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533B1 - 병음과 획을 이용하여 중문을 입력하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중문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병음과 획을 이용하여 중문을 입력하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중문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533B1
KR100667533B1 KR1020050047145A KR20050047145A KR100667533B1 KR 100667533 B1 KR100667533 B1 KR 100667533B1 KR 1020050047145 A KR1020050047145 A KR 1020050047145A KR 20050047145 A KR20050047145 A KR 20050047145A KR 100667533 B1 KR100667533 B1 KR 100667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inyin
chinese
stroke
chinese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5217A (ko
Inventor
황혜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7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533B1/ko
Priority to CNA2006100665763A priority patent/CN1873601A/zh
Publication of KR2006012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로,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되어 있는 중문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입력 방식의 전환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현재의 중문 입력 모드를 병음 입력 모드 또는 획 입력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와, 모드 설정부에 의해 병음 입력 모드가 설정된 경우, 입력되는 병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메모리 또는 화면에 표시된 한자로부터 추출하는 병음 처리부와, 모드 설정부에 의해 획 입력 모드가 설정된 경우, 입력되는 획에 해당하는 한자를 메모리 또는 화면에 표시된 한자로부터 추출하는 획 처리부와, 병음 처리부 또는 획 처리부에 의해 추출된 한자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선택창 처리부와, 표시된 한자 중 임의의 한자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한자를 출력창에 입력할 한자로 출력하는 출력창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방식의 전환 요청에 따라 병음 입력 방식과 획 입력 방식을 교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해야 하는 한자들의 범위를 효과적으로 좁혀나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중국어, 입력 방식, 획, 병음, 이동 통신 단말기

Description

병음과 획을 이용하여 중문을 입력하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중문 입력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USING PINYIN AND STROK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음과 획을 이용한 중문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삭제
삭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동작 흐름도.
도 6a, 도 6b 및 도 6c 는 기존의 중문 입력 방법을 수행하는 디지털 장치에서 획 입력 모드에 의해 한자(
Figure 112006061877010-pat00034
)가 입력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a 및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음과 획을 이용한 중문 입력 방법을 수행하는 디지털 장치에서 한자(
Figure 112006061877010-pat00035
)가 입력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 메모리 120 : 제어부
121 : 모드 설정부 122 : 병음 처리부
122a : 병음 입력부 122b : 병음 추출부
123 : 획 처리부 123a : 획 입력부
123b : 획 추출부 124 : 선택창 처리부
125 : 출력창 처리부 130 : 표시부
140 : 키입력부 150 : 폴더
161 : 음성 메모리 162 : 음성 처리부
163 : 착신음 발생부 164 : RF부
165 : 스피커 166 : 마이크로폰
본 발명은 중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병음과 획을 이용한 디지털 장치에서 중문을 입력할 때 병음 입력 모드와 획 입력 모드를 교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해야 하는 한자들의 범위를 좁혀나가는 병음과 획을 이용하여 중문을 입력하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중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한자 입력방식은 크게 병음(Pinyin)방식과 획(Stroke)방식으로 나눠지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그 중 한가지 입력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병음 입력 방식은 먼저 쓰고자 하는 한어의 병음을 입력하고, 입력된 병음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문자들 중 쓰고자 하는 문자를 방향키로 선택한다. 그리고 획 방식은 쓰고자 하는 한자의 획을 일정한 정도까지 입력한 후, 입력된 획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 중 쓰고자 하는 한자를 방향키로 선택한다.
