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366B1 - 한자 입력 처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한자 입력 처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366B1
KR100657366B1 KR1020030038118A KR20030038118A KR100657366B1 KR 100657366 B1 KR100657366 B1 KR 100657366B1 KR 1020030038118 A KR1020030038118 A KR 1020030038118A KR 20030038118 A KR20030038118 A KR 20030038118A KR 100657366 B1 KR100657366 B1 KR 100657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inese
chinese characters
featu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5232A (ko
Inventor
유춘영
유성영
Original Assignee
유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춘영 filed Critical 유춘영
Priority to KR1020030038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3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5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232A/ko
Priority to CN200410001669A priority patent/CN100576149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3Ground anchors with pivot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한자 입력 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한자 입력 처리방법은 입력을 요망하는 한자의 병음 알파벳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파벳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한자들의 특징적 형태를 소정 개수의 대표적 특징으로 분류하여 각각 대응하게 할당한 동수의 식별 인자 중에서 요망 한자의 대표적 특징에 대응하는 식별 인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한자들 중에서 입력받은 알파벳 정보와 식별 인자 정보에 부합하는 한자를 추출하여 요망 한자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에 입력타수를 단축시켜 문자 입력속도가 향상되며, 병음의 일부 알파벳만 알고 있으면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음이나 부수 등을 모르더라도 특징적 형태로부터 대표적 특징을 추출하여 요망 한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한자 입력 처리방법 및 장치{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자들의 특징적 형태를 총 27종의 대표적 특징으로 분류하여 각각 대응하게 할당한 식별 인자들을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 특징 추출법에 의하여 각 식별 인자가 추출되는 부수 및 한자를 정리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자 입력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알파벳과 식별 인자가 배정된 다이얼링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한자 입력 과정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라 알파벳과 식별 인자가 배정된 다이얼링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알파벳과 식별 인자가 배정된 컴퓨터용 키보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한자 입력 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얼링 키패드 또는 컴퓨터용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중국어 한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와 그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한자를 입력받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국어는 영어나 한글 등과 같은 표음문자와 달리 표의문자로서, 문자의 개수가 수만 개에 달하기 때문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세트톱박스, 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 단말기, 무선 데이터 단말기,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자동제어장치 등과 같은 유무선 단말기의 자판에 글자를 일대일로 할당할 수 없다.
따라서, 컴퓨터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중국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종래의 방식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첫 번째 종래 방식은 중국어를 입력할 때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불문하고 영문으로 표현하여 입력하는 "한어병음 입력법"이라고 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한어병음이란 중국어(漢語)의 글자인 한자를 알파벳 자모를 이용하여 표음 기호로 표기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영문으로 오직 발음만을 표현하기 때문에 같은 발음을 갖는 한자들이 너무 많아 한 글자를 입력할 때마다 같은 발음을 갖는 수많은 한자(수십 자가 보통이다)들 중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일일이 선택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허비되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한자를 입력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 종래 방식은 한자를 자소 단위로 분리하고, 각 자소에 해당하는 자판의 조합으로 한자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방식이다. "5필자형(五筆字型) 입력법"이라고 하는 방식이 그 전형의 한 예이다.
그러나, 한자 입력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터득하고 익숙히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한자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그 구조가 복잡한 것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그런 한자를 자소 단위로 분리하는 과정이 까다롭고 복잡하여 일반인들이 그 규칙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게다가 자판당 여러 개(최고 12개)의 자소가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자판의 조합을 암기하고 적절하게 활용하기 또한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이 방법을 이용하여 중국어를 원활히 입력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의 노력과 훈련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1983-0003768호에 제안된 "중국 컴퓨터용 입력방식"은, 한자를 수평자획, 수직자획, 점자획, 빗선자획, 시계방향자획, 반시계방향자획, 우회전자획 및 좌회전자획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자획들에 1, 2, 3, 4, 5, 6, 7 및 8의 등가숫자를 각각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등가숫자들을 위에서 밑으로의 자획을 우선으로 하고, 좌에서 우로의 자획을 그 다음으로 정한 한자구성 자획순서에 따라 입력시스템에 입력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시계방향자획, 우회전자획 및 반시계방향자획, 좌회전자획가 둘 이상의 세그먼트를 가질 경우에는 상기 등가숫자들에 대해 상기 세그먼트의 시계방향자획, 우회전자획 및 반시계방향자획, 좌회전자획에 대응하는 부상징숫자가 각각 첨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한자들의 획수와 동일한 수의 입력절차에 따라 한자를 입력하므로 획수가 많은 한자들을 입력할 경우에는 많은 시간이 허비되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한자를 입력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한자들의 특징적 형태를 소정 개수의 대표적 특징으로 분류하여 각각 대응하게 식별 인자를 할당한 후에 입력을 요망하는 한자의 병음 알파벳의 일부와 요망 한자의 대표적 특징에 대응하는 식별 인자를 조합하여 해당 한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한자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알파벳 정보와 식별 인자 정보에 의거하여 한자들 중에서 입력을 요망하는 해당 한자를 인식하는 한자 입력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여타 중국어 입력방법과 비교할 때에 입력타수를 단축시켜 문자 입력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병음의 일부 알파벳만 알고 있으면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음이나 부수 등을 모르더라도 특징적 형태로부터 대표적 특징을 추출하여 요망 한자를 쉽게 입력할 수가 있다. 또한, 모든 전자기기에 한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통일시킬 수가 있어서 서로 상이한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던 입력오류나 숙달 지연 등의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견지로서 한자 입력 처리방법은, (a) 입력을 요망하는 한자의 병음 알파벳 중에서 하나의 알파벳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b) 한자들의 특징적 형태를 소정 개수의 대표적 특징으로 분류하여 각각 대응하게 동수의 식별 인자를 할당하며, 상기 한자들을 상기 식별 인자가 한 개인 단일 특징 한자들과 상기 식별 인자가 두 개인 복수 특징 한자들로 분류한 후, 상기 입력을 요망하는 한자가 상기 단일 특징 한자일 경우에는 상기 대표적 특징에 대응하는 한 개의 상기 식별 인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을 요망하는 한자가 상기 복수 특징 한자일 경우에는 상기 대표적 특징에 대응하는 두 개의 상기 식별 인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c) 상기 한자들 중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받은 하나의 알파벳 정보와 상기 (b) 단계에서 입력받은 한 개의 식별 인자 정보에 부합하거나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받은 하나의 알파벳 정보와 상기 (b) 단계에서 입력받은 두 개의 식별 인자 정보에 부합하는 한자를 추출하여 상기 요망 한자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한자 입력 장치는, 상기 처리방법이 적용된 한자 입력 장치로서, 복수의 키를 이용한 선택에 의하여 입력을 요망하는 한자의 상기 병음 알파벳 정보와 식별 인자 정보를 조합으로 입력받는 키입력부와, 상기 한자들이 상기 병음 알파벳 정보 및 상기 식별 인자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입력받은 병음 알파벳 정보와 식별 인자 정보에 의거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한자들 중에서 상기 입력받은 알파벳 정보와 식별 인자 정보에 부합하는 한자를 상기 요망 한자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중국에서 쓰이는 간체자 중국어의 총 부수는 189개이며, 중국에서 제정된 상용 3,500자에 포함되는 부수는 186개이다. 본 발명에서는 점획부수(´)와 받침으로만 쓰이는 부수를 제외한 총 184개의 부수를 한자의 상단부 머리부분에 나타나는 특징적 형태에 따라 총 27종의 대표적 특징으로 분류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여 추출된 대표적 특징을 "두형(頭形)특징"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중국어의 부수는 원래의 문자형태 또는 변형된(간소화된) 문자형태로 중국어 한자 속에 포함되나, 본 발명에서는 부수의 원래 형태와는 상관없이 실제 보여지는 상태, 즉 변형된 문자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두형특징을 추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중국어 한자에서 두형특징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중국어 한자는 부수 1개가 독립된 한자를 형성하는 것도 있고, 여러 개의 부수가 모여 1개의 한자를 형성하는 것도 있다. 또한 부수가 좌우로 배열된 것, 상하로 배열된 것, 좌측과 상단을 감싸는 것, 좌측과 하단을 감싸는 것, 전체를 에워싼 것 등 여러 가지 형태를 띠고 있다. 이와 같이 각기 다양한 중국어 한자로부터 두형특징을 추출하게 되는데, 어느 위치의 두형특징을 추출할 것인지가 문제될 수 있으므로 일관성 있는 추출 방법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형특징 추출법은 한자의 상단 또는 편방에 위치하는 부수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에 의거하여 모든 중국어 한자를 상단 또는 편방 중 어느 한 곳에만 1개의 두형특징을 갖는 한자와 상단 및 편방에 2개의 두형특징을 갖는 한자로 구분한다.
