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8928A - 슬라이드 게이트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928A
KR20090128928A KR1020080054916A KR20080054916A KR20090128928A KR 20090128928 A KR20090128928 A KR 20090128928A KR 1020080054916 A KR1020080054916 A KR 1020080054916A KR 20080054916 A KR20080054916 A KR 20080054916A KR 20090128928 A KR20090128928 A KR 20090128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housing
slider
housing
guide track
slid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9071B1 (ko
Inventor
이형곤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조선내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내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선내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4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071B1/ko
Priority to PCT/KR2009/003074 priority patent/WO2009151250A2/en
Priority to CN2009801219259A priority patent/CN102056691B/zh
Priority to JP2011512391A priority patent/JP5149990B2/ja
Publication of KR20090128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24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characterised by a rectilinearly movable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7/0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ouring of molten metal from a casting melt-holding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38Means for operating the sliding g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40Means for pressing the plates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강의 유량을 조절하는 슬라이드 게이트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주보며 포개진 한 쌍의 밸브판이 서로 이동하면서 용강 유로공의 개방 면적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용강 유량을 조절하도록 된 슬라이드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으로 상부밸브판(101)이 장착된 상부하우징(110);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 위치된 하부하우징(120);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좌.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관통설치되어 하부하우징 또는 상부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승강하게 연결하면서 하부하우징을 개폐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탄성힌지부재(130);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하부밸브판(102)을 지지한 상태로 구동실린더(C)로부터 이동력을 부여받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140);
상기 슬라이더(140)의 저면에 슬라이더(140)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일측으로 홈부(151)가 형성된 가이드트랙(150); 및
상기 가이드트랙과 구름접촉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롤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판, 압축스프링, 스토퍼

Description

슬라이드 게이트{Slide gate}
본 발명은 용강의 유량을 조절하는 슬라이드 게이트로서, 보다상세하게는 마주보며 포개진 한 쌍의 밸브판이 서로 이동하면서 용강 유로공의 개방 면적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용강 유량을 조절하도록 된 슬라이드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브를 제작하기 위한 연속 주조 과정에서는 래들(Ladle)에서 정련된 용강을 턴디쉬(Tundish)로 옮기는 공정이 진행된다. 이때, 래들과 턴디쉬 사이의 용강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래들 외측 하부면에는 슬라이드 게이트(Slide Gate)가 장착된다.
슬라이드 게이트에는 용강이 이동하도록 용강 유로공이 뚫려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게이트는 상호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러지도록 한 쌍의 밸브판(Valve Plate)이 마주보도록 포개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게이트는 마주보며 포개진 한 쌍의 밸브판이 서로 이동하면서 용강 유로공의 개방 면적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용강 유량을 제어하게 되면서 밸브로써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슬라이드 게이트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밸브판이 서로 이루는 접촉면은 동작시 강한 면압이 작용되어 서로 밀착된 상태로 미끄러지게 된다.
