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7986A -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7986A
KR20090127986A KR1020080053949A KR20080053949A KR20090127986A KR 20090127986 A KR20090127986 A KR 20090127986A KR 1020080053949 A KR1020080053949 A KR 1020080053949A KR 20080053949 A KR20080053949 A KR 20080053949A KR 20090127986 A KR20090127986 A KR 20090127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content
hospital
mobile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878B1 (ko
Inventor
유상조
김봉석
Original Assignee
유상조
김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조, 김봉석 filed Critical 유상조
Priority to KR102008005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878B1/ko
Publication of KR20090127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은 진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접속된 목적에 따라 환자 또는 의사 회원으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회원정보등록 및 로그인 단계, 의사 회원의 경우 원격 진료 단말기는 제공하고자 하는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 콘텐츠 리스트를 등록하는 단계와 환자 회원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리스트된 진료 콘텐츠를 검색하여 검색된 특정 진료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 병원 웹 사이트의 환자 리스트 또는 의사 진료 리스트로 업로드하는 진료 접수 및 게재 단계,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는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진료접수 정보가 수신되면 연계된 인증/결제 시스템을 통하여 콘텐츠 다운로드 및 진료비를 모바일 단말기로 결재하는 진료비 결재 단계,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진료비 결재 정보가 수신되면 고객의 회원등록 정보에 기재된 인증되어진 휴대폰 번호로 미리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콘텐츠 다운로드 문자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기는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서 전달된 콘텐츠 다운로드 문자메시지를 통해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에 연결하여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 모바일 단말기는 특정 진료 콘텐츠에 따른 테스트를 실행한 후 그 테스트 결과를 무선 인터넷 상에서 TCP/IP 프로토콜 기반의 패킷을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는 수신된 테스트 결과를 분석 및 진료 결과로 저장하고 진료 결과를 진료차트 형태로 변환하여 병원 웹 사이트에 업로드 하는 진료차트 생성 및 게재 단계, 그리고 원격 진료 단말기는 병원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진료차트 생성 및 게재 단계에 의해 등록 게재된 진료 결과에 대한 결과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피드백 단계를 포함한다.
모바일, 콘텐츠, 원격 진료, 문자, 이동통신 사업자업자, 트레이닝

Description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OF REMOTE MEDICAL TREATMENT SERVICE USING MOBILE CONTENTS}
본 발명은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C나 노트북 등의 인터넷 단말기 또는 핸드폰, PDA 등의 모바일 단말기 등을 통해 병원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진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은 후 그 테스트 결과를 병원 서버에 전송하여 담당 의사로부터 진료 결과를 전송받는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의료장비들은 부피가 큰 제품들이 대부분이었고, 보통 가정이나 병원 및 의료시설 등 제한적인 장소에서만 주로 이용되었다. 그로 인하여 진료시간 동안은 환자와 의료진 모두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감수하여야만 했다.
원격진료(Telemedicine) 서비스는 환자와 의료인간의 모든 상호 작용 가운데서 얼굴을 대면하지 않고 전화나 인터넷, 무선 통신 수단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원격진료 서비스의 범위는 유무선상으로 이루어지는 진료 예약으로부터 3차 진료 기관의 전문의에 의하여 2차 진료 기관인 중소 병원이나 시골 병원뿐만 아니라 응급 상황시 엠블런스에서 컨설팅을 통해 신속한 처치를 가능하게 하는 등 광범위하다.
이러한 원격진료 서비스는 최근 발전되고 있는 무선 통신망에 맞추어 휴대가 가능하고 이동 중에 다양한 환자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및 생체 신호)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많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원격진료란 모바일의 이동성과 병원진료를 결합한 IT 컨버젼스의 대표적인 사례 중의 하나이다. 휴대폰이 의료분야에 활용되는 유형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나 화상통화 기능을 활용하거나 무선 인터넷을 이용해서 원격으로 의료상담이나 진료를 하는 유형이다. 환자가 자택에서 PC와 원격진료센터 내의 화상진료시스템을 ISDN 등으로 연결하고 환자와 전문의사 서로의 화상을 보면서 환자의 건강상태를 문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만성질환으로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이 직접 병원에 오지 않고도 휴대폰을 통해 현재 상태에 대해 의료진과 의견을 나눌 수 있다.