첨부된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라 중국어 한자의 두형특징을 대표하는 총 27종의 두형특징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두형특징에는 그 형태와 유사한 식별 인자를 부여하였으며, 해당 두형특징을 갖는 대표적 중국어 한자를 1개씩 대응시켜 해당 한자의 한어병음을 식별 인자의 호칭으로 차용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 및 이해를 돕기 위함이며, 컴퓨터 키보드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이얼링 키패드를 이용하여 중국어를 입력하는 실제 적용 과정에서 형태뿐만 아니라 소리로서 두형특징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는 본 발명에 따른 두형특징 추출법에 의거하여 총 27종으로 분류되는 두형특징에 속하는 부수들을 정리하였다. 아울러 "해당 문자"란에는 부수의 두형특징을 추출하기 까다로운 한자를 표기하였다. 해당 한자의 특징적 형태가 총 27종의 두형특징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장 유사한 두형특징을 해당 한자의 두형특징으로 추출하는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각각의 두형특징에 속하는 해당부수 및 해당문자를 살펴보기로 한다.
두형특징 "결, 강, 계, 타, 사"와 해당부수는 그 문자형태가 동일하다.
두형특징 "언"이 추출되는 해당부수 및 문자는 가로획 상단으로 점획이 위치한 형태의 부수와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차"는 가로획 상단으로 두 개의 점획, 또는 두 개의 세로획이 위치한 형태의 부수 및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산"은 민갓머리 또는 가로획 상단에 점획이나 세로획 3개가 위치하거나 가로획 없이 세로획 3개가 위치하는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일"은 독립된 가로획이나 민갓머리가 상단에 위치한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왕"은 독립된 가로획 또는
Figure 112003021047584-pat00001
형태에 포함된 가로획 하단으로 수직 또는 사선의 세로획 한 개가 위치한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이"는 독립된 가로획 또는
Figure 112003021047584-pat00002
형태에 포함된 가로획 하단으로 수직 또는 사선의 세로획 2개가 위치한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수"는 독립된 세로획 또는 세로획 오른쪽으로 가로획이 위치한 형태이거나 세로획 좌우로 점획이나 사선획 등이 위치한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야"는 상단부로 세로획 두 개가 인접하여 위치한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십"은 가로획과 세로획이 十 형태로 교차하여 만나는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목"은 十 형태의 교차점 하단으로 사선획이 위치한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구"는 둘레가 모두 막힌 口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월"은 한쪽 면 하단부가 막히지 않은
Figure 112003021047584-pat00003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백"은 민갓머리 또는
Figure 112003021047584-pat00004
형태의 문자 가로획 상단이나 가로획과 동일선상에 점획이 위치한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민"은
Figure 112003021047584-pat00005
형태가 포함된 문자의 왼쪽 세로획이 오른쪽 세로획보다 길게 나타나는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창"은 가로획이나 사선획 또는 상단에 점획이 있는 가로획의 좌측 하단부로 세로획이나 사선획이 위치한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도"는 가로획의 우측하단으로 세로획이나 사선획이 위치한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근"은
Figure 112003021047584-pat00006
모양이 나타나는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팔"은 사선획이 독립적으로 쓰이거나 사선획 중앙 하단부로부터 세로획이 시작되지 않는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천"은 1개 또는 2개의 사선획 중앙 하단부로 세로획이나 사선획이 위치한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죽"은 사선획의 오른쪽으로 가로획이 위치하는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력"은 가로획이나 민갓머리 또는
Figure 112003021047584-pat00007
형태에 포함되는 가로획과 교차하여 끝부분이 왼쪽으로 향한 사선형의 세로획이 위치하는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두형특징 "무"는 가로획 또는
Figure 112003021047584-pat00008
형태에 포함되는 가로획과 교차하여 문자 끝 부분이 오른쪽으로 향한 사선형의 세로획이 위치하는 형태의 문자가 해당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형특징 1 내지 27에 해당하는 중국어 부수나 한자는 각 식별 인자의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 두형특징에 속하는 대부분의 해당문자들로부터 두형특징을 쉽게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몇 개의 한자들은 두형특징 추출에 있어 중복 추출의 여지가 있 어서 아래에서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미(米)와 소(小)의 두형특징 추출시에 두 한자의 상단부 특징을 살펴보면 공히 세로획의 좌우로 사선획이 위치하는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좌우 사선획이 상단부쪽으로 벌어진 것은 두형특징으로 인정하고 하단부쪽으로 벌어진 것은 두형특징에서 배제하면 미(米)에서는 두형특징 "산"이 추출되고, 소(小)에서는 두형특징 "수"가 추출된다.
변(
Figure 112003021047584-pat00009
)은 두형특징 "팔"에 해당되는데, 두형특징 "천"으로 잘못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단부 사선획과 하단부 米가 분리되어 있으며 특히 간자체의 필형에서는 더욱 분리된 형태로 그려지므로 변(
Figure 112003021047584-pat00010
)은 두형특징 "팔"에 해당된다.
전술한 설명과 같은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상용 3,500자의 두형특징을 쉽게 추출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나타내고자 이하에서는 몇 개의 한자에 대한 두형특징 추출 과정을 예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두형특징을 추출할 때에는 한자의 상단 또는 편방에 위치하는 부수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에 하나의 두형특징만을 갖는 한자도 있지만 두 개 이상의 두형특징을 갖는 한자도 존재한다.
<단일 두형특징 한자>
1. 일반적인 형태의 한자
去(거), 中(중), 京(경) 등의 한자는 상단에 나타나는 특징에 의거하여 去( 거)와 中(중)에서는 두형특징 "십"을 추출하며, 京(경)에서는 두형특징 "언"을 추출한다.
2. 독립되지 않은 2개 이상의 특징이 상단에 나타나는 한자
2-1. 앞쪽 특징을 취하는 한자
生(생)은 두형특징 "죽"과 두형특징 "십"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앞쪽 특징을 취하여 두형특징 "죽"을 추출하며, 升(승)은 두형특징 "천"과 두형특징 "십"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앞쪽 특징을 취하여 두형특징 "천"을 추출하고, 兜(두)는 두형특징 "창"과 두형특징 "백" 및 두형특징 "도"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앞쪽 특징을 취하여 두형특징 "창"을 추출한다.
