ln+Lmin│을 다시 공백 부분의 정보로서 연산해도 좋다. 또한, 여기서 │x│은 x의 절대값을 나타낸다.
화상 변형부(23)는, 기억부(12)에 적어도 폭(2×W), 높이(2×H)의 화상의 기억 영역을 확보한다. 또한, 이 화상 변형부(23)는, 당초, 주목행(注目行)을 나타 내는 변수 n을 n=1로 설정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문자열의 읽는 방향을 좌에서 우로의 방향(X축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다만, 예를 들면, 문자열을 위에서 아래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축을 교체하면 좋고, 문자열을 우에서 좌로 읽는 경우에는, 축의 방향을 역회전하면 좋다.
화상 변형부(23)는, 예를 들면, 레이아웃 해석부(21)가 출력한 원화상을, 확보한 영역의 (0, H-ΣPi-1)-(W, 2×H-ΣPi-1)의 범위에 배치한다(도 5). 또한, 화상 변형부(23)는, 같은 원화상을, (W, H-ΣPi)-(2×W, 2×H-ΣPi)에 배치한다. 또한, Pi는, 행 i와, 그 다음 행 i + 1 사이의 폭을 나타내며, 예를 들면, Pi=hi+li로 해도 좋고, Pi=(hi+hi+1)/2+li로 해도 좋다. 전자이면, 선행하는 행과 다음 행의 상부가 일치하고, 후자이면, 선행하는 행과 다음 행의 중앙(행의 중앙)이 일치한다. 또한, ΣPi는, Pi를, i=1부터 i=n(n은 주목행)까지를 가산한 값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변형부(23)는, 원화상을 문자가 읽혀지는 방향으로 연속해서 반복 배열하고, 인접해서 배열하는 화상에 대해서, 행의 배열 방향으로 행의 분량(Pn)만큼 어긋나게 배치한다. 즉, 화상 변형부(23)는,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원화상(A)을 문자열의 읽는 방향으로 1행씩 어긋나게 복수 배치함으로써, 문자열 정보의 n행째 말미와, n+1행째 선두를 1행으로 연결한 화상을 생성한다. 도 6의 예에서는, 최초의(제 1 번째의) 원화상의 1행째와, 다음(제 2 번째의) 원화상의 2행째가 일정한 높이로 정렬되고, 또한 그 제 2 번째의 원화상의 2행째와 제 3 번째의 원화상의 3행째가 일정한 높이로 정렬되고 …라는 식으로, 각 행의 문자열 이 일정한 높이로 정렬된 화상(행 연결 화상이라고 함)이 생성된다.
화상 변형부(23)는, 또한, 이 행 연결 화상의 일부를 추출하여, 표시부(14)에 표시 출력시킨다. 즉 화상 변형부(23)는, 표시부(14)의 표시 가능 범위의 형상·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를 받고, 행 연결 화상 중, 그 형상·사이즈에 상당하는 범위의 부분 화상을 추출한다. 일례로서, 표시부(14)의 표시 가능 범위가 폭(Rw)×높이(Rh)의 직사각형(이하, 추출 범위(R)라고 함)으로 표시되는 형상·사이즈에 상당한다고 하면, 화상 변형부(23)는 이 추출 범위(R)의 화상을 추출해서 출력한다(도 6(c)).
화상 변형부(23)는, 행 연결 화상 위에서, 이 추출 범위(R)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동 제어부(24)로부터 받아들이고, 그 정보가 나타내는 행 연결 화상 위의 위치에 추출 범위(R)를 설정한다. 그리고 그 설정한 추출 범위(R) 내의 화상 부분을 추출해서 표시부(14)에 출력한다.