둘째, 휴대폰에 센서를 부착하여 우리 몸의 정보를 측정하는 유형이다. 대표적으로 혈당 관리가 이에 해당한다. 휴대폰에 외장형 혈당측정기를 연결한 후 채혈침으로 얻은 약간의 혈액은 일회용 스트립에 묻히는 방식이다. 혈액을 일회용 스트립에 묻히면 휴대폰 화면에 바로 혈당치가 나타나고, 이 정보는 주치의에게 전송된다.
셋째, 휴대폰이 건강정보 관리의 허브 유형이다. 의료기기로 도보 수, 체중, 혈압, 체온, 수면시간 등 개인의 건강 데이터를 측정한 다음, 그 의료기기를 휴대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관리를 받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현재 국내에서 선보인 모바일 원격 진료 기술은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나 화상통화 기능을 활용하여 화상진단을 하거나, 휴대폰에 센서를 부착하여 혈당관리 및 맥박측정 정도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원격진료 방법들은 통신상의 문제가 발생하여 진료결과에 대한 책임소재가 불분명하며, 사용자들은 원격진료에 따른 통신 요금에 부담을 가지게 되고, 원격진료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장치가 필요하다. 즉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나 의료기기 부착된 휴대폰, 통신망, 생체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센서, 의사가 결과를 볼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산간지방이나 오지에서 원격진료를 실시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이용 제약에 따른 새로운 시스템이 요구된다.
한편,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2세대이든 3세대이든지 간에 기존 고객으로 하여금 좀 더 많은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하게끔 유도하는 데에만 모든 관심을 쏟고 있다. 그동안 통신방송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실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많이 부족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콘텐츠란 원래 서적, 논문 등의 내용이나 목차를 일컫는 말이다. 그러나 현재는 각종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정보를 통칭하는 말로, 인터넷이나 PC 통신 등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정보 내용물, CD롬 등에 담긴 영화나 음악, 게임 소프트웨어 등을 모두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 모바일인터넷으로 제공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실제 사용되고 있는 서비스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진료를 받기 원하는 고객이 병원 웹 사이트에 등록하여 진료 콘텐츠를 다운받은 후 사용자 정보와 검사 및 진료결과를 실시간으로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전송하면, 병원 측에서 온라인 진료차트로 자동으로 처리되어 전문의가 진료 결과를 피드백을 줄 수 있는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모바일 원격 진료시 결재된 수익을 병원과 이동통신 사업자 및 모바일 콘텐츠 제작자 측과 나누게 되는 수익 구조를 갖는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은,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서 회원가입, 진료 콘텐츠 검색, 온라인 결제, 진료 콘텐츠 구매를 포함하여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에 있어서, 진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접속된 목적에 따라 환자 회원 또는 의사 회원으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회원정보등록 및 로그인 단계, 상기 의사 회원의 경우 원격 진료 단말기는 제공하 고자 하는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 콘텐츠 리스트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환자 회원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리스트된 진료 콘텐츠를 검색하여 검색된 특정 진료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 상기 병원 웹 사이트의 환자 리스트 또는 의사 진료 리스트로 업로드 하는 진료 접수 및 게재 단계,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는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진료접수 정보가 수신되면 연계된 인증/결제 시스템을 통하여 콘텐츠 다운로드 및 진료비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결재하는 진료비 결재 단계,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진료비 결재 정보가 수신되면 고객의 회원등록 정보에 기재된 인증되어진 휴대폰 번호로 미리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콘텐츠 다운로드 문자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서 전달된 콘텐츠 다운로드 문자메시지를 통해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에 연결하여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특정 진료 콘텐츠에 따른 테스트를 실행한 후 그 테스트 결과를 무선 인터넷 상에서 TCP/IP 프로토콜 기반의 패킷을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는 수신된 테스트 결과를 분석 및 진료 결과로 저장하고 진료 결과를 진료차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병원 웹 사이트에 업로드 하는 진료차트 생성 및 게재 단계, 그리고 상기 원격 진료 단말기는 상기 병원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진료차트 생성 및 게재 단계에 의해 등록 게재된 진료 결과에 대한 결과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피드백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의사 회원의 경우 원격 진료 단말기는 제공하고자 하는 진료항목에 대 한 진료 콘텐츠 리스트를 등록하는 단계는, 회원가입 여부를 판단하여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는 단계, 진료 콘텐츠 등록 및 게재 절차가 안내되는 