2-2. 뒤쪽 특징을 취하는 한자
武(무)는 두형특징 "일"과 두형특징 "무"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뒤쪽 특징을 취하여 두형특징 "무"를 추출하며, 我(아)는 두형특징 "천"과 두형특징 "무"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뒤쪽 특징을 취하여 두형특징 "무"를 추출하고, 裁(재)는 두형특징 "십"과 두형특징 "무"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뒤쪽 특징을 취하여 두형특징 "무"를 추출한다.
2-3. 상단쪽 특징을 취하는 한자
成(성)은 두형특징 "창"과 두형특징 "무"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상단쪽 특징을 취하여 두형특징 "무"를 추출하며, 皮(피)는 두형특징 "창"과 두형특징 "십"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상단쪽 특징을 취하여 두형특징 "십"을 추출한다.
<복수 두형특징 한자>
1. 일반적인 형태의 한자
1-1. 상단부 횡방향으로 2개의 독립된 특징이 나타나는 한자
理(리)는 두형특징 "왕"의 특징이 복수로 나타나므로 2개의 두형특징 "왕"을 모두 추출하며, 件(건)은 두형특징 "천"과 두형특징 "죽"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두형특징 "천"과 두형특징 "죽"을 순차 추출하고, 建(건)은 두형특징 "도"와 두형특징 "십"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두형특징 "도"와 두형특징 "십"을 순차 추출하며, 答(답)은 두형특징 "죽"의 특징이 복수로 나타나므로 2개의 두형특징 "죽"을 모두 추출한다.
1-2. 상단부 횡방향으로 3개의 독립된 두형특징이 나타나는 한자
濫(랍)은 두형특징 "강"과 두형특징 "창" 및 두형특징 "죽"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좌측과 우측의 특징만을 선택하여 두형특징 "강"과 두형특징 "죽"을 주출하며, 倒(도)는 두형특징 "천"과 두형특징 "일" 및 두형특징 "야"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좌측과 우측의 특징만을 선택하여 두형특징 "왕"과 두형특징 "야"를 추출하고, 柳(류)는 두형특징 "목"과 두형특징 "창" 및 두형특징 "민"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좌측과 우측의 특징만을 선택하여 두형특징 "목"과 두형특징 "민"을 추출한다.
2.
Figure 112003021047584-pat00011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12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13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14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15
로 시작되면서 하부에 1개의 두형특징이 더 나타나는 한자
茶(차)는
Figure 112003021047584-pat00016
로 시작되면서 상단의 두형특징 "차"와 하부의 두형특징 "팔"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두형특징 "차"와 두형특징 "팔"을 모두 추출하며, 宮(궁)은
Figure 112003021047584-pat00017
로 시작되면서 상단의 두형특징 "백"과 두형특징 "구"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두형특징 "백"과 두형특징 "구"를 모두 추출하고, 病(병)은
Figure 112003021047584-pat00018
로 시작되면서 상단의 두형특징 "창"과 하부의 두형특징 "왕"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두형특징 "창"과 두형특징 "왕"을 모두 추출한다.
3.
Figure 112003021047584-pat00019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20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21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22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23
로 시작되면서 하부에 좌우로 2개의 두형특징이 더 나타나는 한자
宿(숙)은
Figure 112003021047584-pat00024
로 시작되면서 상단의 두형특징 "백"과 하부에 좌우로 두형특징 "천" 및 "왕"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으나 상단의 특징과 하부 우측 특징만을 취하여 두형특징 "백"과 두형특징 "왕"을 추출하며, 茄(가)는
Figure 112003021047584-pat00025
로 시작되면서 상단의 두형특징 "차"와 하부에 좌우로 두형특징 "력" 및 "구"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으나 상단의 특징과 하부 우측 특징만을 취하여 두형특징 "차"와 두형특징 "구"를 추출하고, 藍(람)은
Figure 112003021047584-pat00026
로 시작되면서 상단의 두형특징 "차"와 하부에 좌우로 두형특징 "창" 및 "죽"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으나 상단의 특징과 하부 우측 특징만을 취하여 두형특징 "차"와 두형특징 "죽"을 추출한다.
상기와 같은 두형특징 추출 과정을 살펴보면
Figure 112003021047584-pat00027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28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29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30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31
로 시작되는 한자를 제외하고는 좌우로 독립되지 않은 복수의 두형특징이 나타날 경우에는 하나의 두형특징만을 추출하고, 좌우로 독립된 복수의 두형특징이 나타날 경우에는 2개 의 두형특징을 추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Figure 112003021047584-pat00032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33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34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35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36
로 시작되는 한자에서 예외적으로 2개의 두형특징을 추출하는 것은 이후에서 설명될 중국어 한자 입력 과정에서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총 27종의 두형특징을 추출할 수 있는 중국어를 다이얼링 키패드나 컴퓨터용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국어 한자 입력 방법은, 한어병음 표기 방식에 따라 각각의 중국어 문자에 부여되는 영어 알파벳의 머리글자와 본 발명에 의해 추출된 두형특징의 해당 식별 인자를 조합 입력한 후에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된 복수의 해당 한자 중에서 요망하는 한자를 택일하여 입력하게 된다. 여기서 입력을 요망하는 한자에서 추출할 수 있는 두형특징의 개수에 따라 해당 두형특징을 나타내는 식별 인자는 한 개 또는 두 개를 입력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중국어 한자 입력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중국어 한자 입력 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입력부(10), 제어부(20), 메모리(30), 표시부(40)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키입력부(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이얼링 키패드 또는 컴퓨터의 키보드 등과 같이 전자기기의 사용자 입력수단으로 구현되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함으로써 숫자와 문자 등을 입력 가능하도록 한다.
메모리(30)에는 중국에서 제정된 상용 3,500자의 중국어 한자가 각 한자별 두형특징 정보와 한어병음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다.
제어부(20)는 키입력부(1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 선택에 따라 메모리(30)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중국어 한자를 읽어들여 표시부(40)를 통해 출력하며, 표시부(40)에 출력된 한자 중에서 키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가 최종 선택한 한자를 사용자에 의한 입력 한자로서 인식하여 표시부(40)를 통해 출력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두형특징 분류법을 이용하는 다이얼링 키패드에 식별 인자를 배정한 예를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식별 인자들을 배정하는 버튼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해당 식별 인자의 사용 빈도 등을 고려함이 바람직하다.
도 4에 예시한 다이얼링 키패드를 살펴보면, 다이얼링 키패드의 숫자버튼에는 두형특징의 식별 인자와 영문자가 함께 배정되어 있다.
숫자키 1에는 두형특징 "수, 야"와 영문자 "B, C, A"를 배정하고, 2에는 두형특징 "결, 언, 산"과 영문자 "D, F, E"를 배정하며, 3에는 "강, 월, 근"과 영문자 "G, H, I"를 배정하고, 4에는 두형특징 "계, 십, 민"과 영문자 "J, K"를 배정하며, 5에는 두형특징 "타, 왕, 이"와 영문자 "L, M"을 배정하고, 6에는 "사, 창, 도"와 영문자 "N, P, O"를 배정하며, 7에는 두형특징 "차, 목, 일"과 영문자 "Q, R"을 배정하고, 8에는 "구, 백"과 영문자 "S, T, U"를 배정하며, 9에는 두형특징 "천, 팔"과 영문자 "W, X, V"를 배정하고, 0에는 "죽, 력, 무"와 영문자 "Y, Z"를 배정한다. 아울러, 숫자키 1에 두형특징 식별 인자와 함께 별도의 특수기호 "◎"가 배정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중국어 입력 절차에서 입력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채용되었으며, 보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언급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링 키패드에서, 통화를 위하여 전화 번호를 입력할 경우에는 여타 장치의 숫자 입력키를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해당 숫자가 명기된 키를 다이얼링하면 숫자가 입력된다.
