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465B1 -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465B1
KR100638465B1 KR1020050052569A KR20050052569A KR100638465B1 KR 100638465 B1 KR100638465 B1 KR 100638465B1 KR 1020050052569 A KR1020050052569 A KR 1020050052569A KR 20050052569 A KR20050052569 A KR 20050052569A KR 100638465 B1 KR100638465 B1 KR 100638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input
input window
copies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혜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465B1/ko
Priority to CNB2006100930364A priority patent/CN100410856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문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되어 있는 중문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임의의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위치에 따라 구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을 화면에 표시하여 부수 단위의 획을 입력받는 입력창 처리부와, 상기 표시된 중문 입력창중에서 부수 단위의 획을 입력하기 위해 선택된 중문 입력창을 판단하는 입력창 판단부와, 상기 입력창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중문 입력창에 입력된 획이 해당 중문 입력창에 상응하는 부수의 위치에 포함된 한자를 상기 중문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한자 추출부를 포함하는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문 구조의 특성에 따라 부수를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임의의 부수가 입력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중문 데이터로부터 해당 부수를 포함하는 한자를 추출할 때 부수의 위치에 따라 검색 조건이 더욱 한정적으로 되어 하나의 한자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타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중국어, 입력 방식, 획, 병음, 이동 통신 단말기

Description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APPARATUS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CONSIDERING RADICAL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방법을 수행하는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지털 장치 11 : 메모리
12 : 제어부 13 : 표시부
14 : 키입력부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 메모리 120 : 제어부
121 : 모드 설정부 122 : 병음 처리부
123 : 획 처리부 123a : 입력창 처리부
123b : 입력창 판단부 124 : 선택창 처리부
125 : 출력창 처리부 130 : 표시부
140 : 키입력부 150 : 폴더
161 : 음성 메모리 162 : 음성 처리부
163 : 착신음 발생부 164 : RF부
165 : 스피커 166 : 마이크로폰
본 발명은 부수가 고려된 중문(中文) 입력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중문의 입력시에 중문 구조의 특성에 따라 부수 단위로 획을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획입력에 의한 중문 입력을 빠르고 용이하게 하는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장치 및 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한자 입력방식은 크게 병음(Pinyin)방식과 획(Stroke)방식으로 나눠지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그 중 한가지 입력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병음 입력 방식은 먼저 쓰고자 하는 한어의 병음을 입력하고, 입력된 병음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문자들 중 쓰고자 하는 문자를 방향키로 선택한다. 그리고 획 방식은 쓰고자 하는 한자의 획을 일정한 정도까지 입력한 후, 입력된 획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 중 쓰고자 하는 한자를 방향키로 선택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중문 입력 방식중에서 획방식은 중문 쓰는 순서에 따라 입력하는 방식으로서 중문의 한 특성인 부수(部首)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중문 입력시 타수가 늘어나고 타자 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획방식에 의한 중문 입력시에 부수와 중문 구조 특성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중문을 입력하는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장치 및 그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중문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되어 있는 중문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임의의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위치에 따라 구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을 화면에 표시하여 부수 단위의 획을 입력받는 입력창 처리부와, 상기 표시된 중문 입력창중에서 부수 단위의 획을 입력하기 위해 선택된 중문 입력창을 판단하는 입력창 판단부와, 상기 입력창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중문 입력창에 입력된 획이 해당 중문 입력창에 상응하는 부수의 위치에 포함된 한자를 상기 중문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한자 추출부를 포함하는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여기에서, 한자는 해당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위치에 따라 좌중우, 좌우, 상중하, 상하, 포위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중문 입력창은, 임의의 한자에 포함된 부수가 해당 한자의 좌측,상측,외측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제 1 입력창과, 임의의 한자에 포함된 부수가 해당 한자의 중간에 형성된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제 2 입력창과, 임의의 한자에 포함된 부수가 해당 한자의 우측, 하측, 내측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제 3 입력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제 1 