이러한 중문 입력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병음이나 획에 해당하여 출력된 한자의 수는 줄여나가지 못하며, 방향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한자를 찾아 선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입력시 타수가 늘어나고 타자 속도가 느려질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중문을 입력하는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중문을 빠르게 찾아 입력할 수 있도록 병음 입력 방식과 획 입력 방식을 동시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해야 하는 병음 또는 획에 해당하는 글자들의 수를 효과적으로 줄이는 병음과 획을 이용하여 중문을 입력하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중문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로,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되어 있는 중문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입력 방식의 전환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현재의 중문 입력 모드를 병음 입력 모드 또는 획 입력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와, 상기 모드 설정부에 의해 병음 입력 모드가 설정된 경우, 입력되는 병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한자로부터 추출하는 병음 처리부와, 상기 모드 설정부에 의해 획 입력 모드가 설정된 경우, 입력되는 획에 해당하는 한자를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한자로부터 추출하는 획 처리부와, 상기 병음 처리부 또는 상기 획 처리부에 의해 추출된 한자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선택창 처리부와, 상기 표시된 한자 중 임의의 한자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한자를 출력창에 입력할 한자로 출력하는 출력창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병음 처리부는, 병음을 입력받는 병음 입력부와, 상기 화면에 한자가 표시되어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 한자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병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상기 표시된 한자로부터 추출하고, 한자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병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병음 추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획 처리부는 획을 입력받는 획 입력부와, 상기 화면에 한자가 표시되어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 한자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획에 해당하는 한자를 상기 표시된 한자로부터 추출하고, 한자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획에 해당하는 한자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획 추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부와,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되어 있는 중문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의 중문 입력 방법으로, 병음 입력 방식 또는 획 입력 방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입력방식에 의해 입력된 병음 또는 획에 해당하는 다수의 한자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 1 단계와, 입력 방식의 전환 요청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입력 방식의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그 전환된 입력방식에 의해 입력된 획 또는 병음에 해당하는 다수의 한자를 상기 표시된 한자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재표시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중문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음과 획을 이용한 중문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음과 획을 이용한 중문 입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중문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가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10)와, 그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해당 프로그램에 프로그래밍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제어부(120)와, 화면창을 제공하는 표시부(130)와, 버튼으로 구성되는 키입력부(140)와, 폴더(150)와, 음성 메모리(161)와, 음성 처리부(162)와, 착신음 발생부(163)와, RF부(164)와, 스피커(165)와, 마이크로폰(1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110)에는 제어부(12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따라서 메모리(110)에는 중문 입력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중문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다. 이때 중문 데이터는 중국어에서 쓰이는 한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중문 입력 프로그램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구비되는 각종 구성들의 제어를 한다.
음성 메모리(161)는 음성 통화 또는 착신음, 멜로디를 포함하여 각종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표시부(13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 이동 통신 단말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키입력부(140)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2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키입력부(140)에 의한 사용자의 메뉴 표시 요구에 따라 해당 메뉴를 메모리(110)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즉, 키입력부(140)는 통상적인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다수의 숫자 키와 기능키 등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절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구비된 각 키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키 각각에 있어 해당되는 고유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함으로써, 키입력부(140)의 키 입력 동작을 통해 중문을 입력하기 위한 병음 또는 획을 입력하고 원하는 한자를 선택을 이루어지게 한다. 그러면, 제어부(120)에서는 키입력부(140)로부터 입력되는 병음 또는 획에 해당하 는 한자들을 메모리(110)에서 독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하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2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방식의 전환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현재의 중문 입력 모드를 병음 입력 모드 또는 획 입력 모드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121)와, 병음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병음을 입력받고 입력된 병음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추출하는 병음 처리부(122)와, 획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획을 입력받고 입력된 획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추출하는 획 처리부(123)와, 추출된 한자들을 선택창(22)에 출력한 후, 이 한자들 중 임의의 한자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선택창 처리부(124)와, 상기 선택창 처리부로부터 선택된 한자를 중문 출력창(20)에 출력하는 출력창 표시부(125)로 구성된다.
병음 처리부(122)는 입력창(21)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병음을 입력받는 병음 입력부(122a)와, 선택창(22)에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이미 출력되어 있는지 또는 출력되어 있지 않은지를 판단하여 선택창(22)에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출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병음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추출하고, 선택창(22)에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이미 출력되어 있을 경우, 출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로부터 상기 병음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추출하는 병음 추출부(122b)로 구성된다.
획 처리부(123)는 입력창(21)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획을 입력받는 획 입력 부(123a)와, 선택창(22)에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이미 출력되어 있는지 또는 출력되어 있지 않은지를 판단하여 선택창(22)에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출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획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추출하고, 선택창(22)에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이미 출력되어 있을 경우, 출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로부터 상기 획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추출하는 획 추출부(123b)를 포함한다.
모드 설정부(12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모드의 전환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요청이 있으면 병음 또는 획 입력 모드 중 기존의 입력 모드와 다른 방식으로 전환하여 설정한다. 판단결과, 요청이 없으면 기존의 입력 모드를 유지한다.
따라서 모드 설정부(121)에 의해 현재의 입력 모드가 병음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병음 처리부(122)가 실행된다.
병음 처리부(122)는 사용자로부터 병음을 입력받는 병음 입력부(122a)와, 입력받은 병음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추출하는 병음 추출부(122b)로 구성된다.