중국어 한자 또는 영문자를 입력할 경우에는 별도의 기능키를 조작하여 통화 모드에서 한자입력 모드 또는 영문입력 모드로 전환한 후에 해당하는 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한다.
영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통상의 다이얼링 키패드에서 영문자를 입력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일예로, 영문입력 모드에서 숫자키 1을 한 번 누르면 첫 번째 영문자인 "B"가 표시부에 표시되고, 1을 두 번 연속하여 누르면 "C"가 표시되며, 1을 세 번 연속하여 누르면 "A"가 표시되고, 1을 네 번 연속하여 누르면 다시 "B"가 표시된다.
다시 말하면, 1을 계속 누르면 "B", "C", "A", "B", "C", "A"… 가 순차적으로 표시부에 나타나고, 원하는 영문자가 나타났을 때에 다음 영문자를 입력하거나 별도 설정된 입력키를 누르거나 또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현재 선택된 영문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된다.
한편, 중국어 한자는 별도의 기능키를 조작하여 한자입력 모드로 진입한 후에 각 숫자키에 배정된 알파벳과 두형특징 식별 인자를 조합하여 입력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한 영문입력 모드를 통한 영문자 입력절차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숫자키에 배정된 영문자 또는 식별 인자를 입력하며, 시스템은 한자 입력신호를 영문자 입력신호와 식별 인자 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로 자동 판별하여 입력받는다.
일예로, 한자입력 모드에서 숫자키 2를 한 번 누르면 첫 번째 영문자인 "D" 또는 첫 번째 두형특징인 "결"이 표시부에 표시되고, 2를 두 번 연속하여 누르면 "F" 또는 "언"이 표시되며, 2를 세 번 연속하여 누르면 "E" 또는 "차"가 표시되고, 2를 네 번 연속하여 누르면 다시 "D" 또는 "결"이 표시된다.
다시 말하면, 2를 계속 누르면 "D", "F", "E", "D", "F", "E"… 또는 "결", "언", "차", "결", "언", "차"…가 순차적으로 표시부에 나타나고, 원하는 영문자 또는 두형특징이 나타났을 때에 다음 문자를 입력하거나 별도 설정된 입력키를 누르거나 또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현재 선택된 영문자 또는 두형특징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된다.
본 발명의 기술 요지인 중국어 한자의 입력 처리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몇 개의 한자에 대한 실제 입력 예를 기술한다.
<단일 두형특징 한자 : 성(星)>
성(星)은 한어병음의 첫 번째 알파벳이 "X"이며, 상단의 부수로부터 두형특징 "구"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11 - 사용자가 키입력부의 기능키를 조작하여 중국어입력 모드로 진입한 후에 숫자키 9를 연속하여 2회 누른다. 이때 제어부는 키입력부에서 발생된 키데이터를 인식함에 있어서 한자 입력을 위한 첫 번째 키데이터는 무조건 한어병음 입력신호로 자동 인식한다. 여기서 숫자키 9의 두 번째 알파벳으로 "X"가 배정되어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한어병음 "X"가 입력된다. 바람직하기로, 한어병음 "X"가 입력된 상태에서 표시부에는 "X"가 표시된다.
단계12 - 사용자가 키입력부의 숫자키 8을 1회 누른다. 이때 제어부는 키입력부에서 발생된 키데이터를 인식함에 있어서 한자 입력을 위한 두 번째 키데이터는 무조건 선행 두형특징 입력신호로 자동 인식한다. 여기서 숫자키 8의 첫 번째 두형특징 식별 인자로 "구"가 배정되어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두형특징 "구"가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한어병음 첫 번째 알파벳이 "X"이면서 두형특징이 "구"인 한자들을 추출하며, 해당 한자들의 추출이 완료되면 도 5a와 같이 표시부의 상부쪽에는 현재 입력된 두형특징 "구"의 식별 인자를 표시하고, 하부쪽에는 추출된 해당 한자들을 1번부터 최대 6번까지의 선택번호와 함께 표시한다.
여기서, 한어병음 첫 번째 알파벳이 "X"이면서 두형특징 "구"를 갖는 한자 중에는 현재 입력하고자 하는 "성(星)" 등과 같이 단일 두형특징을 갖는 한자도 있으며, 두형특징 "구" 이외에도 후행 두형특징을 더 갖는 복수 두형특징 한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한어병음 첫 번째 알파벳이 "X"이며 두형특징 "구"를 단일 두형특징으로 갖는 한자들만을 추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단계13 - 사용자가 키입력부의 숫자키 3을 1회 누른다. 이때 제어부는 키입력부에서 발생된 키데이터를 인식함에 있어서 한자 선택신호와 두 번째 두형특징 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게 된다. 그런데 숫자키 3의 첫 번째 두형특징으로 "강"이 배정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두형특징 추출법에 의하면 상용 3,500자 중에서 식별 인자 "강"이 두 번째 두형특징으로 추출되는 한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는 키입력부에서 발생된 키데이터를 한자 선택신호로 인식하게 되며, 비로소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해당 선택번호에 대응되는 중국어 한자 "星"이 입력되어 도 5b와 같이 표시부의 상부쪽에 현재 입력된 중국어 한자 "星"이 표시된다.
한편, 단계12에서 한어병음 첫 번째 알파벳이 "X"이면서 두형특징이 "구"인 한자들이 표시부의 하부쪽에 표시될 때에 해당 한자들은 그 사용빈도에 의거한 우선순위가 부여되어 사용빈도가 높은 한자부터 순차적으로 표시되는데, 해당 한자가 6개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 4a와 같이 표시부에 화살기호 "▶"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약속된 키를 조작하여 다음 화면을 선택하면 다음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한자들이 1번부터 최대 6번까지의 선택번호와 함께 표시된다.
또한, 단계13에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가 "星"이 아닌 경우라면 사용자는 키입력부의 숫자키 3을 제외한 다른 숫자키를 1회 누르거나 임의의 숫자키를 2회 이상 누르게 될 것이다.
단계13에서 숫자키 1을 1회 누른 경우에 제어부는 키입력부의 키데이터를 한자 선택신호로 자동 인식하게 된다. 즉 숫자키 1에 배정된 특수기호 "◎"는 숫자키 1이 1회 선택된 경우에는 대응하는 두형특징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여 입력 오류가 방지됨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식인 것이다.
단계13에서 숫자키 2, 4, 5, 6 중 어느 하나를 1회 누른 경우에는 숫자키 3을 1회 누른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두형특징 추출법에 의하면 상용 3,500자 중에서 식별 인자 "결, 계, 타, 사"들이 후행 두형특징으로 추출되는 한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어부는 키입력부의 해당 키데이터를 한자 선택신호로 인식하게 된 다.
단계13에서 표시부에 해당 한자들이 6개씩 표시되도록 한 것은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사용자가 화살기호 "▶"에 대응하는 약속된 키를 조작해 다음 순번의 한자들의 표시를 요청하는 회수를 최소화하여 중국어 한자의 전체적인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에 해당 한자들을 5개씩만 표시한다면 숫자키 1에 배정된 특수기호 "◎"에 대응하는 입력 오류 방지 기능은 채택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도 4에서 숫자키 2 내지 6에 배정된 두형특징 "결, 강, 계, 타, 사"들을 숫자키 1 내지 5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두형특징으로 각각 배정하여야 할 것이다.