또한, 화상 변형부(23)는, 추출 범위(R)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측의 끝변의 좌표가, 반복하여 배열된 원화상의 경계에 도달했을 때, 즉 추출 범위(R)의 좌 끝변의 X축(좌우 방향의 축을 X축으로 함) 좌표가, 원화상의 폭(W)에 도달했을 때, 화상 변형부(23)는, (W, H-ΣPi)-(2×W, 2×H-ΣPi)의 범위에 배치되어 있던 원화상을, (0, H-ΣPi)-(W, 2×H-ΣPi)의 범위로 이동한다. 또한, 새로이 원화상을, (W, H-ΣPi+1)-(2×W, 2×H-ΣPi+1)에 배치한다. 또한, 추출 범위(R)의 X좌표의 값으로부터 W를 감한다.
이동 제어부(24)는, 당초는 행 연결 화상 위, 최초 행의 최초 문자가 추출 범위(R)의 미리 정한 위치(예를 들면, 중앙부, 이하, 주시(注視) 위치라고 함)에 표시되도록, 추출 범위(R)의 X축 위의 위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이동 제어부(24)는, 그 후는, 추출 범위(R)의 위치를 행 연결 화상 위에서 시간 경과와 함께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행으로 배열되는 문자열 정보 중, 제 n행째의 말미와 제 n+1행째의 선두를 연결하여 1행의 문자열의 화상을 생성하고 있으므로, 이 1행의 문자열의 화상을 따라서 일방향(X축 방향)으로 추출 범위(R)를 이동시키면, 각 행의 문자열이 순차적으로 스크롤 표시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정보 표시 장치(1)는,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제어부(11)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등의 통신 수단 등을 통하여 처리의 대상이 되는 도큐먼트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널리 알려진 레이아웃 해석 처리에 의해, 문자열 부분(T)을 식별한다.
제어부(11)는, 문자열 부분의 화상에 포함되는 문자열의 정보로부터, 각 행의 개시 위치, 행의 높이, 행의 폭, 행간 길이, 공백 부분 등의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추출한 문자열 부분의 화상(원화상)을, 문자가 읽혀지는 방향으로 연속해서 반복 배열한다. 이 때 인접해서 배열하는 화상에 대해서, 행의 배열 방향으로 1행분만큼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제 n행째의 말미와 제 n+1행째의 선두가 1행으로 정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부(11)는, 문자열 정보의 n행째 말미와, n+1행째 선두를 1행으로 연결한 화상(행 연결 화상)을 생성하면, 표시부(14)의 표시 가능 범위에 상당하는 형상 및 사이즈의 추출 영역(R)을, 그 선두(1행째의 선두에 상당하는 위 치)를 포함하는 위치로 설정하고, 행의 방향(문자의 읽는 방향)으로 예를 들면 일정한 속도(1초당 p화소씩)로, 이 추출 영역(R)을 이동시킨다.
제어부(11)는, 행 연결 화상 중, 추출 영역(R) 내의 부분 화상을 추출해서 표시부(14)에 표시시킨다. 추출 영역(R)의 이동에 따라, 행 연결 화상이 스크롤 표시되므로, 이용자는, 표시부(14)의 특정한 범위만 보고 있으면, 문자열의 개행(改行)에 상관없이, 1행으로 연결된 문자열을 계속해서 읽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추출 영역(R)의 이동 속도(스크롤 속도)는 일정하다고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이용자에게 이동 속도를 조정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십자 키 중, 문자열의 읽는 방향에 대응하는 키를 누르고 있는 동안, 이동 속도를 미리 정한 속도만큼 빠르게 해도 좋다. 또한, 문자열의 읽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키를 누르고 있는 경우에는, 이동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또는 이동 방향을 역회전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동 방향을 역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1)는, 화상 변형부(23)의 처리로서, 추출 범위(R)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측의 끝변의 좌표가, 반복하여 배열된 원화상의 경계에 도달했을 때, 즉 추출 범위(R)의 우측 끝변의 X축 좌표가, 원화상의 폭(W)에 도달했을 때, 화상 변형부(23)는, (0, H-ΣPi)-(W, 2×H-ΣPi)의 범위에 배치되어 있던 원화상을, (W, H-ΣPi)-(2×W, 2×H-ΣPi)의 범위 로 이동하고, 원화상을 새로이, (0, H-ΣPi-1)-(W, 2×H-ΣPi-1)에 배치한다. 또한, 추출 범위(R)의 X 좌표의 값에 W를 가산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이용자의 지시 등에 의해, 추출 영역(R)의 위치를 전의 행이나 다음 행으로 이동해도 좋다. 즉, 제어부(11)는, 예를 들면, 전의 행으로 이동하는 지시를 받으면, 추출 영역(R)의 위치를 지시를 받은 시점의 위치로부터, 문자열의 읽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원화상의 폭만큼 이동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예를 들면, 다음 행으로 이동하는 지시를 받으면, 추출 영역(R)의 위치를 지시를 받은 시점의 위치로부터, 문자열의 읽는 방향으로, 원화상의 폭만큼 이동한다.
