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756B1 -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756B1
KR102117756B1 KR1020180080701A KR20180080701A KR102117756B1 KR 102117756 B1 KR102117756 B1 KR 102117756B1 KR 1020180080701 A KR1020180080701 A KR 1020180080701A KR 20180080701 A KR20180080701 A KR 20180080701A KR 102117756 B1 KR102117756 B1 KR 102117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information
user
counseling
consul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836A (ko
Inventor
허봉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비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비엠
Priority to KR1020180080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7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종이 차트가 아닌 전자 차트 기반으로 상담이 가능하며, 음식보다 더 좋은 약은 없다는 것에 착안하여 약 및 주사 등에 의한 처방보다는 식품을 활용한 처방을 제공하고, 처방된 식품에 대한 마케팅을 통한 보다 효과적으로 판매 활로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 {Prescription system by consultation process based on mobile app, and consultation server}
본 발명은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종이 차트가 아닌 전자 차트 기반으로 상담이 가능하며, 음식보다 더 좋은 약은 없다는 것에 착안하여 약 및 주사 등에 의한 처방보다는 식품을 활용한 처방을 제공하고, 처방된 식품에 대한 마케팅을 통한 보다 효과적으로 판매 활로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지난 30년 동안 경제 수준이 꾸준히 향상되면서 나타난 생활 여건의 변화로 인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생활 패턴과 건강 또한 과거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크게 변화하였다. 생활 편의품의 비약적인 발전과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한 신체 활동량의 감소, 식생활의 서구화, 근대화·산업화 과정의 산물인 바쁜 생활 패턴, 치열한 생존 경쟁이 야기한 과중한 스트레스 등이 그것이다. 그 결과 우리 사회에서도 이러한 환경과 관련된 질병인 고혈압, 당뇨, 비만 등과 같은 각종 성인병의 발생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종래의 종이 차트가 아닌 전자 차트 기반으로 상담이 가능하며, 음식보다 더 좋은 약은 없다는 것에 착안하여 약 및 주사 등에 의한 처방보다는 식품을 활용한 처방을 제공하고, 처방된 식품에 대한 실천율 향상을 위한 관리를 돕기 위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3-0075732호 "유무선 통신망 상의 인증을 이용한 진단서 처리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edical Certificate by Using Authentication of Communication Network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종이 차트가 아닌 전자 차트 기반으로 상담이 가능하며, 음식보다 더 좋은 약은 없다는 것에 착안하여 약 및 주사 등에 의한 처방보다는 식품을 활용한 처방을 제공하고, 처방된 식품에 대한 마케팅을 통한 보다 효과적으로 판매 활로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 상담, 본 상담, 재상담으로 구분된 상담과 각 상담 별 구체화된 자료 수집을 통한 상담 후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되, 전문 영양사 개별 맞춤 상담 및 생활 교정 교육 정보를 중심으로 제공하여 약물에 의한 오남용을 억제하고 자연치유를 유도하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증세가 있는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처방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에 맞는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이 제시됨으로써, 식이요법과 운동이 접합된 AR 앱을 사용자의 자발적인 의지로 수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약물 및 주사 등에 의한 치료를 최소화하고 자연치유를 최대한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 네트워크(200), 상담 제공 서버(300),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 재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500), 빅데이터 기반 AI(인공 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서비스 제공서버(600), 그리고 쇼핑몰 서버(700)를 포함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에 있어서, 상담 제공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에 따라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인증을 통해 액세스를 허여하고,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계측 검사 결과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여,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 상에서 수행되는 상담 프로세스 앱 상으로 계측 검사 결과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인증을 위해 수신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식별 ID를 통해 자체의 통합관리자프로그램과의 연동을 통해 계측 검사결과에 대한 전자 차트상의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상담 및 재상담을 위한 예약 확인 전화 업무를 단축하기 위해 전자 캘린더 UI(User Interface) 화면을 통한 각 날짜 상에 구분된 시간에 대한 슬롯에 대한 선택 신호를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선택된 슬롯에 해당하는 날짜와 시간을 데이터베이스(330)에 식별 ID와 함께 저장하고, 선택된 슬롯에 해당하는 날짜와 시간에 대한 잔여 기간을 연산하고, 연산된 잔여 기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 기간 미만인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임계 기간을 미리 설정된 구분 시간 단위로 분할한 뒤, 각 구분 시간 단위에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상담예약자 방문 여부 확인 메시지를 응답형 문자 메시지 형식으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상담예약자 방문 여부 확인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한 응답에 따른 상담예약이 확정되면 문진표 작성을 위한 상담 프로세스 앱을 기반으로 작성하도록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로의 통지를 수행하며, 선택된 슬롯에 해당하는 날짜와 시간까지 1차로 응답이 없어서 상담예약이 확정되지 않으면 1차 부재로 판단하며, 선택된 슬롯에 해당하는 날짜와 시간을 경과하고 미리 설정된 추가 기간이 경과하고도 응답이 없어서 상담예약이 확정되지 않으면, 2차 부재로 판단하며, 예약이 확정된 상담예약자에 대해서 문진표 작성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예약 제공 모듈(32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문진표는,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과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 간의 설문 형식으로 작성되며, 상담 프로세스 앱 상에서 방문 확정이 된 상담예약자에 한하여 문진표 작성이 가능하도록 예약 제공 모듈(321)이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담 제공 서버(300)는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에 의한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 상에서 상담사에 의해 상담 프로세스 앱에서 선택된 병명 코드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경우, 