단계13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의 숫자키 7, 8, 9 중 어느 하나를 1회 누르거나 임의의 숫자키를 2회 이상 누르는 경우에는 해당 숫자키에 배정된 두형특징이 입력되는 경우로서 이는 이하에서 설명될 복수 두형특징 한자의 입력 예를 참조하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복수 두형특징 한자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37
(신)>
Figure 112003021047584-pat00038
(신)은 한어병음의 첫 번째 알파벳이 "X"이며, 좌우로 독립된 두형특징 "천"과 "언"이 추출되므로 2개의 두형특징을 모두 취한다.
단계21 - 사용자가 키입력부의 기능키를 조작하여 중국어입력 모드로 진입한 후에 숫자키 9를 연속하여 2회 누른다. 이때 제어부는 키입력부에서 발생된 키데이터를 인식함에 있어서 한자 입력을 위한 첫 번째 키데이터는 무조건 한어병음 입력 신호로 자동 인식한다. 여기서 숫자키 9의 두 번째 알파벳으로 "X"가 배정되어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한어병음 "X"가 입력된다. 바람직하기로, 한어병음 "X"가 입력된 상태에서 표시부에는 "X"가 표시된다.
단계22 - 사용자가 키입력부의 숫자키 9를 1회 누른다. 이때 제어부는 키입력부에서 발생된 키데이터를 인식함에 있어서 한자 입력 두 번째 키데이터는 무조건 선행 두형특징 입력신호로 자동 인식한다. 그러므로 숫자키 9에 첫 번째로 배정된 두형특징인 "천"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된다.
여기서, 한어병음 "X"와 두형특징 "천"이 동일한 숫자키에 배정되어 있으므로 연속 입력을 위하여 첫 번째 키데이터와 두 번째 키데이터가 구분되어 입력되어야 한다. 이러한 두 키데이터간 신호 구분은 통상의 문자 입력 방법에서와 마찬가지로 휴지시간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 키 또는 # 키 등에 별도로 신호 구분 기능을 부여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면,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한어병음 첫 번째 알파벳이 "X"이면서 두형특징이 "천"인 한자들을 추출하며, 해당 한자들의 추출이 완료되면 표시부의 상부쪽에는 현재 입력된 두형특징 "천"의 식별 인자를 표시하고, 하부쪽에는 추출된 해당 한자들을 1번부터 최대 6번까지의 선택번호와 함께 표시한다.
물론, 표시부를 통해 현재 표시되는 한자들은 단일의 두형특징 "천"을 가진 한자들이므로 사용자가 입력을 희망하는
Figure 112003021047584-pat00039
(신)은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현재까지의 입력 절차가 전술한 단일 두형특징 한자의 입력 절차와 동일하기 때문에 나타나 는 현상이다.
단계23 - 사용자가 키입력부의 숫자키 2를 2회 누른다. 이때 제어부는 키입력부에서 발생된 키데이터를 인식함에 있어서 한자 선택신호와 후행 두형특징 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게 됨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그런데 숫자키 2를 2회 눌러서 입력할 수 있는 한자 선택신호는 "22"이나 본 발명에 의하여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한자들은 최대 6개에 불과하므로 제어부는 키입력부의 해당 키데이터를 후행 두형특징 입력신호로 인식하게 된다. 이로서, 숫자키 2에 두 번째로 배정된 두형특징 "언"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한어병음 첫 번째 알파벳이 "X"이면서 선행 두형특징 "천"과 후행 두형특징 "언"을 갖는 한자들을 추출하며, 해당 한자들의 추출이 완료되면 표시부의 상부쪽에는 현재까지 입력된 두형특징 "천"과 "언"의 식별 인자를 표시하고, 하부쪽에는 추출된 해당 한자들을 1번부터 최대 6번까지의 선택번호와 함께 표시한다.
단계24 - 사용자는 표시부의 하부쪽에 출력되는 한자들을 확인하여 현재 입력을 희망하는
Figure 112003021047584-pat00040
(신)에 대응되는 선택번호를 인식하며, 키입력부의 숫자키 1 내지 6 중에서 해당 숫자키를 1회 누른다. 이때 제어부는 키입력부에서 발생된 키데이터를 인식함에 있어서 한자 선택신호로 자동 인식하게 되며, 비로소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해당 선택번호에 대응되는 중국어 한자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41
"이 입력되어 표시부의 상부쪽에 현재 입력된 중국어 한자 "
Figure 112003021047584-pat00042
"이 표시된다.
여기서, 제어부가 키입력부에서 발생된 키데이터를 한자 선택신호로 자동 인식하지 않더라도 전술한 단일 두형특징 한자의 입력 절차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숫자키 2, 3, 4, 5, 6에 첫 번째로 배정된 두형특징 "결, 강, 계, 타, 사"들은 선행 두형특징으로만 추출되는 식별 인자이므로 제어부는 키입력부의 해당 키데이터를 한자 선택신호로 인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실제로는 상용 3,500자 중에서 한어병음 "X"로 분류되는 한자는 210자이며, 이중에서 선행 두형특징 "천"이 추출되는 한자는 15자이고, 다시 후행 두형특징으로 "십"이 추출되는 한자는
Figure 112003021047584-pat00043
(신)이 유일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계24에서 키입력부의 숫자키 1을 1회 눌러서
Figure 112003021047584-pat00044
(신)을 입력하게 된다.
한편, 단계23에서 표시부의 하부쪽에 복수개의 해당 한자들이 표시될 때에는 그 사용빈도에 의거한 우선순위가 부여되어 사용빈도가 높은 한자부터 순차적으로 표시되는데, 해당 한자가 6개를 초과할 경우에는 표시부에 화살기호 "▶"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약속된 키를 조작하여 다음 화면을 선택하면 다음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한자들이 1번부터 최대 6번까지의 선택번호와 함께 표시된다. 이러한 경우라면 사용자는 다음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1번부터 최대 6번까지의 한자들을 보면서 단계24를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Figure 112003021047584-pat00045
(신)의 입력 예와 같이 한어병음과 선행 및 후행 두형특징을 순차 입력하면 복수 두형특징 한자들을 입력할 수 있는데, 예외적으로
Figure 112003021047584-pat00046
(사)는 단일 두형특징 한자의 입력 예와 동일한 절차로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하거나 복수 두형특 징 한자의 입력 예와 동일한 절차로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두형특징 추출법에 의하면
Figure 112003021047584-pat00047
(사)는 복수 두형특징 한자 중에서 일반적인 형태의 한자로서 상단부 좌우로 2개의 독립된 특징이 나타나는 한자에 해당된다. 즉
Figure 112003021047584-pat00048
(사)는 두형특징 "사"의 특징이 복수로 나타나므로 2개의 두형특징 "사"를 모두 추출하여야 한다.
입력시에는 사용자가 키입력부의 기능키를 조작하여 중국어입력 모드로 진입한 후에 숫자키 8을 1회 누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어병음 "S"가 입력되고, 키입력부의 숫자키 6을 1회 누르면 선행 두형특징 "사"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되며, 다시 키입력부의 숫자키 6을 1회 누르면 후행 두형특징 "사"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후행 두형특징의 입력을 위해 숫자키 6이 입력될 때에 해당 키데이터는 단일 두형특징 한자의 선택 신호가 될 수도 있고 후행 두형특징 입력 신호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한어병음 첫 번째 알파벳이 "S"이면서 두형특징 "사"를 갖는 단일 두형특징 한자는 중국에서 제정된 상용 3,500자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후행 두형특징 입력시에 표시부에는 어떠한 한자도 표시되지 않으며, 이로서 후행 두형특징의 입력을 위해 숫자키 6을 1회 누르면 해당 키데이터는 후행 두형특징 입력 신호로서 입력된다.
