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362B1 - 강판의 마킹 장치 - Google Patents

강판의 마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362B1
KR100797362B1 KR1020060100287A KR20060100287A KR100797362B1 KR 100797362 B1 KR100797362 B1 KR 100797362B1 KR 1020060100287 A KR1020060100287 A KR 1020060100287A KR 20060100287 A KR20060100287 A KR 20060100287A KR 100797362 B1 KR100797362 B1 KR 100797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ink
steel sheet
roll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0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3/00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 B41K3/32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with co-operating stamping and counter-stam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3/00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 B41K3/54Ink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소의 도금강판 제조시 편차도금량의 구분을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강판의 표면에 마킹을 실시하는 강판의 마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철소의 도금강판 제조시 편차도금량의 구분을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강판의 표면에 마킹을 실시하는 장치로서, 일정량의 잉크를 저장하며 잉크배출구를 갖는 잉크통과, 상기 잉크배출구를 개폐시키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잉크차단판과, 상기 잉크차단판이 잉크배출구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강판에 인접하였을 때 자력에 의해 상기 잉크차단판이 잉크배출구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잉크차단판에 연결 설치된 자석으로 이루어진 마킹부를 가지며 마킹 위치로 이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킹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판, 마킹, 잉크, 자석, 스프링

Description

강판의 마킹 장치{Marking roll apparatus for strip}
도1은 종래의 강판 마킹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마킹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4는 도3의 좌측면도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주요 부위인 마킹롤을 나타낸 정면 및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 : 마킹부 12 : 지지롤
14 : 대차 15 : 힌지
16 : 아암 17 : 스프링
20 : 마킹롤 22 : 링
24 : 흡착포 30 : 가이드레일
32 : 가이드휠 34 : 조정롤
36 : 와이어 37 : 풀리
38 : 무게추 40 : 실린더
50 : 마킹부 51 : 하우징
52 : 잉크통 52a : 잉크주입구
52b : 잉크배출구 54 : 잉크차단판
55 : 스프링 56 : 자석
57 : 연결대 58 : 스프링 지지판
59 : 자석 지지캡 60 : 잉크비산방지포
본 발명은 강판의 마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잉크가 퍼짐, 비산 및 끊김이 없이 강판의 표면에 마킹될 수 있도록 한 강판의 마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도금강판 제조공정에서는 도금이 완료된 슬라브의 압연 및 소둔에 의해 도금 원판이 제조되며, 이렇게 제조된 도금 원판에 수요가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도금을 행함으로써 완제품인 도금강판이 생산된다.
이와 같이 수요가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도금 원판에 도금을 행하는 경우, 어느 일측 표면에만 도금이 이루어지거나, 양측 표면에 모두 도금이 이루어지며, 또한 양측 표면의 도금량이 동일하도록 도금이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양의 도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다양한 형태로 도금이 행하여지는 경우, 도금 원판(이하 강판이라 한 다)의 적정 부위(대개 에지 부위)에 특정 색상(대개 흰색)의 마킹을 함으로써 후행 공정의 작업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마킹은 대체적으로 마킹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종래의 마킹 장치를 설명한다.
마킹 장치는 강판(S)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대차(1)와, 상기 대차(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마킹롤(2), 강판 지지롤(5) 및 잉크 전사롤(3)을 포함함으로써 강판 지지롤(5)과 마킹롤(2) 사이로 진행하는 강판(S)의 표면에 잉크가 전사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잉크 전사롤(3)의 하부에는 일정 양의 잉크를 저장하여 상기 잉크 전사롤(3)의 표면에 잉크를 도포하기 위한 잉크통(4)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잉크통(4)의 잉크가 잉크 전사롤(3)의 표면에 전사되고, 이렇게 전사된 잉크가 마킹롤(2)을 통해 강판(S)의 표면에 마킹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강판 지지롤(5)은 강판(S)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마킹롤(2)과 강판(S)의 접촉 상태를 마킹 작업에 적합하도록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마킹 장치는 대차(1)를 마킹에 적합한 부위로 이동시킨 후, 잉크통(4)의 잉크가 일정하게 전사롤(3)에 전사되도록 작업자가 직접 잉크량을 조절하여야 하는데, 작업자가 강판(S)의 이동 경로에 근접한 상태에서 이러한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안전사고 위험이 매우 큰 문제점과, 숙련된 작업자가 아닌 경우 잉크량의 조절이 쉽지 않아 강판(S)에 마킹된 잉크가 퍼지 거나 비산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마킹 품질이 좋지 않은 것이었다.