통상 한 쌍의 밸브판에 작용하는 면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로 복수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 밸브판이 면압을 유지할 경우 코일 스프링이 일정 길이로 압축되면서 밸브판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면압을 생성하거나 생성된 면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밸브판 사이의 면압이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않게 되면, 밸브판들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강 품질이 저하되거나 역으로 용강이 그 틈새를 통하여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판들의 접촉면에 적정한 면압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밸브판에 면압을 유지시키도록 한 종래의 슬라이드 게이트로서, 국내특허등록 제551476호에 개시된 "용융금속 용기용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가 알려져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는 금속용기 부분에 고정되며 내측으로 상부밸브판(1)이 삽입된 하우징(10)과, 내부에 삽입된 하부밸브판(2)과 함께 전후,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유니트(20)와, 하우징(10) 또는 슬라이더 유니트(20)에 고정되면서 슬라이더 유니트(20) 또는 하우징(10)부분에 형성된 가이드트랙(3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롤러(40)와, 상기 하우징(10) 또는 슬라이더 유니트(20)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롤러(40)와 연결된 지지수단(50)과, 상기 지지수단(50)에 설치되어 내화밸프판들(1,2)에 대하여 밀착력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6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트랙(30)에는 홈부(31)와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게이트의 운전중에 있어서 롤러(40)는 홈부(31)에 위치된다. 롤러(40)가 홈부(31)에 위치되면, 지지수단(50)이 압축스프링(60)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되고, 그 결과 압축스프링(60)의 탄반력으로 인해 슬라이더 유니트(20)가 하부밸브판(2)을 상부밸브판(1)측으로 강하게 밀착시키게 되므로 밸브판들(1,2) 사이의 면압이 생성되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슬라이드 게이트에 장착되는 밸브판들(1,2)은 내화물 소재로써 소모성 부품이다. 그러므로, 슬라이드 게이트는 사용이 반복되면 상기 부품들이 마모되거나 탈락이 발생하게 되고, 적정한 주기로 이들 부품들을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할 경우, 슬라이드 게이트의 운전 중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고 있던 면압을 제거해야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판간의 면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슬라이더 유니트(2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야 한다. 슬라이더 유니트(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롤러(40)는 개구부(32)에 위치된다. 롤러(40)가 개구부(32)에 위치되면, 압축상태에 있던 압축스프링(60)이 이완되면서 슬라이더 유니트(20)측에 부여되던 탄반력이 제거된다. 탄반력이 제거되면, 지지수단(50)가 이완되는 압축스프링(60)에 밀려 올라가게 되면서 밸브판들(1,2) 사이의 면압은 제거된다.
밸브판들(1,2) 사이의 면압이 제거되면, 닫혀 있던 슬라이드 게이트를 개방하고, 이들 내화물 소모품을 교체한 후에 개방된 슬라이드 게이트를 닫고 슬라이더 유니트(20)를 원래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다시 적정한 면압을 생성시킨 상태에 서 작업을 재개하면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슬라이드 게이트는 슬라이더 유니트(20)가 전후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된 구조이므로, 상기 지지수단(50)와 압축스프링(60)과 롤러(40)가 슬라이더 유니트(20)가 면압을 생성 및 유지시키거나 면압을 제거하도록 동작되는 과정에서 큰 외력을 받게 된다. 특히 지지수단(50)와 롤러(40)와의 연결부위에는 전후방향의 큰 횡압이 인가되고, 이 횡압은 압축스프링(60)에도 전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스프링(60)에 횡압이 인가되면, 하부밸브판(2)측에 수직으로 부여되는 탄반력이 감소하거나 불균일해지면서 밸브판간에 정상적인 면압이 생성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압축스프링(60)이 지속적으로 압축과 인장을 반복하게 되면, 압축스프링(60)이 쉽게 손상되거나 변형되면서 자칫 운전 중 밸브판들(1,2) 사이로 용강이 누출되는 대형 사고를 초래할 위험이 크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드 게이트는 슬라이더 유니트(20)가 전후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된 구조이므로, 슬라이더 유니트(20)와 하우징(10)은 자체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반드시 별도의 힌지부재(70)를 통해 연결되어야 하며, 힌지부재(70)의 반대측에 후크와 같은 잠금부재(80)를 구비하여 상호고정되도록 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게이트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고 구조도 복잡해지며 슬라이드 게이트의 개폐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드 게이트는 용강 배출 운전 중, 작업자의 실수나 기기의 오작동으로 인해 슬라이더 유니트(20)가 슬라이딩되면서 면압이 제거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어서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을 내재하고 있는 문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면압 유지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고, 구조가 간단하면서 사이즈를 최소화시키고 개폐작업이 용이해지는 슬라이드 게이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강 배출 운전 중, 면압이 제거되는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슬라이드 게이트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슬라이더 게이트는 내측으로 상부밸브판이 장착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된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좌.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관통설치되어 하부하우징 또는 상부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승강하게 연결하면서 하부하우징을 개폐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탄성힌지부재와,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하부밸브판을 지지한 상태로 구동실린더로부터 이동력을 부여받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저면에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일측으로 홈부가 형성된 가이드트랙과, 상기 가이드트랙과 구름접촉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힌지부재는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좌.우측에 수직으 로 관통설치된 한 쌍의 압축샤프트와, 하부하우징 또는 상부하우징의 좌, 우측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힌지핀과, 상기 압축샤프트와 힌지핀을 연결하는 연결블럭과, 상기 압축샤프트가 하강할 때 압축샤프트에 눌려 압축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롤러가 가이드트랙의 홈부에 위치될 경우에는 상기 압축샤프트가 상승하면서 압축스프링이 이완되어 면압이 제거되고, 상기 롤러가 가이드트랙의 홈부를 벗어날 경우에는 상기 압축샤프트가 하강하면서 압축스프링이 압축되어 면압이 생성 및 유지된다.
