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936Y1 -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936Y1
KR200285936Y1 KR2019980022410U KR19980022410U KR200285936Y1 KR 200285936 Y1 KR200285936 Y1 KR 200285936Y1 KR 2019980022410 U KR2019980022410 U KR 2019980022410U KR 19980022410 U KR19980022410 U KR 19980022410U KR 200285936 Y1 KR200285936 Y1 KR 200285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table body
shear
automatic adjustment
continuous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213U (ko
Inventor
이재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80022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93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2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2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936Y1/ko

Links

Landscapes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도, 중도 및 하도를 갖추어 필요시마다 강판을 절단하여 강판 연속권취가 가능하도록 한 전단기의 강판 진입측에 갖추어져 변화된 강판경로에 따라 레벨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된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는 테이블 몸체(10)의 전단기측 단부에 폭방향으로 링크핀(20)을 형성하고, 상기 링크핀(20)은 하도(13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공형으로 형성된 연결구(30)에 끼워지며, 상기 테이블 몸체(10)의 타측 단부에 폭방향으로 고정된 축(40)의 양단 베어링블록(42)은 강판(S)의 진행경로에 대하여 하향경사를 형성하는 안내레일(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테이블 몸체(10)의 하부측 설비 지지대(60)에는 테이블 몸체(10)의 회전하강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퍼(70)가 장착되며, 상기 테이블 몸체(10)의 전단기측 단부는 설비지지대(60)에 설치된 탄성스프링(80)에 의해 하부측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
본 고안은 상도, 중도 및 하도를 갖추어 필요시마다 강판을 절단하여 강판 연속권취가 가능하도록 한 전단기의 강판 진입측에 갖추어져 변화된 강판경로에 따라 레벨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된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을 연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제철설비중에는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강판을 풀고 감을 수 있는 페이오프릴(Pay Off Reel)과 텐션릴(Tension Reel)이 복수개씩 갖추어지고, 페이오프릴 후방측에는 강판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용접기가 설치되며, 텐션릴 전방측에는 강판을 절단하기 위한 전단기(Snip Shear)가 설치된다. 상기 전단기는 하나의 텐션릴에서 강판권취가 완료되면 강판을 다른 텐션릴로 권취전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트립 전단설비이다.
이러한 전단기는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위치가 고정된 중도(110)와, 공압실린더(122)(132)에 의해 대략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도(120) 및 하도(130)로 이루어지며, 방향전환롤(140)을 통과한 강판(S)이 테이블(150) 상부를 따라 제1텐션릴(161) 또는 제2텐션릴(162)측으로 안내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도(120)와 하도(130)는 하나의 프레임에 의해 일체로 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1a와 같이 제1텐션릴(161)에 의해 강판(S)이 권취되는 경우에는 공압실린더(122)의 전진동작에 의해 상도(120)가 하강하고 공압실린더(132)의 후진동작에 의해 하도(130)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테이블(150)도 회전하강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강판(S)이 제1텐션릴(161)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텐션릴(161)에서의 권취작업이 완료될 시점에 전단기 전방측에 갖추어진 루퍼설비를 작동시킴에 의해 전단기 장착부분을 통과하는 강판(S)의 이동속도를 전단기 작동범위까지 떨어뜨린후, 도1b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압실린더(122)를 후진동작시켜 상도(120)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공압실린더(132)를 전진동작시켜 하도(130)를 상승시키며, 이에 의해 제1텐션릴(161)측으로 이동하고 있던 강판(S)이 전단되면서 제2텐션릴(162)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테이블(150)도 하도(130)가 상승할 때 함께 회전상승하여 강판(S)의 경로변경을 도와주게 되며, 이러한 강판경로변경후에는 전단기 장착부분을 통과하는 강판(S)의 이동속도를 정상상태로 증가시킨다. 따라서, 강판(S)의 연속생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강판 연속권취를 위한 전단설비에서는 강판을 전단하고 경로를 변화시키는 작업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중요(특히, 극박강판생산시에는 더욱 중요하다)하며, 이것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전단된 강판(S)의 선단부가 전단기를 이루는 구성요소들, 또는 전단기 후방측에 갖추어진 핀치롤(미도시)을 통과하지 못하고 굽혀져 설비가동중지 및 설비파손을 초래하게 된다.
종래의 전단기는 강판(S) 경로변경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는바, 이는 방향전환롤(140)과 전단기 사이에 갖추어져 강판(S)을 안내하는 테이블(150) 구성에 기인한다.