게다가, 강판(S)의 속도에 따라 잉크량이 조절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조절 작업이 쉽지 않아, 강판(S)이 저속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과다한 잉크가 강판(S)의 표면에 묻고, 강판(S)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잉크가 부족하여 마킹 끊김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후행 공정에서 도금에 관련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판의 표면에 마킹되는 잉크의 퍼짐, 비산 및 끊김을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을 마킹을 구현할 수 있는 강판의 마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제철소의 도금강판 제조시 편차도금량의 구분을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강판의 표면에 마킹을 실시하는 장치로서, 일정량의 잉크를 저장하며 잉크배출구를 갖는 잉크통과, 상기 잉크배출구를 개폐시키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잉크차단판과, 상기 잉크차단판이 잉크배출구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강판에 인접하였을 때 자력에 의해 상기 잉크차단판이 잉크배출구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잉크차단판에 연결 설치된 자석으로 이루어진 마킹부를 가지며 마 킹 위치로 이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킹롤을 포함하여 구성된 강판의 마킹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킹롤은 외경을 감싸도록 설치된 흡착포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강판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대차가 구비되며, 상기 마킹롤은 상기 대차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실린더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된 아암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아암은 스프링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차에는 상기 강판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공회전하는 조정롤이 설치되며, 상기 대차는 무게추의 자중에 의해 강판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킹부는 상기 마킹롤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일정 각도 떨어져 배치된 여러 개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킹롤은 강판의 상, 하부 표면에 각각 마킹을 행하도록 설치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마킹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며, 도4는 도3의 평면도이다.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강판(S)의 적정 위치, 즉 가장자리 부위에 마킹을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강판(S)의 상, 하부에 위치되어 각각 강판(S)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에 마킹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상부 마킹부(10)와 하부 마킹부(10')를 갖는다.
상기 상부 마킹부(10)는 강판(S)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강판(S)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롤(12)을 가지며, 상기 지지롤(12)은 양측 단부가 설비프레임(F)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됨으로써 강판(S)의 하부 표면에 접촉되어 공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마킹부(10)는 강판(S)의 상부에 위치되어 강판(S)의 상부 표면에 마킹을 수행하기 위한 마킹롤(20)을 가지며, 이 마킹롤(20)은 상기 지지롤(12)의 직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마킹롤(20)은 아암(16)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아암(16)의 타측 단부는 강판(S)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대차(14)에 힌지(15)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러한 마킹롤(20)의 회전 방향은 아암(16)이 힌지(15)를 중심으로 회전하였을 때 강판(S)의 표면에 접촉하거나 강판(S)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마킹롤(20)은 스프링(17)에 의해 적정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상기 대차(14)는 상기 설비프레임(F)에 강판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예컨대, 상기 설비프레임(F)에는 강판(S)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레일(30)이 설치되며, 상기 대차(14)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0)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가이드휠(32)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대차(14)에는 상기 강판(S)의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공회전하도록 설치된 조정롤(34)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조정롤(34)은 강판(S)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 떨어진 2개소 이상에 배치됨으로써 대차(14)가 강판(S)의 중심 쪽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한다. 즉, 대차(14)가 강판(S)의 중심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조정롤(34)이 강판(S)의 가장자리에 의해 접촉하면 더 이상 대차(14)가 강판(S)의 중심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대차(14)에는 와이어(36)를 매개로 무게추(38)가 장착되는데, 이 무게추(38)는 상기 대차(14)가 강판(S)의 중심 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와이어(36)에 장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와이어(36)의 방향이 풀리(37)를 통해 적정하게 변화됨으로써 무게추(38)의 자중이 상기 와이어(36)에 가해져 대차(14)가 강판의 중심 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킹롤(20)의 회전은 실린더(40)의 구동에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40)는 유압 또는 공압 등의 작동유체를 제공받아 상기 마킹롤(20)을 회전 구동시킨다.
상기 마킹롤(20)의 상세한 구성이 도5 및 도6에 도시된다.
상기 마킹롤(20)은 방사상으로 향하도록 형성되고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떨어져 배치된 여러 개의 마킹부(50)를 갖는다.
상기 마킹부(50)는 중공의 하우징(51)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51)의 내부에는 회전 중심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잉크통(52)이 내장된다.
상기 잉크통(52)은 일정량의 잉크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잉크를 충진하기 위한 잉크주입구(52a)와 잉크를 배출시키기 위한 잉크배출구(52b)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잉크주입구(52a)는 미도시된 캡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잉크를 주입할 때에는 캡을 개방시키고 잉크를 주입한 후에는 캡으로 잉크주입구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잉크배출구(52b)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먼 방향에 위치되며, 이러한 잉크배출구(52b)는 잉크차단판(54)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잉크차단판(54)은 상기 하우징(5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잉크통(52) 쪽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잉크배출구(52b)를 차단시키고 잉크통(5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잉크배출구(52b)를 개방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잉크차단판(54)에는 잉크가 통과하기 위한 잉크홈(54a)과, 상기 잉크배출구(52b)에 밀착되도록 돌출 형성된 잉크차단블록(54b)이 구비된다.