또한, 상기 탄성힌지부재는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실린더의 축상에는 구동실린더가 슬라이더를 미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하우징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롤러가 가이드트랙의 홈부에 위치되지 못하도록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핀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실린더의 축상에는 복수의 스토퍼핀 결합용 핀홀들이 형성되면, 상기 스토퍼핀은 상기 핀홀과의 결합위치를 달리하면서 하우징과의 간섭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탄성힌지부재를 통해 상부하우징에 하부하우징이 승강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우하우징 내부에는 전후로 이동하면서 하부밸브판을 지지하는 슬라이더를 위치시키면서 하부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롤 러가 슬라이더를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면압의 생성 및 유지 또는 제거되는 과정에서 하부하우징은 승강동작만 이루어지고 슬라이더는 전후동작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면압이 생성 및 유지되거나 제거되는 과정에서 압축스프링과 롤러사이에 횡압이 작용하지 않고 하부밸브판측에 수직으로 부여되는 탄반력이 항상 일정하게 작용되므로 면압의 신뢰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관련부품의 손상 및 파손이 발생되지 않아 조업 중 밸브판들 사이로 용강이 누출되는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별도의 힌지부재나 후크부재를 통해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연결하고 체결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슬라이드 게이크의 구조가 간단하고 개폐작업도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실린더가 슬라이더를 밀 때 상기 롤러가 가이드트랙의 홈부에 위치되지 못하도록 하부하우징에 간섭되는 스토퍼핀을 구동실린더의 축상에 결합시킴으로써, 용강 배출 운전 중, 작업자의 실수나 기기의 오작동으로 인해 슬라이더 유니트가 슬라이딩되면서 면압이 제거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측으로 상부밸브판(101) 이 장착된 상부하우징(110);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된 하부하우징(120); 상부하우징(110) 또는 하부하우징(120)의 좌.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관통설치되어 하부하우징(120) 또는 상부하우징(110)을 탄성적으로 승강하게 연결하면서 하부하우징(120)을 개폐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탄성힌지부재(130); 상기 하부하우징(120) 내부에 위치되어 하부밸브판(102)을 지지한 상태로 구동실린더(C)로부터 이동력을 부여받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140); 상기 슬라이더(140)의 저면에 슬라이더(140)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일측으로 홈부(151)가 형성된 가이드트랙(150); 상기 가이드트랙(150)과 구름접촉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120)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롤러(16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10)은 연통공(미도시)이 관통형성된 사각형상의 플레이트(Plate)로서, 래들과 같은 용강배출구의 하단에 외측으로 끼워져 장착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110)의 내측으로는 상부밸브판(101)이 용강배출구 바닥면에 밀착되게 장착된다. 상기 상부밸브판(101)은 용강배출구와 일치하는 용강유로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상부하우징(110)과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턴디쉬와 같은 용강유입구의 상단에 외측으로 끼워져 장착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은 탄성힌지부재(130)를 통해 하부하우징(120)이 개폐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탄성힌지부재(130)는 안정적으로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부하우징(110) 또는 하부하우징(12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한 쌍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탄성힌지부재(130)는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의 전후방향으로 따라서 복수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5 내지 도 9에서는 탄성힌지부재(130)가 상부하우징(110)에 수직으로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고, 도 10에서는 탄성힌지부재(130)가 하부하우징(120)에 수직으로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힌지부재(130)는 상부하우징(110)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관통설치된 한 쌍의 압축샤프트(131)와, 하부하우징(120)의 좌, 우측에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힌지핀(132)과, 상기 압축샤프트(131)와 힌지핀(132)을 연결하는 연결블럭(133)과, 상기 압축샤프트(131)가 하강할 때 압축샤프트(131)에 눌려 압축되는 압축스프링(1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양측에는 압축샤프트 장착홀(111)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하우징(120)은 