단계, 환자에게 제공할 진료 콘텐츠 입력 단계, 진료일정 및 진찰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진료 세부항목 입력 단계, 상기 입력된 진료 콘텐츠 및 진료 세부항목을 미리 보기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미리 보기 후 수정을 통하여 진료 콘텐츠 및 진료 세부항목을 등록하거나, 미리 보기를 건너뛰고 진료 콘텐츠 및 진료 세부항목을 바로 등록하는 진료 콘텐츠 등록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 회원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리스트된 진료 콘텐츠를 검색하여 검색된 특정 진료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회원가입 여부를 판단하여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는 단계, 진료 콘텐츠 검색 및 진료접수가 안내되는 단계, 진료를 희망하는 진료 콘텐츠의 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진료 콘텐츠를 미리 보기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미리 보기 후 수정을 통하여 진료 콘텐츠를 선택하여 진료접수를 하거나, 미리 보기를 건너뛰고 진료 콘텐츠를 바로 선택하여 진료접수를 하는 진료접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다운로드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는 모바일 단말기로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자신의 주민등록번호 또는 휴대폰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같은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입력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증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에러메시지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일치하면 해당 진료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료차트 생성 및 게재 단계는,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는 수신된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에 따른 진료 결과를 병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병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객의 진료 결과를 진료차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병원 웹 사이트에 업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은, 상기 진료차트 생성 및 게재 단계 이후에, 원격 진료 단말기는 상기 병원 웹 사이트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진료차트 생성 및 게재 단계에 의해 등록 게재된 진료 결과에 대한 결과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피드백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한 고객의 재진 요청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재진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재진 등록 단계, 상기 재진 등록 단계에 의해 재진 접수 및 다른 진료 콘텐츠 구매결정에 따른 재진비를 결재하는 단계,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의 미리 입력된 절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다른 진료 콘텐츠 전송을 요청하는 콘텐츠 재요청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은, 상기 피드백 단계 이후에 상기 원격 진료 단말기에 의한 의사의 소견서 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한 고객의 설문지 정보가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전송되는 진료 만족도 평가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진료 만족도 평가 단계는, 상기 소견서 정보 및 설문지 정보가 문자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진료 만족도 평가 단계는, 상기 소견서 정보 및 설문지 정보가 전자 메일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에 의하면 심리검사나 두뇌자극 같은 검사들을 모바일 기기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검사하고 그 결과를 병원으로 무선으로 전송하여 병원으로 직접 가지 않고도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이용할 수 있어 진료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에 의하면 시각주의력이나 청각주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이나 진료를 위해 굳이 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집, 거리, 사무실 등 생활하는 곳 어디서든지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거의 모든 지역에서 수시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병원 진료를 받을 수 있는 편의성에 의해 바빠서 병원에 직접 갈 수 없는 학생, 직장인 주부들에게 매력적으로 어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에 의하면 모바일 훈련 콘텐츠는 그 특성상 한 번 다운로드 되면 계속 휴대폰상에 저장되기 때문에 매 회 훈련을 받기 위해 병원에 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진료에 드 는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는 효과를 가져와 고객들의 원격진료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지,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개략적인 기본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는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와, 진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와, 모바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 그리고 콘텐츠를 개발하고 제공하는 모바일 콘텐츠 제공업자의 서버로 구성된다.