병명 코드 정보를 전달받을 뿐만 아니라,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상담 프로세스 앱의 병명 코드 선택 영역 옆 또는 하단의 첨삭가능한 메모란에 입력된 메모 입력 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식별 ID로 한 차트 정보로 생성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함으로써,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운영하는 상담사가 차트 정리를 하도록 하는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는, 종래의 종이 차트가 아닌 전자 차트 기반으로 상담이 가능하며, 음식보다 더 좋은 약은 없다는 것에 착안하여 약 및 주사 등에 의한 처방보다는 식품을 활용한 처방을 제공하고, 처방된 식품에 대한 마케팅을 통한 보다 효과적으로 판매 활로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는, 기초 상담, 본 상담, 재상담으로 구분된 상담과 각 상담 별 구체화된 자료 수집을 통한 상담 후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되, 전문 영양사 개별 맞춤 상담 및 생활 교정 교육 정보를 중심으로 제공하여 약물에 의한 오남용을 억제하고 자연치유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는, 증세가 있는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처방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에 맞는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이 제시됨으로써, 식이요법과 운동이 접합된 AR 앱을 사용자의 자발적인 의지로 수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약물 및 주사 등에 의한 치료를 최소화하고 자연치유를 최대한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 중 상담 제공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 중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 중 상담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본 상담에 따른 일반 처방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 중 상담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본 상담에 따른 특진 처방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 중 쇼핑몰 서버(700)에 의해 제공되는 레시피 정보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 중 상담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문진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 네트워크(200), 상담 제공 서버(300),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 재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500),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 그리고 쇼핑몰 서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 및 재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500)는 상담사 또는 재상담사가 의사, 전문가, 전문 영양사일 수 있으며, 상담의 순서에 따라 구분한 것이므로, 동일한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 중 상담 제공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 중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 중 상담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본 상담에 따른 일반 처방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 중 상담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본 상담에 따른 특진 처방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 중 쇼핑몰 서버(700)에 의해 제공되는 레시피 정보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 중 상담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문진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상담 제공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예약 제공 모듈(321),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 질환 코드 및 처방전 제공 모듈(324), 식품 검색 제공 모듈(325), 메시지 푸쉬업 모듈(326), 그리고 쇼핑몰 연동 모듈(327)을 포함할 수 있다.
예약 제공 모듈(321)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에 따라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인증을 통해 액세스를 허여하고,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계측 검사 결과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 상에서 수행되는 상담 프로세스 앱 상으로 계측 검사 결과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계측 검사 결과는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사전에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식별 ID 상의 전자 차트에 포함된 이전 상담 및 재상담 정보를 구성하는 의료 장비를 이용한 검사 측정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예약 제공 모듈(321)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인증을 위해 수신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식별 ID를 통해 자체의 통합관리자프로그램과의 연동을 통해 계측 검사결과에 대한 전자 차트상의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약 제공 모듈(321)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상담 및 재상담을 위한 예약 확인 전화 업무를 단축하기 위해 전자 캘린더 UI 화면을 통한 각 날짜 상에 구분된 시간에 대한 슬롯(Slot)에 대한 선택 신호를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선택된 슬롯에 해당하는 날짜와 시간을 데이터베이스(330)에 식별 ID와 함께 저장하고, 선택된 슬롯에 해당하는 날짜와 시간에 대한 잔여 기간을 연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상담 프로세스 앱에서 제공하는 전자 캘린더 UI 화면에서 지정 기간 단위 별(예, 일, 주, 월 단위)로 구현하기 위해, 상담 제공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예약가능일에 해당하는 날짜에 설정된 미리 설정된 예약 지정 셀(cell) 중 하나를 지정하여 슬롯에 대한 선택 신호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상담 제공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약 제공 모듈(321)은 연산된 잔여 기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 기간 미만인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임계 기간을 미리 설정된 구분 시간 단위로 분할한 뒤, 각 구분 시간 단위에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상담예약자 방문 여부 확인 메시지를 응답형 문자 메시지 형식으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약 제공 모듈(321)은 상담예약자 방문 여부 확인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한 응답에 따른 상담예약이 확정되면 문진표 작성을 위한 상담 프로세스 앱을 기반으로 작성하도록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로의 통지를 수행한다. 문진표 작성을 위한 상담 프로세스는 도 3, 도 4, 또는 도 16 내지 도 17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예약 제공 모듈(321)은 선택된 슬롯(Slot)에 해당하는 날짜와 시간까지 1차로 응답이 없어서 상담예약이 확정되지 않으면 1차 부재로 판단할 수 있으며, 선택된 슬롯에 해당하는 날짜와 시간을 경과하고 미리 설정된 추가 기간이 경과하고도 응답이 없어서 상담예약이 확정되지 않으면, 2차 부재로 판단할 수 있다.