입력창 내지 제 3 입력창은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며, 해당 화면의 중앙에 제 2 입력창이 위치하고, 화면의 좌측에 제 1 입력창이 위치하고, 화면의 우측에 제 3 입력창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임의의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위치에 따라 구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에 부수 단위의 획이 입력되면 그 선택된 중문 입력창에 해당하는 부수의 위치에 그 부수를 가지는 한자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한자는, 해당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위치에 따라 좌중우, 좌우, 상중하, 상하, 포위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중문 입력창을 제공하는 단계는, 임의의 한자에 포함된 부수가 해당 한자의 좌측,상측,외측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제 1 입력창과, 임의의 한자에 포함된 부수가 해당 한자의 중간에 형성된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제 2 입력창과, 임의의 한자에 포함된 부수가 해당 한자의 우측, 하측, 내측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제 3 입력창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한자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표시된 중문 입력창중에서 부수 단위의 획을 입력하기 위해 선택된 중문 입력창을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된 중문 입력창별로 해당 중문 입력창에 입력된 획이 해당 중문 입력창에 상응하는 부수의 위치에 포함된 한자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문 입력 방법이 임의의 디지털 장치(10)에서 수행되기 위해서는 해당 디지털 장치(10)에 중문 입력을 수행하기 위 한 절차가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이하, '중문 입력 프로그램'이라 한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1)와, 그 메모리(1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해당 프로그램에 프로그래밍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제어부(12)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도면에서 13은 화면창을 제공하는 표시부이고, 14는 버튼으로 구성되는 키입력부이다.
메모리(11)는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되어 있는 중문 데이터와 중문 입력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12)는 임의의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위치에 따라 구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을 제공하여, 중문 입력창중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에 임의의 부수가 입력되면 선택된 중문 입력창에 해당하는 부수의 위치에 그 부수를 가지는 한자를 메모리(11)에 저장된 중문 데이터로부터 검색하여 표시한다.
디지털 장치(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어부(12)에서 메모리(11)에 저장된 중문 입력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해당 디지털 장치(10)의 제어부(12)에 의해 구동된 중문 입력 프로그램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병음 또는 획에 따라 저장된 한자를 추출하여 표시해 준 다음, 사용자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택된 한자를 입력한자로 선택한다.
이때, 메모리(11)에 저장되는 중문 입력 프로그램은 중문을 입력할 때 부수와 중문의 구조를 이용한 획입력 방식을 사용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12)는 메모리(11)에 저장되어 있는 중문 입력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키입력 부(1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중문을 입력받을 때 부수와 중문의 구조를 이용하는 중문 입력창을 표시부(13)를 통해 화면창에 제공한다.
메모리(12)에 저장되는 중문 입력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메모리(12)에 저장되는 중문 입력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중문의 중요한 특성인 부수를 이용하여 중문을 입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중문 입력 프로그램에서 임의의 중문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되어 있는 중문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한자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메모리(11)에 저장된 중문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한자를 추출할 때 부수(部首)와 한자 구조의 특성을 이용하면 더 빠른 입력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한자는 여러 개의 부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수 자체가 의미를 갖고 있다. 때문에 부수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면 중국인에게 더 쉬운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한자의 구조를 살펴보면 한자를 구성하고 있는 부수의 결합형태에 따라 좌중우(예: 似), 좌우(예: 使), 상중하(예: 章), 상하(예: 早), 포위(包圍)(예: 回) 등 구조로 나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11)에 저장된 중문 입력 프로그램은 한자의 이러한 구조적인특성을 반영하여 부수 단위로 획을 입력하게 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즉,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결합 위치에 따라 입력창을 만들어 "좌중우"의 구조를 가지는 한자를 입력하려고 하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좌측에 위치한 부수를 찾는 입력창에 부수 "イ"가 입력되면 좌측에 "イ"가 들어가는 모든 한자를 추출 하여 표시해주며, 가운데에 위치한 부수를 찾는 입력창에 "ム"가 입력되면 좌측의 부수가 "イ"이고, 가운데의 부수가 "ム"인 모든 한자를 추출하여 표시해주고, 이어, 우측에 위한 부수를 찾는 입력창에 부수"人"이 입력되면 좌측의 부수가 "イ"이고, 가운데의 부수가 "ム"이고, 우측의 부수가 "人"인 완전한 한자 "似"를 추출하여 표시해주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장치에서는 임의의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위치에 따라 구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을 화면에 