즉, 고객은 진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진료 콘텐츠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고 이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사업자는 해당 진료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해당 진료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할 때는 소정의 회원가입 및 결재 절차를 밟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와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 간의 관계는, 한쪽은 진료 콘텐츠의 정보를 제공하고 다른 한쪽은 특정 진료 콘텐츠를 선택하고 전송요청하는 것으로 국한되며, 실제 진료 콘텐츠의 전송과 사용자인증 및 결재 절차는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와 고객이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 간에 이루어지고, 최종적으로 콘텐츠 이용료에 대해서는 발행된 과금 정보를 통해 병원과 이동통신 사업자 및 모바일 콘텐츠 제작자 간에 정산하게 된다.
따라서 고객은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등록을 한 후 로그인 또는 인증 절차 및 결재 절차를 밟게 되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도 환자 관리, 의사 관리, 과금 정보 관리 등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료 콘텐츠는 "모바일인터넷망에서 제공되는 H/W, S/W 중 유무형의 가치 있는 모든 진료 서비스로 텍스트, 음악, 비디오, 각종 영상을 포함한 멀티미디어의 총 집합체"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진료 콘텐츠는 '이동가능한 휴대폰, PDA 폰 등의 무선 단말기를 가지고 모바일인터넷에 접속하여 병원의 웹 사 이트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정보등록 및 로그인 단계(S100), 진료 접수 및 게재 단계(S200), 진료비 결재 단계(S300), 콘텐츠 다운로드 문자메시지 송신 단계(S400), 콘텐츠 다운로드 단계(S500), 테스트 결과 전송 단계(S600), 진료차트 생성 및 게재 단계(S700), 피드백 단계(S800), 재진 단계(S900) 그리고 진료 만족도 평가단계(S1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구성을 더욱 상세한 서비스 흐름도로 도시하고 있다.
고객이나 의사로 회원가입을 원하는 이용자가 PC나 노트북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접속하여 일반적인 회원가입과 같은 정보를 등록하는 회원정보등록 및 로그인 단계를 서비스 사이트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에 의해 전개되는 각 단계의 상세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용자의 회원가입 단계(S100)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 웹 사이트에 보이는 회원가입신청 버튼을 클릭하면, 통상의 약관보기(S110)가 디스플레이되어 동의 절차가 진행(S120)되고, 해당 약관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종료(S160)하고, 약관에 동의하는 경우, 회원정보 입력 필드로 연결(S130)되며, 상기 회원정보 입력 필드는 회원의 개인 신상정보를 입력(S140)하는 기본적인 입력사항(이름, 아이디, 패스워드, 주민등록번 호, 연락처, 주소, 이메일 등)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회원의 상세 정보가 입력된 정보는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와 연동하는 병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후, 회원가입 단계가 종료(S150)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의사의 진료 콘텐츠 등록 및 게재 단계(S210)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료를 목적으로 콘텐츠를 게재하고자 하는 의사에 대한 회원가입 여부(S211)를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체크하여 회원이 아닌 경우 회원가입 과정을 수행(S212)하게 되고, 회원인 경우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수행(S213)되면 진료 콘텐츠 리스트 등록 및 게재 절차 안내 보기(S214)에 의해 진료 콘텐츠가 입력(S215)된다. 이때 입력되는 진료 콘텐츠의 형태로는 기억전략, 청각주의력, 시각주의력을 트레이닝할 수 있는 콘텐츠 등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콘텐츠는 모바일 콘텐츠 제공자와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 관리자와 협의하여 모바일과의 연동을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프로그래밍 적인 수정을 거쳐 테스트 후 진료 콘텐츠를 완성한다.