여기서,
Figure 112003021047584-pat00049
(사)를 예외적으로 단일 두형특징 한자로 분류하더라도 한어병음 첫 번째 알파벳이 "S"이고 두형특징 "사"를 갖는 한자는
Figure 112003021047584-pat00050
(사)가 유일하므로 한자 입력을 위한 키조작 횟수가 감소되어 보다 빠른 한자 입력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국에서 제정된 상용 3,500자 중에서 단일 두형특징 한자는 약 890자이며, 복수 두형특징 한자는 약 2610자로 나타나는데, 단일 두형 특징 한자 중에서 약 840자는 하나의 한자 출력 화면을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 복수 두형 특징 한자 중에서 약 1560자를 하나의 한자 출력 화면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두형특징 입력법에 의하면 상용 3,500자 중에서 약 2,400자(68%)가 사용빈도에 의거한 우선순위 1 내지 6에 포함되고, 약 1,100자(32%)가 사용빈도에 의거한 우선순위 7 내지 12에 포함된다.
또한, 복수 두형특징 한자는 한어병음 첫 번째 알파벳과 선행 및 후행 두형특징을 입력하면 약 65%가 유일한 한자로 추출되는데, 이때에는 사용자가 표시부에 출력되는 한자를 확인하고서 키입력부를 통해 한자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절차를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한어병음 및 두형특징 정보에 의거한 한자 추출 결과로 하나의 한자만이 추출되면 이를 자동으로 입력받으며, 사용자는 다음 한자를 입력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자동 입력은 단일 두형특징 한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한자 입력장치는 한어병음과 두형특징의 입력만으로 해당 한자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경우와 사용자가 한자 선택 신호를 입력하여야 하는 경우를 구별하여 비프음을 송출하는 부저나 선택적으로 등화되는 점멸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점멸등이 채택될 경우에는 키입력부의 적정 위치에 점멸등을 설치하고 이를 제어부를 통해 제어하여야 할 것이다. 자동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고 한자 선택 신호를 입력하여야 하는 경우에 비프음을 발생시키거나 점멸등을 점등시켜 사용자에 의한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각 숫자키에 배정한 영문자 알파벳은 얼마든지 상호 위치 변경이 가능하며, 두형특징 또한 "결, 강, 계, 타, 사"를 숫자키 1 내지 6에 배정하는 조건 하에서 얼마든지 상호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다만, 두형특징과 영문자 알파벳은 사용빈도가 높을수록 키 신호수가 적은 위치에 배정하고 사용빈도가 낮을수록 키 신호수가 많은 위치에 배정하는 것이 중국어 한자의 입력 속도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도 4의 다이얼링 키패드에서 영문자 알파벳의 배정은 먼저 1에서 0번까지 10개의 숫자키에 2개 또는 3개의 영문자를 알파벳 순서에 따라 배정한 다음에 동일키에 배정된 영문자 중에서 한어병음 첫 글자로 쓰이지 않는 I, V, U와 사용빈도가 아주 낮은 A, E, O의 6개 알파벳을 순서에 상관없이 키신호수 3회 위치에 배정한 예이다(A, E, O 알파벳으로 시작되는 한어병음은 각각 39개, 21개, 6개에 불과함). 이러한 영문자 배정 방법은 대다수의 중국어 문자 한어병음 첫 글자를 키신호수 2회 이하로 입력 가능하도록 하여 문자 입력 속도가 단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두형특징 분류법을 이용하는 다이얼링 키패드에 식별 인자를 배정한 다른 예를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다이얼링 키패드의 식별 인자 배정 예와 비교할 때에 숫자키 1, 5, 7, 0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숫자키 1에 특수기호 "◎"과 두형특징 "수/야, 일/이"를 배정하고, 5에는 두형특징 "타, 왕"을 배정하며, 7에는 두형특징 "차, 목"을 배정하고, 0에는 "죽, 력/무"를 배정하였다.
숫자키 5, 7에 배정된 두형특징은 도 4의 다이얼링 키패드와 비교할 때에 각각 하나의 두형특징이 제거된 상태에 불과하므로 이를 이용한 두형특징 입력절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숫자키 1에는 두 번째 두형특징으로 "수/야"가 배정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숫자키 1을 2회 눌러서 두형특징의 입력을 시도하면 두형특징 "수"와 두형특징 "야"가 함께 입력됨을 의미한다. 이는 상용 3,500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두형특징 "수"와 두형특징 "야"는 그 사용빈도가 낮고 해당하는 한자의 수가 적어서 두형특징 "수"를 갖는 한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에 표시부에 두형특징 "수"를 갖는 한자들과 두형특징 "야"를 갖는 한자들이 함께 표시된 상태에서도 요망하는 한자를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동시 입력 기능은 숫자키 1에 세 번째 두형특징으로 배정된 "일/이"와 0에 두 번째 두형특징으로 배정된 "력/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도 6의 다이얼링 키패드를 도 4의 다이얼링 키패드와 비교하면, 도 4에서는 숫자키 5, 7, 0에 각각 세 번째 두형특징까지 배정되어 있으나, 도 6에서는 숫자키 5, 7, 0에 각각 두 번째 두형특징까지만 배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서 도 6의 다이얼링 키패드는 도 4의 다이얼링 키패드보다 한자 입력을 위한 키조작 회수가 감소되어 상대적으로 한자 입력 속도가 향상된다.
한편, 도 4 및 도 6의 다이얼링 키패드에서는 특수기호 "◎"를 이용한 입력 오류 방지 기능이 채택되어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해당 한자들을 5개 씩만 표시하는 경우에 특수기호 "◎"에 대응하는 입력 오류 방지 기능을 채택하지 않아도 되며, 또 다른 실시예로서 두형특징 "결, 강, 계, 타, 사"와 같이 복수 두형특징 한자에서만 이용되는 식별 인자를 하나 더 추가하여 특수기호 "◎"가 배정된 기존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정한다면 역시 특수기호 "◎"에 대응하는 입력 오류 방지 기능을 채택하지 않아도 된다.
일예로,
Figure 112003021047584-pat00051
을 새로운 두형특징 식별 인자로서 추가하여 총 28종의 두형특징을 채택하고, 도 4 또는 도 6의 다이얼링 키패드에서 숫자키 1의 첫 번째 두형특징으로 배정하는 경우이다.
Figure 112003021047584-pat00052
은 두형특징 "결, 강, 계, 타, 사"와 마찬가지로 복수 두형특징 한자에서만 추출되고 상용 3,500자 중에서 식별 인자가 후행 두형특징으로 추출되는 한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특수기호 "◎"에 대응하는 입력 오류 방지 기능을 채택하지 않더라도 한자 선택신호 입력시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중국어 한자 입력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현재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한어병음과 두형특징을 추출하여 입력할 경우에 해당 한자를 입력할 수 있었으나, 이하에서는 한어병음과 두형특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정보를 모를 경우에 요망하는 한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어병음과 두형특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정보만을 알고 있을 경우에 기 설정된 특정 키를 미지의 정보에 대한 입력 키로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한어병음 정보를 모를 경우에는 특정 키(* 또는 # 등)를 누른 후에 해당하는 두형특징을 입력하고, 두형특징 정보를 모를 경우에는 한어병음 첫 번째 알파벳을 입력한 후에 특 정 키를 눌러서 표시부에 출력되는 한자들 중에서 입력을 요망하는 한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예로서, 단일 두형특징 한자인 성(星)을 입력하고자 할 때에 성(星)은 한어병음의 첫 번째 알파벳이 "X"이며, 상단의 부수로부터 두형특징 "구"를 추출할 수 있으나, 한어병음을 모를 경우에는 한어병음의 첫 번째 알파벳 "X" 대신에 특정 키(* 또는 # 등)를 눌러 입력하고 연속하여 두형특징 "구"를 입력하며, 두형특징을 모를 경우에는 한어병음의 첫 번째 알파벳인 "X"를 입력한 후에 두형특징 "구" 대신에 특정 키(* 또는 # 등)를 눌러 입력한다.