표시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에 임의의 부수가 입력되면 그 선택된 중문 입력창에 해당하는 부수의 위치에 그 부수를 가지는 한자를 메모리(11)에 저장된 중문 데이터로부터 검색하여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하고자 하는 최종 한자를 선택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음과 획을 이용한 중문 입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중문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가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10)와, 그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해당 프로그램에 프로그래밍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제어부(120)와, 화면창을 제공하는 표시부(130)와, 버튼으로 구성되는 키입력부(140)와, 폴더(150)와, 음성 메모리(161)와, 음성 처리부(162)와, 착신음 발생부(163)와, RF부(164)와, 스피커(165)와, 마이크로폰(1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110)에는 제어부(12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또한, 메모리(110)에는 중문 입력 프로그램과 중문 입력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중문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다. 이때 중문 데이터는 중국어에서 쓰이는 한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중문 입력 프로그램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제어부(120)는 임의의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위치에 따라 구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을 표시부(130)를 통해 화면으로 제공하여, 중문 입력창중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에 임의의 부수가 입력되면 중문 데이터중에서 그 선택된 중문 입력창에 해당하는 부수의 위치에 입력된 부수를 가지는 한자를 검색하여 표시한다.
음성 메모리(161)는 음성 통화 또는 착신음, 멜로디를 포함하여 각종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표시부(13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 이동 통신 단말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음 입력 프로그램의 화면창을 표시한다.
키입력부(140)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2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키입력부(140)에 의한 사용자의 메뉴 표시 요구에 따라 해당 메뉴를 메모리(110)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즉, 키입력부(140)는 통상적인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다수의 숫자 키와 기능키 등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절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구비된 각 키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키 각각에 있어 해당되는 고유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함으로써, 키입력부(140)의 키 입력 동작을 통해 중문을 입력하기 위한 병음 또는 획을 입력하고 원하는 한자의 선택을 이루어지게 한다. 그러면, 제어부(120)에서는 키입력부(140)로부터 입력되는 병음 또는 획에 해당하는 한자들을 메모리(110)에서 독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하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2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방식의 전환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현재의 중문 입력 모드를 병음 입력 모드 또는 획 입력 모드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121)와, 병음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병음을 입력받고 입력된 병음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추출하는 병음 처리부(122)와, 획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임의의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위치에 따라 구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을 화면으로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부수 단위로 획을 입력받고 입력된 획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추출하는 획 처리부(123)와, 추출된 한자들을 선택창에 출력한 후, 이 한자들 중 임의의 한자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선택창 처리부(124)와, 선택창 처리 부(124)로부터 선택된 한자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창 처리부(125)로 구성된다.
모드 설정부(12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모드의 전환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요청이 있으면 병음 또는 획 입력 모드 중 기존의 입력 모드와 다른 방식으로 전환하여 설정한다. 판단결과, 요청이 없으면 기존의 입력 모드를 유지한다.
따라서 모드 설정부(121)에 의해 현재의 입력 모드가 병음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병음 처리부(122)가 실행된다.
또한 모드 설정부(121)에 의해 현재의 입력 모드가 획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획 처리부(123)가 실행된다.
병음 처리부(122)는 화면의 입력창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병음을 입력받아 해당 병음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들을 추출한다.
획 처리부(123)는 입력창 처리부(123a)와, 입력창 판단부(123b)와, 한자 추출부(123c)로 구성된다.
입력창 처리부(123a)는 임의의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위치에 따라 구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을 화면에 표시하여 임의의 획을 입력받는다.
입력창 판단부(123b)는 표시된 중문 입력창중에서 부수 단위의 획을 입력하기 위해 선택된 중문 입력창을 판단한다.
한자 추출부(123c)는 입력창 판단부(123b)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된 중문 입력창에 입력된 획이 해당 중문 입력창에 상응하는 부수의 위치에 포함된 한자를 추출한다.
병음 처리부(122) 또는 획 처리부(123)로부터 추출된 한자들은 선택창 처리부(124)에 의해 표시부(130)의 선택창에 출력된다.