병음 입력부(122a)는 입력창(21)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병음을 입력받는다.
병음 추출부(122b)는 표시부(130)의 선택창(22)에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이미 출력되어 있는지 또는 출력되어 있지 않은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선택창(22)에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출력되어 있지 않을 경우, 병음 추출부(122b)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병음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메모리(110)로부터 추출한다.
판단 결과, 선택창(22)에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이미 출력되어 있을 경우, 병음 추출부(122b)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병음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선택창(22)에 출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모드 설정부(121)에 의해 현재의 입력 모드가 획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획 처리부(123)가 실행된다.
획 처리부(123)는 사용자로부터 획을 입력받는 획 입력부(123a)와, 입력받은 획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추출하는 획 추출부(123b)로 구성된다.
먼저, 획 입력부(123a)는 입력창(21)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획을 입력받는다.
획 추출부(123b)는 선택창(22)에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이미 출력되어 있는지 또는 출력되어 있지 않은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선택창(22)에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출력되어 있지 않을 경우, 획 추출부(123b)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획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메모리(110)로부터 추출한다.
판단 결과, 선택창(22)에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이미 출력되어 있을 경우, 획 추출부(123b)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획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중문 선택창(22)에 출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로부터 추출한다.
이와 같이, 병음 처리부(122) 또는 획 처리부(123)로부터 추출된 한자들은 선택창 처리부(124)에 의해 표시부(130)의 선택창(22)에 출력된다.
그리고 선택창 처리부(124)는 출력된 한자들 중 임의의 한자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한자가 선택되었으면, 선택된 한자를 중문 출력창(20)에 출력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한자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제어는 모드 설정부(121)로 보내진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20)의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 S1 단계의 판단 결과, 병음 입력 모드이면, 병음 입력부(122a)는 사용자로부터 병음을 입력받는다(S2).
이때, 현재의 중문 입력 모드가 병음 입력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
판단 결과, 병음 입력 모드이면, 사용자로부터 병음을 입력받는다(S2).
상기 S1 단계의 판단 결과, 병음 입력 모드가 아니면, 현재의 중문 입력 모드는 획 입력 모드이기 때문에 획 입력부(123a)는 사용자로부터 획을 입력받는다(S3).
그리고, 제어부(120)는 선택창(22)에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이미 출력되어 있는지로 판단한다(S4). 이는 사용자가 선택해야 하는 한자를 추출하기 위해, 현재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위해 사용자가 병음 또는 획을 첫 번째로 입력하는 것인지 또는 두 번째로 입력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병음 또는 획을 두 번째 입력하는 경우에는, 이미 첫 번째로 입력한 경우의 결과로 선택창(22)에는 하나 이상의 한자가 출력되어있다.
이 경우 선택창(22)에 출력되어있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 중 사용자가 현재 입력한 병음 또는 획에 해당하는 한자를 추출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사용자가 선택해야할 한자의 수가 첫 번째의 경우보다 적어진다.
삭제
따라서, 상기 S4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창(22)에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출력되어 있으면, 제어부(120)는 병음 추출부(122b) 또는 획 추출부(123b)를 이용하여 현재 선택창(22)에 출력되어있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 중에서 입력된 병음 또는 획에 해당하는 한자를 추출한다(S5). 그리고, 선택창 처리부(124)는 해당 추출된 한자를 선택창(22)에 표시한다.
상기 S4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선택창(22)에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출력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병음 추출부(122b) 또는 획 추출부(123b)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병음 또는 획에 해당하는 한자들을 메모리(110)로부터 추출한다(S6). 그리고, 선택창 처리부(124)는 해당 추출된 한자를 선택창(22)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선택창(22)에 다수의 한자가 표시되면, 그 표시된 한자들 중 원하는 한자를 선택하거나 또는 선택창(22)에 출력된 한자들의 수를 더 줄이고자 한자를 선택하지 않고 모드 전환을 요청하거나 다른 병음 또는 획을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한자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
상기 S7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한자가 선택되었으면, 선택된 한자를 화면의 중문 출력창(20)에 출력하고 선택창(22)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한자들은 삭제한다(S8). 그리고 현재 입력하고자 하는 하나의 한자 입력 과정은 종료한다.
상기 S7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한자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선택창(22)에 출력된 한자들의 수를 줄이고자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
상기 S9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이 있으면 현재 중문 입력 모드를 다른 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로부터 병음 또는 획을 추가로 입력받기 위해 제어를 S1로 보낸다(S10).