탄성힌지부재(130)에 의해 상부하우징(110)과 연결된 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샤프트(131)가 외력을 받아 압축스프링(134)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면 압축샤프트(131)를 따라 하강하게 되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샤프트(131)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스프링(134)의 탄성력으로 원래위치로 상승하는 압축샤프트(131)를 따라 상승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하우징(120)의 좌,우측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힌지핀(132) 중 일측 의 힌지핀(132)을 제거하면, 타측의 힌지핀(132)을 중심으로 하부하우징(120)이 하향회동하면서 슬라이드 게이트(100)는 개방된다. 한편, 양측의 힌지핀(132)을 동시에 제거하면 하부하우징(120) 전체가 연결블럭(133)으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120) 내부에는 슬라이더(140)가 위치된다. 상기 슬라이더(140)의 단부는 외부에 설치된 구동실린더(C)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실린더(C)으로부터 슬라이딩력을 부여받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더(140)의 저면에는 슬라이더(140)의 이동방향을 따라 가이드트랙(150)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좌,우측에는 가이드트랙(150)에 대응되게 각각 롤러(160)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160)는 슬라이더(140)가 이동될 때 가이드트랙(150)내에서 슬라이더(140)가 안정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돕는다. 미설명부호 161은 하부하우징(120)에 고정된 롤러(160)의 회전축이다.
상기 가이드트랙(150)의 내측에는 홈부(15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롤러(160)가 가이드트랙(150)의 홈부(151)에 위치되도록 슬라이더(140)가 이동되면, 상기 압축샤프트(131)가 상승하면서 압축스프링(134)이 이완되어 면압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160)가 가이드트랙(150)의 홈부(151)를 벗어나도록 슬라이더(140)가 이동되면, 압축샤프트(131)가 하강하면서 압축스프링(134)이 압축되어 면압이 생성 또는 유지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실린더(C)의 축상에는 스토퍼핀(17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 스토퍼핀(170)이 구동실린더(C) 축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실린더(C)가 슬라이더(140)를 밀게 되면, 스토퍼핀(170) 이 구동실린더(C)축을 따라 슬라이더(140)측으로 이동하다가 하부하우징(120)의 일측과 간섭된다.
스토퍼핀(170)과 하부하우징(120)이 간섭되면, 구동실린더(C)의 축이 더 이상 슬라이더(140)를 밀어주지 못하게 되므로 슬라이더(140)의 이동이 중지된다. 슬라이더(140)의 이동이 중지되면 상기 롤러(160)가 가이드트랙(150)의 홈부(151)로 진입이 불가능해지므로, 용강 배출 운전 중, 작업자의 실수나 기기의 오작동으로 인해 슬라이더(140) 유니트가 슬라이딩되더라도, 롤러(160)가 가이드트랙(150)의 홈부(151)에 위치되지 못하도록 슬라이더(140)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면압이 제거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실린더(C)의 축상에는 롤러(160)가 가이드 트랙의 홈부(151)에 위치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1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핀홀(180)과, 롤러(160)가 가이드 트랙의 홈부(151)에 위치될 수 없도록 슬라이더(1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핀홀(190)로 구분하여 복수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작업자가 운전중에는 상기 스토퍼핀(170)을 제2핀홀(190)에 위치시키고, 운전중이 아닐 경우에는 스토퍼핀(170)을 제1핀홀(180)에 위치시켜 만일의 사고를 대비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9에서는 구동실린더(C)와 슬라이더(140)와의 정비 용이성을 위하여, 연결바(200)를 통해 구동실린더(C)와 슬라이더(140)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였고, 상기 연결바(200)에는 구동실린더(C)의 축상에 형성된 제1핀홀(180)과 제2핀홀(190)에 대응되는 걸림홈부(201,202)가 형성되어 스토퍼핀(170)과의 결합이 구동실린더(C)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 예를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슬라이드 게이트(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60)가 가이드트랙(150)에 홈부(151)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면압이 작용하지 않는 초기상태이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은 탄성힌지부재(130)를 통해 연결된 상태이므로 종래와 같이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을 연결하기 위한 후크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구동실린더(C)가 슬라이더(140)를 밀게 되면, 롤러(160)가 홈부(151)를 이탈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더(140)를 밀어올리게 되는데, 슬라이더(140) 내측의 하부밸브판(102)이 슬라이더(140)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그 결과 하부밸브판(102)이 상부밸브판(101)에 밀착되어 면압이 생성된다.
