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5157A - 이동통신단말기의 중문 입력창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중문 입력창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5157A
KR20040105157A KR1020030036448A KR20030036448A KR20040105157A KR 20040105157 A KR20040105157 A KR 20040105157A KR 1020030036448 A KR1020030036448 A KR 1020030036448A KR 20030036448 A KR20030036448 A KR 20030036448A KR 20040105157 A KR20040105157 A KR 20040105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input
input window
displaying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352B1 (ko
Inventor
김찬수
리이도웅츠우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6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352B1/ko
Priority to CNB2003101230125A priority patent/CN1258130C/zh
Publication of KR20040105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PDA에서 중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때 고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중국어 문자 입력위치에 인접되게 이동시켜 가면서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문입력모드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한어병음을 입력하는 제1과정과; 중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때, 현재 입력된 중국어 문자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인접된 위치로 이동시켜 가면서 디스플레이하는 제2과정과; 현재 커서 위치의 한어병음에 해당하는 여러 중국어 문자를 디스플레이한 후 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중국어 문자를 화면상의 해당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제3과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중문 입력창 표시방법{METHOD FOR DISPLAYING CHINESE LANGUAGE INPUT WINDOW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에서 중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문 입력창을 고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중문 입력위치에 인접되게 이동시켜 가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중문 입력창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개인휴대정보단말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간단한 문서를 직접 작성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기능(예: SMS)이 서비스되고 있다.
이때, 영어나 한글 등의 경우 사용자가 키보드 상에서 문자를 직접 입력하여 문서를 작성하게 되지만, 중문의 경우에는 문자입력창을 제공하고 그 중에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문서를 작성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도 1은 중문 문서를 작성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중문입력모드를 선택하면 엘씨디 화면(1)의 하단에 중문입력창(2)이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때 목적한 한어병음(예: a bu chu cheng)을 입력하고 그 중에서 하나의 한어병음(예: 'a')에 커서를 위치시키면 그에 해당하는 여러 중국어 문자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를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하나의 중국어 문자를 선택하면, 그 중국어 문자가 입력처리됨과 아울러 중국어 문자 입력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중국어 문자가 입력처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도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자신이 원하는 중문 서류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의 중문 입력기술에 있어서는 중문입력창이 화면의 하단이나 상단에 고정되므로 현재 입력처리되어 디스플레이된 문자의 위치와의 거리가 멀게 되고, 이로인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중국어 문자가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데 불편함이 있을 뿐더러 중국어 문자 입력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중문 입력서비스를 수행할 때 중문 입력창을 고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중문 입력위치에 인접되게 이동시켜 가면서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중문 입력창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중문입력창 표시방법의 예시도.
도 2의 (a)-(i)는 본 발명에 의한 중문입력창 표시방법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중문 입력창 표시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엘씨디 화면 2 : 중문입력창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중문 입력창 표시방법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중문입력모드를 선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한어병음을 입력하는 제1과정과; 화면 상에서 중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때, 현재 입력된 중국어 문자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화면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절반의 위쪽인지 확인하여, 그 디스플레이 위치의 바로 아래쪽 또는 바로 위쪽에 중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과정과; 현재 커서 위치의 한어병음에 해당하는 여러 중국어 문자를 디스플레이한 후 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중국어 문자를 입력하여 상기 화면상의 해당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중문 입력창 표시방법의 처리과정을 첨부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키신호가 입력되면 중문입력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신호인지 확인하여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1-S3)
하지만, 상기 확인 결과 현재 입력된 키신호가 중문입력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신호로 판명되면, 중문입력모드를 설정한 후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해당 한어병음을 입력처리한다.(S4,S5)
이후, 엘씨디 화면(1)에 상기 한어병음 및 해당 중국어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중문입력창(2)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가능한 한 현재의 중국어 문자 입력위치에 인접되게 중문입력창(예: Pinyin, Stroke 등)(2)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현재 입력된 중국어 문자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화면(1)상에서 수직방향(V)으로 1/2 위쪽인지 확인한다.(S6)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위치가 화면의 수직방향으로 절반() 위쪽으로 판명되면 화면(1)에서 현재 중국어 문자가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의 바로 아래에 중문입력창(2)을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커서위치의 한어병음을 해당하는 중국어 문자로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가아래쪽으로 판명되면 화면(1)에서 현재 입력된 중국어 문자의 디스플레이 위치의 바로 아래에 중문입력창(2)을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커서위치의 한어병음을 해당하는 중국어 문자로 디스플레이한다(S7,S8)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중문입력창(2)에 디스플레이된 중국어 문자 중 임의의 중국어 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확인하여, 선택한 것으로 판명되면 해당 중국어 문자를 입력처리함과 아울러 화면 상의 해당 위치에 디스플레이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중국어 문자가 입력처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S9,S10)