즉, 강판(S)이 상부면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평판형으로 갖추어지는 상기 테이블(150)은 일단부가 방향전환롤(140) 근접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도(130)에 힌지결합됨으로서 하도(130)의 상하이동에 의해 회전상승하거나 회전하강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테이블(150)이 방향전환롤(140)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상승 및 회전하강작용을 할뿐 강판(S)의 경로변경에 따른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도1a 및 도1b에서 알 수 있는데, 제1텐션릴(161)에 의한 강판권취를 기준으로 하여 테이블(150)이 설치된 경우로서, 제1텐션릴(161)에 의한 강판권취시에는 강판(S)과 테이블(150)이 대략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강판(S)을 안내(도1a 참조)하고 있는데 반하여, 제2텐션릴(162)에 의한 강판권취시에는 강판(S)과 테이블(150)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 못함(도1b 참조)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150)의 방향전환롤(140)측 단부는 회전가능하도록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하도(130)도 단지 상하승강하므로 테이블(150)의 양단부 지지부의 거리가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그에대한 보상구조를 갖추지 않아 테이블(150) 자체 또는 연결부품의 변형을 초래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테이블 구조는 전단된 후에 강판의 선단부를 텐션릴측으로 안내하는 작용이 매우 불안정하게 하여 구성요소들과 충돌하는등의 설비사고를 유발하고 따라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판 전단기 전방측에 갖추어져 회전상승 및 회전하강함에 의해 강판의 경로변경에 대응하는 테이블의 레벨을 자동보상함에 의해 보다 안정적인 강판의 안내가 가능하도록 한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를 갖춘 강판 전단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3은 도2의 요부 상세도;
도4는 도3과 같이 진행하고 있던 강판의 경로가 변화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테이블 몸체
20 ... 링크핀
30 ... 연결구
40 ... 축
42 ... 베어링블록
50 ... 안내레일
60 ... 설비지지대
70 ... 스토퍼
80 ... 탄성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위치가 고정된 중도와, 공압실린더에 의해 대략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도 및 하도로 이루어진 전단기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전단기측 단부가 상기 하도에 연결되고 타단이 강판 경로의 하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회전상승 및 회전하강함에 의해 강판을 안내하는 테이블 장치에 있어서,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는 테이블 몸체의 전단기측 단부에 폭방향으로 링크핀을 형성하고, 상기 링크핀은 하도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공형으로 형성된 연결구에 끼워지며, 상기 테이블 몸체의 타측 단부에 폭방향으로 고정된 축의 양단 베어링블록은 강판의 진행경로에 대하여 하향경사를 형성하는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테이블 몸체의 하부측 설비 지지대에는 테이블 몸체의 회전하강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장착되며, 상기 테이블 몸체의 전단기측 단부는 설비지지대에 설치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하부측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를 갖춘 강판 전단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3은 도2의 요부 상세도로서, 루퍼설비를 통과한 강판(S)이 방향전환롤(181), 텐션조정롤(182), 핀치롤(183) 및 방향전환롤(140)을 통해 전방측 테이블(1)을 거쳐 전단기로 들어오고, 또한 후방측 테이블(2)을 거쳐 핀치롤(184)(185) 및 벨트콘베이어(186)를 통해 제1텐션릴(161) 또는 제2텐션릴(162)에 의해 권취된다.
상기 전단기는 위치가 고정된 중도(110)와, 공압실린더(122)(132)에 의해 대략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도(120) 및 하도(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도(120)와 하도(130)는 하나의 프레임(19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90)은 대략의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안내대(192)를 따라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후방측 테이블(2)은 강판(S)이 제1텐션릴(161)측으로 진행하거나 제2텐션릴(162)측으로 진행하는 각각의 경우에 부합하는 강판(S)의 경로와 평행하도록 갖추어져 고정됨으로서 강판(S)을 텐션릴(161)(162)으로 안내하는 반면, 전방측 테이블(1)은 강판의 경로가 변화할 때마다 회전상승 또는 회전하강하여 강판을 안내한다.
상기 전방측 테이블(1)은 대략의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는 테이블 몸체(10)를 가지며, 상기 테이블 몸체(10)의 상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공회전롤(12)을 설치하여 강판(S) 진행시 마찰에 의한 테이블 몸체(10)의 마모방지 및 강판(S)의 보다 원할한 진행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블 몸체(10)는 도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전단기측 단부에 폭방향으로 링크핀(20)을 형성하고, 상기 링크핀(20)은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거나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테이블 몸체(10)의 양단부에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각각 갖추어질 수 있다. 상기 링크핀(20)은 하도(13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공형으로 형성된 연결구(30)에 끼워지며, 따라서 상기 테이블 몸체(10)의 전단기측 단부는 연결구(3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가능하다.