그리고, 구동실린더(C)가 슬라이더(140)를 더 밀게 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오 같이, 롤러(160)가 홈부(151)를 완전히 이탈하게 되는데, 이상태에서는 하부밸브판(102)이 상부밸브판(101)에 이미 밀착된 상태이므로 더 이상의 상승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롤러(160)가 가이드트랙(150)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롤러(160)가 하강하게 되면, 롤러(160)와 연결된 압축하우징이 롤러(160)가 하강한 거리만큼 압축스프링(134)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되고, 증가한 압축스프링(134)의 탄반력에 의해 하부밸브판(102)과 상부밸브판(101)과의 면압은 크게 증대된다.
따라서, 롤러(160)가 다시 홈부(151)에 위치되지 않는 한, 슬라이더(140)를 이동시키더라도 상부밸브판(101)과 하부밸브판(102)과의 증대된 면압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용강유로공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내화물 부품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부밸브판(101)과 하부밸브판(102) 사이에 작용하고 있는 면압을 제거하여야 한다.
면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구동실린더(C)롤 동작시켜 롤러(160)가 원래의 가이드트랙(150)의 홈부(151)에 위치되도록 슬라이더(140)를 밀도록 조작하면 된다. 롤러(160)가 홈부(151)에 위치되면 하강했던 롤러(160)가 상승하게 되면서 롤러(160)가 하강한 거리만큼 압축샤프트(131)가 압축스프링(134)을 이완시키면서 상승하게 되고 면압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면압이 제거된 상태에서 하부하우징(120)의 좌,우측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힌지핀(132) 중 일측의 힌지핀(132)을 제거하면, 타측의 힌지핀(132)을 중심으로 하부하우징(120)이 하향회동하면서 슬라이드 게이트(100)가 개방된다.
또한, 양측의 힌지핀(132)을 동시에 제거시켜 슬라이드 게이트(100)를 개방시킬 수도 있다. 즉, 양측의 힌지핀(132)을 동시에 제거시키면 하부하우징(120)이 연결블럭(133)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부하우징(110)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매우 간편하게 슬라이드 게이트(100)를 개방시켜 밸브판과 같은 내화물 부품을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중이 아닌 상태에서는 스토퍼핀(170)을 제2핀홀(190) 및 제2걸림홈부(202)에 끼워 결합시켜 놓으면,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슬라이더(140)가 이동되더라도 스토퍼핀(170)이 하부하우징(120)에 간섭되면서 롤러(160)가 가이드트랙(150)의 홈부(151)에 위치되지 않도록 슬라이더(140)의 이동이 차단되므로 만일의 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이 개시되면, 제2핀홀(190) 및 제2걸림홈부(202)에 끼워져 있는 스토퍼핀(170)을 제1핀홀(180)에 끼워 놓아 슬라이더(140)가 정상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탄성힌지부재(130)가 하부하우징(120)에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었으며, 본 실시예와 대비해 볼 때, 구성 및 작용이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슬라이드 게이트의 사용상태도로서, 면압이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도 1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슬라이드 게이트의 사용상태도로서, 면압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2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게이트의 사용상태도로서, 면압이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은 도 5 상태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게이트의 사용상태도로서, 면압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도 7 상태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롤러가 가이드트랙의 홈부에 위치되지 못하도록 구동실린더의 축상에 스토퍼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슬라이드 게이트 101...상부밸브판
102...하부밸브판 110...상부하우징
120...하부하우징 130...탄성힌지부재
131...압축샤프트 132...힌지핀
133...연결블럭 134...압축스프링
140...슬라이더 150...가이드트랙
151...홈부 160..롤러
170...스토퍼핀 180...제1핀홀
190...제2핀홀 200...연결부재
201,202...걸림홈부 C...구동실린더

Claims (6)

  1. 내측으로 상부밸브판이 장착된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 위치된 하부하우징;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좌.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관통설치되어 하부하우징 또는 상부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승강하게 연결하면서 하부하우징을 개폐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탄성힌지부재;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하부밸브판을 지지한 상태로 구동실린더로부터 이동력을 부여받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저면에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일측으로 홈부가 형성된 가이드트랙; 및