그리고, 상기의 진료 콘텐츠 입력 후 진행버튼을 클릭하면 선택된 진료 콘텐츠에 대하여 진료 세부항목에 관한 입력절차가 진행(S216)되며, 이때 상기 진료 세부항목에 관한 입력절차는 진료일정, 진찰료, 진료경력 및 증명서, 자기 소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진료 세부 항목이 입력되면 미리 보기(S217)를 통해서 선택을 할 수 있으며, 미리 보기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결과가 디스플레이(S218)되고 수정 여부를 묻는 단계로 진행(S219)된다. 기 입력된 내용에 대한 수정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진료 세부항목 입력 단계로 분기(S216)되고 수정 안 함을 선택하거나 미리 보기 선택단계에서 미리 보기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진료 콘텐츠 등록 단계로 이동(S220)된다.
상기 진료 콘텐츠 등록 단계에 게시된 진료 콘텐츠는 의사 진료 리스트로 등록(S221)되어 병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다른 의사의 정보들과 함께 병원의 웹 사이트에 게재되어 의사의 진료 콘텐츠 등록 및 게재 단계가 종료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객의 진료 콘텐츠를 입력하는 단계(S230)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은 PC 또는 노트북, PDA, 휴대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이하 '휴대폰'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를 이용하여 진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접속하고, 자신이 검사받고자 하는 특정 진료 콘텐츠의 구매를 위해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여부를 체크(S231)한다.
이때 회원가입이 되지 않은 경우 회원가입 프로세스(S232)를 통한 도 3의 과정을 진행하며, 회원가입이 된 경우 로그인(S232)하여 진료 콘텐츠 검색 및 진료 접수 절차의 안내를 확인(S234)한 후 진료를 희망하는 특정 진료 콘텐츠를 선택(S235)한다. 미리 보기 단계(S236)에서 미리 보기 선택을 하는 경우 화면에 진료 콘텐츠에 관한 진료 세부 항목이 디스플레이(S237)되며 수정기능이 활성화되어 수정 여부를 묻는 단계(S238)에 의해 수정을 요청하게 되면 다시 진료 콘텐츠 선택 단계(S235)로 분기되고, 수정요청이나 미리 보기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는 바로 진료 접수 단계(S239)로 넘어가 상기 병원의 데이터베이스에 환자 리스트로 저장(S240)된 후 병원의 웹 사이트에 업로드 된 후, 고객의 진료 콘텐츠의 입력하는 단계가 종료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료비 결재 단계, 콘텐츠 다운로드 문자메시지 전송에 관한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리스트 화 되고 다양한 형식으로 탑재되어 있는 진료 콘텐츠 중에서 원하는 특정 진료 콘텐츠를 검색한 후 선택하여 등록하면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서 접수 확인과 동시에 진료비에 대한 결재(S300)가 이루어진다.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특정 진료 콘텐츠에 대한 결재가 되었다는 정보가 입력되면,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는 회원등록 정보에 기재된 인증되어진 휴대폰 번호로 콘텐츠 다운로드 문자메시지를 전송(S400)한다.
이때 문자메시지에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의 URL이 포함되어 있고, 그 내용은 "안녕하세요 ***의 서비스를 이용해 주셔서 .*** 1. 다운받기(또는 연결하기) 2. 취소 "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에 따라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는 "확인" 버튼을 눌러 해당 진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것을 결정한다(S411).
그러면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고객의 인증정보를 요청(S412)하게 되며, 고객은 자신의 주민등록번호 또는 휴대폰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같은 인증정보를 입력한다(S413).