그리고 선택창 처리부(124)는 출력된 한자들 중 임의의 한자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한자가 선택되었으면, 선택된 한자를 중문 출력창에 출력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중문 입력 화면은 부수의 위치별로 구분된 3개의 중문 입력창(1, 2, 3)과, 중문 입력창(1, 2, 3)에 의해 입력된 부수 단위의 획에 따라 한자를 추출하여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하길 원하는 한자를 선택하게 하는 선택창(4)과, 선택창(4)에 표시된 한자들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한자가 출력되는 출력창(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6은 동작의 상태를 뒤로 가게 하는 버튼(Back)을 표시하는 아이콘이고, 미설명 부호 7은 선택된 메뉴의 항목에 대하여 확인 입력을 받기 위한 버튼(Ok)을 표시하는 아이콘이고, 미설명 부호 8은 병음 입력 모드 또는 획입력 모드중에서 하나의 입력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모드 버튼(STR)을 표시하는 아이콘이다. 여기에서는 획 입력모드(STR)가 선택되었음을 보여준다.
제 1 입력창(1)은 임의의 한자에 포함된 부수가 해당 한자의 좌측,상측,외측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입력창이다.
제 2 입력창(2)는 임의의 한자에 포함된 부수가 해당 한자의 중간에 형성된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입력창이다.
제 3 입력창(3)은 임의의 한자에 포함된 부수가 해당 한자의 우측, 하측, 내측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입력창이다.
도면에서는 제 1 입력창(1)에 "ノ"와 "ㅣ"가 입력되어 있다. 제 1 입력창(1)에 "ノ"와 "ㅣ"가 입력되어 있음에 따라 "ノ"와 "ㅣ"를 가지는 한자들이 추출되어 표시되어 있다.
한자의 구조적인 특성에 의해 처음 입력한 부수에 따라 좌중우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 상중하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 포위 구조로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입력부(140)를 조작하여 제 1 입력창(1)을 선택하여 제 1 입력창(1)에 "イ"를 입력하면 좌중우 구조로 이루어질 확률이 높다.
한편, 제 1 입력창(1)에 "
Figure 112005032287416-pat00001
"를 입력하면 상중하의 구조로 이루어질 확률이 높다. 한편, "口"를 입력하면 포위 구조로 될 확률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2 입력창(2) 또는 제 3 입력창(3)에 임의의 부수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어떤 구조인지 단정지을 수 있다.
좌우 구조의 한자는 좌중우의 구조를 가지는 한자에서 중간의 부수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입력시에 제 2 입력창(2)에 입력을 하지 않으면 되고, 상하의 구조를 가지는 한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제 2 입력창(2)에 입력을 하지 않으면 된다.
도 5는 제 1 입력창(1)에 부수 "イ"를 입력한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입력창(1)에 부수 "イ"를 입력하면 획 "ノ"와 "ㅣ"이 들어간 한자가 아니라 부수 "イ"를 좌측, 상측, 외측중에 포함하고 있는 한자를 검색하기 때문에 검색의 범위가 줄어든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되었던 화면에서 제 2 입력창(2)에 부수 "ム"를 입력한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입력창(1)에 부수 "イ"가 입력되어 부수 "イ"를 포함하는 한자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 2 입력창(2)에 부수 "ム"가 입력되면 좌측에 "イ"를 포함하고 중앙에 부수 "ム"를 포함하는 두 개의 한자가 추출되어 표시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되었던 화면에서 제 3 입력창(3)에 부수 "人"를 입력한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입력창(1)에 부수 "イ"가 입력되고, 제 2 입력창(2)에 부수 "ム"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 3 입력창(3)에 부수 "人"가 입력되면, 좌측에 "イ"를 포함하고 중앙에 부수 "ム"를 포함하고, 우측에 부수 "人"를 포함하는 하나의 한자"似"가 추출되어 표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방법을 수행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키입력부(140)를 조작하여 메모리(110)에 저장된 중문 입력 프로그 램을 구동하여 획입력에 의한 중문 입력 모드를 선택하면 입력창 처리부(123a)는 중문을 입력받기 위한 제 1 입력창(1), 제 2 입력창(2), 제 3 입력창(3)을 표시부(130)에 화면으로 제공한다.