상기 S9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이 없으면 현재 중문 입력 모드를 유지하고 사용자로부터 병음 또는 획을 추가로 입력받기 위해 제어를 S1로 보낸다(S11).
도 6a, 도 6b 및 도 6c 는 기존의 중문 입력 방법을 수행하는 디지털 장치에서 획 입력 모드에 의해 한자(
Figure 112006061877010-pat00036
)가 입력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 2를 참조하면, 중문 입력 프로그램의 화면창은 사용자가 쓰고자 하는 한자들을 출력하는 중문 출력창(20)과, 사용자가 쓰고자 하는 한자의 병음 또는 획을 입력하는 입력창(21)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병음 또는 획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보여주고 이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쓰고자 하는 한자로 선택되는 선택창(22)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23은 중문 입력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종료버튼, 24는 선택창(22)에 출력되어있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중문 출력창(20)에 출력하는 확인 버튼, 25는 중문 입력 프로그램의 입력 모드를 병음 또는 획 입력 모드로 설정하는 모드 버튼이다.
사용자가 한자(
Figure 112006061877010-pat00037
)를 찾고자 입력창(21)에 한자(
Figure 112006061877010-pat00038
)의 획(
Figure 112006061877010-pat00039
)을 입력한 경우, 획 처리부(123)는 해당 획(
Figure 112006061877010-pat00006
)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를 추출하고, 선택창 처리부(124)는 그 추출된 한자를 선택창(22)에 표시한다.
기존의 중문 입력 방법을 수행하는 디지털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선택창(22)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기반으로 방향키를 사용하거나, 입력창(21)에 다음 획을 더 입력하여 쓰고자 하는 한자(
Figure 112006061877010-pat00040
)를 찾는 식으로 동작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입력창(21)에 한자(
Figure 112005029417990-pat00008
)의 획(
Figure 112005029417990-pat00009
)을 더 입력하여 한자(
Figure 112005029417990-pat00010
)를 찾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획(
Figure 112005029417990-pat00011
)에 해당하여 나온 결과로, 선택창(22)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한자들 중 방향키를 사용하여 한자(
Figure 112005029417990-pat00012
)를 찾는다. 이때 사용자의 타이핑 수는 19타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획(
Figure 112005029417990-pat00013
)을 입력 후(도 6b에 도시됨), 획(
Figure 112005029417990-pat00014
)를 더 입력하여 한자(
Figure 112005029417990-pat00015
)를 찾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한자(
Figure 112005029417990-pat00016
)를 선택하는데 사용자의 타이핑 수는 5타이다.
도 7a 및 7b는 도 7a 및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음과 획을 이용한 중문 입력 방법을 수행하는 디지털 장치가 한자(
Figure 112006061877010-pat00041
)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7a를 참조하면, 현재 중문 입력프로그램의 입력 모드는 획 입력 모드 이고, 사용자가 한자(
Figure 112005029417990-pat00018
)의 획(
Figure 112005029417990-pat00019
)을 입력창(21)에 입력하였다. 그리고 선택창(22)에는 입력된 획(
Figure 112005029417990-pat00020
)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선택창(22)에 출력된 한자들의 수를 줄이기 위해, 입력 모드를 획 입력 모드에서 병음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병음 입력 모드에서 사용자가 한자(
Figure 112006061877010-pat00042
)의 병음(pin)의 처음 자모 p를 입력하여, 중문 출력창(20)에는 획(
Figure 112006061877010-pat00043
)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 중 그 병음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이 출력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때, 중문 출력창(20)에 출력된 한자들은 이전 모드인 획 입력 모드에서 입력된 획(
Figure 112005029417990-pat00022
)에 해당하는 한자들 중에서 현재 입력된 병음에 해당하는 한자들을 추출하여 중문 출력창(20)에 출력한 것이다.
따라서 중문 출력창(20)에 출력된 한자의 수는 2자로 줄어들었으며, 사용자가 한자(
Figure 112006061877010-pat00044
)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타이핑 수는 3타가 된다.
이와 같이, 획과 병음 입력 모드를 모두 사용함으로써, 중문 입력 속도를 빨 리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해야할 한자의 수가 줄어들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문의 병음이나 획 입력 방식 중 선택된 한 가지 방식에 의해 병음 또는 획의 입력을 시작하고, 추가적으로 다른 한가지 방식을 이용하여 획 또는 병음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해야 하는 한자들의 수를 줄여나간다.