상기와 같이 한어병음과 두형특징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택일하여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단일 두형특징 한자인 성(星)의 입력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어병음 정보를 모를 경우>
단계31 - 사용자가 키입력부의 기능키를 조작하여 중국어입력 모드로 진입한 후에 특정 키(* 또는 # 등)를 누른다. 이때 제어부는 키입력부에서 발생된 키데이터를 인식함에 있어서 한자 입력을 위한 첫 번째 키데이터는 무조건 한어병음 입력신호로 자동 인식하는데, 현재 입력된 특정 키에는 한어병음이 배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미지의 한어병음 신호로 인식한다.
단계32 - 사용자가 키입력부의 숫자키 8을 1회 누른다. 이때 제어부는 키입력부에서 발생된 키데이터를 인식함에 있어서 한자 입력을 위한 두 번째 키데이터는 무조건 선행 두형특징 입력신호로 자동 인식한다. 여기서 숫자키 8의 첫 번째 두형특징 식별 인자로 "구"가 배정되어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두형특징 "구"가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한어병음 첫 번째 알파벳과는 무관하게 두형특징이 "구"인 한자들을 추출하며, 해당 한자들의 추출이 완료되면 표시부의 상부쪽에는 현재 입력된 두형특징 "구"의 식별 인자를 표시하고, 하부쪽에는 추출된 해당 한자들을 1번부터 최대 6번까지의 선택번호와 함께 표시한다.
여기서, 두형특징 "구"를 갖는 한자 중에는 현재 입력하고자 하는 "성(星)" 등과 같이 단일 두형특징을 갖는 한자도 있으며, 두형특징 "구" 이외에도 후행 두형특징을 더 갖는 복수 두형특징 한자도 포함되어 있으나, 제어부는 두형특징 "구"를 단일 두형특징으로 갖는 한자들만을 추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의 중국어 한자 입력 과정은 전술한 단계13과 비교할 때에 그 원리와 절차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단일 두형특징 한자가 아닌 복수 두형특징 한자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행 두형특징을 입력한 이후에 후행 두형특징을 입력하게 되는데, 이때 정상적으로 후행 두형특징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두형특징 "구"와 현재 입력되는 특정한 후행 두형특징을 모두 갖는 복수 두형특징 한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며, 후행 두형특징 입력 신호로서 다시 특수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한어병음 및 후행 두형특징과는 무관하게 선행 두형특징 "구"를 갖는 복수 두형특징 한자들을 추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두형특징 정보를 모를 경우>
단계41 - 사용자가 키입력부의 기능키를 조작하여 중국어입력 모드로 진입한 후에 숫자키 9를 연속하여 2회 누른다. 이때 제어부는 키입력부에서 발생된 키데이터를 인식함에 있어서 한자 입력을 위한 첫 번째 키데이터는 무조건 한어병음 입력신호로 자동 인식한다. 여기서 숫자키 9의 두 번째 알파벳으로 "X"가 배정되어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한어병음 "X"가 입력된다. 바람직하기로, 한어병음 "X"가 입력된 상태에서 표시부에는 "X"가 표시된다.
단계42 - 사용자가 특정 키(* 또는 # 등)를 누른다. 이때 제어부는 키입력부에서 발생된 키데이터를 인식함에 있어서 한자 입력을 위한 두 번째 키데이터는 무조건 선행 두형특징 입력신호로 자동 인식하는데, 현재 입력된 특정 키에는 두형특징이 배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미지의 두형특징 신호로 인식한다.
그러면,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두형특징과는 무관하게 한어병음 첫 번째 알파벳이 "X"인 한자들을 추출하며, 해당 한자들의 추출이 완료되면 표시부의 하부쪽에 추출된 해당 한자들을 1번부터 최대 6번까지의 선택번호와 함께 표시한다.
여기서, 한어병음 "X"를 갖는 한자 중에는 현재 입력하고자 하는 "성(星)" 등과 같이 단일 두형특징을 갖는 한자도 있으며, 복수 두형특징 한자도 포함되어 있으나, 제어부는 단일 두형특징으로 갖는 한자들만을 추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의 중국어 한자 입력 과정 및 처리과정은 전술한 단계13과 비교할 때에 그 원리와 절차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단일 두형특징 한자가 아닌 복수 두형특징 한자의 경우에는 선행 두형특징으로 특수 키를 입력한 이후에 후행 두형특징을 입력하게 되는데, 이때 정상적으로 후행 두형특징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한어병음 "X"와 현재 입력되는 특정한 후행 두형특징을 갖는 복수 두형특징 한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며, 후행 두형특징 입력 신호로서 다시 특수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선행 및 후행 두형특징과는 무관하게 한어병음 "X"를 갖는 복수 두형특징 한자들을 추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두형특징 분류법을 이용하는 컴퓨터용 키보드에 식별 인자를 배정한 예를 나타내었다. 도 7의 컴퓨터용 키보드를 이용한 중국어 한자 입력방법은 전술한 다이얼링 키패드를 이용한 중국어 한자 입력방법과 그 원리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컴퓨터용 키보드에 적용될 때의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영문자를 입력할 경우에는 통상의 컴퓨터 키보드와 마찬가지로 영문입력 모드에서 특정 키를 누르면 해당 키에 배정된 영문자가 입력되며, 한자입력 모드에서는 전술한 다이얼링 키패드에서와 마찬가지로 키데이터의 발생 위치에 따라 컴퓨터가 한어병음 입력신호 또는 두형특징 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로 자동 인식하여 해당 정보를 입력받는다.
Q에 배정된 "일/이"와 W에 배정된 "수/야" 및 X에 배정된 "력/무"는 다이얼링 키패드에서 설명한 바 있는 동시 입력 기능이며, Y, U, I, O, P는 다이얼링 키패드의 숫자키 2 내지 6과 마찬가지로 한자 선택신호의 입력에 이용되고, 한자 입 력과정에서 표시부(모니터)에 해당 한자들이 최대 6개씩 표시되는 경우라면 Z가 다이얼링 키패드에서 숫자키 1의 한자 선택 기능을 갖는다. 물론 Y, U, I, O, P, Z를 통한 한자 선택 기능은 컴퓨터 키보드에 별도로 마련된 텐키에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다이얼링 키패드에서 한어병음과 두형특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정보를 모를 경우에 요망하는 한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특정 키를 미지의 정보에 대한 입력 키로 이용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는데, 이러한 입력 방법은 도 7의 컴퓨터용 키보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미지의 정보를 위한 입력 키로는 두형특징이 배정되지 않은 키가 이용된다. 도 7의 컴퓨터용 키보드에서는 V가 미지의 정보를 위한 입력 키로 이용되며, 도면에서는 그 식별을 위하여 #를 병기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한자입력 모드에서 키데이터의 발생 위치에 따라 컴퓨터가 한어병음 입력신호 또는 두형특징 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로 자동 인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컴퓨터 키보드를 이용한 입력 작업시에는 통상적으로 열 손가락을 모두 이용하므로 두 개의 키를 동시에 입력하더라도 입력에 따른 애로사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한자입력 모드에서 하나의 키만이 독립되어 입력되면 해당 키에 배정된 두형특징이 입력되고, 쉬프트키 등과 같은 별도의 기능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해당 키에 배정된 영문자 알파벳이 입력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일예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한어병음을 이용하고 있는데, 한어병음을 통합병음으로 대체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며, 다른 병음체계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전체 한어병음 알파벳 중에서 첫 번째 알파벳을 이용하는 것 또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여타 중국어 입력방법과 비교할 때에 입력타수가 단축되어 문자 입력속도가 향상된다.