상기 잉크차단판(54)은 스프링(55)과 자석(56)의 작용에 의해 이동되는 구성 을 갖는바, 상기 스프링(55)은 잉크차단판(54)이 잉크통(52) 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자석(56)은 상기 잉크차단판(54)에 고정 설치되어 그 자석(56)이 강판(S)에 인접하였을 때 강판(S)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잉크차단판(54)을 잉크통(52)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즉, 마킹부(50)의 자석(56)과 강판(S)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가까우면 자석(56)과 강판(S)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의 힘이 스프링(55)에 의한 탄성 반발력에 비하여 크게 형성됨으로써 자석(56)과 잉크차단판(54)이 잉크통(5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강판(S) 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하여 잉크통(52)의 잉크배출구(52b)가 개방된다. 반대로, 마킹부(50)의 자석(56)과 강판(S)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먼 경우 자석(56)과 강판(S)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의 힘이 스프링(55)에 의한 탄성 반발력에 비하여 작게 형성됨으로써 잉크차단판(54)이 잉크통(52)에 밀착된 상태, 즉 잉크통(52)의 잉크배출구(52b)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하우징(51)의 단부에는 자석 지지캡(59)이 고정 설치되며, 이러한 자석 지지캡(59)은 하우징(5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뾰족한 모양을 갖는다. 물론, 상기 자석 지지캡(59)의 끝단은 개방되어 강판(S) 마킹용 잉크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석(56)은 상기 자석 지지캡(59)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자석(56)과 잉크차단판(54)은 연결대(57)를 매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56)과 잉크차단판(54) 사이에는 스프링지지판(58)이 위치되어 고정되며, 잉크와 상기 연결대(57)는 스프링 지지판(58)을 통과한다.
또한, 상기 자석 지지캡(59)의 내부에는 잉크비산방지포(60)가 내장되며, 이 잉크비산방지포(60)는 일정량의 잉크를 머금도록 형성되어 잉크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자석 지지캡(59)의 끝단을 연결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마킹롤(2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반경을 이루는 환형 모양의 링(2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링(22)의 외경 부위를 감싸도록 흡착포(24)를 설치하며, 이러한 흡착포(24)는 강판에 마킹된 잉크가 퍼지지 않게 한다.
상기 하부 마킹부(10')는 강판(S)의 대칭으로 하여 상기 상부 마킹부(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강판(S)의 어느 일측 표면에만 마킹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양측 표면의 모두에 마킹을 수행할 것인지에 따라 상, 하부 마킹부(10)(10')를 가동시킨다.
이러한 상, 하부 마킹부(10)(1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에 의해 강판의 표면에 마킹을 수행하므로 이하에서는 상부 마킹부(10)의 작동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먼저, 대차(14)를 마킹에 적합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대차(14)의 이동 방법은 다양하며, 예컨대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무게추(38)를 이용하여 와이어(36)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면, 상기 상부 마킹부(10) 의 조정롤(34)이 강판(S)의 가장자리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 실린더(40)를 구동시킴에 의해 마킹롤(20)을 강판(S)의 표면에 밀착시켜 강판(S)의 마킹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마킹롤(20)의 마킹부(50) 선단, 즉 자석(56)이 내장된 부위가 강판(S)에 근접한 상태일 때, 자석(56)이 자력에 의해 강판(S) 쪽으로 이동하며, 동시에 자석(56)에 연결된 잉크차단판(54)이 잉크통(52)의 잉크배출구(52b)를 개방시키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잉크배출구(52b)에서 배출된 잉크가 강판(S)의 표면에 마킹되는 것이다.
이렇게 마킹이 수행될 때, 잉크비산방지포(60)에는 일정량의 잉크가 함침되고, 이는 잉크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흡착포(24)는 강판(S)에 마킹된 잉크의 퍼짐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마킹롤(20)의 마킹부(50) 선단이 강판(S)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일 때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자석(56)이 스프링(55)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이와 동시에 잉크차단판(54)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잉크통(52)의 잉크배출구(52b)를 폐쇄시킴으로써 잉크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마킹 장치에 의하면, 마킹이 필요할 때에만 잉크가 배출되게 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잉크의 배출을 차단함으로써 적정한 양의 잉크에 의한 마킹이 가능하다.