이때, 휴대폰 인증은 고객이 병원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을 할 때 실명인증과 함께 휴대폰 인증을 등록해도 되고, 해당 이동통신 사업자의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시 해당 휴대폰 번호 및 기종과 함께 등록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결제에 필요한 보안 또는 인증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상기 휴대폰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은 상기 예에 국한되지 않음을 첨언한다. 예컨대 휴대폰 자체에 프로그램화된 공인인증서, USIM 카드 또는 그와 유사한 인증수단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인증수단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인증정보로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면,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의 주민등록번호와 고객이 현재 입력하여 전송한 주민등록번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에러메시지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일치하면(S414) 해당 진료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S415)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진료 콘텐츠 전송에 대한 과금정보를 기록한다. 과금은 단말기 정보이용료로 결제되며, 이에 대한 정산은 상기 기록된 과금 정보와 미리 입력된 원칙에 따라 병원과 이동통신 사업자 및 모바일 콘텐츠 제작자 간에 정산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다운로드 및 테스트 결과 전송에 관한 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는 전송된 콘텐츠 다운로드 문자메시지에 "확인" 버튼을 눌러 진료 콘텐츠를 다운로드(S500) 받게 되며, 다운받은 진료 콘텐츠는 즉시 휴대폰에 설치되며 곧바로 진료 테스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된 진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으면 먼저 초기 화면이 뜨고 모든 명령은 "확인" 버튼을 누르면 실행되며 초기 화면에서도 역시 "확인" 버튼을 누르면 메뉴 선택 화면으로 넘어가게 되며 여기서 검사 방법 및 버튼 사용, 환경 설정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로 고객의 일반적인 정보와 필수적인 정보를 미리 파악하는 진료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기억전략특성 및 시각주의력, 행동 억제력과 관련된 사전 테스트를 받게 된다.
그에 따른 테스트를 수행한 후 그 테스트 결과를 무선 인터넷 상에서 TCP/IP 프로토콜 기반의 패킷으로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로 전송(S600)한다. 이는 병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진료차트 생성 및 게재, 피드백, 재진 및 진료 만족도 평가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진료차트 생성 및 게재에 관한 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는 병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수신된 테스트 결과에 따른 결과 전송용 문자메시지를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S711)하고, 그 분석 결과를 진료차트 형태로 변환하여 병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712)한 후 상기 병원 웹 사이트에 업로드(Upload)(S713) 한다.
그러면 의사의 원격 진료 단말기는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고객의 진료 결과를 진료차트의 형태로 열람 가능하며, 기준 미달 수치에 대해 분석을 하여 이에 대한 결과정보를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피드백(S800) 단계를 행한다. 이때 의사의 원격 진료 단말기는 고객에게 더 나은 진료방법에 대한 다른 진료 콘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고객은 추가로 트레이닝을 받을 수도 있고 받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다시 한 번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를 통해 재진료 받고 싶다면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재진 등록(S900)을 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한 고객의 재진 요청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재진에 관한 정보를 등록(S911)하고, 상기 재진 등록에 의해 재진 접수 및 다른 진료 콘텐츠 구매결정에 따른 재진비 결재(S912)하면,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의 미리 입력된 절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정보를 입력(S913)받은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다른 진료 콘텐츠를 다운로드(S914) 받아 집중력 향상 훈련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다른 진료 콘텐츠를 실행하고 트레이닝을 한 뒤 그 결과정보는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로 다시 전송되며, 의사의 원격 진료 단말기는 트레이닝 정보를 웹 사이트에서 진료차트로 열람하여 고객의 상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정보를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해 준다.