입력창 처리부(123a)에 의해 제 1 입력창(1), 제 2 입력창(2), 제 3 입력창(3)을 표시부(130)에 표시한 상태에서 입력창 판단부(123b)는 제 1 입력창(1)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 판단 결과 제 1 입력창(1)이 선택되었는 경우 입력창 판단부(123b)는 임의의 획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 판단 결과 임의의 획이 입력된 경우 입력창 판단부(123b)는 제 1 입력창(1)에 임의의 획이 입력되었음을 한자 추출부(123c)에 알린다.
한자 추출부(123c)는 제 1 입력창(1)에 상응하는 부수의 위치, 즉 좌측, 상측, 외측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해당 부수가 포함된 한자를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중문 데이터로부터 추출한다(S3). 한자 추출부(123c)에 의해 임의의 한자들이 추출되면 선택창 처리부(124)는 한자 추출부(123c)에 의해 추출된 해당 한자들을 화면의 선택창(4)에 나열하여 표시한다.
선택창 처리부(124)는 화면의 선택창(4)에 표시한 한자들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한자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 판단 결과 임의의 한자가 선택된 경우 선택창 처리부(4)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한자가 최종 한자로 선택되었음을 출력창 처리부(125)에 알린다. 이에 따라 출력창 처리부(125)는 선택된 한자를 최종 입력 한자로 출력하여 화면의 출력창(5)에 입력한다.
한편, 입력창 처리부(123a)에 의해 제 1 입력창(1), 제 2 입력창(2), 제 3 입력창(3)을 표시부(130)에 표시한 상태에서 입력창 판단부(123b)가 제 1 입력창(1)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제 1 입력창(1)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 2 입력창(2)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
판단 결과 제 2 입력창(2)이 선택되었는 경우 입력창 판단부(123b)는 임의의 획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 판단 결과 임의의 획이 입력된 경우 입력창 판단부(123b)는 제 2 입력창(2)에 임의의 획이 입력되었음을 한자 추출부(123c)에 알린다.
한자 추출부(123c)는 제 2 입력창(2)에 상응하는 부수의 위치, 즉 중앙의 위치에 해당 부수가 포함된 한자를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중문 데이터로부터 추출한다(S8). 한자 추출부(123c)에 의해 임의의 한자들이 추출되면 선택창 처리부(124)는 한자 추출부(123c)에 의해 추출된 해당 한자들을 화면의 선택창(4)에 나열하여 표시한다.
선택창 처리부(124)는 화면의 선택창(4)에 표시한 한자들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한자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 판단 결과 임의의 한자가 선택된 경우 선택창 처리부(124)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한자가 최종 한자로 선택되었음을 출력창 처리부(125)에 알린다. 이에 따라 출력창 처리부(125)는 선택된 한자를 최종 입력 한자로 출력하여 화면의 출력창(5)에 입력한다.
한편, 입력창 처리부(123a)에 의해 제 1 입력창(1), 제 2 입력창(2), 제 3 입력창(3)을 표시부(130)에 표시한 상태에서 입력창 판단부(123b)가 제 1 입력창(1)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제 1 입력창(1)도 선택되지 않고 제 2 입 력창(2)도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 3 입력창(3)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판단 결과 제 3 입력창(3)이 선택되었는 경우 입력창 판단부(123b)는 임의의 획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판단 결과 임의의 획이 입력된 경우 입력창 판단부(123b)는 제 3 입력창(3)에 임의의 획이 입력되었음을 한자 추출부(123c)에 알린다.
한자 추출부(123c)는 제 3 입력창(3)에 상응하는 부수의 위치, 즉 우측, 하측, 내측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해당 부수가 포함된 한자를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중문 데이터로부터 추출한다(S12). 한자 추출부(123c)에 의해 임의의 한자들이 추출되면 선택창 처리부(124)는 한자 추출부(123c)에 의해 추출된 해당 한자들을 화면의 선택창(4)에 나열하여 표시한다.