    상기 가이드트랙과 구름접촉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게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힌지부재는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관통설치된 한 쌍의 압축샤프트;
    하부하우징 또는 상부하우징의 좌, 우측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힌지핀;
    상기 압축샤프트와 힌지핀을 연결하는 연결블럭; 및
    상기 압축샤프트가 하강할 때 압축샤프트에 눌려 압축되는 압축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게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가이드트랙의 홈부에 위치될 경우에 상기 압축샤프트가 상승하면서 압축스프링이 이완되어 면압이 제거되고,
    상기 롤러가 가이드트랙의 홈부를 벗어날 경우에 상기 압축샤프트가 하강하면서 압축스프링이 압축되어 면압이 생성 및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게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힌지부재는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의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게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실린더의 축상에는 구동실린더가 슬라이더를 미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하우징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롤러가 가이드트랙의 홈부에 위치되지 못하도록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핀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게이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실린더의 축상에는 복수의 스토퍼핀 결합용 핀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핀은 상기 핀홀과의 결합위치를 달리하면서 하부하우징과의 간섭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게이트.
KR1020080054916A 2008-06-12 2008-06-12 슬라이드 게이트 KR100959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916A KR100959071B1 (ko) 2008-06-12 2008-06-12 슬라이드 게이트
PCT/KR2009/003074 WO2009151250A2 (en) 2008-06-12 2009-06-09 Slide gate
CN2009801219259A CN102056691B (zh) 2008-06-12 2009-06-09 滑动门
JP2011512391A JP5149990B2 (ja) 2008-06-12 2009-06-09 スライドゲー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916A KR100959071B1 (ko) 2008-06-12 2008-06-12 슬라이드 게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928A true KR20090128928A (ko) 2009-12-16
KR100959071B1 KR100959071B1 (ko) 2010-05-20

Family

ID=4141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916A KR100959071B1 (ko) 2008-06-12 2008-06-12 슬라이드 게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49990B2 (ko)
KR (1) KR100959071B1 (ko)
CN (1) CN102056691B (ko)
WO (1) WO200915125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414A (ko) * 2016-11-22 2018-05-30 주식회사 대주기공 슬라이드 게이트의 하부노즐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2371B2 (ja) * 2013-09-26 2017-04-26 黒崎播磨株式会社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装置
BR112015024534B1 (pt) * 2013-03-27 2020-01-14 Krosakiharima Corp dispositivo de válvula de gaveta
JP6194269B2 (ja) * 2013-03-27 2017-09-06 黒崎播磨株式会社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装置
CN104646654A (zh) * 2015-01-16 2015-05-27 长兴正发热电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中间包滑动水口控流结构
CN105665690B (zh) * 2016-03-03 2017-12-08 无锡双木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高效门式自动加压滑动水口机构
JP6510466B2 (ja) * 2016-06-15 2019-05-08 東京窯業株式会社 スライディングゲート
CN108856692A (zh) * 2016-11-15 2018-11-23 贾海亮 一种匀建压的钢包滑动水口机构
CN110722147B (zh) * 2019-10-15 2021-05-25 佟长功 一种防侧漏滑板水口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5481Y2 (ko) * 1984-09-11 1991-07-26
EP0277146B2 (de) * 1986-08-20 1993-07-14 Stopinc Aktiengesellschaft Schiebeverschluss am ausguss eines metallschmelze enthaltenden gefässes
JP3066710B2 (ja) * 1994-10-28 2000-07-17 住友重機械鋳鍛株式会社 スライドゲ−トの面圧負荷装置
ZA96980B (en) 1995-02-17 1996-10-24 Stopinc Ag Sliding gate valve for a vessel containing molten metal
MXPA01000931A (es) * 1998-07-26 2002-04-24 Stopinc Ag Valvula de compuerta deslizante para un contenedor que contiene metal fundido.