또한, 복수행으로 배열되는 문자열 정보(레이아웃 해석 처리에 의해 찾아낸 문자열 부분)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순서로 순서 부여하여 각각의 화상이 처리의 대상이 된다. 이 경우 제어부(11)는, 제 i번째의 문자열 정보(문자열 부분의 화상)의 최하행 말미와, 제 i+1번째의 문자열 정보(문자열 부분의 화상)의 선단행 선두를 1행으로 연결하고, 행 연결 화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또한 제어부(11)는, 추출 영역(R)의 중앙부 등, 이용자가 읽고 있는 문자가 표시되어야 할 범위(주시 위치)가 있는 행 이외의 행의 문자(타행 문자라고 함)와, 주시 위치가 있는 행에 포함되는 문자로서, 적어도 주시 위치로부터 일정한 범위에 있는 문자(주시 문자라고 함)의 사이에서 그 묘화색을 변경해도 좋다. 일례로서 타행 문자를 연한 그레이로 표시하고, 주시 문자를 진한 그레이 또는 흑색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어부(11)는, 주시 위치가 있는 행에 포함되는 문자라도, 주시 문자와, 주시 위치로부터 일정한 범위를 초과하는 위치에 있는 문자의 사이에서 묘화색을 다르게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주시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연해지게 표시해 도 좋다(도 7).
또한, 문자를 구성하는 화소의 묘화색을 다르게 하지 않고, 주시 문자의 배경의 묘화색을, 다른 부분과는 다르게 해도 좋다. 또한, 주시 문자를 구성하는 화소의 묘화색과, 그 배경의 묘화색의 쌍방을 다른 부분과 다르게 해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주시 위치가 있는 행에 포함되는 문자, 또는 주시 위치로부터 일정한 범위에 있는 문자에 대해서 그 묘화색을 다르게 하는 것으로 했지만, 주시 위치가 있는 행에 포함되는 문자 이외의 화상, 또는 주시 위치로부터 일정한 범위에 있는 문자 이외의 화상에 관해서도, 그 묘화색을 다른 부분과는 다르게 표시해도 좋다. 예를 들면, 주시 위치가 있는 행에 있는 문자 이외의 화상에 대해서는, 채도를 높이고, 그 이외의 화상에 관해서는 채도를 저하시키도록 해도 좋다.
[경사지게 표시하는 예]
또한 여기까지의 설명에서는, 추출 영역(R)은 직사각형으로 하고, 그 중 한 쌍의 변이, 행 연결 화상에 포함되는 각 행에 평행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용자에 대해서, 읽기 진행되는 동안에 다음 행으로 옮겨지는 것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 영역(R)을 각(θ)만큼 기울이고, 표시부(14)에서, 주시해야 할 행의 문자열이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여 늘어서도록 표시해도 좋다(도 8의 (b)).