선택창 처리부(124)는 화면의 선택창(4)에 표시한 한자들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한자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판단 결과 임의의 한자가 선택된 경우 선택창 처리부(124)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한자가 최종 한자로 선택되었음을 출력창 처리부(125)에 알린다. 이에 따라 출력창 처리부(125)는 선택된 한자를 최종 입력 한자로 출력하여 화면의 출력창(5)에 입력한다.
여기에서, 제 1 입력창(1)의 입력에 따른 한자를 추출하는 단계(S3)와, 제 2 입력창(2)의 입력에 따른 한자를 추출하는 단계(S8), 제 3 입력창(3)의 입력에 따른 한자를 추출하는 단계(S12)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중문 데이터로부터 해당 입력창에 입력된 획에 따라 해당 입력창에 상응하는 부수의 위치에 해당 획을 포함하 고 있는 한자를 추출하게 된다.
이때, 각 단계는 해당 단계를 수행하기 이전에 수행된 단계의 한자 추출 결과를 반영하여 해당 한자를 추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도면에서 제 1 입력창(1)에 따른 한자를 추출했으나 사용자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택된 한자가 없는 경우 이어서 제 2 입력창(2)에 따른 한자 추출하는 과정(S6 - S9)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제 2 입력창(2)에 입력된 획에 따라 한자를 추출하는 단계(S8)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던 모든 중문 데이터로부터 제 2 입력창(2)에 입력된 획을 포함하는 한자를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입력창(1)에 따른 한자 추출과정에 의해 추출되었던 한자들중에서 제 2 입력창(2)에 입력된 획을 포함하는 한자들을 추출한다.
마찬가지로, 제 1 입력창(1)에 따른 한자를 추출했으나 사용자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택된 한자가 없고(S1 - S4), 제 2 입력창(2)에 따른 한자를 추출했으나 사용자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택된 한자가 없는 경우(S6 - S9)에는 제 1 입력창(1)에 따른 한자 추출과정, 제 2 입력창(2)에 의해 추출되었던 한자들중에서 제 3 입력창(3)에 입력된 획을 포함하는 한자들을 추출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많은 구체적인 변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렇지만,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는 다른 많은 기타 실시예들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들어간다는 것을 관련 분야의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개의 부수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한자의 구조 특성을 이용하여 부수의 위치별로 구분된 입력창을 제공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부수를 입력할 때 부수의 위치까지 고려하여 입력하게 함으로써, 임의의 부수가 입력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중문 데이터로부터 해당 부수를 포함하는 한자를 추출할 때 부수의 위치에 따라 검색 조건이 더욱 한정적으로 되어 하나의 한자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타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아울러, 한자의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여 부수단위로 획을 입력하여 한자를 추출하여 선택된 한자를 입력하게 함에 따라 부수에 익숙한 중국인에게 더 쉬운 느낌을 줄 수 있다.

Claims (9)

  1. 중문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로 구성되어 있는 중문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임의의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위치에 따라 구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을 화면에 표시하여 부수 단위의 획을 입력받는 입력창 처리부와,
    상기 표시된 중문 입력창중에서 부수 단위의 획을 입력하기 위해 선택된 중문 입력창을 판단하는 입력창 판단부와,
    상기 입력창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중문 입력창에 입력된 획이 해당 중문 입력창에 상응하는 부수의 위치에 포함된 한자를 상기 중문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한자 추출부를 포함하는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자는,
    해당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위치에 따라 좌중우, 좌우, 상중하, 상하, 포위로 구분되는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문 입력창은,
    임의의 한자에 포함된 부수가 해당 한자의 좌측,상측,외측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제 1 입력창과,
    임의의 한자에 포함된 부수가 해당 한자의 중간에 형성된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제 2 입력창과,
    임의의 한자에 포함된 부수가 해당 한자의 우측, 하측, 내측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제 3 입력창을 포함하는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문 입력창은,
    상기 제 1 입력창 내지 제 3 입력창은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며,
    해당 화면의 중앙에 상기 제 2 입력창이 위치하고, 화면의 좌측에 상기 제 1 입력창이 위치하고, 화면의 우측에 상기 제 3 입력창이 위치하도록 구성된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장치.