예약 제공 모듈(321)은 예약이 확정된 상담예약자에 대해서 문진표 작성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문진표는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과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 간의 설문 형식으로 작성될 수 있으며, 상담 프로세스 앱 상에서 방문 확정이 된 상담예약자에 한하여 문진표 작성이 가능하도록 예약 제공 모듈(321)이 연결하는 것이며, 예약 제공 모듈(321)은 선결제를 위한 전자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예약 제공 모듈(321)은 선결제가 완료되면, 상담예약자의 상담 예약 일정 정보 및 방문 시 지참 준비물 안내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약 제공 모듈(321)은 선택된 슬롯에 해당하는 방문예약 일시 5일 전 및 전일, 당일 등과 같이 기간 설정 후 상담예약자의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자동 문자 발송이 수행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은 계측 검사결과와 매칭되는 문진표 작성을 위한 페이지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한 뒤, 추출된 문진표 작성 페이지와 문진표 간소화 전환 요청을 상담예약자의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상담예약자의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 상에서 문진표 작성 페이지가 반영된 문진표 간소화 UI 화면이 상담 프로세스 앱에 의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은 상담예약자에 한하여 문진표를 노출하지만 캡쳐가 되지 않도록 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으며, 실제의 방문전에 상담 프로세스 앱에서 상담예약자가 작성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문진표로는 주관식 작성 항목이 많아 상담 프로세스 앱에서 상담예약자의 작성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주관식 및 객관식 항목이 포함된 문진표 작성 페이지를 상담예약자의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한 뒤,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상담 프로세스 앱 상에서 자체적인 문진표 간소화 전환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은 자체의 통합관리자프로그램과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에 의한 문진(코디) 상담 진행시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네트워크(200)를 통해 액세스를 허여한 뒤,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계측 검사결과, 문진표를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다.
이후,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은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 상에서 상담사에 의해 상담 프로세스 앱에서 선택된 병명 코드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은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상담 프로세스 앱의 병명 코드 선택 영역 옆 또는 하단의 첨삭가능한 메모란에 입력된 메모 입력 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식별 ID로 한 차트 정보로 생성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함으로써,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운영하는 상담사가 차트 정리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은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차트 정보의 병명 코드 정보와 메모 입력 정보를 하나의 차트 정보로 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로 전송함으로써,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 상에서 병명 코드 정보별 메모 입력 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한 직접적인 액세스의 경우, 메모 입력 정보를 빅데이터로 한 머신 러닝 및 딥 러닝 방식에 의한 처방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병명 코드 정보별 메모 입력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치료 중점 카테고리(예, 운동요법, 식이요법 등)에 대한 통계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통계 작성 기능이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에 의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각 지역별로 분산 저장된 병명 코드 정보별 메모 입력 정보를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고 처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에서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일 수 있다.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각 지역별로 분산 저장된 병명 코드 정보별 메모 입력 정보를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로 병명 코드 정보별로 수집된 메모 입력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복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학습한 결과로 신체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신체 이상 상태 여부 판단 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다수의 상호 보완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들로 구성된 앙상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결정 트리 분류 알고리즘은 트리 구조로 학습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결과 해석 및 이해가 용이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며 탐색 트리 기반으로 룰 도출이 가능할 수 있다. DT의 낮은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RF를 적용할 수 있다.