상기 테이블 몸체(10)의 타측 단부에는 축(40)이 폭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축(40)의 양단에는 베어링블록(42)이 설치됨으로서 상기 테이블 몸체(10)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베어링블록(42)은 강판(S)의 진행경로에 대하여 적정한 하향경사를 형성하는 안내레일(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안내레일(50)은 설비지지대(6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설비지지대(6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62)에 고정보울트(52)를 매개로 분해결합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 좋다. 물론, 이는 상기 안내레일(50)의 경사정도와 상하위치를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이고,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개의 링크구조로 형성하여 안내레일(50)의 경사정도와 상하위치조절이 보다 정확하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외에도 여러형태로 변경가능하다.
상기 테이블 몸체(10)의 하부측 설비 지지대(60)에는 테이블 몸체(10)의 회전하강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퍼(70)가 장착되는데, 이 스토퍼(70)는 상하방향으로 된 수나사부재(72)를 하부면에 일체로 고정하며, 상기 수나사부재(72)는 설비지지대(60)에 복수개의 너트부재(74)를 매개로 분해결합될 수 있도록 장착됨으로서 상기 너트부재(74)를 풀어 스토퍼(70)의 상하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스토퍼(70)의 상부면은 강판(S)이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측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강판(S)의 하부면에 접촉되므로 평활하게 형성되어짐과 동시에 강판(S)과 평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 몸체(10)의 전단기측 단부는 설비지지대(60)에 설치된 탄성스프링(80)에 의해 하부측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하는바, 이는 테이블 몸체(10)가 회전상승 또는 회전하강하는 경우 그 위치가 설정된 장소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줌은 물론 테이블 몸체(10)가 회전상승하는 관성력에 의해 설정위치보다 더 상부로 이동하여 강판(S)의 선단부에 충격을 가하여 상도(120)와 충돌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도 가진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는, 강판(S) 연속생산설비를 구동하기 전에 테이블 몸체(10)가 도3 및 도4와 같이 회전하강 및 회전상승하여 있을 때 강판(S)의 진행경로와 대략 평행한 상태에서 강판(S)을 안내할 수 있도록 위치가 설정되는바, 이는 고정보울트(52)를 풀어 안내레일(50)의 경사도 및 상하위치를 조절함으로서 테이블 몸체(10)의 베어링 블록(42) 장착단부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설정하고, 수나사부재(72)를 풀어 스토퍼(70)의 상하위치를 조절함으로서 테이블 몸체(10)가 회전하강한 상태에 있을 때 스토퍼(70)에 의해 테이블 몸체(10)의 회전하강정도를 설정하는 것이다.
먼저, 테이블 몸체(10)가 회전하강한 상태, 즉 강판(S)이 제1텐션릴(161)에 감지는 상태를 도3에 의해 설명하면, 하도(130) 및 상도(120)가 하강한 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상기 하도(130)에 연결된 테이블 몸체(10)도 회전하강하여 강판(S)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그 강판(S)의 하부면을 안내하게 된다.
물론, 이때의 테이블 몸체(10)의 회전하강정도는 스토퍼(70)에 의해 설정되고, 아마도 링크핀(20)은 연결구(30)의 하부측 또는 중앙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 강판(S)의 경로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도(120) 및 하도(130)를 상승시키면 테이블 몸체(10)도 회전상승하게 되는바, 이때에는 링크핀(20)이 연결구(30)의 가장 하부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상승하게 되고, 또한 타측단부의 베어링블록(42)도 안내레일(50)을 따라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강판(S)이 하도(130)와 중도(110)에 의하여 전단되어지면서 상기 강판(S)의 경로는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텐션릴(162)측으로 변화되어지게 되며, 이때 테이블 몸체(10)의 회전상승이 멈추어지더라도 상기 테이블 몸체(10)는 탄성스프링(80)에 의해 하부측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으므로 관성력에 의해 설정된 위치보다 더 회전상승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테이블 몸체(10)가 강판(S)에 충격을 가하여 그 강판(S)이 상부측으로 튀어오르면서 상도(120)와 충돌하는 것을 예방한다.