특히, 적정용량의 잉크를 머금을 수 있는 잉크비산방지포와 흡착포에 의해 잉크가 비산되거나 퍼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최적의 마킹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7)

  1. 제철소의 도금강판 제조시 편차도금량의 구분을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강판의 표면에 마킹을 실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량의 잉크를 저장하며 잉크배출구(52b)를 갖는 잉크통(22)과, 상기 잉크배출구(52b)를 개폐시키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잉크차단판(54)과, 상기 잉크차단판(54)이 잉크배출구(52b)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5)과, 강판(S)에 인접하였을 때 자력에 의해 상기 잉크차단판(54)이 잉크배출구(52b)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잉크차단판(54)에 연결 설치된 자석(56)으로 이루어진 마킹부(50)를 구비하며,
    마킹 위치로 이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킹롤(20)을 포함하되,
    상기 마킹롤(20)은 외경을 감싸도록 설치된 흡착포(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마킹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S)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대차(14)가 구비되며, 상기 마킹롤(20)은 상기 대차(14)에 힌지(15)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실린더(40)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된 아암(16)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마킹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16)은 스프링(17)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마킹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14)에는 상기 강판(S)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공회전하는 조정롤(34)이 설치되며, 상기 대차(14)는 무게추(38)의 자중에 의해 강판(S)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마킹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50)는 상기 마킹롤(20)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일정 각도 떨어져 배치된 여러 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마킹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롤(20)은 강판의 상, 하부 표면에 각각 마킹을 행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마킹 장치.
KR1020060100287A 2006-10-16 2006-10-16 강판의 마킹 장치 KR100797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287A KR100797362B1 (ko) 2006-10-16 2006-10-16 강판의 마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287A KR100797362B1 (ko) 2006-10-16 2006-10-16 강판의 마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362B1 true KR100797362B1 (ko) 2008-01-22

Family

ID=3921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287A KR100797362B1 (ko) 2006-10-16 2006-10-16 강판의 마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36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2887A (ja) 1983-05-06 1984-11-16 Tokyo Kikai Seisakusho:Kk 色マ−ク印刷装置
JPH02112905A (ja) * 1988-10-21 1990-04-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押出成形セメント板のビス打マークの形成法
KR19990028358A (ko) * 1996-04-25 1999-04-15 쯔네토우 아키라 수정액 펜
KR19990016839U (ko) * 1997-10-30 1999-05-25 이구택 양면마킹이 가능한 자동마킹장치
KR200375014Y1 (ko) 2004-11-22 2005-02-04 주식회사 다임코 잔류가스 제거용 밸브
KR20060016530A (ko) * 2004-08-18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필터 형성 방법 및 컬러필터 형성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2887A (ja) 1983-05-06 1984-11-16 Tokyo Kikai Seisakusho:Kk 色マ−ク印刷装置
JPH02112905A (ja) * 1988-10-21 1990-04-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押出成形セメント板のビス打マークの形成法
KR19990028358A (ko) * 1996-04-25 1999-04-15 쯔네토우 아키라 수정액 펜
KR19990016839U (ko) * 1997-10-30 1999-05-25 이구택 양면마킹이 가능한 자동마킹장치
KR20060016530A (ko) * 2004-08-18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필터 형성 방법 및 컬러필터 형성 장치
KR200375014Y1 (ko) 2004-11-22 2005-02-04 주식회사 다임코 잔류가스 제거용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071B1 (ko) 슬라이드 게이트
CA2202011A1 (en) Wire feeding apparatus
JPS60198B2 (ja) 磁気保持装置を有するシ−ト材加工装置
JP4167976B2 (ja) 平坦度測定ローラーを有する薄ストリップ巻上げ機
CN101890436B (zh) 带钢夹送辊出口活门装置及其控制方法
KR100797362B1 (ko) 강판의 마킹 장치
US3800648A (en) Apparatus for interchanging sheet-metal slitting equipments
EP1225992B1 (de) Bandgiessmaschine zur erzeugung eines metallbandes
JP2708720B2 (ja) 印刷機の印刷胴に対する防護装置用の懸架支承装置
CN107649523A (zh) 带钢检查站及其使用方法
JP2002240993A (ja) タッチローラ装置
KR20040040883A (ko) 압연설비의 후판 안내용 높이 가변형 브리지 장치
KR100948845B1 (ko) 레인 전환 방식의 슬라이드 게이트
KR100940711B1 (ko) 하이드로포밍용 노즐헤드 교체장치
KR200215169Y1 (ko) 교체가 용이한 코일 권취기의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20200139952A (ko) 곡면판 성형장치
KR20040021821A (ko) 더미바 분리장치
KR101012831B1 (ko) 통판체인 하향 분배 유도장치
ITMI950888A1 (it) Dispositivo di svolgimento per svolgere un filo metallico sotto forma di un rotolo di filo metallico da un'asta a corona una spina
KR100973903B1 (ko) 선재 가이드장치
KR100733368B1 (ko) 고온 소둔로의 실링장치
JP3855424B2 (ja) ピンチロール装置
KR200285936Y1 (ko)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
US6651337B2 (en) Process for exchanging an intermediate roll in a calender
KR20100024839A (ko) 버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