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은 다수의 DT를 앙상블로 학습한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DT보다 결과 이해가 어려우나 DT보다 결과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DT 또는 RF 학습을 통해 발생 가능한 과적합의 개선 방안으로 SVM을 적용할 수 있다. SVM 분류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분류에 속한 데이터를 평면 기반으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갖고, 구조적으로 과적합(overfitting)에 낮은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머신 러닝 이후 정제된 데이터를 활용해 딥 러닝 수행할 수 있으며, 딥러닝 방식은 신체 이상 상태 여부를 분석하여 형성된 패턴 데이터별 반복 작업시 하나의 전체 신경망 프로세스에서 처방 정보를 도출한 뒤, 도출된 처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한 상담을 위한 목적된 방문지(예, 약국, 병원, 상담소 등) 방문시 기초 상담으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 간의 1시간 가량 소요되는 기초 상담이 진행되도록 하는 중개를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초 상담에 해당하는 UI 화면은 도 3과 같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 변경 가능하다.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 간의 기초 상담은 목적된 방문지에서 수행되며, 유전체 타입 판정을 위한 기초상담 과정일 수 있으며, (1) 회원신청서 및 식이 문진표 작성, (2) 진행과정에 대한 간략한 안내(코디), (3) 식습관 및 질환, 증상 관련 질의응답, (4) 체내의 건강 상태를 확인 계측 검사(인바디, 혈압, 체온, 신체활성도, 신경계균형도, 혈관탄력도, 심박분포도 등), (5) 식품섭취반응도 및 개인별 특성 검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초상담 정보를 식별 ID와 함께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에 의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될 수 있다.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은 예약 제공 모듈(321)로부터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달된 방문 시 지참 준비물 안내 정보에 따른 자료 정보를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온라인 정보로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자료 정보는 최근 3개월 내 진행한 "혈액검사 결과지", "복약처방전"(해당자에 한함)일 수 있으며, 혈액검사 결과지의 필요항목은 CBC 8종(WBC분획 5종 포함)으로 hs-CRP 정량, GOT, GPT,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Glucose, HbA1c, BUN, Creatinine, r-GTP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은 온라인 형식의 식사일기장, 연간 질환별 강의 일정표(평생건강아카데미안내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 상의 상담 프로세스 앱 상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기초 상담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 간의 1시간 반 가량 소요되는 본 상담이 진행되도록 하는 중개를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 간의 본 상담은 목적된 방문지에서 수행되며, 상담사가 한의사, 의사 또는 전문가인 경우 개개인의 질환 발생의 근본 원인 파악 및 유전체 타입 판정, 1:1 맞춤 식품 처방일 수 있으며, 상담사가 전문 영양사인 경우, 처방 관련 내용 설명 및 1:1 맞춤 식이지도일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기초상담 정보와 함께 본 상담 정보로 저장될 수 있으며, 본 상담 정보는 처방전일 수 있다. 한편, 본 상담 정보로 처방전은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일반 처방전 또는 도 11 내지 도 14와 같이 특진 처방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본 상담이 완료되고, 1개월이 지난 시점에 재방문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재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500) 간의 1시간 반 가량 소요되는 재상담이 진행되도록 하는 중개를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상담에 해당하는 UI 화면은 도 4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 변경 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에 의해 제공된 온라인 형식의 식사일기장을 상담 프로세스 앱에서 실행한 뒤, 재상담 전에 식사일기장에 대한 기록 정보를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상담 제공 서버(300)를 통하거나 직접 네트워크(200)를 통해 재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식사일기장에 대한 기록 정보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상담 프로세스 앱 상에서 사진을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수행되거나, 직접 내용을 상담 프로세스 앱에서 구현되는 사진 업로드 창 옆 또는 하단에 추가 기입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재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500)를 운영하는 재상담사에 해당하는 전문 영양사에 의한 질의응답에 대한 답변 정보 서비스도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재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500)로부터 제공된 한 달간의 식생활, 개별 이상 증상 등의 변화 정보, 그리고 이에 대한 평가 및 문제점 교정 정보를 포함하는 식사일기장을 중심으로 점검 및 피드백 정보로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상담은 체내의 기본 체액 및 혈액의 상태가 변화되는 최소 3개월 정도는 월 1회 방문을 원칙으로 하며, 개인의 실천율 및 호전율에 따라 재상담 권장 방문기간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이 재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500)를 통해 제공하는 재상담은 개별 맞춤형 상담일 수 있으며, 재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500)를 운영하는 재상담사가 한의사, 의사 또는 전문가인 경우, 상담 후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며, 재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500)를 운영하는 재상담사가 상담사가 전문 영양사인 경우, 전문 영양사 개별 맞춤 상담 및 생활 교정 교육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전문 영양사 개별 맞춤 상담 및 생활 교정 교육 정보에 해당하는 UI 화면은 도 5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 변경 가능하다.