[다른 표시 형태와의 전환]
또한, 본 실시예의 정보 표시 장치(1)의 제어부(11)는, 행 연결 화상을 스크롤 표시하는 모드와, 스크롤 표시하지 않는 모드를 전환 가능하게 해도 좋다. 이 때, 스크롤 표시하는 모드에서는, 주시 위치를 포함하는 행 이외의 행을 비교적 연한 그레이로 표시하는 등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를 행하고, 스크롤 표시하지 않는 모드에서는, 전체를 균일한 농도의 문자 화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스크롤 표시하지 않는 모드에서, 주시 위치를 포함하는 행에 밑줄을 표시하고, 또는 주시 위치를 포함하는 행을 둘러싸는 직사각형을 표시해도 좋다.
또한, 제어부(11)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화상 위에서 추출 영역(R)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전체 표시)를 행해도 좋다. 이 경우, 원화상의 전체를, 표시부(14)의 전체에 표시하는 동시에, 스크롤 표시하지 않는 모드에서 표시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직사각형을 표시한다(도 9의 (a)). 또한, 현재의 추출 영역(R)이 행을 넘는 경우에는, 직사각형은 좌우로 분단되어 나타난다(도 9의 (b)).
제어부(11)는, 이들 전체 표시, 스크롤 표시하지 않는 모드, 스크롤 표시를 하는 모드를 상호 전환 가능하게 해 두어도 좋다.
[문자 종류가 인식 가능한 경우]
또한, 제어부(11)는, 주목행(n)에서의 행 선단측의 공백│Ln-Lmin│과, 행말측의 공백 Wrest_n-│Ln+Lmin│의 정보를 사용하여, 추출 영역(R)의 주시 위치(예를 들면, 중앙의 좌표)가, 원화상의 좌단으로부터 행 선단측의 공백│Ln-Lmin│의 거리까지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스크롤 속도(추출 영역(R)의 이동 속도)를 크게 해도 좋다. 또한, 추출 영역(R)의 주시 위치(예를 들면, 중앙의 좌표)가, 원화상의 우단으로부터 행말측의 공백 Wrest_n-│Ln+Lmin│만큼 좌측의 위치(즉 공백의 선단)로부터, 원화상의 우단까지의 사이에 있을 때에, 스크롤 속도(추출 영역(R)의 이동 속도)를 크게 해도 좋다.
또한, 여기까지의 설명에서는, 원화상에 포함되는 문자열의 화상은, 비트맵 화상인 것으로 했지만, 원화상에 포함되는 문자열의 부호의 정보(문자 종류가 한자, 가나, 알파벳 중 어느 것인지 등을 판별할 수 있는 정보)가 아울러 제공되고 있는 경우, 제어부(11)는 이 부호의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 영역(R)의 주시 위치(예를 들면, 중앙의 좌표)에 있는 문자 종류에 따라, 스크롤 속도(추출 영역(R)의 이동 속도)를 다르게 해도 좋다. 예를 들면, 한자이면 느리게, 가나이면 빠르게, 알파벳이면, 더 빠르게 스크롤시켜도 좋다.
또한, 한자의 획수, JIS(Japan lndustrial Standard)의 제 몇 수준의 한자인지 등, 한자의 난독성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다르게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추출 영역(R)의 주시 위치(예를 들면 중앙의 좌표)에 있는 문자의 수식 상황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변화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문자의 크기가 큰 곳에서는 느리게 하거나 해도 좋고, 강조 서체(볼드) 등의 경우, 느리게 하거나 해도 좋다.
또한, 추출 영역(R)의 주시 위치(예를 들면 중앙의 좌표) 주변에 있는 문자열이 미리 정한 사전에 포함되는 문자열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속도를 변화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를 사전에 포함시켜 두고, 이 단어에 합치하는 문자열이 아닌 경우에는, 느리게 하는 등이다.
또한, 문자열의 문자간의 거리에 의해 스크롤 속도를 변화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문자간의 거리가 좁을수록 느리게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더 많은 원화상을 배치하는 예]
또한 여기까지에서는, 원화상을 읽는 방향으로 2개 배치하는 예로 했지만, 더 많은 원화상을 읽는 방향으로 배열해도 좋다. 이 경우, 좌로부터 j번째의 원화상(주목행이 i인 원화상으로 함)은, ((j-1)×W, H-ΣPi)-(j×W, 2×H-ΣPi)의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추출 영역(R)과 겹치지 않는 원화상을 삭제하고, 각 원화상의 위치와 추출 영역(R)의 위치를 삭제한 원화상의 방향으로 채워 가게 된다.