CA2444975C (en) * 2001-05-01 2007-10-23 Krosakiharima Corporation Sliding nozzle unit
JP3614817B2 (ja) * 2001-12-28 2005-01-26 品川白煉瓦株式会社 スライドバルブの面圧負荷装置
DE602004012901T2 (de) * 2004-09-07 2009-04-02 Co.Me.Ca Costruzioni Meccaniche Carpenteria S.P.A. Ausgabevorrichtung für den stahlguss u. ä.
JP4216244B2 (ja) * 2004-11-11 2009-01-28 品川白煉瓦株式会社 鋳造設備におけるスライドバルブ装置
WO2008049278A1 (fr) * 2006-10-26 2008-05-02 Yueqin Liu Porte coulissante destinée à un contenant en acier fondu
CN200988101Y (zh) * 2006-12-29 2007-12-12 鞍山热能滑动机械有限责任公司 钢水罐滑动水口开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414A (ko) * 2016-11-22 2018-05-30 주식회사 대주기공 슬라이드 게이트의 하부노즐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56691A (zh) 2011-05-11
JP2011522703A (ja) 2011-08-04
WO2009151250A3 (en) 2010-10-21
CN102056691B (zh) 2012-12-26
JP5149990B2 (ja) 2013-02-20
WO2009151250A2 (en) 2009-12-17
KR100959071B1 (ko)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071B1 (ko) 슬라이드 게이트
US4929166A (en) Support for quick mold changing
RU2484922C2 (ru) Шиберный затвор для емкости, содержащей расплавленный металл
JP4757714B2 (ja) 自動面圧負荷スライドバルブ装置
JP4216244B2 (ja) 鋳造設備におけるスライドバルブ装置
TW201420233A (zh) 在容納熔融金屬之容器的流出口上的滑動閉合件、及用以將閉合板安置於滑動閉合件中的方法
AU2013282509A1 (en) Slide valve device for automatic surface pressure application
KR101192049B1 (ko) 록킹 장치
JP3588637B2 (ja) 流量制御バルブ
US10464128B2 (en) Slide metal frame-drive unit coupling position switching mechanism for a sliding nozzle apparatus
KR100951807B1 (ko) 과압축 해제 방식의 슬라이드 게이트
US9027802B2 (en) Fireproof unit for a sliding closure at the spout of a container for metal melt
JP3232294B2 (ja) 連続鋳造用ノズル交換装置
KR100948845B1 (ko) 레인 전환 방식의 슬라이드 게이트
KR101688596B1 (ko) 반도체 제조용 챔버의 도어 장치
KR20220164436A (ko) 진공 밸브
CN111623131A (zh) 包括托架的滑动闸阀
US11766717B2 (en) Sliding gate device
JP4344217B2 (ja) スライドバルブの面圧負荷装置
WO2023145463A1 (ja)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装置
KR100797362B1 (ko) 강판의 마킹 장치
JP4632435B2 (ja) シャッタユニット
JP4558977B2 (ja) 連続鋳造用ノズル交換装置と閉鎖プレート
JP2006043718A (ja) スライドバルブ装置及びその耐火物交換方法
JP2023109065A (ja)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