즉, 전문 영양사 개별 맞춤 상담 및 생활 교정 교육 정보는 식사일기장을 기준으로 문제점 교정에 필요한 부분관련 자료 제공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실시예로, 하루 일과, 운동요법, 한가지 재료 응용 레시피, 제철 레시피(사계절별), 드레싱 레시피, 건강밥상, 유전체 타입별 식재료표, 권장 식생활 및 5대 영양소 피라미드, 영양소별 급원식품 및 함량, 섬유소 섭취 권장량, 식품인덱스 등일 수 있다.
질환 코드 및 처방전 제공 모듈(324)은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처방전 정보" 및 "전문 영양사 개별 맞춤 상담 및 생활 교정 교육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질환 코드를 생성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질환 코드를 통해 수기 차트를 없애고 전자 차트를 활용하고,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상담 프로세스 앱 상에서 본인의 처방전만 확인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식품 검색 제공 모듈(325)은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에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된 전문 영양사 개별 맞춤 상담 및 생활 교정 교육 정보 중 식품인덱스에 대한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된 질환 코드를 통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액세스를 허여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식품 검색 제공 모듈(325)은 식품인덱스 정보와 연동된 레시피 정보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로 식품 검색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식품 검색 요청에 따라, 식품인덱스 정보와 연동된 레시피를 추출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식품 검색 제공 모듈(325)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식품인덱스 정보는 처방시 효과 있는 식품에 대한 쇼핑몰 서버(700)에 등록된 고유 코드 정보에 해당하며,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에 의한 식품인덱스 정보와 연동된 레시피를 추출시 각 레시피에 대한 칼로리, 영양성분 정보 등을 함께 추출하여 식품 검색 제공 모듈(325)에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푸쉬업 모듈(326)은 식품 검색 제공 모듈(325)에 의한 식품인덱스 정보와 연동된 레시피에 대한 수신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되, 뉴스레터 형식으로 생성 후 자동 문자 및 모바일 메신저 친구 설정에 의한 자동 메시지 발송에 의해 상담 및 재상담을 수행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쇼핑몰 연동 모듈(327)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해 쇼핑몰 서버(700)로의 액세스에 따라 식품인덱스 정보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식별 ID를 전송시, 쇼핑몰 서버(7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에 따라 식품인덱스 정보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식별 ID와 매칭되는 레시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한다.
이후, 쇼핑몰 연동 모듈(327)은 식품인덱스 정보 외의 레시피 정보에 포함되는 첨가 식품인덱스 정보를 쇼핑몰 서버(700)로 전송하여 쇼핑몰 서버(700)에 의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레시피 정보와 함께, 추가 구매 권유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쇼핑몰 서버(700)의 매출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한 건강 관리가 체계적으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의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뇌파 측정기(100a), 복수의 운동 장치(800)로 구성되는 운동 장치 집합(800g), 병원 서버(900)가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레시피 뿐만 아니라 운동요법에 대해서도 집중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다.
상담 제공 서버(300)는 각 기초 상담, 본 상담, 재상담에 따라 생성된 레시피 정보를 따라, 각 해당하는 경우의 뇌파 변화를 감지하여 온라인을 통해 식사일기장에 자동으로 기입되는 레시피 정보의 적용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에 대한 레시피 정보 적용 결과의 도출 요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며,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해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유선 및 무선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며 댁내 또는 미리 지정된 영역에 설치된 뇌파 측정기(100a)에 의해 측정된 뇌파 중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로 분류하여, 각 구분된 파형의 시간의 변화에 따른 일정 시간 단위 또는 시각에서의 형태의 조합을 요청하여 수신하여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시피를 이용한 치료 단계에 따라 제 1 내지 제 M 치료 단계(M은 2 이상으로 L과 같거나 다른 자연수)로 구분되며 댁내 또는 미리 지정된 영역에 구비된 IoT 기반의 운동 장치 집합(800g)을 구성하는 개별적인 운동 장치(800)에 운동요법에 해당하는 다이어트, 근력증가, 바디 밸런스, 실버 케어, 특정 부위 몸매 관리 등을 색인한 뒤, 색인된 운동 장치 사용의 조합 정보 및 운동 장치 사용 순서 정보를 각 치료 단계별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 상에서 상담 프로세스 앱에서 전환되는 AR 앱을 이용해 AR 앱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기반으로 운동 장치 집합(800g) 중 설정된 순서에 따른 운동 장치(800)에 대한 순차적인 사용을 각 순번에 따른 운동 장치(800)에 대한 RFID 태그, NFC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한 확인을 완료하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각 운동 장치(800) 또는 AR 앱에서 제시된 모든 운동 장치(800)에 대한 사용 완료 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와의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뇌파 변화 정보 요청을 전송하고,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뇌파 변화 정보 요청 전송 전에 또는 뇌파 변화 정보 요청 전송 이후에 페어링된 뇌파 측정기(100a)로부터 뇌파 변화 정보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달되면 전달된 뇌파 변화 정보를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수신한다.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주기는 1개월 1회로 설정할 수 있다.