도 2의 (a)-(i)는 본 발명에 의해 중문입력창이 현재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중국어 문자의 위치에 인접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2의 (a)는 현재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중국어 문자의 위치가 화면의 수직방향으로 절반 위쪽에서 맨 첫 번째 수평라인인 경우, 두 번째 수평라인부터 아래 방향으로 중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b)-(e)는 이후 상기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중국어 문자의 수평라인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중문입력창을 한 수평라인씩 아래로 이동시켜 가면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의 (f)는 현재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중국어 문자의 위치가 화면의 수직방향으로 절반의 아래쪽인 경우,위쪽의 수평라인부터 위쪽 방향으로 중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g)-(i)는 이후 상기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중국어 문자의 수평라인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중문입력창을 한 수평라인씩 아래로 이동시켜 가면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중문 입력서비스를 수행할 때, 현재 입력처리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중국어 문자의 위치에 인접된 위치로 중문입력창을 이동시켜 가면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중국어 문자를 입력하기 쉽고 입력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중문입력모드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한어병음을 입력하는 제1과정과; 중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때, 현재 입력된 중국어 문자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인접된 위치로 이동시켜 가면서 디스플레이하는 제2과정과; 현재 커서 위치의 한어병음에 해당하는 여러 중국어 문자를 디스플레이한 후 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중국어 문자를 화면상의 해당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중문 입력창 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은 현재 입력된 중국어 문자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화면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절반의 위쪽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현재 중국어 문자가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의 바로 아래쪽에 또는 바로 위쪽에 중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중문 입력창 표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은 중문입력창을 이동시킬 때 1 수평라인 단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중문 입력창 표시방법.
KR1020030036448A 2003-06-05 2003-06-05 이동통신단말기의 중문 입력창 표시방법 KR100548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448A KR100548352B1 (ko) 2003-06-05 2003-06-05 이동통신단말기의 중문 입력창 표시방법
CNB2003101230125A CN1258130C (zh) 2003-06-05 2003-12-23 移动通信终端的中文输入窗口显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448A KR100548352B1 (ko) 2003-06-05 2003-06-05 이동통신단말기의 중문 입력창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157A true KR20040105157A (ko) 2004-12-14
KR100548352B1 KR100548352B1 (ko) 2006-02-02

Family

ID=3451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448A KR100548352B1 (ko) 2003-06-05 2003-06-05 이동통신단말기의 중문 입력창 표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48352B1 (ko)
CN (1) CN125813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596B1 (ko) * 2003-10-15 2007-05-15 강윤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중국어 입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749B1 (ko) * 2007-11-22 2008-10-22 김연수 문자입력방법
CN102087572A (zh) * 2009-12-02 2011-06-08 乐金电子(中国)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移动终端的中文输入窗显示方法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596B1 (ko) * 2003-10-15 2007-05-15 강윤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중국어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8130C (zh) 2006-05-31
CN1573659A (zh) 2005-02-02
KR100548352B1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5039B2 (en) Text input
US8581851B2 (en) 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input having a base character component and a supplemental character component
US201100377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using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US20120327003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ocument data editing method
KR100881549B1 (ko)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JP2005521963A (ja)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文字入力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1637978A2 (en) Method and device for key input in mobile terminal
KR10077245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N102403879A (zh) 具有文本编辑器的变频器
JP2006209418A (ja) 入力方法及び入力装置並びコンピュータにより読取可能なプログラム
KR102126831B1 (ko)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074652A (ko) 표의문자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054835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중문 입력창 표시방법
KR100386944B1 (ko)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US2007001366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characters therein
WO2005033856A2 (en) Recognition of scribed indicia on a user interface
KR101606140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컴퓨팅 기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040121817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050110329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100667533B1 (ko) 병음과 획을 이용하여 중문을 입력하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중문 입력 방법
KR10061896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버튼 입력 방법
KR20080007180A (ko) 복수 언어의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
KR2005001589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표시 방법
KR20030089190A (ko)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KR1006527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비밀번호 자동 변환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