모든 진료가 끝난 후에는 진료 만족도 평가 단계(S1000)가 이루어진다. 상기 진료 만족도 평가 단계에서는 의사의 원격 진료 단말기가 지금까지의 모든 과정에 대한 소견서 정보를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며,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는 진 료 이용에 대한 만족도 및 설문조사에 관한 설문지 정보를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와 모바일 콘텐츠 제작자의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견서나 설문지는 문자메시지나 전자 메일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객과 의사로부터 피드백된 내용을 바탕으로 병원측과 모바일 콘텐츠 제작자가 더 나은 의료 콘텐츠를 개발하고, 사업자 간의 협력을 굳건히 해나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은 그 수익구조로서 고객이 병원에 진료 과정 등록을 함으로써 초진 비용이 발생하고, 재진 등록시 재진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이동통신 사업자는 모바일인터넷 통신료와 진료 콘텐츠 다운로드시 패킷요금이 발생한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고객으로부터 콘텐츠 사용 금액을 일괄적으로 과금하여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공제하고 병원측과 모바일 콘텐츠 개발업체와 수익을 분배할 수 있게 된다. 수수료는 매출액의 일정 비율이 될 수도 있고, 콘텐츠당 일정 금액이 부과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집중력 훈련법 및 기억전략 콘텐츠와 병원을 연계하여 직접 병원에 가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의사가 고객의 상태를 콘텐츠를 통해 파악하고 그 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 콘텐츠를 다운로드 시켜주며, 그 결과를 원격으로 전송받아 진료차트로 구성하여 상태를 점검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해 줄 수 있는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병원 측과 공동 연구 개발을 통한 검증받은 콘텐츠를 제공하고, 원격 진료 중 결과에 대한 전문의의 관리 및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상에서의 유사 콘텐츠와 오프라인상의 실질적인 병원 진료와의 차별화할 수 있는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개략적인 기본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용자의 회원가입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의사의 진료 콘텐츠 등록 및 게재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객의 진료 콘텐츠를 입력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료비 결재 단계, 콘텐츠 다운로드 문자메시지 전송에 관한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진료차트 생성 및 게재, 피드백, 재진 및 진료 만족도 평가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8)

  1.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서 회원가입, 진료 콘텐츠 검색, 온라인 결제, 진료 콘텐츠 구매를 포함하여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에 있어서,
    진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접속된 목적에 따라 환자 회원 또는 의사 회원으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회원정보등록 및 로그인 단계,
    상기 의사 회원의 경우 원격 진료 단말기는 제공하고자 하는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 콘텐츠 리스트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환자 회원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리스트된 진료 콘텐츠를 검색하여 검색된 특정 진료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 상기 병원 웹 사이트의 환자 리스트 또는 의사 진료 리스트로 업로드하는 진료 접수 및 게재 단계,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는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진료접수 정보가 수신되면 연계된 인증/결제 시스템을 통하여 콘텐츠 다운로드 및 진료비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결재하는 진료비 결재 단계,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진료비 결재 정보가 수신되면 고객의 회원등록 정보에 기재된 인증되어진 휴대폰 번호로 미리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콘텐츠 다운로드 문자메시지를 송신하는 콘텐츠 다운로드 문자메시지 송신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서 송신된 콘텐츠 다운 로드 문자메시지를 통해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에 연결하여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콘텐츠 다운로드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특정 진료 콘텐츠에 따른 테스트를 실행한 후 그 테스트 결과를 무선 인터넷 상에서 TCP/IP 프로토콜 기반의 패킷을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로 전송하는 테스트 결과 전송 단계,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는 수신된 테스트 결과를 분석 및 진료 결과로 저장하고 진료 결과를 진료차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병원 웹 사이트에 업로드 하는 진료차트 생성 및 게재 단계, 그리고
    상기 원격 진료 단말기는 상기 병원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진료차트 생성 및 게재 단계에 의해 등록 게재된 진료 결과에 대한 결과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피드백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의사 회원의 경우 원격 진료 단말기는 제공하고자 하는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 콘텐츠 리스트를 등록하는 단계는,
    회원가입 여부를 판단하여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는 단계,
    진료 콘텐츠 등록 및 게재 절차가 안내되는 단계,
    환자에게 제공할 진료 콘텐츠 입력 단계,
    진료일정 및 진찰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진료 세부항목 입력 단계,
    상기 입력된 진료 콘텐츠 및 진료 세부항목을 미리 보기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미리 보기 후 수정을 통하여 진료 콘텐츠 및 진료 세부항목을 등록하거나, 미리 보기를 건너뛰고 진료 콘텐츠 및 진료 세부항목을 바로 등록하는 진료 콘텐츠 등록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 회원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리스트된 진료 콘텐츠를 검색하여 검색된 특정 진료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회원가입 여부를 판단하여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는 단계,
    진료 콘텐츠 검색 및 진료접수가 안내되는 단계,