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변화 점검 기간이 경과한 경우, 각 레시피 요법 및 운동요법에 따른 뇌파 정보와 함께, AR 기반의 상담에 따른 진술의 변화 진단을 증강 현실 기반으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집한 뒤, 변화 점검 주기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변화 점검 주기에 따른 운동 수행 횟수는 미리 설정된 최소 입장 횟수 내지 최대 입장 횟수 사이로 제한되거나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후 운동 수행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초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한 상태에서 뇌파 정보와 진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상태의 호전이 없는 경우, 누적된 뇌파 정보 및 진술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의료관련전문센터 서버(900)로 전송하고,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는 AR 앱 종료 요청과 함께 의료관련전문센터를 이용한 약물 치료 및 상담 코칭을 위한 안내 정보를 전송한 뒤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반대로,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판단 결과 상태의 호전이 있는 경우, AR 앱 지속 요청을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약물 및 주사 등에 의한 치료를 최소화하고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등에 의한 자연치유를 최대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100 :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
100a : 뇌파 측정기
200 : 네트워크
300 : 상담 제공 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예약 제공 모듈
322 :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
323 :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
324 : 질환 코드 및 처방전 제공 모듈
325 : 식품 검색 제공 모듈
326 : 메시지 푸쉬업 모듈
327 : 쇼핑몰 연동 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
500 : 재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
600 :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
700 : 쇼핑몰 서버
800 : 운동 장치
800g :운동 장치 집합
900 : 의료관련전문센터 서버

Claims (3)

  1.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 네트워크(200), 상담 제공 서버(300),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 재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500),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 뇌파 측정기(100a), 운동 장치(800)들로 구성되는 운동 장치 집합(800g), 병원 서버(900) 및 쇼핑몰 서버(700)를 포함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1)에 있어서,
    상담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 재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500),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 및 쇼핑몰 서버(7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310),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30) 및 송수신부(310)와 데이터베이스(330)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320)를 포함하고,
    제어부(320)는 예약 제공 모듈(321),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 질환 코드 및 처방전 제공 모듈(324), 식품 검색 제공 모듈(325), 메시지 푸쉬업 모듈(326), 및 쇼핑몰 연동 모듈(327)을 포함하고,
    예약 제공 모듈(321)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계측 검사 결과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 상에서 수행되는 상담 프로세스 앱 상으로 계측 검사 결과가 출력되도록 하고,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상담 및 재상담을 위한 예약 확인 전화 업무를 단축하기 위해 전자 캘린더 UI 화면을 통한 각 날짜 상에 구분된 시간에 대한 슬롯(Slot)에 대한 선택 신호를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뒤, 선택된 슬롯에 해당하는 날짜와 시간을 데이터베이스(330)에 식별 ID와 함께 저장하고, 선택된 슬롯에 해당하는 날짜와 시간에 대한 잔여 기간을 연산하고, 연산된 잔여 기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 기간 미만인 경우 임계 기간을 미리 설정된 구분 시간 단위로 분할한 뒤, 각 구분 시간 단위에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상담예약자 방문 여부 확인 메시지를 응답형 문자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상담예약자 방문 여부 확인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한 응답에 따른 상담예약이 확정되면 문진표 작성을 위한 상담 프로세스 앱을 기반으로 작성하도록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로의 통지를 수행하고, 선택된 슬롯(Slot)에 해당하는 날짜와 시간까지 1차로 응답이 없어서 상담예약이 확정되지 않으면 1차 부재로 판단하며, 선택된 슬롯에 해당하는 날짜와 시간을 경과하고 미리 설정된 추가 기간이 경과하고도 응답이 없어서 상담예약이 확정되지 않으면, 2차 부재로 판단하고, 예약이 확정된 상담예약자에 대해서 문진표 작성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선결제를 위한 전자결제를 수행하고, 선결제가 완료되면, 상담예약자의 상담 예약 일정 정보 및 방문 시 지참 준비물 안내 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선택된 슬롯에 해당하는 방문예약 일시 전에 상담예약자의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자동 문자 발송이 수행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은,