  6. 임의의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위치에 따라 구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문 입력창에 부수 단위의 획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중문 입력창에 해당하는 부수의 위치에 상기 입력된 부수를 가지는 한자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한자는,
    해당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위치에 따라 좌중우, 좌우, 상중하, 상하, 포위로 구분되는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문 입력창은,
    임의의 한자에 포함된 부수가 해당 한자의 좌측,상측,외측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제 1 입력창과,
    임의의 한자에 포함된 부수가 해당 한자의 중간에 형성된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제 2 입력창과,
    임의의 한자에 포함된 부수가 해당 한자의 우측, 하측, 내측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한자를 검색하기 위한 제 3 입력창을 포함하는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한자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중문 입력창중에서 부수 단위의 획을 입력하기 위해 선택된 중문 입력창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중문 입력창별로 해당 중문 입력창에 입력된 획이 해당 중문 입력창에 상응하는 부수의 위치에 포함된 한자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방법.
KR1020050052569A 2005-06-17 2005-06-17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638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569A KR100638465B1 (ko) 2005-06-17 2005-06-17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CNB2006100930364A CN100410856C (zh) 2005-06-17 2006-06-19 一种支持部首的中文输入装置及其输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569A KR100638465B1 (ko) 2005-06-17 2005-06-17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465B1 true KR100638465B1 (ko) 2006-10-24

Family

ID=3751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569A KR100638465B1 (ko) 2005-06-17 2005-06-17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38465B1 (ko)
CN (1) CN10041085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5816A2 (ko) * 2010-02-23 2011-09-01 Park Taeun 9키 중문 입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2563A (zh) * 2015-07-22 2017-02-01 深圳市新方码电脑科技有限公司 一种部首手写识别汉字输入方法及装置
CN105936941A (zh) * 2016-07-05 2016-09-14 吉林农业大学 结核分枝杆菌pcr-lfb检测试剂盒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97C (zh) * 2000-07-14 2004-01-28 中国石油天然气总公司油气开发计算机软件工程研究中心 部件-触摸屏鼠标式汉字输入方法
CN1282900A (zh) * 2000-09-07 2001-02-07 马晓光 一种汉字输入的智能化人机交互方法及键盘布局
CN1384426A (zh) * 2001-04-28 2002-12-11 北京北大方正电子有限公司 电脑汉字典码输入方法
CN1239990C (zh) * 2003-05-26 2006-02-01 黄建东 基于键盘和显示界面的汉字输入法
KR100657366B1 (ko) * 2003-06-13 2006-12-14 유춘영 한자 입력 처리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5816A2 (ko) * 2010-02-23 2011-09-01 Park Taeun 9키 중문 입력 방법
WO2011105816A3 (ko) * 2010-02-23 2011-12-08 Park Taeun 9키 중문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10856C (zh) 2008-08-13
CN1881147A (zh)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8817B2 (ja)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文字入力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69096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075190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및 검색 방법
JP2005521149A (ja) 電子通信装置にテキストを入力する方法
JP2008129687A (ja) 特殊文字入力支援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JP2011524595A (ja) 個々のテキストフィールドのデータ入力をカスタマイズするための方法
JP4497418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相手選択発信方法
JP4966628B2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093707A (ja) 携帯型電子装置、文字入力画面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38465B1 (ko)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JP2005006120A (ja) 操作機能の検索手段を有する携帯電話機及び該携帯電話機の操作機能の検索方法
KR101434394B1 (ko)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KR102126831B1 (ko)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536653A (zh) 一种输入方法、装置和用于输入的装置
JP3543931B2 (ja) 音声認識による文字編集手段を有する移動通信端末装置
KR2006012220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JP2011186994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KR100667533B1 (ko) 병음과 획을 이용하여 중문을 입력하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중문 입력 방법
JP5674140B2 (ja) テキスト入力装置、テキスト入力受付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122746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文字入力方法
JP2004310543A (ja) キャラクター入力装置、キャラクター入力方法、キャラクター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0305702A (ja) 電子機器の文字入力システム
JP3109642U (ja) 携帯韓国語入力装置
KR20030052615A (ko) 이동 전화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JP2011081545A (ja) 移動体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