[서버를 이용하는 예]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문서 레이아웃 해석부(21)의 처리를 정보 표시 장치(1)가 아니라, 외부의 서버 장치 등으로 행해도 좋다. 이 경우, 서버 장치 등에서의 처리의 결과인, 가상적으로 일렬로 배치된 문자열 화상을, 정보 표시 장치(1)가 취득하여, 그 후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문서 속성 추출부(22)로서의 처리(도 4에 나타낸 처리)도 외부의 서버 장치 등으로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정보 표시 장치(1)는, 문서 속성 추출부(22)로서의 처리에서 얻어진 정보를, 당해 외부의 서버 장치 등으로부터 취득하여, 화상 변형부(23) 이하의 처리를 계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가 처리의 대상으로 하는 문서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의 처리의 일부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가 생성하는 행 연결 화상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가 생성하는 화상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한 화상의 표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한 화상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한 화상의 또 다른 표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보 표시 장치
11 : 제어부
12 : 기억부
13 : 조작부
14 : 표시부
21 : 문서 레이아웃 해석부
22 : 문서 속성 추출부
23 : 화상 변형부
24 : 이동 제어부

Claims (8)

  1. 복수행으로 배열된 문자열 정보를 받아들이는 수단과,
    상기 받아들인 문자열 정보의 n행째 말미와, n+1행째 선두를 1행으로 연결한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한 행의 화상을, 화면의 미리 정해진 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행의 화상 중, 화면 중앙부와 화면 단부(端部)에서의 문자열의 묘화색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취득한 행의 화상의 일부를 상기 표시 범위에 표시하고, 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부분을 축차적(逐次的)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부분의 변경 속도를, 이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수단은, 복수행으로 배열된 문자열 정보를 묘화한 원화상(原畵像)을 생성하고,
    그 생성한 원화상을, 문자열의 읽는 방향으로 1행씩 어긋나게 하여 복수 배치하고,
    그 복수 배치한 원화상군의 일부의 화상을 추출하여, 문자열 정보의 n행째 말미와, n+1행째 선두를 1행으로 연결한 화상을 생성하여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행으로 배열되는 문자열 정보가 복수있는 경우에는, 상기 화상 취득 수단이, 제 i번째의 문자열 정보의 최종행 말미와, 제 i+1번째의 문자열 정보의 선단행 선두를 1행으로 연결한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표시 수단이, 그 취득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장치.
  7. 복수행으로 배열된 문자열 정보를 받아들이고,
    상기 받아들인 문자열 정보의 n행째 말미와, n+1행째 선두를 1행으로 연결한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행의 화상을, 화면의 미리 정해진 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방법.