    계측 검사결과와 매칭되는 문진표 작성을 위한 페이지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한 뒤, 추출된 문진표 작성 페이지와 문진표 간소화 전환 요청을 상담예약자의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여, 상담예약자의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 상에서 문진표 작성 페이지가 반영된 문진표 간소화 UI 화면이 상담 프로세스 앱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고, 상담예약자에 한하여 문진표를 노출하지만 캡쳐가 되지 않도록 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실제의 방문전에 상담 프로세스 앱에서 상담예약자가 문진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고, 주관식 및 객관식 항목이 포함된 문진표 작성 페이지를 상담예약자의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한 뒤,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상담 프로세스 앱 상에서 자체적인 문진표 간소화 전환이 수행되도록 하고, 통합관리자프로그램과 앱 기반 문진표 작성 제공 모듈(322)에 의한 문진 상담 진행시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액세스를 허여한 뒤,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계측 검사결과, 문진표를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 상에서 상담사에 의해 상담 프로세스 앱에서 선택된 병명 코드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상담 프로세스 앱의 병명 코드 선택 영역 옆 또는 하단의 첨삭가능한 메모란에 입력된 메모 입력 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식별 ID로 한 차트 정보로 생성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여,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운영하는 상담사가 차트 정리를 하도록 하고,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차트 정보의 병명 코드 정보와 메모 입력 정보를 하나의 차트 정보로 하여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로 전송하고,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한 직접적인 액세스의 경우, 메모 입력 정보를 빅데이터로 한 머신 러닝 및 딥 러닝 방식에 의한 처방 정보를 제공하고, 병명 코드 정보별 메모 입력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에 대한 통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통계 작성 기능이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에 의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제공되도록 하고,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한 상담을 위한 목적된 방문지 방문시 기초 상담으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 간의 기초 상담이 진행되도록 하는 중개를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예약 제공 모듈(321)로부터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달된 방문 시 지참 준비물 안내 정보에 따른 자료 정보를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온라인 형식의 식사일기장, 연간 질환별 강의 일정표를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 상의 상담 프로세스 앱 상에서 구현되도록 하고,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기초 상담이 완료되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400) 간의 본 상담이 진행되도록 하는 중개를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본 상담이 완료되고, 재방문하는 경우,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재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500) 간의 재상담이 진행되도록 하는 중개를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재상담사 모바일 디바이스(500)로부터 제공된 한 달간의 식생활, 개별 이상 증상의 변화 정보, 그리고 이에 대한 평가 및 문제점 교정 정보를 포함하는 식사일기장을 중심으로 점검 및 피드백 정보로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제공하고,
    질환 코드 및 처방전 제공 모듈(324)은,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처방전 정보" 및 "전문 영양사 개별 맞춤 상담 및 생활 교정 교육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질환 코드를 생성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질환 코드를 통해 수기 차트를 없애고 전자 차트를 활용하고,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상담 프로세스 앱 상에서 본인의 처방전만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식품 검색 제공 모듈(325)은,
    상담 및 재상담 제공 모듈(323)에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된 전문 영양사 개별 맞춤 상담 및 생활 교정 교육 정보 중 식품인덱스에 대한 액세스를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허여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식품인덱스 정보와 연동된 레시피 정보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뒤,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로 식품 검색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메시지 푸쉬업 모듈(326)은,
    식품 검색 제공 모듈(325)에 의한 식품인덱스 정보와 연동된 레시피에 대한 수신이 완료되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며,
    쇼핑몰 연동 모듈(327)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해 쇼핑몰 서버(700)로의 액세스에 따라 식품인덱스 정보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식별 ID를 전송시, 쇼핑몰 서버(7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에 따라 식품인덱스 정보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식별 ID와 매칭되는 레시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하고, 식품인덱스 정보 외의 레시피 정보에 포함되는 첨가 식품인덱스 정보를 쇼핑몰 서버(700)로 전송하여 쇼핑몰 서버(700)에 의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레시피 정보와 함께, 추가 구매 권유가 수행되도록 하고,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유선 및 무선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며 댁내 또는 미리 지정된 영역에 설치된 뇌파 측정기(100a)로부터 측정되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통해 수신된 뇌파를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감마(gamma)파로 분류하여 빅데이터로 활용하고,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시피를 이용한 치료 단계에 따라 제 1 내지 제 M 치료 단계(M은 2 이상으로 L과 같거나 다른 자연수)를 구분하고, 댁내 또는 미리 지정된 영역에 구비된 IoT 기반의 운동 장치 집합(800g)을 구성하는 개별적인 운동 장치(800)들에 대한 조합 정보 및 운동 장치들의 사용 순서 정보를 각 치료 단계별로 생성하고,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상담 프로세스 앱에서 전환되는 AR 앱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을 기반으로하여, 운동 장치(800들이 사용 순서 정보에 따라 사용되었는지 및 모든 운동 장치(800)들이 사용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뇌파 변화 정보 요청 전송 전에 또는 뇌파 변화 정보 요청 