종래의 한어병음 입력방식은 모든 한어병음 스펠링을 정확히 알아야 입력 가능하고 오필자형 입력방식은 중국어 부수에 대한 상당한 지식이 요구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중국어 입력방법은 한어병음의 첫 번째 영문자만 알고 있으면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음이나 부수 등을 모르더라도 두형특징을 추출하여 쉽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 대표적으로 설명한 다이얼링 키패드와 컴퓨터용 키보드와 같이 모든 전자기기에 중국어 한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통일시킬 수가 있어서 서로 상이한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던 입력오류나 숙달 지연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8)

  1. 한자들의 특징적 형태에 따라 27종의 대표적 특징으로 분류하여 각각 대응하게 27개의 식별 인자를 할당하며, 상기 한자들을 상기 식별 인자가 한 개인 단일 특징 한자들과 상기 식별 인자가 두 개인 복수 특징 한자들로 분류한 후, 상기 식별 인자들을 키패드 또는 키보드의 개별 버튼에 배정하여 상기 버튼의 조작을 통해 전자기기에 한자를 입력할 때에 그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한자를 입력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입력을 요망하는 한자의 병음 알파벳 중에서 하나의 알파벳 정보를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해 입력받는 단계와,
    (b) 상기 입력을 요망하는 한자가 상기 단일 특징 한자일 경우에는 상기 27개의 식별 인자 중에서 상기 단일 특징에 대응하는 한 개의 상기 식별 인자 정보를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해 입력받고, 상기 입력을 요망하는 한자가 상기 복수 특징 한자일 경우에는 상기 27개의 식별 인자 중에서 상기 복수 특징에 대응하는 두 개의 상기 식별 인자 정보를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해 입력받는 단계와,
    (c) 상기 한자들 중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받은 하나의 알파벳 정보와 상기 (b) 단계에서 입력받은 한 개의 식별 인자 정보에 부합하거나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받은 하나의 알파벳 정보와 상기 (b) 단계에서 입력받은 두 개의 식별 인자 정보에 부합하는 한자를 추출하여 상기 요망 한자로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한자 입력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은 알파벳 정보와 식별 인자 정보에 부합하는 한자가 복수로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한자들을 표시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한자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받은 선택 정보에 의거하여 단일의 한자를 상기 요망 한자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처리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은 알파벳 정보와 식별 인자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정보가 알파펫 또는 식별 인자를 특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알파벳 또는 식별 인자를 특정하는 다른 하나의 정보에 부합하는 한자를 추출하여 상기 요망 한자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처리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들의 상단 또는 편방에 위치하는 부수로부터 상기 특징적 형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처리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들 중에서 상기 단일 특징 한자는 상기 상단과 편방 중에서 어느 한 곳에서만 대표적 특징을 추출하며, 상기 복수 특징 한자는 상기 상단과 편방에서 각각의 대표적 특징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처리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7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한자 입력 처리방법이 적용된 한자 입력 장치로서,
    복수의 키를 이용한 선택에 의하여 입력을 요망하는 한자의 상기 병음 알파벳 정보와 식별 인자 정보를 조합으로 입력받는 키입력부와,
    상기 한자들이 상기 병음 알파벳 정보 및 상기 식별 인자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입력받은 병음 알파벳 정보와 식별 인자 정보에 의거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한자들 중에서 상기 입력받은 알파벳 정보와 식별 인자 정보에 부합하는 한자를 상기 요망 한자로 인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한자 입력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은 알파벳 정보와 식별 인자 정보에 부합하는 한자가 복수로 추출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추출된 한자들을 외부로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된 한자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를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아 단일의 한자를 상기 요망 한자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결과에서 상기 입력받은 알파벳 정보와 식별 인자 정보에 부합하는 한자가 단일 개로 추출될 때와 복수 개로 추출될 때를 구분하여 비프음을 송출하는 부저와 선택적으로 등화되는 점멸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알파벳과 식별 인자가 복수의 키에 각각 하나 이상씩 순번을 갖고 배정되어 해당 키의 조작 횟수에 비례하는 상기 순번의 알파벳 또는 식별 인자가 입력되는 다이얼링 키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알파벳과 식별 인자가 복수의 키에 각각 하나 이상씩 배정되어 해당 키의 조작에 따라 상기 알파벳 또는 식별 인자가 입력되는 컴퓨터용 키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입력 장치.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030038118A 2003-06-13 2003-06-13 한자 입력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657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118A KR100657366B1 (ko) 2003-06-13 2003-06-13 한자 입력 처리방법 및 장치
CN200410001669A CN100576149C (zh) 2003-06-13 2004-01-09 汉字输入输出方法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118A KR100657366B1 (ko) 2003-06-13 2003-06-13 한자 입력 처리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232A KR20030055232A (ko) 2003-07-02
KR100657366B1 true KR100657366B1 (ko) 2006-12-14

Family

ID=3222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118A KR100657366B1 (ko) 2003-06-13 2003-06-13 한자 입력 처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7366B1 (ko)
CN (1) CN10057614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9064A1 (en) * 2003-10-15 2005-04-28 Yun-Kee Kang Method of inputting chinese language using mobile terminal
KR100750634B1 (ko) * 2005-02-21 2007-08-20 (주)다올소프트 한자 입출력 장치
KR100638465B1 (ko) * 2005-06-17 200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수가 고려된 중문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907113B1 (ko) * 2007-04-11 2009-07-09 유성영 한자 그룹 입력 처리방법
CN103021205B (zh) * 2011-09-23 2018-06-05 木山稔 草书文字及其书写练习装置,以及草书文字练习方法
CN114937269B (zh) * 2022-05-05 2023-01-24 交通运输部水运科学研究所 一种基于英文和汉字联合的船舶号牌识别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3662A (zh) 2005-02-02
CN100576149C (zh) 2009-12-30
KR20030055232A (ko)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4827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predicting text
US72575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inese character text input
JPH02135519A (ja) 表意文字の集合体をコード化するシステム
KR100704093B1 (ko) 콤포넌트 기반의, 적응성 스트로크 명령 시스템
US7339498B2 (en) 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JP2001500646A (ja) 高速タイプ装置と方法
US7711541B2 (en) Chinese input method, Chinese inpu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657366B1 (ko) 한자 입력 처리방법 및 장치
US20040243746A1 (en) Character generation system
CN101369209A (zh) 用于全混合输入的手写输入装置及其方法
US6799914B2 (en) Arabic-persian alphabeth input apparatus
KR20040025851A (ko) 한글 문자 입력 방법, 한글 문자 입력 장치, 한글 문자입력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US9841873B1 (en) Process for reducing the number of physical actions required while inputting character strings
KR100599873B1 (ko)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702483B1 (ko) 한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EP1875620B1 (en)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s using the same
US7576662B2 (en) Keypad array of portable terminal for input of alphabetic letters
KR20020021182A (ko) 성조 표현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RU2344564C2 (ru) Раскладки знаков, способы в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JP3803253B2 (ja) 漢字入力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H02126362A (ja) 中国語入力装置及びそのキーボード
JPS6254364A (ja) 表意文字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1785649B1 (ko)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
KR100907113B1 (ko) 한자 그룹 입력 처리방법
KR100995732B1 (ko) 키패드에서의 중국어 병음을 포함한 로마알파벳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