  8. 컴퓨터를,
    복수행으로 배열된 문자열 정보를 받아들이는 수단과,
    상기 받아들인 문자열 정보의 n행째 말미와, n+1행째 선두를 1행으로 연결한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한 행의 화상을, 화면의 미리 정해진 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090003665A 2008-06-11 2009-01-16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200901293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53181 2008-06-11
JP2008153181A JP2009301206A (ja) 2008-06-11 2008-06-11 情報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314A true KR20090129314A (ko) 2009-12-16

Family

ID=4141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665A KR20090129314A (ko) 2008-06-11 2009-01-16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46427B2 (ko)
JP (1) JP2009301206A (ko)
KR (1) KR20090129314A (ko)
CN (1) CN1016045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6912B2 (ja) * 2007-08-24 2013-05-1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2012048555A (ja) * 2010-08-27 2012-03-08 Fujifilm Corp 文書表示方法、文書表示装置及び文書表示プログラム
KR101752753B1 (ko) 2011-01-25 2017-06-30 톰슨 라이센싱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에서의 프로그램들을 위한 비주얼 큐
US9672788B2 (en) * 2011-10-21 2017-06-06 New York University Reducing visual crowding, increasing attention and improving visual span
JP6208094B2 (ja) * 2014-08-26 2017-10-04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10410398B2 (en) * 2015-02-20 2019-09-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memory bandwidth using low quality tiles
JP6548920B2 (ja) 2015-03-09 2019-07-24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21695A (ja) 2015-07-14 2017-01-26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759752B2 (ja) * 2016-06-23 2020-09-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27607A (ja) * 2016-08-30 2017-02-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形態変更システムおよび電子書籍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7256A (ja) * 1991-04-24 1994-08-11 サスマン,マイケル ディジタル文書拡大表示装置
JPH0816831B2 (ja) * 1991-09-20 1996-02-21 日本電気株式会社 演説台
JPH07146674A (ja) * 1993-11-25 1995-06-06 Sanyo Electric Co Ltd 情報表示装置
US6279017B1 (en) * 1996-08-07 2001-08-21 Randall C. Walker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ext based upon attributes found within the text
JP3772404B2 (ja) 1996-08-29 2006-05-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
JPH11224082A (ja) 1998-02-06 1999-08-17 Sanyo Electric Co Ltd 情報表示装置
US7269584B2 (en) * 1998-11-26 2007-09-11 Settle Iii Peveril O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flicts of interest during the selection of legal and legal-related service providers
JP2002366135A (ja) * 2001-06-04 2002-12-20 Sharp Corp 画像表示装置
JP2003131642A (ja) 2001-10-30 2003-05-09 Canon Inc 電子化文書閲覧装置、方法、及び記憶媒体
JP4256299B2 (ja) * 2004-05-10 2009-04-22 株式会社東芝 スクロール機能を有する携帯情報端末
JP4900640B2 (ja) * 2005-03-30 2012-03-2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文書表示制御方法
JP4661909B2 (ja) * 2008-06-04 2011-03-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04517B (zh) 2013-10-16
CN101604517A (zh) 2009-12-16
US20090309892A1 (en) 2009-12-17
US8446427B2 (en) 2013-05-21
JP2009301206A (ja)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9314A (ko)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US10248878B2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system as well as electronic device and keyboard thereof
US8669955B2 (en) Portable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portable display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6804414B1 (en) Image status detecting apparatus and document image correcting apparatus
US20070122064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10021279A1 (en) Document modification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WO2006104322A1 (en)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using chinese alphabet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US8341546B2 (en) Method for visualizing a change caused by scrolling in a scrolling direction of a section of a text and/or graphic displayed on an optical display means
JP4661909B2 (ja) 情報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Sandnes Lost in OCR-translation: pixel-based text reflow to the rescue: magnification of archival raster image documents in the browser without horizontal scrolling
JP2008084136A (ja) 携帯電子機器
US20050162427A1 (en) Font processor, terminal device, font processing method, and font processing program
EP0488128B1 (en) Printing apparatus
JP3113747B2 (ja) 文字認識装置及び文字認識方法
CN110390323B (zh) 信息处理装置以及计算机可读介质
KR102549590B1 (ko) 문자를 축소하여 표시하는 led 디지털 사이니지
KR20050003075A (ko) 문자인식기능과 전자사전을 구비하는 휴대통신장치및 문자인식기능을 구비하는 전자사전
JP4501731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5092567A (ja) スクロール制御装置、スクロール制御方法、スクロール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7304480A (ja) キャラクタ表示装置及びキャラクタ表示方法
JP2687902B2 (ja) 文書画像認識装置
JPH09114923A (ja) 領域分割装置
JP3594625B2 (ja) 文字入力装置
JPS63115283A (ja) 文字認識装置における認識結果修正画面の表示方法
JP2000029984A (ja) 文字認識装置および文字認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