전송 이후에 페어링된 뇌파 측정기(100a)로부터 뇌파 변화 정보를 수신하고,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미리 설정된 변화 점검 기간 경과 여부를 판단하고,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변화 점검 기간이 경과한 경우, 각 레시피 요법 및 운동요법에 따른 뇌파 정보와 함께, AR 기반의 상담에 따른 진술의 변화 진단을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집하고,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변화 점검 기간 경과 후 운동 수행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한 상태에서 뇌파 정보와 진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상태의 호전이 없는 경우, 누적된 뇌파 정보 및 진술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의료관련전문센터 서버(9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는 AR 앱 종료 요청과 함께 의료관련전문센터를 이용한 약물 치료 및 상담 코칭을 위한 안내 정보를 전송하며,
    빅데이터 기반 AI 서비스 제공서버(600)는 판단 결과 상태의 호전이 있는 경우, AR 앱 지속 요청을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80080701A 2018-07-11 2018-07-11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 KR102117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701A KR102117756B1 (ko) 2018-07-11 2018-07-11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701A KR102117756B1 (ko) 2018-07-11 2018-07-11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836A KR20200006836A (ko) 2020-01-21
KR102117756B1 true KR102117756B1 (ko) 2020-06-03

Family

ID=6936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701A KR102117756B1 (ko) 2018-07-11 2018-07-11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537B1 (ko) * 2020-08-11 2023-04-03 정민찬 머신러닝을 이용한 한의학 처방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92025B1 (ko) * 2021-07-19 2022-04-27 허봉수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102560607B1 (ko) * 2021-11-23 2023-07-2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의 메모 처리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878B1 (ko) * 2008-06-10 2010-11-11 김봉석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KR101723467B1 (ko) * 2016-08-19 2017-04-05 김길수 건강식품의 온라인 주문, 제조 및 판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473A (ko) * 2012-10-26 2014-05-09 김말진 식재료 장보기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02502A (ko) * 2014-02-28 2015-09-07 주식회사 에버건설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일대일 질병 예방 및 진료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769480B1 (ko) * 2015-06-08 2017-08-18 (주)유메디 병원 진료 예약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878B1 (ko) * 2008-06-10 2010-11-11 김봉석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KR101723467B1 (ko) * 2016-08-19 2017-04-05 김길수 건강식품의 온라인 주문, 제조 및 판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836A (ko)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2848B (zh) 一种基于app的医疗服务系统
CN109659017B (zh) 一种预测、分配医生就诊量的智慧医疗系统
CN104303185B (zh) 用于营养物摄取量的用户特定调节的系统和方法
Bernstein et al. Patient‐reported outcomes use during orthopaedic surgery clinic visits improves the patient experience
CN110192252A (zh) 用于评估发育状况并提供覆盖度和可靠性控制的方法和装置
KR102117756B1 (ko) 모바일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상담 제공 서버
KR102175456B1 (ko) 요양병원추천시스템과 요양병원추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양병원추천용 어플리케이션
CN107924711A (zh) 健康护理服务器、健康护理服务器控制方法和健康护理程序
US20040111293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tracking patients undergoing treatment and/or therapy for renal disease
CN107004214A (zh) 用户状态调控的产品选择
CA2161627A1 (en) Personalized method and system for storage, communication, analysis and processing of health-related data
KR20060064885A (ko)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1526980A (zh) 用于产生实时健康护理警报的系统和方法
KR101592021B1 (ko) 개인화된 임신, 출산, 산후조리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0601067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knowledge database used in exper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KR102467340B1 (ko) 챗봇 기반의 질의응답 및 생체표지자 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영양 관리 시스템
Prasetyo et al. Foodbot: A goal-oriented just-in-time healthy eating interventions chatbot
CN107256524A (zh) 家庭健康体检信息处理系统及方法
US201202784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event correlated message delivery
US20170177802A1 (en) Allergy Service Management Portal
KR102392025B1 (ko) 앱 기반의 상담 프로세스에 의한 처방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20170075324A (ko) 개인 생활 패턴 정보 기반의 심리 진단을 통한 심리 치유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00161348A1 (en) Clinical Management System
KR102117757B1 (ko) 상담 프로세스 기반 멀티 처방 방법
US20220336089A1 (en) Resource efficient computer-implemented surgical resource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