물론, 상기와 같은 테이블 몸체(10)의 회전상승 및 회전하강은 강판 연속생산이 이루어지는 동안 계속되어지며, 만약 강판(S)의 두께등 설비가동조건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테이블 몸체(10)의 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에 의하면, 전단기 전방측에 갖추어져 회전상승 및 회전하강함에 의해 강판을 제1텐션릴 또는 제2텐션릴측으로 안내하도록 된 테이블의 양단부측 레벨이 링크핀과 연결구의 결합구조 및, 베어링블록과 안내레일의 구조에 의하여 자동으로 보상됨으로서 변화된 강판의 경로와 항상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강판의 보다 원할한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위치가 고정된 중도(110)와, 공압실린더(122)(132)에 의해 대략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도(120) 및 하도(130)로 이루어진 전단기(Snip Shear)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전단기측 단부가 상기 하도(130)에 연결되고 타단이 강판(S) 경로의 하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회전상승 및 회전하강함에 의해 강판을 안내하는 테이블 장치에 있어서,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는 테이블 몸체(10)의 전단기측 단부에 폭방향으로 링크핀(20)을 형성하고, 상기 링크핀(20)은 하도(13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공형으로 형성된 연결구(30)에 끼워지며, 상기 테이블 몸체(10)의 타측 단부에 폭방향으로 고정된 축(40)의 양단 베어링블록(42)은 강판(S)의 진행경로에 대하여 하향경사를 형성하는 안내레일(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테이블 몸체(10)의 하부측 설비 지지대(60)에는 테이블 몸체(10)의 회전하강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퍼(70)가 장착되며, 상기 테이블 몸체(10)의 전단기측 단부는 설비지지대(60)에 설치된 탄성스프링(80)에 의해 하부측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50)은 설비지지대(6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62)에 고정보울트(52)를 매개로 분해결합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위치조절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70)에는 상하방향으로 된 수나사부재(72)를 일체로 고정하며, 상기 수나사부재(72)는 설비지지대(60)에 너트부재(74)를 매개로 분해결합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위치조절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
KR2019980022410U 1998-11-17 1998-11-17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 KR2002859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410U KR200285936Y1 (ko) 1998-11-17 1998-11-17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410U KR200285936Y1 (ko) 1998-11-17 1998-11-17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213U KR20000010213U (ko) 2000-06-15
KR200285936Y1 true KR200285936Y1 (ko) 2002-11-18

Family

ID=6971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410U KR200285936Y1 (ko) 1998-11-17 1998-11-17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9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632B1 (ko) * 2002-09-13 2008-07-28 주식회사 포스코 전단능이 향상된 전단기 장치
CN109626067B (zh) * 2018-12-06 2024-03-29 江苏神鹤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全自动多工位收卷机的自动裁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213U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8677A (en) Rolling installation for and rolling method of continuous cast strip
US5577685A (en) Apparatus for winding a continuously incoming paper web
US3613557A (en) Adjustable platen track
SU1346040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правлени бумажного полотна в высокоскоростную бумагорезальную машину
US3831512A (en) Strap feed track with fluid-actuated strap end positioning means
KR200285936Y1 (ko) 강판 연속권취용 전단기의 테이블 레벨 자동조정장치
CN211366404U (zh) 一种tpu薄膜流延机用的收卷装置
EP0312043B1 (de) Vorrichtung zum Ausbreiten und Führen einer Warenbahn
CA2197284C (en) Reeling unit for strip
UA80956C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INUOUS OF producing a rolled metal strip from a molten metal
US7374072B2 (en) Slide adjustable assembly for monitoring widthwise travel of an uncoiling steel band through a feeder system associated with a progressive die
FI90504B (fi) Nauhanohjain kelauslaitteita varten
JPS61255714A (ja) 圧延装置
US5535933A (en) Glass cutting machine
CA2367178A1 (en) Process and device for continuous reeling of pulp sheet
DE10310399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Walzen von Metallbändern
US4646402A (en) Stretching machine
JP4511765B2 (ja) オフセット量可変式ピンチロール装置
KR20040040883A (ko) 압연설비의 후판 안내용 높이 가변형 브리지 장치
KR20020048156A (ko) 강판 스트립의 센터링 유도장치
JP2998810B2 (ja) 薄鋼板の通板搬送装置
JP3785124B2 (ja) オフセット可変式ピンチロール装置
CN220375876U (zh) 一种收卷机构及其卷膜机
JPS6122655B2 (ko)
US3707252A (en) Automatic tensioning device for multiple line st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