이에 따라, 중문 입력시에 병음 입력 방식과 획 입력 방식을 적절하게 혼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쓰고자 하는 한자를 기존의 한가지 방식만을 사용하여 입력할 때보다 빨리 찾을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병음 입력 방식과 획 입력 방식을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한자를 입력시 필요한 타이핑 수를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로,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되어 있는 중문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입력 방식의 전환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현재의 중문 입력 모드를 병음 입력 모드 또는 획 입력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와,
    상기 모드 설정부에 의해 병음 입력 모드가 설정된 경우, 입력되는 병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한자로부터 추출하는 병음 처리부와,
    상기 모드 설정부에 의해 획 입력 모드가 설정된 경우, 입력되는 획에 해당하는 한자를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한자로부터 추출하는 획 처리부와,
    상기 병음 처리부 또는 상기 획 처리부에 의해 추출된 한자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선택창 처리부와,
    상기 표시된 한자 중 임의의 한자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한자를 출력창에 입력할 한자로 출력하는 출력창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병음 처리부는,
    병음을 입력받는 병음 입력부와,
    상기 화면에 한자가 표시되어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 한자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병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상기 표시된 한자로부터 추출하고, 한자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병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병음 추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획 처리부는
    획을 입력받는 획 입력부와,
    상기 화면에 한자가 표시되어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 한자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획에 해당하는 한자를 상기 표시된 한자로부터 추출하고, 한자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획에 해당하는 한자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획 추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
  5.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부와,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되어 있는 중문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의 중문 입력 방법으로,
    병음 입력 방식 또는 획 입력 방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입력방식에 의해 입력된 병음 또는 획에 해당하는 다수의 한자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 1 단계와,
    입력 방식의 전환 요청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입력 방식의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그 전환된 입력방식에 의해 입력된 획 또는 병음에 해당하는 다수의 한자를 상기 표시된 한자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재표시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중문 입력 방법.
  6. 삭제
KR1020050047145A 2005-06-02 2005-06-02 병음과 획을 이용하여 중문을 입력하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중문 입력 방법 KR100667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145A KR100667533B1 (ko) 2005-06-02 2005-06-02 병음과 획을 이용하여 중문을 입력하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중문 입력 방법
CNA2006100665763A CN1873601A (zh) 2005-06-02 2006-04-03 利用拼音和笔划的中文输入方法及输入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145A KR100667533B1 (ko) 2005-06-02 2005-06-02 병음과 획을 이용하여 중문을 입력하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중문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217A KR20060125217A (ko) 2006-12-06
KR100667533B1 true KR100667533B1 (ko) 2007-01-10

Family

ID=3748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145A KR100667533B1 (ko) 2005-06-02 2005-06-02 병음과 획을 이용하여 중문을 입력하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중문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67533B1 (ko)
CN (1) CN18736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2296B2 (en) 2014-01-28 2019-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chinese character input based on uncertainty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2296B2 (en) 2014-01-28 2019-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chinese character input based on uncertainty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73601A (zh) 2006-12-06
KR20060125217A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2646A2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JP2002062973A (ja) 改良型データ入力装置
KR1006823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JP2005521963A (ja)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文字入力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2518721A (ja)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大文字/小文字を制御するシステムとその方法
JP2002099379A (ja) 改良型データ入力装置
US7423556B2 (en) Method and device for key input in mobile terminal
JP2005339017A (ja) 電子機器
KR20060060629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및 검색 방법
JP4497418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相手選択発信方法
KR101506162B1 (ko) 쿼티 키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와 그의 심볼 설정 및 입력방법
KR100638465B1 (ko)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667533B1 (ko) 병음과 획을 이용하여 중문을 입력하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중문 입력 방법
KR2006012220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2300261A (ja) 携帯電話装置
JP2933058B2 (ja) 携帯電話装置
KR20090016041A (ko) 휴대용 네트워크 기기에서의 키보드 입력 모드 제공 장치및 방법
JP2003015805A (ja) 携帯端末、及びその文字入力方法
KR1005818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2002009615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방법
JP2000276288A (ja) 携帯端末
JP2003122746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文字入力方法
KR20030094811A (ko) 통신기기용 다국어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국어입력방법
JP2002342012A (ja) 携帯電話における文字入力装置
KR20030089190A (ko)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