    진료를 희망하는 진료 콘텐츠의 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진료 콘텐츠를 미리 보기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미리 보기 후 수정을 통하여 진료 콘텐츠를 선택하여 진료접수를 하거나, 미리 보기를 건너뛰고 진료 콘텐츠를 바로 선택하여 진료접수를 하는 진료접수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콘텐츠 다운로드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는 모바일 단말기로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자신의 주민등록번호 또는 휴대폰에 미리 설정된 비밀 번호와 같은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입력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증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에러메시지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일치하면 해당 진료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진료차트 생성 및 게재 단계는,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는 수신된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에 따른 진료 결과를 병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병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객의 진료 결과를 진료차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병원 웹 사이트에 업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피드백 단계 이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한 고객의 재진 요청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재진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재진 등록 단계,
    상기 재진 등록 단계에 의해 재진 접수 및 다른 진료 콘텐츠 구매결정에 따른 재진비 결재 단계,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의 미리 입력된 절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다른 진료 콘텐츠를 전송받는 콘텐츠 다운로드 단계를 포함하는 재진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피드백 단계 이후에,
    상기 원격 진료 단말기에 의한 의사의 소견서 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한 고객의 설문지 정보가 상기 병원의 웹 사이트 서버에 전송되는 진료 만족도 평가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진료 만족도 평가 단계는,
    상기 소견서 정보 및 설문지 정보가 문자메시지 형태로 전송되는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8. 제6항에서,
    상기 진료 만족도 평가 단계는,
    상기 소견서 정보 및 설문지 정보가 전자 메일 형태로 전송되는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KR1020080053949A 2008-06-10 2008-06-10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KR100993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949A KR100993878B1 (ko) 2008-06-10 2008-06-10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949A KR100993878B1 (ko) 2008-06-10 2008-06-10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986A true KR20090127986A (ko) 2009-12-15
KR100993878B1 KR100993878B1 (ko) 2010-11-11

Family

ID=4168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949A KR100993878B1 (ko) 2008-06-10 2008-06-10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8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236A1 (ko) * 2012-12-10 2014-06-19 Choi Hyung Sik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000B1 (ko) * 2013-02-21 2015-03-03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환자 관리 서버 노드 및 통신 서비스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환자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4129804A1 (ko) * 2013-02-21 2014-08-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환자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노드 및 서버
KR102117756B1 (ko) * 2018-07-11 2020-06-03 주식회사 이비엠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236A1 (ko) * 2012-12-10 2014-06-19 Choi Hyung Sik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878B1 (ko)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0878B2 (en) Interative gallery of user-selectable digital health programs
US7865395B2 (en) Media content notification via communications network
US872559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customized user plans
US20010039504A1 (en) Individualized, integrated and informative internet portal for holistic management of patients with implantable devices
JP2001297153A (ja) 個人医療情報の共有化方法及び個人医療情報のデータベース端末
CN106934241A (zh) 健康管理系统
CN109346192A (zh) 基于互联网提供线上全流程就医和服务的系统及方法
KR20210058535A (ko) 간병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03903413A (zh) 用于心脑血管风险动态监测和管理系统及方法
KR100993878B1 (ko)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US201301496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ymptom based reporting
JP2004526466A (ja) 医療装置システムにより実施される遠隔患者管理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3167960A (ja) 健康管理システム
US201501111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lient engagement platform to assist a client in the compliance of addiction treatment
CN115274088A (zh) 一种基于互联网的医疗健康服务平台
JP2002238858A (ja) 眼底検査方法、サーバ及び眼底検査事業システム
JP7461243B2 (ja) 肌カウンセリングシステム
KR20200143012A (ko) 건강검진 데이터를 활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11341421B (zh) 一种基于智能体温计和5g的健康诊断方法及系统
KR20180087876A (ko) 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피부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0916A (ko) 텔레 익스피리언스 재활 서비스 플랫폼 장치, 및 그것의 방법
KR20180087633A (ko) 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피부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842984A (zh) 一种用于双心疾病的智能问诊交互方法及系统
KR20170115909A (ko) 온라인 상담치료 중재정보 및 측정정보 제공이 가능한 피상담자 단말기 및 운영서버
JP2005215923A (ja) 情報提供サーバ及び臨床データ収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